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503A -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 Google Patents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503A
KR20200003503A KR1020180076352A KR20180076352A KR20200003503A KR 20200003503 A KR20200003503 A KR 20200003503A KR 1020180076352 A KR1020180076352 A KR 1020180076352A KR 20180076352 A KR20180076352 A KR 20180076352A KR 20200003503 A KR20200003503 A KR 2020000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ain body
detachable
attached
elastic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975B1 (en
Inventor
김진범
김광배
박삼열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7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4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body and a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to a body. The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acquiring a biometric signal while the sensor is in close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tachable unit that the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unit including a first strap capable of winding the body to bind the main body and detachable unit to the body. The first strap includes one or more elastic members. The first strap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unit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unit. When the body is wound with the first strap and the main body and detachable unit are bound to the body, the pressure that the sensor presses a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by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Description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its attachment method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본 발명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부착하여 고품질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attaching the biosignal to a body to obtain a high-quality biosignal.

영유아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하여 처치를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응급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산소포화도와 같은 생체신호(Biometric signal)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은 생체신호 센서를 포함하는 의학 장비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 장비는 고가이고 대형이어서, 병원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An infant or guardian of a patient wants to find and treat it early if an emergency occurs. However, early detection of emergency situations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of biological signals such as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of the biosignal may be implemented through medical equipment including a biosignal sensor. However, such medical equipment is expensive and larg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in a non-hospital home.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람이 지켜보는 대신 영유아 또는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때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긴급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호흡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신호인 맥박 및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영아돌연사증후군과 같은 위급 상황에 의한 사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of an infant or a patient instead of the general home and notify the guardian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so that an urgent action can be taken. In particular, by measuring the pulse and oxygen saturation, vital vital signs related to respira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prevent death due to an emergency such a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최근에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PPG센서와 같은 생체신호 센서들이 소형화되어 저가로 생산되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폰,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단말기에 생체신호 획득 기능이 내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말기의 경우 영유아 또는 환자의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즉,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센서 밀착의 유지가 어렵고, 피부와 위생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Recently, biosignal sensors such as PPG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oxygen saturation have been miniaturized and produced at low cost. 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have been developed, biosignals have been acquired i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smart bands or smart watches. The function is built in. However, such a terminal is not suitable for monitoring the emergency situation of infants or patients. In other words, it can be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tinuous and stable contact with the sensor and that skin and hygiene are not considered.

센서가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빛샘과 동잡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빛샘 현상이 있는 경우,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랩(strap; 끈)과 같은 신체 고정 수단을 바짝 조이는 등으로 센서와 피부를 강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여린 피부가 충혈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센서와 피부가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생체신호 획득의 신뢰도와 피부의 건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위에 기술된 기존의 장치들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If the sensor is not in close contact, problems of light leakage and dynamic noise occur.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light leakage phenomenon, the biological signal is not normally acquired and distortion occurs. To prevent thi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sensor and the ski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ightening a body fixing means such as a strap. However, problems such as redness of the thin skin may occur. Therefore, even when the body size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appropriate pressure while maintaining the appropriate pressure sensor and the skin,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that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reliability of the bio-signal acquisition and the health of the skin. However, the existing devices described above are difficult to meet this n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형상 및 크기의 차이를 극복하여,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obtaining a biosignal by overcoming a difference in body shape and siz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잦은 운동에도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body, and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slipped or slipped from the body even during frequent movemen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는 체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structure for minimizing skin irrit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에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that can maintain the health and hygiene of the skin even after long time wear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pparatus for obtaining a bio-signal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ncluding a sensor for obtaining a bio-signal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part for binding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including a first strap capable of entangling the body, wherein the first strap includes one or more elastic members and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art. The sens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art, and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body by an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The pressure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strap may include at least one arch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to generate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near the main body, and the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by the first strap. 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he space may exist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끝단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lastic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an end of the first strap.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탈착부는 의료용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랍직하다.The first strap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first strap and the detachable portion are preferably made of medical silicone resin.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제거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복원되는 것 바람직하다.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urface of the body or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are pressed to restore the elasticity.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moment generating part may be deformed, and when the space is removed or the pressing of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is preferably, the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is restored.

상기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들은 상기 신체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asteners are fastened to both ends thereof, and the fasteners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fastening pos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size of the body.

