KR20200047994A - wide screen theater - Google Patents

wide screen t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994A
KR20200047994A KR1020180129571A KR20180129571A KR20200047994A KR 20200047994 A KR20200047994 A KR 20200047994A KR 1020180129571 A KR1020180129571 A KR 1020180129571A KR 20180129571 A KR20180129571 A KR 20180129571A KR 20200047994 A KR20200047994 A KR 2020004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ter
screen
theaters
size
mov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102018012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994A/en
Publication of KR2020004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heater in a multiplex cine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s of each theater in the multiplex cinema are designed in a shape in which a screen side having a triangle, trapezoidal, or fan shape is widened and an opposite side thereof is narrow. When the structure is designed thereby, the number of the theaters in the same space is increased so that efficiently operation for suppliers can be performed.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screens in each of the theaters are further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general rectangular theater so that movies in various contents can be enjoyed without burden to costs. Therefore, the consumers can obtain greater satisfaction.

Description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wide screen theater}       Wide screen theater

본 발명은 현재 운영되는 멀티플렉스 형 영화관 내의 각 상영관의 구조를 변경하는 건이다. 기존 상영관은 주로 직사각형의 획일화된 구조이고, 스크린은 정해진 공간의 같은 벽면에 배치한다. 그러나 당해 건은 기존의 상영관을 분할하여, 삼각형 내지는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 형태의 모양을 가지게 설계함을 통해 스크린을 대형화하고 기존 영화관과 다르게 서로 다른 벽면에 형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each theater in a multiplex-type movie theater currently in operation. Conventional theaters are mainly rectangular, uniform structures, and screens are placed on the same wall in a defined space. However, the case is to divide the existing theater and design it to have a triangular or trapezoidal or fan-shaped shape, so that the screen is enlarged and formed on a different wall surface than the existing movie theater.

이를 요약하자면, 획일화된 멀티플렉스형 영화관의 각 상영관의 구조와 배치방식을 변경하여 영화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스크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상영관 개수는 늘리면서 공석이 적은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는 것이 이 발명의 핵심이라 할 것이다.       To sum up this, the structure and layout of each auditorium in a uniform multiplexed cinema are changed to dramatically increase the size of the screen to satisfy both the movie provider and the consumer, and increase the number of auditoriums while reducing the vacancy. Promoting will be the core of this invention.

현재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통상 직사각형 모양의 상영관이 여러 개가 이어진 모습이다. 이런 직사각형 모양의 구조에서 스크린은 멀티플렉스 영화관 전체 구조 중 한쪽 벽만을 이용하게 되어 스크린의 전체 크기가 한정된다. Currently, multiplexed movie theaters have several rectangular theaters. In this rectangular-shaped structure, the screen uses only one wall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ultiplex cinema, thereby limiting the overall size of the screen.

또한 직사각형 형태의 상영관으로 이루어진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는 상영관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영화관 전체 공간을 늘리거나 각 상영관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야 한다.In addition, in a multiplex cinema composed of rectangular theater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at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ntire space of the cinema or make the size of each theater small.

최근에는 보다 시각적으로 몰입도가 높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아이맥스 상영관이 많이 보급되었다. 그러나 아이맥스처럼 큰 스크린을 설계하고자 한다면 기존의 직사각형 구조의 영화관에서는 멀티플렉스 영화관 내의 아이맥스 상영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다른 상영관에 비해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해 공급자는 전체 상영관의 개수를 줄이거나 다른 상영관의 크기를 줄여야 한다. 그로 인해 공급자의 투자비용 발생의 몫은 수요자가 부담하게 되어 더 고가의 비용을 치르고 영화를 관람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Recently, in order to realize a more visually immersive image, IMAX theater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However, if you want to design a large screen like an IMAX, in the existing rectangular-type cinema, the space of the IMAX theater in the multiplex cinema is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theaters. To do this, suppliers must either reduce the total number of theaters or reduce the size of other theaters. As a result, the share of the investment cost of the supplier is borne by the consumer, and there is a problem of paying a higher price and watching a movie.

