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295A -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 Google Patents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295A
KR20190142295A KR1020190167974A KR20190167974A KR20190142295A KR 20190142295 A KR20190142295 A KR 20190142295A KR 1020190167974 A KR1020190167974 A KR 1020190167974A KR 20190167974 A KR20190167974 A KR 20190167974A KR 20190142295 A KR20190142295 A KR 2019014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golf putter
putter head
ingo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952B1 (ko
Inventor
조남철
한정욱
조성모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9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9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9/00Blacksmith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1J19/02Hearths; Air suppl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7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23C30/005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on hard metal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골프 퍼터 헤드 제조용 다층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다층소재를 가공해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에칭하여 표면에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표면 에칭된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연마하고 니켈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METHOD FOR MANUFACTURING GOLF PUTTER HEAD USING MULTI-LAYER MATERIAL AND GOLF PUTTER HEAD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소재를 이용해 골프 퍼터 헤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golf club)은 골프공의 위치와 구질, 홀과의 거리, 주변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1번 우드(1W)인 드라이버를 포함한 각종 우드(wood), 1번 내지 9번의 아이언(iron), 웨지(wedge) 및 퍼터(putter) 등이 한 셋트로 구성된다.
그 중, 퍼터는 골프 경기에서 최종 목적인 그린의 홀에 골프공을 넣을 수 있도록 클럽 헤드에 형성된 타구면으로 골프공을 타격하거나 또는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타구면이 미끄럽거나 너무 튕겨 나가지 않도록 부드럽게 임팩트 되어서 퍼팅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퍼터의 헤드는 일반적으로 적당히 부드럽고 강한 재질인 주석(Sn)이나 구리(Cu)의 합금 등을 퍼터 헤드 형태를 가진 금형에 부어 성형한 후 헤드의 타구면에 얇은 판상의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등의 소재를 부착시키고 그 표면을 다듬질하여 제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제조된 퍼터 헤드는 쉽게 탈리하거나 타구면이 변형됨에 따라 퍼터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가 없게 되어 임팩트시 슬라이스(slice) 또는 훅(hook)을 발생시켜 퍼팅 정확성 및 일관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5805호 (공개일 : 2001.11.07.) 한국등록특허 제10-0859630호 (등록일 : 2008.09.16.) 한국등록특허 제10-1586490호 (등록일 : 2016.01.1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철강괴에 정련 및 단접 공정을 반복 수행해 얻어진 다층구조 소재 등과 같은 다층소재를 이용해 퍼팅시 정확성 및 일관성이 기존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골프 퍼터 헤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골프 퍼터 헤드 제조용 다층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다층소재를 가공해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에칭하여 표면에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표면 에칭된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연마하고 니켈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계 (a)는 (a-1) 사철을 제련하여 얻어진 사철 괴련철을 단야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가열한 사철 괴련철을 단조하여 사철강괴를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제조한 사철강괴의 외면을 숯과 황토로 코팅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서 코팅한 사철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갠 후, 단접하여 단접 사철강괴를 제조하는 단계; 및 (a-5) 상기 단접 사철강괴의 외면을 상기 숯과 황토로 코팅하고, 코팅한 단접 사철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단접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개어 단접하는 공정을 2회 이상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사철을 원료로 하여 생산한 사철강괴를 정련 및 단접 처리하는 공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사철강괴의 강도 및 인성이 증가되고, 불순물 및 공극이 제거된 