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40A -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40A
KR20190139440A KR1020180065887A KR20180065887A KR20190139440A KR 20190139440 A KR20190139440 A KR 20190139440A KR 1020180065887 A KR1020180065887 A KR 1020180065887A KR 20180065887 A KR20180065887 A KR 20180065887A KR 20190139440 A KR20190139440 A KR 2019013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kin
light emitting
measuring apparatus
bio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준오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쓰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쓰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이치쓰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6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9440A/en
Publication of KR2019013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iosignal sensor block in contact with the skin of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coupled to the biosignal block and bent to form a loop. The biosignal block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housing space therein and a housing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opening is connected to an accommodation space; a slide par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with a gu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sensor part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mounted on a sensor guide part; and a pressure buffer part disposed between the slide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able biosignal.

Description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피부광학특성도(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sensor.

생체 정보를 이용한 개인 식별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문, 홍체 , 지장맥, 음성 인식 기술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생체인식기술이 다양한 방법으로 도용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도용이이 불가능한 다른 방식의 생체 인식 방식이 요구된다.Personal identification technolog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is widely used. In particular, fingerprints, irises, palm veins,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ies are used. However, in the reality that the existing biometric technology is being stealed in various ways, there is a need for another method of biometrics that is impossible to steal.

한국 등록 특허 10-1842771 및 10-1757561은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장치를 제안한다. 복수의 발광 소자와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배열하여, 복수의 피부 경로를 통한 광을 수집하여 개인 식별이 가능하다. 이 피부광학특성도 장치는 피부와 발광 및 수광 소자들 사이의 간격에 따른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신뢰성을 가진 구조가 요구된다.Korean Patent Nos. 10-1842771 and 10-1757561 propose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devic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may be arranged to collect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skin paths, thereby enabling personal identification. This skin optical property device also exhibits differen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spacing between the skin and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elements. Therefore, a stable and reliable structure is requir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피부광학특성도 센서와 피부 사이의 안정적인 밀착을 제공하고, 밀착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생체 신호 획득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stable adhesion betwee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and the skin, and maintains the adhesion pressure properly, to provide a stable biosignal acquisition .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피부광학특성도 센서와 심전도 센서를 결합한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ombining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and the ECG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 및 상기 생체 신호 블록에 결합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 신호 블록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하우징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개구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상기 하우징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센서 가이부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iosignal sensor block in contact with skin of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bent to form a loop by coupling to the biosignal block. The bio-signal block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housing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he housing opening being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slide par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with a gu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mounted to the sensor guide unit; And a pressure buffer disposed between the slid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센서 가이드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피부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mounted on the sensor guide portion, outputs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detects an optical signal via the skin. It may be a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함몰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개구부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 주위의 테두리에 의하여 이탈 방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portion includes a depress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is mounted to the depression protrudes into the housing opening, the slide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dge around the housing opening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들;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과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수광 소자들; 및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를 각각 노출시키는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the azimuth direction and the central axis direction in the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ight-receiving elements spaced apar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s in a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And barrier ribs dispos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cover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rranged in a central axis direction and include through holes expo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respectively, and exten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된 렌즈들; 및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채우는 투명 도파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op surface of the through holes of the partition wall; And a transparent waveguide filling each of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완충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buffer may be a sp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배치 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 제1 수광 소자, 제2 수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및 제3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in the curved surface arrangement,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he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the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nd It may include a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는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적외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n infrared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주위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된 제3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disposed spaced arou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a third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may measure an ECG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의 발광 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의 수광 소자들이 제공하는 MSP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MSP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MSP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elements of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An MSP signal processing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ocessing the MSP signal provid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of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and providing the MSP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o transmit the MSP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 및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을 수납하고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 신호 블록은,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외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착용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하여 외부 개구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고 상기 외부 개구부와 정렬된 내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iosignal sensor block in contact with skin of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iosignal sensor block and bend to form a loop. The bio-signal block may include: an outer housing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ing an outer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dy wearing part; An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housing and including an inner opening linearl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open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s a guide and aligned with the outer opening; A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mounted inside the inner housing; And a pressure buff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인체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is mounted in the inner housing and outputs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for detecting the optical signal via the human body Skin optical properties may include a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외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부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내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내부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부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housing includes a lower outer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outer housing disposed on the lower outer housing, wherein the upper outer housing includes the outer opening and the inner housing. May include a lower inner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inner housing disposed on the lower inner housing, and the upper inner housing may include the inner ope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들;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방위각으로 배열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된 수광 소자들; 및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들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를 각각 노출시키는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the azimuth direction and the central axis direction in the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in an azimuth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ight-receiving elements arranged at an azimuth and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partition walls arrang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include through holes ex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respectively, and exten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된 렌즈들; 및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채우는 투명 도파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op surface of the through holes of the partition wall; And a transparent waveguide filling each of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완충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buffer may be a sp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 제1 수광 소자, 제2 수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및 제3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is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는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적외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n infrared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외부 개구부 주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된 제3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는 상기 제3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outer opening of the outer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and mounte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a third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The body wear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that exposes the third electrode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may measure an electrocardiogram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판형의 전극 몸체와 상기 전극 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들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lectrode may include a plate-shaped electrode body and a plurality of leg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lectrode body, the legs may be fixed to the outer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1 신체 착용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 신체 착용부의 타단에 분해 및 결합하도록 체결하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2 신체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 착용부는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부러진 스트립 형상의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wearing portion, the body portion including a display; A first body wearing portion having one end bent to surround the human body with elasticit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wearing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disassemble and coupl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earing portion and bends to surround the human body. The first body wearing part may include a bent strip-shaped mounting part to which the biosignal sensor block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피부광학특성도 센서와 피부 사이의 안정적 밀착을 제공하고, 밀착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생체 신호 획득을 제공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stable adhesion betwee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and the skin and maintain the adhesion pressure appropriately, thereby providing stable biosignal acqui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외력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피부 사이의 밀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도 8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MSP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able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skin according to external forc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osignal sensor block of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8.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MSP module of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8.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1.

