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40A -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40A
KR20200030840A KR1020180109590A KR20180109590A KR20200030840A KR 20200030840 A KR20200030840 A KR 20200030840A KR 1020180109590 A KR1020180109590 A KR 1020180109590A KR 20180109590 A KR20180109590 A KR 20180109590A KR 20200030840 A KR20200030840 A KR 2020003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signal
information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옥승민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삼원에프에이 (주)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840A/en
Publication of KR2020003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n emergency call device of a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che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n emergency call device of a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cheme includes: a camera unit which receiv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to transfer the same to an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analysis unit which edits received and analyz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if the analyzed information satisfies the predetermined range and accordingly, transmits a specified signal to a normal situation control unit; a normal situation control unit which automatically monitors and classifies a normal situation; an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nd controls a signal for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ignal for an emergency situation is received from an interface unit; an interface unit which is included in an emergency call box of a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cheme; a database unit which includes an emergency call device of a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cheme including an emergency call and an emergency call devic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and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ignal unit which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and a voice signal from a manager terminal and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to one or more of the normal situation control unit or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n emergency signal more efficiently even if nobody is in a control room.

Description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방식을 적용한 다중 수신을 지원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성을 높여 응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하여 위험상황 기타 긴급상화에 보다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는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 multi-transmission and emergency call device. In more detail, it supports multiple reception by applying the standard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thod, and incr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nitoring system to enable a quick and smooth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about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that enables quicker and more appropriate response to other emergency situations.

범죄나 사고, 기타 위험 상황 등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효율적인 초기 대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다수인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은 그 관리주체가 위와 같은 응급 상황을 예방하고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crime, accident, or other dangerous situation, effective initial response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the public facilities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revent the emergency and effectively and promptly respond to the above emergency.

따라서 공중이 이용하는 공원, 아파트, 지하철 등의 시설에서는 위와 같은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일 필요하다. 위와 같은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통하여 영상 정보를 받고, 비상호출 장치를 달아 발생한 범죄나 사고를 관리자에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Therefore, in public parks, apartments, subways, and other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 that can quickly recognize and deal with the above risks. In general, most of the above emergency response systems receive video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and can report a crime or accident caused by an emergency call device to a manager.

특히 관리자에게 단방향으로 송수신 되는 종래의 비상호출 장치는 관리자가 통제실에서 부재중인 경우에는 발생한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제실에 관리자가 24시간 쉬는 시간 없이 모니터링을 진행한다는 것 역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응급상황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접수된 응급상황 신호를 다방향으로 송출시켜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emergency call device tha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one direction to the manager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ager cannot quickly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emergent emergency when the manager is absent from the control room. In addition, to prevent this, it is also impossible to realistically monitor the control room without a 24-hour brea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automatically and transmit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in multiple directions to enable quicker response.

따라서, 표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방식 적용하여 단일 수신이 아닌 다중수신 방식으로 비상신고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CCTV로 촬영된 정보와 신고된 비상호출 위치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관제실 외 순찰 중인 근무자의 휴대전화 등의 이기종(異機種)의 유무선 통화장치와 상호 연동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통합적인고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응급상황에 보다 적절한 대응이 훨씬 신속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by applying the standar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thod, emergency reporting can be transmitted in a multi-reception mode rather than a single reception, and the information captured by CCTV and the information of the reported emergency call location are integrated and monitored, etc.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ystem by allowing interworking with patrol workers' mobile phones and other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o that a more appropriate response to emergencies can be applied much more quickly.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지속적으로 위험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방향의 송수신 시스템을 통하여 응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를 이용하는 경우 통제실에 관리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효과적인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고, 응급상황이 종료된 경우와 응급상황이 진행 중임에도 응급상황 신고가 누락된 경우를 구분하여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can continuously monitor the dangerous situation, while providing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n emergency call device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s to enable quick and effective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a multi-directio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Developed.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system, it is possi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an emergency even when the administrator is not in the control room. Even when the emergency is over and the emergency is in progress The cases in which the report was missed were classified to enable effective coping.