다층재료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1)은 사철을 제련하여 얻어진 사철 괴련철을 단야로에서 가열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상기 사철 괴련철은 목탄이 공급된 제련로에 제련로의 송풍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목탄에 불을 붙여 제련로를 1300℃ 내지 1800℃ 정도로 가열하고, 1 : 2 내지 1 :3 정도의 중량비로 사철과 상기 목탄을 교대로 제련로에 투입하여 슬래그를 배출시키면서 사철을 환원시켜 형성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철 괴련철은 사철을 제련로에서 1차 제련하여 제조된 상태로, 다공질이며, 미세조직이 불균일하고, 불순물이 많아 상기 사철 괴련철을 직접 이용하여 다양한 도구를 제작하기에는 재료적 성질이 적합하지 않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사철 괴련철을 단야로에서 가열하여 반용융 상태로 만든 후, 후술할 단계에서 상기 사철 괴련철을 정련 및 단접하여 사철 괴련철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야로에서 사철 괴련철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괴련철 내부에 불순물들이 녹아서 사철 괴련철의 외부로 용출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사철 괴련철을 바람직하게는 1250 ℃의 단야로에서 가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야로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숯을 사용할 수 있는데, 숯은 화력이 세고 불순물이 적은 소나무 숯을 백탄으로 만든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단야로의 내부에서 충분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쪼개진 숯의 절편을 사용하여 단야로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철 괴련철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철(FeO) 85 내지 95 중량%, 실리카(SiO2) 3 내지 7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2 내지 4 중량%, 산화칼슘(CaO) 0.1 내지 0.5 중량%, 산화망간(MnO) 0.1 내지 0.5 중량%, 이산화티탄(TiO2) 0.4 내지 0.7 중량% 및 산화바나듐(V2O5) 0.2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사철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사철을 1차 제련하여 제조한 사철 괴련철은 유리질 슬래그 등의 조대한 비금속개재물이 상당량 존재하고, 불순물 및 공극의 비율이 25% 이상이며, 탄소함량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잡하게 맞물린 조대한 결정립인 비드만스테튼 조직(
Figure pat00001
)이 잔류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1차 제련된 사철 괴련철은 도구를 만들기에 적합한 소재가 될 수 없어 사철 괴련철을 정련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상기 단계 (a-2)는 상기 단계 (a-1)에서 가열한 사철 괴련철을 단조하는 단계로서, 상기와 같이 가열한 사철강괴를 미리 설정된 길이에 맞게 길이방향으로 단조하여 사철강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a-3)는 상기 단계 (a-2)에서 단조한 사철강괴의 외면을 숯과 황토로 코팅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접합한 사철강괴의 외면에 숯과 황토를 코팅하여 정련 및 단접 공정 중에 사철 강괴에 발생하는 탈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사철강괴에 발생되는 탈탄에 의한 연화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숯은 소나무 숯이 분쇄된 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황토물은 황토, 백토 및 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a-4)는 상기 단계 (a-3)에서 코팅한 사철 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갠 후, 단접하는 단계로서, 불순물 및 공극이 많은 사철강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열된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개어 단조하는 단접공정을 통해 사철강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단접 사철강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숯과 황토로 코팅된 사철 강괴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상기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단접공정을 통해 단접 사철강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계적인 방법으로 사철강괴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면, 압력에 의해 강괴의 외부로 불순물이 용출되는 효과가 있으며, 비금속개재물이 단접면을 따라 연신하고, 결정립이 미세화되어, 강도 및 인성의 증가와 함께 불순물 및 공극을 제거되어 재료적 특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단접 사철강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1250 ℃의 단야로에서 상기 사철강괴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사철강괴를 포개기 위해서는 사철강괴의 1부분을 절단하여 반으로 포개어 접합할 수 있고, 2부분을 절단하여 3단으로 포개어 접합할 수 있고, 여러 부분을 절단하여 다단으로 포개어 접합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사철강괴를 반으로 포개어 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철강괴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도끼 등의 절단 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a-5)에서는, 상기 단접한 사철강괴의 외면을 상기 숯과 황토로 코팅하고, 코팅한 