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29A -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529A
KR20200046529A KR1020180127827A KR20180127827A KR20200046529A KR 20200046529 A KR20200046529 A KR 20200046529A KR 1020180127827 A KR1020180127827 A KR 1020180127827A KR 20180127827 A KR20180127827 A KR 20180127827A KR 20200046529 A KR20200046529 A KR 2020004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ke
wireless lan
wla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욱
신창우
성일경
Original Assignee
(주)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2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529A/en
Publication of KR2020004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and a method thereof which transmit a beacon signal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in consideration of wake-up efficiency, and transmit the beacon signal only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by using a group identification (ID) and an individual ID or by using a technique such as beam-forming for a beacon signal used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LAN wake-up device consists of a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which provides wireless LAN services to a terminal.

Description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Wireless 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랜 AP에서 웨이크업 단말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웨이크업 신호가 필요한 단말에 선택적으로 송신을 하여 무선랜의 무선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and specifically, to transmit a wake-up signal from the wireless LAN AP to the wake-up termin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optimally utilizing wireless resources of a wireless LAN by selectively transmitting to a terminal requiring a wake-up signal.

최근,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에게 빠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AN)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디드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을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has expanded, wireless LAN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fast wireless Internet services to the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Wireless LA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smart pads, laptop computer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embedded devices, etc. to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from a home, business, or specific service area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t a short distance. to be.

802.11ac 및 802.11ad 이후의 차세대 무선랜 표준인 802.11ax에서는 고밀도 환경에서의 고효율 및 고성능의 무선랜 통신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논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In 802.11ax, which is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standard after 802.11ac and 802.11ad, discussions are continuing to provide high-efficiency and high-performance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 high-density environment.

즉, 차세대 무선랜 환경에서는 고밀도의 스테이션과 AP(Access Point)의 존재 하에 실내/외에서 높은 주파수 효율의 통신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That is, in a next-generation wireless LAN environment, high-frequency / high-efficiency communication must be provided in the presence of a high-density station and an access point (AP),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implement this.

또한, 무선랜의 속도 및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과 동시에 무선랜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건전지와 같이 매우 한정된 전략 소스에 기반해 동작하는 기기들에도 무선랜을 탑재하기 위해, 효율적인 무선랜 전력 절약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extend the battery life of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while simultaneously developing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wireless LAN, and to mount wireless LANs in devices operating based on very limited strategic sources, such as batter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icient wireless LAN power saving technique.

기존에 제안된 무선랜 전력 절약 기법들은 주기적으로 기기들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전력을 줄이는 방법들인데, 이 경우 해당 기기의 전력 절약 효율이 높아질수록 더 긴 주기로 깨어나게 되므로 해당 기기와의 통신이 더 지연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저전력 웨이크업 리시버를 사용하는 전력 절약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Previously proposed wireless LAN power saving techniques are methods in which devices periodically enter sleep mode to reduce power. In this case, the higher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device, the longer it wakes up, so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increases. There are delays.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power saving techniques using a separate low-power wake-up receiver has been continued.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29286호에서는 무선랜에서 웨이크업 리시버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 절약 동작이 수행되며, 기기가 깨어난 후에 후속 데이터 교환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s an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9286, an efficient power sav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wake-up receiver in a wireless LAN, and a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a subsequent data exchange sequence after the device wakes up is presented. .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다수의 단말이 동시에 웨이크업되어 웨이크업이 필요없는 단말에 대해 전력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ower is wasted for a terminal that does not require wake-up because multiple terminals are wake-up at the same time.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29286호(2018.03.2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9286 (2018.03.21.)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크업 효율을 고려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in consideration of wake-up efficiency.

본 발명은 브로드케스팅에 사용되는 비콘 신호에 그룹 ID 및 개별 ID를 사용하거나 빔포밍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만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only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by using a group ID and an individual ID or a beamforming technique for a beacon signal used for broadcasting.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는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AP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LAN AP that provides wireless LAN service to a terminal.

여기서,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perform a wake-up function.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여기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Here, the WLAN AP wakes onl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 wake-up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be up.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wakes u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an individual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individual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is wake-up. Up signal can be transmitted.

