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985A -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985A
KR20200007985A KR1020200002696A KR20200002696A KR20200007985A KR 20200007985 A KR20200007985 A KR 20200007985A KR 1020200002696 A KR1020200002696 A KR 1020200002696A KR 20200002696 A KR20200002696 A KR 20200002696A KR 20200007985 A KR20200007985 A KR 2020000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user
screen
crop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20000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985A/ko
Publication of KR2020000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Teminal and image capture method therein}
본 발명은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러한 인터넷을 근간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전자우편, 원격 컴퓨터 연결, 파일 전송, 인터넷 정보 검색, 인터넷 대화와 토론, 전자 게시판,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 다양하다. 또한,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적용하고 있고,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열람하다 보면, 사용자는 화면에 보여지는 사진, 그림, 글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종래 쓰이는 방법이 화면 캡처인데,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2012-0084861 (2012.07.31.)호에는 화면을 원하는 부분만 캡처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캡처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즉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지 못하고 여러 화면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화면별로 캡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표시되는 많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단순하고 쉽게 캡처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및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링 해야 표시되는 데이터라도 단순하고 쉽게 캡처할 수 있는 화면 캡처 방법 및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표시부, 및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캡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캡처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으로 선택받고,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표시되는 많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단순하고 쉽게 캡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링 해야 표시되는 데이터라도 단순하고 쉽게 캡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자유롭게 캡처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이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이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 적용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동작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동작들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자유롭게 캡처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자유롭게 캡처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는, 컴퓨터 프로세서(11), 메모리(13), 표시부(15),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자원들(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자원들(17)은, 무선 단말기의 제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들(예를 들면, 운영체제, 각종 장치들에 대한 드라이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등)과 장치들(예를 들면, 카메라, 스피커,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들, 저장매체(하드 디스크 등) 등)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라고 함은 스마트폰, 셀룰러 폰, PDA,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예를 들면 아이 패드(애플사의 상표명))나 캘럭시 탭((주)삼성전자의 제품명))와 같이 무선 통신 가능한 장치를 의미하며,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은 '무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라면 어떤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데스크 탑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 명세서에는 '단말기' 또는 '컴퓨터'라고 함은 무선 단말기는 물론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컴퓨터를 모두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10)는, 무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사용자(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의미함)가 자유롭게 캡처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이하, '캡처 프로그램'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컴퓨터 프로세서(11)의 제어하에 메모리(13)에 로딩되어 동작하며, 무선 단말기(10)의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캡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무선 단말기가 포함하는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메모리(13)에 로딩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예를 들면 소정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캡처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것이거나,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웹 브라우저 및/또는 메시징 서비스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즉,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자신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하, '실행 상태')가 된다. 메시징 서비스 프로그램의 예를 들면, SMS(Short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LMS(Long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또는 MIM(Mobile Instant Message) 프로그램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운영체제와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운영체제가 실행되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실행 상태가 된다. 이처럼 운영체제가 실행되면 캡처 프로그램(19)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0)에 전원이 켜지면 운영체제가 실행되므로, 캡처 프로그램(19)은 거의 항상 실행 상태가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멀티미디어 콘텐츠 뷰어')과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어가 실행되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실행 상태가 된다.
이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이 실행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캡처 프로그램(19)의 실행 아이콘(미 도시)을 클릭할 때, 캡처 프로그램(19)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프로그램과 연동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캡처 프로그램(19)이 실행 상태가 되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처 프로그램(19)이 실행 상태가 되면, 도 2 내지 도 2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사용자의 다양한 명령들을 인식하고, 그러한 명령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이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의 형태는, 예를 들면, 표시부(15)에 터치하는 터치 동작(미리 정한 동작 - 예를 들면,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에서 빈곳에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동작), 음성, 사용자의 모션, 및/또는 무선 단말기의 모션(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가 소정의 각도로 흔들리는 모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명령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미리 정한 모션(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로 이루어진 가위 형상에서, 엄지를 검지에 붙이는 모션)으로 취하면, 그러한 모션에 따른 작업 메뉴(A)-작업의 종류를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메뉴(A)는 크롭 작업을 위한 메뉴('작업 메뉴'라고 함)이며, 크롭은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처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작업 메뉴(A)를 선택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크롭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크롭 메뉴'(20)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크롭 메뉴(20)에서 원하는 형태의 크롭을 선택하고, 화면에서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면, 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크롭의 형태로 캡처한다. 한편, 크롭 메뉴(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캡처 프로그램(19)과 같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는, 카메라가 온(ON) 된 상태라야 하며, 캡처 프로그램(19)은 그러한 카메라를 통해서 감지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미리 정한 모션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미리 정한 모션라고 판단되면 위와 같은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소정의 모션을 하였을 때, 작업 메뉴(A)를 먼저 표시하고 작업 메뉴(A)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캡처 메뉴(20)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소정의 모션을 하였을 때, 작업 메뉴(A)를 표시하지 않고 바로 캡처 메뉴(20)를 표시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미리 정한 모션(예를 들면, 검지와 중지로 이루어진 가위 형상에서, 검지와 중지를 서로 붙이는 모션)으로 취하면, 그러한 모션에 따른 작업 메뉴(A)-작업의 종류를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메뉴(A)는 '크롭'을 의미하는 메뉴이며, 크롭은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처하는 동작이다.
