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613A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613A
KR20200004613A KR1020180077703A KR20180077703A KR20200004613A KR 20200004613 A KR20200004613 A KR 20200004613A KR 1020180077703 A KR1020180077703 A KR 1020180077703A KR 20180077703 A KR20180077703 A KR 20180077703A KR 20200004613 A KR20200004613 A KR 2020000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nformation
refill
memory chip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목화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7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613A/ko
Priority to EP18925421.2A priority patent/EP3818415A4/en
Priority to US17/058,271 priority patent/US11561486B2/en
Priority to PCT/KR2018/011673 priority patent/WO2020009277A1/en
Publication of KR2020000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13A/ko
Priority to US18/076,384 priority patent/US2023012074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9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for presence detection, authent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레이저 프린팅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토너를 사용한다. 토너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토너 리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화상형성장치와 토너 카트리지 간의 전기적인 연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토너 카트리지의 CRUM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리필 장치(40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토너를 리필받을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토너 리필 장치(4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토너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토너 리필 장치(400)는 리필 보틀로 지칭될 수 있으며, 메모리 칩(410)은 리필 보틀 메모리, 리필 보틀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토너를 리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도 1의 토너 리필 장치(400)에 부착된 메모리 칩(410)과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카트리지(200), 토너 용기(미도시), 토너 컨테이너(미도시) 또는 현상기(미도시)에 연결되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RFID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를 이용한 토너 리필 장치(400)과의 연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관리자(구체적으로, 관리자의 단말장치)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감광드럼, 중간전사벨트 및 용지 이송 벨트와 같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형성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형성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소모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장치, 노광 장치, 현상 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이 소모품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현상기와 같이 교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소모품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 장치 중 하나가 토너 카트리지이고, 토너 카트리지는 상술한 현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1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서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CPU와 같은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럭 발생 회로, CPU, 그래픽 프로세서 등의 복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4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보다 구체적으로,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확인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절차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 대한 인증은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과 상이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에 대한 인증 절차는 보안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단순한 인증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에 비해 간단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디지털 서명을 해독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가 인증된 장치이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시작 정보 및 카트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에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거나,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지 않고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면 토너 리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정보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연결된 이력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1의 값을 갖는 경우 연결된 이력이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시작 정보의 0 또는 1 값을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시작 정보를 복수의 비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칩(410)에 저장되는 카트리지 정보도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연결된 이력이 없으면 특정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연결된 이력이 있으며 연결된 장치의 시리얼 정보(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 이외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시리얼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MAC 정보 등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상술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200)를 특정할 수 있는 유니크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의 시작 정보가 0의 값을 가지면,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는 사용 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리필 시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또는 리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예를 들어, 리필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꺼진 경우,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일부 토너만 리필한 경우에,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시작 정보가 1의 값을 갖는 경우에도,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카트리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라도 토너 리필이 완료된 것이나 토너 리필 시점이 상당히 오래전인 경우는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완료 정보, 리필 시간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완료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주입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료 정보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즉, 잔류 토너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완료 정보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구현시에 완료 정보의 0 또는 1 값을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완료 정보를 복수의 비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현시에 완료 정보는 상술한 시작 정보와 결합된 두 비트의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완료 정보는, '00', '10', '11'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00' 값은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없음을 나타내고, '10' 값은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으나 토너 리필을 완료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11' 값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으며 토너 리필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리필 시간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최초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리필 시간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시점의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시작 정보가 1의 값을 갖는 경우에도,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또는 CRUM 장치(30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와 일치하고, 메모리 칩(410)의 완료 정보가 0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시작 정보가 1이고, 완료 정보가 0이며, 카트리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라도, 리필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주입되도록 토너 카트리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를 주입받을 수 있는 홀 및 해당 홀을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락킹 