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560A -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560A
KR20200016560A KR1020180091796A KR20180091796A KR20200016560A KR 20200016560 A KR20200016560 A KR 20200016560A KR 1020180091796 A KR1020180091796 A KR 1020180091796A KR 20180091796 A KR20180091796 A KR 20180091796A KR 20200016560 A KR20200016560 A KR 2020001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riving
hybrid vehicle
vehicle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준
김영철
조이형
양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560A/en
Publication of KR2020001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W20/16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for reducing engine exhaust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driving mode control for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ybrid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onsider a specific area where exhaust gas emission reduction is recommended or compelled to determine a dri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driving control of a hybrid vehicle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area associated with exhaust gas emission; a step of determining a condition for first mode driving using only an electric motor when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a step of controlling a powertrain to perform the first mode driving if the first mode driving is possible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and a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mode driving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specific area.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제어 방법{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배기 가스 배출 저감이 권장 또는 강제되는 특정 지역을 고려하여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vehicle and a driving mod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rmining a driving mode in consideration of a specific region in which emission reduction is recommended or forced.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력원을 함께 사용하는 차를 말하며, 두 가지 동력원은 주로 엔진과 전기모터가 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만을 구비한 차량에 비해 연비가 우수하고 동력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저감에도 유리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is a vehicle that generally uses two power sources together. The two power sources are mainly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Such hybrid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because they are superior in fuel efficiency and superior in power performance as well as in reducing exhaust gas, compared to a vehicle having onl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어떠한 동력계통(Power Train)을 구동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주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전기모터만으로 주행하는 전기차(EV)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모터와 엔진을 함께 가동하여 동력을 얻는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모드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주행 중 조건에 따라 두 모드 간의 전환을 수행한다.Such a hybrid vehicle may operate in two driving modes depending on which power train is driven. One of them is an electric vehicle (EV) mode that runs only with an electric motor, and the other i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mode that operates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and an engine together. Hybrid cars switch between the two modes depending on conditions while driving.

이러한 주행 모드 간 전환은 파워트레인의 효율 특성에 따라, 연비 또는 구동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행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한 제어 방식들은 친환경 차량의 운용에 있어서 효율성에만 치중한 것으로, 친환경 차량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궁극적인 목표와는 거리가 있다.Such switching between driving modes is generally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fuel efficiency or driving efficiency, depending on the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the powertrain. As a result, the control schemes for switching between driving modes are focused only on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the green vehicle, which is far from the ultimate goal for the green vehicle to move forward.

물론, 수동 모드 변경 버튼을 구비하여 특정 구간에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강제로 EV 모드로 주행하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편의성이 떨어지며 배출가스 저감이 바람직한 지역을 최대한 EV 모드로 주행하는데 필요한 SOC를 미리 확보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there may be considered a method of forcibly driving in the EV mode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in a specific section by providing a manual mode change button, but this method is less convenient and travels in the EV mode where the emission reduction is desir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OC necessary to do so in advance.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출 저감이 필요한 지역에서 주행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엔진 기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engine starting without a user's separate operation based on a driving position in an area where emission reduction of exhaust gas is required.

