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52A -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52A
KR20200041452A KR1020180121493A KR20180121493A KR20200041452A KR 20200041452 A KR20200041452 A KR 20200041452A KR 1020180121493 A KR1020180121493 A KR 1020180121493A KR 20180121493 A KR20180121493 A KR 20180121493A KR 20200041452 A KR20200041452 A KR 20200041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loor plan
main server
furniture
se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식
Original Assignee
강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식 filed Critical 강민식
Priority to KR102018012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452A/en
Publication of KR2020004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line-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ving line-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which uses a GPS function to continuously check a moving line while a user moves with a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furniture is arranged in an indoor space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guides the user to intentionally move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enable the user to rearrange the furniture in accordance with the checked moving lin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the portable terminal checking and transmitting the moving line of the user; a main serve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floor plan of a desired size and type when the user is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d arrange interior articles such as a sofa, a wardrobe, and the lik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floor plan, and allowing the user to rearrange the furnitur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oving line check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erminal accessing the main server through the Internet to select the floor plan of the desired size and type and arranging the interior articles such as a sofa, a wardrobe, and the like.

Description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실내에 가구를 배치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움직이는 동안에(의식적으로 휴대하고 움직이도록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음 ) GPS 기능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파악된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 wire-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particularly while the user places and moves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user places the furniture indoors,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consciously carry and move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It can be done.) It is related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furniture based on the copper wire, which enables the user to continuously relocate the furni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pper wire by continuously grasping the user's copper wire using the GPS function.

실내 디자인이란 실내를 아름답게 꾸미는 작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자가 편리하고 안락하며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개성적인 아름다운 실내환경을 만드는 종합적인 예술이다. Interior design does not only mean beautifully decorating the interior, but is a comprehensive art that creates a unique and beautiful indoor environment where residents can live conveniently, comfortably and comfortably.

즉,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와 기호를 충족시키고 주거공간으로서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내환경을 창조하는 활동이 실내 디자인이다.In other words, indoor design is an activity that creates an indoor environment that meets the various needs and preferences of residents and can achieve the goal of being a residential space.

특징이나 개성이 돋보이는 곳을 다녀온 사람은 그곳에서 풍긴 실내 분위기의 짙은 냄새를 잊지 않고 언제까지나 기억하기 마련이며 그 느낌들은 그 공간의 주인에 대한 소중한 이미지로 간직된다. " 어떻식으로 꾸며 놓고 살 것인가" 하는 문제는 " 어떻식으로 살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그것은 바로 인생의 방법론이며 인테리어는 그 방법론의 가장 직접적인 증거가 되는 것이다. 자신의 생활을 사랑하는 사람의 극진한 배려와 진한 개성이 빚어낸 좋은 인테리어 공간 즉 인테리어 포인트는 실내공간을 어떠한 분위기로 연출해 내느냐 하는 것이다.Anyone who has visited a place wher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stand out is forgotten forever without forgetting the dark smell of the indoor atmosphere, and the feelings are retained as a precious image of the owner of the space. The question of "how to decorate and live"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 It is the methodology of life and the interior is the most direct evidence of the methodology. A good interior space created by the extreme consideration and deep personality of a person who loves their own life, that is, the interior point, is how to create an indoor space.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내 디자인은 사용자의 요구를 설계를 하는 설계자에게 의뢰하여 실시된 도면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However, in reality, the interior design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drawings carried out by requesting a designer who designs the needs of the user.

상기와 같이 실시된 도면은 사용자의 의도를 완전히 반영될 수는 없고, 단지 그와 유사하게 표현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완전한 만족을 할 수 없게 되어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많을 수 밖에 없다.The drawings implemented as above cannot fully reflect the user's intentions, and are merely expressed similarly. Therefore, the user cannot always be completely satisfied, which is a waste of time and effort.

