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525A -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525A
KR20200018525A KR1020200014329A KR20200014329A KR20200018525A KR 20200018525 A KR20200018525 A KR 20200018525A KR 1020200014329 A KR1020200014329 A KR 1020200014329A KR 20200014329 A KR20200014329 A KR 20200014329A KR 20200018525 A KR20200018525 A KR 2020001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response
information
subscriber
home applian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7224B1 (en
Inventor
이효섭
공희준
아키히코 나카노
신이치 카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60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76811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20001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224B1/en
Publication of KR2020001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se with a schedu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icity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which transmits electricity consumption information displaying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s of a member; and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erver which receiv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nformation. Here,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erver can comprise: a saving request input unit which provides a saving request-expected time zone to a retail electric operator server, before providing an interface to receive a saving request time zone from the retail electric operator server; a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which calculates the saving request-expected time zone before providing the same to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and generates scheduling information to schedule a demand response event based on the saving request time zone inputted in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and a member interface which receives from the member as to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scheduled demand response event,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o a terminal of the member.

Description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요응답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입자가 소매 전기 사업자에 의해 등록된 스케줄에 따라 수요응답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수요응답 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mand respon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mand response that enables a subscriber to manage a demand response program according to a schedule registered by a retail electrician.

전력은 그 특성상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기 사업자는 최대 수요 전력이 발생할 때에 맞는 적정한 예비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전력 공급 능력(발전 설비)을 갖추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수요 증가에 맞춰 발전소의 건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전력 자유화에 따라 경쟁이 진전되는 가운데 각 사업자 모두 대형 설비 투자에 대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화력 발전소의 휴, 폐지가 계획되어 있으며, 정부는 전력 공급 능력의 확보를 위하여 용량 시장의 창설을 검토하고 있다. 또 한편, 태양광 발전 등 신 재생 에너지와 축전지 등 수요측 에너지 자원의 보급 확대, IoT 등의 발전으로 기존의 에너지 절약뿐 아니라 전력 공급 상황에 따라 수요 패턴을 변화시키는 수요응답(Demand Response, DR) 및 가상 발전소 등 새로운 사업도 시작되고 있다.Electricity, by its nature, needs to balance supply and demand, and utilities must have sufficient power supply capacity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o ensure adequate reserve rates when the highest demand power occurs. Until now, the construction of power plants has been in progres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demand. However, as competition progresses due to power liberalization, each operator needs to be cautious about investing in large facilities. In the mid to long term, the shutdown and abolition of thermal power plants are planned, and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establishing a capacity market to secure power supply capacity. On the other hand, demand response (DR), which not only saves energy but also changes the demand patter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situation, by expanding the supply of energy resources such as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and demand-side energy resources such as storage batteries, and the development of IoT. And new businesses such as virtual power plants are also beginning.

일본에서는 2016년 4월 전력 소매 전면 자유화 이후 신규 진입 사업자가 증가하고 일본 경제 산업성에 등록된 소매 전기 사업자는 2018년 6월 현재 400개를 넘어섰다. 이렇게 새로 진입한 사업자의 대부분은 자체 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발전 사업자 등을 상대로 전력을 조달하거나, 일본 도매 전력 거래소(이하, JEPX) 거래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 사업자 등을 상대로 한 거래는 적고, 특히 규모가 작은 사업자는 JEPX에서의 조달에 의존하고 있다. JEPX는 30분 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거래 가격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과 겨울철의 수급 불균형시와 지역간 연계선의 송전 혼잡시에 일어나는 시장 분단에 따라 가격 상승이 발생할 수 있고, 안정된 전력량 및 가격으로 전력을 조달할 수 없는 시간대도 나오고 있다.In Japan, after the full liberalization of electricity retail in April 2016, new entrants increased and more than 400 retail electricity providers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as of June 2018. Most of these new entrants do not have their ow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most of them do not use their ow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o procure electricity from power generation companies, or use Japanese wholesale electricity exchange (JEPX) trading. However, few deals with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others, especially small ones, rely on procurement from JEPX. JEPX trades every 30 minutes, and its price is always changing. In particular, the rise in prices may occur due to market fragmentation caused by supply and demand imbala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and congestion of transmission lines between regions, and there are times when power cannot be supplied with stable power and prices.

또한 일본에서는 2012년 7월 신 재생 에너지 고정 가격 매입 제도(FIT: Feed-In Tariff) 도입으로 특히 태양 광 발전의 도입이 신속하고 대량으로 진행되고 있다. 태양 광 발전과 같은 자연 변동 전원은 날씨에 좌우되기 때문에 맑은 날씨에는 발전량이 증가하여 수급이 완화되고 JEPX의 가격은 떨어지고, 반대로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인 때에는 발전량이 감소하고 수급이 어려워 JEPX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태양 광 발전의 대량 도입으로 특히 수요가 낮은 때에는 태양 광이 공급 과잉 되어 주간 수급 조정이 필요하다. 이 수급 조정의 방안으로는 태양 광 발전의 출력 억제 또는 수요 증가를 들 수 있다.In Japan, the introduction of a feed-in tariff (FIT) system in July 2012 has led to the rapid introdu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ince natural fluctuations such as solar power are dependent on the weather, power generation increases in sunny weather, supply and demand is eased, and JEPX prices fall. On the contrary, in rainy or cloudy weather, power generation decreases and supply and demand makes JEPX prices rise. There is a tendency. In addition, due to the massive introdu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specially when demand is low, solar power is oversupply and weekly supply / demand adjustment is necessary. This supply-and-demand adjustment can include curbing solar power output or increasing demand.

따라서 소매 전기 사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항상 전력 조달 가격의 변동 위험을 안고 있어 계절이나 시간대에 따라 전력 조달 가격이 소매 판매 가격을 웃도는 손실(이하, 역 차액)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Therefore, as mentioned above, retail electricity providers are always in danger of fluctuations in power procurement pric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wer procurement prices exceed the retail sale pr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kward difference”) according to seasons and times.