부재가 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토너 카트리지(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완료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상술한 메모리 칩(410)의 완료 정보를 1 값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150), 입력 장치(160) 및 센서(17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 인쇄 엔진(120)에 대해서도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3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및 CRUM 장치(300)에 저장된 데이터 관리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와 I2C 방식 또는 eI2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2C 방식은 데이터(SDA) 신호와 클럭(Clock) 신호를 이용한 표준화된 직렬 통신 방식이고, 유휴 구간에서도 클럭 신호가 주기성을 갖도록 I2C 방식을 변경한 것이 eI2C 방식이다. eI2C 방식은 3 접점 I2C 방식, 인코딩 I2C 방식 등 다양한 이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CRUM 장치(300)는 소모품 장치(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장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장치로, 메모리, 메모리 칩, 칩 장치, 토너 카트리지 메모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가 토너 리필 장치(400)와 연결을 위한 단자들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CRUM 장치(300)와 동일하게 I2C 방식 또는 eI2C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를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RSA, ECC 비대칭 키 알고리즘, ARIA, TDES, SEED, AES 대칭키 알고리즘 등과 같은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eI2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CRUM 장치(300) 또는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CRUM 장치(300)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어, 소모품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카트리지 정보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된 CRUM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CRUM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CRUM 장치(300)에 저장되는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하는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의 판단을 CRUM 장치(300)에 저장된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CRUM 장치(300)에 저장된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와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즉,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어렵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비정품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것인지, 이미 토너 리필을 완료한 제품인지, 토너 리필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사용 기한이 지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토너 리필을 재수행하여야 한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의 수행이 진행되면, 토너 리필이 수행중임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이 수행 중이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메모리(140)에서 지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초기 부팅 중에 토너 리필이 수행중이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으며, 토너 리필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토너 리필이 재수행되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이 진행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200)에서 감지된 토너량이 일정 이상 값으로 변화되면 토너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감지하는 센서(170)를 이용하여 센서(170)의 자성체 감지 여부에 따라 토너 주입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토너 카트리지(200)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기초로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카트리지(200)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토너 리필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0)에 채워진 토너량을 기초로 토너 리필이 완료된 것이 맞는지 추가적인 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토너 카트리지(200)와 분리되었으나, 증가된 토너량이 일정량이 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재차 연결하여 추가 주입을 진행해야 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분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새롭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새롭게 감지된 토너량을 해당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새롭게 변경된 토너량을 토너 카트리지(200)의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리필 횟수 등의 정보도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인쇄 잡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토너 리필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토너 리필이 진행중인 경우, 리필 진행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메모리(140)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측된 교체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 중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기설정된 양 이하가 되면 토너의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방법에 대한 매뉴얼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필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장치(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토너 카트리지(200)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현상기에 토너를 제공하는 장치로 토너 리필 장치(400)에 의하여 토너가 리필 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200)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CRUM 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CRUM 장치(30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되거나 별도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센서(17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특정 자세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170)는 자성체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7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자성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7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너비 방향을 기준으로 화상형성장치(100)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수직 배치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없이도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필 과정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라도, 동일한 화상형성장치(100)에 토너 리필 장치(400)를 재차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에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100)에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복수의 CRUM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30)가 직접 CRUM 장치(300)와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7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엔진(120)은 감광 드럼(121), 대전기(122), 노광기(123), 현상기(200), 전사기(125) 및 정착기(128)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21)은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 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22)는 감광 드럼(1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2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2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2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2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200)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200)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기(200)를 교체 가능하게 구현한 것을 토너 카트리지라고 지칭한다.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체적인 형태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감광 드럼(12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2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12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그러나 토너 카트리지에는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없이 토너를 리필하는 방법에 요구되었다. 이에 따른 토너 리필이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장치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단자들(210),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단자들(220), 토너를 리필 받기 위한 구멍(230)을 포함한다.
