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92A -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 Google Patents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92A
KR20200020092A KR1020180095370A KR20180095370A KR20200020092A KR 20200020092 A KR20200020092 A KR 20200020092A KR 1020180095370 A KR1020180095370 A KR 1020180095370A KR 20180095370 A KR20180095370 A KR 20180095370A KR 20200020092 A KR20200020092 A KR 2020002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toothbrush
camera module
head
unit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4805B1 (en
Inventor
민지현
백송이
정다정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80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which comprises: a head unit including a head unit which has a head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vibrate, and a monitoring unit which is placed in the head unit to be detachable; a body unit generating power; and a rotation unit placed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body unit and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body unit to the head unit. In addition, the head unit has a camera seating hole with a hollow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Moreover, the monitoring unit comprises: a camera module placed in the camera seating hole; and a plurality of lighting modules placed with respect to the camera module to radiate light in a photographing direction. Therefore, the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can check and diagnose the state of teeth of a user during brushing the teeth.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칫솔모가 구비된 전동 칫솔 헤드부 일측에 구강내 치아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equipped with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ral dental condition on one side of the electric toothbrush head portion provided with the bristles to check and diagnose the dental condi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It relates to an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충치와 같은 치아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올바른 양치는 구강 위생 효과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식생활 중 반드시 필요한 생활 규칙으로 여겨지고 있다.In general, toothbrushes are u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ntal diseases such as tooth decay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etween teeth, and the correct toothbrushing is expected to be an oral hygiene effect and whitening effect of teeth. .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칫솔질을 하는 수동형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칫솔모가 회전 운동 또는 진동을 수반하여 상하 직진 운동하는 전동형으로 구별된다.Such a toothbrush is classified into a manual type in which a user brushes manually, and an electric type in which the bristles move straight up and down with rotational motion or vib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일반적인 칫솔은 손잡이부와 양치모가 구비된 양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로 물리적 마찰방식에 의해 음식물 섭취 후 치아 및 잇몸 사이에 잔류된 음식물 찌꺼기와 충치의 원인이 되는 플라그 및 치태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A general toothbrush includes a handle and a toothbrush equipped with a toothbrush, and is mainly used to remove plaque and plaque causing food debris and tooth decay between teeth and gums after ingestion by physical friction method. .

그러나, 구강 내에는 약 28종의 20,000여 마리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리적 마찰을 통한 이물질 제거만으로는 구강 내에 생존하는 각종 세균에 대해 대처하기가 어려우므로 보통 칫솔과 치약을 함께 이용하여 양치질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it is known that about 20,000 bacteria or bacteria exist in the oral cavity, an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various bacteria living in the oral cavity simply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physical friction. Brush your teeth.

이와 같은 칫솔을 이용한 대표적인 양치방법으로 칫솔을 좌우로 움직여 닦는 횡마법과 칫솔의 강모단을 치아의 표면에서 회전시키며 닦는 회전법이 있다.Representative brushing methods using such a toothbrush is a side-by-side method of wiping by moving the toothbrush from side to side and a rotating method of wiping by rotating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on the surface of the tooth.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습득하여 사용하는 횡마법은 칫솔을 좌우 옆으로 세게 문지르면서 양치질을 하는 방법인데, 양치질을 이와 같이 하면 치아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바깥쪽을 좌우로 오랫동안 양치질하게 되면 송곳니와 작은 어금니 등 양치질을 수행할 때 힘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의 치아가 닳아 쐐기 모양으로 움푹 파이면서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가 닳아 치아의 상아질 부분 등이 외부로 드러나는 치아경부마모증을 쉽게 유발하게 된다.Most people easily learn and use the side magic method by brushing the toothbrush by scrubbing it from side to side, and brushing teeth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teeth and to the outside. If you brush your teeth for long periods of time, you will wear out teeth, such as fangs and small molar teeth. It is easy to cause.

상기한 과정이 더 진행되면 잇몸이 아래로 주저앉는 치은퇴축을 야기하여 치주질환을 일으키게 되며, 치아경부마모증이나 치은퇴축 증상은 발생 초기에는 별 자극을 느끼지 못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계속 진행되면 외부로 드러난 신경이 자극을 받게 되면서 찬물이나 찬 바람에 시리게 되며, 양치질을 할 때나 음식물을 먹을 때도 그 부위에 자극이 가므로 심한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If the above process is further progressed, the gums slump down and cause gingival disease, which causes periodontal disease. Cervical abrasion or gingival contraction symptoms do not feel irritating at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but when it goes beyond a certain level, As the nerves are stimulated, they are cold or cold, and when they brush their teeth or eat food, they are irritated in the area, causing severe pain.

