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758A -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758A
KR20190142758A KR1020190125823A KR20190125823A KR20190142758A KR 20190142758 A KR20190142758 A KR 20190142758A KR 1020190125823 A KR1020190125823 A KR 1020190125823A KR 20190125823 A KR20190125823 A KR 20190125823A KR 20190142758 A KR20190142758 A KR 2019014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elf
camera module
ima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19012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2758A/en
Publication of KR2019014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7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image photographing devi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eliminate eyelid phenomenon and unnatural poses caused by a mismatch between a user gaze and a lens even when a photographer performs photographing while check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nd to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image photographing devi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a self-camera module installed in a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outputting an image and photographing a subject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lf-camera module and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영상 촬영(소위 '셀카'라고 함)을 위한 이미지센서 및 렌즈를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표시 영역 내에 배치하여 자기 영상 촬영 시에 시선과 렌즈 간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n image sensor and a lens for magnetic image capturing (so-called 'selfie') are disposed in an image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that outputs a screen when capturing magnetic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solve a mismatch between a gaze and a lens.

소위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일반적인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 및 플래시를 구비하고, 플래시로 피사체를 조명하면서 카메라 모듈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general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called 'smartphone',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and a flash, so that the camera module can be photographed while capturing the subject while the subject is illuminated by the flash to obtain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통상적으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되는 자기 영상 촬영용 카메라는 단말기의 전방면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조회사 또는 모델별로 좌측 내지는 우측에 위치하여 표시부(화면)와 분리되어 있다. Typically, a magnetic image recording camera configured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and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unit (screen) by being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y manufacturer or model.

따라서 자기 영상 촬영 시 사용자는 시선을 화면 내지는 카메라를 주시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시선을 촬영되는 영상 또는 화면을 확인하기 위해서 화면을 주시하면 카메라는 상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향 촬영이 되고, 정면 응시가 아니라 눈이 감겨있는 듯한 의도하지 않은 모습이 된다. Therefore, when taking a magnetic image, the user should select to look at the screen or the camera. In addition, when the user gazes at the screen in order to check an image or screen photographing the gaze, the camera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us is photographed downward, so that the eyes are closed, not the frontal gaze.

또한, 사용자가 시선을 카메라를 주시하면 촬영되는 영상 또는 화면을 정확하게 볼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자기 영상 촬영은 일반적으로 촬영되는 모습을 화면을 통해 보면서 촬영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적 요소 또는 여러 번 촬영을 시도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gazes at the camer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tured image or screen cannot be viewed correctly. As a result, self-image shooting generally does not allow the user to take a picture while looking at the screen, but has an empirical factor or difficulty in taking several shots.

이에 공개특허 제10-2017-0118985호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후면(단말기 본체의 후면 커버 또는 백 커버, 또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된 보호 커버)에 카메라용 관통홀을 갖는 포즈 확인용 거울을 부착하고, 이러한 카메라용 관통홀을 통해 보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영자가 카메라를 응시하면서 거울을 통해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 또는 화면을 자연스럽게 보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Accordingly,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18985 attaches a pose confirmation mirror having a through hole for a camera on a rear su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ar cover or a back cover of a terminal body or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a terminal body). In addi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which allows a photographer to take a picture while watching a video or a screen simultaneously taken through a mirror while using the rear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en through the camera through-hole.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카메라 렌즈와 거울을 부착하여 자기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방식은 촬영을 위한 버튼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자가 버튼을 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촬영시 화면이 흔들리는 경우가 많고, 단말기의 후방에는 배터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자기 영상 촬영용 카메라 모듈을 단말기 내부에 설치할 공간이 없어서 카메라 모듈을 단말기의 외부에 설치해야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 두께가 대폭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method of performing self-image shooting by attaching a camera lens and a mirror to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button for shoot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not easy for the photographer to touch the button. Since the battery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there is no space for installing the camera module for self-image photographing in the terminal, so that the camera module must be installed outside the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erminal.

등록특허 제10-0560885호(2006.03.07.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560885 (registered March 7, 2006) 등록실용신안 제20-0277713호(2002.05.27. 등록)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7713 (registered May 27, 2002) 공개특허 제10-2017-0118985호(2017.10.26.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8985 published on October 26, 20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영상 촬영용 이미지센서 및 렌즈를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표시 영역 내에 배치하여 자기 영상 촬영 시에 촬영자의 시선과 렌즈 간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n image sensor and a lens for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in an image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displaying a screen, thereby inconsistency between the eye of the photographer and the lens during magnetic image captur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본 발명은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하더라도 촬용자의 시선과 렌즈 간의 불일치로 인한 눈감김 현상이나 부자연스러운 포즈를 해소할 수 있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solving a blinding phenomenon or an unnatural pose caused by a mismatch between a user's gaze and a lens even when a photographer checks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면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 모듈과;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lf-camera module installed in a screen area of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n image to photograph a subject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self camera module and the display panel.

상기 제어부는 셀프 카메라 모듈을 통한 촬영 작동 시에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만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such that the image signal is not input only to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dur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by the self-camera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may be transparently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에 셀프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pace in which the lens of the self-camera module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in the display panel.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f-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i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ens.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a) 셀프 카메라 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a) photographing a subject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lf-camera module;

(b)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b)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display panel.

