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403A -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 Google Patents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403A
KR20200012403A KR1020180087671A KR20180087671A KR20200012403A KR 20200012403 A KR20200012403 A KR 20200012403A KR 1020180087671 A KR1020180087671 A KR 1020180087671A KR 20180087671 A KR20180087671 A KR 20180087671A KR 20200012403 A KR20200012403 A KR 2020001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ode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9528B1 (en
Inventor
세컨드 마이클 디쉐이져
Original Assignee
세컨드 마이클 디쉐이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컨드 마이클 디쉐이져 filed Critical 세컨드 마이클 디쉐이져
Priority to KR102018008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28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and an application for rental of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battery.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de for activating the battery by using a pre-stored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and activates the battery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obtain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compared with the generated code, and the codes match each other.

Description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ELECTRICAL TRANSPORTATION,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본 발명은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공유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대여가 가능한 전동 운송 수단 및 이를 대여하기 위한 방법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 method and an application for sharing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be rented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and application for renting the same.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차량 등을 공유하는 카 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ar sharing services that share vehicles.

이러한 카 쉐어링 서비스는 렌터카와는 달리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주택가, 업무 지역 등에 차량을 보관하고, 시간 단위로 차량을 빌릴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is car sharing service differs from a car in that it can store a vehicle in a residential area, a work area, and rent a vehicle on an hourly basis.

또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웹사이트 등의 IT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차량을 검색, 예약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모든 이용 절차 과정이 무인으로 운영되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by utilizing IT technologies such as smartphone applications and mobile websites, users can easily search for, reserve, and use a nearby vehicle online, and all usage procedures are being operated unattended.

한편 퍼스널 모빌리티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운송 수단으로 차량뿐만 아니라 전동 스쿠터, 전동휠 등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전동 운송 수단을 대여하는 서비스들이 제안되고 있다.Meanwhile, as interest in personal mobility technology increases, not only vehicles but also electric scooters and electric whee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ly, services for renting such electric transportation means have been proposed.

다만 종래의 쉐어링/대여 서비스의 경우 운송 수단의 관리, 사용 인증 등을 위해 각 운송 수단과 서버 사이의 통신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aring / loan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each vehicle and the server must be continuously connected for management of the vehicle, authentication of use, and the like.

따라서, 대여 서비스를 운영을 위한 초기 장치 설치비용이 상당하고, 지속적인 통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itial device installation cost for operating the rental service is considerable, and a constant communication cost occurs.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4372호(2013.10.18)에 개시되어 있다. Meanwhile,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4372 (2013.10.18).

본 발명은 운송 수단과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줄일 수 있는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a method of renting an electric vehicle, and an application capable of reduc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인증 정보 획득부;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time)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활성화를 위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인증 코드와 생성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battery,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 code for activation of the battery using a pre-stored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and the authentication obtain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mparing the code and the generated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ctivating the battery if the match.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코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는,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NFC 모듈, 바코드 인식 모듈 및 QR코드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a Wi-Fi module, NFC module, barcode recognition module and QR code recognition modul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동기화 시간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obtain synchronization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의 바퀴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잠그도록 구성되는 바퀴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인증 코드와 생성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바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바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heel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physically lock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is generated with an authentication cod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mparing the code, if the match is to control the wheel locking device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wheel.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인증 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de matches each preset period.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PS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a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거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de by connecting to a server via a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경적음을 출력하는 경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적부를 제어하여 경적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rn unit for outputting a horn sou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output the horn sound by controlling the horn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은 전동 스쿠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scooter.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이용 가능한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전동 이동 수단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전동 이동 수단의 이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인증 코드를 상기 전동 이동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nting a motor vehicle, including: displaying, by a user terminal,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location of available motor vehicles on a map;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of the electric movement means from a user;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to a server;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n authentication code from a server; And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electric vehicle 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운행 종료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selection of driving termin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t is done.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코드는 전동 이동 수단의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을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배터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nting a motor vehicle, including: receiving, by the electric vehicle,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by the motorized means, a code using a pre-stored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Comparing the generated code with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by the motorized means; And when the generated code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coincide, activating the battery by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상기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바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unlocking the wheel by the electric vehicle, if the generated code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match.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인증 정보의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전동 운송 수단과 서버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 수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and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server by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ia the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nt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8 is another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nt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nother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motor vehicle, a motor vehicle rental method an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시스템은 전동 운송 수단(100),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server 300.