이러한 횡마법에 비해, 칫솔의 강모단을 회전시키며 닦는 회전법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의 제거가 횡마법보다 용이하고, 칫솔에 힘이 덜 실리게 되어 양치질에 따른 치아의 마모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치아경부 마모증이나 치은 퇴축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Compared to the lateral technique, the toothbrush's bristles rotating and wiping are easi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than the lateral technique, and the toothbrush is less loaded, which reduces the wear of the teeth. This can help prevent cervical abrasions and gingival retraction.

이러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된 수동형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모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치아가 닦여지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닦는데 한계가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깨끗하고 편리하게 닦을 수 있는 전동 칫솔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manual toothbrushes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have a limitation in cleaning the teeth in a short time because the teeth are cleaned as the user moves the bristles up, down, left, and right. The spread of electric toothbrushes that can be cleaned easily is spreading rapidly.

그러나, 종래의 전동 칫솔은 단지 신속하고 편리하게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확인하는 등의 다른 목적에는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toothbrush is only for quick and convenient brushing,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ral condi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location of dental caries or tartar, the location of attachment of food waste, the wound part, etc.).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하는 경우,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대로 제거되었는지 욕실 등에 설치된 벽면 거울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안쪽 치아의 경우 육안으로 보기 어려워 치아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brushing teeth using such a conventional toothbrush, it is checked through the wall mirror installed in the bathroom, etc., whether food debris between teeth is properly removed. In the case of the inner tooth, it is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so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details of the tooth.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determine the exact tooth condition.

특히, 양치시 잇몸이 아프거나 피가 나는 등의 증세가 있을 경우 거울 등을 통해서는 치아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치아 상태를 자기 진단할 수 없으며 또한, 치아의 충치나 치석과 같은 치아 질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치과를 내원해야 하는데, 치과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 방치하게 되어 조기 치료의 시기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f there are symptoms such as gum ache or bleeding during brushing,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details of the teeth through mirrors, so that the correct dental condition cannot be self-diagnosed, and also dental diseases such as dental caries or tartar. In order to confirm the need to visit the dentist, if it is difficult to visit the dentist directly, there is a problem that miss the time of early treatment.

사용자가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치과를 방문하게 되는 경우 고가의 진료비와 검사비가 소모되어 주기적인 진료에 큰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집중적인 관리가 부실하게 되어 심각한 치아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the user visits the dentist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teeth, expensive medical expenses and examination costs are consumed, and a large burden is felt for periodic medical treatment. As a result, intensive care of the teeth becomes poor, which causes problems of serious dental diseases.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고,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전동 칫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check and diagnose the condition of the tooth in real time on the electric toothbrush used in the home, and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preventive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care anytime, anywhere by interworking with communication devices and smartphones Development of an electric toothbrush capable of providing health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s required.

[특허문헌] KR 10-2018-0040060 (공개일자 2018.04.19)[Patent literature] KR 10-2018-0040060 (published date 2018.04.19) [특허문헌] KR 10-1785696 (등록일자 2017.09.29)[Patent Documents] KR 10-1785696 (Registration Date 2017.09.2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된 전동 칫솔 헤드부 일측에 구강내 치아상태를 촬영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수카메라, 상기 방수카메라의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조명부 및 상기 방수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연동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양치시 정상 치아 및 관리가 필요한 치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양치시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removable waterproof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dental state of the oral cavity on one side of the electric toothbrush head having a bristles, LED ligh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in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waterproof camera and the It is equipped with a controller unit that transmits the image taken by the waterproof camera to the linked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normal teeth and teeth that need care when brushing teeth, and can visually recognize the user's brushing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for checking and diagnosing a user's tooth condition in real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하면에 칫솔모가 진동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니터링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부와 동력을 발생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에 전달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유닛은 중심부에 중공형태의 카메라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카메라안착공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ead portion including a head unit provided with a bristles vibrating on the lower surface and a monitoring unit detachably provided to the head unit And a body part generating power and a rota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in the body part to the head part, wherein the head un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llow camera. Grounding is formed, the monitor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camera seat and a plurality of illumination modules for irradiating light in the shooting direction is arranged around the camera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몸체부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drive member and the power supply memb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ember and the drive member for generating power by the body portion power; And a control member connected to the switch member and the head to control driving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제어부재가 스위치부재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trol member is on-off operation through the switch member to control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to the on-off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camera module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상기 모니터링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에 끼움 결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which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edge of the head unit and the other side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edge of the monitoring unit. And a locking groove,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monitoring unit is fitted into the head unit and is de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protec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when the brush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nitoring unit in contact with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waterproof func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조명모듈이 LED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ing module is composed of LED light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의하면, 칫솔질을 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brushing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r's internal state of the mouth (for example, the location of caries or tartar, the position of attachment of food waste, wounds) Parts, etc.)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identified.