일반적인 영화의 경우도 직사각형 형태의 기존 상영관에서 상영할 경우에 공간적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일반 영화의 경우 21:9의 와이드 스크린이나 16:9의 비율로 상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기존 상영관의 경우 스크린의 가로 크기에 제한이 있다. 이 때문에 상영 비율을 조정하거나 비율을 맞추기 위해 세로 부분에 공란이 생기게 된다. 그리하여 많은 상영관의 경우 영화 상영 아랫 부분에 상당한 부분의 비 상영 부분이 생기게 된다. In the case of a typical movie, spatial problems can be found when screening in a rectangular theater. For a typical movie, it is desirable to show a 21: 9 wide screen or 16: 9 ratio. 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theaters, there is a limit to the horizontal size of the screen. Because of this, blanking occurs in the vertical portion in order to adjust the screening ratio or adjust the ratio. Thus, in many theater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non-screening portion is created at the bottom of the movie screening.

종래의 상영관의 경우 출구가 스크린 옆이나 아래 쪽에 설계되어 있다. 이는 통로 확보를 위해 스크린의 일부를 출구로 설계하는데 사용하게 되어 스크린의 크기가 더 작아지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heater, the exit is designed next to or below the screen. This is used to design a part of the screen as an exit to secure a passage, so the size of the screen becomes smaller.

본 발명은 기존 직사각형의 상영관으로 이루어진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각 상영관의 모양을 직사각형에 국한하지 않고,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등 스크린 쪽은 넓게 하고 그 반대쪽은 좁게 한다. 이로 인해 스크린은 극대화되어 관객에게 더 높은 시각적 몰입도와 만족을 주고 동일 공간 내 상영관 수도 늘려 공급자의 영화관 운영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a multiplex cinema composed of an existing rectangular theater. From the geometric point of view, the shape of each theater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but the screen side, such as a triangle, trapezoid, or fan, is wide and the opposite side is narrow. As a result, the screen is maximized, giving the audience higher visual immersion and satisfaction,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heaters in the same space, which can als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supplier's movie theater operation.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영관의 스크린 쪽은 넓게 하고 그 반대쪽은 좁게 하는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등의 모양으로 설계하여 각 상영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screen is efficiently arranged by designing it in a triangular or trapezoidal or fan-shaped shape that widens the screen side of the theater and narrows the opposite side.

상영관의 좁은 부분이 옆 상영관의 스크린 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전체 영화관의 양쪽 면을 스크린으로 활용하게 한다.The narrow section of the theater is positioned toward the screen of the adjacent theater, allowing both sides of the entire cinema to be used as screens.

각 상영관의 입구는 2층으로 설계하고 출구는 스크린 옆 1층으로 설계하여 옆 상영관 2층 입구의 비어 있는 1층 부분에 출구를 설계한다.The entrance of each theater is designed on the second floor and the exit is designed on the first floor next to the screen.

이러한 구조적 변경으로 상영관 내 스크린은 극대화하고 상영관의 개수도 더 늘어나게 된다.This structural change maximizes the screen in the theater and increases the number of theaters.

또한 상영관의 모양을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 모양으로 설계할 경우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는 다음 도면에서 관찰 가능하다. In addition, if the shape of the theater is designed in a triangular, trapezoidal or fan shape, it is possible to design more various multiplex cinemas. This can be observed in the following figure.

본 발명으로 인해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상영관의 모양을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스크린의 크기를 극대화하여 영화에 대한 시각적 몰입도를 높여줌으로써 영화 관람에 있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 영화관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동일 공간 상영관 내 스크린의 크기는 크게 하며, 상영관의 개수도 늘리는 등 효율적인 영화관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초소형관 또한 적절한 스크린 크기로 운영할 수 있다. Du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osition can maximize the size of the screen by designing the shape of the auditorium in a triangular, trapezoidal or fan-shaped shape, thereby increasing the visual immersion in the movie, thereby increasing satisfaction in movie viewing.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a multiplex movie theater provider, it is possible to operate an efficient movie theater by increasing the size of a screen in the same space theater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heaters. In some cases, the micro tube can also be operated with a suitable screen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의 대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만들어 본 모형 구조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모형 구조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네 개의 관을 설계해 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다섯 개의 관을 설계해 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네 개의 관을 설계해 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네 개의 관을 설계해 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두 개의 관을 설계해 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structure of a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odel structure made by connecting two tubes of the wide-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odel structure viewed from the front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by designing four tubes of 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by designing five tubes of 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by designing four tubes of 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by designing four tubes of 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by designing two tubes of 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스크린 쪽 방면은 넓게 하고 그 반대쪽은 좁게 하는 구조로, 스크린을 서로 반대편이나 다른 벽면에 설계한다.The wide screen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creen side of a multiplex cinema is wide and the opposite side is narrow, and the screens are designed on opposite sides or on different wall surfaces.