국내 공개특허번호 10-2002-0007794호Domestic Patent No. 10-2002-00077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실내에 가구를 배치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움직이는 동안에(의식적으로 휴대하고 움직이도록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음 ) GPS 기능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파악된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guided to the user while the user carries and moves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user places furniture in the room (consciously carrying and moving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furniture based on copper wires that can continuously relocate furni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pper wires by continuously grasping the user's copper wire using the GPS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면,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하여 배치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하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배치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that identifies and transmits a user's circulation; When a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desired balance and type, an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loor plan, an interior accessory such as a sofa or a cabinet is selected and placed, and the user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 main server that allows furniture to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vehicle; And a terminal that connects to the main server through the Internet, selects a desired balance and type of floor plan, and places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그 사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or not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서버는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면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출력하여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셀프드로잉을 선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initial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a self-drawing mode when the connected user is a member, so that the user selects self-drawing on the initial scree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평면도가 배열된 평면도 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출력된 평면도 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in which various types of floor plans are arrang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flat type and to select a floor plan desired by the user in the output floor plan selection screen.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가 크게 확대 표시되고 상단에는 상기 평면도에 설치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가 표시된 셀프드로잉 화면을 출력하여, 메뉴바를 클릭해가면서 평면도에 도시된 거실이나 침실 같은 곳에 원하는 가구나 소파를 배치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elf-drawing screen on which a floor plan selected by a user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a menu bar for selecting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farm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plan is displayed on the top, and click the menu bar. As you go, place the furniture or sofa you want in the living room or bedroom shown on the floor pla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서버는 셀프드로잉 화면에서의 인테리어소품 배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배치상태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arrangement state when the arrangement of interior items on the self-drawing scree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 실내의 평면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내의 평면도 상에 좌표계를 설정하는 좌표 설정계; 실내 평면도에 보행을 위한 실내 동선을 생성하는 동선 생성부; 상기 실내 동선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의 관심점을 추출하는 관심점 추출부; 및상기 관심점의 좌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속정 정보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rdinate setting system for receiving a data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where the interior accessory is placed from the main server to set a coordinate system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A copper wir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door copper wires for walking on the indoor floor plan; A point-of-interest extractor for extracting points of interes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door circulation lin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서버는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o relocate furniture close to the copper wire.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A)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면,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하여 배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인 서버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he main serv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balance and type of floor plan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B) when the main server selects a floor plan desired by the user, selecting and placing an interior accessory such as a sofa or a cabinet farm; And (C) the main server includes a step of allowing the furniture to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그 사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면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출력하여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셀프드로잉을 선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step (A)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a member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self-drawing mode if the connected user is a member. Display the screen so that the user selects self-drawing on the initial screen.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평면도가 배열된 평면도 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출력된 평면도 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step (A)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outputs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in which various types of floor plans are arranged in order to allow a user to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balance and a type. Let the user select the desired floor plan.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가 크게 확대 표시되고 상단에는 상기 평면도에 설치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가 표시된 셀프드로잉 화면을 출력하여, 메뉴바를 클릭해가면서 평면도에 도시된 거실이나 침실 같은 곳에 원하는 가구나 소파를 배치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step (B)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is a self-drawing screen in which a floor plan selected by a user is enlarged and a menu bar for selecting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to be installed in the floor plan is displayed at the top. To print, click the menu bar and place the furniture or sofa you want in the living room or bedroom shown on the floor plan.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C) 단계 이후에, (E) 상기 메인서버는 셀프드로잉 화면에서의 인테리어소품 배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배치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C)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 the main serv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storing the arrangement state when the arrangement of interior items on the self-drawing scree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평면도에 좌표계를 설정하는 단계; (C-2)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 및 층간 또는 외부와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3) 휴대 단말기는 상기 평면도에 보행을 위한 실내 동선을 생성하는 단계; (C-4)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내 동선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의 관심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C-5)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심점의 좌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tep (C)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1) setting a coordinate system on a floor plan of a room using a portable terminal; (C-2)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central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pace in the room, and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a doorway for access to and from the floor or the outside; (C-3) a mobile terminal generating indoor traffic lines for walking on the floor plan; (C-4)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a point of interes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indoor traffic line; And (C-5)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sett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6) 상기 메인 서버는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step (C)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C-6) of providing the main server to relocate furniture in close proximity to the copper wir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 가구를 배치한 상태에서 동선을 파악하여 파악된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고와 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duce the labor and effort of the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rearrange the furni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moving line by identifying the moving line while the furniture is placed indoo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평면도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셀프드로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사용자가 인테리어 소품들을 배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7은 도 1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가구 재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동선 지도 생성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based on copper wir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provided by the main server.
3 is a diagram showing a plan view selection screen provided by the main server.
4 is a view showing a self-drawing screen provided by the main server.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arranged the interior accessories.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furniture reloca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oor traffic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based on copper wir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은 단말기(10), 휴대 단말기(20) 및 메인 서버(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pper wire 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 a portable terminal 20, and a main server 30.