이런 역 차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JEPX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시기에 역 차액이 발생할 수 있는 시간대의 전력 수요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이 효과적이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reverse difference,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that effectively reduces the power demand during the time period when a reverse difference can occur when the price of the JEPX is rising is effectiv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감 요청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절감 요청 시간대를 수요응답 이벤트로 스케줄링하고 실제로 절감을 수행하는 본 프로그램의 가입자(해당 소매 전기 사업자의 고객)로 하여금 쉽게 참여 여부를 표시하게 할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도 제공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inputting a saving request time. A subscriber interface is also provided that allows subscribers of the program (customers of the retail utility) to schedule this savings request timeframe as demand response events and actually perform the saving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 전기 사업자가 예컨대, 역 차액이 발생할 수 있는 시간대에 전력 수요를 억제시켜 소매 전기 사업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 retail utility to reduce power loss, for example, by suppressing power demand during times when a reverse difference can occu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요응답 이벤트시 소매 전기 사업자 등의 서비스 제공자와 가입자 가전 제품 등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필요시 응답 결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bscriber interface capable of operating a service provider such as a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and a subscriber home appliance during a demand response event, and further improving the response result if necessar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은, 가입자의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응답 운용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에 절감 요청 예상 시간대를 제공한 후,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절감 요청 시간대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절감 요청 입력부; 상기 절감 요청 예상 시간대를 산출하여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에 입력된 절감 요청 시간대에 기초하여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 상기 가입자로부터 상기 스케줄링된 수요응답 이벤트에 대한 참여 여부를 입력 받으며,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의 결과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chedu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us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wer usage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a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power usage information, wherein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may receive a reduction request time period from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server after providing the expected time period for the reduction request to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server. A saving request input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A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expected saving time slot and providing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and generat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scheduling a demand response event based on the saving request period inputted to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It may include a subscriber interface for receiving the participation in the scheduled demand response event from the subscriber,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o the terminal of the subscriber.

이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스케줄링 참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매입 예상 가격을 추정하고 상기 전력 매입 예상 가격이 미리 정해진 금액보다 높은 시간 구간을 상기 절전 요청 예상 시간대로 설정하며, 상기 스케줄링 참조 정보는, 온도, 일조량 또는 풍량을 포함하는 날씨 정보; 요일, 지역, 및 사회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형 부가 정보; 또는 발전 설비의 가용량의 변화 추이 또는 유가 추이를 포함하는 연속형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stimates an estimated power purchase price based on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sets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estimated power purchase pri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s the power saving request estimated time period, wherein the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sunshine or wind volume; Categorized si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ay of week, region, and social event; Or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 change in available capacity of the power plant or a change in oil price.

또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 동안 상기 날씨 정보 또는 상기 연속형 부가 정보가 가장 유사한 일자의 시간별 전력 매입 가격을 전력 매입 예상 가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estimate, as a power purchase estimated price, an hourly power purchase price of a date having the most similar weather information or the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prediction period.

또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 동안 상기 분류형 부가 정보가 동일한 경우의 날씨 정보 또는 연속형 부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력 매입 예상 가격으로서 추정할 수 있다.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estimate the power purchase expected price using weather information or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classified additional information is the same during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period.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은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일자와 연도가 다르고 월일 정보가 동일한 일자를 포함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일자로부터 일정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interval may be determined to include a date different from a year and a year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nd the same month day inform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a date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또한,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는 상기 절전 요청 예상 시간대를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가 상기 절전 요청 예상 구간을 참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may provide the power saving request estimated time period to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server so that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may refer to the power saving request predicted interval.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가입자가 절감할 수 있는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목표 절감량을 산출하는 절감 목표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절감량을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urther includes a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target reduction amount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that can be reduced by the subscriber, and the subscriber interface includes the target reduction amount calculated by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in the terminal of the subscriber. Can be provided as

또한,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일자로부터 일정한 일자 구간만큼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최소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시간대의 상기 가입자의 예측 사용량을 결정한 후, 상기 최소 사용량과 상기 예측 사용량의 차에 결정 상수를 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절감량을 산출하며,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는 상기 목표 절감량이 상기 예측 사용량과 평균 예상 오차율을 곱한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목표 절감량을 상기 곱한 값 이상으로 수정할 수 있다.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may further determine a minimum usage amount based on power consumption for each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ate interval from a date for schedul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nd calculates a predicted usage amount of the subscriber in a time zone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fter the determination, the target reduction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usage amount and the predicted usage amount multiplied by a determination constant, and wherein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is smaller than the target usage amount multiplied by the predicted usage amount and the average estimated error rate. The target saving amount may be modifi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ultiplied value.

또한,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mand-response operation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레이블링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extract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from the power usage information, and label and store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based on the extracted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또한,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질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는 상기 질의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에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의 종류 및 모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signal for querying the subscriber's home appliance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responds to the signal for inquiring. The type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may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또한,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기기별 절전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may include power saving amou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또한,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 중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 동안에 자동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선택된 가전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criber interface provide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home applian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dur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mo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is selected A control signal for the home appliance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리모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원격 리모콘을 통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via a network and includes a remote remot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rough the remote remote control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의 결과에 대한 보상 정보를 관리하는 보상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 정보 관리부는 복수의 플랫폼에 따른 서로 다른 보상을 상기 복수의 플랫폼 별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reward information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reward information regarding a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wherein the reward information manager stores different reward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latform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forms. And provide it to the subscriber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은 소매 전기 사업자에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을 제공하고 소매 전기 사업자가 상기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을 참조하여 절감 요청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providing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a reverse difference to a retail utility and providing an interface for the retailer to input a request for reduction by referring to the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reverse difference. Can be.

또한, 상술한 절감 요청 시간대를 수요응답 이벤트로 스케줄링하고 가입자가 쉽게 참여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도 제공된다. In addition, a subscriber interface is provided for scheduling the above-described savings request timeframe as a demand response event and for indicating whether the subscriber easily participate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매 전기 사업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기간에 전력 수요를 감소시키고 유통 전기 사업자의 역 차액을 절감할 수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that can reduce the power demand and reduce the reverse difference of the distributor in a period in which loss of the retail utility can occu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요응답 이벤트시 자동 제어가 가능한 기기를 제어하여 수요응답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bscriber interface that can control the device capable of automatic control in the event of a demand response event to improve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운용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감 요청 입력부의 예시이다.
도 6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원격 리모컨 제어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respons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llustration of a saving request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11 illustrate an subscriber inte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2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additional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ca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clearly intended to be understoo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states. do.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기능을 가지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having a schedu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기능을 가지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운용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운용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having a schedu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respons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700) 개요1.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700 Overvie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700)은,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 가입자 단말(400) 및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가전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와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는 광역 통신망(WAN), 로컬 통신망(LAN), PLC(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형태로 전력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700 includes a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a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a subscriber station 400, and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used by a subscriber. )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0, the network 200 is a wide area network (WAN), local communication network (LAN),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1)One)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복수의 가전 기기(500)가 있는 가입자의 가정 내 전력 사용량을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사용량의 전송 방법은 아래와 같다.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home power consumption of the subscriber having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to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usage is as follows.