를 포함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 magnetic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a)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만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a)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such that an image signal is not input only to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b) 셀프 카메라 모듈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b) photographing a subject with a self-camera module and outputting an image to a remaining area of the screen panel of the display panel except for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내에 셀프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면,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에 나타난 영상을 보면서 촬영할 때 화면 내의 셀프 카메라 모듈(10)을 동시에 응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게 되므로 시선 불일치로 인한 눈꺼풀 감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포즈로 자기 영상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self-camera module 10 is disposed in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hotographer takes a picture of the self-camera module 10 in the screen when the photographer takes a picture while viewing the image shown on the display panel 2.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while staring at the same time, so that eyelid closure due to a disagreement of eyes does not occur, and thus a self-photographed image can be obtained in a natural pose.

본 발명의 자기 영상 촬영 장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소위 '노트북'으로 불리는 랩탑 컴퓨터의 모니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 등 디스플레이 패널과 자기 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갖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magnetic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or similarly applied to any application having a display panel and a magnetic imaging camera such as a monitor of a laptop computer, a monitor of a desktop computer, a television, etc., in addition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가 적용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후술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상기 케이스(1)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에 설치되는 PCB 기판(3)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 및 PCB 기판(3)의 각종 전기부품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1 and 2,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ase 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display panel 2 installed in front of the case 1, and outputting an image toward the fron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PCB board 3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2 in the case 1 and th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display panel 2 and the PCB board 3 ( Not shown).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PCB 기판(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셀프 카메라 모듈(10)과 제어부, 마이크, 스피커, CPU, ROM, RAM, I/O 칩 등 다양한 전기부품이 설치된다. The display panel 2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addition, the PCB substrate 3 is provided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self-camera module 10 constituting the magnetic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a microphone, a speaker, a CPU, a ROM, a RAM, an I / O chip,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영상 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방면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패널(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self-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f-camera module 10 installed in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to photograph a subject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lf-camera module 10 and the display panel (2).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후면에 설치되는 렌즈(11)와, 상기 렌즈(11)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12)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11)와 이미지센서(12)는 카메라 홀더(13)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10)은 PCB 기판(3)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The self-camera module 10 includes a lens 11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2 in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ens 11. 12). The lens 11 and the image sensor 12 may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side the camera holder 13. The self-camera module 10 is installed on the PCB board 3 and its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 중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셀프 카메라 모듈(10)은 화면 영역(2a)의 두 대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lf-camera module 10 is preferably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2. For example, the self-camera module 10 is disposed at a point where two diagonal lines of the screen area 2a cross each other. Can be.

상기 제어부는 PCB 기판(3)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영상 신호를 전송함과 더불어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이미지센서(12)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is installed on the PCB substrate 3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2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e sensor 12 of the self-camera module 10.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내에 존재하지만,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2)을 통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2)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에도 셀프 카메라 모듈(10)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다. The self-camera module 10 is present in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but since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display panel 2, the self-camera module 10 also output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panel 2. The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can be performed by (10).

셀프 카메라 모듈(10)로 자기 영상 촬영을 할 때 외부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2)을 더욱 잘 투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을 통해 영상을 출력할 때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2b)을 투명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셀프 카메라 모듈(10)을 사용하지 않는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체 화면 영역(2a)의 픽셀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 전체 화면 영역(2a)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셀프 카메라 모듈(10)을 통한 자기 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셀프 카메라 모듈(10)과 대응하는 영역(2b)의 픽셀에만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영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2b), 즉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와 마주보는 중앙 영역(2b)의 픽셀은 영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활성화되지 않아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 및 이미지센서(12)로의 광투과가 가능해져 더욱 선명한 자기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Lens of the self-camera module 10 when outputting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panel 2, in order to allow external light to better transmit the display panel 2 when taking a self-image by the self-camera module 10. The area 2b of the display panel 2 where the 11 is located can be made transparent.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pixels of the entir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in a mode not using the self-camera module 10, and through the display panel 2 full screen area 2a. In the self-image capturing mode through the self-camera module 10, the display panel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such that an image signal is not input only to pixels of the area 2b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10. Pixels in the area 2b of the display panel 2 where the image signal is not input by the control unit, that is, in the center area 2b facing the lens 11 of the self-camera module 10, are not inputted.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lens 11 and the image sensor 12 of the self-camera module 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이와 같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내에 셀프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면, 촬영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에 나타난 영상을 보면서 촬영할 때 화면 내의 셀프 카메라 모듈(10)을 동시에 응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게 되므로 시선 불일치로 인한 눈꺼풀 감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포즈로 자기 영상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elf-camera module 10 is disposed in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f-camera module 10 in the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photographer takes a picture while viewing the image shown on the display panel 2. ) Can be taken while staring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lf-image taken in a natural pose without eyelid closure due to disparity of eyes.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중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패널(2) 영역에는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아 투명한 상태로 하여 셀프 카메라 모듈(10)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 중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에 대응하는 영역(2b)에만 액정 또는 발광물질을 주입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유지하거나 관통되게 형성하여 렌즈(11)의 전방부를 투명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image signal is not input to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2 facing the lens 11 of the self-camera module 10 of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so that the image is transparent. Although shooting by the camera module 10 is enabled, as shown in FIG. 4, an area 2b of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corresponding to the lens 11 of the self-camera module 10 is shown. Only the liquid crystal or the light emitt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empty space without being injected or formed to make the front part of the lens 11 transparent.