도면부호 10 은 일반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이 되는 단말기(10)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20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동선을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20)를 의미하며, 도면부호 30은 인테리어 셀프드로잉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20)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하는 재배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업체에서 설치하는 메인서버(2)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terminal 10, which is a means for ordinary users to access the Internet, and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portable terminal 20 that is carried by ordinary users and creates a copper wire while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interior self. It represents a main server 2 installed by a service company to provide a drawing service and a relocation service to rearrange furnitur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상기 단말기(10)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업체에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메인서버(30)에 접속할 때에는 미리 부여된 고유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In general, the terminal 10 is preferably a personal computer used in a home or business, and when a user connects to the main server 30 using the terminal 10, a unique ID and password previously provided are input.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는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메인 서버(30)로 전송한다.Then, the portable terminal 20 detects the user's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server 30.

한편, 메인서버(30)에는 데이타 저장 수단과 신호 처리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데이타 저장 수단에는 인테리어 셀프 드로잉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평면도 선택화면, 셀프 드로잉 화면 등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 수단은 사용자가 평면도에 인테리어 소품을 가상적으로 배치할 때 인테리어 소품의 회전 및 삭제, 이동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파악된 동선에 따른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data storage means and signal processing means are installed in the main server 30, and data such as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and a self-drawing screen provided to the user for interior self-drawing service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he processing means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rotation, deletion, and movement of the interior props when the user virtually places the interior props on the floor plan, and rearranges furnitu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movement line.

이때, 메인서버(30)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접속하였을때 그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ID와 비밀번호로서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회원이면 접속된 사용자가 이후 인테리어 셀프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화면을 출력하고,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평면도 선택화면, 셀프드로잉 화면 등을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main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a member with the unique ID and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accesses using the terminal 10. If the result is a member, the connected user subsequently performs interior self-drawing. The initial screen to be performed is output, and then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a self-drawing screen, and the like are output to the user's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그리고, 메인서버(3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30 allows furniture to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

이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by the hardware configur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메인서버(30)에 접속하여 고유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메인서버(30)는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ID와 비밀번호로서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First, when a user accesses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Internet using the terminal 10 and inputs a unique ID and password, the main server 30 is a member who accesses as a unique ID and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Judge whether or not.

상기 판단결과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라고 판단되면, 메인서버(30)는 도 2 와같이 셀프드로잉 모드, 인테리어상담 모드, 홈쇼핑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출력하며, 만약 상기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서버(30)는 사용자에게 회원으로 가입할 것을 요구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ed user is a member, the main server 30 outputs an initial screen capable of selecting a self-drawing mode, an interior counseling mode, a home shopping mode, etc., as shown in FIG. 2, to the user's terminal 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ssed user is not a member, the main server 30 requests the user to join as a member.

한편, 도 2 와 같은 초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인테리어소품을 배치해 보기위해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모드를 선택하면, 메인서버(30)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집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평면도 선택화면을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self-drawing mode in order to arrange the interior items while the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2 is output, the main server 30 allows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the type and level of the house. Displays the selection screen.

도 3 은 상기 평면도 선택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평면도 선택화면이 여러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에는 여러가지의 평형(예를들면 20평형, 21평형, 22평형, 24평형, 25평형 등)과 그 평형에 적용되는 유형을 갖는 집구조의 평면도가 표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floor plan selection screen, wherein the floor plan selection screen is divided into several areas, and each area has various equilibriums (for example, 20 pyeong, 21 pyeong, 22 pyeong, 24 pyeong, 25 Equilibrium, etc.) and the floor plan of the house structure with the type applied to the equilibrium are shown.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된 평면도 선택화면에서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balance and type of floor plan from the output floor plan selection screen.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면, 메인서버(30)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에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소품을 배치해볼 수 있도록 하는 셀프드로잉 화면을 출력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floor plan, the main server 30 outputs a self-drawing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place interior item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farm on the floor plan selected by the user.

셀프드로잉 화면은 도 4 와 같이 출력되는데,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 화면의 메인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가 출력되고, 그 상단에는 거실, 침실, 서재, 자녀실, 식당, 주방, 욕실, 현관, 발코니 등에 배치되는 주요 인테리어소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메뉴바를 클릭하여 원하는 소품을 선택하였을 경우 그 소품의 종류를 표시해주는 소품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The self-drawing screen is output as shown in FIG. 4, when looking at the drawing, a floor plan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main area of the screen, and a living room, a bedroom, a study room, a children's room, a dining room, a kitchen, a bathroom, a porch, and a balcony are displayed on the top of the screen. A menu bar is provided to select the main interior items placed on the back,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menu bar to select a desired accessory, an accessory display area is displayed to display the type of the accessory.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화면의 메뉴바에 나열된 장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메뉴바 밑으로 그 장소에 배치 가능한 인테리어소품 종류가 표시되고, 표시된 인테리어소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소품의 종류가 소품표시영역에 표시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aces listed in the menu bar of the self-drawing screen, the type of interior items that can be placed in the place under the menu bar is displayed, and when one of the displayed interior items is selected, the type of the selected accessory is displayed Area.