첫 번째 방법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가 복수의 가전 기기(500)와 연결된 분전반이나 멀티탭 등 배선기구 내 노드에 설치되고 복수의 가전 기기(500)의 총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 후, 실시간(예컨대, 초당 1회 이상)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총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분전반에서 분기 차단기(120) 또는 주 차단기(110)를 대체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부스바(130)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별도의 전류 센서(140)를 통해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분기 차단기(120) 또는 주 차단기(110)의 위치와는 다른 분전반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분기 차단기(120)와 연결된 도선(130-1)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method, as shown in FIG. 2A,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is installed at a node in a wiring apparatus such as a distribution panel or a power strip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After measuring the total power usage, it is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us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otal power usage through the network 200 in real time (eg, once or more per second). For example,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replacing the branch breaker 120 or the main breaker 110 in the distribution panel. In this case,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may measure the voltage input through the busbar 130 and measure the current through the separate current sensor 140.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b),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a branch breaker 120 installed in an internal space of a distribution panel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branch breaker 120 or the main breaker 110. The voltage applied through 130-1) may be measured.

이 경우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측정된 전압 값과 전류 값에 따라 유효 전력량, 무효 전력량 및 역률 등을 연산하여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시간마다(예컨대, 매분 1 회),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generates power usage information by calculating an effective power amount, reactive power amount, and power factor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and generates power usage information every specific time (for example, once every minut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두 번째 방법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가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의 게이트웨이가 되어 복수의 가전 기기(500) 또는 별도의 전력 측정 장치(105)(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전력 사용량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와 복수의 가전 기기(500)는 예를 들어, 에코 넷 또는 에코 넷 라이트 등의 전력정보 전송 표준을 사용하여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가전 기기(500)의 제조 업체가 제공하는 API를 통해 전력 사용량 정보 또는 복수의 가전 기기(500)에 대한 정보(제조 회사, 모델 등)를 송수신 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as shown in FIG. 2 (c),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becomes a gateway of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so that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or separate power measurement devices 105 (eg, For example, a method of receiving power usage from a smart meter and transmitting power usag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In this case,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transmit power usage information using a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standard such as an eco net or an eco net light, or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Through the API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r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manufacturer, model, etc.)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세번째 방법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가 통신 가능한 계량기이며, 송배전 장비의 데이터 수집부(650)가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이를 원거리 통신 장치에 의해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를 거쳐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전력 사용량 정보는 예를 들어 30 분당 1 회의 빈도로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로 전송된다. The third method, as shown in Figure 2 (d),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is a meter that can communicate, the data collection unit 650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collects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retail electricity by the telecommunication device It is a method for transmitting to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via the operator server 600. In this case, the power us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at a frequency of once every 30 minutes, for exampl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위의 세 가지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pable of executing the above three methods.

2) 가입자 단말(400) 2) subscriber station 400

가입자는 가입자 단말(400)의 웹 화면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요응답 프로그램 참여 시간대를 결정하고 수요응답 프로그램 참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4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기능을 포함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한 단말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의 가입자 인터페이스(340)와 연결된다. The subscriber may determine a demand response program participation time period through a web screen or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subscriber terminal 400 and check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program participation. The subscriber station 400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capable terminal including a computing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PC, and the like,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s connected with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3)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3)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도 3과 같이,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절감 목표 산출부(310), 절감 요청 입력부(320),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 가입자 인터페이스(340),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 제어 신호 생성부(360) 및 보상 정보 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a reduction request input unit 320, a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a subscriber interface 340, an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or 35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and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r 370 may be included.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내역으로 저장/관리하고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사용 내역에 따라 가입자 별 목표 절감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목표 절감량은 가입자별 절감 가능 전력량을 의미한다. 목표 절감량은 예를 들어 가입자가 설정하고 수요응답으로의 참여율에 의해 표현되어 있다. 수요응답의 참여율은 가입자의 평소 전력 사용량 대비 수요응답시의 전력 사용량의 비율이다. 절감 목표 산출부(310)가 수행하는 목표 절감량 산출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may receive the power u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store / manage the power usage history and calculate a target reduction amount for each subscriber based on the power usage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history.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arget saving amount refers to the amount of power available for saving per subscriber. The target savings are, for example, set by the subscriber and expressed by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demand response. Participation rate of the demand response is the ratio of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demand response to the subscriber's usual power usage. The target reduction amount calculation algorithm performed by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will be described later.

절감 요청 입력부(320)은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가 수요응답이 필요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절감 요청 입력부(320)는 웹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duction request input unit 320 is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may input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period in which a demand response is required. For example,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3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로부터 판매 전력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받아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과 전력 구입 부족 시간대 정보를 포함 절감 요청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절감 요청 입력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에서 입력한 절감 요청 시간대를 수요응답 이벤트로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스케줄링 정보는 가입자 인터페이스(340)에 제공된다.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power sold from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calculates an expected time of saving request including the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reverse difference and information about a power shortage time zone, and inputs a saving request input unit 320. )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may schedule the saving request time period input from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as a demand response event and generate scheduling information. The generated schedul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수요응답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가입자 단말(400)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참여 유무 입력 화면(도 6), 참여 등록 화면(도 7), 자동 제어 설정 화면(도 8) 및 알람 화면(도 9)를 포함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인터페이스(340)의 세부 사항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may be a web server that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the subscriber terminal 400 to execute the demand response program. In more detail,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may include a web server including a participation input screen (FIG. 6), a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FIG. 7), an automatic control setting screen (FIG. 8), and an alarm screen (FIG. 9). . Details of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will be described later.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가입자의 보유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전력 사용 이벤트(예: 가전 기기의 ON/OFF 또는 가전 기기에서 모드 전환시의 전력 사용량의 변화 및 변화 패턴)에 따라 가입자의 보유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보유 가전 기기를 레이블링(Labeling)할 수 있다.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는 전력 사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소비되는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다. 즉,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전력 사용량의 변화 내용에 따라 보유 가전 기기에 관하여 가입자의 보유 가전 기기가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 기기 종류 또는 모델 이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 또는 가입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 기기 자체에서 가입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전 기기의 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s own home appliance.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change a power usage event (eg, ON / OFF of the home appliance or change of power usage when switching modes in the home appliance) from the power us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And change pattern) to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s own home appliance.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label the subscriber's own home appliance based on the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The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change in power usage, for example, at least one change amount of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consumed. That is,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determine the home appliance type or model name of the subscriber, such as a refrigerator or a washing machine, with respect to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wer consumption. Alternatively,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upda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fter acquiring th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owned by the subscriber from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or the home appliance itself owned by the subscriber.