KR 20-0446426 Y1KR 20-0446426 Y1 KR 10-0518172 B1KR 10-0518172 B1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콜 신호를 단일 수신이 아니라 다중 수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관제실이 부재 중인 경우에도 긴급신호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n emergency call device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s so that an emergency call signal can be more effectively coped with an emergency signal even when a control room is absent by receiving it in a multiple reception manner rather than a single reception. It is for.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동기종 뿐만 아니라 이기종의 유무선 통화장치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응급상황에 발생한 지점에 가장 가까운 근무자가 보다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 is to interwork with not only the synchronous type but also the heterogene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worker closest to the point in the emergency situation can respond more quickly.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CCTV 등 모니터링 장치 등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와 함께 상기 비상콜 장치를 통하여 접수된 신고 및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서 근무자에게 보다 구체적인 응급상황을 알림으로서 응급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 integrates the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call device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such as CCTV, and provides a more specific emergency situation to workers. To be able to preemptively take appropriate measures for emergencies.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는 가로등 및 사이렌 장치 등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응급상황에 바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게 한다.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is interlocked with a street light and a siren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within a certain range wireless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영상 및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 분석된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수신된 정보 및 분석된 정보를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따라 편집하고 이에 따라 정해진 신호를 일반상황 제어부로 발신하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 일반 상황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분류하는 일반상황 제어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응급상황에 관한 신호가 접수되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긴급상황 제어부;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박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비상콜 및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포함하고, 영상 정보, 소리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긴급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상황 제어부 또는 긴급상황 제어부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는 비상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 multi-transmission and emergency cal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that receiv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n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analysis unit that edit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nalyzed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range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signal to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monitors and classifies the general situation; An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sig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An interface unit included in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box; A database unit including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apparatus including an emergency call and an emergency call apparatus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and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video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an emergency signal unit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nd a voice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one or more of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or the emergency control unit.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이미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 및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일반상황 제어부 및 긴급상황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image analysis unit analyz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to classify an emergency situation, and classifi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into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nd an emergency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situation control unit.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반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manager terminal. Is to send.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관리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s wired o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제방법은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An emergenc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ed emergency call device.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영상 및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 분석된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수신된 정보 및 분석된 정보를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따라 편집하고 이에 따라 정해진 신호를 일반상황 제어부로 발신하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 일반 상황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분류하는 일반상황 제어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응급상황에 관한 신호가 접수되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긴급상황 제어부;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박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비상콜 및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포함하고, 영상 정보, 소리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긴급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상황 제어부 또는 긴급상황 제어부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는 비상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 multi-transmission and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that receiv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n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analysis unit that edit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nalyzed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range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signal to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monitors and classifies the general situation; An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sig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An interface unit included in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box; A database unit including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apparatus including an emergency call and an emergency call apparatus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and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video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an emergency signal unit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nd a voice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one or more of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or the emergency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는 일반상황 제어부; 긴급상황 제어부; 인터페이스부;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긴급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비상신호부 및 상기 비상신호부로부터 긴급상황이 수신되면 상기 긴급상황 신호 및 음성신호를 일반상황 제어부 및 긴급상황 제어부로 전송하는 긴급상황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관리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apparatus includes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Emergency control unit; Interface uni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in real time; An emergency signal unit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an emergency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the general control unit and the emergency control unit when an emergency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signal unit, the general situa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transmits the image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determines it in advance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of the manager according to the scope.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다중 수신 방식은 단일 단말기 대 단일 단말기의 단방향 송수신을 넘어 단일 단말기 대 복수의 단말기 또는 복수의 단말기 대 복수의 단말기로 정보가 송수신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multi-receptio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ingle terminal to a plurality of terminals or a plurality of terminal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eyond un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ngle terminal to a single terminal.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상콜 장치는 단순히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를 넘어 그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과 무관하게 화재, 재난, 범죄, 기타 사고위험 등의 응급한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일정한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관리자와 대화가 가능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emergency call devic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ertain signal when an emergency occurs, such as fire, disaster, crime, or other accident risk, regardless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ignal beyond the device that simply transmits the danger signal or a manager It is defined as including all forms that can communicate with and possible signals.