일반적인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한쪽 벽만을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여러 벽면을 이용하여 동일 공간 내 스크린은 극대화하고 상영관의 개수도 늘어나며 다수의 아이맥스 영화관 및 초소형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Compared to a typical multiplex cinema using only one wall as a screen, multiple walls can be used to maximize the screen in the same space, increase the number of theaters, and efficiently operate multiple IMAX cinemas and microminia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상영관의 구조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representative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4 ~ 도 8까지 청색은 스크린, 연두색은 관람석, 회색은 상영관 내 통로, 분홍색은 여러 상영관으로 통하는 주 출입구, 붉은색은 각 상영관으로 통하는 개별 출입구, 노란색은 영사실로 표시하였다. . 1 and 4 to 8, blue is a screen, light green is a grandstand, gray is a passage in an auditorium, pink is a main entrance to several theaters, red is an individual entrance to each theater, and yellow is indicated as a projection room. .

도 2는 도 1과 같은 두 개의 상영관을 교차 배열하여 직접 만들어 본 상영관 모형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모형 구조물이다.FIG. 2 is a model of an auditorium made by directly arranging two theaters as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model structure viewed from the front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상영관을 도 1과 같이 설계하여 서로 교차하여 배열시킨다면 도 2와 같은 두 개의 상영관을 만들 수 있다.If the theaters are designed as shown in FIG. 1 and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wo theaters as shown in FIG. 2 can be made.

도 2와 도 3에서 보여지듯이 상영관의 스크린은 숫자 1의 반대편과 숫자 2부분이다. 스크린은 영화관의 서로 반대편에 교차하게 되어 일반적인 영화관의 스크린보다 최대 두 배 가량 가로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creen of the theater is the opposite side of the number 1 and the number 2 part. The screens intersect on opposite sides of a movie theater, which can be up to twice the width of a typical movie theater screen.

도 2와 도 3에서 스크린의 반대 부분은 스크린 부분의 1/3 정도가 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설계하였다. 이 비율을 낮추어 상영관이 삼각형 모양이 되도록 설계한다면 스크린의 가로 크기를 최대 두 배까지 확대할 수 있다.2 and 3, the opposite part of the screen is designed in a trapezoidal shape that is about 1/3 of the screen part. By lowering this ratio, if the theater is design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the screen can be enlarged up to twice the horizontal size.

삼각형으로 설계하거나 사다리꼴의 한쪽 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 해서 스크린의 크기와 영화관 관람석이 배치되는 부분의 넓이를 조정하여 더 효과적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설계가 가능하다.By designing it as a triangle or adjusting the size of one side of the trapezoid, it is possible to design a more effective multiplex cinema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screen and the area of the theater seating area.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형태로 상영관을 설계할 때 일반적인 직사각형의 상영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상영관의 수보다 훨씬 더 많은 상영관을 확보할 수 있다. When designing a theater with a triangular or trapezoidal shape, it is possible to secure a much larger number of theaters than the number of theaters that can be realized with a general rectangular theater.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설계할 경우 스크린의 크기가 커지고 상영관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으나, 구조가 변경되면서 전체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좌석 수가 줄어드는 단점이 생긴다. 그러나 일반적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좌석 점유율이 100%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그로 인한 손실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However, when designing a multiplex cine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screen may increase and the number of theaters may increase, but as the structure changes, the number of seats in the entire multiplex cinema decreases. However, the seating share of a typical multiplex cinema rarely reaches 100%,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little loss.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 상영관의 모양이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형태가 되어 관객의 선호가 적은 양 사이드 좌석이 줄어들고 관객이 실제 착석하는 좌석은 스크린을 중심으로 한 좌석이 대부분이므로 더 만족스러운 영화 관람이 가능하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 1, the shape of the theater is triangular or trapezoidal, so the amount of side seats that the audience prefers is small, and the seats that the audience actually seats are mostly centered on the screen. It becomes possible.