도 2의 실시예와 도 3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사용자의 모션에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양자는 동일하므로,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의 소정의 영역(예를 들면, 데이터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그러한 터치를 인식하여, 크롭 작업을 위한 작업 메뉴(A)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작업 메뉴(A)를 선택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크롭 메뉴(20)를 표시하며, 이후, 사용자가 크롭 메뉴(20)에서 원하는 형태의 크롭을 선택하고, 화면에서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크롭의 형태로 캡처한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크롭 메뉴(A)는 수직형 크롭(21), 수평형 크롭(22), 사각형 크롭(23), 원형 크롭(24), 자유형 크롭(25), 전체 크롭(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롭 메뉴(A)는 수직형 크롭(21), 수평형 크롭(22), 사각형 크롭(23), 원형 크롭(24), 자유형 크롭(25), 및 전체 크롭(2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크롭(21)은 수평 방향의 긴 화면을 쉽게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고, 수평형 크롭(22)은 수직 방향의 긴 화면을 쉽게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고, 사각형 크롭(23)은 사각형 형태로 화면을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고, 원형 크롭(24)은 원 형태로 화면을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고, 자유형 크롭(25)은 정해진 형태 없이 자유로운 형태로 화면을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고, 전체 크롭(26)은 화면 전체를 캡처할 수 있는 옵션이다. 이들 옵션들에 대한 보다 설명은 도 11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과 도 4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사용자의 모션 대신에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에 작업메뉴와 크롭 메뉴를 표시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로 동일하므로,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메뉴 버튼(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메인 메뉴(30)- 작업가능한 작업 메뉴들을 보여주고 그러한 작업 메뉴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한다. 작업 메뉴(30)는 예를 들면, New Window, Add bookmark, Add shortcut to home, Find on Page, Capture, Desktop vie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ew Window, Add bookmark, Add shortcut to home, Find on Page, Desktop view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작업 메뉴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작업 메뉴(30) 중에서 Capture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크롭 메뉴(2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의 소정의 영역(예를 들면, 데이터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space'로 표시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면(도 7을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그러한 터치에 대응하여 크롭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 메뉴(A)를 표시한다(도 8 참조).
이후, 사용자가 작업 메뉴(A)를 선택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크롭 메뉴(20)를 표시하며(도 9 참조)한다. 크롭 메뉴(20)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크롭을 선택하고(도 10 참조), 캡처하고자 하는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크롭의 형태로 캡처한다.
이상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명령, 터치 동작, 또는 사용자의 모션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방법으로도 사용자 명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명령이 무선 단말기(10)의 모션이나 사용자의 음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명령들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들(예를 들면, 터치 동작의 경우 표시부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자원들, 음성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자원들(예를 들면 스피커와 앰프), 영상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자원들(예를 들면 카메라), 또는 모션을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자원들(예를 들면, 가속서 센서))도 동작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이 동작 상태가 되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들도 동작 상태가 되며, 이후,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 자원들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으면, 캡처 프로그램(19)은 입력받은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다양한 형태의 크롭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크롭 메뉴(20)에서 원형 크롭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원의 형태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을 원의 형태로 캡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다양한 장소에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저장 메뉴(40)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저장 메뉴(40)에서 사용자가 Cloud 저장소-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저장소-를 선택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캡처된 영역을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Cloud 저장소에 저장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크롭 메뉴에서 사각형 크롭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사각형 형태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을 사각형 형태로 캡처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저장메뉴(40)는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크롭 메뉴에서 자유형 크롭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유로운 형태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을 자유형 형태로 캡처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저장메뉴는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크롭 메뉴에서 수평형 크롭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수평 라인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받고,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라인은 시작 라인(C11)과 종결 라인(C12)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시작 라인(C11)과 종결 라인(C12)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한다.
도 1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11)과 종결 라인(C12) 사이에 있는 내용(D12)을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에서 시작 라인(C11)은 상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C12)은 하부 경계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부(15)에 현재 표시된 데이터(D11)에서 시작 라인(C11)을 그린 후, 그리고 화면을 아래로 내린 후에 종결 라인(C12)을 그림으로써 손쉽게 수직 방향(또는 상하 방향)의 많은 데이터들을 캡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시작 라인을 그린 후 화면을 위로 올린 후에 종결 라인을 그림으로써 수직 방향의 데이터들을 캡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라인(C11, C12)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먼저 그려지는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인식하고, 나중에 그려지는 라인을 종결 라인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르게는(alterna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먼저 그려지는 라인을 종결 라인으로 인식하고, 나중에 그려지는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다양한 장소에 저장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저장 메뉴(40)를 보여준다. 이에 대하여는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이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크롭 메뉴에서 수평형 크롭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서의 대화 내용을 한 쌍의 수평 라인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라인은 시작 라인(C21)과 종결 라인(C22)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21)과 종결 라인(C22) 사이에 있는 화면을 캡처한다. 도 1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21)과 종결 라인(C22) 사이에 있는 데이터(D22)를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 라인은 상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은 하부 경계선이지만, 이와 반대로 시작 라인이 하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상부 경계선이 되도록 구현도 가능하다.