이때, 사용자가 소품표시영역에 표시된 소품 중 어느 하나를 더블클릭하게 되면, 그 소품이 메인영역의 좌측상단(도 5참조)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소품을 마우스로 찍어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double-clicks one of the props displayed in the prop display area, the prop is displayed on the upper left of the main area (see FIG. 5), and the user can take the prop with the mouse and place it at a desired position. It will be.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는 평면도의 곳곳에 장농, 소파, 침대, 식탁, 양변기, 욕조, 냉장고 등과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배치할 수 있으며, 도 5 는 평면도에 여러가지의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place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cabinet, a sofa, a bed, a dining table, a toilet, a bathtub, and a refrigerator in various places on the floor plan, and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various interior accessories are placed on the floor plan. It is shown.

평면도에 인테리어소품을 배치할 때에는 소품의 배치와 삭제를 연속적으로 반복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여러가지 소품을 배치해보면서 원하는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When placing interior items on the floor plan, the placement and deletion of props can be repeated repeatedly so that the user can realize the desired interior while placing various props.

평면도에의 인테리어소품 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셀프드로잉 화면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어있는 '저장'키이를 클릭하므로서, 자신이 인테리어소품을 배치한 평면도를 저장시킬 수 있게 되고, 저장된 평면도는 후에 다시 불러내어 볼 수 있다.When the arrangement of interior items on the floor plan is completed, the user clicks the 'save' key formed on the upper right of the self-drawing screen, so that the floor plan on which the interior items are placed can be saved, and the saved floor plan can be recalled later. I can se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인테리어소품 배치가 완료된 평면도를 이용하여 전문가와 인테리어상담을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terior consultation can be conducted with a specialist by using a floor plan in which interior accessory arrangemen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즉, 인테리어소품 배치를 완료한 사용자가 초기화면으로 돌아가 인테리어상담모드를 클릭하면 인테리어전문가에게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는 화면(도면상에는 미도시되었음)이 출력되므로서 전문가에게 인테리어상담을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who completes the arrangement of the interior items returns to the initial screen and clicks the interior consultation mode, a screen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sending an email to the interior expert is output, so that the interior consultation can be provided to the expert.

또한, 초기화면에 구비된 홈쇼핑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평면도에 배치한 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홈쇼핑화면이 출력되어 그자리에서 인테리어소품들을 구매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home shopping mode provided on the initial screen is selected, a home shopping screen on which a user can purchase items placed on the floor plan is displayed so that interior items can be purchased on the spot.

한편, 휴대 단말기(20)는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메인 서버(30)로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20 identifies the user's movement line and provides it to the main server 30.

이러한 휴대 단말기(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추출부(110), 동선 설정부(120), 관심점 추출부(130) 및 속성 정보 설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portable terminal 20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ordinate extraction unit 110, a moving line setting unit 120, a poin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130, and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

상기 좌표 추출부(11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 실내의 평면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receives data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in which the interior props are placed from the main server 30.

좌표 추출부(110)는 실내의 평면도 상에 좌표계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좌표계를 이용하여 실내의 각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와, 층간 또는 외부와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sets a coordinate system on a floor plan of the room. Then, using the set coordinate system, th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pace in the room and the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oorway for access between the floor or the outside are extracted.

이때, 좌표 추출부(110)는 사용자가 실내에 가구를 배치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움직이는 동안에(의식적으로 휴대하고 움직이도록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음 ) GPS 기능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실내의 평면도 상의 좌표를 수집하여 좌표를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user has placed the furniture indoors (the software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to consciously carry and move the user can guide the user) GPS function The coordinates are continuously set by collecting coordinates on the floor plan of the user's room.

또한, 좌표 추출부(110)는 사용자가 실내에 가구를 배치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움직이는 동안에(의식적으로 휴대하고 움직이도록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음 ) 실내 여러 장소에 분산되어 있는 RF ID 태그(트랜스폰더)의 ID를 인식하여 좌표를 파악한다.In addition,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user has placed the furniture indoors (moving the software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to consciously carry and move the user can guide the user) indoor multiple Recognize the coordinates by recognizing the ID of the RF ID tag (transponder) distributed in place.