생체신호기반의 개인 인증 기술은 차세대 웨어러블 플랫폼인 스마트 워치나 밴드에 내장 가능한 기술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핀테크(금융결재), 스마트 의료정보, 자동차, 스마트 홈, 공공기관, 산업현장 등 개인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간편한 착용만으로 위변조가 어려운 개인인증이 가능한 기술이다. Biosignal-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be embedded in smart watches or bands, the next-generation wearable platform, and is currently in demand. It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personal authentication that is difficult to forgery by simply wearing in various fields requiring cert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다중 생체신호(ECG, MSP 등)에 기반의 개인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personal authentication based on multiple biosignals (ECG, MSP, etc.).

MSP 센서는 피부에 밀착되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피하 조직의 구조가 변한다. 이에 따라, MSP 센서의 측정 신호 특성은 피부와 MSP 센서의 밀착 정도에 따라 변하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MSP 신호를 측정할 때 마다 특정 범위 이내의 압력이 MSP 센서와 피부 사이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인체와 센서의 접촉에 따른 압력 변화는 MSP 생체 신호 변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MSP 생체 신호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압력 분산 구조가 요구된다. The MSP sensor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subcutaneous tissu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ccordingly, the measurement signal characteristic of the MSP sensor has a problem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skin and the MSP senso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between the MSP sensor and the skin within a certain range every time the MSP signal is measured. That is, the pressure chang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ensor causes the MSP biosignal change. A pressure distribution structure is needed to minimize such MSP biosignal chan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MSP 센서와 피부 사이의 밀착 압력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활동에 불편이 없도록 헐겁게 착용하다가, 생체 신호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하우징의 바깥쪽면을 누르면, MSP 센서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과 같은 압력 완충부는 피부와 MSP 센서 사이의 밀착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제한한다. 특히,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이 과하더라도 피부 밀착 압력을 일정 수준 이내로 제한한다. MSP 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은 스토퍼 구조 및 압력 완충부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된다.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nstant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SP sensor and the skin. Wearing loosely during normal operation,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nly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is necessary, the pressure buffer,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disposed between the MSP sensor and the housing, the pressure close contact between the skin and the MSP sensor To a certain level. In particular, even if the force exerted on the housing limits the skin contact pressure to within a certain lev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SP sensor portion is limited to a certain level by the stopper structure and the pressure buff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공간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피부에 인가하기 위하여 MSP 센서부의 일면을 피부의 원래 형상을 따라가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요골 주위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MSP 센서 모듈은 'C' 형태 또는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측정 곡면을 가질 수 있다.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to follow the original shape of the skin of the MSP sensor unit in order to apply a spatially uniform pressure to the skin. In particular, the MSP sensor module may have a measurement curve bent in a 'C' shape or an 'L' shape in order to measure the biosignal around the radi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인증 장치는, 착용형 밴드의 안쪽 (피부쪽)에 위치하는 MSP 센서부를 피부에 밀착시키기 위해, 착용형 밴드 바깥쪽에서 힘을 가할 때, 가해지는 힘이 과하더라도 피부 밀착 압력을 일정 수준 이내로 제한하는 압력 완충부 및 스토퍼 구조를 포함한다.In the wear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wearable band to contact the skin of the MSP sensor located on the inside (skin side) of the wearable band, the applied force is excessive. Even if it includes a pressure buffer and a stopper structure to limit the skin pressure to within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인증 장치는, 평상시에는 활동에 불편이 없도록 헐겁게 착용하다가, 생체 신호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하우징의 바깥면을 눌러 생체 신호 측정을 측정할 수 있다.The wear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orn loosely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in normal activities, and only when the bio signal measurement is required, the biosignal measurement may be measured by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험 조건, 물질 종류 등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experimental conditions, material types, and the lik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Portions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able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은 외력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피부 사이의 밀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the skin according to external force.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osignal sensor block of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도 7은 도 1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생체 인식 장치(100)는, 인체의 피부(10)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101); 및 상기 생체 신호 블록(101)에 결합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120);를 포함한다. 1 to 7, the wearable biometric device 100 may include a biosignal sensor block 101 in contact with the skin 10 of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120 that is bent to form a loop by coupling to the biosignal block 101.

