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95A -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95A
KR20200000595A KR1020180072608A KR20180072608A KR20200000595A KR 20200000595 A KR20200000595 A KR 20200000595A KR 1020180072608 A KR1020180072608 A KR 1020180072608A KR 20180072608 A KR20180072608 A KR 20180072608A KR 20200000595 A KR20200000595 A KR 2020000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digital certificate
request
information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규
이정우
Original Assignee
곽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준규 filed Critical 곽준규
Priority to KR102018007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595A/ko
Publication of KR2020000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문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고,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 간에 거래로서 체결하고, 상기 거래의 체결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거래 내역을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BLOCKCHAIN 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디지털 증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지칭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신뢰성, 보안성이 높고 위변조가 어려우므로 최근에는 블록체인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라는 특유의 방식을 통해 거래가 탈중앙화(decentralize)되어 관리되고, 그 거래내역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각종 계약을 비롯한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한 권리가 체계화된 증서가 거래되고는 있으나, 해당 증서에 대한 신뢰성이 온전히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고,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간에 거래로서 체결하고, 상기 거래의 체결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거래 내역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는 동작,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간에 거래로서 체결하는 동작, 및 상기 거래의 체결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거래 내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디지털 증서 관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디지털 증서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는 이하의 문서에 기재로부터 유추되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를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를 예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증서의 "관리"는 디지털 증서를 생성, 저장, 거래 또는 보관에 연관된 다양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서 관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동작이 네트워크상에서 구현되었다 함은,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네트워크에 참여한 전자 장치들의 컴퓨팅 리소스 및/또는 메모리 리소스에 기반하여 각각의 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들(예: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각 블록들, 사용자들의 계정들, 기타증서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형성 또는 연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증서의 관리에 참여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laptop),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의 관리가 구현되는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wired/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블록은 예를 들어 디지털 증서의 관리 내역(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블록일 수 있다. 상기 블록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될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블록은 예를 들어,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 에드라(edra) 블록체인 기술과 같이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가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블록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은 헤더(header)와 보디(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자기자신의 해시(hash), 이전 블록의 해시, 거래 해시(transaction hash) 비트 수, 넌스(nonce)를 포함할 수 있다. 보디는 암호화폐의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헤더에 포함된 해시의 연결관계에 기반하여 블록들은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 관리자 장치(130) 및 사용자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지털 증서 관리 시스템(100)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10)는 디지털 증서(10)에 연관된 관리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인 네트워크(110)는 관리자가 발행한 디지털 증서(10)에 연관된 정보(예: 디지털 증서의 수, 디지털 증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를 저장 혹은 기록하거나 사용자와 관리자 간 혹은 사용자 간에 거래되는 디지털 증서(10)의 거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연결하고,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10)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에드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디지털 증서(10)는 소유자 정보, 채권, 채무 증서와 같은 특정한 내용이 담긴 증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상의 분산 원장에서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증서(10)는 기본적인 채권, 채무 관계를 나타내는 증서 이외에도 회원권 등과 같은 권리를 나타내는 증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디지털 증서(10)의 관리와 연관하여 발행, 거래를 예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는 디지털 증서(10)와 연관된 다양한 관리 행위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10)의 존재는 암호학적으로 표시된 블록체인 상에 유포된 블록에 기록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증서(10)는 거래될 수 있고 해당 디지털 증서(10)에 포함된 내용을 보장하기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조건이 성취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상에 존재하는 불록에 미리 지정된 결과가 자동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블록 혹은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 혹은 장부로서의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는 디지털 증서(10)의 관리에 연관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증서(10)의 발행(혹은 생성), 거래 또는 보관 등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관리자 장치(130) 또는 사용자 장치(140)와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디지털 증서(10) 혹은 디지털 증서(10)에 연관된 정보(예: 디지털 증서 발행에 연관된 정보, 디지털 증서 거래에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 장치(130) 혹은 사용자 장치(140)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10)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 장치(130)는 디지털 증서(10)를 발행 혹은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장치(130)를 통해 디지털 증서(10)를 발행할 수 있다. 관리자 장치(130)는 디지털 증서(10)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10)로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예를 들어, 주식을 발행하는 회사 혹은 회원권을 발행하는 업체, 또는 그러한 증서의 발행 권한이 있는 사용자 등일 수 있다. 