또한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가전 기기에 저장된 모델 정보를 질의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복수의 가전 기기(500)가 하나의 내부 네트워크(근거리 통신망, LAN)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를 통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의 기능 및 모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전 기기(500)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를 통해 해당 가전 기기 내에 저장된 데이터, 모델 정보 및 외부 제어 가능 여부를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의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use a protocol for querying model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are connected to one internal network (local area network, LAN),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connect to a predetermined protocol through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Accordingly, the function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onnected home appliances can be inquir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500 may determine whether data, model information, and external control stored in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to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of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Can transmit

또한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상술한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로부터 레이블링된 가전 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분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수요응답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기기 별 절전 량 정보(절전 가능한 전력량)를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도록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separatel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power usage for each labeled home appliance from the above-described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demand response event occurs,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generate and store power saving amount information (power saving power) for each device to correspond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가입자가 참여하기로 한 시간대의 수요응답 프로그램의 진행 시 가입자의 보유 가전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가전 기기의 제조자가 제공하는 API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메시지,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통신망과 연결된 원격 리모콘의 제어 신호 또는 에코 넷 라이트 등의 규격에 따라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신호 생성부(3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리모컨을 통해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may automatical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some of the subscriber's own home appliances when the subscriber's demand response program is in progress.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may control a home applian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control message generated through an API provided by a manufacturer of the home appliance, a control signal of a remote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or an eco net light, which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It may be any one of control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rough a remote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예를 들어, 가전 기기(500)를 제어하기 위해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원격 제어 리모컨(1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 경우 원격 제어 리모콘(1220)는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 및 적외선 모듈(리모콘으로 사용 가능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입자의 댁내 라우터(1210)와 연결되거나 광대역 통신망인 3 세대, 4 세대 또는 5 세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질의 신호(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를 질의할 때 사용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질의 신호에 대하여 응답 또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리모콘(1220)의 적외선 모듈을 통해 가입자가 선택한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500,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0 (see FIG. 12). 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WiFi module) and an infrared module (usable as a remote control), and may be connected to a subscriber's home router 1210 or a third generation, which is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ntrol signal or an inquiry signal (a signal used when querying a controllable home appliance) from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connected to the fourth generation or fif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quiry signal.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or the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selected by the subscribe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infrared module of th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0.

한편, 보상 정보 관리부(370)는 수요응답 이벤트의 결과에 대한 보상을 나타내는 보상 정보, 예를 들어 수요응답 이벤트에 참여하는 가입자의 전력 사용량 절감분에 해당하는 보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보상 정보를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는 보상 정보 관리부(370)은 사용량 절감분 자체를 보상 정보로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생성된 보상 정보는 예를 들어, 포인트 정보 또는 금액 정보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r 370 generates compensation information indicating compensation for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for example, compens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the subscriber participating in the demand response event,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mpens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r 370 may store the amount of use reduction itself as compensation information on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generated reward information may be point information or amount information, for example.

보상 정보 관리부(370)에 의해 생성된 보상 정보는 가입자 인터페이스(340)에 제공되며 가입자가 현재까지 전력 사용량 절감으로 절감한 전기 요금 또는 수요응답 이벤트 참여에 의해서 획득한 포인트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Compens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70 is provided to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and information on points earned by participation in the electricity rate or demand response event, which the subscriber has reduced so far, can be provided. have.

4)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 4) Retail utility server (600)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는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로부터 절감 요청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가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계량기인 경우, 송배전 장비 내의 데이터 수집부(650)가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에 전송하고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가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에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is provided with a saving request input interface from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In addition, when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is a meter including a communication device, the data collection unit 650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collects the power consumption and transmits it to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and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power usage information to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2.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700)의 상세 동작 2. Detailed operation of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70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의 세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의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가입자별 목표 절감 금액을 산출한다(S410). 예를 들어, 가입자별 목표 절감량은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First,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of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calculates a target reduction amount for each subscriber (S410). For example, the target saving amount for each subscriber is calculated as follows.

먼저,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가입자별 최소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최소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해 목표 절감 금액 산출일자(수요응답 이벤트일자) 또는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할 일자(수요응답 이벤트 입력 일자)를 기준으로 일정 기간(예컨대, 직전 7 일 사이) 동안의 시간대 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18 년 3월 23일에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경우에 이전 7 일인 3월 16일부터 3월 22일 사이의 시간대 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First,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may calculate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for each subscriber. In this cas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may determine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a target reduction amount calculation date (demand response event date) or a date to schedule a demand response event (demand response event input date) to calculate a minimum power consumption. Use power usage data by time zone for the last 7 days). For example, if you are scheduling a demand response event on March 23, 2018, you can use time-phased power usage information between March 16 and March 22, the previous seven days.

또한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상기 일정 기간(예컨대, 직전 7 일 사이)의 시간대 별 전력 사용량 중 최대 전력 사용량과 최소 전력 사용량의 차이를 구하고, 그 차이의 일정 비율(예를 들면, 5 %)과 최소 전력 사용량을 더한 전력 사용량을 최소 사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and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among time-phase power consumptions of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eg, between the last seven days) and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difference (for example, 5%). ) And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can be set to the minimum usage.