상기 탈착부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넓은 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one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detachable portion, when the first strap is wrapped around the body to form at least one wide jaw to create a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first strap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상기 본체 상단의 상기 제1 스트랩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탈착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갓(baffl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baffle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acing the first strap to cover a part of the detachable part.

상기 탈착부의 모서리에 소정 곡률의 라운딩(rounding)이 형성될 수 있다.Rounding of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detachable part.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protrusions or groov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trap facing the body surface.

상기 탈착부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이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all or part of the detachable part is an elastic material.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트랩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2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ap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rap and capable of entangling the body.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is farther away toward the ends of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상기 본체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은, 가장자리가 상기 신체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면은, 4개의 귀퉁이가 상기 신체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One surface of the body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the edge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body. In particular, the on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 corners have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iological signal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and body fluid secretion.

상기 신체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is preferably any one of the upper arm, lower arm, wrist, lower leg, ankle and foot of a pers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스트랩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 양 끝단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for acquiring a bio-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rst strap which can enclose the body. In the method of attaching a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unit to the body to the body, the first strap includes an elastic member, attached to the detachable part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art, Winding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adhere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surface of the bod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urface of the body; Fastening the fasteners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pressure for the sensor to press the surface of the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람의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rap may include an arch-resilient moment generating unit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at a side close to the main body, and forming a space of the person.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is deformed,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sens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a space exists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It is desirable to.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은,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 양 끝단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for acquiring a bio-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rst strap which can enclose the body. A method of attaching a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unit to a body to a body may include: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for acquiring a biosignal,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body A method of attaching a body-attachable biosignal acquiring device to a body, the method comprising attaching a body to a body, the body including a first strap, and a fixing part for binding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wherein the first strap comprises an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orti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ortion, the first strap is wrapped around the body to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ortion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body;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Fastening the fasteners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pressure for the sensor to press the surface of the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rap may include an arch-resilient moment generating portion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at a side close to the main body, and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in the pressing step.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is deformed,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sens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ar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desirable.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탄성 복원 모멘트를 이용하여 센서의 피부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ably acquire a biosignal by maintaining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sensor using an elastic restoration moment.

또한,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잦은 운동에도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deviated or slipped from the body even during frequent exercise.

또한,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움직임 또는 외부의 일시적인 힘이 작용하여 빛샘 또는 이탈이 발생한 경우에도 움직임 또는 외부힘이 멈춘 경우 복원력으로 신체 밀착이 회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toring force when the movement or external force stops even when light leakage or departure occurs due to the movement or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d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장시간 착용에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health and hygiene of the skin even after long time wea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a) 및 아랫면(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ody attachment state of the 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dy attachment state of a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a) and the bottom (b)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cquiring a body-mounted bio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some steps of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some steps of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us,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self-inventi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includ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n addition, these equivalen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equivalents now known,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는,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110)를 포함하는 삽입구(140)(100); 상기 본체(100)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200); 및 상기 신체(900)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310)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310)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200)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된다 함은, 따로 형성하여 상호 조립되는 것을 의미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사출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탈착부(200)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삽입구(140)에 의해, 부드러운 재질로 탈착부를 형성한 경우에도, 상기 센서(110)와 신체(900)가 상호 밀착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1 is a view show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and (b), the 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10 for obtaining a biosignal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900 Insertion port 140, 100 comprising a; A detachable part 200 to which the main body 100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part 300 that binds the main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art 200 to the body 900, including a first strap 310 capable of enclosing the body 900. The first strap 310 may include one or more elastic members, and may be attached to the detachable part 200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art 200. Here, the attached means to be formed separately and assembled together, and to be formed integrally, means to be formed as one through a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 insertion hole 14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part 200 may be formed. By the insertion hole 140, even when the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sensor 110 and the body 9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생체신호가 산소포화도인 경우, 상기 센서(110)는, 포토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듈(PPG센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외선과 적색 광 신호를 피부에 투과 혹은 반사를 시켜서 얻어지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적외선과 적색 광신호의 전류값의 비율을 계산하면 산소헤모글로빈의 비율이 구해지며, 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아랫부분(신체(900)에 부착 시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센서(110)를 신체(900)의 동맥혈관이 지나가는 피부의 부위에 잘 밀착시키고 동작을 시켜야 정상적인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110)가 신체(900)의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본체(100)의 표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구조는 신체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iosignal may be at least one of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and body fluid secretion. In particular, when the biological signal is an oxygen saturation degree, the sensor 110 may be a module (PPG sensor) including a photodiode and a light emitting diode, which are obtained by transmitting or reflecting infrared and red light signals to the skin.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current value of the infrared light and the red light signal, the ratio of oxygen hemoglobin is obtained, and the oxygen saturation can be obtained using this. To this e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one side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when attached to the body 900) to be located. When the sensor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an area of the skin where the arterial blood vessels of the body 900 pass and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normal biosignal. Referring to FIG. 1, the sensor 1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900. The protruding structure thus maintains close contact even when the size of the body chang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는,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800)에 의해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 860)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멘트(moment)란, 물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의 작용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 복원 모멘트(800)라 함은, 탄성력을 지닌 외팔보(cantilever)의 한쪽 끝단에 상기 외팔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외력을 가했을 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외팔보의 변형을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모멘트를 의미한다. 2 is a view showing a body attachment state of the body-mount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2, the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ound around the body 900 by the first strap 310 and the main body 100. And when the detachable part 200 is bound to the body 900, the sensor 110 presses the surface of the body 900 by an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And pressures 850 and 860 are generated. Moment is the action of a force trying to rotate an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refers to a direction to restore the deformation of the cantilever beam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tilever beam to one end of the cantilever having elastic force. It means the moment that occurs.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은, 상기 본체(100)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와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317)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는 상기 외팔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마치 활의 시위가 당겨진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b),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an arch that is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closer to the main body 100. It may include one or more elastic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316 of the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2, when the body 900 is wound around the first strap 310 to bind the main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art 200 to the body 900, A space 317 may exist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and the surface of the body 900. The elastic restoration moment generator 316 serves as the cantilever beam.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is provided, the body 900 is wound around the first strap 310 so that the main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art 200 are wound on the body 900. If bound, the effect can be as if the bow was pulled.