제1 단자들(210)은 토너 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들(210)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통신을 위한 신호뿐만 아니라,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된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단자들(220)은 토너 리필 장치(400)가 리필을 위하여 구멍에 연결되었을 때,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자들은 화상형성장치(100)와 메모리 칩(410) 간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자들(210)과 제2 단자들(220) 간의 연결 형태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구멍(230)은 토너 리필 장치(400)로부터 토너를 제공받기 위한 구멍이다. 이러한 구멍(230)의 상부 또는 홀의 중간 위치에는 구멍을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락킹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락킹 부재(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멍을 개폐하는 장치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확인된 경우에만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를 선택적으로 주입받을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200)는 내부의 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토너 리필 과정을 통하여 토너가 정상 주입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토너 리필 장치(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 장치(400)는 토너를 담을 수 있는 병 형태를 가지며, 병에 담긴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에 넣을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일측에는 메모리 칩(41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칩(410)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주입구가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230)과 닿았을 때 제2 단자들과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모리 칩(410)이 병의 측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주입구에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칩(410)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으로, 메모리(411), 복수의 단자들(412)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11)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 제조사, 제조일, 포함된 토너의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1)는 토너 리필과 관련된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411)는 상술한 시작 정보, 종료 정보, 리필 시간 정보, 화상형성장치(100)의 카트리지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411)에 저장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411)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412)은 메모리(411)와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로세서(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이다. 복수의 단자들(412)과 화상형성장치(100) 간의 연결 형태에 대해서는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카트리지(200) 간의 전기적인 연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 장치(110)(또는 단자들)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200)에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 및 메모리 칩(410)과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또는 통신 장치(110))는 CRUM 장치(300)와 통신을 위한 단자들(181, 182, 18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181, 182, 183)는 케이블(191, 192, 193)을 통하여 CRUM 장치(300) 측의 단자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단자들(181, 182, 183)이 통신 장치(1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프로세서(130)에 직접 연결되는 단자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의 단자들과 CRUM 장치(300)가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프로세서(130)와 토너 카트리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토너 카트리지(200)를 통하여 CRUM 장치(3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CRUM 장치(3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된 프로세서(130)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들(301, 302, 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자들(301, 302, 303)은 클럭 단자(301), 데이터 단자(302) 및 접지 단자(30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단자(301), 데이터 단자(302) 및 접지 단자(303)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3개의 단자들(181, 182, 183)과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을 위한 추가 단자들(185, 186, 187)이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185, 186, 187)는 케이블(195, 196, 197)을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00) 측의 단자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 측의 제1 단자들(210)은 전기 라인을 통하여 제2 단자들(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되면, 제2 단자들(221, 222, 223)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들(41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케이블을 통하여 단자들이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단자들은 직접 맞다는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CRUM 장치(300)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CRUM 장치(300)와 토너 카트리지(20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와 CRUM 장치(300)가 각각 3개의 단자(181, 182, 183, 301, 302, 3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CRUM 장치(300)가 I2C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와 CRUM 장치(300)는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와 CRUM 장치(300)는 각각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410) 역시 3개의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4개의 단자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 칩(410)에는 리필 시간 정보, 시작 정보, 완료 정보,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 토너 카트리지(200)의 고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필 시간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하여 저장되는 정보로, 화상형성장치(100)(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된 시점, 즉 리필이 시작되는 시점의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작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완료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주입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식별하기 위한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일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의 고유의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고유의 정보로,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리필을 수행한 경우, 토너가 리필된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5개의 정보가 메모리 칩(410)에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에 포함된 토너의 종류(색 정보), 제조사 정보, 사용 기한 정보, 정품 확인 코드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5개의 정보 중 일부는 생략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CRUM 장치(300)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RUM 장치(3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 및 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식별하기 위한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 정보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최초 연결된 시점에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CRUM 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다.