사철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포개어 단접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 (a-5)를 수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단접공정은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철강괴의 결정립이 미세해지고, 불순물 및 공극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제조한 단접 사철강괴를 이용해 상기 단계 (a-5)를 수회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단접 사철강괴의 재료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단접처리 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a-5)를 11회 이상 반복수행하여 총 12회 이상 단접처리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되는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는,
샤프트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스(boss)를 갖는 호젤(bosel); 및
골프공 임팩트를 가하기 위한 앞면부(front face), 힐 엔드(heel end) 및 토우 엔드(toe end)를 포함하는 바디(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를 구비한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철을 원료로 하여 생산한 사철강괴를 정련 및 단접하는 공정을 수회 반복수행하여 얻어지는 다층구조의 소재 등 다층소재를 이용해 제조되는 골프 퍼터 헤드는 종래에 비해 퍼팅의 정확성 및 일관성이 현저히 향상된 퍼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사철강괴를 이용한 골프 퍼터 제작 과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원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퍼터의 헤드 페이스면에 대한 사진 및 헤드 페이스 반대면에 대한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원 실시예에 따른 퍼터를 이용한 퍼팅 장면을 고속촬영한 사진 및 비교예에 따른 퍼터를 이용한 퍼팅 장면을 고속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괴련철의 정련 및 단접을 통한 골프 퍼터 헤드용 다층소재의 제조
사철을 제련하여 생산한 괴련철을 철물로 제작하여 사용하려면 불순물 제거와 공극률을 줄여야 한다. 이때 헤머링(hammering)을 뜻하는 단조(鍛造)를 통한 단접(鍛接)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지속적으로 고온의 불에서 괴련철을 달궈 불순물을 녹이는 정련(精鍊)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내부의 불순물 제거와 공극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접을 통하여 미세조직의 미세화를 통해 고강도의 강괴를 제작할 수 있다.
정련 및 단접을 위하여 준비한 재료는 숯, 숯과 볏짚을 각각 1.16kg 및 1kg씩 혼합한 것, 황토와 물을 각각 1.16kg 및 10.52kg 씩 혼합한 물, 사철이다. 이후 단야로를 준비하여 괴련철을 가열하고 모루 위에서 단조하는 과정을 1회로 묶어, 이를 반복하여 다층구조 소재를 제작하였다.
이때 정련 및 단접을 위해 장입되는 숯의 양과 단조횟수를 아래 표 1에 기재한 바에 따라 진행하였다. 12회의 총 과정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다층구조 소재의 강괴를 생산하였다.
Figure pat00002
보다 구체적으로, 괴련철의 정련 단접과정을 통한 다층재료의 제작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했다.
최초 숯(20kg)을 넣어 1250℃로 온도를 올려 노를 가열하였다. 이 후 최초 괴련철을 장입하여 1차 정련을 실시하였다. 가연된 괴련철을 꺼낸 후 망치를 이용하여 단조를 실시하고, 다시 기계식 헤머를 이용하여 단조하였다. 이 후 황토물에 단조한 괴련철을 넣어 침탄하고, 숯과 볏짚을 배합한 곳에 괴련철을 넣어 탈탄을 방지하고, 다시 노에 넣고 숯을 추가 장입하였다. 위의 과정을 1회차로 명명하였다. 이 후 이와 같은 단계를 총 12회 실시하고,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제작하였다. 1회차를 제외하고 2회차부터는 가열된 괴련철의 중앙에 홈을 내고 홈을 중심으로 양쪽의 철을 단접하는 과정을 추가하였다. 위의 단계를 통해 최종단계에서 다층구조의 소재를 생산하였다.
상기 다층구조의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순물과 공극이 소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하기에 나타낸 수학식을 이용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르면 1회 단접강괴의 불순물과 공극의 비율은 26.09%였으나 12회 단접강괴의 경우에는 불순물과 공극의 비율이 1.8%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3
아래 표 2는 상기 사철강괴에 대해 4회에 걸쳐 XRF 측정을 실시한 결과이며, 이에 따르면 Fe 함량이 97.98wt%가 넘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Al 등 소량의 성분이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이 상기 사철강괴를 이용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는 Fe 함량이 높은 순철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4
(2) 상기 (1)에서 제조된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다층소재를 이용하여 골프 퍼터를 제작하였으며, 그 제조공정을 도 1을 참조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양두밀링기' 이용하여 사철강괴 표면의 이물질 및 부식을 제거하여 직사각형의 강괴를 제작하였다.(도 1의 A). 이어서, '머신센터 4축 고속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직사각형의 강괴를 골프채 퍼터 헤드 모양으로 1차 가공하고(도 1의 B 및 C), 에칭 용액을 이용하여 에칭을 실시하여 헤드 표면에 문양을 표현하였다(도 1D). 에칭을 완료한 후 Sand Paper(#800)로 표면을 갈아내었다(도 1E), 표면 마무리가 완료된 후에는 경질니켈도금 처리를 실시하고(도 1F), 샤프트와 핸들을 연결시켜 골프 퍼터 제작을 완료하였다(도 1의 G).