여기서, 무선랜 AP는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무선랜 AP에 근접한 제 1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무선랜 AP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WLAN AP can contro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LAN A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n receive a wake-up signal.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제 2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is beamforming so that only the second terminal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can receive the wake-up signal. You can do

한편, 무선랜 AP는 무선랜 AP에서 타 무선랜 AP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WLAN AP receives a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from the WLAN AP, the WLAN AP does not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It can be characterized as no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은 무선랜 AP가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LAN service providing step in which the wireless LAN AP provides the wireless LAN service to the terminal.

여기서,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perform a wake-up function.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여기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Here, the WLAN AP wakes onl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 wake-up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be up.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wakes u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an individual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individual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is wake-up. Up signal can be transmitted.

여기서, 무선랜 AP는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무선랜 AP에 근접한 제 1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무선랜 AP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WLAN AP can contro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LAN A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n receive a wake-up signal.

또한,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제 2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is beamforming so that only the second terminal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can receive the wake-up signal. You can do

여기서, 무선랜 AP는 무선랜 AP에서 타 무선랜 AP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WLAN AP does not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when receiving the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from the WLAN AP. It can be characterized as not.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은 웨이크업 효율을 고려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장점이 있다. The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in consideration of wake-up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은 브로드케스팅에 사용되는 비콘 신호에 그룹 ID 및 개별 ID를 사용하거나 빔포밍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만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beacon signal only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by using a group ID and an individual ID for a beacon signal used for broadcasting or using a technique such as beamforming.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랜 AP가 그룹 ID를 사용하여 그룹으로 지정된 다수의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랜 AP가 개별 ID를 사용하여 특정한 하나의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선랜 AP가 비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무선랜 AP에 근접한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무선랜 AP가 빔포밍을 사용하여 일부 지역에 위치한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무선랜 AP가 타 무선랜 AP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a plurality of terminals designated as a group using a group I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one specific terminal using an individual I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capable of waking up only a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by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he beac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a terminal located in some region using beamforming.
FIG. 6 does not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when the WLAN AP of FIG. 1 receives the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This is a schematic diagram.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specific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reless LAN wak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6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for describing FIG. 1 in detail.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Hereinafter,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는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AP(100)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LAN AP 100 that provides a wireless LAN service to a terminal.

여기서,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perform a wake-up function.

또한,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100 i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third terminal 23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Can send a wake-up signal.

즉, 무선랜 AP(100)는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며, 이때,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모두 비콘 신호를 수신하므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전력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That is, the wireless LAN AP 100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 220), and since the third terminal 230 both receive a beacon signal, it must be awakened to receive a beacon signal,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ower is wasted.

도 2는 도 1의 무선랜 AP(100)가 그룹 ID를 사용하여 그룹으로 지정된 다수의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100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a plurality of terminals designated as a group using a group ID.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210) 및 제 2 단말(220)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wireless LAN AP 100,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nd a wake-up signal such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mong the third terminals 230 are wake-up.

따라서, 그룹 ID로 함께 지정된 제 1 단말(210) 및 제 2 단말(220)은 비콘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웨이크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 3 단말(230)의 경우 비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어,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이 비콘 신호와 함께 개별적인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designated together as a group I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ake up simultaneously with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terminal 230, the beacon signal can be selectively selected. Since it can receive,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eive individual wake-up signals together with the beacon signal.

도 3은 도 1의 무선랜 AP(100)가 개별 ID를 사용하여 특정한 하나의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100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one specific terminal using an individual ID.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210)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wireless LAN AP 100,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the individual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nd a wake-up signal such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210 pre-selected as an individual ID among the third terminals 230 becomes a wake-up.

따라서, 제 1 단말(210)은 비콘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웨이크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의 경우 비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어,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이 비콘 신호와 함께 개별적인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21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ake up simultaneously with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and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can selectively receive the beacon signal,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eive individual wake-up signals together with the beacon signal.

도 4는 도 1의 무선랜 AP(100)가 비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무선랜 AP(100)에 근접한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100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capable of waking up only a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100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eacon.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AP(100)는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무선랜 AP(100)에 근접한 제 1 단말(210)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무선랜 AP(100)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wireless LAN AP 100 is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of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wireless LAN AP (100) ( 210) can contro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ireless LAN AP 100 so that the wake-up signal can be received.

즉, 무선랜 AP(100)에서 단말로 웨이크업 서비스할 수 있는 영역이 축소될 경우 비콘 신호의 전력을 축소하여 무선랜 AP(100)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area capable of wake-up service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to the terminal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power of the beacon signal and efficiently using the wireless resources of the wireless LAN AP 100.