상기 생체 신호 블록(101)은, 내부에 수납 공간(111)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하우징 개구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는 상기 수납 공간(111)에 연결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상기 하우징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150); 상기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드부(150)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피부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130); 및 상기 슬라이드부(150)와 상기 수납 공간(111)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140);를 포함한다.The biosignal block 101 includes a housing opening 112 formed therein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112 formed therein, and the housing opening 112 is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111. ; A slide part 15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with a gu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 skin optical characteristic dia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contacting the skin, mounted on the slide unit 150, outputting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detecting an optical signal via the skin;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130; And a pressure buffer unit 140 disposed between the slide unit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인체 착용부(120)는 구부러지는 물질로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진 밴드일 수 있다. 상기 밴드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101)을 손목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헐겁게 착용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손목과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사이에 밀착력이 부족하여 일부 채널에서 발광 소자에서 방사된 광이 피부를 통하여 전달되지 않고, 피부 표면에서 직접 반사되어 수광 소자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101)을 손목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손목 피부의 피하 지방층은 국부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의 생체 신호가 변형될 수 있다.The human body wearing part 120 may be a band having elasticity or elasticity as a material to be bent. The band may be a plastic or fiber material. When the biosignal sensor block 101 is loosely worn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wrist,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may have a lack of adhesion between the wrist and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and thus some channels ma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not be transmitted through the skin, but may be directly reflected from the skin surface and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contact the bio-signal sensor block 101 with the skin of the wrist, the subcutaneous fat layer of the wrist skin may be locally deformed. Accordingly, the bio-signal characteristic of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may be modified.

심전도 신호는 누름 압력이 적당한 수준 이상인 경우 일정한 신호 품질을 유지한다. 한편, 누름 압력이 커지면 혈류의 변화, 피하조직의 구조 변화 등으로 피부광학특성도 신호의 신호 품질이 악화된다. 피부(10)와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사이에 적절한 압력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밀착력이 요구된다.The ECG signal maintains a constant signal quality when the pressure is above a reasonable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is increased, the signal quality of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ignal is deteriorated due to changes in blood flow and structure of subcutaneous tissue. The skin 10 and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s are also required to have a uniform adhesion within the appropriate pressure range between the sensor unit 130.

생체 신호 센서 블록(101)은 손목의 안쪽을 감싸도록 측정 곡면(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정 곡면(20)은 피부의 원형에 따라 타원형 또는 요골을 감싸도록 "C" 또는 "L"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측정 곡면(20)은 측정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피부와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사이에 적절한 압력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밀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와 하우징의 수납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압력 완충부(140)가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가 배치된 일면의 테두리(114)는 피부에 대하여 스토퍼로 역할을 한다.The biosignal sensor block 101 may have a measurement surface 20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wrist.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may be in the form of "C" or "L" to surround the oval or radial according to the circle of the skin.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a measurement position. In order to provide uniform adhesion within the appropriate pressure range between the skin and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130, the skin optical property is also provided with a pressure buffer between the sensor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140 is disposed. The edge 114 of one surface on which the housing opening 112 is disposed serves as a stopper with respect to the skin.