아래 표 3 및 표 4는 상기 본원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퍼터(실시예)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A사 퍼터(비교예)를 대상으로 한국 스포츠 개발원(KISS) 스포츠 용품 시험소에서 실시한 퍼팅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표 3은 각 퍼터 헤드를 안쪽(힐측), 중앙 및 바깥쪽(토우측)으로 3등분해 각각을 퍼팅 포인트로 퍼팅을 실시할 경우에 있어서, 퍼팅 방향 비거리 및 목표 방향 기준으로 한 좌우 이탈 거리를 측정한 결과이다.
표 3에 의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퍼터는 비교예의 퍼터에 비해 퍼팅시 목표 방향 기준 좌우 이탈 거리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퍼팅 정확성 측면에서 실시예에서 제조된 퍼터가 비교예의 퍼터를 월등히 앞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5
*좌우 : 목표방향에서 좌측(-), 우측(+)
*퍼팅방법: 퍼팅머신에서 샤프트 0도에서 10도 각도 백스윙 후 자유낙하 퍼팅(5회 측정값 평균)
하기 표 4는 각 퍼터를 이용해 퍼팅할 경우 임팩트 후 지면을 떠나 고속촬영을 통해 측정(도 3 참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공이 임팩트에 의해 지면을 떠났다가 지면에 다시 닿았을 때, 공이 잔디에서 미끄러지면서 마찰력에 의해 다시 앞으로 구르게 되는데, 이 때 공이 회전하지 않고 미끄러지는 Skid zone(퍼팅을 한 후 공이 잔디에서 미끄러지는 부분)에서는 공이 잔디의 상황, 경사, 습도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원치 않은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끄러지는 거리가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4에 기재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퍼터로 퍼팅할 경우 공이 무회전 상태로 미끄러지는 거리는 비교예에 따른 퍼터에 비해 25%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퍼팅 제어 측면에서 실시예의 퍼터 성능이 비교예의 퍼터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6
*퍼팅방법: 퍼팅머신에서 샤프트 0도에서 10도 각도 백스윙 후 자유낙하 퍼팅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a) 골프 퍼터 헤드 제조용 다층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다층소재를 가공해, 샤프트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스(boss)를 갖는 호젤(bosel); 및 골프공에 임팩트를 가하기 위한 앞면부(front face), 힐 엔드(heel end) 및 토우 엔드(toe end)를 포함하는 바디(body)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에칭하여 표면에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표면 에칭된 골프 퍼터 헤드 형상의 성형체 표면을 연마하고 니켈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하기 단계 (a-4) 및 (a-5)는 1250 ℃로 유지되는 단야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a-1) 사철을 제련하여 얻어진 사철 괴련철을 단야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가열한 사철 괴련철을 단조하여 사철강괴를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제조한 사철강괴의 외면을 숯과 황토로 코팅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서 코팅한 사철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갠 후, 단접하여 단접 사철강괴를 제조하는 단계; 및
    (a-5) 상기 단접 사철강괴의 외면을 상기 숯과 황토로 코팅하고, 코팅한 단접 사철강괴를 가열한 후, 상기 단접 사철강괴를 길이방향을 따라 포개어 단접하는 공정을 11회 실시하는 단계.
  2. 제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3. 제2항에 기재된 골프 퍼터 헤드를 구비하는 골프 퍼터.