각 분할 공간이란, 실내 평면도 상에 배치된 안방, 작은방, 거실, 부엌, 화장실 등을 기준으로 분할된 독립 공간을 의미한다. Each divided space means an independent space divided based on a master room, a small room, a living room, a kitchen, a bathroom, etc. arranged on an indoor floor plan.

출입구는, 실내 평면도 상에 배치된 외부의 출입을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문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way means a space for external access arranged on the indoor floor plan, and may include a door or the like.

좌표 추출부(110)는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와, 출입구의 입구 좌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추출을 위해, 실내의 평면도를 수신 시, 좌표계를 먼저 설정하게 된다.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divided space and the entrance coordinates of the doorway. For extraction, when receiving the floor plan of the room, the coordinate system is first s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좌표계는, XY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의 각 X 축 및 Y축과, 직교 좌표계의 기준점과, 방위각 측정을 위한 방위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의 좌표 정보에는,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좌표점 정보, 실내 도면에서 파악되는 층 정보 및 방위각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system means setting each X-axis and Y-axi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XY axes, a reference poi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an azimuth system for azimuth measure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coordinate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point information based on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floor information identified in an indoor drawing, and azimuth information.

예를 들어, 실내 평면도를 포함하는 최소한의 직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다. 즉 시설물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위상 북쪽 또는 건물의 모양 상 Y축으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예를 들어 건물이 서북향인 직사각형 일 때 직사각형의 일 변의 방향) 설정된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직교하는 쪽은 자연스럽게 X축으로 설정될 것이다.For example, a minimum rectangular center point including an indoor floor plan may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That is, the center point of the facility is set as a reference point. In addition, if it is necessary to set the Y-axis in the north direction or the shap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rectangle when the building is a northwestern rectangle), the set direction is set as the Y-axis. The orthogonal side of this will naturally be set on the X axis.

방위계는, 기준점에서 자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를 방위각으로 측정되도록 설정될 것이다.The azimuth system will be set to measure an angle measured clockwise from the reference point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north as an azimuth ang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를 위한 중심점은, 기준점의 설정 방식과 유사하게 설정된다. 즉, 각 분할 공간을 포함하는 최소한의 크기의 직사각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직사각형의 중심점의 좌표 정보를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로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oint for th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ivided space is set similarly to the reference point setting method. That is, a rectangle having a minimum size including each divided space is set,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set rectangle is extracted as the centr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ivided space.

출입구의 경우 입구 좌표 정보는 출입구의 중심점의 좌표 정보가 될 것이다.In the case of a doorway, the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will be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doorway.

동선 설정부(120)는, 실내 평면도에 보행을 위한 실내 동선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행동선은, 외부와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등을 포함한 영역을 제외한, 즉 실내 평면도에서 보행자가 각 분할 공간 사이에서 보행할 수 있는 구역에 생성된 동선을 의미한다. The copper wire setting unit 120 generates an indoor copper wire for walking on the indoor floor plan. Such a walking movement line means a movement line created in an area except for an area including a doorway that can enter and exit from the outside, that is, an area where pedestrians can walk between each divided space in an indoor floor pl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행 동선은 분할 공간의 외벽, 즉 실내 평면도 상에서 분할 공간으로 표시된 공간과 기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벽면 및 도면 상의 분할 공간 표시선으로부터 실 거리로 0.1 미터)만큼 이격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moving line is crea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divided space, that is, the space indicated by the divided space on the interior floor plan,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0.1 m from the divided space display line on the wall surface and the drawing to the actual distance). Can b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보행 동선을 생성할 경우, 보행 동선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폐 루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When generating a walking line in the above manner, the walking line will generally form a plurality of closed loops.

보행 동선은, 분할 공간이 건물의 야외 테라스 또는 옥상 공원일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평면도 상에 야외 테라스 또는 옥상 공원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 역시 보행자의 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edestrian circulation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divided space is an outdoor terrace of a building or a rooftop park. This is because an outdoor terrace or a rooftop park may be displayed on the indoor floor plan, and such a space may also allow pedestrians to pass.

보행 동선의 경우, 실내의 평면도에 이미지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실내 도면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데이터화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a pedestrian traffic line, it may be displayed in an image format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or may be stored as data independently of the room drawing data.