도 2와 도 3에서 좌측 상영관의 먼 쪽에 보이는 숫자 4부분은 좌측 상영관의 2층 입구이다. 우측 상영관의 숫자 4부분은 우측 상영관의 2층 입구이다. 상영관으로 입장하기 위해서는 2층 메인 복도를 거쳐 각 상영관의 숫자 4부분으로 입장한다.In FIG. 2 and FIG. 3, the number 4 portion shown on the far side of the left theater is the entrance to the second floor of the left theater. The number 4 part of the right theater is the entrance to the second floor of the right theater. To enter the theater, go through the main hallway on the second floor and enter the number 4 part of each theater.

각 상영관의 출구는 스크린 옆 숫자 3부분이다. 이는 옆 상영관 좌석 아래부분 1층으로 통하며, 이를 거쳐 숫자 5부분 출구로 나와서 1층 메인 복도로 이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설계는 출구나 입구를 만들기 위해 상영관 내 추가적인 복도 설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 넓은 스크린과 상영관을 구현할 수 있다The exit of each auditorium is a three-part number next to the screen. This leads to the 1st floor underneath the seats of the adjacent theater, and then exits at the 5th exit of the number and leads to the main hallway on the 1st floor. This type of design does not require the design of additional hallways in the theater to create exits or entrances, allowing for wider screens and theater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 설계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multiplex cinema de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분홍색은 영화관의 주 출입구이다. 입구는 2층이며 각 상영관의 회색 복도가 있는 쪽의 붉은색 부분으로 입장한다. 회색복도는 상영관의 크기에 따라 추가 설계할 수 있으나 여기선 편의상 메인 복도 하나만 설계하였다.Pink is the main entrance to the cinema. The entrance is on the second floor and is entered by the red part on the side where each hall has gray corridors. Gray corridors can be designed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heater, but for convenience, only one main corridor is designed.

회색 복도를 따라 연두색 좌석 부분에서 착석 후 파란색 부분의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화를 관람한다. Along the gray corridor, you will be seated at the light green seating area and watch a movie screened on the blue screen.

영화 관람 후 파란색 스크린 부분 옆 붉은 색 출구 부분으로 퇴장한다. 이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1층 부분이며, 옆 상영관 입구 2층의 아래 1층 부분이다. 이는 도 2와 도 3의 입체 모형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After watching the movie, you will exit with the red exit next to the blue screen. This is the first floor part of the multiplex cinema, and the lower first floor part of the second floor of the entrance to the next theater.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three-dimensional models of FIGS. 2 and 3.

그러므로 분홍색 주 출입구를 통한 복도는 영화관 양쪽에 설계되며 2층은 입구, 1층은 출구로 사용된다.Therefore, the hallway through the pink main entrance is designed on both sides of the cinema, and the second floor is used as the entrance and the first floor is used as the exit.

도 4는 종래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영관 3개 정도 되는 영화관을 본 발명에 따라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하였을 때 상영관 수는 3개보다 1개 더 추가되어 4개 관까지 설계 가능하다. 맨 좌측과 맨 우측의 상영관은 종래의 3개 관일 경우보다 스크린 크기가 약간 줄었지만, 가운데 두개 관의 스크린의 크기가 종래의 관 보다 스크린의 크기가 1.5배 정도 더 커졌다. 4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multiplex movie theater is a three-dimensional movie theater of a rectangular shape. When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aters is one more than three, and up to four can be designed. The screens of the leftmost and rightmost screens are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three tubes, but the size of the screens in the middle two tubes is about 1.5 time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tubes.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설계와 기존 설계를 비교할때 기존에는 크기가 비슷한 3개 관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좌석 수가 기존 관보다 많이 적으나 스크린의 크기가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두개 관과, 기존 관과 좌석 수가 비슷하나 스크린의 크기가 1.5배나 더 큰 아이맥스 상영관인 두개 관을 합해서 모두 네개 관을 설계할 수 있다. 상영관이 동일 공간 내에서 다양해진다는 것은, 공급자 입장에서는 영화를 상영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제적이고, 수요자인 영화 관람자 입장에서는 큰 화면을 저렴한 비용에 보거나 잘 상영되지 않는 독립 영화나 예술 영화의 관람도 초소형관에서 관람하는 기회가 늘어난다. In the end, when comparing the de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xisting design, there are three tubes having similar sizes in the past,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tubes having fewer seats than the existing tube but having a similar or slightly smaller screen size, and the existing tube You can design a total of four pipes by combining two pipes, iMAX theaters with a similar seating number and 1.5 times the size of the screen. The variety of theaters within the same space is economical in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efficiently in screening a movie from a supplier's point of view, and from a movie viewer who is a consumer, a large screen can be viewed at low cost or an independent movie that is not screened well. Opportunities to watch art films also increase at the microminiature hall.