KR1020190167974A 2019-12-16 2019-12-16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KR10214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74A KR102145952B1 (ko) 2019-12-16 2019-12-16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74A KR102145952B1 (ko) 2019-12-16 2019-12-16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85A Division KR20190136758A (ko) 2018-05-31 2018-05-31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95A true KR20190142295A (ko) 2019-12-26
KR102145952B1 KR102145952B1 (ko) 2020-08-19

Family

ID=6910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74A KR102145952B1 (ko) 2019-12-16 2019-12-16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9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662A (ko) * 1998-05-29 1999-12-27 혼마 유끼히로 골프채용헤드
KR20010095805A (ko) 2000-04-12 2001-11-07 유 우-첸 골프 클럽 헤드 제조방법
JP2002143354A (ja) * 2000-11-10 2002-05-21 Shintomi Golf:Kk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9630B1 (ko) 2008-05-15 2008-09-23 김동호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골프 클럽 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9719B1 (ko) * 2008-10-06 2011-12-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결정 골프채의 제조방법
KR101586490B1 (ko) 2014-10-24 2016-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저융점 필러금속을 이용한 골프 클럽의 제조방법
KR101746837B1 (ko) * 2016-03-21 2017-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련된 사철을 이용한 불순물이 제거된 다층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소재
KR20180019445A (ko) * 2016-08-16 2018-02-26 정시후 아이언 골프 클럽 헤드와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662A (ko) * 1998-05-29 1999-12-27 혼마 유끼히로 골프채용헤드
KR20010095805A (ko) 2000-04-12 2001-11-07 유 우-첸 골프 클럽 헤드 제조방법
JP2002143354A (ja) * 2000-11-10 2002-05-21 Shintomi Golf:Kk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9630B1 (ko) 2008-05-15 2008-09-23 김동호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골프 클럽 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9719B1 (ko) * 2008-10-06 2011-12-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결정 골프채의 제조방법
KR101586490B1 (ko) 2014-10-24 2016-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저융점 필러금속을 이용한 골프 클럽의 제조방법
KR101746837B1 (ko) * 2016-03-21 2017-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련된 사철을 이용한 불순물이 제거된 다층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소재
KR20180019445A (ko) * 2016-08-16 2018-02-26 정시후 아이언 골프 클럽 헤드와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952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3759C (zh) 高尔夫球杆头
US7172519B2 (en) Golf club head composed of damascene patterned metal
TWI469808B (zh) 高爾夫球頭之配重塊合金及其製造方法
JP2010530783A (ja) 高慣性モーメントウッドタイプ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21009413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itchen knife by using multilayer material, and kitchen knife manufactured thereby
JP2003226952A (ja) ゴルフクラブのフェース部用チタン合金
JP2002523154A (ja) 多層構造を有したゴルフクラブアイアン
KR20190142295A (ko)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KR100953360B1 (ko) 도검 제조방법
KR20190136758A (ko) 다층소재를 이용한 골프 퍼터 헤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프 퍼터 헤드
JP200702971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TWI777652B (zh) 具有抗衝擊強度層及柔韌層之鈦合金板材及其製造方法
US20090111607A1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90247317A1 (en) Golf clu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070374A1 (en) Enhanced golf club performance via friction stir processing
US20130167978A1 (en) Alloy of a Golf Club
JP3056395B2 (ja) ゴルフクラブ用Ti合金製中空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3880770B2 (ja) 圧延用ハイス系スリーブ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スリーブロール
CN113020602B (zh) 一种高密度的高尔夫球头配重块
JP3486898B2 (ja) アイアン形ゴルフクラブの製造法
CN113930660B (zh) 食品级炊具的铸件及其制备方法
JP2003171733A (ja) 継目無鋼管製造用プラグ
JPH09194968A (ja) Ti合金およびTi合金製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548008B2 (ja) β型Ti−Zr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β型Ti−Zr系合金部材
JPH0699775B2 (ja) 鉄−マンガン−アルミニウム合金の精密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