또한,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양치 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helps to form the correct brushing habits of the user by detecting the visual performance of the user's brushing performance.

또한,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치의 발생, 치아의 손상(예를 들어, 깨짐, 변색 등) 등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 병원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oral cavity, the occurrence of tooth decay, damage of the teeth (for example, cracking, discoloration, etc.) is effective in enabling the hospital treatment at an appropriate time.

또한,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구강 내부 상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시킴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monitoring function to transmit the image data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oral cav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 devices and smart phones can be provided with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preventive diagnosis, treatment, follow-up care anytime, anywhere Health service is possible.

또한, 모니터링유닛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닝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을 상기 헤드유닛에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monitoring unit to be detachable, if the monitoring function is not required, the monitoring unit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head unit to be stored separately to reduce the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monitoring unit to increase the usage period. It has an effect.

아울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진료비 및 검사비가 소모되는 치과 진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used in the home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easily check and diagnose the condition of the teeth in real tim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expensive dental and examination costs, and thus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 It has a reduc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헤드유닛의 탈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및 사용자 단말기가 연동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1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ond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etached state of the head unit of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ystem in which the electric toothbrush and the user terminal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헤드유닛의 탈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1 is a first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second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head unit of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동 칫솔(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는 일반적인 칫솔의 길이로서 약 15cm 내지 25cm 사이가 될 수 있으며, 칫솔의 사용대상(예를들어, 유아, 성인)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ic toothbrush 1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may be between about 15 cm and 25 cm as a length of a general toothbrush,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toothbrush (for example, an infant or an adult). It can have various lengths.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toothbrush 1 equipped with the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100, a rotating part 200, and a body part 300 as shown in FIGS. 1 to 3.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100)는 하면에 칫솔모(111)가 진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ad part 100 is provided with a bristles 11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100 so as to be vibrat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able part 200 and the body part 300 which can be gripped by a user.

또한,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까지 연장되는 일체형으로서 사출 또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착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d part 100 may be injected or formed as an integral type extending to the rotating part 200 and the body part 300, or the rotating part 200 and the body part 300 may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t may have a possible detachable structure.

이러한, 상기 헤드부(100)는 헤드유닛(110) 및 모니터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art 100 may include a head unit 110 and a monitoring unit 120.

상기 헤드유닛(110)은 하면에 칫솔모(111)가 회전 및 진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재질은 투명 및 반투명인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남녀노소 등 사용자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head unit 1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bristle 111 can be rotated and vibrated, the material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and translu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iz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 such as young and old. .

또한, 상기 헤드유닛(110)은 카메라안착공(112) 및 걸림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seating hole 112 and the locking projection 113.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에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을 함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camera seating hole 112 has a hole shap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ad unit 110 in a hollow shape, it may be provided to incorporate the monitoring unit 120.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칫솔모(111)가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100) 중심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00) 하면에서부터 상기 헤드부(100) 상면까지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링유닛(1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amera seat hole 112 is to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the bristles (111). Consists of a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is configured of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 size as the monitoring unit 120 so that the monitoring unit 120 can be inserted desirable.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상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을 아니다.In addition, the camera seat hole 112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cylindrical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d unit 110, but the shape of the polygon does not limit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ape of various forms of the same effect It is not to exclude the application.

상기 걸림돌기(113)는 상기 헤드유닛(110)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걸림홈(123)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113 is provid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head unit 110, a structure that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23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monitor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formed as.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3)가 상기 걸림홈(123)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상기 헤드유닛(110)에 끼움 결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refore, the locking protrusion 113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123 so that the monitoring unit 120 may be fitted into the head unit 110 to be defective.