혹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셀프 카메라 모듈(10)의 렌즈(11)에 대응하는 영역(2b)의 빈 공간 내측에 렌즈(11)를 삽입하여 셀프 카메라 모듈(10)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self-camera module 10 may be configured by inserting the lens 11 into an empty space of an area 2b corresponding to the lens 11 of the self-camera module 10.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화면 영역(2a)의 일부분에만 액정 또는 발광물질을 주입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유지하거나 렌즈(11)를 삽입하여 구성하면, 제어부에서 셀프 카메라 모듈(10)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 영역의 영상 신호를 제어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이 경우에는 자기 영상 촬영 모드 이외의 일반적인 모드에서도 이 빈 공간에서는 화면이 구현되지 않지만, 이 화면 영역 내에서 빈 공간의 직경이 대략 2㎜ 정도로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심각한 결점이 되지는 않는다.As such, when the liquid crystal or the light emitting material is kept in an empty space or the lens 11 is inserted into only a part of the screen area 2a of the display panel 2, th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self-camera module 10.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video signal in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2.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screen is not realized in this empty space even in the normal mode other than the self image recording mode, but the diameter of the empty space within this screen area is not so large as about 2 mm, which is a serious defect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Does not.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케이스 2 : 디스플레이 패널
3 : PCB 기판 10 : 셀프 카메라 모듈
11 : 렌즈 12 : 이미지센서
13 : 카메라 홀더
1: case 2: display panel
3: PCB Board 10: Selfie Module
11 lens 12 image sensor
13: camera holder

Claims (7)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면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 모듈과;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 설치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A self-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rough a front surface of a display panel which outputs an image;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elf-camera module and th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elf-camera module is a magnetic image recording devi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프 카메라 모듈을 통한 촬영 작동 시에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만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The magnetic imag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such that the image signal is not input only to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dur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by the self-camera module. Shoo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은 투명하게 형성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The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transparently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에 셀프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The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has a space in which a lens of the selfie module is inser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lfi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The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lf-camera module comprises a lens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within a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n image sensor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lens.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셀프 카메라 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및,
(b)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photographing a subject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lf-camera module; And,
(b) outpu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a display panel;
Control method of a magnetic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에만 영상 신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b) 셀프 카메라 모듈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셀프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 magne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so as not to input an image signal only to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And,
(b) photographing a subject with a self-camera module and outputting an image to a remaining area of the screen panel of the display panel except for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lf-camera module;
Control method of a magnetic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R1020190125823A 2019-10-11 2019-10-11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427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23A KR20190142758A (en) 2019-10-11 2019-10-11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23A KR20190142758A (en) 2019-10-11 2019-10-11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45A Division KR102036204B1 (en) 2018-06-18 2018-06-18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758A true KR20190142758A (en) 2019-12-27

Family

ID=6906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23A KR20190142758A (en) 2019-10-11 2019-10-11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275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2788A (en) * 2021-03-05 2022-09-09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Head-mounte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713Y1 (en) 2002-03-15 2002-06-07 엠텍비젼 주식회사 Digital camera having Locker united with a mirror
KR100560885B1 (en) 2004-01-02 2006-03-13 주식회사 팬택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KR20170118985A (en) 2016-04-05 2017-10-26 박인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irror and protective case having mirror attachabl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713Y1 (en) 2002-03-15 2002-06-07 엠텍비젼 주식회사 Digital camera having Locker united with a mirror
KR100560885B1 (en) 2004-01-02 2006-03-13 주식회사 팬택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KR20170118985A (en) 2016-04-05 2017-10-26 박인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irror and protective case having mirror attachabl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2788A (en) * 2021-03-05 2022-09-09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Head-mounted device
CN115032788B (en) * 2021-03-05 2023-11-24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Head-wea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4284A1 (en) Selfie capturing devic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037042A1 (en) 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561769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4728793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57473A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0423545C (en) Camera and its accessories, and camera system
US8337101B2 (en) Imaging device
US8494359B2 (en) Imaging apparatus
CN108984139A (en) The control method of display module, terminal and terminal
KR20190142758A (en) Self-photographing Device for Cell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900796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754981B2 (en) Imag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device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CN111327731A (en) Foldable terminal
WO2022172644A1 (en) Image display device
CN110365891A (en) A kind of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2007212775A (en) Portable apparatus
KR10048806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embedded a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KR101344880B1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KR200900811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 automatic controlling of display
WO2012077251A1 (en) Imaging apparatus
JP2005110161A (en) Camera, accessory, and camera system
TWI488497B (en) System and method for luminance compensating
JP2018078368A (en)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3257791B2 (en) Video camera
CN111381391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