본 발명은 차량 상태와 위치를 고려하여 엔진 기동을 억제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uppressing engine starting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state and position, and a hybrid vehicle performing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가 엔진 기동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일 경우, 차량 상태, 노면 상황 및 운전자의 의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riving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condition, road surface conditions and the driver's will wh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an area that is not suitable for engine starting, and the vehicle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은, 현재 위치가 배기가스 배출과 관련된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는 제1 모드 주행에 대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지역의 진입에 의한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region associated with the exhaust gas emissions; Determining a condition for driving the first mode using only an electric motor when the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Controlling the power train to perform the first mode driving when the first mode driving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mode driving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specific reg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현재 위치가 배기가스 배출과 관련된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가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는 제1 모드로의 진입에 대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상기 모드 판단부가 상기 제1 모드의 진입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지역의 진입에 의한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area associated with the exhaust gas emissions; A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 condition for entry into the first mode using only an electric motor, when the recognition unit determines that it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And when the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o enter the first mode, performs a control to control a power train to perform the first mode driving and to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mode driving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specific region. It may include wealth.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차량 상태와 위치를 고려하여 엔진 기동 또는 엔진 기동 억제를 수행할 수 있다.The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engine start or engine start suppre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state and position.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가 엔진 기동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일 경우, 차량 상태, 노면 상황 및 운전자의 의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an area that is not suitable for starting the engine, the driving mod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condition, the road surface situation, and the driver's will.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존 판단 및 주행 모드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존 진입 여부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specific area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shows an example of a power train structure of a hybrid vehicl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ystem of a hybrid vehicl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ybrid vehicle structure for performing green zone determination and driving mode deter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riving mod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whether a green zone is en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par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배기가스 배출로 인해 영향을 받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차량 상태, 노면 상태 및 운전자의 의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안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tering an area affected by exhaust gas emissions, a method of controlling a driving mode in consideration of a vehicle condition, a road surface condition, and a driver's will, and a hybrid vehicle for performing the same. Sugge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배기가스 배출로 인해 영향을 받는 지역의 개념과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조와 제어 계통을 먼저 설명한다.Prior to describing a driving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and a control system of a hybrid vehicle applicable to the concept and embodiments of a region affected by exhaust gas emissions will be described first.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엔진 가동이 억제되어야 하는 지역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concept of the area where engine operation should be suppressed will be described.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specific area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목적지(10)와 도착지(20) 사이에 배기 가스 배출 저감 또는 배출 금지가 요구되는 특정 지역(30)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특정 지역(30)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역일 수도 있고, 현재/최근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되는 경우라 함은, 법규나 정부 정책 등에 의해 설정된 지역(예컨대, 런던이나 서울 등의 배출가스 관리 지역)일 수도 있고, 지역 특성에 의해 배출가스 저감이 필요한 지역(예컨대, 어린이 보호 구역, 실내 주차장, 주거지역 등)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지역이라 함은, 텔레매틱스 등의 무선 정보를 통해 현재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역, 차량에 구비된 화상(Vision) 정보 획득장치(ADAS 시스템 등)를 통해 판단된 보행자 밀집지역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보행자가 밀집한 지역으로 판단된 경우,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을 통해 수집된 차량 평균속도와 통행량을 기반으로 배출가스가 다량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등에 해당 지역이 특정 지역(30)으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specific region 30 is required between the destination 10 and the destination 20 in which emission reduction or emission restriction is required. The specific area 30 may be a predetermined area or may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 recent situation. In this case, the preset case may be a region (for example, an emission management region such as London or Seoul) set by a law or a government policy, or an area (eg, child protection) that requires emission reduction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reas, indoor car parks, residential areas, etc.). In addition, the area that is set variably refers to an area where the current setting can be confirmed through wireless information such as telematics, and a pedestrian dense area determined by an image information (vision) system (ADAS system, etc.)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like may correspond to this.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where pedestrians are concentrated based on big da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t is estimated that a large amount of emission gas is generated based on the average speed and traffic volume collected through the telematics service. This particular area 30 may be set.

특정 지역(30)은 임의의 행정 구역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고, 경계점이 되는 복수의 좌표들을 잇는 구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특정 시설 자체/일부 또는 특정 시설/좌표로부터 일정 반경 거리 내의 구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specific area 30 may be set in any administrative area unit, or may be set as an area connect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which are boundary points, and set as an area within a certain radius of a specific facility itself / part of or a specific facility / coordinate. May be