또한, 상기 걸림돌기(113)는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홈(123)에 걸리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홈(123)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jection 113 is easily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123 by a predetermined force of the user, and also provid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3 by a predetermined force of the user. do.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3)는 약간이 탄성을 지닌 플랙서블한 소재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ocking projection 113 is more preferably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light elasticity.

구체적으로, 상기 플랙서블 소재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테프론,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exible material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from natural fibers or synthetic resins,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Teflon, silicone, and the like.

이때, 플랙서블 소재는 치아용을 위한 항균성 플랙서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exible material is preferably selected to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using an antimicrobial flexible material for dental use.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내 치아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100)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된다.The monitoring unit 120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head unit 110 to be inserted into the head portion 100 to monitor the dental state of the oral cavity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에 구비된 카메라안착공(112)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안착공(1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monitoring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camera seating hole 112 provided in the head unit 110,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camera seating hole 112. Do.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메라안착공(112)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상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을 아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cylindrical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d unit 110, but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shape as the camera seat hole 112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various forms of polygonal shapes.

또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재질이 플랙서블한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20 is preferably a flexible resin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플랙서블 소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테프론,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exible material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from natural fibers or synthetic resin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Teflon, silicone, and the like.

이때, 플랙서블 소재는 치아용을 위한 항균성 플랙서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exible material is preferably selected to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using an antimicrobial flexible material for dental use.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내부에 카메라모듈(121), 조명모듈(122), 걸림홈(123) 및 투명창(1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 illumination module 122, a locking groove 123, and a transparent window 124 therein.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양치 중 사용자의 구강내 치아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The camera module 121 is disposed in the camera seating hole 112, and is provided to photograph the dental state of the mouth of the user during brushing.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칫솔모(111)가 구비된 상기 헤드유닛(110)의 하면 방향으로 렌즈가 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양치하는 방향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camera module 121 is provided so that the lens is directed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unit 110 is provided with the bristles 111 is configured to be photograp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brushing teeth.

즉,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사용자가 양치할 때 양치하는 방향의 치아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camera module 121 is provided to photograph the teeth of the brushing direction when the user brushing.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방향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양치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치아를 촬영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is not shown, but may be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ser's brushing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odule 1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mera module 121 is easy to photograph the teeth. 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shooting direction.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동영상 촬영 및 정지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카메라에 비하여 소형의 고화소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21 may use various cameras capable of capturing video and still images,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small high-pixel image sensor than a general camera.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후술할 스위치부재(33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온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재(3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치아를 촬영하고, 촬영한 치아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원격 진료 지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21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mber 340 when the switch membe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utputs an operation on signal by a user's operation to photograph teeth inside the user's oral cavity, and photographing. One tooth image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or a telemedicine support device in real time.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21 is a means for capturing a state inside the mouth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 lens or an image sensor.

아울러,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수분이나 치약 등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방수카메라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21 is more preferably using a waterproof camera module including a waterproof function to protect the camera module 121 from inflow of moisture or toothpaste.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The illumination module 122 is disposed in plural around the camera module 121 and is provided to irradiate light 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외주면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구강내부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빛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illumination module 122 may be disposed concentrically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121, and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supplying light for photographing an internal state of the user's mouth.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주변부에 입설되는 LED와 같은 소형의 발광 소자(미도시) 구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module 122 may be a spherical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n LED placed in the periphery of the camera module 121.

여기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발광 소자(미도시)의 조사 방향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where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to be directed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조사 범위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의 중앙점에서 일부 중첩되도록 하여 조사 범위를 광범위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module 122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irradiation range can be implemented in a wide range so that the irradiation range partially overlaps at the center point of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예컨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범위의 밝기가 촬영 범위의 외주면의 밝기 보다 밝게 마련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ightness of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provided to be bright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range, so tha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mainly focused o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모듈(122)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슬로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the illumination module 122 may be formed to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한편,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동작 개시 시점에 연동하여 턴 온(turn on)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강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턴 온(turn on)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module 122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in conjunction with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21, to be able to observe the state inside the mouth, although not shown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independently.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된 시점 즉, 구강 내 상태의 촬영 직전에 턴 온(turn on)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module 122 may be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at is, just before the photographing of the oral cavity state.

상기 걸림홈(123)은 상기 모터러링유닛(120)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 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groove 123 is provided so as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outer edge of the motoring unit 120, the locking projection 113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monitoring unit 120 is caught. Can be formed.