전동 운송 수단(100)은 전기를 동력으로 구동되는 운송 수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전기차, 전동 오토바이, 전동 스쿠터(킥보드), 전동휠, 전동 자전거 등이 전동 운송 수단(100)으로 채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스쿠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electric vehicle 100 means a vehicle that is driven by electric power.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motorcycle, an electric scooter (kickboard), an electric wheel, an electric bicycle, or the like may be employed as the electric vehicle 100. Can b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lectric scooter as an example.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개인용 컴퓨터 등에 해당하며,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유닛, 통신 유닛, GPS, 제어 유닛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s to a smart phone, a smart pad, a personal computer, etc. possessed by a us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GPS, a control unit, and the like.

서버(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단일인 서버뿐만 아니라, 다수의 서버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server 300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may mean not only a single physical server but a plurality of server se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은 제어부(110), 통신부(120), GPS(130), 바퀴 잠금 장치(140), 배터리(150) 및 경적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roller 110,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GPS 130, the wheel locking device 140, the battery 150, and the horn 160. ) May be included.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or 12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communicator 120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and NFC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와이파이를 통해 공개된 무선 AP를 이용하여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3G, 4G 등의 상용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여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and in this case,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using a publicly available wireless AP through Wi-Fi. have. Alternatively, the server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00 by including a module capable of using a commercial network such as 3G and 4G.

GPS(130)는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을 통해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예에서 GPS(130)가 전동 운송 수단(1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후술할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PS 13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GPS 130 may not be included as a component of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in this case, as described later, the GPS 130 may be loc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t may be configured to locate.

바퀴 잠금 장치(140)는 전동 운송 수단(100)의 바퀴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잠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동식 브레이크, 바퀴의 회전을 막는 물리적인 장치 등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wheel locking device 140 may perform a function of physically lock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is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n electric brake, a physical device that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wheels.

배터리(150)는 전동 운송 수단(100)에 전력을 제공한다.The battery 150 provides power to the motor vehicle 100.

경적부(16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경적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Horn unit 160 may include a speaker to generate a horn sound.

이외에도 전동 운송 수단(100)는 배터리(150)를 이용하여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각종 프레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전동 운송 수단(100)의 일반적인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에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various frames, and the like, which transmit power to the wheels using the battery 150, but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corresponds to a well-known techniqu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110)는 전동 운송 수단(100)의 구동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o be activated or deactivated.

활성화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배터리(150)를 활성화 시켜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바퀴 잠금 장치(140)를 제어하여 바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In the activated state, the controller 110 may allow the battery 150 to be activated to provide power, and may control the wheel locking device 140 to release the wheel lock.

비활성화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배터리(150)를 비활성화 시켜 전력 제공을 차단할 수 있고, 바퀴 잠금 장치(140)를 제어하여 바퀴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deactivated state, the controller 110 may deactivate the battery 150 to block the power supply, and control the wheel locking device 140 to lock the wheel.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인증 코드)에 기초하여 전동 운송 수단(10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electric vehicle 100 based 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예를 들어, 이러한 인증 코드는 전동 운송 수단(100)의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time) 정보를 통해 생성되는 암호일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주기적(예: 1분, 5분 등)으로 변경되는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is authentication code may be a password generate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motor vehicle 100. That is, the controller 11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that is changed periodically (for example, 1 minute, 5 minutes, etc.), which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e time password (OTP).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코드와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인증 코드가 일치할 경우에 전동 운송 수단(10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activate the electric vehicle 100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러한 인증이 수행되는 제어부(110)는 설정 시간(예: 10분) 동안 전동 운송 수단(100)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설정 시간 내에 인증 갱신이 수행되면 전동 운송 수단(100)의 활성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in which such authentication is performed may maintain the activated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0 for a set time (for example, 10 minutes). When the authentication update is performed within the set time, the activated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activated. Can be kept.