도 5는 도 1의 무선랜 AP(100)가 빔포밍을 사용하여 일부 지역에 위치한 단말만 웨이크업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도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LAN AP 100 of FIG. 1 transmits a beacon signal that can wake up only a terminal located in some region using beamforming.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제 2 단말(220)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wireless LAN AP 100 i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And only the second terminal 220 of the third terminal 230 may perform beamforming so that a wake-up signal can be received.

즉, 무선랜 AP(100) 주변의 단말이 전체적으로 비콘 수신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일부 선택된 지역에만 비콘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무선랜 AP(100)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terminal around the wireless LAN AP 100 does not receive the beacon as a whole,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only a selected region according to time, so there is an advantage of efficiently using wireless resources of the wireless LAN AP 100.

도 6은 도 1의 무선랜 AP(100)가 타 무선랜 AP(300)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구성도이다. FIG. 6 illustrates a first terminal 210 and a secon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100 when the WLAN AP 100 of FIG. 1 receives a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300. 220), and a configuration diagram that does not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third terminal 230.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AP(100)는 무선랜 AP(100)에서 타 무선랜 AP(300)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wireless LAN AP 100 is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when the wake-up frame of another wireless LAN AP 300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The wake-up signal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따라서, 주변 무선랜 AP가 밀집한 경우 비콘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여 무선랜 AP(100)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neighboring WLAN APs are den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beacon signal is stopped to efficiently use radio resources of the WLAN AP 100.

이때,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은 무선랜 AP(100) 및 타 무선랜 AP(300)의 서비스 영역에 동시에 있고 무선랜 AP(100)에서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하며, 무선랜 AP(100)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경우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은 타 무선랜 AP(300)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 가능하므로, 무선랜 AP(100)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are simultaneously in the service areas of the wireless LAN AP 100 and the other wireless LAN AP 300, and the wireless LAN AP 100. It is assumed that the wake-up frame is being received, and when the wake-up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Sinc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wake-up signal from another WLAN AP 300, there is an advantage of efficiently using radio resources of the WLAN AP 100.

여기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이 무선랜 AP(100) 및 타 무선랜 AP(30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는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의 수신 가능 여부를 무선랜 AP(100) 또는 타 무선랜 AP(300)로 전송함으로써 기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Here, whether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are located in the service areas of the wireless LAN AP 100 and the other wireless LAN AP 300 is the first. Whether the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can be received can be pre-stored by transmitting to the wireless LAN AP 100 or another wireless LAN AP 300, and using another method. You can do i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은 무선랜 AP(100)가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100)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7, the wireless LAN wake-up method consists of a step (S100) of the wireless LAN AP (100) provides a wireless LAN service to the terminal.

여기서,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may perform a wake-up function.

또한,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100 i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third terminal 23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Can send a wake-up signal.

여기서,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210) 및 제 2 단말(220)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LAN AP 100 i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third terminal 23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The wake-up signal may be transmitted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re wake-up.

또한,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제 1 단말(210)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100 ha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third terminal 23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individual ID functions in a wake-up frame. Among them, a wake-up signal may be transmitted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210 pre-selected as an individual ID wakes up.

여기서, 무선랜 AP(100)는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무선랜 AP(100)에 근접한 제 1 단말(210)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무선랜 AP(100)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in the wireless LAN AP 100, only the first terminal 210 that is close to the wireless LAN AP 100 among the first terminal 210,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has a wake-up signa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ireless LAN AP 100 may be controlled to be received.

또한, 무선랜 AP(100)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 중 제 2 단말(220)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P 100 is a first terminal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third terminal 230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Only the second terminal 220 may perform beamforming so that a wake-up signal can be received.

여기서, 무선랜 AP(100)는 무선랜 AP(100)에서 타 무선랜 AP(300)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무선랜 AP(100)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 및 제 3 단말(230)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when the wireless LAN AP 100 receives a wakeup frame of another wireless LAN AP 300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the wireless LAN AP 100 can receive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10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ke-up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third terminal 230.