상기 카메라부는 특정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camera unit includes means for capturing and storing a specific image or video, and is defined as including all forms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미지는 그 사전적 의미의 이미지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정지된 사진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적인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며, 음성, 음향 등의 소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imag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mage of the dictionary meaning and includes a still picture image as well as a dynamic video image, and is defined to include sound data such as voice and sound.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긴급신호는 특정한 위험신호가 미리 정해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말하며, 음성신호는 신고자 및 관리자 간에 일정한 대화가 제공될 수 있는 수단으로 제공되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emergency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specific danger signal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 voice signal is defined to include a signal provided as a means through which a certain conversation can be provided between the reporter and the manager.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이미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 및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일반상황 제어부 및 긴급상황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apparatus, the image analysis unit analyz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to classify an emergency situation, and manag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through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nd an emergency control unit.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신호부는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방식으로 이미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emergency signal unit may transmit a signal to a plurality of manager termin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in a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thod.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 있어서, LED 모듈, 스피커 및 엠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a speaker, and an amplifier.

상기 LED 모듈은 미리 정해놓은 조건 또는 신호에 따라 발광부가 발광하거나 정해진 패턴에 따라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LED module is configured to cause the light emitting unit to emit light or ligh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or signal.

상기 표준 SIP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말하며 이는 IETF에서 정의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음성과 화상 통화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전화, 인터넷 콘퍼런스, 인스턴트 메신저 등)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의미한다.The standard SIP refers to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which is a signaling protocol defined by the IETF and is widely used to control multimedia sess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s, and is an intelligent terminal (telephone, internet conference) that wants to communicate on the Internet. , Instant messenger, etc.) refers to the signaling protocol of the application layer that specifies procedures for identifying each other, finding their locations, and creating, deleting, or modifying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m.

상기 SIP를 통하여 다방향 송수신 및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고 관리자가 통재실에 부재한 경우에도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및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e SIP, mult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ultimedia sess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nd even when an administrator is not present in the control room,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nd response to a dangerous situation can be achieved.

상기 스피커 및 엠프는 미리 정해놓은 조건 또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음향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speaker and the amplifier are to emit a constant sound signal or voic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or signal.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 있어서, LED 모듈, 스피커 및 엠프는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긴급상황 제어부로부터 일정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 the LED module, the speaker, and the amplifier may operate by receiving a certain signal from the emergency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call device of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emergency call device of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이미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 및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일반상황 제어부 및 긴급상황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image analysis unit analyz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to classify an emergency situation, and classifies the classified information into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nd an emergency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situation control unit.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반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manager terminal. Is to send.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관리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the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s wired or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제방법은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An emergenc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ed emergency cal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비상콜 신호를 단일 수신이 아니라 다중 수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관제실이 부재 중인 경우에도 긴급신호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be received in multiple reception methods instead of a single reception so that the emergency signal can be more effectively dealt with even when the control room is absent.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동기종 뿐만 아니라 이기종의 유무선 통화장치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응급상황에 발생한 지점에 가장 가까운 근무자가 보다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type emergency call device is interlocked with not only the synchronous type but also the heterogene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worker closest to the point in the emergency situation can respond more quickly.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은 CCTV 등 모니터링 장치 등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와 함께 상기 비상콜 장치를 통하여 접수된 신고 및 음성 신호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서 근무자에게 보다 구체적인 응급상황을 알림으로서 응급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the multiplex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 integrates the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call device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such as CCTV, and provides a more specific emergency situation to workers. To be able to preemptively take appropriate measures for emergencies.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는 가로등 및 사이렌 장치등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응급상황에 바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게 한다.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device is interlocked with a street light and a siren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within a certain range wireless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의 구성도에 관한 것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device of a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공중시설에 설치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는 평시에 상기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에 포함된 카메라부(300)를 통하여 설정된 범위에서 주변환경을 촬영하면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음향정보가 포함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400)에서 분석된 음향 및 영상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 내이면, 별도의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데이터 베이스(800)에 저장한다.The emergency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1000 of a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installed in a public facility is photographed at regular time intervals while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range set through the camera unit 300 included in the emergency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1000 of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The captured image image including sou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mage analysis unit 400. If the audio and video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4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800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signal.