피부와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 주위의 테두리(114)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외력에 의하여 상기 피부와 상기 테두리(114)가 접촉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테두리(114)는 상기 피부를 압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테두리에 의하여 압박된 피부는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및 상기 슬라이드부(150)는 선형 가이드로 기능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후퇴한다. 한편,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후퇴함에 따라, 압축 스프링과 같은 압력 완충부(140)는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상기 테두리(114)에 인가된 외력보다 감소된 반발력을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에 제공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를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으로 상기 하우징의 타면(또는 제3 전극)을 누르는 힘에 관계없이,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와 피부 사이에 소정의 범위의 일정한 압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안정적인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skin and the edge 114 around the housing opening 112 do not contact,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130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opening 11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kin is in contact with the rim 114 by an external force, the rim 114 presses the skin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skin pressed by the rim may protrude toward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130 and the slide 150 are retracted into the housing 11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erving as a linear guide. On the other hand, as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is retracted into the housing 110, the pressure buffer 140,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may provide a repulsive force. The pressure buffer 140 may provide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with the repulsive force reduced tha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dge 114 and close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to the skin. Can be.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force pushing the other surface (or the third electrode) of the housing with a finger,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is also applied a constant pressure in a predetermined range between the sensor unit 130 and the skin. Accordingly,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may acquire a stable biosignal.

상기 생체 신호 블록(101)은, 하우징(110), 슬라이드부(150),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및 압력 완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손목에 감기도록 측정 곡면(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상기 측정 곡면(20)을 따라 구부러진 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플라스틱 계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수납 공간(111)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곡면(111)에 형성된 하우징 개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는 상기 수납 공간(1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의 형상은 곡면 상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은 테두리(114) 및 턱(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114) 및 턱(113)은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 및 상기 슬라이드부(150)의 이탈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114)는 인체의 피부와 강한 압력으로 직접 접촉하는 부위일 수 있다. The biosignal block 101 may include a housing 110, a slide unit 150, a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130, and a pressure buffer unit 140. The housing 110 may have a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to be wound around the wrist. The housing 110 may have a plate shape bent along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The material of the housing may be plastic-based.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111 therein and a housing opening 112 formed in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111. The housing opening 112 may b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1. The housing opening 1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formed on a curved surface. One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housing opening 112 is formed may include an edge 114 and a jaw 113. The edge 114 and the jaw 113 may perform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130 and the slide 150. The edge 114 may be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t a strong pressure.

슬라이드부(140)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를 바라보는 면에 함몰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1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40)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측정 곡면(20)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진 구부러진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4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40)의 측면은 상기 수납 공간(111)의 내측면과 공차를 가지고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140)는 선형 운동 가이드로 동작하는 상기 수납 공간(111)의 내측면을 따라 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140)의 가장 자리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 주위의 턱(113)에 걸려 이탈 방지된다. 상기 슬라이드부(150)의 하부면와 상기 수납 공간(111)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D1)는 압력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slide unit 140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153 on the surface facing the housing opening 112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1. The slide unit 140 may have a curved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nd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easuring curved surface 20. The slide unit 140 may be a plastic material. Side surfaces of the slide unit 140 may extend side by side with a toleran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1). Accordingly, the slide unit 140 may perform a linear mo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1 to operate as a linear motion guide. The edge of the slide portion 1140 is caught by the jaw 113 around the housing opening 112 to prevent separa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 unit 15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may vary according to pressure.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상기 측정 곡면(20)을 통하여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상기 슬라이드부(150)의 몰부(15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을 포함한다.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은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고 상기 배치 곡면은 상기 측정 곡면(20)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may contact the skin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mole 153 of the slide 150.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130 include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may have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an azimuth direction and a central axis direction in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and the arrangement curved surface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복수의 발광 소자들(135,138)은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 상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복수의 수광 소자들(136,137,139)은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 상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과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방위각 방향으로 상기 발광 소자들과 나란히 배열된다. 상기 방위각 방향은 상기 배치 곡면에서 곡률을 가지는 원통좌표계의 방위각 방향이며, 상기 중심축 방향은 상기 배치 곡면에서 원통좌표계의 중심축 방향일 수 있다. 격벽들(132) 각각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들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 각각은 상기 발광 소자들 및 수광 소자들 각각을 노출하는 관통홀들(132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135 and 138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azimuth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136, 137, and 139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s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elements in an azimuth direction. The azimuth direction may be an azimuth direction of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having a curvature in the disposed curved surface, and the central axis direction may be a central axis direction of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in the arranged curved surface. Each of the partitions 132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exten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Each of the barrier ribs 132 may include through holes 132a exposing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상기 격벽들(132)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된다. The partitions 132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상기 격벽들(132)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스트립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은 서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상부면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에 의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 각각의 상부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 곡면(220)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은 상기 발광 소자들과 피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면서, 피부에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들(132)은 흑색 물질이거나 흑색 물질로 코딩되어 이웃한 소자들의 광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들(132)의 상부면이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격벽들(132)은 상기 피부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탄성을 가지고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피부광학특성도 신호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132a)은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2a)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2a)의 직경은 수백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2a)의 높이는 수백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격벽(132)과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131)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함몰부에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partitions 132 may be in the form of a strip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partitions 132 may be rubber or urethane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partitions 132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renches extending in a central axis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p surfaces of each of the barrier ribs 1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20. The barrier ribs 132 may provide a soft touch to the skin while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s and the skin. The partitions 132 may be a black material or may be coded with a black material to suppress optical interference of neighboring devices. In addition, when the upper surfaces of the barrier ribs 132 contact the skin, the barrier ribs 132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skin. Accordingly, a stabl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ignal can be obtained. The through holes 132a of the partition walls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light travels. The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hole 132a may be rectangular or circular.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32a may be several hundred micrometers to several millimeters. The height of the through hole 132a may be several hundred micrometers to several millimeters. The barrier rib 132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may be coupled by an adhesive. 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may be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lide unit by an adhesive.