즉, 무선랜 AP(100)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룹 ID, 개별 ID 등을 통해 비콘 신호 수신과 동시에 웨이크업 제어를 할 수 있으며, 비콘 신호의 전력 제어 또는 빔포밍을 통해 무선랜 AP(100)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radio resources of the wireless LAN AP 100, a beacon signal can be received and wake-up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a group ID, an individual ID, etc., and a wireless LAN is performed through power control or beamforming of the beacon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radio resources of the AP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은 웨이크업 효율을 고려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장점이 있으며, 브로드케스팅에 사용되는 비콘 신호에 그룹 ID 및 개별 ID를 사용하거나 빔포밍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웨이크업이 필요한 단말로만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LAN wake-up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in consideration of wake-up efficiency, and group ID and individual ID are assigned to the beacon signal used for broadcast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beacon signal can be transmitted only to a terminal requiring wakeup by using or using a technique such as beamforming.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cludes exampl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Of course, rather than describ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components or method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many additional combinations and substitutions of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ver all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ar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AP;를 포함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Wireless LAN wake-up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LAN AP to provide a wireless LAN service to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s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wake-up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LAN AP transmits a wake-up signal to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Up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LAN AP,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LAN AP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only the terminal becomes a wake-u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상기 제 1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LAN AP wakes up only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the individual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LAN AP based on the individual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Wireles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wake-up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무선랜 AP에 근접한 상기 제 1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랜 AP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LAN AP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LAN A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n receive a wake-up signal.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제 2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LAN AP, so that only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can receive a wake-up signal A wireless LAN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beamform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상기 무선랜 AP에서 타 무선랜 AP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LAN AP receives a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from the WLAN AP, the WLAN AP receives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Wireless LAN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transmit.
무선랜 AP가 단말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Wireless LAN wake-up method comprising a; wireless LAN AP providing a wireless LAN service to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terminal is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wake-up func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LAN AP transmits a wake-up signal to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a broadcasting function in a wake-up frame. Up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그룹 ID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그룹 ID로 미리 선택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LAN AP,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the group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LAN AP based on the group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only the terminal wakes up.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개별 ID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개별 ID로 미리 선택된 상기 제 1 단말만 웨이크업이 되도록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LAN AP wakes up only the first terminal pre-selected as the individual ID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LAN AP based on the individual ID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Wireless w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wake-up sig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무선랜 AP에 근접한 상기 제 1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랜 AP의 비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LAN AP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eacon transmission power of the WLAN AP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WLAN AP amo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n receive a wake-up signal.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웨이크업 프레임 내에 브로드케스팅 기능을 토대로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 중 상기 제 2 단말만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 될 수 있도록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LAN AP, so that only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of the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broadcasting function in the wake-up frame can receive a wake-up signal A wireless LAN w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beamform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AP는, 상기 무선랜 AP에서 타 무선랜 AP의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상기 무선랜 AP의 전파 수신이 가능한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에 대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WLAN AP receives a wake-up frame of another WLAN AP from the WLAN AP, the WLAN AP receives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WLAN AP. Wireless LAN w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transmit.
KR1020180127827A 2018-10-24 2018-10-24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KR202000465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27A KR20200046529A (en) 2018-10-24 2018-10-24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27A KR20200046529A (en) 2018-10-24 2018-10-24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29A true KR20200046529A (en) 2020-05-07

Family

ID=7073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27A KR20200046529A (en) 2018-10-24 2018-10-24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652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286A (en) 2016-09-11 2018-03-21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wireless lan mobility support operation using low power wake up rece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286A (en) 2016-09-11 2018-03-21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wireless lan mobility support operation using low power wake up recei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424B2 (en) Automatic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interval control for better mobile power save performance
CN102474821B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5888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546846B2 (en) Stat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90034443A1 (en) Power saving idle mode algorithm for an access point
US20080031174A1 (en) Relay
US8558670B2 (en)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device,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system,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0754121B (en) RAN zone ID configuration
CN102334373A (en) Direct link establishment for wireless networks
WO2018111305A1 (en) Improved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CA2827136A1 (en) User equipment battery saving in a hetnet deployment with eicic
CN111356230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715993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129858A (en) Systems and methods to discover access points (ap) in wireless networks operating in the 60 ghz band
US20190306759A1 (en) Operating a terminal devic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230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84468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liable service period allocation in 60 GHz MAC
WO2022078390A1 (en) Resource poo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JP451658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65150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9374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46529A (en) WLAN wake-up device and its method
JP6971695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control method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rograms
CN102308639B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during sleep mode in WiMAX networks
JP5997661B2 (en) Repeater device and repeater sleep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