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793A -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793A
KR20190139793A KR1020190068026A KR20190068026A KR20190139793A KR 20190139793 A KR20190139793 A KR 20190139793A KR 1020190068026 A KR1020190068026 A KR 1020190068026A KR 20190068026 A KR20190068026 A KR 20190068026A KR 20190139793 A KR20190139793 A KR 2019013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ulina
algae
medium
genus
spirulina g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1855B1 (en
Inventor
이지영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생스피루리나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생스피루리나, 이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생스피루리나
Publication of KR2019013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793A/en
Priority to KR102021009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Spirulina sp. Algae by using a minimal medium including NaHCO_3, K_2HPO_4, MgSO_4·7H_2O and NaNO_3; a minimal medium for producing Spirulina sp. Algae, which includes NaHCO_3, K_2HPO_4, MgSO_4·7H_2O and NaNO_3; Spirulina sp.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 liver diseas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a liver functio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and food and feed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type 1 diabetes which comprise the Spirulina sp.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oducing Spirulina sp. Algae can economically produce Spirulina sp. Algae by enabling ingredients included in the medium to be minimized, and the Spirulina sp.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can be widely utilized in economic production of Spirulina sp. Algae exhibiting pharmaceutically improved activity by exhibiting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melioration of diabetic symptoms, prevention of liver functional damages, treatment of liver damages, etc.

Description

최소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Production method of Spirulina algae using minimal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본 발명은 최소 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를 포함하는 최소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생산용 최소배지,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1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제1형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algae using a minimal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rulina genus algae using a minimal medium contain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7H 2 O and NaNO 3 . Production method of,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the minimum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Spirulina algae containing NaNO 3 , Spirulina algae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spirulina alga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type 1 diabetes, and a feed composition.

현재, 전세계적으로 경작되고 있는 농작물류는 인류의 주식량공급원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농지 면적당 수확량이 많지 않고 태양 에너지의 이용률이 극히 낮다. 이에 비해서, 수중에서 태양 에너지와 이산화탄소, 소량 함유된 무기염류로 생육할 수 있는 미세 광합성 조류는 농작물의 생육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생육이 가능하고, 농작물과 비교하여 단위 경작면적당 20배 이상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유용물질과 미생물 혹은 동 식물 세포로부터 생산이 불가능한 천연의 희귀물질 생산이 가능하다. 더욱이, 세포의 크기가 큰 조류는 쉽게 침전되어 다양한 방법을 통한 추출 및 분리가 용이하고, 주에너지원으로 태양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지구상에 조사되는 태양에너지의 효율적이 이용이 가능하며, 탄소원으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과정을 갖고 있어 대기오염을 낮추는 기능까지도 가지고 있다.At present, crops being cultivated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used as a stock supply source for humanity, but the yield per farm area is not high and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is extremely low. On the other hand, micro photosynthetic algae, which can grow in water with inorganic energy containing solar energy, carbon dioxide, and small amounts, can grow even in areas where crops cannot be grown, and can obtain more than 20 times more protein per acreage area than crop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useful substances and natural rare substances that cannot be produced from microorganisms or plant cells. Moreover, algae with large cell size are easily settled and are easily extracted and separated through various methods, and by using solar energy as a main energy source, efficient use of solar energy irradiated on the earth and carbon dioxide as a carbon source It has photosynthetic process that uses it and releases oxygen as a by-product, and it has the function of lowering air pollution.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미세 광합성 조류가 연구되고 있는데, 주로 클로렐라(Chlorella) 속, 두날리엘라(Dunaliella) 속, 스피루리나(Spirulina) 속 등의 미세 광합성 조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피루리나 속 미세 광합성 조류(이하, '스피루리나 조류'라 함)는 다른 미세 광합성 조류에 비해 세포의 크기가 크고, 알칼리 오염성 환경에서도 쉽게 성장할 수 있는 조류로서, 식품, 의약, 공업용 제품 등의 다양한 제품에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714호에는 스피루리나 조류 분말을 포함하는 유해물질 또는 악취제거용 흡착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53888호에는 스피루리나 조류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옥신 배설작용이 있는 츄잉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54224호에는 스피루리나 조류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피루리나 조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micro photosynthetic algae are being studied, and studies on micro photosynthetic algae such as Chlorella genus, Dunaliella genus, and Spirulina genu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spirulina microscopic photosynthetic alga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pirulina algae '') are larger algae than other micro photosynthetic algae and can easily grow in alkaline contaminated environments. It is applied to a product.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48714 discloses an adsorbent for removing toxic substances or odors including spirulina algae powder,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353888 discloses chewing gum composition having a dioxin excretion effect including spirulina algae powd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454224 discloses a health supplement composition comprising spirulina algae powder. Accordingly, research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spirulina alga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최근에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스피루리나 조류의 효과적인 생산과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데, 사계절이 뚜렷하고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및 일조량의 차이가 심한 기후적인 특성 때문에, 스피루리나 조류의 야외배양보다는 실내배양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피루리나 조류가 가장 활발하게 생육할 수 있는 조건에서는 스피루리나 조류 이외의 다양한 식물성 조류 또는 미생물들이 함께 성장하기 때문에, 스피루리나 조류의 수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스피루리나 조류의 생육에 적절한 환경을 실내에 조성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스피루리나 조류의 생산으로 얻어지는 부가가치가 크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보다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studies on the effective production of spirulina algae have been started in Korea. Due to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and the seasonal temperature fluctuations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unshine, studies related to indoor culture rather than outdoor culture of spirulina algae have been started. It's going on. However, in the conditions in which spirulina algae grow most actively, various vegetable algae or microorganisms other than spirulina algae grow together, so that the yield of spirulina algae decreases relatively, thereby provi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spirulina algae. Although the added value obtained from the production of spirulina or algae is not large compared to the cost required to produce the phosphat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produce this more economically, but it is not practically used. .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73693호에는 NaOH 대신에 숯을 부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동시에 탄소원으로 활용하여 스피루리나 조류를 배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숯이 배양액에 침전되어 pH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탄소원으로서도 활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침전된 숯에 스피루리나 조류가 흡착되어, 결과적으로는 생산성을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17033호에는 스피루리나 조류의 성장 최적화 및 최대 수확을 위하여, 질소 및 탄소의 농도를 조절한 배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생산성의 향상정도 보다 배양액의 단가상승 정도가 더 높아서, 실제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436호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에 특화된 SOT 배지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SOT 배지는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배지의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에, 스피루리나의 경제적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73693 discloses a method of culturing spirulina or algae using carbon as a carbon source instead of adding NaOH to control pH, but charcoal is precipitated in a culture medium to control pH. It is not shown, and it is not used as a carbon sour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pirulina algae are adsorbed on the precipitated charcoal,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roductivity,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17033 discloses optimization and growth of spirulina algae. In ord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carbon, a media composition has been disclosed, but the unit cost increase of the culture solution is higher tha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thus, it was not actually utilized.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0744360 has developed a SOT medium specialized for the cultivation of Spirulina genus alga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using the same, but the SOT medium contains 15 components of the medium Due to the high cost of production, it was difficult to economically produce spirulina.

만일, 종래의 배양방법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스피루리나 조류의 상업적 이용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If the development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more economical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lture metho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ring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mercial use of spirulina algae.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보다 경제적으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4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생산용 최소배지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studies to develop a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more economically, and have developed a minimal medium for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including four component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using a medium compris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irulina genus alga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includ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the spirulina alg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includ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type 1 diabetes compri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생산용 최소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nimal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Spirulina genus alga includ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7H 2 O and NaNO 3 .

본 발명자들은 경제적으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앞서 개발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 배양용 SOT 배지(한국등록특허 제10-0704436호)를 개량하고자 하였다. 이에, 상기 SOT 배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에 필수적인 성분을 선별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할 경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SOT medium for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 (Korean Patent No. 10-0704436) developed above, while performing various studies in order to economically develop a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Therefore, as a result of various studies to select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ultivation of spirulina alga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OT medium, the minimum medium contain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It was confirmed that can be used to produce spirulina algae.

그러나, 상기 최소배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유속으로 배지를 순환시키지 않을 경우,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가 침전된 후, 부패하여 정상적인 배양이 진행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최소배지를 사용하면서도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정상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배지의 유속을 선별한 결과, 30 내지 45 cm/sec의 속도로 배지를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minimum medium, if the medium is not circulated at a constant flow rate, the cultured spirulina or algae precipitate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rmal culture does not proceed.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medium capable of culturing spirulina genus algae while using the minimum medium was sele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um was circulated at a rate of 30 to 45 cm / sec.

한편,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종래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 보다도 우수한 당뇨병 증상개선효과와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was found to show an effect of improving diabetic symptoms and liver function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pirulina algae.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성분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는 기술은 종래에 전혀 보고되어 있지 않으며,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producing spirulina algae using a medium containing four components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prior art and was first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배지에,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접종하고, 32 내지 38℃에서 3,000 내지 9,000Lux의 광조건, 12 내지 20(h) : 12 내지 4(h)의 광주기(명:암) 및 30 내지 60cm/s의 유속으로 배지를 관형 배양기내에서 순환시키면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oculated spirulina algae in a medium compris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 and 3,000 at 32-38 ℃ Culturing the medium in a tubular incubator at a light condition of 9,000Lux, 12-20 (h): 12-4 (h) photoperiod (light: dark), and a flow rate of 30-60 cm / s. It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lgae, spirulina.