예를 들어, 2018 년 3월 23 일에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이전 7 일인 3 월 16 일부터 3 월 22 일에 대한 시간대 별 전력 사용량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이 때, 최대 전력 사용량이 1000Wh이고, 최소 전력 사용량이 100Wh라 가정하자. 이 경우,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최대 전력 사용량과 최소 전력 사용량의 차이의 5% 인 45Wh를 최소 전력 사용량에 더한 145Wh를 최소 사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you are scheduling a demand response event on March 23, 2018, using the hourly power usage for the previous 7 days, March 16 through March 22, with a maximum power usage of 1000 Wh. Assume that the minimum power usage is 100Wh. In this cas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may set 145Wh as the minimum usage amount, which is 45Wh which is 5%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ower usage and the minimum power usage as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다음으로,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가입자의 예측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측 사용량은 수요응답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가입자의 전력 사용량 예측 값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예를 들어, 예측 사용량으로, 수요응답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이전의 3 주에서 동일 시간대의 전력 사용량의 중앙 값 또는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가 제공하는 사용량 예측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Next,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may calculate the predicted usage amount of the subscriber. The predicted usage means a power usage forecast value of the subscriber at the time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In this cas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may use, for example, the median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usage in the same time zone in the three weeks before the time when the demand response event occurs as the predicted usage amount. Alternatively,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may apply a usage prediction value provided by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예측 사용량과 최소 사용량이 결정되면, 예측 사용량과 최소 사용량의 차이 에 0과 1 사이의 임의의 값인 결정 상수를 곱하여 목표 절감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목표 절감 금액이 예측 사용량과 평균 예측 오차율의 곱 이상이 되도록 결정 상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예측 오차율은 실제 전력 사용량에 대한 실제 전력 사용량 예측 사용량과의 차이의 비율이다.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목표 절감량이 예측 사용량 평균 예측 오차율을 곱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목표 절감량을 예측 사용량 평균 예측 오차율을 곱한 값 이상으로 수정 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이전의 해당 이 가입자의 실제 감축량 중 최대 값이 되도록 결정 상수를 결정할 수 있다. Once the forecasted usage and minimum usage have been determined, the target savings can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ecasted usage and the minimum usage by a decision constant that is any value between 0 and 1. However, it is desirable to set the decision constant so that the target saving amount is more than the product of the predicted usage amount and the average predicted error rate. The average forecast error rate is the ratio of the difference from the actual power usage forecast usage to the actual power usag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or 310 may modify the target reduction amoun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ultiplication of the predicted usage average prediction error rate when the target reduction amount is smaller than the multiplication of the prediction usage average prediction error rate. Also, for exampl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may determine the determination constant to be the maximum value of the actual reduction amount of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예를 들어, 최소 사용량이 145Wh이며, 예측 사용량이 500Wh이며, 평균 예측 오차율이 5%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예측 사용량과 최소 사용량의 차이는 355Wh이고, 예측 사용량 * 평균 예측 오차율이 2Wh이다. 따라서, 절감 목표 산출부(310)는 25Wh /355Wh = 7% 이상이 되도록 결정상수를 설정한다.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minimum usage amount is 145Wh, the prediction usage amount is 500Wh, and the average prediction error rate is 5%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usage amount and the minimum usage amount is 355 Wh, and the predicted usage amount * average prediction error rate is 2 Wh. Therefore,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sets the crystal constant so that 25Wh / 355Wh = 7% or more.

다음으로,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절감 요청 시간대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이때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절감 요청 입력부(320)를 통해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의 절감 요청 시간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절감 요청 입력부(320)는, 절감 요청 예상 시간대를 디폴트로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는, 절감 요청 입력부(320)에서 제공된 절감 요청 예상 시간을 참조하고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의 사용자는 제공된 절감 요청 예상 시간을 수정하여 절감 요청 시간대를 입력한다. 절감 요청 예상 시간은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generat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zone for saving request (S420). In this case,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receive an input of a request time for saving of the retail electricity provider server 600 through the request for saving input 320. In this case, the reduction request input unit 320 preferably provides the expected savings time to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by default.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refers to a saving request estimated time provided by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320, and a user of the retail electricity supplier server 600 modifies the provided saving request request time to input a saving request time period. The expected savings request time may include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reverse difference.

이 경우,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은 아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reverse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먼저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수요응답 이벤트 일자의 시간 대별 가격을 예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수요응답 이벤트 일자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가격을 예측한다. First,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predicts a price for each time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date. Specifically,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predicts a price by using information about an environment affecting the price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date.

이를 위해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전력 거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참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구입 예상 가격을 추정하고, 전력 구입 예상 가격이 미리 정해진 금액보다 높은 시간대를 절감 요청 예상 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참조 정보는 전력 구입 가격의 결정과 관련된 환경에 대한 부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온도, 습도, 일조량 또는 풍량을 포함한 날씨 정보와; 요일, 지역 및 사회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형 부가 정보와; 연료 가격 추이를 포함한 연속형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estimates a power purchase price based on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a power transaction price, and sets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power purchase pri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t can be estimated from the estimated time of savings request. The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i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power purchase price, and includes, for exampl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sunshine, or wind volume; Categoriz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ay of week, local and social event; It may include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fuel price trends.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예측하고자 하는 일자의 시간 대별 전력 구입 가격을 예측하려고 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의 환경에 관한 부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은 예를 들어, 예측하고자 하는 수요응답 이벤트일자와 연도가 다르고 월일이 동일한 일자를 중심으로 전후의 일정 기간(예를 들어, 전후의 15일)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은 예측하고자 하는 수요응답 이벤트 일자의 이전의 일정 기간 예컨대, 직전 1 개월의 추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may us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of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period when trying to predict the power purchase price for each time period of the date to be predicted.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may include,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15 days before and after) before and after the demand response event date to be predicted and the yea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have. Alternatively, the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may utilize additional information of a certain period before the date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o be predicted, for example, just one month.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가 2018 년 4 월 1 일의 수요응답 이벤트 시간의 전력 구입 예상 가격을 예측하려고 하는 경우(즉, 예측 대상 일자가 2018 년 4 월 1 일의 경우),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은 2018 년 4 월 1 일과 연도가 다르고 월일이 동일한 일자, 예컨대, 2015~2017년 4월 1일을 중심으로 전후 15 일일 수 있다. 즉, 예측 대상 일자가 2018 년 4 월 1 일인 경우에는 예측 기간은 2015년 ~ 2017년 3 월 15 일 ~ 4 월 15 일의 전력 구입 가격을 예상 가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2018 년 4 월 1 일부터 이전 1 개월인 2018 년 3 월 1 일 ~ 3 월 31 일의 추가 정보, 예컨대, 전력 구입 가격을 예상 가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tries to predict the power purchase estimated price at the demand response event time on April 1, 2018 (that is, when the predicted date is April 1, 2018), The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may be 15 days before and after around April 1, 2018 and the same year, and the same month, for example, April 1, 2015 to 2017. In other words, when the forecast date is April 1, 2018, the forecast period may use the purchase price of electricity from 2015 to March 15 to April 15 as the estimated price. Alternatively, additional information from March 1 to March 31, 2018, which is one month prior to April 1, 2018, may be used as an estimated price.

또한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 중 가장 예측 대상 일자와 유사한 환경의 일자, 예를 들어 날씨(온도 또는 일조량 등)가 가장 비슷한 일자의 시간대별 전력 구입 가격을 전력 구입 예상 가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측 대상 일자와 환경이 비슷한 일자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예측 대상일 예측 대상 시간대별 환경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 동안 평균 기온이 가장 유사한 일자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 예측 대상 시간대의 평균 기온이 가장 유사한 일자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may use the power purchase price for each time zone as a predicted price of electricity for a date of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most predicted date among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periods, for example, a weather (temperature or sunshine) that is most similar. It can be estimated.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ates having similar prediction target dates and environments,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may further consider an environment for each prediction target time zone to be predicte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days having the most similar average temperature exists during the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a date having the most similar average temperature in the target time zone may be selected.