관심점 추출부(130)는, 실내 동선을 따라서 기설정된 간격의 관심점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관심점 추출부(130)는, 좌표 추출부(110) 및 동선 설정부(120)로부터 실내 평면도 또는 동선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The poin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a point of interes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indoor circulation line. Therefore, the point-of-interest extracting unit 130 receives data regarding the indoor floor plan or the moving line from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and the moving line setting unit 120.

관심점 추출부(130)는 예를 들어 보행 동선의 경우 보행 동선이 형성하고 있는 각 폐루프를 따라서 기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1미터)마다 관심점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관심점 추출부(130)는 각 관심점마다 고유 번호 등의 식별 번호를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The poin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130 may extract points of interes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1 meter) along each closed loop formed by the walking line,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poin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130 may be assigned an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a unique number for each point of interest.

관심점을 추출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할 속성 정보를 설정할 때, 연속적으로 동선을 따라서 일일이 속성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즉, 유한의 개수로 정해지는 관심점에 대한 속성 정보만을 설정 및 갱신하여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다.By extracting the points of interest, when set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be described below,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set the attribute information individually along a continuous line. In other words, since only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point of interest determined by the finite number needs to be set and updated,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will be possible.

속성 정보 설정부(140)는, 관심점의 좌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 point of interest.

각 관심점의 좌표 정보는, 좌표 추출부(110)에서 설정한 좌표계 및 좌표 정보 형식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point of interest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oordinate system and coordinate information format set by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110.

또한, 도면상의 수치 및 축척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좌표 정보가 설정될 것이다.In addition, accurate coordinate information will be set using numerical values and scale information on the drawings.

속성 정보 설정부(140)는 각 관심점의 좌표 정보를 설정하게 되면, 각 관심점들의 좌표 정보와, 좌표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분할 공간의 좌표 정보 및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심점들의 좌표 정보와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 사이의 거리 또는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게 된다.When set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point of interest,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compar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point of interest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ivided space extracted from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110 and the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oorway. do.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points of interest and the centr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ivided spac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oorway is calculated.

이후, 관심점마다 인접한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에 대해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각 관심점마다, 상기에서 연산된 거리가 가장 가까운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관심점과 인접한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는 1 대 1의 대응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그러나, 이 외에도 일대다 대응, 다대일 대응 또는 다대다 대응 역시 가능할 것이다.Subsequently, the adjacent divided spaces or entrances are determined for each point of interest. For example, for each point of interest, it is to determine the partition space or doorway in which the distance calculated above is closest. In this case, it will be common for the partition space or the entrance adjacent to the point of interest to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However, in addition to this, a one-to-many response, a many-to-one response, or a many-to-many response may also be possible.

이후, 속성 정보 설정부(140)는, 관심점에 인접한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에 관한 정보를 관심점의 속성 정보로서 입력하게 된다. 즉 관심점의 속성 정보는, 관심점에 인접한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의 속성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inputs information about the divided space or the entrance adjacent to the point of interest a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That i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is inputted with attribute information of a partition space or a doorway adjacent to the point of interest.

속성 정보 설정부(140)에 따라서 각 관심점에는 인접되는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면서 실내 동선 지도가 완성된다. 즉, 실내 동선 지도에는, 보행자가 동선을 포함하면서 걸을 때 관심점을 지나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10)의 화면을 통해, 좌표 정보가 해석된 결과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심점에 수록된 속성 정보에 따라서,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information on adjacent divided spaces or entrances is stored at each point of interest, and the indoor circulation map is completed. That is, in the indoor traffic map, a pedestrian may pass the point of interest when walking while including the traffic movement. At this time, the user can check his / he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ordinate information being interpreted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ving line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int of interest.

한편, 메인 서버(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선을 파악하여 동선이 창문쪽 오른쪽 소파에 자주 않는 경우에 램프(1)를 창문쪽으로 재배치하도록 하여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들이 재배치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server 30 recognizes the copper wires as shown in FIG. 8 so that when the copper wires are not frequently on the right sofa side of the window, the lamp 1 is rearranged toward the window so that furniture is relocated close to the copper wir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동선 지도 생성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oor traffic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동선 지도 생성 방법은, 먼저, 좌표 추출부(110)가 실내 평면도를 메인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실내 평면도의 좌표계를 설정하는 단계(S1)가 수행된다. 이후, 좌표 추출부(110)는 실내의 각 분할 공간(구역)의 중심점 및 출입구의 중심점을 추출하여,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 및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9, in the method for generating an indoor traffic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110 receives the indoor floor plan from the main server 200 and sets a coordinate system of the indoor floor plan ( S1) is performed. Thereafter,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110 extracts the center point of each partition space (zone) in the room and the center point of the doorway, and performs a step (S2) of extracting th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artition space and the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oorway.