한편, 상기 이미지 분석부(400)에서 분석결과 전송받은 음향 및 영상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 내로 들어보면 일반상황 제어부(101)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에 전달한다. 또한 일정한 조건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일반상황 제어부를 통하여 비상신호부(500)에 신호를 전달하며 LED 모듈(601)이 점등되거나 스피커602) 또는 엠프(603)이 일정한 소리 신호를 발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udio and video information rece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image analysis unit 4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700 through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101.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ndition range is satisfi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ignal unit 500 through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nd the LED module 601 is turned on or the speaker 602 or the amplifier 603 emits a constant sound signal.

한편, 응급상황이 발생한 단계로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하여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긴급상황 제어부(200)를 통하여 해당 위험신호에 관한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달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수신신호를 받아 상기 인터페이스에 설치된 통화 장비를 통하여 위험신로를 신고한 자와 관리자의 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긴급상황 관리부(200)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하여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위험신호가 수신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 및 미리 설정해 놓은 범위의 그 주변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부(300)로부터 영상정보를 이미지 분석부(4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as a stage in which an emergency occurs, when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2 included in the emergency call device 1000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It is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700. A call or video call of a manager and a person who reports a danger route may be connected through a call equipment installed on the interface by receiving a received sig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700. On the other hand, when a danger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management unit 200 and the interface unit 102, the emergency call device 1000 of the multiplex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in which the danger signal is received and the emergency of the multiplexing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the vicinity of a preset range The video information from the camera unit 300 included in the cal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700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400.

상기 이미지 분석부(400)는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따라 위험상황을 분석하여 분석된 위험상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 및 미리 정행 놓은 범위에 따라 편집된 영상정보를 긴급상황 제어부(102)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The image analysis unit 400 analyzes the risk situ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edite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range through the emergency control unit 102 It transmits to the manager terminal 700.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200)는 관리자 단말기(700)로 수신받은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외에 미리 정해놓은 범위의 순위에 따라 관리자의 휴대전화 및 순찰 중인 관리자의 휴대전화(701)를 포함하는 관리자의 개인 유무선전화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danger signal received by the manager terminal 700, in addition to the manager's mobile phone and the manager's mobile phone 701 of the manager being patrol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of rankings.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wired or wireless telephone.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200)는 이미지 분석부(400)를 통하여 전송된 위험신호가 임의로 정해놓은 범위 내로 들어오는 경우 해당 이미지 각 상황별로 정해 놓은 제어모듈에 따라 LED 모듈(601)이나 스피커(602) 또는 엠프(603)에 특정한 작동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LED 모듈(601)이나 스피커(602) 또는 엠프(603)이 일정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danger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400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n LED module 601 or a speaker 602 or a control module determined for each situation in the corresponding image. A specific ope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amplifier 603 so that the LED module 601 or the speaker 602 or the amplifier 603 performs a certain operation.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는 1 이상의 카메라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300)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The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device 1000 includes one or more camera units 300, and the camera unit 300 may be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device 1000 built-in or externally coupled.

위험신호가 수신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 및 그 주변부에 설치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 즉, 영상 신호는 비디오 라인을 통해 메트릭스 스위처에 입력된다. 물론 긴급상황 제어부(200)에서 메트릭스 스위처로 제공된 제어신호(즉, 카메라 제어 데이터)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카메라부(10-1 내지 10-n)에 제공된다.A video image taken from one or more camera units connected to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device 1000 receiving a dangerous signal and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device 1000 installed in its periphery, that is, a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video line. It is input to the matrix switcher. Of course, the control signal (ie, camera control data) provided from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to the matrix switcher is provided to the camera units 10-1 to 10-n through a data line.

여기서, 컴퓨터 비디오 메트릭스 스위처는 제어 신호중의 하나인 비디오 절환명령을 수신하여 비디오 입력과 비디오 출력을 연결한다. 또한, 긴급상황 제어부(200)로부터 RS485 데이터 라인을 통해 카메라 제어 데이터(즉,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RS485 데이터 라인을 통해 카메라 제어 데이터를 CCD 카메라(10-1 내지 10-n)로 전송한다.Here, the computer video matrix switcher receives a video switching command, which is one of the control signals, and connects the video input and video output. In addition, the camera control data (that is,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RS485 data line and the camera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o the CCD cameras 10-1 to 10-n through the RS485 data line.