예를 들어, 예측 대상 일자(2018년 4월 1일)의 평균 기온이 12.5 도이며,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 동안의 예측 대상 일자의 오후 2시에서 3시의 평균 온도가 2017년 4월 1일이 13도, 2017년 4 월 3 일이 10 도인 경우 예측 대상 일자의 해당 시간의 날씨(평균 온도)와 가장 가까운 2017 년 4 월 1 일을 전력 구입 가격 예상의 기준이 되는 일자로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erage temperature for the forecast date (April 1, 2018) is 12.5 degrees, and the average temperature from 2 pm to 3 pm on the forecast date for a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is April 1, 2017. If 13 degrees, and April 3, 2017 is 10 degrees, you can choose April 1, 2017, which is the closest to the weather (average temperature) of the time of the forecast date, as the basis for the power purchase price estimate.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요일, 지역, 사회적 이벤트(공휴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형 부가 정보를 가격 예측에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측 대상 일자가 월요일의 경우 미리 정해진 예측 기간 중 평일의 날씨 정보 또는 월요일의 날씨 정보를 가격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속형 부가 정보인 연료 가격 추이를 활용하여, 전력 구입 예상 가격을 추정할 수도 있다.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may use the classifi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ay of the week, a region, and a social event (holiday) for price prediction. For example, when the forecast target date is Monday,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weekday or the weather information of Monday during the predetermined forecast period may be used for the price prediction. In addition, the fuel price trend, which is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used to estimate an expected price of purchasing power.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예측 대상 일자와 환경이 가장 유사한 일자를 선택한 후 선택한 일자의 시간대별 전력 구입 가격을 예측 가격에 따라 정하고, 정한 시간대별 전력 구입 가격이 소매 전기 사업자마다 정하는 기준액(예: 150원 /kWh)을 초과하는 시간대를 절감 요청 예상 시간으로 설정한다.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selects a date most similar to the predicted target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sets a power purchase price for each selecte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predicted price, and sets a reference amount determined for each retail electrician by the time purchase power. Example: A time zone exceeding 150 won / kWh is set as the estimated time for saving request.

따라서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330)는, 절감 요청 시간대를 반영하고 또한 절감 요청 입력부(320)에서 수정된 정보를 반영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캘린더(510)에 산출된 절감 요청 시간대(520)을 반영하여 표시하고,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의 사용자는 자동으로 표시된 절감 요청 시간대를 수정하고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or 330 may generate and display scheduling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saving request time zone and reflecting the information modified by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32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calendar 510 displays and displays the calculated saving request time zone 520, and a user of the retail utility server 600 may automatically modify and input the displayed saving request time zone. .

그리고,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절감 요청 시간대에 가입자별 수요응답 이벤트에 참여 여부 및 참여율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가입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S430). In addition,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receive an input of information on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demand response event for each subscriber and the participation rate at the time of the saving request from the subscriber (S430).

이 경우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가입자의 입력을 받는다. 가입자 인터페이스(340)의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this case,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receives the subscriber's input through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The screen of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will be described later.

그 후,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를 통해 실제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 할 수 있다(S440). Thereafter,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monitor actual power usage through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100 (S440).

마지막으로,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가입자별로 실제 전력 사용량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요응답 이벤트의 실행 결과를 확인하고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S450). 이때 가입자는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수요응답 이벤트의 실행 결과 및 보상 포인트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nally,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check the execution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actual power usage for each subscriber and give a reward (S450). At this time, the subscriber can check the execution result and the reward poin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hrough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on the screen.

3. 가입자 인터페이스(340) 및 가입자 단말의 세부 동작 3. Detailed Operation of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and the Subscriber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인터페이스(340) 및 가입자 단말의 예시적인 세부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detailed operations of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and the subscriber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9.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참여 유무 입력 화면(도 6), 참여 등록 화면(도 7), 자동 제어 설정 화면(도 8) 및 알람 화면(도 9)을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6 to 9,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provides a participation input screen (FIG. 6), a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FIG. 7), an automatic control setting screen (FIG. 8), and an alarm screen (FIG. 9). It can include a web server.

참여 유무 입력 화면은, 여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요응답 프로그램의 현재까지의 결과를 표시하는 플랫폼별 표시부(620, 621)와 참여 확인 버튼(610)을 제공한다. The presence or absence input screen provides platform-specific display units 620 and 621 and a participation confirmation button 610 that display results of the demand response program provided by various platforms.

복수의 플랫폼은, 예를 들어, 가입자의 가정에 전력을 판매하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600)가 제공하는 수요응답 프로그램 플랫폼 또는 기타 전기 사업 자로부터 위탁을 받아 별도로 운영하는 수요응답 위탁 업체(Aggregator)의 수요응답 프로그램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플랫폼은, 가입자가 스스로 절전 이벤트를 등록하고 스케줄링하여 진행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latforms may be, for example, a demand response aggregator operating separately from a demand response program platform provided by a retail utility server 600 selling electricity to a subscriber's home or another utility. May include a demand response program platform.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platforms may include a case where a subscriber registers and schedules a power saving event by itself.

이 경우 복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보상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즉, 보상 정보 관리부(370)는 복수의 플랫폼에 따라 서로 다른 보상을 플랫폼 별로 각각 저장하고 가입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있다. 도 6의 경우는, 1번의 플랫폼(620)의 수요응답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절약된 전기 요금을 표시 한 형태이며, 2번의 플랫폼(621)의 수요응답 프로그램은 포인트 형태로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rewards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platforms may be different as shown in FIG. 6. That is,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r 370 stores different rewards for each platform and provides them to the subscrib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platforms. In the case of FIG. 6, the demand response program of the first platform 620 is a form in which electricity savings have been saved so far, and the demand response program of the second platform 621 provides rewards in the form of points.

이때 가입자가 참여 유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수요응답 프로그램에 참여 가능 시간을 확인하여 가능한 시간에 참여 확인 버튼(610)을 누르면 도 7의 참여 등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ubscriber checks the available time to participate in the demand response program from the schedul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participation input screen, and presses the participation confirmation button 610 at the available time, the subscriber can move to the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of FIG. 7.