물론, 상술한 특정 지역의 설정례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지역의 설정 기준, 설정 범위, 설정 기간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특정 지역(30)은 출발지(10)와 목적지(20) 사이에 위치함을 상정하나, 반드시 목적지(20)가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의 네비게이션 기능 상에서 명시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목적지(20)는 운전자의 운행 패턴이나 미리 설정된 운행 조건(시간, 지역 등)에 따라 차량에서 임의로 설정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 지역(30)의 경로 내 존재 여부 및 범위는 해당 지역에 진입하기 전에 차량에 획득될 수도 있고, 주변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setting example of the specific region is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etting criteria, setting range, setting period, etc. of the specific regio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icular region 30 is located between the origin 10 and the destination 20, but the destination 20 must be explicitly provided by the user on the navigation function of the AVN (Audio / Video / Navigation) system. It is not required to be set. For example, the destination 20 may be arbitrarily set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pattern or preset driving conditions (time, area, etc.). The presence and range of the specific area 30 in the path may be acquired by the vehicle before entering the area, or may be dynamical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보다 구체적인 특정 지역(30)의 판단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편의상 배기 가스 저감/배출 금지가 요구되는 특정 지역을 "그린존(Green Zone)"이라 칭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pecific region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a specific area where exhaust gas reduction / emission prohibition is required will be referred to as a "green zone".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Next, a hybrid vehicle structur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 shows an example of a power train structure of a hybrid vehicl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내연기관 엔진(ICE, 110)과 변속기(150) 사이에 전기 모터(또는 구동용 모터, 140)와 엔진클러치(EC: Engine Clutch, 130)를 장착한 병렬형(Parallel Type)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 an electric motor (or driving motor 140) and an engine clutch (EC) 130 are mounted betwe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 ICE 110 and a transmission 150 in parallel. A power train of a hybrid vehicle employing a hybrid system is shown.

이러한 차량에서는 일반적으로 시동후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밟는 경우, 엔진 클러치(130)가 오픈된 상태에서 먼저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140)가 구동되고, 모터의 동력이 변속기(150) 및 종감속기(FD: Final Drive, 160)를 거쳐 바퀴가 움직이게 된다(즉, EV 모드). 차량이 서서히 가속되면서 점차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면, 보조 모터(또는, 시동발전 모터, 120)가 동작하여 엔진(110)을 구동할 수 있다.In such a vehicle, in general,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accelerator after starting, the motor 140 is first driven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in the state where the engine clutch 130 is opened, and the power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150 and the sub-decelerator. The wheel moves through (FD: Final Drive, 160) (ie EV mode). When the vehicle is gradually accelerated and needs a larger driving force, the auxiliary motor (or the start generation motor 120) may operate to drive the engine 110.

그에 따라 엔진(110)과 모터(140)의 회전속도가 동일해 지면 비로소 엔진 클러치(130)가 맞물려 엔진(110)과 모터(140)가 함께, 또는 엔진(110)이 차량를 구동하게 된다(즉, EV 모드에서 HEV 모드 천이). 차량이 감속되는 등 기 설정된 엔진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엔진 클러치(130)가 오픈되고 엔진(110)은 정지된다(즉, HEV 모드에서 EV 모드 천이).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제동시 휠의 구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제동에너지 회생, 또는 회생 제동이라 한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speeds of the engine 110 and the motor 140 are the same, the engine clutch 130 is engaged with the engine 110 and the motor 140 together, or the engine 110 drives the vehicle (that is, the engine 110). , Transition from HE mode to HEV mode). When the preset engine off condition is satisfied that the vehicle is decelerated, the engine clutch 130 is opened and the engine 110 is stopped (ie, the EV mode transition in the HEV mode). In addition, in a hybrid vehicle,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during braking to charge the battery, which is referred to as braking energy regeneration or regenerative braking.

시동발전 모터(120)는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에는 스타트 모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시동이 걸린 후 또는 시동 오프시 엔진의 회전 에너지 회수시에는 발전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스타트 제너레이터(HSG: Hybrid Start Generator)"라 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보조 모터"라 칭할 수도 있다.The starting generation motor 120 serves as a start motor when the engine is started, and operates as a generator after starting the engine or recovering rotational energy of the engine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thus, "hybrid start generator (HSG: Hybrid Start). Generator ", and in some cases, may be referred to as" auxiliary motor ".