이후 동선 설정부(120)는 실내 동선을 생성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S3 단계는, 분할 공간 사이의 공간에 분양 공간의 경계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생성되는 보행 동선을 생성하고 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Thereafter, the copper wire setting unit 120 performs a step (S3) of generating indoor copper wires. Step S3 refers to a step of generating and connecting a walking motion line generated by being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boundary of a pre-sale space in a space between divided spaces.

이후 관심점 추출부(130)는, 보행 동선을 따라서 기설정된 간격마다 관심점을 추출하게 된다(S4). 그리고 속성 정보 설정부(140)는, 각 관심점마다 관심점에 인접한 분할 공간 또는 출입구의 속성 정보를 입력하여, 실내 동선 지도의 생성을 완성하게 된다.Thereafter, the point-of-interest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points of interes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alking line (S4). In addi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unit 140 inputs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vided space or a doorway adjacent to the point of interest for each point of interest, thereby completing the creation of an indoor traffic map.

한편, 메인 서버(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선을 파악하여 동선이 창문쪽 오른쪽 소파에 자주 않는 경우에 램프(1)를 창문쪽으로 재배치하도록 하여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들이 재배치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server 30 recognizes the copper wires as shown in FIG. 8 so that when the copper wires are not frequently on the right sofa side of the window, the lamp 1 is rearranged toward the window so that furniture is relocated close to the copper wir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단말기 20 : 휴대 단말기
30 : 메인 서버
10: terminal 20: mobile terminal
30: main server

Claims (15)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면,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하여 배치하도록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하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배치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A mobile terminal that identifies and transmits a user's movement line;
When a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desired balance and type, an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loor plan, an interior accessory such as a sofa or a cabinet is selected and placed, and the user identifi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 main server that allows furniture to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vehicle; And
A copper wire-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that connects to the main server through the Internet to select a desired balance and type of floor plan, and to place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그 사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erver is a copper wire-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the us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ember.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면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출력하여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셀프드로잉을 선택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server is a copper-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that outputs an initial screen for a user to select a self-drawing mode when the connected user is a member, so that the user selects a self-drawing on the initial screen.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평면도가 배열된 평면도 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출력된 평면도 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main server outputs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in which various types of floor plans are arranged in order to allow a user to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desired balance and type. .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가 크게 확대 표시되고 상단에는 상기 평면도에 설치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가 표시된 셀프드로잉 화면을 출력하여, 메뉴바를 클릭해가면서 평면도에 도시된 거실이나 침실 같은 곳에 원하는 가구나 소파를 배치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main server displays a self-drawing screen displaying a menu bar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n interior accessory such as a sofa or a cabinet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top view is displayed on the floor while clicking the menu bar. A copper-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that allows you to place the furniture or sofa you want in a living room or bedroom.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셀프드로잉 화면에서의 인테리어소품 배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배치상태를 저장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ain server is a copper-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that stores the arrangement state when the arrangement of interior items on the self-drawing screen is completed.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인테리어 소품이 배치된 실내의 평면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내의 평면도 상에 좌표계를 설정하는 좌표 설정계;
실내 평면도에 보행을 위한 실내 동선을 생성하는 동선 생성부;
상기 실내 동선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의 관심점을 추출하는 관심점 추출부; 및
상기 관심점의 좌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속정 정보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 coordinate setting system that receives data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where the interior props are placed from the main server and sets a coordinate system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A copper wir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door copper wires for walking on the indoor floor plan;
A point-of-interest extractor for extracting points of interes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door circulation line; And
And a fast track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제공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main server is a copper-based furniture arrangement system that provides to relocate furniture close to the copper wire.
(A)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면,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하여 배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인 서버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가구를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A) the main serv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balance and type of floor plan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B) when the main server selects a floor plan desired by the user, selecting and placing an interior accessory such as a sofa or a cabinet farm; And
(C) The main server is a copper wire-based furniture arran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llowing the rearrangement of furnitur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dentifi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하면 그 사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이면 사용자가 셀프드로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출력하여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셀프드로잉을 선택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In step (A), the main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a member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and outputs an initial screen for the user to select a self-drawing mode when the connected user is a member. A method of placing furniture based on copper wire that allows the user to choose self-drawing.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평형과 유형의 평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평면도가 배열된 평면도 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출력된 평면도 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평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n step (A), the main server outputs a floor plan selection screen in which various types of floor plans are arrang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floor plan of a flat type and to select a floor plan desired by the user in the output floor plan selection screen. How to arrange furniture based on copper wire.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메인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평면도가 크게 확대 표시되고 상단에는 상기 평면도에 설치될 소파나 장농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가 표시된 셀프드로잉 화면을 출력하여, 메뉴바를 클릭해가면서 평면도에 도시된 거실이나 침실 같은 곳에 원하는 가구나 소파를 배치하도록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In step (B), the main server displays a self-drawing screen on which a floor plan selected by the user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a menu bar for selecting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a sofa or a cabinet farm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plan is displayed on the top, and click the menu bar. A method of arranging copper-based furniture that allows you to place the furniture or sofa you want in the living room or bedroom shown in the floor plan as you go.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E) 상기 메인서버는 셀프드로잉 화면에서의 인테리어소품 배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배치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fter the step (C), the main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interior items on the self-drawing screen when the arrangement of interior items is completed.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평면도에 좌표계를 설정하는 단계;
(C-2)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내의 각 분할 공간의 중심 좌표 정보, 및 층간 또는 외부와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의 입구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3) 휴대 단말기는 상기 평면도에 보행을 위한 실내 동선을 생성하는 단계;
(C-4)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실내 동선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의 관심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C-5)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관심점의 좌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Step (C) is
(C-1) using a portable terminal, setting a coordinate system on the floor plan of the room;
(C-2)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pace in the room, and entrance coordinate information of a doorway for access to and from the floor or the outside;
(C-3) a mobile terminal generating indoor traffic lines for walking on the floor plan;
(C-4) the mobile terminal extracting a point of interes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indoor traffic line; And
(C-5) A mobile terminal-based furniture arrangement method comprising sett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int of interest.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6) 상기 메인 서버는 동선에 근접하게 가구를 재배치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선 기반 가구 배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Step (C) is
(C-6) The main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furniture to be relocated close to the copper wire.
KR1020180121493A 2018-10-12 2018-10-12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KR202000414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93A KR20200041452A (en) 2018-10-12 2018-10-12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93A KR20200041452A (en) 2018-10-12 2018-10-12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52A true KR20200041452A (en) 2020-04-22