도 5는 도 4의 설계를 약간 변형하였다.5 slightly modified the design of FIG. 4.

도 4에서 맨 좌측과 맨 우측은 비대칭인 상영관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영관을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모든 상영관이 좌우 대칭이 되었다. In FIG. 4, the leftmost and rightmost sides were asymmetric theaters. To improve this, the theater was made into a triangular shape so that all the theaters were symmetrical.

도 5도 종래의 경우 상영관 3개 정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가정하여 설계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 맨 좌우측 상영관은 종래의 상영관 보다 스크린의 크기도 작고 상영관의 크기도 작다. 그러나 중앙의 3개관은 종래의 상영관보다 스크린이 1.5배나 커지게 된다. 기존 상영관은 영화관의 한쪽 벽만이 스크린인데 비해, 도 5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영화관의 양쪽 벽을 모두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동일 공간 내 스크린을 최대 두 배 정도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종래의 영화관 스크린이 1 + 1 + 1 이 되어 총 3이라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중앙의 3개관은 약 1.5, 좌우측 2개관은 각각 0.75 정도 크기가 되어 1.5 + 1.5 + 1.5 + 0.75 + 0.75 가 되어 약 6 정도 되는 스크린의 크기를 가지는 상영관이 되고, 상영관의 갯수도 3개에서 5개까지 늘릴 수 있다.5 is a plan view designed assuming a space capable of making about three theaters in the prior art. As can be seen in FIG. 5, the left and right screens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conventional screens and smaller in size. However, the three centers have a 1.5 times larger screen than the conventional theater. In the conventional theater, only one wall of the movie theater is a screen, but as can be seen in FIG. 5, both walls of the movie theater can be used as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alculated that it can get up to twice the screen in the same space. This means that if the conventional cinema screen is 1 + 1 + 1, and the total is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3 tubes are about 1.5 and the left and right 2 tubes are about 0.75 each, resulting in 1.5 + 1.5 + 1.5 + 0.75 + 0.75. It becomes a theater with a screen size of about 6, and the number of theaters can be increased from 3 to 5.

상영관의 개수가 늘면서 초소형관 2개와 초대형관 3개를 설계할 수 있다. 이는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아주 큰 매력이다.As the number of theater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design two ultra-small tubes and three extra-large tubes. This is a great attraction for both suppliers and consumer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평면도이다. 종래의 영화관의 경우 3개 관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설계하였다.6 is another pla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vie theater, three spaces were designed to design space.

도 6의 특징은 스크린을 꼭 반대편에 두지 않을 경우 더 큰 스크린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각 상영관을 일반적인 이등변 삼각형이 아닌 직각 이등변 삼각형으로 설계할 때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상영관의 갯수는 3개에서 4개로 늘어난다. 도 4와 같이 4개 관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나 스크린의 크기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맨 좌측과 우측의 가장 작은 관의 스크린의 크기도 종래의 상영관 스크린의 크기 보다 훨씬 더 크다. 종래의 상영관이 1이라면 도 6의 작은 관의 크기는 루트2, 즉 1.4배 정도 커진다. 가운데 두개 관은 종래의 관보다 스크린의 크기가 2배나 커진다.The feature of FIG. 6 is a structure in which a larger screen can be obtained when the screen is not necessarily opposite. This is a structure that can be obtained when each theater is designed as a right isosceles triangle instead of a regular isosceles triangle. The number of theaters increases from 3 to 4. As shown in FIG. 4, the size of the multiplex movie theater or screen of four halls i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ize of the screens of the smallest tube on the far left and right are also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a conventional theater screen. If the conventional screening tube is 1, the size of the small tube in FIG. 6 is about 2 times larger, that is, about 1.4 times larger. The middle two tubes are two times larger in size than the conventional tube.

도 6의 설계의 경우는 모든 상영관의 스크린 크기를 종래의 상영관 보다 크게 만들 수 있으며 큰 상영관의 경우는 스크린의 크기를 2배 더 크게 만들어 초 대형 상영관을 설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sign of FIG. 6, the screen size of all the theaters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heater, and in the case of a large theater, the size of the screen can be twice as large to design an ultra-large theat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평면도이다. 7 is another pla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경우 한쪽 벽만이 스크린이라면, 도 7과 같은 경우는 모든 벽면을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동일 공간 내 스크린 크기를 극대화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plex theater, if only one wall is a screen, in the case of FIG. 7, all wall surfaces can be used as a screen, thereby maximizing the screen size in the same space.