상술한 파워 트레인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제어기 간의 상호관계가 도 3에 도시된다.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lers in a vehicle to which the above-described power train is applied is shown in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ystem of a hybrid vehicl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내연기관(110)은 엔진 제어기(210)가 제어하고, 시동발전 모터(120) 및 전기 모터(140)는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220)에 의해 토크가 제어될 수 있으며, 엔진 클러치(130)는 클러치 제어기(230)가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제어기(210)는 엔진 제어 시스템(EMS: Engine Management System)이라도 한다. 또한, 변속기(150)는 변속기 제어기(250)가 제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시동발전 모터(120)의 제어기와 전기 모터(140) 각각을 위한 제어기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in a hybrid vehicl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10 is controlled by the engine controller 210, and the start-generation motor 120 and the electric motor 140 are motor controllers (MCUs). : Torque may be controlled by the Motor Control Unit 220, and the engine clutch 130 may be controlled by the clutch controller 230, respectively. The engine controller 210 may be an engine control system (EMS).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150 is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ler 250. In some cases, a controller for each of the start-up motor 120 and the controller for the electric motor 140 may be provided separately.

각 제어기는 그 상위 제어기로서 모드 전환 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ler Unit, 240)와 연결되어, 하이브리드 제어기(240)의 제어에 따라 주행 모드 변경, 기어 변속시 엔진 클러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또는 엔진 정지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그(240)에 제공하거나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ach controller is connected to a Hybrid Controller Unit (HCU) that controls the overall mode switching process as its upper controller, and is required for changing the driving mode and controlling the engine clutch when shifting gears under the control of the hybrid controller 240. Information and / or information necessary for engine stop control may be provided to the 240 or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모드 전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일례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엔진 클러치(130)의 해제(Open) 시점을 판단하고, 해제시에 유압(습식 EC인 경우)제어나 토크 용량 제어(건식 EC인 경우)를 수행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EC의 상태(Lock-up, Slip, Open 등)를 판단하고, 엔진(110)의 연료분사 중단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엔진 정지 제어를 위해 시동발전 모터(120)의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토크 지령을 모터 제어기(220)로 전달하여 엔진 회전 에너지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주행 모드 전환 제어시 모드 전환 조건의 판단 및 전환을 위한 하위 제어기의 제어가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hybrid controller 240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hybrid controller determines the release time of the engine clutch 130 and performs hydraulic pressure (when wet EC) control or torque capacity control (when dry EC) at the time of release. In addition, the hybrid controller 24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EC (Lock-up, Slip, Open, etc.) and control the fuel injection stop point of the engine 110. In addition, the hybrid controller may transmit the torqu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orque of the start-up motor 120 to the motor controller 220 to control the engine rotation energy recovery for engine stop control. In addition, the hybrid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lower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d switching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uring the driving mode switching control.

물론, 상술한 제어기간 연결관계 및 각 제어기의 기능/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그 명칭에도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그를 제외한 다른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해당 기능이 대체되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제어기들 중 둘 이상에서 해당 기능이 분산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Of cours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control period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function / division of each controller are exemplary and not limited to the names thereof. For example, the hybrid controller 240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vided in place of one of the other controllers except that, or the function may be distributed in two or more of the other controllers.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그린존을 판단하고, 후술할 그린존 진입 판단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주행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차량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 green zone in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determining a driving mod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when determining to enter a green zo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존 판단 및 주행 모드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ybrid vehicle structure for performing green zone determination and driving mode deter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300)은 그린존 인식부(310), 모드 판단부(320) 및 제어 수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hybrid vehic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green zone recognition unit 310, a mode determination unit 320, and a control execution unit 330.

여기서 그린존 인식부(310)는 영상 인식을 수행하는 영상 인식부(311),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부(313),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315), 네비게이션 시스템(317) 및 그린존 판단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een zone recognition unit 310 may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unit 311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a GPS receiver 313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 map database 315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317. And a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영상 인식부(311)는 카메라 등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영상은 특징점 추출, 표지판 인식, 사물 인식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현재 위치가 실내외인지, 주차장, 공원,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병원 등 그린존에 해당하는 위치인지 여부 및 인구 밀집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image recognition unit 311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acquis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and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e acquired image is processed through feature extraction, sign recognition, object recognition, etc.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indoor or outdoor, whether the loca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such as parking lot, park, drive through, hospital, and population density. You can judge.