본 발명의 용어 "스피루리나 속 조류(Spirulina sp. Algae)"란,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조류(algae)로서 세포벽이 얇은 다세포 생물을 의미한다. 주로 열대 지방의 염호(鹽湖)에서 자생하고 세계적인 분포는 많지 않으나 최적 수온은 32∼42℃이며 강한 알카리성 환경에서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스피루리나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단백질, 탄수화물, 수용성 식이섬유를 비롯하여 항산화성 색소 성분(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피코사이아닌), 항산화 효소(SOD), 감마리놀렌산(GLA),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B2, B6, B12, E, 이노시톨, 엽산, 칼슘, 철, 칼륨, 마그네슘, 아연, 망간, 셀레늄, 게르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로서 Spirulina maxima UTEX LB2342 균주를 사용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pirulina sp. Algae” refers to a multicellular organism with a thin cell wall as the oldest algae on the planet. It grows mainly in the salt lakes of the tropics and does not have much global distribution, but its optimum water temperature is 32-42 ℃ and it is known to breed in strong alkaline environment. The main components of spirulina include proteins, carbohydrates, water-soluble fiber, antioxidant pigments (chlorophyll, carotenoids, phycocyanin), antioxidant enzymes (SOD), gammalinolenic acid (GLA), beta-carotene, vitamin B1, B2, B6, B12, E, inositol, folic acid, calcium, iron, potassium, magnesium, zinc, manganese, selenium, germanium and the like are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ulina maxima UTEX LB2342 strain was used as the spirulina genus alga,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all known spirulina genus algae may be applied to the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배양온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32 내지 38℃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34 내지 36℃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35℃가 될 수 있다. 상기 배양온도가 32℃ 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가 크게 감소되고, 38℃ 보다 높은 경우에는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산패율이 증가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spirulina genus alg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32 to 38 ℃ as one example, 34 to 36 ℃ may be another example, another example It can be 35 ℃ as. When the culture temperature is lower than 32 ℃ the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is greatly reduced, when higher than 38 ℃ the rate of rancidity of the cultured spirulina algae is increas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광조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3,000 내지 9,000 Lux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5,000 내지 7,000 Lux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6,000 Lux가 될 수 있다. 상기 광조건이 3,000 Lux 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피루리나의 광합성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9,000 Lux 보다 높은 경우에는 스피루리나의 성장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광조건 유지에 소모되는 비용이 과다하여 생산비가 증가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spirulina genus alg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n example may be 3,000 to 9,000 Lux, another example may be 5,000 to 7,000 Lux, as another example It can be 6,000 Lux. When the light condition is lower than 3,000 Lux, photosynthesis of spirulina does not proceed normally, and when it is higher than 9,000 Lux, the cost of maintaining the light condi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without excessively affecting the growth of spirulina,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광주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광주기(명:암)는 12 내지 20(h) : 12 내지 4(h)가 될 수 있다. 상기 광주기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목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광주기(명:암)를 12:12로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광주기(명:암)를 20:4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In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tion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peri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n example, the photoperiod (light: dark) may be 12 to 20 (h): 12 to 4 (h). have. The photoperio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ultur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for example, for maintain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hotoperiod (light: dark) at 12:12, as another exampl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spirulina alga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hotoperiod (light: dark) at 20: 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주기에 포함된 명조건이 증가됨에 따라, 배지의 유속 역시 증가될 수 있는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30 내지 60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주기(명:암)가 12:12인 경우 배지유속이 30 내지 4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고; 광주기(명:암)가 13:11인 경우 배지유속이 37.5 내지 4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으며; 광주기(명:암)가 14:10인 경우 배지유속이 37.5 내지 4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고; 광주기(명:암)가 15:9인 경우 배지유속이 37.5 내지 52.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으며; 광주기(명:암)가 16:8인 경우 배지유속이 45 내지 52.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고; 광주기(명:암)가 17:7인 경우 배지유속이 45 내지 52.5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으며; 광주기(명:암)가 18:6인 경우 배지유속이 45 내지 60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고; 광주기(명:암)가 19:5인 경우 배지유속이 45 내지 60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으며; 광주기(명:암)가 20:4인 경우 배지유속이 52.5 내지 60 cm/sec의 속도가 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spirulina genus alg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right conditions included in the photoperiod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medium may also be increased,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speed of 30 to 60 cm / sec Can be. As an example, when the photoperiod (light: dark) is 12:12, the medium flow rate may be a speed of 30 to 4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3:11, the medium flow rate may be 37.5 to 4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4:10, the medium flow rate may be a speed of 37.5 to 4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5: 9, the medium flow rate may be 37.5 to 52.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6: 8, the medium flow rate may be 45 to 52.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7: 7, the medium flow rate may be 45 to 52.5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8: 6, the medium flow rate may be 45 to 60 cm / sec; When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19: 5, the medium flow rate may be 45 to 60 cm / sec; If the photoperiod (light: arm) is 20: 4, the medium flow rate may be 52.5 to 60 cm / sec.

상기 배지의 유속이 30cm/s 보다 낮은 경우에는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가 침전되어 부패하고, 60cm/s 보다 높은 경우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간의 충돌빈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손실률이 증가한다.If the flow rate of the medium is lower than 30 cm / s, the cultured spirulina genus algae precipitates and decay, and if it is higher than 60 cm / s, the frequency of collision between the spirulina genus algae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loss rate of the spirulina alga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광주기(명:암) 12:12 및 배지유속 30 cm/sec로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광주기(명:암) 20:4 및 배지유속 60 cm/sec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표 3).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hotoperiod (light: cancer) 12:12 and the medium flow rate 30 cm / sec, another example, the spirulina genus algae For the purpose of production,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hotoperiod (light: dark) 20: 4 and the medium flow rate 60 cm / sec (Table 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최소배지는 부가적으로 H3BO3, MnSO4·7H2O, ZnSO4·7H2O, CoCl2·6H2O, Na2MoO4·7H2O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spirulina alga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medium contain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is additionally H 3 BO 3 , MnSO 4 · 7H 2 O, ZnSO 4 · 7H 2 O, CoCl 2 · 6H 2 O, Na 2 MoO 4 · 7H 2 O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소배지는 일 예로서 이를 구성하는 4가지 성분을 조합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해수를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수를 정제하는 방법으로는 해수를 여과하여 해수에 포함된 고형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spirulina genus alga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medium can be artificially prepared by combining four components constituting it as an example, and as another example can be produced by purifying seawater present in nature Can be. For example, the method of purifying the seawater may use a method of filtering seawater to remove solids contained in the seawat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irulina genus alga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최소배지를 일정한 유속으로 순환시켜서 배양되는데, 종래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낸다.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genus spirulina alga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cultured by circulating a minimum medium at a constant flow rat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약리활성을 시험한 결과, 당뇨병 증상 개선효과와 간기능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종래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보다도 향상된 약리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tested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in terms of improving diabetic symptoms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effect It w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포자멸이 유도된 인슐린종양 세포에서 인산화된 JNK의 수준증가 억제효과 및 인산화된 p38의 수준증가 억제효과가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주요성분인 PC(Phycocyanin) 보다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a 및 3b). 또한, 간기능이 손상된 동물에 투여할 경우,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혈중 콜레스테롤, AST 및 ALT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a 내지 7c).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crease of phosphorylated JNK and the increase of phosphorylated p38 in apoptosis-induced insulin tumor cells is superior to PC (Phycocyanin), the main component of the algae of Spirulina It was confirmed (FIGS. 3A and 3B). In addition, when administered to animals with impaired liver function, it was confirmed that effectively reduce the abnormally increased blood cholesterol, AST and ALT levels (Figs. 5a to 7c).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당뇨병 증상개선 및 간기능 손상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효과를 활용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식품조성물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ffects such as diabetic symptom improvement and liver function impairment, and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od compositions and the like which can utilize such effec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produced spirulina genus algae as an active ingredie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간기능 손상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n improving liver damage, and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본 발명의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분말형태, 상기 분말형태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타정하여 제조된 타블렛 형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물을 농축하여 제조된 슬러지 형태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pirulina genus alga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processed and us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by proces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 in the form of a powder, the tablet form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in the tablet form, the spirulina algae cultured in a concentrated sludge form, etc.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가공형태에 따라 간기능 개선효과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5a 내지 7c). 즉,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대체로 간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내지만,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슬러지 형태로 가공할 경우, 분말 또는 타블렛 형태로 가공한 경우 보다도, 우수한 간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mproving liv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form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Figs. That is, the spirulina genus algae generally shows an effect of improving liver function, but when the spirulina algae is processed into a sludge form,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an excellent liver function improving effect than the case of processing into a powder or tablet form.