또한 도 1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는 상기 제1 스트랩(310)의 끝단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형성할 수 있는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 (b), the elastic recovery moment generating unit 316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end of the first strap 310. As such,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may be increased to have an elastic modulus capable of forming a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는 상기 제1 스트랩(310)의 끝단보다 소정의 두께 차이 만큼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두께 차이는 상기 제1 스트랩(310)의 끝단의 두께의 1배 이상으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may be formed to be thicker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difference than the end of the first strap 310. The predetermined thickness difference is preferably selected to be one or more times the thickness of the end of the first strap (310).

더 나아가, 상기 제1 스트랩(310)은 상기 탈착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탈착부(200)는 의료용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탄성 재질로서 상기 탄성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유해하지 않고 위생적이며, 탄성의 재질이면서도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형태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Further, the first strap 3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etachable portion 200, the first strap 310 and the detachable portion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edical silicone resin. Such medical silicone resin may serve as the elastic member as an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medical silicone resin is not harmful and hygienic, it is an elastic material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form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상기 제1 스트랩(310)과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700)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dy attachment state of a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a) of FIG. 3, when the body 900 is wound around the first strap 310 to bind the main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art 200 to the body 900, the The arch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is formed by forming a space 700 between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urface of the body 900 or by pressing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310. It is desirable that the curvature of the shape can be deformed.

또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700)을 제거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의 형상이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복원된 이후에는 여전히 탄성 복원 모멘트(800) 및 이에 따른 압력(850, 860)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space 700 is removed or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trap 310 are released, the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is restored. It is desirable to be. After the shape is re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and the corresponding pressures 850 and 860 may still occur.

한편,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311, 312)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311, 312)들은 상기 신체(90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위치의 조절에 의해 상기 신체(900)에 부착 시에 상기 제1 스트랩(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B,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fasteners 311 and 312 fastened to both ends thereof, and the fasteners 311 and 312 are connected to the body. In response to the size change of 9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astening position. By adjusting the fasten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first strap 310 may be adjusted when attached to the body 900.

이와 같은 체결 위치의 조절 및 그에 따른 제1 스트랩(310)의 길이 조절은 상기 연결구(330)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을 구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도 1(b)에는 체결구(311,312)의 형태가 구멍(312)과 상기 구멍에 끼울 수 있는 돌출구(311)로 도시되어 있으나, 명칭 여하에 구애 받지 않고,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오목형과 볼록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of the fastening position and thus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strap 310 may be performed by using a velcro or buckle, a plurality of buttons, snap fastners, or the like at the connector 330. It can be made possible by a method such as having a magnet. 1 (b), the shape of the fasteners 311 and 312 is shown as a hole 312 and a protrusion 31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However, regardless of the name, concave types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convex structure.