GPS 수신부(313)는 적어도 하나의 GPS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GPS receiver 313 may include at least one GPS module to acquir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system.

지도 데이터 베이스(315)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며, 도로의 종류, 경사도, 거리 정보, 그린존 설정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map database 315 stores map information and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road type, slope, distance information, green zon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네비게이션 시스템(317)은 GPS 수신부(313)로부터 전달된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 베이스(315)의 지도 정보에 적용하여 현재 위치가 지도 정보에 설정된 그린존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목적지가 입력된 경우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그린존의 존재 여부, 그린존의 위치, 그린존의 길이, 그린존 내의 지형 특성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navigation system 317 appli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PS receiver 313 to the map information of the map database 315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set in the map information and the driving route when the destination is inpu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green zone positioned on the top, the location of the green zone, the length of the green zone,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zone, and the like.

그린존 판단부(319)는 영상 인식부(311)와 네비게이션 시스템(317)이 획득한 정보를 종합하여 현재 위치가 그린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may finall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311 and the navigation system 317.

그린존 판단부(319)가 현재 위치를 그린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모드 판단부(320)는 차량 상태, 노면 상태, 운전자 의지(요구 구동력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EV 모드 주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EV mode is drive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vehicle state, the road surface state, and the driver's will (required driving force, etc.). You can decide.

제어 수행부(330)는 모드 표시부(331) 및 주행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드 표시부(331)는 모드 판단부(320)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소정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제어부(333)는 모드 판단부(320)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로 파워 트레인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performing unit 330 may include a mode display unit 331 and a driving control unit 333, and the mode display unit 331 may output the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in a predetermined form. Can be.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333 may control the power train in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예를 들어, 모드 판단부(320)와 제어 수행부(330)의 판단 및 동작 형태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and operation forms of the mode determiner 320 and the control performer 330 may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그린존 판단Green Zone Judgment 모드 판단Mode judgment 제어 수행Take control 차량 위치Vehicle location 판단 조건Judgment condition EV 진입 여부EV status 파워트레인 제어Powertrain control 표시 상태Display status 그린존 아님Not Green Zone 디폴트 판단Default judgment 디폴트 판단Default judgment 디폴트 제어Default control 디폴트 표시Default display 그린존Green zone 낮은 SOC
추월 가속
높은 요구 파워
Low SOC
Overtaking acceleration
High demand power
미진입Not entering HEV 모드 제어HEV mode control 그린존에 의한 EV 모드 미적용 표시Display without EV mode by green zone
그린존Green zone 정상 SOC
모터 최대 출력 이하의 요구 파워
Normal SOC
Required power below the maximum motor output
진입enter EV 모드 제어EV mode control 그린존에 의한
EV 모드 적용 표시
By Green Zone
EV mode application indication

표 1에 정리된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s of the matters summarized in Table 1 are as follows.

먼저, 그린존이 아닌 경우 모드 판단부(320)와 제어 수행부(330)는 디폴트 설정에 따라(예컨대, 연비 및 요구 파워 만족을 위한 기준), EV 모드와 HEV 모드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when not in the green zone,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and the control execution unit 330 may switch between the EV mode and the HEV mode according to a default setting (for example, a criterion for satisfying fuel economy and power demand). .

이와 달리, 현재 위치가 그린존에 해당할 경우 모드 판단부(320)는 차량 상태, 노면 상태 및 운전자 의지 등 판단 조건을 고려하여 EV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비록 현재 위치가 그린존이라 하더라도 시스템의 보호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EV 모드 진입이 불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contrast, when the curren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EV mode in consideration of determination conditions such as a vehicle state, a road surface state, and a driver's intention. This is because even if the current location is a green zone, it may not be possible to enter the EV mode when the system needs to be protected.

예컨대, 차량 상태에 있어서 전기 모터(140)를 구동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가 낮은 경우, EV 모드에 진입할 수 없으므로, 정상 상태로 볼 수 있는 기 설정된 SOC 값 이상인 경우에만 EV 모드로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high-voltage battery driving the electric motor 140 is low in the vehicle state, the EV mode cannot be entered, and thus, the EV mode is only entered when the SOC value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OC value that can be viewed as a normal state. May be allowed to enter.