Family

ID=7047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493A KR20200041452A (en) 2018-10-12 2018-10-12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45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852B1 (en) * 2021-06-17 2021-12-01 주식회사 플레져그룹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and exterior based on life pattern
KR20220011034A (en)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Method for recommending additional furniture through existing furniture
KR20220011035A (en)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Method for recommending change position of existing furni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4A (en) 2000-07-19 2002-01-29 최재관 Interior self-draw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4A (en) 2000-07-19 2002-01-29 최재관 Interior self-draw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034A (en)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Method for recommending additional furniture through existing furniture
KR20220011035A (en)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Method for recommending change position of existing furniture
KR102332852B1 (en) * 2021-06-17 2021-12-01 주식회사 플레져그룹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and exterior based on life pattern
KR20220169352A (en) * 2021-06-17 2022-12-27 주식회사 플레져그룹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ior and exterior based on user's privacy in commercial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1452A (en) Moving-based furniture layout system and method
US9398413B1 (en) Mapping electronic devices within an area
US20050044011A1 (en) Graphical merchandise locator
US115081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3D home model for visualizing proposed changes to home
CN107272477A (en) Method, equipment and the program product that utensil is set are controlled based on customer location
WO2013077765A1 (en) Information search device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KR102310940B1 (en) Interior simulation model providing system
CN1064163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geofences
US11232494B2 (en)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KR201700145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residential location
KR102447356B1 (en) Appartus and method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in interior platform system
KR20210090104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ustomized camping site using camper reservation information
JP6395092B2 (en) Light environment design support device, light environment design support system, program
KR200900228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inner structure
US113926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of local spatial information
WO2015019267A1 (en) System for modeling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6844698B (en) Digital cloud service platform
CN115423939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intelligently matching home decoration and storage medium
JP202306777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162553A (en) Building structure data retrieval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KR20220010941A (en) Bigdata-based residential model recommendation system for users and a method for recommending a residential model using the same
JP2021189657A (en) Housing plan proposal system, and housing plan proposal method
KR1009950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ewing service using inner space information
US20220398549A1 (en) Assistance device and assistanc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