전동 운송 수단(100)의 운행이 종료되면, 제어부(110)는 바퀴 잠금 장치(140)를 제어하여 바퀴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고, 배터리(15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When the driv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0 ends,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wheel locking device 140 to change the wheel to the locked state and deactivate the battery 150.

또한 이때 제어부(110)는 GPS(130)를 통해 획득되는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 정보를 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obtained through the GPS 130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lternatively,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11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o the server 300.

한편 인증 코드 생성을 위한 고유 식별 코드 및 동기화 시간 정보는 제어부(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나, 시간 정보에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정보는 인증 코드가 수신되었으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ynchronization time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authentication cod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110, if a discrepancy occurs in the tim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tim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but does not match.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동 이동 수단(100)은 사용자 단말(200)을 중계로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테더링 등의 방식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100)과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결제 등이 수행되면,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100)으로 인증 코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by relaying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the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tethering method. In this case, when pay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s performed, the server 3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동 운송 수단(100)은 통신부(120) 대신 인식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부(170)는 촬상 장치를 포함하여 바코드나 QR코드를 읽을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vehicle 100 may include a recognition unit 170 instead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recognition unit 170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reading a barcode or a QR code, including an imaging device.

즉,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바코드나 QR코드를 읽는 방식으로 인증 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1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code by reading a barcode or a QR cod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이러한 전동 운송 수단(100)의 통신부(120) 또는 인식부(170)를 통칭하여 인증 정보 획득부라고 지칭하기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the recognition unit 17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nt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된다.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shown in FIG. 4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200.

먼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 유닛은 입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용할 전동 운송 수단 선택을 입력받는다(S400).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와 이용 가능한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이용 가능한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of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sel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o be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S400). As illustrated in FIG. 5,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a location of available electric vehicles on a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vailable electric vehicle from the server 300.

사용자는 이러한 화면 표시에서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전동 이동 수단을 입력 유닛(예: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In this screen display, the user can select the electric vehicle to be used by the user through an input unit (for example, a touch screen).

이때 사용자가 지도를 이용하여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동 이동 수단의 경우 해당 전동 이동 수단이 사용자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형태로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using a map, but in the case of the electric vehicl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he syste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user. .

이어서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한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전동 운송 수단의 식별 정보 및 이용에 대한 요금 지불 보증 또는 결제를 진행한다(S410). 즉,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사용 플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은 선택된 플랜에 따른 요금 결제를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요금 지불 보증(예: 카드 정보 입력) 프로세스 등을 진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ceed with payment guarantee or payment f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 of the electric vehicle (S410). That is, the user may select one of various usage plans as shown in FIG. 6, and the control unit may proceed with the pay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selected plan or the payment payment guarantee (eg, card information input) process. Can be.

이후 제어 유닛은 서버(300)로부터 시간 기반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S420). 즉, 상술한 것과 같이, 전동 이동 수단(100)의 제어부(110)에서 생성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인증 코드는 서버(300)에서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다. 서버(300)는 각 전동 이동 수단의 고유 식별 코드를 미리 기록하고 있으므로, 전동 이동 수단(100)의 제어부(110)와 동일한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a time-based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server 300 (S42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1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is generated in the server 3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Since the server 300 records in advanc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motor vehicle, the same authentication code as that of the controller 110 of the motor vehicle 100 can be generated.

이어서 제어 유닛은 전동 운송 수단으로 인증 코드를 전송한다(S430).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으로 인증 코드를 전송하거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QR코드나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electric vehicle (S4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output a QR code or a barcode through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7.