다른 예로, 전기 모터 및 고전압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과온인 상황에서는 지속적인 EV 모드 주행시 부가적인 출력제한 발생이 가능하며, 손상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해당 구성 요소의 온도가 정상 온도 범위에 있을 경우에만 EV 모드로의 진입이 혀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high voltage battery is overheated, an additional power limitation may occur when driving the continuous EV mod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so that the EV mode is only availab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i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Entry into the furnace may be allowed.

또한, 노면 상태에 있어서 급 경사와 같은 경우 전기 모터(140)의 출력만으로 주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지속 주행시 급격한 SOC 하락이 예상되므로 경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만 EV 모드로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road surface state, such as a sudden inclination may be difficult to drive only by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140, and the sudden SOC is expected to drop during continuous driving, it may be allowed to enter the EV mode only when the inclin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have.

아울러, 운전자의 의지에 있어서, 위험 상황 회피나 추월을 위한 급가속(예컨대, full APS)이 요구되거나 교통 흐름에 맞추어 운전을 하기 위해 전기 모터(140)의 최대 출력을 상회하는 요구 파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EV 모드로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driver's will, a rapid acceleration (eg, full APS) for avoiding or overtaking a dangerous situation is required, or a required power that exceeds the maximum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140 is generated to drive in accordance with traffic flow. In this case, entry into the EV mode may be restricted.

다음으로, 그린존에서의 제어 수행부(33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the control execution unit 330 in the green zone will be described.

모드 판단부(320)에서 EV 모드 진입을 결정한 경우, 주행 제어부(333)는 파워 트레인을 EV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드 표시부(331)에는 그린존에 진입했기 때문에 EV 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mod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o enter the EV mode, the driving controller 333 may control the power train to the EV mode, and the mode display unit 331 may indicate that the mode is changed to the EV mode because the green zone has been entered. May be output.

이와 달리, 모드 판단부(320)에서 EV 모드 미진입을 결정한 경우, 주행 제어부(333)는 파워 트레인을 HEV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드 표시부(331)에는 그린존에 진입했으나 EV 모드로 전환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de determining unit 320 determines not to enter the EV mode, the driving controller 333 may control the power train to the HEV mode, and the mode display unit 331 enters the green zone but does not switch to the EV mode. Information indicating no can be output.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영상 인식부(311)는 첨단 운전 보조 장치(ADAS)에 구비된 영상획득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고, ADAS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recognition unit 311 may use an image acquisition means provided in the advance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DAS),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the ADAS.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시스템(317)은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vigation system 317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VN (Audio / Video / Navigation) system.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그린존 판단부(319)는 AVN 시스템과 별도의 제어기로 구현될 수도 있고, AVN 시스템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별도의 제어기로 구현될 경우, 그린존 판단부(319)는 하이브리드 제어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린존 판단부(319)는 하이브리드 제어기일 경우,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전술한 각 구성 요소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그린 존을 EV 모드로 주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그린존 진입 전까지 충전 가능량 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그린존을 우회할지, 우회할 경우 어떠한 경로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판단결과를 네비게이션 시스템(317)에 제공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그린존 진입 전까지 배터리 충전이 수행되도록 HEV 모드 주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린존 진입시에는 EV 모드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ler separate from the AVN system,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the AVN system. When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troller,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may be a hybrid controll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When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is a hybrid controller, the hybrid controller determines energy required to drive the green zone in the EV mode, chargeable amount before entering the green zone,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bypass the green zone or to select a path in case of detour, and provide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navigation system 317 so that the navigation system can reset the path. In addition, the hybrid controller may control driving of the HEV mode so that battery charging is performed before entering the green zone,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EV mode when entering the green zone.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그린존 판단부(319)는 최종 그린존 여부 판단에 있어서 영상 인식부(311)의 인식 결과와 네비게이션 시스템(317)의 인식 결과가 상이한 경우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인식 결과가 그린존으로 동일한 경우에만 현재 위치가 그린존인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weights any one whe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image recognition unit 311 and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navigation system 317 are different in determining the final green zone. Or may be finally determined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the green zone only when the recognition result is the same as the green zone.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영상 인식부(311)는 그린존인지 여부가 아닌 획득된 영상 또는 영상 처리 결과물을 그린존 판단부(319)에 제공하고, 그린존 판단부(319)에서 전달된 영상을 이용하여 그린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소정의 버튼 조작이나 메뉴 조작 등을 통해 운전자가 직접 현재 지역이 그린존에 해당함을 명령 형태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recognizing unit 311 provides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with the acquired image or image processing result, and whether the green zone determination unit 319 is a green zone. It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green zone is performed using the transferred imag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r may directly input the curren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green zone in a command form through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or menu operation.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모드 판단부(320)와 주행 제어부(333)는 하이브리드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드 표시부(331)는 클러스터나 AVN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de determining unit 32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333 may be implemented as a hybrid controller, and the mode display unit 331 may be a display of a cluster or an AVN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상술한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내면 도 5와 같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shown in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린존 진입 여부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riving mod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whether a green zone is en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 인식(510) 및 지도 인식(520)을 통해, 현재 위치가 그린존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530). 여기서 영상 인식 단계(510)와 지도 인식(520)의 선후 순서는 서로 바뀔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5, first, through image recognition 510 and map recognition 5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green zone (S530). Here, the order of the image recognition step 510 and the map recognition 520 may be reversed or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현재 위치가 그린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540의 No), 디폴트 설정에 따른 모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현재 주행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S550).When the current posi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green zone (No in S540), mode control according to a default setting may be performed, and the current driving mode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550).