렌즈들(133)은 상기 격벽의 관통홀(132a)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들(133)은 반구형 렌즈일 수 있다. 투명 도파관(134)은 상기 관통홀들(132a) 각각을 채울 수 있다. 상기 투명 도파관(134)은 상기 렌즈(133)를 지지하고 그 내부로 진행하는 빛을 전반사를 통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렌즈상기 격벽들(132)은 상기 투명 도파관(134)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35)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투명 도파관(134)을 통하여 상기 렌즈(133)에 전달되어 피부 내부에 집속될 수 있다. 상기 피부 내부로 전달된 광은 산란 또는 반사를 통하여 피부 내부를 진행한 후 수광 소자(136)와 정렬된 렌즈(133)와 투명 도파관(134)을 통하여 수광 소자(136)에 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신호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The lenses 133 may be inserted into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132a of the partition wall. The lenses 133 may be hemispherical lenses. The transparent waveguide 134 may fill each of the through holes 132a. The transparent waveguide 134 may support the lens 133 and guide the light traveling therein through total reflection. The lens barrier ribs 132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waveguide 134.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5 may be transmitted to the lens 133 through the transparent waveguide 134 and focused inside the skin.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skin may be focused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36 through the lens 133 and the transparent waveguide 134 aligned with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36 after traveling through the skin through scattering or reflection.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signal may increase.

상기 발광 소자(135)는 가시광선 대역에서 발광하는 적색(640nm), 노란색(580nm) 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128)는 적외선 대역에서 발광하는 근적외선(850nm)을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수광 소자(136,137,139)는 상기 발광 소자가 방출한 광을 상기 인체의 피부를 경유하여 수집한다. 상기 수광 소자(136,137,139)는 실리콘 포토다이오드일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135 may be a red (640 nm) or yellow (580 nm) LED emitting light in the visible light band.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128 may be an LED device that emits near infrared light (850 nm) that emits light in the infrared b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36, 137, and 139 collect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s via the skin of the human bod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36, 137, and 139 may be silicon photodiodes.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상기 배치 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135), 제1 수광 소자(136), 제2 수광 소자(137), 제2 발광 소자(138), 및 제3 수광 소자(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소자(135)는 가시광선 대역(적색 또는 황색)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138)는 적외선 대역(근적외선)을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발광소자(135), 제1 수광 소자(136), 제2 수광 소자(137), 제2 발광 소자(138), 및 제3 수광 소자(139)는 하나의 단위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채널은 상기 손목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채널은 소자들 사이의 거리(d)가 일정한 경우, 다양한 거리에 대한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135, a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136, a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137, and a second light array device arranged in a direction along a central axis of the arrangement curve. The light emitting device 138 and the third light receiving device 139 may be included.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135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red or yellow),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138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n infrared band (near infrared).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135,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136,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137,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138, and the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139 are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Unit channels can be configured. The unit channel may be arranged in a central axis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wrist. The unit channel may acquire bio signals for various distances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devices is constant.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상기 슬라이드부(150)의 하부면과 상기 수납 공간(111)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상기 슬라이드부(150)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정렬 기둥(15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공간적으로 균일한 압력 분배를 위하여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형상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폰지 또는 풍선로 변형될 수 있다. The pressure buffer unit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unit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1. The pressure buffer unit 140 may be mounted on the alignment column 15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unit 150. The pressure buffer 140 may be a compression spring. The pressure buffer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 for a spatially 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The pressure buffer 140 may be transformed into a sponge or a balloon to provide a shape restoring force.