아울러,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물을 상기 슬러지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여과방법, 원심분리 방법, 건조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culture of spirulina genus algae in the form of slud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a filtration method, a centrifugation method, a drying method, and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의 용어 "간질환"이란, 내부적, 유전적 또는 외인적 요인에 의하여 간세포, 간조직 등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증상을 통칭하여 의미한다. 상기 간질환의 구체적인 예로서 간경화, 간경변, 간염, 간암, 간섬유화, 지방간, 간조직비대증 등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liver disease"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hepatocytes, liver tissues, and the like do not perform a normal function due to internal, genetic, or exogenous factors. Specific examples of the liver disease may be cirrhosis, cirrhosis, hepatitis, liver cancer, liver fibrosis, fatty liver, liver tissue hypertrophy,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간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means any action of inhibiting or delaying liver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간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means any action in which symptoms of liver disease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0.001 내지 80, 구체적으로 0.001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001 to 80, specifically 0.001 to 70, more specifically 0.001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carrier may comprise a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 (carrier) have.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경피흡수제, 겔제, 로션제, 연고제, 크림제, 첩부제, 카타플라스마제, 페이스트제, 스프레이,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또는 좌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r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transdermal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t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bsorbents, gels, lotions, ointments, creams, patches, cataplasms, pastes, sprays, skin emulsions, skin suspensions, transdermal patches, drug containing bandages or suppositories. Specifically, when formulated, it may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weight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etc. which are commonly used.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Such solid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It may be prepared by adding various excipients such as humecta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liquid oral liquids or liquid paraffin for oral use.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As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uto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간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a liver disease other than a human.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dministration" refers to the introduc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said spirulina algae into a subject in a suitable manner.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간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individual" means all animals, such as rats, mice, and livestock, including humans who may or may have developed liver disease.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1일 0.01 내지 500 mg/kg으로,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an effective dose level refers to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severity, age, sex,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use of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For example, the spirulina genus algae may be administered at 0.01 to 500 mg / kg per day, specifically, at a dose of 10 to 100 mg / kg, and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s a separate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applied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ccording to a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based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degree of disease. Depending on the drug form,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ime,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improvement " means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a condition, e.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 term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 Vitamin complexes, nutraceuticals and health foods, and includes all foods in the usual sense.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가능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로부터 유래되었기 때문에 높은 간질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spirulina genus algae that can be ingested daily, it can be expected to have a high liver disease improvement effect, it can be very useful for health promotion purposes.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The functional food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a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in addition to the nutritional supply, the processed food, so that the bioregulatory function appears efficiently, high medical effect Means food. Here, the term 'function (sex)' refers to obtaining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nutrient control or physiological action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 prepara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ormulation is recognized as food.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간질환의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 variety of dosage forms, unlike the general medicin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taking a long-term use of the drug as a natural product, and because the portability is excellent,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aken as an adjuvant for enhancing the improvement effect of liver disease.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The health food refers to foods having active health maintenance or promotion effect as compared to general foods, and the health supplement food refers to foods for health supplementation purposes. In some cases, the terms nutraceutical, health food, dietary supplement are used.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by add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s, confectionery, or the like, encapsulated, powdered, suspensions, and the like when ingested It means to bring a specific effect, but unlike the general medicin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taking long-term use of the drug as a raw material.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the type of carr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carrier tha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to improve the smell, taste, time and the like. For example, it may include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In addition,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copper (Cu) and chromium (Cr); And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valin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composition is a preservative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sodium dehydroacetic acid, etc.), fungicides (bleaching powder and highly bleaching powder, sodium hypochlorite, etc.),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 (BHA), butylhydride) Oxytoluene (BHT), etc.), colorants (such as tar pigments), colorants (sodium nitrite, sodium nitrite, etc.), bleach (sodium sulfite), seasonings (such as MSG glutamate), sweeteners (ducin, cyclate, saccharin Foods such as sodium, etc.), fragrances (vanillin, lactones, etc.), swelling agents (alum, potassium D-tartrate, etc.), reinforcing agents, emulsifiers, thickeners (foils), coatings, gum herbicides, foam inhibitors, solvents, modifiers, etc. It may include food additives. The additiv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health beverage composition, in which case it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a general beverage.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rtin,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specifical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salts of pectic acid, alginic acid, salts of alginic acid,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or carbonation agent and the like. Others may contain fruit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or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lthough the ratio of such an additive is not critical, it is general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comprising the produced spirulina genus alga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treating type 1 diabetes using the composi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당뇨병 증상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제1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improvement in diabetic symptoms, and thus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ype 1 diabetes mellitus, and us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form a first It can cure diabetes.

약학 조성물의 구성 및 제1형 당뇨병의 치료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간질환 관련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treating type 1 diabetes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liver disease related item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type 1 diabetes, comprising the produced spirulina genus algae as an active ingredient.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Specific description of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type 1 diabetes comprising spirulina genus algae as an active ingredi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oduced spirulina alga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농후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The term "feed"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one meal, or the like or any ingredient of the one meal for the animal to eat, ingest and digest. Specifically, feed comprising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of feed known in the art,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rich feed, research feed and / or special feed.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테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rich feed includes seed fruits containing grains such as wheat, oats and corn, and by-products obtained by refining grains, bran, beans, fluids, sesame seeds, linseed, coco, etc., including rice bran, bran and barley bran. Concentrated fresh liquid from fish, fish meal, fish residues and other fish residues such as by-products such as dried starch, sweet potato, and potato. Animal feeds such as fish soluble, meat meal, blood meal, milk powder, skim milk powder, milk from cheese, and whey, which is a balance when making casein from skim milk, Chlorella, seawe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age, raw vegetables such as grasses, grasses, and green grass, fodder turnips, fodder beets, and root vegetables such as Lutherbearger, a type of turnip, raw grass, green grass crops, and grains Silage (silage), grasses, grasses, and dried hay, straws of breeders, and leaves of legumes, which are filled and ferment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Special feeds are supplemented with mineral feeds such as oyster shells and rock salts, urea feeds such as urea and its derivatives, diureide isobutane, and natural feed ingredients. Feed additives and dietary supplements, which are substances added in small amounts,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Feed containing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in a suitable effective concentration range according to various feed produ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료는 당뇨병 또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fee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liver disease, and any one may be applied. For example, monkeys, dogs, cats, rabbits, morphotes, rats, mice, cows, sheep, pigs, goats and the like, but not limited to, such as, but not limited to, and can be applied to any individu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생산용 최소배지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inimal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Spirulina algae compris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7H 2 O and NaNO 3 .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을 이용하면, 배지에 포함되는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당뇨병 증상 개선, 간기능 손상 예방, 간손상의 치료 등의 다양한 약리활성을 나타내므로, 약학적으로 향상된 활성을 나타내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경제적인 생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By using the production method of spirulina genus alga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medium, to economically produce spirulina genus algae, th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improves diabetic symptoms, liver Since it exhibit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preventing impairment of function and treating liver damage, it may be widely used for economic production of spirulina genus algae showing pharmacologically improved activity.

도 1은 UTEX 배지, Zarrouk 배지 또는 SOT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함에 있어서, 배양시간 및 배지의 유속변화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증식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표이다.
도 3a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JNK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p38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ERK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d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카스파제 3 활성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e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나타나는 DNA 분절화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a는 당뇨병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설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b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의 세포형상을 촬영한 현미경 사진(상단); 췌장조직을 항-인슐린 항체로 면역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중단); 및 췌장조직을 항-니트로티로신 항체로 면역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c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의 크기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d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혈액내 인슐린 수준 및 NO의 수준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의 혈액에서 측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 또는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의 혈액에서 측정한 AS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AS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c는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 또는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AS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의 혈액에서 측정한 AL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3가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AL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c는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정상 마우스 또는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의 혈액에서 측정한 ALT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comparing the growth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d using UTEX medium, Zarrouk medium or SOT medium.
Figure 2 is a graph and chart showing the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according to the culture time and the flow rate of the medium in cultur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using the minimum medium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JNK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apoptosis-induced RINm5F cells.
3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p38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Figure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ERK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FIG. 3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caspase 3 activity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Figure 3e is a fluorescence micro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cytokine (IL-1β + IFN-γ) treated DNA fragmentation in apoptosis-induced RINm5F cells.
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n animal model of diabetes.
Figure 4b is a micrograph (top) of the cell shape of the islet of the pancrea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Fluorescence micrograph (interruption) showing the results of immunostaining of pancreatic tissue with anti-insulin antibody; And fluorescence micro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immunostaining of pancreatic tissue with an anti-nitrotyrosine antibody.
Figure 4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change of the islet of the pancrea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Figure 4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changes in insulin and NO levels in the bloo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Figure 5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holesterol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5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holesterol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5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holesterol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or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the sludge-type spirulina sample.
Figure 6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S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6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S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6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ST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or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Figure 7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L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7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L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three types of spirulina samples.
Figure 7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LT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normal mice or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administered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스피루리나 속 조류 배양용 배지의 개발Example 1 Development of Medium for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

실시예 1-1: 스피루리나 속 조류 배양용 배지에 따른 비교Example 1-1: Comparison according to the medium for spirulina algae culture

지금까지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할 때 사용된 배지로는 UTEX 배지 또는 Zarrouk 배지가 알려져 있고, 최근 들어, 상기 Zarrouk 배지를 개량한 SOT 배지가 개발되었다(한국등록특허 제10-0704436호). 상기 SOT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를 UTEX 배지 또는 Zarrouk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와 비교하였다(표 1 및 도 1). 이때, 스피루리나 속 조류로는 Spirulina maxima UTEX LB2342 균주(UTEX Culture Collection of Algae)를 사용하였고, 상기 배양은 32 ℃에서 3,000 Lux의 광조건으로 12시간 명조건/12시간 암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개체수준은 565 nm에서 배양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Until now, UTEX medium or Zarrouk medium is known as a medium used to culture spirulina genus algae, and recently, a SOT medium improved from the Zarrouk medium has been developed (Korean Patent No. 10-0704436). The growth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d using the SOT medium was compared with the growth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d using UTEX medium or Zarrouk medium (Table 1 and FIG. 1). In this case, Spirulina maxima UTEX LB2342 strain (UTEX Culture Collection of Algae) was used as the spirulina genus algae, and the culture was performed under light conditions of 12 lux / 12 hours at 32 ° C. at 3,000 Lux, and cultured spirulina The individual level of the genus alga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culture at 565 nm.