또한 상기 탈착부(200)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상기 신체(9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넓은 턱(31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턱(315)은 또한 센서(110)의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센서(110)에 닫는 피부 부위에 집중될 수 있는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턱(315)과 상기 센서(110) 사이에 놓인 상기 탈착부의 아랫면은 마찰면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서 상기 장치(10)가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trap 310 is wound around the body 900 on one surface of the detachable part 200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the first strap 310 is connected to the body 900. It is desirable to have one or more wide jaws 315 formed that create frictional forces to prevent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jaw 315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pressure that may be concentrated on the skin region which is closed to the sensor 110 due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sensor 110.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placed between the jaw 315 and the sensor 1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wide friction surface to prevent the device 10 from sliding on the surface of the body 9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a) 및 아랫면(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상단의 상기 제1 스트랩(310)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탈착부(20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갓(baffle)(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갓(1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탈착부(200)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다소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측면과 틈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갓(120)이 그 틈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틈에 의한 빛샘 및 오염을 차단하고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 and the bottom (b)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4, a baffle 120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detachable part 200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100 facing the first strap 310. It is preferably formed. By forming the shade 120 in this way, the detachable portion 20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even if the side and the gap of the main body is generated by a slight deformation, the shad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Thus, light leakage and contamination caused by gaps can be blocked and aesthetics can be maintained.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은, 가장자리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면은, 4개의 귀퉁이(13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일면의 형상은 상기 신체(900)와 기구의 이격과 빛샘에 의한 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may protrude in an edge direction of the body 900. In particular, the one surface, the four corners 130 is preferably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dy 900. Such a shape of one surface may prevent the sensor 110 from malfunctioning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body 900 and the apparatus and the light leakage.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200)의 모서리(220)에 소정 곡률의 라운딩(roundin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곡률은, 상기 탈착부(200)로부터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이어지는, 제1 스트랩(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유효 단면적의 변화를 최소화, 이상적으로는 상기 변화를 없도록 할 수 있는 곡률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효 단면적의 변화를 최소화 또는 없게 함으로써 상기 장치(10)를 상기 신체(900)에 부착 시 특정 부위에서 꺾임이 나타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체(900)에 부착시에는 상기 장치(1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타원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유리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A, a rounding of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formed at the corner 220 of the detachable part 200. The predetermined curvature is such that the change in the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rap 310, leading from the detachable portion 200 to the first strap 310, ideally avoids the change. It is desirable to select the curvature as much as possible.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change in the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ape in which a bend appears at a specific portion when the device 10 is attached to the body 900. That is, when attached to the body 900, it is advantageous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hape of the device 10 is generally oval or curved in shape.

더 나아가,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 또는 홈은 통풍을 가능하게 하여, 피부에 땀이 차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protrusions or groov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trap 310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Such protrusions or grooves enable ventilation and prevent sweating on the skin.

상기 탈착부(2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이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탈착부(200)에서 본체(100)에 닿는, 요철(210)이 생성된 부분은 탄성 재질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ll or part of the detachable portion 20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at least the portion in which the unevenness 21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in the detachable portion 200 is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ain body 100 may be detacha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1 스트랩(310)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신체(900)를 휘감을 수 있는 제2 스트랩(3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cquiring a body-mounted bio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ap 32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rap 310 and capable of enclosing the body 900. Do.

또한,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팔과 같이 벌어지는 구조는 중간이 볼록한 유선형 형상의 신체를 휘감는 경우에, 상기 스트랩들(310, 320)이 신체(900)의 표면에서 들뜨지 않게 하는 데 기여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econd strap 320 is preferably farther toward the end of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econd strap 320. As such, the trumpet-like structure contributes to preventing the straps 310 and 320 from being lifted off the surface of the body 900 when the body is wrapped around a streamlined body having a convex shape.

상기 신체(900)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상완, 하완, 하각은 중간이 볼록한 유선형이므로, 상기 제2 스트랩(320)이 효과적으로 장치(10)가 발목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ody 900 is preferably any one of the upper arm, upper arm, wrist, lower leg, ankle, and foot of a person. Since the upper arm, lower arm, and lower leg of the person are streamlined with convexities in the middle, the second strap 320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vice 10 from flowing down the ankle.