그리고, 메트릭스 스위처는 상기 비디오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통해 긴급상황 제어부(200)에 접속된다.Then, the matrix switcher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video line and the data line.

이를 통해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를 긴급상황 제어부(200)에 제공하고,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200)는 통신 네트워크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700)에 접속된다.Through this,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unit is provided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and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7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긴급상황 제어부(200)와 관리자 단말기(700)에는 메트릭스 스위처를 제어함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감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700 are equipp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 matrix switcher to allow a user to perform a monitoring function.

긴급상황 제어부(200)와 관리자 단말기(7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의 모니터상에서 GUI 화면을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보면서 화면상의 메뉴버튼 조작에 의해 각 카메라부를 선택하여 모니터하고 각종 카메라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GUI 방식의 프로그램이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간단하게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에서 마우스 등으로 손쉽게 감시 및 카메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using 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selects and monitors each camera unit by operating a menu button on the screen while view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hrough a GUI screen on a monitor of a PC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And can perform various camera control functions. Recently, since GUI-type programs have been generalized,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onitoring and camera control functions with a mouse or the like on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simply.

긴급상황 제어부(200)는 수신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일정한 조건 범위에 따라 변환하고, 해당 위험신호가 수신된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1000)의 위치정보와 함께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700)으로 전송한다.The emergency control unit 200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image data according to a certain condition range, and the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emergency signal device 1000 of the multiplex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1000 through which a corresponding danger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network. (700).

상기 관리자 단말기(700)는 앞서 언급한 GUI방식을 통해 모니터 상에 카메라 아이콘을 도면(즉, 지도) 상에 표시하여, 컴퓨터 비디오 메트릭스 스위처의 영상 절환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 상에 표시한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may display a camera icon on a monitor (ie, a map) on a monitor through the GUI method described above, so that a user can easily select a video switching of a computer video matrix switcher. Also, video data is displayed on the monitor.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부(400)에 포함된 대상 객체 분석모듈에서 대상 객체 및 대상 객체의 움직임을 검 출한다. 상기 대상 객체 검출모듈은 촬영된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대상 객체 및 대상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영상 디코더부 및 검출된 대상 객체의 움직임 등을 추출하는 영상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미지 분석부(400)는, 상기 영상 디코더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로부터 움직임 검출 및 움직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영역에서 Adaboost 방법으로 관심 대상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를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객체의 비전 정보를 추출한다.In addition, the target object and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re detected by the target object analysis module included in the image analysis unit 400 for the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00. The target object detection module includes an image decoder unit for converting the captured image image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detected object object motion, etc. in orde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nd the target object from the captured image image It includes. In more detail, the image analysis unit 400 extracts a motion detection area and a motion area fro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ideo decoder unit, detects an object of interest by an adaboost method in the area, and detects the detected object. The object's vision information is extracted using the Kalman filter.

그리고, 검출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놓은 이미지를 매칭시켜 위험 조건을 분석하거나 특정된 대상의 동산을 파악하여 해당 동선에 따라 카메라부(300)가 특정된 대상을 촬영하여 그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와 촬영된 영상정보를 긴급상황 제어부(102)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 및 관리자 휴대전화(701)를 포함하는 관리자의 유무선 장치를 통하여 전송한다.Then, the detected data is matched with a predetermined image to analyze a dangerous condition or to grasp the motion of a specified object, and the camera unit 300 shoots the specified objec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ovement line, thereby captu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hoot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transmitted vide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evice of the manager including the manager terminal 700 and the manager mobile phone 701 through the emergency control unit 102.

