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840A -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840A
KR20200008840A KR1020180083002A KR20180083002A KR20200008840A KR 20200008840 A KR20200008840 A KR 20200008840A KR 1020180083002 A KR1020180083002 A KR 1020180083002A KR 20180083002 A KR20180083002 A KR 20180083002A KR 20200008840 A KR20200008840 A KR 20200008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sulating body
ridge
receptacle connector
hold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0445B1 (en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4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40A/en
Priority to KR1020230013536A priority patent/KR102631033B1/en
Priority to KR1020230135829A priority patent/KR1026385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a digital sig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connector comprises: an insulating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with a concave bowl shape and including a ridge uni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contact units respectively formed between an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sition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ridge unit, wherein a plurality of contact pins are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nd a metal hold-down unit bent according to a shape of the insulating body and integrally covering the insulating body.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Receptacle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Board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printed circuit boards (PCBs) or wired electronic components. Specifically, board-to-board connectors include plug connectors and receptacle connectors. Each of the receptacle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substrates, and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enabling signal transmission through different substrates.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physically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s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or the plug connector may be damaged by pressure during the joining proces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and improving their strength.

본 출원은, 타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타 커넥터와의 결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other connectors, an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due to coupling with other connectors.

본 출원은,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a digital signal.

본 출원은, 홀드 다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강도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form a hold down unit integrally, thereby improving strength and form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컨텍트 핀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절연 몸체를 일체로 커버(cover)하는 금속재질의 홀드다운(hold-down)부을 포함할 수 있다.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has a concave bowl (bowl) shape, the insulating body including a ridg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s each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raised portions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ins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nd a metal hold-down part which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ulating body and integrally covers the insulating body.

여기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idge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만곡부를 포함하는 제1 컨텍트부; 및 상기 폭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2 내측면과, 상기 제2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컨텍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inner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body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wherei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re formed. A first contact portion including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therebetween; And a second support par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상기 융기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locat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ridge.

여기서 상기 제1 컨텍트부는, 상기 제1 내측면, 제1 만곡부 및 제1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1 컨텍트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텍트부는, 상기 제2 내측면, 제2 만곡부 및 제2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2 컨텍트 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in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urface,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ridg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include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the first contact pin. The second contact pin may hav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ridge.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컨텍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컨텍트부를 상기 홀드다운부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include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rt to expose the contact part to the outside of the hold down part.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covering an area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a ridge portion located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bottom surface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ld down portion. It can be formed integrally.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융기부의 외형에 따라 벤딩되어 상기 융기부를 커버하는 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보다 상기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include a ridge cover part bent accor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ridge part to cover the ridge part, and the ridge cover part may protrude further in the length direction tha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통공 내로 돌출되는 형상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art protruding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contact part may be pressed by the plug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설치되는 기판의 솔더링(soldering)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하부면에 솔더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oldering part on a low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corresponding to a soldering area of a substrate o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 down part may include a groove or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in order to be coupled to a groove or a protrusion formed in the plug connector.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lution of the said subject does not enumerate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타 커넥터와의 결합시 가이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타 커넥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guiding when the other connector is coupled, and thus may be easily coupled with the other conn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타 커넥터와 결합시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high streng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when combined with other conne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단절부를 포함하지 않는 일체형의 홀드다운부를 이용하므로, 제품의 강도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tegral hold down part that does not include a disconnection part, the strength and formabilit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컨텍트부를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는 융기커버부를 포함하므로,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dge cover portion for electromagnetically shielding the contact por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 RF (Radio Frequency) signal and a digital signal.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텍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융기커버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솔더링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upling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raised cove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upling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a)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컨텍트부(120)에 형성된 만곡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배치된 복수의 컨텍트 핀(c1, c2) 들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연결된 접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기판과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a), it can be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by moving the plug connector 2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B,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and be fixed to the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1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dispos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The plurality of contact pins c1 and c2 may form a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200. That is,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contact,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a data signal or power through the connected contact. Here,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a board-to-board (B2B) connector that connects the board and the board to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may simultaneously support an RF signal and a digital signal. It may be.