관리자 장치(130)에는 관리자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40)는 디지털 증서(10)를 통해 특정한 권리를 거래하거나 특정한 내용을 남기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0)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관리자 장치(130) 및 사용자 장치(140)를 예시하였으나, 도 1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10)와 통신하는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는 제1 장치, 제2 장치 등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통신 회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이거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관리 서버(130) 또는 사용자 장치(14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본 문서에 개시된 장치들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20)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거나 메모리(230)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또는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와 같이 다양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20) 및 메모리(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20)는 장치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40) 또는 관리자 장치(130)는 통신 회로(220)를 통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는 통신 회로(220)를 통해 사용자 장치(140), 관리자 장치(13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20)는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거래에 연관된 정보,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210)로 하여금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하나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는 저장소와 같은 명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를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예: 도 1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 또는 도 2의 장치(200))는 디지털 증서의 발행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증서의 발행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예: 도 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전송(혹은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 요청은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는, 발행되는 디지털 증서의 수, 디지털 증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발행 정보를 가공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기 발행 정보를 전송 시에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 발행 정보는 발행에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장치(예: 도 1의 관리자 장치(130))와 사용자 장치(예: 도 1의 사용자 장치(140)) 사이의 거래(혹은 계약) 혹은 사용자 장치 간의 거래(혹은 계약)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증서를 거래 시 해당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사용자 요청을 획득하고, 해당 요청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해당 요청에 연관된 등록을 수행하고, 요청 간의 거래를 체결하며, 해당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요청은 디지털 증서의 거래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정보는 매도 주문에 연관된 정보 또는 매수 주문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요청의 주체, 거래 타입, 거래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서 또는 거래하고자 하는 디지털 증서의 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처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300)는, 거래정보 제공부(310), 블록체인 연동부(320) 및 블록체인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은 하드웨어 혹은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는 도 4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연동부(320) 및 블록체인 처리부(330)가 통합적으로 구현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발행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관리자 장치(예: 도 1의 관리자 장치(130)) 혹은 사용자 장치(예: 도 1의 사용자 장치(140))와의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관리자 장치 혹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거래에 연관된 정보(예: 주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래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거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정보는 거래에 연관된 정보(혹은 주문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상기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연동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블록 데이터에 연관된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블록 데이터에 연관된 출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장치 혹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거래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및/또는 그에 기반한 출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상기 거래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거래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블록 데이터에 연관된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블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및 거래 대기 정보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데이터는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거나 혹은 읽어온 정보로서, 디지털 증서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예를 들어, 주문 정보를 획득하고, 주문 정보를 출력하며, 입력된 주문 정보를 매칭하여 거래를 처리하고, 상기 거래의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 연동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래정보 제공부(310)는 주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주문 정보 입력부, 주문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주문 정보 출력부, 상기 획득한 주문 정보에 기초해서 주문 정보를 매칭하여 체결하거나 미체결 처리하도록 설정된 주문 정보 체결부, 체결된 주문 정보에 기초해서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 연동부(320)로 전송하는 주문 결과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연동부(320)는 거래정보 제공부(310)로부터 획득한 정보(예: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처리부(330)로 제공하거나 블록체인 처리부(330)에서 획득한 정보를 거래정보 제공부(3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연동부(320)는 블록체인 처리부(330)로 트랜잭션 정보(예: 트랜잭션 ID)를 요청하거나 블록체인 처리부(330)로 트랜잭션 판독을 요청하거나 획득한 트랜잭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 혹은 가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연동부(320)는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부, 트랜잭션 판독을 요청하는 트랜잭션 판독 요청부, 트랜잭션 정보를 가공하는 트랜잭션 정보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정보 요청부는 거래정보 제공부(31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처리부(330)로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트랜잭션 판독 요청부는 거래정보 제공부(31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해서 블록체인 처리부(330)로 트랜잭션 판독을 요청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정보 가공부는 블록체인 처리부(330)로부터 획득한 트랜잭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 혹은 가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처리부(330)는 디지털 증서 및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포함하는 블록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혹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네트워크)상에 제공 혹은 기록하거나 읽어들일 수 있다. 