따라서, 상기 걸림홈(123)은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상기 헤드유닛(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refore, the locking groove 123 is configured to catch the locking protrusion 113 is provided so that the monitoring unit 120 can be fitted to the head unit 110.

또한, 상기 걸림홈(123)은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돌기(113)가 이탈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123 is provid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13 is easily caught by a predetermined force of the us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3 can be easily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force of the user. .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 또는 상기 걸림홈(123)을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일정 부분은 상기 걸림돌기(113)가 상기 걸리홈(123)에 유연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소재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Therefore, a portion of the monitoring unit 120 including the monitoring unit 120 or the locking groove 123 is a flag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113 can be flexibly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123.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of a servable material.

또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 및 헤드유닛(110)의 결합방식은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걸림돌기(113) 및 걸림홈(123)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을 상기 헤드유닛(110)에 착탈할 수 있는 공지의 결합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monitoring unit 120 and the head unit 11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ocking projection 113 and the locking groove 123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it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 known coupling method that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monitoring unit 120 to the head unit 110.

상기 투명창(124)은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상기 조명모듈(122)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transparent window 1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nitoring unit 120 in contact with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when the brushing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It is provided to protect.

또한, 상기 투명창(124)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이 치아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플랫서블한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종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다만, 투명한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window 12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enable the camera module 121 to take an image of the teeth, and may use the same material as the flat flexible material of the monitoring unit 120. However, different materials may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material appropriately selected.

또한, 상기 투명창(124)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투명창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때 각각의 투명창은 기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transparent window 124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parent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wherein each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to be airtight.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몸체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1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The rotating part 200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part 100 and the body part 300, and is provided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body part 300 to the head part 100.

또한, 상기 회전부(200)는 공지의 동력 전달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200 is configured by applying a known power transmissio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몸체부(300)는 상기 헤드부(100) 하단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칫솔(1)의 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된다.The body portion 300 is formed to extend at the bottom of the head portion 100 is provided to generate power of the electric toothbrush (1).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300)는 상기 전동 칫솔(1)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that is formed to hold by the user to configure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1, although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hollow hollow inside. have.

또한, 상기 몸체부(300)는 구동부재(310), 전원공급부재(320), 스위치부재(330), 제어부재(340) 및 통신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300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310, a power supply member 320, a switch member 330, a control member 340, and a communication member 350.

상기 구동부재(34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칫솔(1)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The drive member 340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300,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to the electric toothbrush (1).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재(3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동 칫솔의 말단부에 형성된 칫솔모(111)가 지정된 동작(예를 들어, 회전동작 또는 반복적 직선 왕복 동작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In detail, the driving member 310 allows the bristle 111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electric toothbrush to be designa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for example, a rotation operation or a repetitive linear reciprocation operation).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3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재(310)의 동작에 의해 칫솔모(111)가 회전 또는 직선 왕복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100) 및 회전부(200) 내부에 기어 등이 구비되도록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member 310 is geared inside the head part 100 and the rotating part 200 to allow the bristle 111 to rotate or linearly reciprocat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310. Equipped with such a thing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3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member 320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30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member 310.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 조명모듈(122), 구동부재(310), 제어부재(340) 및 통신부재(35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member 320 is to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300 to supply power, the camera module 121, the lighting module 122, the driving member 310, the control member ( 340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35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2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전지 및 커넥터를 더 구비하여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지를 충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 replaceable secondar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power supply member 32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battery and a connector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harging the battery.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00)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3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switch member 3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300 to be provided to control the on-off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310.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재(310)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switch member 33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0 is provided to output the operation on-off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to provide to the drive member (310).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키패드, 마이크로 돔 스위치 등의 버튼형 스위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member 330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button-type switch, such as a keypad, a micro dome switch.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기계식 버튼 또는 전자식 버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의 기계적인 적용 방식과 전자적인 작동 방식은 기존의 작동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witch member 330 may use a mechanical button or an electronic button, and the mechanical applic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operation method of the button are applicable to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재(34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 member 340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300,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재(340)는 상기 스위치부재(330)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상기 조명모듈(122)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member 34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320 when the on-off operation through the switch member 330,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It controls to operate on-off.

또한, 상기 제어부재(3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을 제어하기 위해 각 구성들 간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을 제어하도록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member 340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circuit pattern formed thereo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components to control the camera modul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To control the 121 and the lighting module 122.