이러한 인증 방식은 전동 이동 수단(100)과 서버(300)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동 이동 수단(100)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Such an authentication scheme enables mutual authentication to be performed even whe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the server 300 is not per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인증 코드뿐만 아니라 동기화 시간 정보 또한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an authentication code but also synchronization tim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00 to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100)의 경적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전동 이동 수단(1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전동 이동 수단(100)의 제어부(1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경적을 울릴 수 있다. 이때의 제어 신호의 전달은 통신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control the horn 16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the user may ring a horn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of the motor vehicle 100 to be use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8 is another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nt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은 전동 이동 수단(200)에서 수행된다.The electric vehicle rental method shown in FIG. 8 is performed in the electric vehicle 200.

전동 이동 수단(200)의 제어부(110)는 먼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S800).The control unit 110 of the electric vehicle 200 first receives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user terminal 200 (S800).

이어서 제어부(110)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코드와 상기 단계(S800)에서 전송된 인증 코드를 비교한다(S810).Subsequently, the controller 110 compares the generated code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in step S800 (S810).

인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를 활성화하고, 바퀴 잠금을 해제하여 전동 운송 수단(100)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S820).If the authentication code matches, the controller 110 activates the battery, unlocks the wheel to enable the use of the electric vehicle 100 (S820).

반면 인증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비활성화 및 바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830).On the other hand, if the authentication code does not match, the controller 110 maintains the deactivation of the battery and the wheel lock state (S830).

이러한 전동 이동 수단(100)의 이용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운행 종료 항목을 선택하여 운행 종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최종 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After the use of the electric movement means 100, the user may select the operation termination item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operation termination, the final payment may be completed.

또한 운행 종료 시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서버(300)로 전송되며, 서버(300)는 이를 통해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t the end of the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through this.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 운송 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0 to the server 300.

이러한 방식은 전동 운송 수단(100)과 서버(300)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전동 운송 수단(1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is way, even if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100 and the server 300 is not perform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0.

다만 상술한 것과 같이, 선택적으로 전동 이동 수단(100)에 GPS(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정상적인 종료를 수행하지 않았을 때,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GPS 130 may be optionally included in the electric movement means 100. In this case, when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normal termination, the position may be confirmed.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전동 이동 수단 렌트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의 이용에 대한 피드백, 과거 이력, 설정 등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such as feedback on the user's use, past history, setting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전동 이동 수단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GPS
140: 바퀴 잠금 장치
150: 배터리
160: 경적부
170: 인식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버
100: electric vehicle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GPS
140: wheel lock
150: battery
160: Horn
170: recognition unit
200: user terminal
300: server

Claims (15)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인증 정보 획득부;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time)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활성화를 위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인증 코드와 생성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battery,
The controller generates a code for activating the battery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 time stored in advance, compares the generated code with the authentication code acquir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matches the battery.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activ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는,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NFC 모듈, 바코드 인식 모듈 및 QR코드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hentication code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a Wi-Fi module, NFC module, a barcode recognition module and a QR code recognition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동기화 시간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 unit further obtains synchronization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의 바퀴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잠그도록 구성되는 바퀴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인증 코드와 생성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바퀴 잠금 장치를 제어하여 바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heel lock configured to physically lock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locking devic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wheel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compares and matches the generated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인증 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code matches each predetermined period of the electric transpor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P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획득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거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is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code by connecting to the server via a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경적음을 출력하는 경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경적부를 제어하여 경적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rn for outputting a hor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or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terminal to output a horn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운송 수단은 전동 스쿠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electric vehicle is an electric scooter.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이용 가능한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전동 이동 수단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전동 이동 수단의 이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인증 코드를 상기 전동 이동 수단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Displaying, by a user terminal, on a map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available motorized means;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of the electric movement means from a user;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to a server;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n authentication code from a server; And
And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to the electric vehicle, 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운행 종료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a driving end selection is input from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전동 이동 수단의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 및 시간을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배터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by the electric vehicle,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by the motorized means, a code using a pre-stored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Comparing the generated code with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by the motorized means; And
And if the generated code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match, the step of activating the battery by the motor vehi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코드와 수신된 인증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전동 이동 수단이 바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운송 수단 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if the generated code and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coincide, unlocking the wheel by the motorized vehicl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An application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performs each step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10.
KR1020180087671A 2018-07-27 2018-07-27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KR102119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71A KR102119528B1 (en) 2018-07-27 2018-07-27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71A KR102119528B1 (en) 2018-07-27 2018-07-27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03A true KR20200012403A (en) 2020-02-05
KR102119528B1 KR102119528B1 (en) 2020-06-05