도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절연몸체(110), 컨텍트부(120) 및 홀드다운부(hold-down, 130)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ulating body 110, a contact part 120, and a hold-down part 130. .

이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2 and 3,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절연 몸체(110)는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면의 중심에는 융기부(u)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기부(u)는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은 폭방향에 위치하는 제1 내측면(f1) 및 제2 내측면(f2)과,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제3 내측면(f3) 및 제4 내측면(f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body 110 may have a bowl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concave, and may include a ridge portion u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Here, the ridges u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1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surfaces f1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ar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f2) and a third inner side surface f3 and a fourth inner side surface f4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몸체(110)에는 컨텍트 핀(c1, c2)이 배치되는 컨텍트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홀드다운부(130)가 조립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몸체(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act body 120 in which the contact pins c1 and c2 are disposed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on body 110, and the hold dow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on body 110. 130 may be assembled to form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Here, the insulating body 1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that does not pass through electricity.

컨텍트부(120)는 절연 몸체(110)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부면의 내측면(f1, f2)과, 융기부(u)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에는 복수의 컨텍트 핀(c1, c2)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 핀(c1, c2)들은 절연 몸체(110) 내에 인서트 몰딩(insert mording)하는 방식으로 컨텍트부(12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12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f1 and f2 of the upper surface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10 and the ridges u,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contact pins c1 and c2 may be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in the contact part 120, and contacts with the plug connector 200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inserted. Can be formed. Here, the contact pins c1 and c2 may be arranged in the contact portion 120 by insert molding in the insulating body 110.

컨텍트 핀(c1, c2)들은 도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컨텍트 핀 또는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컨텍트 핀(c1, c2)의 일부 영역은 기판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컨텍트 핀(c1, c2)의 다른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The contact pins c1 and c2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tact pins or the substrate of the plug connector 200. Some areas of the contact pins c1 and c2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body 110 for contact with the substrate, and other areas of the contact pins c1 and c2 may be exposed for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exposed from 110.

구체적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는 융기부(u)를 기준으로 제1 컨텍트부(121)와 제2 컨텍트부(122)로 구분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act unit 1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ntact unit 121 and a second contact unit 122 based on the ridge u.

제1 컨텍트부(121)는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절연 몸체(110)의 제1 내측면(f1)과, 제1 내측면(f1)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s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텍트부(121)는, 제1 내측면(f1)과 제1 지지부(s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만곡부(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 핀(c1)은 제1 내측면(f1), 제1 만곡부(b1) 및 제1 지지부(s1)의 표면을 따라 노출되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includes a first inner surface f1 of the insulating body 110 position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support portion s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f1. can do.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b1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surface f1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s1.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pin c1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to be exposed along the surfaces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f1, the first curved portion b1,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s1.

제2 컨텍트부(122)는 폭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절연 몸체(110)의 제2 내측면(f2)과, 제2 내측면(f2)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측면(f2)과 제2 지지부(s1) 사이에 제2 만곡부(b2)가 포함되며, 컨텍트 핀(c2)은 제2 내측면(f2), 제2 만곡부(b2) 및 제2 지지부(s2)의 표면을 따라 노출되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includes a second inner side surface f2 of the insulating body 110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s2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f2. can do. Here, the second curved portion b2 is included between the second inner surface f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s1, and the contact pin c2 includes the second inner surface f2, the second curved portion b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b2. 2 may have a curved shape to be exposed along the surface of the support (s2).

여기서, 제1 지지부(s1)와 제2 지지부(s2)는, 융기부(u)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절연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1)와 제2 지지부(s2)는, 융기부(u) 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upport part s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2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idges u and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10. . The first support part s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2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or the same as that of the ridge u.

홀드다운부(130)는 절연 몸체(110)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몸체(110)를 일체로 커버(cover)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130)는 단절된 영역없이 일체로서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hold-down unit 13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insulating body 1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ulating body 110. As illustrated in FIG. 3, the hold down unit 130 may cover the insulating body 110 integrally. That is, the hold-down unit 130 may be confirmed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ody 110 as a unit without a disconnected area.