따라서, 상기 제어부재(340)는 사용자 조작에 상응하여 전동 칫솔(1)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이 필요한 시점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control member 3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1 as a whol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time to take a picture using an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121.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o capture the current external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재(340)는 촬영 동작 수행을 위해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ember 340 may generate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121 as encoded image data to perform a photographing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및 사용자 단말기가 연동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system in which the electric toothbrush and the user terminal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재(3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21)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memb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dy 300 as shown in FIG. 4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1 to the user terminal 2. .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재(350)는 상기 카메라모듈(121)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시키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ember 350 is provided to transmit data o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1 to the linked user terminal 2.

또한, 상기 통신부재(350)는 상기 전동 칫솔(1)의 외부에 위치한 전자 장치 또는 서버와 무선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mber 350 may perform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or a server located outside the electric toothbrush 1.

상기 무선 통신은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reless broadband (WiBro),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ellular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또한, 무선 통신은, 예로,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 지그비, NFC,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 라디오 프리퀀시,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or example,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power, Zigbee, NFC,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adio frequency, or body area network.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반경 10∼100m안에서 각종 전자·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고, 245㎓ 주파수를 이용해 일정 범위 안에서 각종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Here,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at wirelessly connects and controls various electron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radius of 10 to 100 m, and wirelessly connects various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sing a 245 kHz frequency.

또한,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Zigbee (Zigbee) is one of the IEEE 802154 standard for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an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of about 10 to 20 meters in the field of wireless networking such as home and office.

또한,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으로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Wi-Fi is a local area network capable of high-speed Internet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device (AP) is installed,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radio waves or infrared transmission methods.

또한, 상기 NFC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FC may transmit data between terminals in a short distance to a contactles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1356Mz frequency band as one of electronic tags (RFID).

한편,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d commun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standard standard232 (RS-232), a power line communication, or a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can do.

또한, 상기 통신부재(350)는 사용자 단말기(2)에서 실행되는 양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mber 350 may be linked with the brush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

따라서, 상기 통신부재(350)는 유, 무선으로 연동되는 상기 양치 어플리케이션의 앱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촬영 영상 및 정보를 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member 350 may activate an app of the brushing application that is linked wit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may be provided to receive and transmit a captured image and information.

또한, 양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일 예로, 사용자가 전동 칫솔의 손잡이를 파지하거나, 구강내에 스마트 칫솔을 삽입하는 경우, 트리거링 신호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trigger the execution of the brushing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of the electric toothbrush or inserts the smart toothbrush in the oral cavity, the triggering signal may be provided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21)이 사용자가 양치를 위하여 입을 벌리거나 또는 양치를 하기 위한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을 촬영하고,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양치를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판단 결과에 따라 발생된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양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camera module 121 photographs the user opening a mouth or brushing the teeth for brushing teeth, and th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starts brushing based on the captured image. The brushing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ased on the triggering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는, 사용자가 양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직접 실행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search for and execute the brushing application direct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의하면, 칫솔질을 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양치 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toothbrush equipped with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brushing is possible to monitor the user's internal state of the mouth (for example, the location of caries or tartar, the position of attachment of food waste, wounds) And the like)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checked, and by detecting and visually recognizing the user's brushing performance, the user's correct brushing habit can be formed.

또한,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치의 발생, 치아의 손상(예를 들어, 깨짐, 변색 등) 등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 병원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구강 내부 상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시킴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oral cavity, in case of tooth decay, damage to the teeth (for example, cracking, discoloration, etc.), it is possible to allow the hospital treatment at a suitable time, and to use the monitoring function By transmitting image data of an internal condition of the oral cavity to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link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smart phone, a health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preventive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care anytime and anywhere is possible. There is.

또한, 모니터링유닛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닝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을 상기 헤드유닛에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진료비 및 검사비가 소모되는 치과 진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들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monitoring unit to be detachable, if the monitoring function is not required, the monitoring unit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head unit to be stored separately to reduce the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monitoring unit to increase the usage period. 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used at home enables the user to easily and easily check and diagnose the condition of the teeth in real tim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expensive dental and examination costs, and thus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 Can be reduced.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introduc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1 :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2 : 사용자 단말기
100 : 헤드부 110 : 헤드유닛
111 : 칫솔모 112 : 카메라안착공
113 : 걸림돌기 120 : 모니터링유닛
121 : 카메라모듈 122 : 조명모듈
123 : 걸림홈 124 : 투명창
200 : 회전부 300 : 몸체부
310 : 구동부재 320 : 전원공급부재
330 : 스위치부재 340 : 제어부재
350 : 통신부재
1: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function 2: user terminal
100: head unit 110: head unit
111: brush head 112: camera seating
113: locking projection 120: monitoring unit
121: camera module 122: lighting module
123: hanging groove 124: transparent window
200: rotating part 300: body
310: driving member 320: power supply member
330: switch member 340: control member
350: communication member