영유아 또는 환자로부터 PPG 신호와 같은 생체신호를 얻기 위해서, 기존 병원용 장비에서는 발가락을 이용하여 왔다. 근래에는 발바닥 및 허벅지, 손목을 이용하는 등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생체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탈착 및 지지가 용이하면서도 영유아 또는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부착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또는 발은 이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a biosignal such as a PPG signal from an infant or a patient, existing hospital equipment has used toes. Rec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use the soles, thighs, and wrists. However, in order to acquire a biosignal stably in a general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ttachment position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supported while minimizing the discomfort felt by an infant or a patient. The upper arm and the lower arm , Wrists, inferior ankles or feet can be the answer.

도 6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11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200) 및 신체(900)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310)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를 신체(900)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스트랩(310)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200)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스트랩(310)과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스트랩(310) 양 끝단의 체결구(311, 312)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800)에 의해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이 발생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6, a main body 100 including a sensor 110 for acquiring a bio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detachable part 200 to which the main body 100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part 300 that binds the main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art 200 to the body 900, including a first strap 310 that may wrap the body 900.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apparatus 10 to the body 900,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ortion 200 or integral with the detachable portion 200. It is formed as, the step of winding the body (900) with the first strap (310)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detachable portion 200 (900) (S100);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urface of the body 900 (S110); Fastening the fasteners 311 and 312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310 to each other (S120); And generating a pressure 850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by the sensor 110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S130).

일반적으로 손목 시계나 허리띠를 착용할 경우에 본 발명의 도 1(b)에 도시된 형태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기 위해서는 신체를 파고드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신체(900)가 여린 유아의 것인 경우에는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서는 공간(700)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11, 312)를 체결함으로써, 체결구의 압력에 의해 신체(800)의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wearing a wristwatch or a waistband, in order to fasten the fasteners of the type shown in FIG. 1 (b)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to dig the body. However, this behavior may hurt the skin when the body 900 is of a weak infant. 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astening the fasteners 311 and 312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 70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kin of the body 800 from being damaged by the pressure of the fastener.

또한, 도 1(b) 및 도 2(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310)의 체결구(311, 312)는 볼록형의 제1 체결구(311) 및 상기 제1 체결구(311)를 끼울 수 있는 구멍 형태의 제2 체결구(3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구(311)를 제1 스트랩(310)의 바깥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구(311)를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311, 312)의 구성을 통해 피부를 상하게 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B and 2A, the fasteners 311 and 312 of the first strap 310 are convex first fasteners 311 and the first fasteners 311. The first fastener 311 is formed by forming a second fastener 312 in the form of a hole into which the first fastener 3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rap 310. The surface of the body 900 may not be touch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ers (311, 312) it can be further prevented to hurt the skin.

또한 도 7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은, 상기 본체(100)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700)을 형성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 860)이 발생하는 단계(S130)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와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317)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s a view showing some steps of the attachment method of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an elastic member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closer to the main body 100. And a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316, and in step S120 of forming the space 700,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316 is deformed, and the sensor ( In operation S130 in which pressures 850 and 860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are generated (S130), the space 317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and the surface of the body 900. It is preferable to exist.

도 8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를 신체(900)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스트랩(310)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200)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31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S200);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S210); 상기 제1 스트랩(310) 양 끝단의 체결구(311, 312)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S220);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800)에 의해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이 발생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8,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dy 900,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the detachable Attached to the unit 200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unit 200, the body 900 is wound around the first strap 310 to cover the body 100 and the detachable unit 200 with the body (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900 (S200);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310 (S210); Fastening the fasteners 311 and 312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310 to each other (S220); And generating a pressure 850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by the sensor 110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S23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S210)에서, 제1 외력(710) 및 제2 외력(720)을 통해 상기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311, 312)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S220)에서 제3 외력(730)을 통해 상기 체결구(311, 312)를 상호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in the step S210 of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310, it is possible to press both sides of the upper end through the first external force 710 and the second external force 720. In addition, in the step of fastening the fasteners 311 and 312 to each other (S220), the fasteners 311 and 31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third external force 730.

