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236A -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236A
KR20200005236A KR1020180078717A KR20180078717A KR20200005236A KR 20200005236 A KR20200005236 A KR 20200005236A KR 1020180078717 A KR1020180078717 A KR 1020180078717A KR 20180078717 A KR20180078717 A KR 20180078717A KR 20200005236 A KR20200005236 A KR 2020000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dimensional space
images
trac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석
석지원
김다경
Original Assignee
(주)코믹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믹스브이 filed Critical (주)코믹스브이
Priority to KR102018007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236A/ko
Publication of KR2020000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VR장치에 있어서, VR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의 3차원공간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3차원공간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VR장치의 트래킹정보판독부가 VR장치의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이웃한 제2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소정의 범위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2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OF CONTINUAL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VIRTUAL REALITY PROVIDING PROGRAM}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가상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가상현실이란 컴퓨터에 의하여 제공되는 왜곡된 3차원의 현실로서 실제 공간과의 이질감을 줄여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가상현실은 주로 HMD(head mount device)를 통하여 제공되며, 사용자의 시야는 HMD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사용자는 제공된 가상공간 이미지이외의 다른 이미지는 인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주어진 이미지에 대한 몰입감을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나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이미지를 이용한 디지털만화의 경우 연속적인 이미지로 구성되어 스토리의 흐름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최근에는 평면이미지 형태의 서비스를 넘어서 사용자가 실제 디지털만화의 스토리 내부 공간에 위치한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로 진화 중이다.
디지털만화 콘텐츠의 경우 연속적으로 스토리를 전개하지만 각각의 이미지는 단속적(continual)이므로 보다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하나의 스토리를 표현하는 연속적 이미지를 이질감 없는 연속적인 가상현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극대화된 몰입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VR장치에 있어서, VR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의 3차원공간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3차원공간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VR장치의 트래킹정보판독부가 VR장치의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이웃한 제2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소정의 범위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2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로부터 수신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사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VR장치의 이미지관리부가 제1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래킹센서는 실시간으로 트래킹정보를 수집하고, 제3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미지의 차순위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트래킹센서는 VR장치의 앞, 뒤, 위, 아래, 좌, 우 움직임을 포함하는 병진운동 및/또는 피치, 요, 롤을 포함하는 회전운동을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VR장치는 음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음향제공부는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는 각각의 3차원공간이미지에 매칭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가상공간이미지는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과 매칭됨으로써 트래킹정보가 사용자의 실제 이동궤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또는 복수의 이미지 중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이미지를 3차원공간에 포함된 벽면에 위치한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하나의 스토리를 표현하는 연속적 이미지를 이질감 없는 연속적인 가상현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극대화된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또는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5G,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VR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한 HMD(head mount device)로서 사용자의 양안에 인간이 느끼는 실제 3차원의 입체감을 전달할 수 있는 수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거나 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왜곡된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실제 3차원과 같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렌즈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VR장치는 앞서 기술한 사용자 기기의 범주에 속하는 장비로서 데이터 처리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HMD는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HMD가 착용된 사용자의 머리의 피치, 요 또는 롤을 감지하는 한편 전방, 후방,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3차원공간 또는 3차원공간이미지의 용어는 VR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가상의 현실감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우선, VR장치에 있어서, VR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의 3차원공간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예를 들면, VR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바닥면, 천장, 그리고 벽면을 포함한 특정한 룸(room)과 같은 공간을 이미지화한 3차원공간이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VR장치를 착용한 이후에 3차원공간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3차원공간이미지 속으로 이동하여 그 내부로 표현된 이미지에 다가가거나 멀어짐으로써 실제 현실공간에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래킹센서는 VR장치의 앞, 뒤, 위, 아래, 좌, 우 움직임을 포함하는 병진운동 및/또는 피치(pitch), 요(yaw), 롤(roll)을 포함하는 회전운동을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병진운동 정보를 통하여 HMD(head mount device)를 착용한 사용자의 실제위치 변경에 따른 포지셔널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VR장치의 병진운동을 센싱하는 트래킹센서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공간에서의 이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VR장치는 HMD의 공간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거나 또는 레이져(laser), 적외선(infrared) 등의 광을 이용하도록 구비된 센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VR장치로 사용되는 HMD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피치, 요, 롤을 포함하는 회전운동의 센싱을 통하여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는 HMD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HMD와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병진운동 정보를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시선이동에 대한 회전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HMD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최초의 3차원가상공간이미지는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과 매칭됨으로써 트래킹정보가 사용자의 실제 이동궤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가능한 바닥면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특정의 표식을 두어 사용자의 이동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R장치는 음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음향제공부는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는 각각의 3차원공간이미지에 매칭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VR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3차원공간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특정한 이미지에 매칭되는 음향을 미리 지정하여 해당 이미지를 관찰하는 사용자에게 매칭된 음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음향은 소정의 시간을 설정하여 또는 다른 이미지로 전환되는 때까지 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3차원공간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20).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룸(room) 이미지를 제공하고, 룸의 각 벽면에는 다수의 이미지가 연속하여 배치된 액자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정한 콘텐츠를 서술하기 위한 연속적인 이미지로는 만화(cartoon)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만화형식의 이미지 컷이 룸 벽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배치된 이미지 컷은 룸에 들어선 사용자의 이동동선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콘텐츠의 스토리를 연속적으로 표현한 순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순서에 따른 경로를 안내하는 보조 표시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는 각각의 이미지 컷이 단속적(continual)하게 표현되거나 또는 연속적(continuous)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는 룸(room)의 벽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천장의 위치 또는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VR장치의 트래킹정보판독부가 VR장치의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30). 트래킹센서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측정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에게 처음으로 제시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처음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처음으로 룸에 들어서고 처음으로 마주치는 이미지가 제1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는 디지털만화에 표현된 하나의 이미지 컷에 해당하는 평면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위치에 다가서게 되는 경우 제1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좌측, 우측, 천장, 바닥면의 새로운 3차원공간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공되고 이때 정면, 좌측, 우측, 천장, 바닥면은 제1 이미지의 연속된(continuous)이미지로 제공된다. 이때 정면의 평면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3차원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물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는 인물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3차원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정면 뿐만 아니라, 좌측, 우측, 천장, 바닥면의 이미지 역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서 입체감을 전달하는 3차원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는 하나의 이미지가 반영된 새로운 하나의 3차원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이웃한 제2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소정의 범위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를 제2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