스피루리나 속 조류 배양용 배지의 성분비교(1ℓ당 함량)Comparison of Components of Algal Culture Medium of Spirulina Genus (Content per 1L) 성분ingredient UTEX 배지UTEX badge Zarrouk 배지Zarrouk Badge SOT 배지SOT Badge NaHCO3
Na2CO3
K2HPO4
NaNO3
K2SO4
NaCl
MgSO4
CaCl2
FeSO4
EDTA
Micronutrient Sol.
PIV Solution
Chu Solution
Vitamin B12
미네랄 Mix
NaHCO3
Na2CO3
K2HPO4
NaNO3
K2SO4
NaCl
MgSO4
CaCl2
FeSO4
EDTA
Micronutrient Sol.
PIV Solution
Chu solution
Vitamin b12
Mineral mix
13.61g
4.03g
0.5g
2.5g
1g
1g
0.2g
0.04g
-
-
10.00 ml
6.00 ml
1.00 ml
1.00 ml
-
13.61 g
4.03 g
0.5g
2.5g
1 g
1 g
0.2 g
0.04 g
-
-
10.00 ml
6.00 ml
1.00 ml
1.00 ml
-
16.8g
-
0.5g
2.5g
1g
1g
0.2g
0.04g
0.01g
0.08g
-
-
-
-
-
16.8 g
-
0.5 g
2.5g
1 g
1 g
0.2 g
0.04 g
0.01 g
0.08g
-
-
-
-
-
16.8g
-
0.5g
2.5g
1g
1g
0.2g
0.04g
0.01g
0.08g
-
-
-
-
1.00 ml
16.8 g
-
0.5g
2.5g
1 g
1 g
0.2 g
0.04 g
0.01 g
0.08g
-
-
-
-
1.00 ml

도 1은 UTEX 배지, Zarrouk 배지 또는 SOT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comparing the growth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d using UTEX medium, Zarrouk medium or SOT medium.

도 1에서 보듯이, SOT 배지에서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는 UTEX 배지에서 배양된 것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Zarrouk 배지에서 배양된 것과 동등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1, the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d in SOT medium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UTEX medium,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as that cultured in Zarrouk medium.

실시예 1-2: 스피루리나 속 조류 배양용 최소 배지의 개발Example 1-2 Development of Minimal Medium for Spirulina Genus Algae Culture

상기 실시예 1-1에서 사용된 SOT 배지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성분 중에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구성된 필수배지를 선별하고자 하였다.Since the SOT medium used in Example 1-1 is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it was intended to select the essential medium consisting of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ulture of spirulina genus algae among these components.

이를 위하여, 상기 SOT 배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성분의 조합으로 구성된 각각의 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하고, 이들의 배양여부 를 확인하였다.To this end, except for using each medium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OT medium, spirulina genus algae were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and their culture was confirmed.

그 결과,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할 경우, 최소한의 배지성분을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정상적으로 배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성분으로 구성된 배지에 H3BO3, MnSO4·7H2O, ZnSO4·7H2O, CoCl2·6H2O 또는 Na2MoO4·7H2O가 추가된 배지를 사용할 경우,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성장속도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when using a medium consisting of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 it was confirmed that the spirulina genus algae can be normally cultured using the minimum medium components. In addition, when using a medium added with H 3 BO 3 , MnSO 4 · 7H 2 O, ZnSO 4 · 7H 2 O, CoCl 2 · 6H 2 O or Na 2 MoO 4 · 7H 2 O in the medium consisting of the above compon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wth rate of algae of spirulina increased.

실시예 1-3: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에 미치는 배지 유속의 효과Example 1-3 Effect of Medium Flow Rate on Culture of Spirulina Genus Algae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성분을 포함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할 경우, 배지의 유속에 따라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이 크게 영향받음을 확인하였다. 사전 실험을 통하여 관형 배양기에서 30 cm/sec 보다 낮은 유속으로 배지를 순환시키면서 배양할 경우에는, 배양이 진행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일부가 관형 배양기의 바닥에 침전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패되어 배양이 진행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하여, 공지된 스피루리나 배양용 배지(UTEX 배지, Zarrouk 배지 또는 SOT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할 경우에는, 10 cm/sec 이상의 속도로 배양할 경우, 일부가 배양기의 바닥에 침전되어도 침전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가 부패되지 않고 증식함을 확인하였다.When producing spirulina genus algae using the minimum medium containing the component determined in Example 1-2,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spirulina genus algae is greatly affected by the flow rate of the medium. In the case of culturing the medium at a flow rate lower than 30 cm / sec in the tubular incubator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a part of the spirulina genus in which the incubation proceeds i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tubular incubator, and decayed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is did not proceed. In contrast, when cultured using a known spirulina culture medium (UTEX medium, Zarrouk medium or SOT medium), when culturing at a rate of 10 cm / sec or more, the spirulina genus that precipitated even if some of the precipitates at the bottom of the incuba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algae proliferated without decay.

이에,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성분을 포함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상기 배지의 유속을 변화시키면서 배양하고, 이러한 배지 유속의 변화가 스피루리나 속 균주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Thus,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while changing the flow rate of the medium using the minimum medium containing the component determined in Example 1-2, and the change of the medium flow rate was to determine how the effect on the growth of Spirulina spp.

대략적으로, 상기 최소배지에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접종하고, 32 ℃에서 3,000 Lux의 광조건으로 12시간 명조건/12시간 암조건에서 57일 동안 배양하면서, 구간별로, 배지의 유속을 30 내지 60 cm/sec의 유속으로 변화시켰다. 이때, 배지의 유속변화 구간별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일 성장율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도 2).Approximately, inoculate the spirulina genus algae to the minimum medium and incubate for 57 days in 12 hours light condition / 12 hours dark condition at 32 ℃ light conditions of 3,000 Lux, the flow rate of the medium 30 to 60 cm / The flow rate was changed to sec. At this time, the daily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according to the flow rate change section of the medium was measured and compared (Fig. 2).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함에 있어서, 배양시간 및 배지의 유속변화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증식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표이다.Figure 2 is a graph and chart showing the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according to the culture time and the flow rate of the medium in cultur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using the minimum medium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듯이, 30 내지 45 cm/sec의 범위에서는 일일 성장율이 0.02 이상의 흡광도(565 nm)를 나타내었으나, 52.5 및 60 cm/sec의 범위에서는 일일 성장율이 0.02 보다 낮은 수준의 흡광도(565 nm)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45 cm/sec 보다 빠른 속도로 배지를 순환시킬 경우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일일 성장율이 감소되었는데, 이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너무 빠른 유속으로 배지를 순환시킬 경우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간의 충돌빈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손실률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2, the daily growth rate showed absorbance (565 nm) of 0.02 or more in the range of 30 to 45 cm / sec, but the absorbance level of lower than 0.02 (565 nm) in the range of 52.5 and 60 cm / sec. Was confirmed. As a result, the daily growth rate of spirulina or algae was decreased when the medium was circulated at a speed higher than 45 cm / sec. However, if the circulating medium was circulated at too high flow rate, the collision frequency between the spirulina and the algae was re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due to an increase in the loss rate of spirulina algae.

실시예 1-4: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에 미치는 광주기의 효과Example 1-4: Effect of Photoperiod on Culture of Spirulina Genus Algae

상기 실시예 1-3의 결과로부터, 관형 배양기에서 너무 낮은 유속(30 cm/sec 이하) 또는 너무 높은 유속(45 cm/sec 이상)으로 배지를 배지를 순환시키면서 배양할 경우에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배지 유속에 따른 배양결과에 광주기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From the results of Examples 1-3, when culturing the medium while circulating the medium at too low flow rate (30 cm / sec or less) or too high flow rate (45 cm / sec or more) in the tubular incubator, It was found that the culture could not be performed normally, and to determine whether photoperiod could affect the culture results according to the medium flow rate.

대략적으로,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성분을 포함하는 최소배지에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접종하고, 32 ℃에서 3,000 Lux의 광조건과 다양한 조건의 광주기(명조건(h):암조건(h) = 12:12, 13:11, 14:10, 15:9, 16:8, 17:7, 18:6, 19:5, 20:4, 21:3, 22:2, 23:1 및 24:0) 조건으로 57일 동안 배양하면서, 구간별로, 배지의 유속을 30 내지 75 cm/sec의 유속으로 변화시켰다. 이때, 배지의 유속변화 구간별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일 성장율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표 2).Approximately, inoculate the spirulina algae to the minimum medium containing the component determined in Example 1-2, and the photoperiod (light condition (h): dark condition (h): light condition of 3,000 Lux and various conditions at 32 ° C) = 12:12, 13:11, 14:10, 15: 9, 16: 8, 17: 7, 18: 6, 19: 5, 20: 4, 21: 3, 22: 2, 23: 1 and 24 : 0) While culturing for 57 days under conditions, the flow rate of the medium was changed to a flow rate of 30 to 75 cm / sec for each section. At this time, the daily growth rate of the spirulina algae according to the flow rate change section of the medium was measured and compared (Table 2).