또한 도 9는 상기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은, 상기 본체(100)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S220)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 860)이 발생하는 단계(S230)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16)와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317)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is a view showing some steps of the attachment method of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strap 310 includes an elastic member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800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closer to the main body 100. And a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316, and in step S220 of pressing the upper ends,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ation moment generating unit 316 is deformed, and the sensor 110 In operation S230, in which pressures 850 and 860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ody 900 are generated, a space 317 exists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6 and the surface of the body 900. It is preferable.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각각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311, 312, 321, 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310)의 양 끝단 각각에 제1 체결구(311)와 제2 체결구(3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11)와 제2 체결구(312)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트랩(320)의 양 끝단 각각에도 제1 체결구(321)와 제2 체결구(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트랩(320)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21)와 제2 체결구(322)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econd strap 320 may include fasteners 311, 312, 321, and 322 fastened to both ends thereof.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first fasteners 311 and second fasteners 31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310 so that the first strap 310 is formed by a body ( When winding 900, the first fastener 311 and the second fastener 31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first fastener 321 and a second fastener 322 are also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trap 320 so that the second strap 320 is wound around the body 900. The first fastener 321 and the second fastener 32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체결구들(311, 312, 321, 322)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신체의 곡률이 다르므로,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종아리 굴곡면을 따라 고른 압력으로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는, 체결구들(311, 312, 321. 322)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똑딱단추나 자석단추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호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랩(310, 320)이 의료용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과 마찰력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asteners 311, 312, 321, and 322 of any one or more straps of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econd strap 320 may be provided when the one or more straps are wound around the body 900. Both sides of the one or more straps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at an angle formed. Since the curvature of the bod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t is possib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ven pressure along the calf flexion surface through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at both sides of the strap at an arbitrary angle. The structure which is fixed in an arbitrary angled state is a velcro or buckle or a plurality of buttons and snap fastners to the fasteners 311, 312, 321 and 322. It can be implemented by having a magnet (magnet)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provided with a tick button or a magnetic butt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aps 310 and 32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rictional force, such as medical silicone resin or rubber, in order to be fixed without rot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생체신호 획득 장치
100: 본체 110: 센서
120: 갓 130: 귀퉁이
140: 삽입구
200: 탈착부 220: 모서리
300: 고정부 310: 제1 스트랩
311: 제1 스트랩의 제1 체결구 312: 제1 스트랩의 제2 체결구
315: 턱 316: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
317: 공간
320: 제2 스트랩 321: 제2 스트랩의 제1 체결구
322: 제2 스트랩의 제2 체결구
700: 공간 710: 제1 외력
720: 제2 외력 730: 제3 외력
800: 탄성 복원 모멘트 850: 압력
860: 압력 900: 신체
10: biological signal acquisition device
100: main body 110: sensor
120: God 130: Corner
140: insertion hole
200: removable part 220: corner
300: fixed portion 310: first strap
311: first fastener of the first strap 312: second fastener of the first strap
315: jaw 316: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317: space
320: second strap 321: first fastener of the second strap
322: second fastener of the second strap
700: space 710: first external force
720: second external force 730: third external force
800: elastic restoring moment 850: pressure
860 pressure 900 body