예를 들면, 제1 이미지에 대한 3차원공간이미지를 모두 감상한 사용자에게는 미리 설정된 보조 표시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다음 이미지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제1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다음 이미지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트래킹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데, 제1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제2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대항하는 범위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이미지로부터 멀어지는 한편, 제2 이미지로 근접하는 경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3차원공간이미지는 사라지고,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또다른 새로운 3차원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에 의하여 사용자는 연속적인 스토리를 제공하도록 표현된 제1 이미지로부터 제2 이미지로 이동하게 되며, 제2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이미지가 제공됨으로 인하여 콘텐츠 이해도와 몰입도가 증대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3차원공간이미지에는 배면(rear side)의 이미지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시야의 이미지정보를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로드(load)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시스템의 사양(spec.)에 따라서 사용자를 둘러싼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천장면과 바닥면의 정보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또는 복수의 이미지 중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이미지를 3차원공간에 포함된 벽면에 위치한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최초로 제공된 3차원공간이미지의 룸에 배치된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고 각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를 연이어 감상할 수 있는데,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에서 벗어나서 전체 복수의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는 룸으로 다시 복귀를 원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특정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복수의 이미지가 배치되는 원형 벽면의 룸의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다른 예에 따르면, 방형(rectangle) 또는 정사각형(square)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3차원공간의 경우 각각의 벽면의 중심부 또는 이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특정한 위치의 이미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최초 복수의 룸환경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이미지 컷이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과정을 통하여 제1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에서 전체 이미지를 다시 총괄하여 바라볼 수 있는 룸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감상을 원하는 특정 이미지로 이동하여 이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트래킹정보판독부가 트래킹센서로부터 수신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제1 이미지가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사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VR장치의 이미지관리부가 제1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래킹센서는 실시간으로 트래킹정보를 수집하고, 제3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미지의 차순위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최초 제시된 3차원공간의 다수의 이미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감상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다시 전체의 복수이미지를 벽면에 배치된 평면이미지로 감상할 수 있도록 최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룸에 배치된 최초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부터 180도 방향을 바라보는 위치의 이미지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을 감상하는 경우에 최초 감상한 이미지는 최초 제시된 3차원공간에 배치된 이미지가 표현한 스토리의 마지막 이미지 다음번 순위의 스토리를 전달하는 새로운 이미지로 교체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서 사용자의 사각에 위치한 이미 감상한 이미지가 새로운 이미지로 교체되며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룸을 돌며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무한의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3차원공간으로 표현된 룸에 위치한 모습을 천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2의 (i)에서 사용자는 HMD를 착용하고 1번 이미지 앞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1번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공간에 위치하게 사용자에게는 1번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공간이 HMD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2번 내지 12번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야에서 모두 제거되므로 1번이미지만에 의한 콘텐츠가 3차원공간으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동경로에 따라서 룸을 한바퀴 돌게 되는데, 1번이미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2번이미지로 이동하게 되면 HMD는 2번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3차원공간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2번이미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3번이미지로 이동하게 되면 3번이미지만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3차원공간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2의 (i), (ii), (iii)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방을 한바퀴 돌아 12번이미지까지 감상할 수 있고 이후 이미지 감상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원형 벽면으로 둘러싸인 3차원공간으로 표현된 룸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HMD를 착용하고 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1번이미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설정된 회전경로를 따라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1번이미지를 포함한 3차원공간이 HM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고, 2번 이미지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거리와 시야가 2번이미지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2번이미지를 포함한 새로운 3차원공간이 디스플레이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3번이미지 방향으로 회전하여 3번이미지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3번이미지를 포함한 새로운 3차원공간이 디스플레이 된다. HMD는 4번이미지, 5번이미지 및 이후의 연속된 이미지에 대하여 새로운 3차원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원형에 가까운 벽면에 연속적인 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 시간을 따라 전개되는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즉, 1번이미지를 0시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360도를 회전하는 경우 12시간이 경과하도록 하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연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ii)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3번이미지 또는 4번이미지를 바라보는 경우 2번이미지와 5번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야에 머무르게 되지만, 1번이미지 또는 6번이미지는 시야에서 벗어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시야는 평면을 기준으로 약 120도 정도에 이르며, 120도를 초과하는 범위의 경우 시야에서 벗어나게 된다. 사용자가 10번이미지와 11번이미지를 바라보는 경우 1번이미지를 13번으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하더라도 1번이미지 또는 6번이미지에 대한 즉각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1번이미지와 6번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는 교체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초로 감상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의 (iii)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시야가 12번이미지에 이르게 되는 시점에 1번이미지가 13번이미지로 교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iv)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2번이미지와 3번이미지가 각각 14번이미지와 15번이미지로 교체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람의 시야각은 약 120도이므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360도 영상을 구현하는 큐브맵(cuve map)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면을 표현하는 이미지는 반드시 사용자의 사각에 위치하는 면이 생기게 된다. 도 4의 (i)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1번이미지로부터 3번이미지 방향으로 회전하며 작품을 감상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2번이미지로부터 5번이미지에 이르는 시각범위를 갖도록 회전하게 되면, 사용자의 뒷편에 위치한 10번이미지는 사용자가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면이 된다.