광주기와 유속의 변화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일 성장율 비교Comparison of Daily Growth Rate of Spirulina Algae with Photoperiod and Flow Rate 광주기
(명:암)
Gwangju
(Name: cancer)
배지유속(cm/sec)Medium flow rate (cm / sec)
3030 37.537.5 4545 52.552.5 6060 67.567.5 7575 12:12
13:11
14:10
15:9
16:8
17:7
18:6
19:5
20:4
21:3
22:2
23:1
24:0
12:12
13:11
14:10
15: 9
16: 8
17: 7
18: 6
19: 5
20: 4
21: 3
22: 2
23: 1
24: 0
0.024
0.024
0.022
0.022
0.020
0.019
0.010
0.010
0.010
0.006
0.005
0.003
0.003
0.024
0.024
0.022
0.022
0.020
0.019
0.010
0.010
0.010
0.006
0.005
0.003
0.003
0.032
0.033
0.031
0.030
0.028
0.028
0.027
0.027
0.023
0.014
0.010
0.008
0.008
0.032
0.033
0.031
0.030
0.028
0.028
0.027
0.027
0.023
0.014
0.010
0.008
0.008
0.029
0.032
0.035
0.038
0.040
0.038
0.038
0.035
0.032
0.027
0.022
0.018
0.014
0.029
0.032
0.035
0.038
0.040
0.038
0.038
0.035
0.032
0.027
0.022
0.018
0.014
0.017
0.020
0.024
0.029
0.035
0.036
0.037
0.038
0.039
0.005
0.005
0.005
0.002
0.017
0.020
0.024
0.029
0.035
0.036
0.037
0.038
0.039
0.005
0.005
0.005
0.002
0.014
0.016
0.022
0.025
0.029
0.033
0.035
0.037
0.054
0.025
0.022
0.008
0.002
0.014
0.016
0.022
0.025
0.029
0.033
0.035
0.037
0.054
0.025
0.022
0.008
0.002
0.011
0.012
0.016
0.020
0.023
0.027
0.029
0.033
0.005
0.005
0.003
0.003
0.002
0.011
0.012
0.016
0.020
0.023
0.027
0.029
0.033
0.005
0.005
0.003
0.003
0.002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3
<0.002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8
<0.003
<0.00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광주기의 명조건 시간이 증가되면, 스리루리나 속 조류의 일 성장율이 최대값을 나타내는 배지유속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배지유속의 증가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손실율 보다도, 명조건의 시간증가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증식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light condition time of photoperiod increased, the medium flow rate showing the maximum daily growth rate of Srirulina genus algae tended to increase. This is because the growth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ss rate of spirulina genus algae with increasing medium flow rate.

그러나, 광주기의 명조건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지유속을 증가시켜도 스리루리나 속 조류의 일 성장율이 급격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명조건의 시간증가에 따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증식율이 과다하여 과다증식된 스리루리나 속 조류가 관형 배양기의 바닥에 침전 및 부패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However, when the light condition time of photoperiod exceeded 20 hou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aily growth rate of Srirulina genus algae drastically decreased even with increasing medium flow rate. The overproliferated Srirulina genus algae were analyzed to settle and rot at the bottom of the tubular incubator.

따라서, 광주기의 명조건과 배지유속을 증가시켜도,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성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 조건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는데,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최대 생산성을 나타내는 조건은 명조건:암조건이 20:4이고, 배지유속이 60cm/sec임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ndition that the productivity of spirulina genus algae no longer increases even if the light condition and the medium flow rate of photoperiod increase, but the condition that indicates the maximum productivity of the genus spirulina algae is 20: : 4, the medium flow rate was found to be 60cm / sec.

실시예 1-5: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유지관리 및 생산시의 비교Example 1-5: Comparison of culture maintenance and production of spirulina algae

상기 실시예 1-3에서 확인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기 위한 최소 배지유속을 포함하는 배양조건과 실시예 1-4에서 확인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최대 생산성을 나타내는 최대 배지유속을 포함하는 배양조건으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하고, 배양결과를 비교하였다(표 3). 배양결과는, 배양이 종료된 배지의 pH, 배양물의 OD, 배양물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 배양물 1L의 건조중량,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부상 활성도(Floating activity) 및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감겨진 코일 수(No. of Coils)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부상 활성도(Floating activity)는 암조건에서는 침강하고 명조건에서는 부상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특성을 비율로 환산한 결과로서, 부상 활성도가 증가될 수록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체기능 활성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감겨진 코일 수(No. of Coils)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가 나타내는 형태적인 특성인 코일 형태의 수를 의미하는데, 상기 코일 수가 증가되면 형태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상기 코일 수가 감소되면 스피루리나의 안정성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As a culture condition including the minimum medium flow rate for produc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identified in Example 1-3 and the maximum medium flow rate representing the maximum productivity of the algae of Spirulina genus confirmed in Example 1-4 Spirulina genus algae were cultured and the culture results were compared (Table 3). The results of the culture were determined by the pH of the culture medium, the OD of the culture,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in the culture, the dry weight of 1 L of culture, the floating activity of Spirulina algae, and the number of coils wound by the Spirulina algae. (No. of Coils). Floating activity is a result of converting the spirulina genus algae into the ratio of the subsidence in the dark conditions and injured in the light conditions as a ratio, the higher the activity level of the activity of the spirulina algae is determined to be higher Can be. In addition, the number of coils coiled (No. of Coils) refers to the number of coil forms, which a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the spirulina genus, the morphological stability is improved as the number of coils increases, the stability of spirulina when the number of coils is reduced It is known that this is reduced.

배지유속에 따른 배양결과 비교Comparison of culture results according to medium flow rate 배지유속(cm/sec)Medium flow rate (cm / sec) 3030 6060 광주기(명:암)
배양시간
배지 pH
OD
Chlorophyll a (ug/mL)
Dry weight (g/L)
Floating activity (%)
No. of Coils
Photoperiod (light: cancer)
Incubation time
Medium pH
OD
Chlorophyll a (ug / mL)
Dry weight (g / L)
Floating activity (%)
No. of Coils
12:12
30일
9.3
0.171
7.14
0.07
-71%
1.5
12:12
30 days
9.3
0.171
7.14
0.07
-71%
1.5
20:4
30일
9.46
0.526
17.94
0.22
71%
1.3
20: 4
30 days
9.46
0.526
17.94
0.22
71%
1.3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배지유속이 증가되고, 이에 부합되도록 광주기를 부여한 조건에서는, 배지유속이 감소된 경우보다도, OD 값, 클로로필 a의 함량, 건조중량 및 부상 활성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므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3, under the conditions in which the medium flow rate is increased and the photoperiod is applied to meet the above, the OD value,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the dry weight and the floating activity a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medium flow rate is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genus alga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뿐만 아니라, 배지유속이 증가된 경우에는, 코일 수가 배지유속이 감소된 경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므로,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형태적 안정성이 배지유속이 감소된 경우와 동등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edium flow rate was increased, the number of coils showed a level similar to that when the medium flow rate was decreas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phological stability of the cultured spirulina genus algae was equivalent to that when the medium flow rate was decreased. Could.

상기 결과로부터,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지관리하기 위하여는 광주기(명:암) 12:12 및 배지유속 30m/sec의 조건으로 배양하고,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생산하기 위하여는, 광주기(명:암) 20:4 및 배지유속 60m/sec의 조건으로 배양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cultured under conditions of 12:12 photoperiod (light: cancer) and medium flow rate 30 m / sec to maintain the spirulina genus algae, and to produce spirulina genus algae, It was found that it is preferable to incubate at a condition of 20: 4 and a medium flow rate of 60 m / sec.

실시예 2: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약리활성 효과 검증Example 2: Validation of Pharmacological Activity of Algae of Spirulina

실시예 2-1: 스피루리나 속 조류 시료의 준비Example 2-1 Preparation of Spirulina Genus Algae Samples

상기 실시예 1-2에서 결정된 유속범위 및 실시예 1-3에서 결정된 배지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배양한 후, 이를 다음과 같은 4가지 형태의 시료로 제작하였다: 시료 1은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완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시료이고; 시료 2는 상기 분말화된 시료를 고형화하여 타블렛 형태로 제조한 시료이며; 시료 3은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배양물을 원심분리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된 균체를 증류수에 현탁시키는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수득한 슬러지 형태로 제조한 시료이고; 시료 4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에탄올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 시료이다. 상기 추출물 시료의 제조방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양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40 ℃에서 70 % 에탄올로 4시간씩 3회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시켜 분말화 한 후, 상기 분말을 다시 40 ℃에서 70 % 에탄올에 가하여 1시간 동안 용해시켰으며, 용해된 시료를 3,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상층액을 동결건조시켜서 제조하였다.Using the flow rate range determined in Example 1-2 and the medium determined in Examples 1-3, the spirulina genus algae were cultured, and then prepared into four types of samples: Sample 1 was cultured spirulina The genus algae were dried and then powdered; Sample 2 is a sample prepared in the form of a tablet by solidifying the powdered sample; Sample 3 is a sample prepared in the form of sludge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culture of algae of spirulina and suspending the cells precipitated through centrifugation in distilled water; Sample 4 is an extract sample obtained by ethanol extraction of spirulina algae.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extract sample is as follows: The cultured spirulina genus algae are extracted three times for 4 hours with 70% ethanol at 40 ° C. three times to obtain an extract, which is lyophilized and powdered. The powder was again added to 70% ethanol at 40 ° C. to dissolve for 1 hour, and the dissolved sample was centrifuged at 3,500 rpm for 5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and the obtained supernatant was prepared by lyophilization.

실시예 2-2: 당뇨병 치료효과Example 2-2: Diabetes Treatment Effect

실시예 2-2-1: 인슐린종양 세포의 세포자멸에 미치는 효과Example 2-2-1: Effect on apoptosis of insulin tumor cells

랫트의 인슐린종양 세포(insulinoma cell)인 RINm5F 세포에 사이토카인(IL-1β 및 IFN-γ)을 30분 동안 처리하여 유도되는 세포자멸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때, 사용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실시예 2-1에서 준비된 스피루리나 추출물(시료 4)을 사용하고, 비교군으로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공지된 성분으로서 색소단백질(phycobiliprotein)의 일종인 PC(Phycocyanin)를 사용하였다. 상기 PC는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신경세포 보호효과, 간세포 보호효과 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The effects of spirulina algae on apoptosis induced by treatment of cytokines (IL-1β and IFN-γ) for 30 minutes on RINm5F cells, which are insulin tumor cells of rats, were tested. At this time, the spirulina genus algae used is the spirulina extract (sample 4) prepared in Example 2-1, the comparative group as a known component of the spirulina genus algae (Phycocyanin) which is a kind of pigment protein (phycobiliprotein) Used. The PC is known to exhibit antioxidant effects, anti-inflammatory effects,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and the like.