이와 달리, 현재 위치가 그린존에 해당할 경우(S540의 Yes), 시스템/차량 상태, 노면 상태, 운전자 의지 등 그린존 내에서의 EV 모드 진입 조건이 판단될 수 있다(S560).In contrast, when the curren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green zone (Yes in S540), the EV mode entry condition in the green zone may be determined, such as a system / vehicle state, a road surface state, and a driver's will (S560).

판단 결과에 따라 EV 모드로 진입할 것이 결정되면(S570의 Yes), 그린존에 의한 EV 모드 진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됨과 함께(S580) 파워 트레인이 EV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o enter the EV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Yes in S570), information indicating the EV mode entry by the green zone is displayed (S580) and the power train may be controlled to the EV mode.

이와 달리, 판단 결과에 따라 EV 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 결정되면(S570의 No), 그린존에 진입하나 EV 모드로 진입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됨과 함께(S590) 파워 트레인이 HEV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entry into the EV mode is not allow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No in S570),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green zone is entered but not the EV mode is displayed (S590) and the power train is HEV. Can be controlled in mode.

따라서, 일반적인 HEV의 경우 그린존에 진입시 EV 버튼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강제 EV 모드 전환만이 가능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도 정보 및 비전 정보 등을 활용하여 그린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주행 여건에 따라 EV 모드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배출가스 저감을 통한 환경 보호가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general HEV, only forced EV mode switching by manual operation of the EV button when entering the green zone was possible,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een zone is automatically recognized by using map information and vision information, Therefore, by providing the EV mode automatically, i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driver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emission reducti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ere is this.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가 배기가스 배출과 관련된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는 제1 모드 주행에 대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지역의 진입에 의한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In the traveling control method of a hybrid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region associated with exhaust gas emission;
Determining a condition for driving the first mode using only an electric motor when the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Controlling the power train to perform the first mode driving when the first mode driving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And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mode driving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specific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현재 차량 상태, 현재 주행 중인 노면 상태 및 운전자의 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ition is
And at least one of a current vehicle state, a road surface state currently being driven, and a driver's wil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차량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기 모터의 과온 여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And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SOC), and whether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motor are overheat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상태는,
현재 주행 중인 노면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road surface state,
Running control method of a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slope of the road surface currently runn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의지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 파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er will
A traveling control method for a hybrid vehicle, including a required power by the driver's ope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적어도 엔진을 이용하는 제2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했으나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power train to perform at least a second mode driving using an engine when the first mode driving is im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 And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mode is entered but the first mode driving is not per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영상 인식 및 지도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hybrid vehicle, which is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image recognition and map recogni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연비 및 요구 파워를 고려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and if no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performing driving mode control based on a preset criterion in consideration of fuel consumption and required pow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은,
상기 배기가스 배출 저감이 강제 또는 권장되는 지역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area,
And a region in which the exhaust emission reduction is forced or recommended.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traveling control method of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
현재 위치가 배기가스 배출과 관련된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가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는 제1 모드로의 진입에 대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모드의 진입 여부를 는 판단하는 모드 판단부; 및
상기 모드 판단부가 상기 제1 모드의 진입을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지역의 진입에 의한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수행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In a hybrid car,
Recogniz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corresponds to a specific region associated with the exhaust gas emissions;
A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 condition for entry into the first mode using only an electric motor, when the recognition unit determines that it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And