참여 등록 화면에서 가입자는 선택한 일자 및 시간대의 수요응답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참조하면서 참여 유무를 등록하게 된다. 또한 가입자는, 참여 등록 화면을 통해 참여시간(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710) 및 절전 목표(참여율)를 수정할 수 있다.On the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the subscriber registers the participation while referring t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emand response program of the selected date and time. In addition, the subscriber can modify the participation time (start time and end time, 710) and the power saving target (participation rate) through the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이때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참여 등록 화면에서 절감 목표 산출부 (310)에 의해 연산된 목표 절감량(720)을 디폴트로 제공한다. 이 경우 가입자는, 목표 절감량(720)의 변경에 의해 절전 가능 금액(730) 등을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provides a target reduction amount 720 calculated by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310 on the participation registration screen by default. In this case, the subscriber may change the power saving amount 730 by changing the target saving amount 720.

또한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수요응답 이벤트 기간 동안 자동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자동 제어 설정 화면을 제공한다. (도 8) 수요응답 프로그램의 실행 시 자동으로 제어하는 가전 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제어 설정 화면에서는, 대상 기기 확인란(810), 대상 기기 아이콘(820) 및 기기별 절감 목표(830)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provides an automatic control setting screen a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home applian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during a demand response event. 8 may set a home applian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when the demand response program is executed. In the automatic control setting screen, a target device check box 810, a target device icon 820, and a reduction target 830 for each device may be provided.

이때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의 목록은,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또한 전력 사용량 및 패턴의 분석을 통해 가전 기기 종류 및 기기 모델명을 확인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list of controllable home appliances can be stored in the demand response server 300 as a database, and can be updated by confirming the type and model of the home appliance through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and patterns.

또는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는 가전 기기 내에 저장된 모델 정보를 질의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기능 및 모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 단말(400)에 복수의 가전 기기가 하나의 내부 네트워크(근거리 통신망, LAN)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400) 또는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에 기능 및 모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술한 질의에 대하여 복수의 가전 기기가 응답하여 가전 기기의 기능 및 모델 정보를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400) 또는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check the function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using a protocol for querying model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400 through one internal network (local area network, LAN), the demand response server 300 and the subscriber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same internal network. ) Or the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100 connected to the same internal network may query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for function and model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query,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respond to the demand 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the subscriber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same internal network, or the power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same internal network.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device 100.

또한 수요응답 운용 서버(300)의 가전 기기 제어 신호 생성부(350)는 저장된 가입자의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 목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ignal generator 350 of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300 may update the stored controllable home appliance list of the subscriber.

한편,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수요응답이 실행되고 도 9와 같은 알람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Meanwhile,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executes a demand response and provides an alarm screen as shown in FIG. 9.

알람 화면에서는 우선, 수요응답 프로그램(미션)의 시작 전까지 또는 참여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 및 절전목표를 제시하고(도 9(a)), 수요응답 프로그램 중에는 진행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알람 화면에서는 진행 속도를 연산하여 현재의 속도로 목표 달성이 어려운 경우에 경보가 표시될 수 있다(도 9(b)). 또한 수요응답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수요응답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도 9(c)) In the alarm screen, first,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start of the demand response program (mission) or the participation time and the power saving target are presented (FIG. 9 (a)), and the progress state is displayed during the demand response program. In this case, the alarm screen may calculate an advancing speed and display an alarm when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target at the current speed (FIG. 9B). In addition, when the demand response program ends,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may display the execution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program (FIG. 9 (c)).