Claims (22)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In the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ttached to the body,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which acquires a biological signal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Including a first strap that can be wrapped around the body including a fixing unit for binding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to the body,
The first strap includes one or more elastic member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orti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ortion,
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the pressure that the sensor presses the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by an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rap is,
At least one arch-shaped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on the side closer to the main body,
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a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exists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끝단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restoring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end of the first stra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탈착부는 의료용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trap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art, and the first strap and the detachable part may be formed of a medical silicone res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제거하거나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body is wound around the first strap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urface of the body or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ortion can be deformed,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is restored when the space is removed or whe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are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iosignal is a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and body fluid secre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jaw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etachable part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first strap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when the first strap is wound around the body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의 상기 제1 스트랩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탈착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갓(baffl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strap at the top of the body,
Body-attached bio-signal acqui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affle formed to cover a part of the detachabl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모서리에 소정 곡률의 라운딩(roundin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rounding of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detachabl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or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trap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이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all or part of the detachable part is an elast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트랩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2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ortion,
And a second strap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rap and capable of entangling the bod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body-attached bio-signal acqui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toward the end direction of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은, 가장자리가 상기 신체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body facing the surface of the body,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rotrudes toward the surface of the bod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은, 4개의 귀퉁이가 상기 신체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one surface,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corners are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urface of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is any one of the upper arm, lower arm, wrist, lower leg, ankle, and foot of the huma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들은 상기 신체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rap includes fasteners that are fastened to both ends thereof,
The fasteners are attached to the body-mount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sition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ize change of the body.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들은 볼록형의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1 체결구를 끼울 수 있는 구멍 형태의 제2 체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구가 상기 신체의 표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제1 체결구가 상기 제1 스트랩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fasteners may include a convex first fastener and a second fastener having a hole shape into which the first fastener may be fitted, and the first fastene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Body-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rap.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 양 끝단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
A body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for acquiring a bio-signal,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part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including a first strap capable of entangling the body.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to the body,
The first strap includes an elastic member, attached to the detachable porti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ortion,
Winding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adhere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surface of the bod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urface of the body;
Fastening the fasteners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to each other; And
And attaching the sensor to the surface of the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strap is,
An arch-resilient moment generating unit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near the main body,
In the step of forming the space,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ortion is deformed,
In the step where the sensor presses the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And a space exists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랩 양 끝단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
A body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sensor for acquiring a bio-signal, 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is fastened and detached, and a fixing part to bind the main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body, including a first strap capable of entangling the body.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attached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to the body,
The first strap includes an elastic member, attached to the detachable porti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ortion,
Winding the body with the first strap to adhere the body and the detachable part to the surface of the body;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rap;
Fastening the fasteners at both ends of the first strap to each other; And
And attaching the sensor to the surface of the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아치(arch) 형상의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아치(arch) 형상의 곡률이 변형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부착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first strap is,
An arch-resilient moment generating unit having an arch shape capable of generating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near the main body,
In pressing the upper both sides,
The curvature of the arch shape of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portion is deformed,
In the step where the sensor presses the surface of the body is generated,
And a space exists between the elastic restoring moment generating unit and the surface of the body.
KR1020180076352A 2018-07-02 2018-07-02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KR102169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52A KR102169975B1 (en) 2018-07-02 2018-07-02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52A KR102169975B1 (en) 2018-07-02 2018-07-02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03A true KR20200003503A (en) 2020-01-10
KR102169975B1 KR102169975B1 (en) 2020-10-26

Family

ID=6915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52A KR102169975B1 (en) 2018-07-02 2018-07-02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40A (en) * 2018-08-10 2020-02-19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KR102170343B1 (en) * 2020-03-19 2020-10-2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667A (en)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Curved body and wearable device therewith
JP2017153767A (en) * 2016-03-03 2017-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Band and body wearing-type electronic device
KR20180024867A (en)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meas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667A (en)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Curved body and wearable device therewith
JP2017153767A (en) * 2016-03-03 2017-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Band and body wearing-type electronic device
KR20180024867A (en)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measur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40A (en) * 2018-08-10 2020-02-19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KR102170343B1 (en) * 2020-03-19 2020-10-2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75B1 (en)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0866B1 (en) Dual case system for fall detection device
JP6073776B2 (en) Bioelectric signal monitor clothing
US20220031180A1 (en) Wrist-worn blood pressure monitor
KR102062259B1 (en)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US20210369204A1 (en) Gear for holding a physiological sensor
US8870781B2 (en) Pressure-providing instrument and biosignal-measuring device including a pressure-providing instrument
CN110300545B (en) Wrist sensor type pulse oximetry device and method
JP6220016B2 (en) Bioelectric signal monitor clothing
US11504017B2 (en) Adaptive wearable device for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20190365257A1 (en) Wrist blood pressure monitor
KR102169975B1 (en)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body
CN210158584U (en) Body-attached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KR102169973B1 (en)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KR101680197B1 (en) Wrist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
US20230165528A1 (en) Wearable device and sensor device
KR102062257B1 (en) 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US20170332968A1 (en) Lo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s) for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7459862B2 (en) Biosignal acquisition equipment
KR102170343B1 (en) 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US20220409070A1 (en) Proximity sensor circuits and related sensing methods
KR101842915B1 (en) Biorhythms measuring device
JP7472555B2 (en) Electrode band and biocompatible device
CN201042554Y (en) Protective equipment of remaining needle
Mastro et al. Non-invasive neonatal vital acquisition unit
JP2001120510A (en) Electrode apparatus for recording electrocardi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