When the mode determiner determines to enter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train to perform the first mode driving and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mode driving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specific region. Including, hybrid car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현재 차량 상태, 현재 주행 중인 노면 상태 및 운전자의 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dition is
And at least one of a current vehicle condition, a road surface condition currently being driven, and a driver's will.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차량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기 모터의 과온 여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2,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motor is over temperatur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상태는,
현재 주행 중인 노면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2,
The road surface state,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slope of the road surface currently running.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의지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 파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iver will
A hybrid vehicle, which includes the required power by the driver's opera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단부에서 상기 제1 모드의 진입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행부는,
적어도 엔진을 이용하는 제2 모드 주행이 수행되도록 파워 트레인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지역에 진입했으나 상기 제1 모드 주행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f it is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entry of the first mode is impossible,
The control execu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train to perform at least a second mode travel using the engine and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rticular mode has been entered but the first mode travel is not perform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영상 인식부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ognition unit,
And at least one of an image recognition unit and a navigation system.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수행부는,
연비 및 요구 파워를 고려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주행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un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pecific area,
The control execution unit,
A hybrid vehicle which performs driving mode contro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consideration of fuel consumption and power deman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은,
상기 배기가스 배출 저감이 강제 또는 권장되는 지역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pecific area,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n area in which the emission reduction is forced or recommended.
KR1020180091796A 2018-08-07 2018-08-07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KR202000165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96A KR20200016560A (en) 2018-08-07 2018-08-07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96A KR20200016560A (en) 2018-08-07 2018-08-07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60A true KR20200016560A (en) 2020-02-17

Family

ID=6967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796A KR20200016560A (en) 2018-08-07 2018-08-07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56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0136A1 (en) * 2019-03-19 2020-09-24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Germany Gmbh Method of selecting an operating mode of an active sound generating device of an exhaust system, exhaust system, and motor vehicle
CN113715803A (en) * 2020-05-22 2021-11-3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medium for vehicle with hybrid coupling system
US20220001852A1 (en) * 2020-07-03 2022-01-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EP3961025A1 (en) * 2020-08-20 2022-03-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ngine star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0136A1 (en) * 2019-03-19 2020-09-24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Germany Gmbh Method of selecting an operating mode of an active sound generating device of an exhaust system, exhaust system, and motor vehicle
CN113715803A (en) * 2020-05-22 2021-11-3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medium for vehicle with hybrid coupling system
CN113715803B (en) * 2020-05-22 2024-05-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medium for vehicle with hybrid power coupling system
US20220001852A1 (en) * 2020-07-03 2022-01-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EP3961025A1 (en) * 2020-08-20 2022-03-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ngine sta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7165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mode for the same
KR102422138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operation for the same
KR102569895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US10864794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heating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444667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mode for the same
KR20200016560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JP7313810B2 (en) Hybrid vehicle and motor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92831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US20240083411A1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engine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49194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mode for the same
KR20210029877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control for the same
US11453383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gear shift for the same
KR102444662B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mode for the same
KR20220169617A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engine start control for the same
KR20230108592A (en) Eco-friendly vehicle and method of engine control for the same
KR20210060693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mode for the same
KR20210022204A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mode control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