홀드다운부(130)는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200)를 가이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130)는 벤딩을 통하여 형성되므로,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모서리들은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200)는 홀드다운부(130)의 표면에서 자연스럽게 가이딩될 수 있다. The hold-down unit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plug connector 200 when the plug-down connector is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200. That is, since the holddown part 130 is formed through bending, the edges of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holddown part 130 may form a gentle slope. Therefore,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coupled,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naturally guided at the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130.

또한, 절연 몸체(110)의 경우, 플라스틱 등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홀드다운부(130)를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즉, 금속재질의 강도가 높은 홀드다운부(130)를 이용하여 절연 몸체(110)를 보호함으로써, 절연 몸체(110)의 파손을 방지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ulation body 110 is formed of a relatively weak material such as plastic,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by the impact applied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coupl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etal holddown part 130 may be assemb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ody 110. That is, by protecting the insulating body 110 by using the hold down part 130 having a high strength of the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insulating body 110 an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추가적으로, 도3를 참조하면 홀드다운부(130)는 바닥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31)은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내측면(f3, f4)과 융기부(u) 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바닥면(31)은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바닥면(131)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접촉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절연 몸체(110)의 내측면(f3, f4)과 융기부(u) 사이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강도가 약할 수 있다. 따라서, 홀드다운부(130)는 바닥면(131)을 더 포함하여 해당 영역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hold down unit 13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31. The bottom surface 131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vers an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s f3 and f4 and the ridges u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10. Here, the bottom surface 3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 down unit 130. When the user inserts the plug connector 200, the user may be contacted and couple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131, and an impact may be applied by the plug connector 200.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between the inner surfaces f3 and f4 of the insulating body 110 and the ridges u is relatively thin, the strength may be weak. Accordingly, the hold dow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surface 131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region.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드다운부(130)는 통공(h)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공(h)은 컨텍트부(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는 통공(h)을 통하여 홀드다운부(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통공(h)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경우, 컨텍트부(12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하여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h)을 통하여 컨텍트부(120)를 외부로 노출할 때, 홀드다운부(130)는 절연몸체(110)의 외측면을 "ㄱ"자 형상으로 커버하여, 컨텍트부(120) 주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hold down part 130 may include a through hole h, and the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rt 120.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part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 down part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h. Sinc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through-hole (h),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inserted, the contact portion 120 may be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200 to form a contact. He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tact portion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h, the hold-down portion 130 has an "a"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ody 110. By covering, the strength around the contact portion 120 can be improved.

또한,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홀드다운부(130)는 융기부(u)의 외형에 따라 벤딩되어 융기부(u)를 커버하는 융기커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기커버부(132)는 금속 재질의 전도성 물질이므로, 융기커버부(132)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1 컨텍트부(121)와 제2 컨텍트부(122)를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홀드다운부(130)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hold-down part 130 may include a ridge cover part 132 that bends and covers the ridges u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ridges u. Here, since the ridge cover portion 132 is a conductive material made of a metal material, a function of electrically shielding 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idge cover portion 132.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hold-down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여기서, 융기커버부(132)는 단면이 돔(dome)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한 파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융기커버부(132)는 내부에 융기부(u)를 포함하므로, 외부의 압력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좌굴강도를 가질 수 있다. Here, since the ridge cover portion 132 is embodied in a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eaking strength against external impact, and the ridge cover portion 132 includes a ridge portion u therein. It can have a relatively high buckling strength against external pressure.

추가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융기커버부(132)가 제1 지지부(s1) 및 제2 지지부(s2)보다 길이방향으로 설정길이(d)만큼 더 돌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융기커버부(132)는 금속재질로 구현되므로,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되는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체결시,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촉하게 되면,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는 파손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융기커버부(132)가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 보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융기커버부(132)를 설정길이(d)만큼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길이(d)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융기커버부(132)의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ridge cover part 132 protrudes further by the set length 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first support part s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2. Since the ridge cover part 13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ridge cover part 132 has a relatively high rigidity compared to the first support part s1 or the second support part s2 made of plastic.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fastened, if the first support part s1 or the second support part s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or 200, the first support part s1 or the second support part s2 may be damaged. high.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ridge cover portion 132 is set to have a set length so that the ridge cover portion 132 can contact the plug connector 200 before the first support portion s1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s2. It can be formed so as to protrude further by d). Here, the setting length (d)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set to the thickness of the ridge cover portion 132.