대략적으로, RINm5F 세포를 배양하고, 이에 상기 스피루리나 추출물(1 ㎍/㎖), PC(1 ㎍/㎖), IL-1β(50 U/㎖) 및 IFN-γ(100 U/㎖)를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어, RINm5F 세포를 회수하고, 상기 각 세포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웨스턴블럿 분석을 통해 인산화된 JNK의 수준, 인산화된 p38의 수준, 인산화된 ERK의 수준 및 카스파제 3의 활성을 비교하였다(도 3a 내지 3d). 또한, 상기 회수된 각각의 RINm5F 세포를 대상으로 TUNEL 염색을 수행하여 DNA 분절화(fragmentation) 수준을 비교하였다(도 3e).Approximately, RINm5F cells were cultured, and the spirulina extract (1 μg / ml), PC (1 μg / ml), IL-1β (50 U / ml) and IFN-γ (100 U / m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culture. RINm5F cells were then harvested, extracts were obtained from each of the cells, and then analyzed by Western blot analysis to compare the level of phosphorylated JNK, the level of phosphorylated p38, the level of phosphorylated ERK and the activity of caspase 3 ( 3A-3D). In addition, TUNEL staining was performed on each of the recovered RINm5F cells to compare DNA fragmentation levels (FIG. 3E).

도 3a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JNK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3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JNK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apoptosis-induced RINm5F cells.

도 3a에서 보듯이, 사이토카인의 처리에 의해 인산화된 JNK의 수준이 증가하였으나, 사이토카인과 함께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를 처리하면 인산화된 JNK의 수준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산화된 JNK의 수준증가 억제효과는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P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3a, the level of phosphorylated JNK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cytokin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of spirulina extract or PC with cytokines suppressed the increase of phosphorylated JNK levels. In addi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phosphorylated JNK level increase was confirmed that the spirulina extrac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PC.

도 3b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p38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3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p38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도 3b에서 보듯이, 사이토카인의 처리에 의해 인산화된 p38의 수준이 증가하였으나, 사이토카인과 함께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를 처리하면 인산화된 p38의 수준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산화된 p38의 수준증가 억제효과는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P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3b, the level of phosphorylated p38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cytokine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of spirulina extract or PC with cytokines suppressed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phosphorylated p38. In addi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phosphorylated p38 level increase was confirmed that the spirulina extrac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PC.

도 3c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산화된 ERK의 수준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level of phosphorylated ERK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도 3c에서 보듯이, 스피루리나 추출물, PC, IL-1β 및 IFN-γ는 인산화된 ERK의 수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3c, it was confirmed that spirulina extract, PC, IL-1β and IFN-γ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phosphorylated ERK.

도 3d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발현되는 카스파제 3의 활성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activity of caspase 3 expressed in cytokines (IL-1β + IFN-γ) -treated RINm5F cells induced with apoptosis.

도 3d에서 보듯이, 사이토카인의 처리에 의해 카스파제 3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사이토카인과 함께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를 처리하면 카스파제 3의 활성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스파제 3의 활성증가 억제효과는 스피루리나 추출물과 PC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3D, caspase 3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cytokine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of caspase 3 was inhibited by treating spirulina extract or PC with cytokin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caspase 3 increased the activity of spirulina extract and PC.

도 3e는 사이토카인(IL-1β+IFN-γ)이 처리되어 세포자멸이 유도된 RINm5F 세포에서 나타나는 DNA 분절화에 미치는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Figure 3e is a fluorescence micro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of spirulina extract or PC on the cytokine (IL-1β + IFN-γ) treated DNA fragmentation in apoptosis-induced RINm5F cells.

도 3e에서 보듯이, 사이토카인의 처리에 의해 DNA 분절화가 나타난 TUNEL-양성세포가 증가되었으나, 사이토카인과 함께 스피루리나 추출물 또는 PC를 처리하면 TUNEL-양성세포의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3E, TUNEL-positive cells showing DNA fragmentation were increased by cytokine treatm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of spirulina extract or PC with cytokines inhibits the increase of TUNEL-positive cells.

실시예 2-2-2: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효과Example 2-2-2: Effect on Diabetic Animal Model

실시예 2-2-2-1: 시료의 준비Example 2-2-2-1: Preparation of Sample

스트렙토조토신(STZ)을 랫트에 경구투여하면, 랫트로부터 제1형 당뇨병 증상을 유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STZ를 이용하여 제1형 당뇨병이 유도된 당뇨병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스피루리나 속 조류 추출물의 당뇨병 치료효과를 시험하였다.Since oral administration of streptozotocin (STZ) to rats is known to induce type 1 diabetes symptoms from rats, Spirulina genus algae extracts are used in animal models of type 1 diabetes-induced diabetes. Diabetes treatment effect was tested.

대략적으로, 랫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6개의 그룹을 설정하고 4주동안 사육하였다(도 4a): 사육기간 동안 물만을 경구투여한 대조군; 사육기간 동안 체중(Kg)당 200 mg의 스피루리나 추출물(시료 4)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1(Spi); 2주 동안 사육한 시점에서 스트렙토조토신을 경구투여하고, 다시 2주 동안 사육한 실험군 2(STZ(2 wks)); 사육기간 동안 체중(Kg)당 200 mg의 스피루리나 추출물(시료 4)을 경구투여하면서 2주 동안 사육한 시점에서 스트렙토조토신을 경구투여하고 다시 2주 동안 사육한 (Spi+STZ);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하고 4주 동안 사육한 실험군 4(STZ(4 wks)); 및 스트렙토조토신과 체중(Kg)당 200 mg의 스피루리나 추출물(시료 4)을 경구투여하고 4주 동안 사육한 실험군 5(STZ+Spi). Approximately, the following six groups were set up and reared for 4 weeks using rats (FIG. 4A): control group orally administered only water during the breeding period; Experimental group 1 (Spi) orally administered 200 mg of spirulina extract (sample 4) per body weight (Kg) during the breeding period; Experimental group 2 (STZ (2 wks)) orally administered streptozotocin at the time of breeding for 2 weeks, and breeding again for 2 weeks; Oral administration of streptozotocin at the time of breeding for 2 weeks with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 of spirulina extract per sample (Kg) during breeding period (Spi + STZ); Experimental group 4 (STZ (4 wks)) administered streptozotocin and raised for 4 weeks; And experimental group 5 (STZ + Spi), orally administered with 200 mg of spirulina extract (sample 4) per streptozotocin and body weight (Kg).

사육이 완료된 각 실험군의 랫트의 체중을 측정하여, 실험이전의 체중과 비교하였다(표 4). Rats of each experimental group whose breeding was completed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weight before the experiment (Table 4).

당뇨병 동물모델의 체중변화Weight Change in Diabetic Animal Models 실험군Experimental group 최초 체중(g)Initial weight (g) 최종 체중(g)Final weight (g)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Control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 group 2
Experiment group 3
Experimental Group 4
Experimental group 5
230.0± 5.32
235.0± 4.20
235.0± 5.44
230.0± 6.03
260.0± 2.56
260.0± 5.13
230.0 ± 5.32
235.0 ± 4.20
235.0 ± 5.44
230.0 ± 6.03
260.0 ± 2.56
260.0 ± 5.13
346.6 ± 4.21
353.0 ± 3.65
284.0 ± 7.55
295.3 ± 7.35
234.8 ± 13.01
284.0 ± 6.97
346.6 ± 4.21
353.0 ± 3.65
284.0 ± 7.55
295.3 ± 7.35
234.8 ± 13.01
284.0 ± 6.97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스트렙토조토신(STZ)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스트렙토조토신(STZ)을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체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4, when streptozotocin (STZ) was administered, the body weight was increased to a relatively low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when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compared to the case of administration of streptozotocin (STZ)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is increased to a relatively high level.

또한, 상기 각 랫트를 마취후 희생시키고, 각각의 랫트로부터 췌장을 적출함과 동시에 혈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혈액을 3,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이를 이후 혈액시료로서 사용하였다.In addition, each rat was sacrificed after anesthesia, and the pancreas was removed from each rat to obtain blood at the same time. The obtained blood was centrifuged at 3,500 rpm for 5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which was then used as a blood sample.

실시예 2-2-2-2: 췌장분석Example 2-2-2-2 Pancreas Analysis

상기 실시예 2-2-2-1에서 적출한 각각의 췌장에 포함된 랑게르한스섬(islet)의 세포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수행하고, 췌장조직에서 발현된 인슐린과 니트로티로신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항-인슐린 항체 및 항-니트로티로신 항체를 이용한 면역염색을 수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4b). 아울러, IMT i-solu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랑게르한스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도 4c).Hematoxylin & eosin stain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ell morphology of Langerhans islet contained in each pancreas extracted in Example 2-2-2-1, and the expression of insulin and nitrotyrosine expressed in pancreatic tissue To compare the levels, immunostaining with anti-insulin and anti-nitrotyrosine antibodies was performed follow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Figure 4b). In addition, the size of the Langerhans island was measured using IMT i-solution software (FIG. 4C).

도 4b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의 세포형상을 촬영한 현미경 사진(상단); 췌장조직을 항-인슐린 항체로 면역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중단); 및 췌장조직을 항-니트로티로신 항체로 면역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Figure 4b is a micrograph (top) of the cell shape of the islet of the pancrea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Fluorescence micrograph (interruption) showing the results of immunostaining of pancreatic tissue with anti-insulin antibody; And fluorescence micro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immunostaining of pancreatic tissue with an anti-nitrotyrosine antibody.