Claims (8)

하면에 칫솔모가 진동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니터링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부;
동력을 발생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에 전달하는 회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유닛은,
중심부에 중공형태의 카메라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카메라안착공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A head unit including a head unit having a bristles vibra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monitoring unit detachably provided at the head unit;
Body portion generating power; And
A rot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body part to transmit power generated from the body part to the head part;
Including,
The head unit,
Hollow camera sea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monitoring unit,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camera seating hole; And
A plurality of illumination modules arranged around the camera module to irradiate light in a shooting direction;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A drive member generating power by a power source;
A power supply membe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ember;
A switch member for controlling an on-off operation of the drive member; And
A control member connected to the head to control driving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스위치부재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toothbrush monito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n-off operation through the switch member to control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on-off ope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ortion,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camera module to the us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모니터링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에 끼움 결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ut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head unit; And
And a locking groove which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outer edge of the monitoring unit.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monitoring unit is fitted into the head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투명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ing unit,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nitoring unit in contact with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to protect the camera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when brushing;
Electric toothbrush with a monitor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module is equipped with a electr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proof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LED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module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LED lighting.
KR1020180095370A 2018-08-16 2018-08-16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KR102154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en) 2018-08-16 2018-08-16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en) 2018-08-16 2018-08-16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92A true KR20200020092A (en) 2020-02-26
KR102154805B1 KR102154805B1 (en) 2020-09-10

Family

ID=6963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en) 2018-08-16 2018-08-16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8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KR101326377B1 (en) * 2012-11-05 2013-11-11 김영준 Ultra sonic power toothbrush
KR101736010B1 (en) * 2016-07-06 2017-05-15 문호현 Dental monitoring toothbrush
KR101785696B1 (en) 2016-06-27 2017-11-06 주식회사 지앤아이 A Multifunctional LED toothbrush which leads to the right brushing habit
KR20180040060A (en)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a tooth brushing section, and Smart toothbrush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KR101326377B1 (en) * 2012-11-05 2013-11-11 김영준 Ultra sonic power toothbrush
KR101785696B1 (en) 2016-06-27 2017-11-06 주식회사 지앤아이 A Multifunctional LED toothbrush which leads to the right brushing habit
KR101736010B1 (en) * 2016-07-06 2017-05-15 문호현 Dental monitoring toothbrush
KR20180040060A (en)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a tooth brushing section, and Smart toothbrush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805B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646B2 (en) Oral endoscope
US8938838B2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US20190236935A1 (en) Electrically operated hand-held device for body care
CN101534745B (en) Personal care system
US10980410B1 (en) Video toothbrush
AU2013101537A4 (en) Intraoral camera for oral hygiene devices
WO2013001462A2 (en)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CN103764063A (en) Oral care device applied to remove tooth plaque
KR102116851B1 (en) Exchangeable electric toothbrush combinded with scaler
KR20170111848A (en) Dental three-dimensional scanner having attachable module
KR20150113647A (en) Toothbrush with a camera and tooth medical examination system using this
CN111480970B (en) Toothbrush, toothbrush control method and toothbrush control system
KR101800670B1 (en) Multi electric toothbrush
KR101853101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smart oral cavity teeth
CN210301284U (en) Electric toothbrush system with image function
KR20120090545A (en) Brushing system
KR101785696B1 (en) A Multifunctional LED toothbrush which leads to the right brushing habit
KR102154805B1 (en)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KR101736010B1 (en) Dental monitoring toothbrush
US20210282632A1 (en) Video toothbrush
US20210085168A1 (en) Smart toothbrush utilizing fluorescence and intraoral camera
KR102261297B1 (en) Electric toothbrush
KR20190060458A (en) Oral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oral cleaner
CN105287038A (en) Overall cleaning equipment for oral cavity and application method of overall cleaning equipment
TWI686165B (en) Oral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