한편, 홀드다운부(130)는 접촉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133)는 통공(h) 내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된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133)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압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압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드다운부(130)는 접지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접촉부(133)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접촉부(133)의 형상이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hold dow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unit 133.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portion 133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long into the through hole h, and may have elasticity by the protruding shape. The contact part 133 may be pressed by the plug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200 is inserted and inserted, thereby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plug connector 200. Here, the hold down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us the contact unit 133 may provide the ground to the plug connector 200. The shape or number of contacts 133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추가적으로, 홀드다운부(1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기판에 솔더링(soldering)하기 위한 솔더링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더링부(134)는 홀드다운부(1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솔더링 영역(p)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솔더링부(134)는 홀드다운부(130)의 하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의 컨텍트 핀(c1, c2)이 돌출되는 영역에는 솔더링부(134)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솔더링부(134)에 의하여, 홀드다운부(130)가 기판의 솔더링 영역(p)과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기판 사이의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dow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oldering unit 134 for solder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to a substrate. The soldering part 13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13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oldering region p of the substrate, as shown in FIG. 6. That is, the soldering part 134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down part 130, and the soldering part 134 may b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contact pins c1 and c2 of the contact part 120 protrude. It may not be formed. By the soldering unit 134, the area where the hold-down unit 130 contacts the soldering region p of the substrate may be enlarged,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and the substrate.

이외에도,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에는,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홈 또는 돌기(e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홀드다운부(130)에 생성된 홈 또는 돌기(e1)에 대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홈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grooves or protrusions e1 for coupling with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down part 130. In this case, the plug connector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or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r the protrusion e1 generated in the hold-down unit 13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100 may be formed by coupling betwee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between the plug connector 200.

실시예에 따라서는, 홀드다운부(130)의 외측면에도 홈(e2)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홀드다운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홈(e2)은 절연 몸체(1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홀드다운부(130)가 절연 몸체(110)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groove e2 may also be inclu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130. Here, the groove e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130 is formed for stable coupling with the insulating body 110, and prevents the hold down part 13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insulating body 110. To perform the fun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절연 몸체
120: 컨텍트부 121: 제1 컨텍트부
122: 제2 컨텍트부 130: 홀드다운부
131: 바닥면 132: 융기커버부
133: 접촉부 134: 솔더링부
100: receptacle connector 110: insulated body
120: contact portion 121: first contact portion
122: second contact portion 130: hold down portion
131: bottom surface 132: raised cover portion
133: contact portion 134: soldering portion

Claims (11)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컨텍트 핀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절연 몸체를 일체로 커버(cover)하는 금속재질의 홀드다운(hold-down)부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An insulating body having a concave bow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including a ridge formed at a center of the upper surface;
Contact portions each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raised portions 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ins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nd
A receptacle connector which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ulating body and includes a metal hold-down part integrally covering the insul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lge portion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만곡부를 포함하는 제1 컨텍트부; 및
상기 폭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2 내측면과, 상기 제2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컨텍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unit
A first inner side of the insulat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support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ide,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part; A first contact portion including one curved portion; And
A second inner side of the insulating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side,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two contact por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상기 융기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ceptacle connector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wherei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id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텍트부는, 상기 제1 내측면, 제1 만곡부 및 제1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1 컨텍트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텍트부는, 상기 제2 내측면, 제2 만곡부 및 제2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2 컨텍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in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a surface of the first inner surface,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ridg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cludes a second contact pin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a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ri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컨텍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컨텍트부를 상기 홀드다운부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And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 to expose the contact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ld dow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A bottom surface covering an area betwee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ridge portion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bottom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 down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융기부의 외형에 따라 벤딩되어 상기 융기부를 커버하는 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보다 상기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And a ridge cover portion bent accor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ridge to cover the ridge, wherein the ridge cover portion protrudes further in the length direc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통공 내로 돌출되는 형상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contact portion is crimped by the plug connector upon insertion of a plug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설치되는 기판의 솔더링(soldering)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하부면에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And a soldering por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hold-down portion corresponding to a soldering region of a substrate o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d down portion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groove or a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down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groove or projection formed in the plug connector.
KR1020180083002A 2018-07-17 2018-07-17 receptacle connector KR102590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en) 2018-07-17 2018-07-17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013536A KR102631033B1 (en) 2018-07-17 2023-02-01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en) 2018-07-17 2023-10-12 receptacl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en) 2018-07-17 2018-07-17 receptacle connec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536A Division KR102631033B1 (en) 2018-07-17 2023-02-01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135829A Division KR102638554B1 (en) 2018-07-17 2023-10-12 receptac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40A true KR20200008840A (en) 2020-01-29
KR102590445B1 KR102590445B1 (en) 2023-10-16