도 4b에서 보듯이,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랑게르한스섬 세포의 퇴행성 및 괴저성의 변화(degenertive and necrotic change)가 나타났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상기 퇴행성 및 괴저성의 변화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췌장조직내 인슐린의 수준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인슐린 감소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췌장조직내 니트로티로신의 수준이 증가되었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니트로티로신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4b, when treated with streptozotocin, degenertive and necrotic changes of Langerhans islet cells were observed, but when the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the level of degenerative and necrotic changes was reduced. It was. In addition, when treated with streptozotocin, the level of insulin in the pancreatic tissue was drastically reduced, but when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insulin was suppressed. Finally, when treated with streptozotocin, the level of nitrotyrosine in pancreatic tissue was increased, but when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of nitrotyrosine was suppressed.

도 4c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의 크기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4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ize change of the islet of the pancrea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도 4c에서 보듯이,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췌장조직내 랑게르한스섬의 크기가 감소되었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랑게르한스섬의 크기감소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4c, when the treatment of streptozotocin was reduced in the size of the island of Langerhans in pancreatic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Langerhans island is suppressed when the spirulina extract is treated.

실시예 2-2-2-3: 혈액시료 분석Example 2-2-2-3: Blood Sample Analysis

상기 실시예 2-2-2-1에서 혈액시료를 이용하여, 인슐린 수준 및 NO 수준을 측정하였다(도 4d).Using the blood sample in Example 2-2-2-1, insulin levels and NO levels were measured (FIG. 4D).

도 4d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조합 처리에 따른, 혈액내 인슐린 수준 및 NO의 수준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4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in the level of insulin and NO in the bloo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treptozotocin (STZ) and spirulina extract.

도 4d에서 보듯이,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경우, 혈액내 인슐린 수준이 감소되고 NO의 수준이 증가되었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인슐린 수준감소 및 No 수준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4d, when treated with streptozotoci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ulin level in the blood was reduced and the level of NO was increased, but when the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the insulin level decrease and the No level increase were suppressed.

한편, 상기 혈액시료에 포함된 혈당(BG) 수준, 총 콜레스테롤(CH) 수준, 중성지방(TG) 수준, BUN(blood urea nitrogen) 수준 및 크레아티닌(CR)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하였다(표 5).Meanwhile, blood glucose (BG) levels, total cholesterol (CH) levels, triglyceride (TG) levels,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and creatinine (CR) levels included in the blood samp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able 1). 5).

혈액내 다양한 성분의 수준비교(단위: ㎎/㎗)Comparison of Levels of Various Components in Blood (Unit: ㎎ / ㎗) 실험군Experimental group BGBG CHCH TGTG BUNBUN CRCR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Control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 group 2
Experiment group 3
Experimental Group 4
Experimental group 5
200.5 ± 15.3
252 ± 16.1
522.3 ± 4.36
469.7 ± 19.93
639 ± 7.8
574 ± 16.7
200.5 ± 15.3
252 ± 16.1
522.3 ± 4.36
469.7 ± 19.93
639 ± 7.8
574 ± 16.7
81.0 ± 1.47
77.0 ± 1.05
125.5 ± 3.24
108.0 ± 2.22
129.3 ± 5.31
105.3 ± 1.83
81.0 ± 1.47
77.0 ± 1.05
125.5 ± 3.24
108.0 ± 2.22
129.3 ± 5.31
105.3 ± 1.83
54 ± 6.9
48.0 ± 5.9
414.0 ± 37.28
360.0 ± 14.71
232 ± 34.2
126.8 ± 11.1
54 ± 6.9
48.0 ± 5.9
414.0 ± 37.28
360.0 ± 14.71
232 ± 34.2
126.8 ± 11.1
20.6 ± 1.0
20.7 ± 0.4
38.8 ± 2.05
31.1 ± 1.10
43.7 ± 3.0
39.9 ± 2.0
20.6 ± 1.0
20.7 ± 0.4
38.8 ± 2.05
31.1 ± 1.10
43.7 ± 3.0
39.9 ± 2.0
0.5 ± 0.01
0.6 ± 0.02
0.5 ± 0.02
0.5 ± 0.02
0.5 ± 0.02
0.5 ± 0.02
0.5 ± 0.01
0.6 ± 0.02
0.5 ± 0.02
0.5 ± 0.02
0.5 ± 0.02
0.5 ± 0.02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스트렙토조토신이 처리된 랫트는 일반적인 당뇨병증(혈당 수준 증가, 인슐린 수준 감소 등)이 나타났으나,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이러한 당뇨병증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5, the streptozotocin-treated rats showed general diabetes mellitus (increased blood sugar level, decreased insulin level, etc.), but when the spirulina extract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such diabetes mellitus was improved.

따라서, 상기 실시예 2-2-1 및 2-2-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양액으로 배양된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당뇨병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Examples 2-2-1 and 2-2-2, it was found that the spirulina extract cultured with the culture solu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eviating the symptoms of diabetes.

실시예 2-3: 간기능 개선효과Example 2-3: effect of improving liver function

마우스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제작한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에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다양한 형태의 스피루리나(시료 1 내지 3)를 투여하고, 혈액내 콜레스테롤 수준, ALT 수준 및 AST 수준을 측정하여,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제형에 따른 간기능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prepared by administering carbon tetrachloride to mice were administered with various types of spirulina (samples 1 to 3) obtained in Example 2-1, and blood cholesterol levels, ALT levels, and AST levels were measured. The effects of liver spirulina on algae formulations were compared.

실시예 2-3-1: 실험군의 준비Example 2-3-1 Preparation of Experimental Group

대략적으로, 정상 마우스에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고 37일 동안 사육한 1차 대조군(Nor_Sham), 정상 마우스에 시료 1(분말)을 투여하고 37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11(Nor_Powder), 정상 마우스에 시료 2(타블렛)를 투여하고 37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12(Nor_Tablet), 정상 마우스에 시료 3(슬러지)을 투여하고 37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13(Nor_Sludge), 정상 마우스에 시료 3(슬러지)을 투여하고 37일 동안 사육한 다음 사염화탄소를 투여하고 다시 3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14(CCl4_Pre_Sludge),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에 아무석도 투여하지 않고 3일 동안 사육한 2차 대조군(CCl4_Sham),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에 시료 1(분말)을 투여하고 3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21(CCl4_Powder),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에 시료 2(타블렛)를 투여하고 3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22(CCl4_Tablet) 및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에 시료 3(슬러지)을 투여하고 3일 동안 사육한 실험군 23(CCl4_Sludge)을 각각 준비하였다. 이때, 각 군의 마우스는 수컷 5마리 및 암컷 5마리씩 배정하였다.Approximately, the primary control group (Nor_Sham), which was bred for 37 days without administering anything to the normal mice, the experimental group 11 (Nor_Powder), which was administered for 37 days with the sample 1 (powder) to the normal mouse, and the sample 2 (for normal mice) Tablets) and experimental group 12 (Nor_Tablet) incubated for 37 days, sample 3 (sludge) in normal mice, and experimental group 13 (Nor_Sludge) incubated for 37 days, sample 3 (sludge) in normal mice, 37 The experimental group 14 (CCl4_Pre_Sludge), which was fed for 4 days, and then reared for 3 days, the secondary control group (CCl4_Sham), which was raised for 3 days without administration of any stones, and the mice that received carbon tetrachloride. Experiment group 21 (CCl4_Powder) administered with sample 1 (powder) and experimental group 22 (CCl4_Tablet) and carbon tetrachloride administered with sample 2 (tablet) and fed to carbon tetrachloride mice for 3 days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3 (sludge) in mice administered, respectively, and were prepared to a breeding experiment 23 (CCl4_Sludge) for 3 days. At this time, mice of each group were assigned to 5 males and 5 females.

실시예 2-3-2: 콜레스테롤 수준 비교Example 2-3-2: Cholesterol Level Comparison

먼저, 정상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대조군 1, 실험군 11, 실험군 12 및 실험군 13의 혈액에서 측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5a), 각 군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olesterol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the control group 1, the experimental group 11,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the experimental group 13 for the normal mouse (Fig. 5a),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ch group.

그러나,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을 대상으로 한 대조군 2, 실험군 21, 실험군 22 및 실험군 23의 혈액에서 측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5b), 대조군 1에 비하여 대조군 2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21 내지 23)에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대조군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cholesterol levels measured in blood of control group 2, test group 21, test group 22, and test group 23 in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FIG. 5B), blood cholesterol levels in control group 2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1. When the spirulina sample was treated rapidly (experimental groups 21 to 23),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was relative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또한,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13, 14 및 23)를 비교하면(도 5c), 정상 마우스(실험군 13)에 비하여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실험군 14 및 23)에서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였고, 사전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14)에 비하여, 나중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23)에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더욱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23)에 가장 낮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when treated with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experimental groups 13, 14 and 23) (Fig. 5c), blood cholesterol in all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experimental groups 14 and 23) compared to normal mice (experimental group 13). Levels increased, and blood cholesterol levels were further increased when spirulina samples were administered in advance (Experimental Group 14), and later when spirulina samples were administered (Experimental Group 23). When treated (experiment 23)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st blood cholesterol level.

실시예 2-3-3: AST 수준 비교Example 2-3-3: AST Level Comparison

먼저, 정상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대조군 1, 실험군 11, 실험군 12 및 실험군 13의 혈액에서 측정한 AST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6a), 각 군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S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the control group 1, the experimental group 11,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the experimental group 13 for the normal mice (Fig. 6a),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ch group.