도 19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사용자는 MIM 메시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 크롭 메뉴에서 수평형 크롭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화면을 캡처할 수 있다. 크롭 메뉴의 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션, 음성, 단말기의 모션, 사용자의 터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크롭이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 적용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크롭 메뉴에서 수평형 크롭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MIM 메시지 프로그램에서의 대화 내용을 한 쌍의 수평 라인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라인은 시작 라인(C31)과 종결 라인(C32)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31)과 종결 라인(C32) 사이에 있는 화면을 캡처한다. 도 20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31)과 종결 라인(C32) 사이에 있는 데이터(D32)를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 라인은 상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은 하부 경계선이지만, 이와 반대로 시작 라인이 하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상부 경계선이 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도 2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과 도 19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9의 실시예와 도 20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19와 도 20의 실시예들은 한 쌍의 라인 사이에 존재하는 대화들을 캡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도 20의 실시예는 대화창까지 포함하여 캡처함에 비하여 도 19의 실시예는 대화창은 빼고 캡처한다는 점에서 양자의 차이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크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크롭 메뉴에서 수직형 크롭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좌우측으로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라인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한 쌍의 라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라인은 시작 라인(C43)과 종결 라인(C44)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43)과 종결 라인(C44) 사이에 있는 화면을 캡처한다. 도 2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시작 라인(C43)과 종결 라인(C44) 사이에 있는 데이터(D44)를 캡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 라인은 좌측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은 우측 경계선이다. 다르게는, 시작 라인이 우측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좌측 경계선이 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부(15)에 현재 표시된 데이터(D43)에서 시작 라인(C43)을 그린 후, 그리고 화면을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종결 라인(C44)을 그림으로써 손쉽게 수평 방향(또는 좌우 방향)의 많은 데이터들을 캡처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 사용자는, 시작 라인을 그린 후 화면을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종결 라인을 그림으로써 수평 방향의 데이터들을 캡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먼저 그려지는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인식하고, 나중에 그려지는 라인을 종결 라인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은 먼저 그려지는 라인을 종결 라인으로 인식하고, 나중에 그려지는 라인을 시작 라인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의 경우 웹 브라우저에 의한 검색 결과나 MIM 프로그램에서의 대화창의 내용이 표시부에 모두 표시될 수 없는데, 이러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전술한 수직형 크롭이나 수평형 크롭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쉽게 캡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처 프로그램(19)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무선 단말기(10)의 메모리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실행시킨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무선 단말기는 물론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 각종 컴퓨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화면 캡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으로 선택받는 단계(S101),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캡처하는 단계(S103)는, 한 쌍의 라인의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단계이다.
한 쌍의 라인은 시작 라인과 종결 라인으로 구성되며, 시작 라인과 종결 라인은 각각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 경계선 또는 우측 경계선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작 라인이 좌측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우측 경계선이거나, 반대로 시작 라인이 우측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좌측 경계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캡처되어야할 내용은 시작 라인과 종결 라인 사이의 화면에 존재하는 내용이다.
다른 예를 들면, 시작 라인과 종결 라인은 각각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부 경계선 또는 하부 경계선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작 라인이 상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하부 경계선이거나, 반대로 시작 라인이 하부 경계선이고 종결 라인이 상부 경계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캡처되어야할 내용은 시작 라인과 종결 라인 사이의 화면에 존재하는 내용이다.
본 방법은 크롭 메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21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를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무선 단말기
11: 컴퓨터 프로세서
13: 메모리
15: 표시부
17: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들
19: 프로그램

Claims (1)

  1.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서 캡처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쌍의 라인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라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있는 내용을 화면으로서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KR1020200002696A 2020-01-08 2020-01-08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KR20200007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96A KR20200007985A (ko) 2020-01-08 2020-01-08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96A KR20200007985A (ko) 2020-01-08 2020-01-08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025A Division KR20160057157A (ko) 2014-11-13 2014-11-13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985A true KR20200007985A (ko) 2020-01-22

Family

ID=6936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96A KR20200007985A (ko) 2020-01-08 2020-01-08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6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8954887B1 (en) Long press interface interactions
CN105955607B (zh) 内容分享方法和装置
KR102008916B1 (ko)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11512B2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xecuting a function related to information displayed on an external device
US94912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KR101332811B1 (ko) 메시지 숨김 기능을 갖는 단말과 그 메시지 숨김 및 복원 방법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1520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EP256576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JP6448900B2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2011004110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4200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ssenger service in a terminal
KR20150026162A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403207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portable device
KR201600692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229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EP2891970A1 (en) Method for providing glance information,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227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US20100138781A1 (en) Phonebook arrangement
CN112416223A (zh) 显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143299A (zh) 一种文件管理方法及电子设备
US9256358B2 (en) Multiple panel touch user interface navigation
US9535507B2 (en) Mobile terminal and incom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1801525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