블록체인 처리부(3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블록 데이터를 읽거나 판독하는 트랜잭션 판독부 및 블록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 혹은 기록하는 트랙잭션 기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판독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 상의 분산 네트워크 원장으로부터 블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트랜잭션 기록부는 분산 네트워크 원장에 트랜잭션을 기록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원장은 블록체인 혹은 블록체인의 블록에 연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를 예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400)는 증서 연관 정보, 사용자 연관 정보 및 트랜잭션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서 연관 정보는 상기 디지털 증서를 특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는 상기 증서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키(unique key)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연관 정보는 상기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유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ID), 상기 사용자의 지갑 주소 또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public key)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에게 할당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제공한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지갑 주소는 상기 증서를 보관하는 지갑 주소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는 상기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게 할당한 키일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연관 정보는 상기 증서와 연관된 트랜잭션 식별자(ID), 트랜잭션 내역 혹은 트랜잭션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트랜잭션 연관 정보는 상기 증서의 발행을 위해 발생한 트랜잭션 혹은 상기 증서의 거래를 위해 발생한 트랜잭션(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연관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잭션 연관 정보는 소유자 변동 내역 및 거래 조건의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디지털 증서(400)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증서(400)는 해당 증서가 보장하는 권리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증서(400)가 보장하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는 주체와 같이 해당 권리에 대한 채무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예: 채무자를 특정하는 고유한 키 값),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증서의 개수 및/또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내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는 복수의 장치, 예를 들어, 특정한 장치의 디지털 증서 발행에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간의 거래에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고, 제2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요청들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이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간에 매핑(mapping)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이 서로 매핑되면,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 간의 거래(혹은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거래 내역(혹은 계약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디지털 증서의 발행의 일 예로 관리자 장치의 디지털 증서 발행 방법을 예시하고, 디지털 증서의 거래의 일 예로 하여 관리자 장치(예: 도 1의 관리자 장치(130)) 및 사용자 장치(예: 도 1의 사용자 장치(140)) 간의 디지털 증서의 매수 매도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증서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장치들은 디지털 증서를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방법은 디지털 증서 발행 방법, 디지털 증서 거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방법들을 예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디지털 증서 관리 방법은 디지털 증서 보관 방법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각 동작들이 관리자 장치(510)(예: 도 1의 관리자 장치(130)), 사용자 장치(520)(예:도 1의 사용자 장치(140)),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예:도 1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예:도 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각각의 동작은 해당 장치 혹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동작 501 및 동작 503은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증서 발행 과정일 수 있다. 동작 501에서, 관리자 장치(예: 도 1의 관리자 장치(130))가 디지털 증서(예: 도 1의 디지털 증서(10))를 발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은 상기 관리자 장치에서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를 통해 디지털 증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은 상기 디지털 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초기에 기록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디지털 증서 발행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를 관리자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해서 디지털 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이는 디지털 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기록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디지털 증서의 발행 정보를 관리자 장치(51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해서 획득하고, 상기 디지털 증서의 발행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서 디지털 증서의 발행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생성되고, 상기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505 이하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증서의 거래 과정일 수 있다. 동작 505에서 관리자 장치(510)는 거래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장치(510)는 매도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장치(510)는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매도 주문에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장치(510)는 상기 매도 주문을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매도 주문에 연관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도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서의 수 및 매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거래를 대기할 수 있다. 