그러나,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을 대상으로 한 대조군 2, 실험군 21, 실험군 22 및 실험군 23의 혈액에서 측정한 AST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6b), 대조군 1에 비하여 대조군 2에서 혈중 AST의 수준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21 내지 23)에는 실험군 21 및 23의 혈중 AST 수준이 대조군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되었고, 실험군 21에 비하여 실험군 23의 혈중 AST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ST levels measured in the blood of control group 2, test group 21, test group 22, and test group 23 of the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Fig. 6b), the level of blood AST in control 2 compared to control 1 When the spirulina sample was treated (experimental groups 21 to 23), the blood AST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s 21 and 23 decreased rela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and the blood AST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23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21. It was confirmed that

또한,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13, 14 및 23)를 비교하면(도 6c), 정상 마우스(실험군 13)에 비하여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실험군 14 및 23)에서 모두 혈중 AST 수준이 증가하였고, 사전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14)에 비하여, 나중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23)에 혈중 AST 수준이 더욱 증가됨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reatment of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experimental groups 13, 14 and 23) (FIG. 6C), blood AST in all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experimental groups 14 and 23) compared to normal mice (experimental group 13). Levels increased, and blood AST levels were further increased when spirulina samples were previously administered (Experimental Group 23) compared to prior administration of spirulina samples (Experimental Group 14).

실시예 2-3-4: ALT 수준 비교Example 2-3-4: ALT Level Comparison

먼저, 정상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대조군 1, 실험군 11, 실험군 12 및 실험군 13의 혈액에서 측정한 ALT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7a), 분말형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11)를 제외하고는 각 군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LT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the control group 1, the experimental group 11,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the experimental group 13 for the normal mouse (Fig. 7a), except when the powdered spirulina sample treated (experimental group 11)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each group.

그러나,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을 대상으로 한 대조군 2, 실험군 21, 실험군 22 및 실험군 23의 혈액에서 측정한 ALT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7b), 대조군 1에 비하여 대조군 2에서 혈중 ALT 수준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21 내지 23)에는 혈중 ALT 수준이 대조군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23)에 가장 낮은 혈중 ALT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LT level measured in the blood of the control group 2, experimental group 21, experimental group 22 and experimental group 23 in the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Fig. 7b), the blood ALT level in the control group 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 rapidly In the case of treatment with spirulina samples (experimental groups 21-23), the blood ALT level was relative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2, and among the treatment of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the lowest in bl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ALT level.

또한, 슬러지 형태의 스피루리나 시료를 처리한 경우(실험군 13, 14 및 23)를 비교하면(도 7c), 정상 마우스(실험군 13)에 비하여 급성간질환 모델동물(실험군 14 및 23)에서 모두 혈중 ALT 수준이 증가하였고, 사전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14)에 비하여, 나중에 스피루리나 시료를 투여한 경우(실험군 23)에 혈중 ALT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sludge-type spirulina samples were treated (experimental groups 13, 14, and 23) (FIG. 7C), acute liver disease model animals (experimental groups 14 and 23) were compared to normal mice (experimental group 13). The level was increased, a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pirulina sample was previously administered (Experimental Group 14), the blood ALT level was relatively lower when the spirulina sample was administered later (Experiment 23).

따라서, 상기 실시예 2-3-2 내지 2-3-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양액으로 배양된 스피루리나를 슬러지 형태로 가공한 제형을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간손상 예방 및 손상된 간기능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Examples 2-3-2 to 2-3-4, when using a formulation processed in the form of sludge of spirulina cultured with the culture solu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ly excellent liver damage prevention and damaged liver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a functional therapeutic effect.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n this regar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배지에,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접종하고, 32 내지 38℃에서 3,000 내지 9,000Lux의 광조건, 12 내지 20(h) : 12 내지 4(h)의 광주기(명:암) 및 30 내지 60cm/s의 유속으로 배지를 관형 배양기내에서 순환시키면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Inoculate Spirulina algae to a medium contain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 and light conditions of 3,000 to 9,000 Lux at 32 to 38 ° C., 12 to 20 (h): 12 And culturing while circulating the medium in a tubular incubator at a photoperiod (light: dark) and a flow rate of 30 to 60 cm / s of 4 to 4 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H3BO3, MnSO4·7H2O, ZnSO4·7H2O, CoCl2·6H2O, Na2MoO4·7H2O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um adds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 3 BO 3 , MnSO 4 · 7H 2 O, ZnSO 4 · 7H 2 O, CoCl 2 · 6H 2 O, Na 2 MoO 4 · 7H 2 O and combinations thereof To include, Spirulina genus algae prod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정제된 해수인 것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um is purified seawater, spirulina genus algae product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해수는 해수를 여과하여 수득한 것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urified seawater is obtained by filtration of seawater,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enus Spirulina alga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된 해수는 해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제거된 해수인 것인,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urified seawater is the seawater from which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awater has been removed, Spirulina genus algae production metho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생산된, 스피루리나 속 조류.
Spirulina genus alga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제6항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laim 6 spirulina genus algae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liver disease treatment or preven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루리나 속 조류는 슬러지의 형태인 것인,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irulina genus algae is in the form of sludge, liver disease treatment or preven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는 원심분리를 이용한 농축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인,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sludge is prepared by a concentration method using centrifugation, liver disease treatment or preven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6항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laim 6 spirulina genus algae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liver food improvement food composition.
제6항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laim 6 spirulina genus algae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type 1 diabetes treatment or preven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6항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
Spirulina genus alga of claim 6 as an active ingredient, type 1 diabetes improvement food composition.
제6항의 스피루리나 속 조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comprising a spirulina genus alga of claim 6 as an active ingredient.
NaHCO3, K2HPO4, MgSO4·7H2O 및 NaNO3 를 포함하는 스피루리나 속 조류 생산용 최소배지.
Minimal medium for Spirulina genus algae comprising NaHCO 3 , K 2 HPO 4 , MgSO 4 · 7H 2 O and NaNO 3 .
KR1020190068026A 2018-06-08 2019-06-1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KR102281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60A KR102493425B1 (en) 2018-06-08 2021-07-2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187 2018-06-08
KR20180066187 2018-06-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60A Division KR102493425B1 (en) 2018-06-08 2021-07-2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93A true KR20190139793A (en) 2019-12-18
KR102281855B1 KR102281855B1 (en) 2021-07-28

Family

ID=69052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26A KR102281855B1 (en) 2018-06-08 2019-06-1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KR1020210094960A KR102493425B1 (en) 2018-06-08 2021-07-2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60A KR102493425B1 (en) 2018-06-08 2021-07-20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185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36B1 (en) * 2006-05-29 2007-04-09 (주)카이로스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JP2012023990A (en) * 2010-07-21 2012-02-09 Kairos Global Co Ltd Circular type culture method of photosynthesis microalgae
KR101771695B1 (en) * 2014-06-13 2017-08-29 정우재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Spirulina maxima as an active ingredi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36B1 (en) * 2006-05-29 2007-04-09 (주)카이로스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JP2012023990A (en) * 2010-07-21 2012-02-09 Kairos Global Co Ltd Circular type culture method of photosynthesis microalgae
KR101771695B1 (en) * 2014-06-13 2017-08-29 정우재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Spirulina maxima as an active ingredi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als of Gastroenterology., 2014, Vol. 27, pp. 387-394* *
김미정. 췌장세포에서 싸이토카인의 세포독성에 대한 스피루리나 막시마 추출물의 방어기작.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병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55B1 (en) 2021-07-28
KR20210094503A (en) 2021-07-29
KR102493425B1 (en)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993B1 (en) Fermentation and culture method,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plant extract
KR101959986B1 (en) Composition of comprising vegetable worms extract cultured using mealworm or pupa and process of fabrication the extract
US9326968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compound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8 or sophora flavescen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57297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treating sarcopenia or muscular dystrophy containing Tenbrio molitor and balloon-flower extract
KR20180098888A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immunity having extract of peanut sprouts extract as active component
KR20180042936A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mycelium culture medium from Schizophyllum commun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and alleviating hangover
KR10228185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ulina sp. Algae using minimal medium
KR101851395B1 (en) Extract of graviola fermented by phellinus linte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103933A (en) Mixed food and feed additive each containing spore of bracket fungus of genus fomes
KR102042352B1 (en)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of muscle, preventing and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Arachis hypogaea skin
KR101962893B1 (en) Composition of comprising vegetable worms extract cultured using mealworm or pupa and process of fabrication the extract
KR102582255B1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omprising contains the active ingredient of water extract of Auricularia auricula
WO2002049661A1 (en) Preventievs/remedies for diabetes and functional foods containing the same
KR102380290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permealworm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KR10246783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radish sprouts extract including increased isothiocya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635263B1 (e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apaver plant
KR102461798B1 (en) A new sesame cultivar ‘Milyang 74’with enhanced lignan content and use therof
KR102569420B1 (en) A culture medium composition enhancing madecassoside and asiaticoside of Centella asiatica and a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496505B1 (en) Feed composition that contains excellent nutrients including conger eel by-products and exhibits immunity improve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KR10247011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Butyricimonas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233304B1 (e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a large amount of human immune improving and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for stable cultivating vegetable worms and the method of cultivating vegetable worms using the medium and the vegetable worms cultivated by using the method
KR101873836B1 (en) Extracts of Hydrodictyon algae having anti-hyperlipidemia and anti-diabetic activity and a composition useing the same
KR20170090935A (en) A composition comprising Fomitopsis pinicola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KR2023006963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Steamed Mature Silkworm Products having Silk Protein
KR20050074395A (en) The method for producing a high-funtional bio feed and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