도 7과 같이 한 쪽에 계단을 두어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중심 2층에 4개 상영관의 입구를 두어 입장하게 하고, 1층으로 퇴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1층에 출입구를 동일하게 두어 운영해도 무리는 없다.As shown in FIG. 7, stairs can be placed on one side to enter the entrance of four theaters on the second floor of the center of the multiplex cinema, and exit to the first floor. However, if you can't afford it, it's okay to operate the same entrance on the first floo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평면도이다. 종래의 영화관의 경우 2개 관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였다.8 is another pla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vie theater, it was designed with the space for designing two halls in mind.

종래의 영화관이 직사각형인 2개 관을 합할 경우 정사각형이 된다고 가정하고 한쪽 관의 스크린 크기가 1이라면 2개 관의 스크린 크기는 1 + 1 이 되어 총 2가 된다.Assuming that a conventional movie theater is square when two rectangular tubes are combined, if the screen size of one tube is 1, the screen size of the 2 tubes is 1 + 1, resulting in a total of 2.

도 8에서 알 수 있듯 직각이등변 삼각형이 되게 설계한다면 스크린의 크기는 한변이 2인 정사각형의 대각선 부분이 되어 2.8 정도가 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직사각형 상영관의 스크린 크기에 비해 직각 이등변 삼각형 상영관의 크기는 2개 관 모두 2.8배 정도 커진다. 이 경우는 상영관의 개수는 차이가 없으나 스크린의 크기가 무척 커지기 때문에 이는 수요자인 관람객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다가온다.As can be seen in FIG. 8, if it is designed to be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the size of the screen becomes a diagonal portion of a square with 2 sides, which is about 2.8. Therefore, the size of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ular screen is about 2.8 times larg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rectangular screen. In this ca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heaters, but since the size of the screen is very large, it comes as a great attraction to viewers.

종래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경우 각 상영관을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하기 때문에 멀티플렉스 영화관 설계에는 한계가 있고 또 스크린의 크기를 어느 정도는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직사각형 모양의 상영관인 경우 초소형 상영관을 만들기 어렵다. 그러기에 종래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경우는 각 상영관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plex movie theater, since each theater is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shape,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design of a multiplex movie theater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n ultra-small theater in the case of a rectangular-shaped movie theater because the screen size must be secured to some extent. 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plex cinema, the difference between each theater is not noticeabl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삼각형 내지 사다리꼴 형태로 상영관을 설계할 경우에는 도 4 ~ 도 8에 보여지듯이 멀티플렉스 영화관 설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대형 스크린 상영관은 인기 있는 영화로 많은 구매자를 끌어 들이고 소형 상영관이지만 스크린은 크게 작지 않은 상영관은 단체 대관이나, 독립영화 및 예술영화 또는 VIP룸으로 사용함으로써 매출 증대 및 관람객의 만족도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However, when the theater is designed in a triangular to trapezoidal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8, multiplex cinema desig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is is because a large screen theater attracts many buyers as a popular movie and a small theater, but the screen that is not very small can be used as a group rental, independent film, art film, or VIP room, which can contribute to increased sales and increased viewer satisfaction. Expect.

결정적으로 공급자 입장에서는 상영관의 개수가 늘어나고 각 상영관의 규모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운영을, 수요자에겐 비용 부담없이 아이맥스 상영관을 능가하는 매력과 다양한 영화와 공간을 제공하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의미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Deterministically, the number of theaters is increasing in terms of suppliers, and the size of each theater is diverse, which means more effective operation, meaning multiplexed cinemas that provide attractiveness and various movies and spaces that surpass iMAX theaters at no cost to consumers. Will be bigger.

물론 본 발명은 스크린의 크기가 더 커지게 설계할 수록 스크린과 좌석과의 빈 공간이 늘어나 멀티플렉스 영화관 전체 좌석 수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요즘 추세로 볼 때 상영관의 모든 좌석이 매진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오히려 빈 좌석이 더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screen is, the more the space between the screen and the seat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seats in the multiplex cinema. However, in recent years, all seats in the theater are sold out. Rath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are more empty seats.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을 설계할 경우 스크린의 크기가 커졌다는 이점. 다양한 영화의 상영이 가능하다는 점 등 다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압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좌석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advantage of design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ize of the screen is increased. It will be able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that can overwhelm other multiplex cinemas, such as the availability of a variety of movies, and ultimately increase the seat occupancy.