상기 카메라부(300)는 긴급상황 제어부(102)를 통하여 카메라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 데이터는 카메라의 회전, 줌, 카메라 전환 등의 기능을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제어 프로그램(400)에서 설정 및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내부신호회로 제어부는 CPU에 기능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may be controlled by receiving camera control data through the emergency control unit 102. The camera control data is data for functions such as rotation of the camera, zoom, and camera switching, and can be set and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ontrol program 400. In addition, the internal signal circuit controller can be functionally integrated into the CPU.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1: 일반상황 제어부
102: 긴급상황 제어부
200: 인터페이스부
300: 카메라부;
400: 이미지 분석부
500: 비상신호부
601: LED 모듈
602: 스피커
603: 엠프
700: 관리자 단말기
701: 관리자 휴대전화
800: 데이터 베이스
1000: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
2000: 통합관제지원시스템
101: general situation control
102: Emergency control
200: interface
300: camera unit;
400: image analysis unit
500: emergency signal
601: LED module
602: speaker
603: amplifier
700: administrator terminal
701: Manager's cell phone
800: database
1000: emergency call device of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2000: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Claims (5)

영상 및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
분석된 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수신된 정보 및 분석된 정보를 미리 정해 놓은 범위에 따라 편집하고 이에 따라 정해진 신호를 일반상황 제어부로 발신하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
일반 상황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분류하는 일반상황 제어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응급상황에 관한 신호가 접수되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긴급상황 제어부;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박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비상콜 및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포함하고,
영상 정보, 소리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긴급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상황 제어부 또는 긴급상황 제어부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는 비상신호부를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
A camera unit that receives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analysis unit that edit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analyzed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range,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signal to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monitors and classifies the general situation;
An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sig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An interface unit included in a multi-transmission / reception emergency call box;
It includes an emergency call device of a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cluding an emergency call and an emergency call devic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A databas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terminal and
And an emergency signal unit that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and an audio signal from the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one or more of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ler or the emergency controller.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이미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 및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일반상황 제어부 및 긴급상황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analysis unit classifies emergency situations by analyzing image and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ransmits the classified information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and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l situation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receives the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mage analysis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manager terminal.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 신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관리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of the manag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multiple sending / receiving emergency call devices.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송수신 방식의 비상콜 장치를 이용한 통합관제지원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인 응급상황 관제방법.
An emergency control method using a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a multi-transmission and emergency cal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80109590A 2018-09-13 2018-09-13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KR202000308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90A KR20200030840A (en) 2018-09-13 2018-09-13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90A KR20200030840A (en) 2018-09-13 2018-09-13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40A true KR20200030840A (en) 2020-03-23

Family

ID=6999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90A KR20200030840A (en) 2018-09-13 2018-09-13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84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172B1 (en) 2002-09-16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446426Y1 (en) 2009-07-21 2009-10-28 최재익 Emergency b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172B1 (en) 2002-09-16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446426Y1 (en) 2009-07-21 2009-10-28 최재익 Emergency b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46B1 (en) A emergency bell-cctv integrated system with bidirectional call function in emergency bell with single network
US201801318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ol installed on mobile terminal
KR101325040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20050146606A1 (en) Remote video queuing and display system
US20200136846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live sharing and smart monitoring
WO2016008209A1 (en) Tool of mobile terminal and intelligent audio-video integration server
US20120169873A1 (en) Audio/video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laying audio/video
CN113093578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930443B1 (en) A emergency bell-cctv integration system with enhanced event server
US20160044282A1 (en) Desk-side surveillance
KR20090000767A (en) Monitoring system for the spot
JP5779380B2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CN204733292U (en) Nuclear power station remote monitoring, diagnosis, safeguard integral system
KR102106754B1 (en) Intelligent multi-intercom broadcasting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CN207895630U (en) Monitoring system with environment sensing and emergency evacuation command function
KR102017329B1 (en) A intelligent multi-purpose video management control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035312B1 (en) Apparatus of seperating multi-picture and remotel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510766B1 (en) Monitoring dvr system using emergency sign and multi function sensor
JP2012213123A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101852056B1 (en) Location-based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Beacon Integrated Video Image Photographing Device
WO2008066705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indicator
KR101547835B1 (en) 2-way multi emergency signal calling system
KR20200030840A (en) Integrated control support system using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CN208369754U (en) A kind of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with speech identifying function
KR20200030839A (en) Emergency call device with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