도 10을 참조하면,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수요응답의 참여 결과에 대한 상세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may provide a detailed result of the participation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예를 들어,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현재까지 가입자의 수요응답 참여 결과를 요약한 절전 결과 요약(예컨대, 월별 요약 또는 연도 별 요약) 화면을 제공하고(도 10(a) 참조), 또는 이벤트 별 수요응답 참여 결과를 상세하게 나타낸 화면(도 10(b) 참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입자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가 기기 별 절전량 확인 버튼(1130)을 누르면, 기기 별 절전량 확인 화면(도 11)에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 경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350)는, 기기 별 전력 사용량 및 기기 별 절전량을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provides a summary of power saving results (eg, a monthly summary or a yearly summary) screen that summarizes the subscriber's participation in demand response to date (see FIG. 10 (a)), or an event. It may also provide a screen (see Fig. 10 (b)) showing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demand response. In this case, the subscriber interface 340 moves to the screen on the device-specific power saving confirmation screen (FIG. 11) when the user presses the device-specific power saving confirmation button 1130.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may store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and power saving for each devi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요 대응 관리 시스템은, 소매 전기 사업자에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을 제공하고, 소매 전기 사업자가 상기 역 차액의 발생 예상 시간을 참조하여 절감 요청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절감 요청 시간대를 수요응답 이벤트로 스케줄링하여 가입자가 쉽게 참여 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도 제공된다. Accordingly,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for providing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a reverse difference to a retailer and inputting a reduction request time with reference to the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reverse difference. Can provide. In addition, a subscriber interface is provided so that the subscriber can easily indicate whether to participate by scheduling the above-described saving request time zone as a demand response eve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매 전기 사업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기간에 전력 수요를 감소시키고 유통 전기 사업자의 손실을 절감시키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that reduces power demand and reduces losses of distributors during periods when losses of retail utilities can occu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제어 가능 기기를 수요응답 이벤트 시에 자동으로 제어하여 수요응답의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bscriber interface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automatic controllable device at the time of a demand response event to improve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 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가입자의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전력정보 전송 장치;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응답 운용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에 절감 요청 예상 시간대를 제공한 후,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절감 요청 시간대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절감 요청 입력부;
상기 절감 요청 예상 시간대를 산출하여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에 입력된 절감 요청 시간대에 기초하여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
상기 가입자로부터 상기 스케줄링된 수요응답 이벤트에 대한 참여 여부를 입력 받으며,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의 결과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A pow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usage information indicating power usage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Including a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power usage information,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A saving request input unit providing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saving request time period from the retail utility server after providing the expected saving time period to the retail utility server;
A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expected saving time slot and providing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and generat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scheduling a demand response event based on the saving request period inputted to the saving request input unit;
And a subscriber interface receiving an input of participation in the scheduled demand response event from the subscriber,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o the terminal of the subscriber.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스케줄링 참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매입 예상 가격을 추정하고 상기 전력 매입 예상 가격이 미리 정해진 금액보다 높은 시간 구간을 상기 절전 요청 예상 시간대로 설정하며,
상기 스케줄링 참조 정보는, 온도, 일조량 또는 풍량을 포함하는 날씨 정보; 요일, 지역, 및 사회적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형 부가 정보; 또는 발전 설비의 가용량의 변화 추이 또는 유가 추이를 포함하는 연속형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stimates an estimated power purchase price based on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sets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estimated power purchase pri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s the power saving request estimated time zone,
The scheduling 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sunshine amount or air volume; Categorized si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ay of week, region, and social event; Or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 change in available capacity or a change in oil price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 동안 상기 날씨 정보 또는 상기 연속형 부가 정보가 가장 유사한 일자의 시간별 전력 매입 가격을 전력 매입 예상 가격으로 추정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stimates an hourly power purchase price of a date having the most similar weather information or the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as a power purchase estimated price during a predetermined prediction period.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생성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 동안 상기 분류형 부가 정보가 동일한 경우의 날씨 정보 또는 연속형 부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력 매입 예상 가격으로서 추정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stimates the power purchase estimated price using weather information or continuous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classified additional information is the same during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interval.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예측 구간은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일자와 연도가 다르고 월일 정보가 동일한 일자를 포함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일자로부터 일정 기간으로 결정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prediction interval is determined to include a date different from a date and a year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nd the same month day information, or determined from a date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요청 입력부는 상기 절전 요청 예상 시간대를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소매 전기 사업자가 상기 절전 요청 예상 구간을 참조할 수 있게 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duction request input unit may provide the power saving request estimated time period to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server so that the retail electric service provider may refer to the power saving request predicted interval.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가입자가 절감할 수 있는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목표 절감량을 산출하는 절감 목표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목표 절감량을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urther includes a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target reduction amount including the power consumption that can be reduced by the subscriber, and the subscriber interface includes the target reduction amount calculated by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on unit in the terminal of the subscriber. Provided by,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스케줄링하는 일자로부터 일정한 일자 구간만큼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최소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를 포함하는 시간대의 상기 가입자의 예측 사용량을 결정한 후, 상기 최소 사용량과 상기 예측 사용량의 차에 결정 상수를 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절감량을 산출하며,
상기 절감 목표 산출부는 상기 목표 절감량이 상기 예측 사용량과 평균 예상 오차율을 곱한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목표 절감량을 상기 곱한 값 이상으로 수정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ng unit determines a minimum amount of usage based on time-phase power consumption for a predetermined date interval from a date for schedul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fter determining the predicted usage amount of the subscriber in the time zone includ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calculating the target reduction amount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usage amount and the predicted usage amount by a determination constant,
The reduction target calculating unit corrects the target reduction amoun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ultiplied value when the target reduction amount is smaller than the product of the estimated usage amount and the average estimated error rat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urther includes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력 사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레이블링하여 저장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extracts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from the power usage information, and stores and stores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based on the extracted power usage event information.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질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는 상기 질의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가전 기기 정보 생성부에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의 종류 및 모델 정보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a signal for in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and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responds to the inquiring signal. Transmitting the type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o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기기별 절전량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includes power saving amou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 중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 동안에 자동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선택된 가전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subscriber interface provide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home applian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during the demand response event amo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selected home applianc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리모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원격 리모콘을 통하여 상기 가입자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via a network and includes a remote remot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f the subscriber through the remote remote control,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응답 운용 서버는 상기 수요응답 이벤트의 결과에 대한 보상 정보를 관리하는 보상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상 정보 관리부는 복수의 플랫폼에 따른 서로 다른 보상을 상기 복수의 플랫폼 별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포함하는 수요응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mand response operation server further comprises a compens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for the result of the demand response event,
The rew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stores different reward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latform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forms and provides them to the subscriber interface.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KR1020200014329A 2018-07-24 2020-02-06 A Server for Operat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KR102377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29A KR102377224B1 (en) 2018-07-24 2020-02-06 A Server for Operat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22A KR102076811B1 (en) 2018-07-24 2018-07-24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KR1020200014329A KR102377224B1 (en) 2018-07-24 2020-02-06 A Server for Operat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22A Division KR102076811B1 (en) 2018-07-24 2018-07-24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25A true KR20200018525A (en) 2020-02-19
KR102377224B1 KR102377224B1 (en) 2022-03-22

Family

ID=8098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329A KR102377224B1 (en) 2018-07-24 2020-02-06 A Server for Operat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2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5860A (en) * 2023-07-10 2023-08-08 深圳安培时代数字能源科技有限公司 Power supply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006A (en) * 2011-10-25 2013-05-03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demand based on prior prediction of electric power demand
JP2014014251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7033282A1 (en) * 2015-08-25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80003516A (en) * 2015-06-05 2018-01-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Server, Communic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Power Demand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Usage Thereof
KR102076811B1 (en) * 2018-07-24 2020-02-12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006A (en) * 2011-10-25 2013-05-03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demand based on prior prediction of electric power demand
JP2014014251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80003516A (en) * 2015-06-05 2018-01-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Server, Communic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Power Demand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Usage Thereof
WO2017033282A1 (en) * 2015-08-25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076811B1 (en) * 2018-07-24 2020-02-12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5860A (en) * 2023-07-10 2023-08-08 深圳安培时代数字能源科技有限公司 Power supply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CN116565860B (en) * 2023-07-10 2023-10-10 深圳安培时代数字能源科技有限公司 Power supply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224B1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39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ctively managing electric power over an electric power grid and providing revenue grade data usable for settlement
US11703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ly managing electric power over an electric power grid
Fernandez et al. Game-theoretic approach to demand-side energy management for a smart neighbourhood in Sydney incorporating renewable resources
KR102076811B1 (en)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US1054717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ctively managing electric power over an electric power grid
US852133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electrical supply
Joe-Wong et al. Optimized day-ahead pricing for smart grids with device-specific scheduling flexibility
US8560133B2 (en) Energy smart system
Chen et al. A communication-based appliance scheduling scheme for consumer-premise energy management systems
US1142907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for usage by consumers of energy from electric utility service providers, an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ame
US20150280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or controlling an energy flow taking into account constraints relating to the electricity network
JP6758881B2 (en) Power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support system, power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support method and power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support program
JP6646112B2 (en)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cheduling function
JP2011229374A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emand response events in network
CA288004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grid and network management of grid elements
Tiwari et al. Automated demand response in smart distribution grid: A review on metering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ptimization models
Yaghmaee et al. Power consumption scheduling for future connected smart homes using bi-level cost-wise optimization approach
KR20090032411A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power service policy reflecting power consumption of house in real-time
Huang et al. Optimal smart grid tariffs
KR20200018525A (en) A System For Managing A Demand Respond With A Scheduling Function
US117347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WO2016147391A1 (en) Controller, electricity cost display method, and program
Pichler Communication patterns for demand side flexibility
US202302614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