도 4의 (ii) 및 (iii)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시야는 큐브맵의 상하 2면을 제외한 4개의 면 중에서 하나의 면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시야가 약 120도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사용자가 주로 바라보게 되는 방향의 한 면에서 사각에 해당하는 면으로 회전하려면 반드시 인접한 하나의 면을 통과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가 바라보는 주된 시야의 양측면은 이미지데이터를 미리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 회전 또는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라도 연속된 이미지가 항상 준비되어 있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미지교체의 알고리즘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역시 사용자가 바라보는 주된 하나의 면과 양측의 2개의 면에는 항상 이미지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끊김 없는 콘텐츠의 감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기술한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VR장치에 있어서, 상기 VR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의 3차원공간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차원공간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VR장치의 트래킹정보판독부가 상기 VR장치의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3차원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차원공간이미지를 상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정보판독부가 상기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상기 VR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3차원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이웃한 제2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소정의 범위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3차원공간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래킹정보판독부가 상기 트래킹센서로부터 수신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사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VR장치의 이미지관리부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킹센서는 실시간으로 상기 트래킹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3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미지의 차순위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센서는 상기 VR장치의 앞, 뒤, 위, 아래, 좌, 우 움직임을 포함하는 병진운동 및/또는 피치, 요, 롤을 포함하는 회전운동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장치는 음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제공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는 각각의 3차원공간이미지에 매칭된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가상공간이미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과 매칭됨으로써 상기 트래킹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실제 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래킹정보판독부가 상기 트래킹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트래킹정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또는 복수의 이미지 중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상기 3차원공간에 포함된 벽면에 위치한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80078717A 2018-07-06 2018-07-06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05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17A KR20200005236A (ko) 2018-07-06 2018-07-06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17A KR20200005236A (ko) 2018-07-06 2018-07-06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36A true KR20200005236A (ko) 2020-01-15

Family

ID=6915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17A KR20200005236A (ko) 2018-07-06 2018-07-06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2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540B2 (en) Virtual light in augmented reality
ES2759054T3 (es) Región basada en gestos del cuerpo humano y selección de volumen para HMD
KR102291777B1 (ko) 바디 락 증강 현실과 월드 락 증강 현실 사이의 전환 기법
KR101823182B1 (ko) 동작의 속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과
JP579143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008730B2 (ja) 画像に挿入される画像コンテンツについての影生成
US9594399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ed virtual objects with symbol images
JP6619871B2 (ja) 媒介現実コンテンツの共有
US10884576B2 (en) Mediated reality
KR20160148557A (ko) 월드 락 디스플레이의 품질 피드백 기법
CN107209565B (zh) 用于显示固定大小的增强现实对象的方法和系统
US9799141B2 (en)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JP2022545851A (ja) 仮想対象制御方法及び装置、機器、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BR112019019060A2 (pt) método e sistema para colisão de câmera automatizada e preservação de composição
US11423602B2 (en) Fast 3D reconstruction with depth information
JP2013050883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620792B2 (en) Fast hand meshing for dynamic occlusion
CN103959340A (zh) 用于自动立体三维显示器的图形呈现技术
CN115335894A (zh) 用于虚拟和增强现实的系统和方法
Trapp et al. Strategies for visualising 3D points-of-interest on mobile devices
CN113168228A (zh) 用于在大面积透明触摸界面中进行视差校正的系统和/或方法
KR20200005236A (ko) 연속적 콘텐츠를 위한 가상현실 제공방법 및 가상현실 제공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41149B1 (ko) 가상 카메라의 시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12508B1 (ko) 가상 환경 제어 시스템
JP2017033312A (ja) 映像構築装置、擬似視覚体験システム、および映像構築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