Family

ID=695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71A KR102119528B1 (en) 2018-07-27 2018-07-27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52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782A (en)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보토 method of recovering unrecovered personal mobility for sharing
KR20220101221A (en)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엘디전자 Shared electric scooter having low power communication terminal
WO2022265370A1 (en) * 2021-06-15 2022-12-22 김남현 Locking device using one time password, system and control method
EP4340423A1 (en) * 2022-09-16 2024-03-20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airing method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99B1 (en) * 2022-04-22 2023-01-09 강정현 Smart control apparatus for bicy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377A (en) * 2008-06-20 2009-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 identifying bicycle by using rf id
KR20120041705A (en) * 2012-01-27 2012-05-02 김정호 Management system of public bik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101178012B1 (en) * 2011-03-08 2012-08-28 창원시 Bicycle rental man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KR20150030133A (en) * 2013-09-09 2015-03-19 주식회사 만도 Bicycle rental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88977A (en) * 2015-07-13 2015-08-04 이성기 Method for Automatic and Stand-Alone Lending Bicy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377A (en) * 2008-06-20 2009-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 identifying bicycle by using rf id
KR101178012B1 (en) * 2011-03-08 2012-08-28 창원시 Bicycle rental man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KR20120041705A (en) * 2012-01-27 2012-05-02 김정호 Management system of public bik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20150030133A (en) * 2013-09-09 2015-03-19 주식회사 만도 Bicycle rental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88977A (en) * 2015-07-13 2015-08-04 이성기 Method for Automatic and Stand-Alone Lending Bicy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782A (en)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보토 method of recovering unrecovered personal mobility for sharing
KR20220101221A (en)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엘디전자 Shared electric scooter having low power communication terminal
WO2022265370A1 (en) * 2021-06-15 2022-12-22 김남현 Locking device using one time password, system and control method
EP4340423A1 (en) * 2022-09-16 2024-03-20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airing method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FR3139920A1 (en) * 2022-09-16 2024-03-22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airing method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528B1 (en)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528B1 (en) Electrically-powered vehicl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lectrically-powered vehicle rental
CN107077788B (en) System for exchanging and servicing packages using a key fob simulator
CN107074174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access control
US9635006B2 (en) Hacker security solution for package transfer to and from a vehicle
US9081944B2 (en) Access control for personalized user information maintained by a telematics unit
US9108579B2 (en) Centrally managing personalization information for configuring settings for a registered vehicle user
US111175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nd/or using at least one vehicle
US20140247158A1 (en) Vehicle-related messaging methods and systems
CN108882200A (en) Key card is operated in Car sharing system
US20150161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Key Delivery
US10068400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EP3132434A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loud computing system architecture systems and methods
CN108990030A (en) wireless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US20190080265A1 (en) Sharing system of vehicle and on-vehicle device mounted on vehicle
KR20140034239A (en) Access and customization of a motor vehicle by telephone
EP3444173A1 (en) Public bike sharing system
JP2012160016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server, vehicl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0229601B2 (en) System and method to exhibit vehicle information
WO2004019226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CN106020856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 of a vehicle feature
US201501204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fter-hours vehicle pick up
KR101731546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vehicle
WO2019042366A1 (en) Network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193785B2 (en) Car sharing system
TW201912909A (en) Smart lock and control method of smart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