완료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주입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또한, CRUM 장치(300)는 상술한 정보뿐만 아니라 소모품 장치의 정보, CRUM 장치(300)의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100) 등에 대한 다양한 특성 정보와 화상형성잡의 수행과 관련된 사용 정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 장치(400)에 부착된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한다(S1010). 구체적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유선 라인을 이용하여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암호화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S1020).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자세히 기술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및 리필 시간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한다(S1030). 이때, 프로세서(130)는 저장할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통신 방법은 토너 리필 장치(400)에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및 리필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하는바, 이후에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는 타 화상형성장치 또는 동일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도 1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 리필의 완료를 화상형성장치(100)가 확인 가능한 경우의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가 도 3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의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부족하면, 토너 카트리지 교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S1103).
사용자가 토너 리필을 진행하기 위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한 경우(S1106),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독취하여 시작 정보(start bit)와 완료 정보(compleat bit)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S1109).
만약, 시작 정보와 완료 정보의 값이 각각 0, 0이면, 즉,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기존에 사용한 이력이 없는 것이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고, 토너 주입을 진행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112).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메모리 칩(410)의 시작 정보를 1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토너 카트리지(200)의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S1115).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S1118).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을 개폐하여 토너를 리필 받는다(S1121). 이에 따라,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옮겨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토너 리필 장치(400)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토너 카트리지(200)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기초로 토너 리필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가 모두 토너 카트리지(200)로 전달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메모리 칩(410)의 완료 정보를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S1124).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주입이 완료되었으니 토너 리필 장치(400)를 제거하여 달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127).
만약, 시작 정보와 완료 정보의 값이 각각 1, 0이면, 즉,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이력이 있으나 토너 리필이 완료되지 않은 것이면,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시리얼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시리얼 정보를 독취하고(S1130), 상호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33).
만약, 시리얼 정보가 일치하면,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리필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S1136), 유효 기간 내이면 토너 리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고, 토너 주입을 진행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139).
만약, 시작 정보와 완료 정보의 값이 각각 1, 1이거나, 시리얼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유효기간이 지났으면, 유효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S1142), 토너 리필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 리필의 완료를 화상형성장치(100)가 확인할 수 없는 경우의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한다. 즉, 도 3의 센서를 화상형성장치가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토너 리필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부족하면, 토너 카트리지 교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S1203).
사용자가 토너 리필을 진행하기 위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한 경우(S1206),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독취하여 시작 정보(start bit)와 완료 정보(compleat bit)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S1209)
만약, 시작 정보의 값이 0이면, 즉,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기존에 사용한 이력이 없는 것이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고, 토너 주입을 진행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212).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메모리 칩(410)의 시작 정보를 1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토너 카트리지(200)의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S1215).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S1218).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을 개폐하여 토너를 리필 받는다(S1221). 이에 따라,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옮겨지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4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분리하면(S1124),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 센서를 이용하여 토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227, S1230).
확인된 토너량이 일정량 이상 증가하였으면, 성공적으로 주입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233).
만약, 확인된 토너량이 일정량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면, 토너 리필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재연결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236).
만약, 시작 정보의 값이 각각 1이면, 즉,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이력이 있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시리얼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시리얼 정보를 독취하고(S1239), 상호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42).
만약, 시리얼 정보가 일치하면,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리필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S1245), 유효 기간 내이면 토너 리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고, 토너 주입을 진행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248).