Family

ID=693224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en) 2018-07-17 2018-07-17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013536A KR102631033B1 (en) 2018-07-17 2023-02-01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en) 2018-07-17 2023-10-12 receptacle connec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536A KR102631033B1 (en) 2018-07-17 2023-02-01 receptacle connector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en) 2018-07-17 2023-10-12 receptacl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9044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789A1 (en) * 2020-03-19 2021-09-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Board connector
KR20210139137A (en)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WO2022108036A1 (en)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Board connector
TWI775365B (en) * 2020-05-13 2022-08-21 日商日本航空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847A (en) * 2009-12-03 2011-06-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Electric connector
KR20110074824A (en) * 2011-05-18 2011-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device having coupling guide
KR101488892B1 (en) *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JP2015207557A (en)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16009619A (en) * 2014-06-25 2016-0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KR20170015126A (en) * 2015-07-29 2017-02-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Substrate-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JP2017103119A (en) * 2015-12-02 2017-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JP2017147171A (en) *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nector
KR20170106911A (en) * 2016-03-14 2017-09-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39B1 (en) * 2014-12-23 2019-09-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hold-down structure
CN106299878B (en) 2015-05-14 2019-04-0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JP6673312B2 (en) * 2017-09-27 2020-03-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847A (en) * 2009-12-03 2011-06-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Electric connector
KR20110074824A (en) * 2011-05-18 2011-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device having coupling guide
KR101488892B1 (en) *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JP2015207557A (en) *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16009619A (en) * 2014-06-25 2016-0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KR20170015126A (en) * 2015-07-29 2017-02-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Substrate-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JP2017103119A (en) * 2015-12-02 2017-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 connector
JP2017147171A (en) *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nector
KR20170106911A (en) * 2016-03-14 2017-09-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789A1 (en) * 2020-03-19 2021-09-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Board connector
KR20210139137A (en) * 2020-05-13 2021-11-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TWI775365B (en) * 2020-05-13 2022-08-21 日商日本航空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US11527847B2 (en) 2020-05-13 2022-12-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features integral with a lateral wall of a frame
WO2022108036A1 (en)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Bo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445B1 (en) 2023-10-16
KR102631033B1 (en) 2024-01-30
KR20230145310A (en) 2023-10-17
KR102638554B1 (en) 2024-02-19
KR20230019919A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737B1 (en) Connector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638554B1 (en) receptacle connector
US72293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KR20080034853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KR101344933B1 (en) connector assembly
US7052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US686355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61826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mating frame mating with another connector
US6478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terminals that are provided with a dielectric coating
US1032012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terminals having opposite sides located from connector internal sidewalls
US2007027560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ircuit Board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5706373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7413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nes
US745222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module
CN109411921B (en) High-frequency large-current USB socket
US633863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70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JP2006331711A (en) Connector
US20070197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ductive shell
KR102294959B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CN219696740U (en) Board-to-board plug electric connector
CN219304000U (en)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and first electric connect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