상기 거래를 대기하는 동안, 혹은 상기 거래를 대기하기 이전에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상기 매도 주문이 유효(valid)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매도 주문이 유효하면, 매도 주문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등록 혹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도 주문은, 상기 매도 주문이 유효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매도 주문이 유효한지 여부는 예를 들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가 상기 관리자 장치(510)가 디지털 증서를 소유하고 있는지 혹은 매도 주문에 대응하는 수량의 디지털 증서를 소유하고 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상기 관리자 장치(510)의 매도 주문이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블록체인 상의 원장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매도 주문이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매도 주문(혹은 매도 주문에 연관된 정보)는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도 주문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매도 주문들과 함께 매도에 연관된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도 주문이 즉각적으로 체결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매도 주문이 등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리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사용자 장치(520)는 매수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20)는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매수 주문에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520)는 상기 매수 주문을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매수 주문에 연관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수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서의 수 및 매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가 동작 507과 같이 거래를 대기하는 동안,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상기 매수 주문이 유효(valid)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매수 주문이 유효하면, 상기 매수 주문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등록 혹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수 주문은 상기 매수 주문이 유효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매수 주문이 유효한지 여부는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 장치(510)가 상기 매수를 이행할 수 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수 주문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매수 주문들과 함께 매도에 연관된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수 주문이 즉각적으로 체결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매수 주문이 등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리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매도 주문 및/또는 매수 주문에 의해 형성되는 리스트는 사용자 장치(520) 혹은 관리자 장치(5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디지털 증권 관리 서버(530)에 의해 사용자 장치(520) 혹은 관리자 장치(5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동작 505의 매도 주문 후 동작 509의 매수 주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매수 주문이 상기 매도 주문에 우선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수 주문 혹은 매도 주문의 주체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수 주문 및 매도 주문이 모두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매도 주문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매수 주문은 관리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511에서,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동일한 디지털 증서에 대하여 상호 간에 매핑되는 매수 주문과 매도 주문이 존재하면, 상기 매수 주문 및 상기 매도 주문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래로 지칭할 수 있다.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매수 주문 및 매도 주문의 가격이 상호간에 일치하거나 매수 주문이 등록된 매도 주문의 가격보다 높거나, 매도 주문의 가격이 등록된 매수 주문의 가격보다 낮은 경우에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동작 513에서, 거래가 체결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트랜잭션 내용 혹은 트랜잭션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잭션 내역은 거래에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내역은 거래 수량, 거래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서, 매수자에 연관된 정보 및 매도자에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잭션 내역은 그에 대응하는 트랜잭션 ID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내역(혹은 트랜잭션 ID)을 포함하는 블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블록은 다른 블록(예: 이전 블록)에 연결되어, 블록체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록의 생성 주체는 저장 주체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블록체인 상의 원장에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상의 원장에는 거래 주문의 내용(예: 거래 수량, 거래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서, 매수자 또는 매도자에 연관된 정보)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잭션은 거래가 체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거래의 체결이 개시되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40)에 상기 트랜잭션을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록이 성공할 경우에 최종적으로 거래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보고 거래대금을 매수자(예: 사용자 장치(520))로부터 매도자(예: 관리자 장치(530))로 이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거래대금을 요청하고, 사용자 장치(5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거래대금을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를 통해 관리자 장치(5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부터 트랜잭션의 기록의 성공을 나타내는 성공 응답 메시지를 획득하 상기 기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혹은,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부터 트랜잭션 ID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면 상기 트랜잭션 기록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의 기록이 성공하면, 상기 거래의 대상이 된 디지털 증서에는 해당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트랜잭션이 수행되는 동안 혹은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를 이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이 매도자로부터 매수자로 하나의 회원권을 이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에,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매도자의 회원권을 하나만큼 줄이고 매수자의 회원권을 하나만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매도자의 디지털 증권 관리 정보 및 매수자의 디지털 증권 관리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증서 관리 서버(530)는 매도자 및 매수자의 계정 정보 혹은 블록체인에 연관된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증서의 관리자 혹은 발행자는 권리 또는 서비스를 디지털 증서의 거래를 통하여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유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증서를 발행한 자는 블록체인을 매개하여 어떠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미리 또는 즉각적으로 판매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증서 거래의 상대방, 즉 해당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특정 권리에 대한 증명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미리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 상에 기록된 계약 내용대로 자동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는 그에 따른 권리 또는 서비스를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강력한 보안을 통해 보장받으면서도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는 자신의 디지털 증서를 자유롭게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유자는 거래를 통해 이익을 얻거나 해당 디지털 증서에 체화된 권리 또는 서비스를 양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증서에 체화된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강제력이 담보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증서가 포함하는 권리에 대하여 사전에 미리 지정된 내용 및 조건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유포된 원장에 기록하고, 해당 조건이 성취되면 자동으로 해당 내용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증서에 대해 소유권을 유보한 매매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사전에 약속한 날짜가 경과하여도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가 상대방 거래인으로 변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해당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를 상대방 거래인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고,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간에 거래로서 체결하고,