만약, 시리얼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유효 기간이 경과되었으면, 유효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S1251), 토너 리필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방법은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지 않고, 토너를 리필할 수 있는바 경제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토너 리필 장치에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및 리필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하는바, 이후에 해당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는 타 화상형성장치 또는 동일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해당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방법은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 리필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토너 리필 완료 여부를 증가된 토너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장치
120: 인쇄 엔진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디스플레이
160: 입력 장치 170: 센서
200: 토너 카트리지 300: CRUM 장치
400: 토너 리필 장치 410: 메모리 칩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또는 리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에 저장할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시작 정보 및 카트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된 정보 중 시작 정보 및 카트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거나, 상기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지 않고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지 않고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리필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작 정보가 기설정된 값을 갖지 않고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정보를 저장하는 CRUM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CRUM 장치에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된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와 상기 CRUM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토너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 칩에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토너 공급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장치가 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리필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칩과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5.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필 장치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 정보, 시작 정보 및 리필 시간 정보를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180077703A 2018-07-04 2018-07-04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KR2020000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03A KR20200004613A (ko) 2018-07-04 2018-07-04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EP18925421.2A EP3818415A4 (en) 2018-07-04 2018-10-02 TONER REFILL CONTROL OF AN IMAGING DEVICE
US17/058,271 US11561486B2 (en) 2018-07-04 2018-10-02 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PCT/KR2018/011673 WO2020009277A1 (en) 2018-07-04 2018-10-02 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18/076,384 US20230120746A1 (en) 2018-07-04 2022-12-06 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03A KR20200004613A (ko) 2018-07-04 2018-07-04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13A true KR20200004613A (ko) 2020-01-14

Family

ID=6906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703A KR20200004613A (ko) 2018-07-04 2018-07-04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61486B2 (ko)
EP (1) EP3818415A4 (ko)
KR (1) KR20200004613A (ko)
WO (1) WO2020009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98A (ko) * 2019-03-06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이용한 토너 리필 제어
KR20200135026A (ko) 2019-05-24 2020-12-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9108B1 (en) * 1997-07-15 2007-07-2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Validation protocol and system
EP1586956B1 (en) 2002-01-31 2008-10-15 Ricoh Co., Ltd. Toner refilling device and developing device using the sam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41085A (ja) 2003-07-28 2005-02-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インクの補給機構部、駆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0601653B1 (ko) * 2003-12-2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증 토너 충전 방지 방법 및 장치
US7330672B2 (en) * 2004-05-17 2008-02-1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execute selected operating mode upon replacement of replaceable unit, and method therefore
KR100636188B1 (ko) 2004-11-04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충전된 토너 관련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장치
JP4810449B2 (ja) 2007-01-30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充填方法、充填済み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方法、並びに現像剤充填済み現像剤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100997879B1 (ko) * 2008-03-03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교체가능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암호화 데이터 통신 방법
US8559830B2 (en) * 2011-05-11 2013-10-15 Xerox Corporation Lockout device and an indicator to ensure that the correct consumable is replaced in a printing device
KR20140080781A (ko) * 2012-12-18 2014-07-01 문경희 레이저 프린터용 토너 파우더 충진장치
US9104140B2 (en) * 2013-03-15 2015-08-11 Ologn Technologies A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horized use and refill of a printer cartridge
US9227417B2 (en) * 2013-03-15 2016-01-05 Ologn Technologies A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horized use and refill of a printer cartridge
EP3028172B1 (en) * 2013-07-31 2021-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henticating a consumable product based on a remaining life value
JP6632329B2 (ja) * 2015-10-30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277A1 (en) 2020-01-09
EP3818415A1 (en) 2021-05-12
US11561486B2 (en) 2023-01-24
US20210200119A1 (en) 2021-07-01
US20230120746A1 (en) 2023-04-20
EP3818415A4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8331C2 (ru) Блок, использующий операционную систему,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спользующее его
US87627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80734B1 (ko)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US9336471B2 (en) CRUM chip,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RUM chip
CN112180699B (zh) 耗材芯片、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控制方法及耗材
US20230120746A1 (en) 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5016189B2 (ja) 電子装置、電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40142892A1 (en)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JP201601810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CN114236994A (zh) 验证方法、耗材芯片、耗材和图像形成装置
US11249417B2 (en) Toner refill control using reusable refill apparatus
JP4840576B2 (ja) 画像形成装置
US1153706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us of a toner refill device
JP5157280B2 (ja) 画像形成装置、同装置の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消耗品ユニット
KR101866823B1 (ko)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200018030A (ko)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JP202211733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8092105A (zh) 芯片激活方法及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