분홍색 - 여러 상영관으로 통하는 주 출입구
붉은색 - 각 상영관으로 통하는 개별 출입구
청색 - 스크린
연두색 - 관람석
회색 - 상영관 내 통로
노란색 - 영사실
1 - 스크린 반대편
2 - 스크린
3 - 각 상영관의 출구
4 - 각 상영관의 입구 (2층 메인 복도를 통해 입장한다.)
5 - 상영관 출구 (1층 메인 복도로 연결되며, 1층 메인 복도로 퇴장한다.)
Pink-Main entrance to multiple theaters
Red-Individual entrance to each theater
Blue-screen
Light Green-Grandstand
Gray-passage in the theater
Yellow-Projection Room
1-Opposite the screen
2-screen
3-Exit of each theater
4-Entrance of each theater (enter through the main hall on the 2nd floor)
5-Exit of the screening hall (connects to the main hall on the 1st floor and exits to the main hall on the 1st floor)

Claims (4)

영화 상영관의 구조로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부채꼴 형태의 구조로 스크린 쪽은 넓게 하고 그 반대쪽은 좁게 하여 스크린을 확대하는 상영관.       The structure of a movie theater is a triangular, trapezoidal or fan-shaped structure that enlarges the screen by widening the screen side and narrowing the opposit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영관의 스크린이 전체 멀티 플렉스 영화관의 한쪽 벽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차하게 되어 서로 다른 벽면에 각 상영관의 스크린이 위치하게 되는 상영관.       The scre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s of each theater are not located on one wall of the entire multiplex cinema, but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screens of each theater are located on different wall surfa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영관의 모양이 스크린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고객들이 선호하지 않는 측면 쪽 좌석은 줄고 중앙 좌석은 그대로인 상영관의 좌석 배치.       The seat arrangement of the the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s the shape of the thea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the side seats which are not preferred by customers are reduced and the center seat is the same. 2층에 상영관의 입구를 두고 그 2층 아래 1층에 옆 상영관의 출구를 두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인 상영관.
A theater that has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space by placing the entrance of the theater on the second floor and the exit of the next theater on the first floor below the second floor.
KR1020180129571A 2018-10-29 2018-10-29 wide screen theater KR202000479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71A KR20200047994A (en) 2018-10-29 2018-10-29 wide screen t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71A KR20200047994A (en) 2018-10-29 2018-10-29 wide screen t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94A true KR20200047994A (en) 2020-05-08

Family

ID=7067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71A KR20200047994A (en) 2018-10-29 2018-10-29 wide screen t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99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597B1 (en) * 2020-09-09 2022-04-12 Ammonite Finance Bv cinema h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597B1 (en) * 2020-09-09 2022-04-12 Ammonite Finance Bv cinema h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8924B1 (en) Domed image theatre
US9234363B1 (en) Single-screen multiple-tier movie picture theater having separate service class sections
US7911580B2 (en) Conversion of cinema theatre to a super cinema theatre
EP3144044B1 (en) Arrangement of cinemas in multiplex cinemas and cinema room for a multi-screen cinema
CA2824018C (en) 3d image cinema system
US20190071887A1 (en) Theater entrance
US20130242263A1 (en) Cinema structure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projecting and viewing a motion picture
KR20200047994A (en) wide screen theater
KR102071108B1 (en) VR Sports Pub System
KR20070100459A (en) Multi-plex structure for showing cinema
CN216076536U (en) Cinema for carrying out the method
DE19723371A1 (en) Multi-media function hall
CN115478717A (en) Cinema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8531561A (en)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al-time 3D stereoscopic projection for use in a live event having a stage section
CN220065080U (en) Non-projection type movie theatre
WO2021214881A1 (en) Aerial image display device and aerial mage display method
AU2013202842B2 (en) Conversion of cinema theatre to a super cinema theatre
Lally et al. CinemaCon tech: immersive experiences, laser projection, audio enhancements, satellite delivery, and rockin'seats are among the trends at annual NATO show
Girmani Going premium a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8

Effective date: 202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