    상기 거래의 체결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거래 내역을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증서는,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정보, 상기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에 연관된 정보, 상기 디지털 증서의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거래의 체결 이전에 존재하는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 내역에 연관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증서는 상기 거래 내역에 연관된 트랜잭션을 더 포함하는,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래 내역에 연관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에 저장되고, 상기 블록은 적어도 해시(hash)를 가지는, 서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증서의 고유의 키(key)를 포함하는, 서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에 연관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의 식별자, 소유자의 어드레스, 및 소유자의 퍼블릭 키(public 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 내역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기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에 연관된 대금을 처리하도록 하는, 서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및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요청 및 제2 요청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상기 제1 요청 및 제2 요청이 유효하면 상기 제1 요청 및 제2 요청을 등록하는, 서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 중 적어도 하나가 유효한지 여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는, 서버.
  11.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 있어서,
    제1 장치로부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1 요청을 획득하는 동작,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제2 요청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요청 및 상기 제2 요청을 상호간에 거래로서 체결하는 동작, 및
    상기 거래의 체결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거래 내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증서는, 상기 디지털 증서에 연관된 정보, 상기 디지털 증서의 소유자에 연관된 정보, 상기 디지털 증서의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에 연관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거래의 체결 이전에 존재하는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거래 내역에 연관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증서는 상기 거래 내역에 연관된 트랜잭션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 내역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기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에 연관된 대금을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72608A 2018-06-25 2018-06-25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00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08A KR20200000595A (ko) 2018-06-25 2018-06-25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08A KR20200000595A (ko) 2018-06-25 2018-06-25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95A true KR20200000595A (ko) 2020-01-03

Family

ID=6915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08A KR20200000595A (ko) 2018-06-25 2018-06-25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5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33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비클립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246639A1 (ko) * 2020-06-02 2021-12-09 (주)소셜인프라테크 데이터 공유를 통한 객관적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WO2022169130A1 (ko) * 2021-02-02 2022-08-11 주식회사 테마파크를만드는사람들 코인 기반 회원권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33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비클립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20844A (ko) * 2020-04-10 2022-02-21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20847A (ko) * 2020-04-10 2022-02-21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246639A1 (ko) * 2020-06-02 2021-12-09 (주)소셜인프라테크 데이터 공유를 통한 객관적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WO2022169130A1 (ko) * 2021-02-02 2022-08-11 주식회사 테마파크를만드는사람들 코인 기반 회원권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US20200058023A1 (en) Decentralized Data Marketplace
US20200211092A1 (en) Adaptive product listing using blockchain inventory and smart contracts
US9818110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US8666905B2 (en) Anonymous online payment systems and methods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0602357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transactions
US20110131102A1 (en) Secure mobile payment processing
WO2017101715A1 (zh) 跨系统的业务操作执行方法、业务平台以及目标系统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10133875A1 (en) Comprehensive buying, selling, trading, tracking, verification, validation, tokenization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blockchain
CN109933626B (zh) 金融业务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金融交易终端
US20240062290A1 (en) Computer-controlled marketplace network for digital transactions
KR20200000595A (ko)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65307A (ko)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보증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266686B (zh) 数据共享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201359A2 (en) Method, controll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cting expiration of a unique cryptographic identifier on a distributed transfer network
US20220012711A1 (en) Establishing a shared session between entities
CN116681527A (zh) 基于元宇宙文化产品的数字资产交易方法、装置与系统
KR10209493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263220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지불 방법
WO2020056455A1 (en) Transaction system
KR100749884B1 (ko) 구매자측의 신용카드단말기를 이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7195016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0350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