심전도 전극들은 제1 전극(161a), 제2 전극(161b), 및 제3 전극(16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전극들의 전기 신호는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와 달리 손목과 심전도 전극들 사이의 압력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전극(161a) 및 제2 전극(161b)은 손목 안쪽 피부를 바라보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심전도 신호에서, 파형의 P, Q, R, S, T 파형간의 거리 및 높이, 각도 혹은 각각의 조합 등을 추출한 특징 파라메타는 생체인식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ECG electrodes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61a, a second electrode 161b, and a third electrode 161c.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electrocardiogram electrodes is hardly dependent on the pressure between the wrist and the electrocardiogram electrodes, unlike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161a and the second electrode 161b may be disposed at an edge of the housing facing the skin inside the wrist. In the ECG signal, a feature parameter obtained by extracting the distance, height, angle, or a combination of waveforms of P, Q, R, S, and T waveforms may operate as a biometric system.

제1 전극(161a) 및 제2 전극(161b)은 상기 하우징 개구부(112)의 주위 또는 테두리(114)에 배치되어 상기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전극(161a) 및 제2 전극(161b)은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이고, 금속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극(161c)은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은 구부러진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제1 전극(161a) 및 제2 전극(161b)은 인체의 하나 손목과 접촉하고, 제3 전극(161c)은 다른 손의 손가락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161a~161c)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61a and the second electrode 161b may be disposed on the periphery or the edge 114 of the housing opening 112 to contact the skin. The first electrode 161a and the second electrode 161b have a band shape extending in an arc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housing and may be formed by a metal coating. The third electrode 161c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third electrode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d disc. The first electrode 161a and the second electrode 161b may contact one wrist of the human body, and the third electrode 161c may contact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161a to 161c may measure an ECG signal.

하우징의 타면 (또는 바깥쪽 면)에 배치된 제3 전극(161c)과 하우징의 일면(안쪽 면)의 테두리에 배치된 제1 전극(161a) 및 제2 전극(161b)을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측정한다. 또한, 손목 안쪽에서는 피부광학특성도 신호가 동시에 측정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제3 전극(161c)을 손가락을 대고 누르면, 제1 전극(161a), 제2 전극(161b) 그리고 하우징 개구부 내에 배치된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피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전극(161a~161c)는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130)는 피부광학특성도 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전도 신호는 누름 압력이 적당한 수준 이상이면 신호 품질이 일정하게 나온다. 그러나, 피부광학특성도 신호는 누름 압력이 커지면 혈류의 변화, 피하 조직의 구조 변화 등으로 변화된 신호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압력 완충부(140)는 피부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누름 압력을 완충하여 피부광학특성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동시에 한 번의 동작으로, 신뢰도를 가진 생체 신호 계측을 제공할 수 있다.Electrocardiogram signal is obtained by using the third electrode 161c disposed on the other side (or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electrode 161a and the second electrode 161b disposed on the edge of one side (inner side) of the housing. Measure In addition,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ignal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inside the wrist. When the third electrode 161c of the housing is pressed with a finger, the first electrode 161a, the second electrode 161b, and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130 disposed in the housing open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161a to 161c measure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130 may simultaneously measure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ignal. In this case,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has a constant signal quality if the pressing pressure is above a suitable level. However, the skin optical property signal shows a signal characteristic that is changed due to a change in blood flow, a structure of subcutaneous tissue, etc. as the pressing pressure increases. Therefore, the pressure buffer 140 buffers the pressing pressure to minimize skin deformation to obtain a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ignal. The pressure buffer 140 may simultaneously provide a bio signal measurement with a single operation.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완충부(140)는 PPG(광용적맥파), GSR(피부 저항), 체저항(body impedance) 등 센서와 피부 밀착도가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대부분의 착용형/패치형 생체신호 측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130)는 PPG(광용적맥파), GSR(피부 저항), 체저항(body impedance) 센서로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buffer 140 is mos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sensor and the skin such as PPG (light volume pulse wave), GSR (skin resistance), body resistance (body impedance) affect the measurement accuracy It can be applied to the wearable / patch typ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That is, the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130 may be changed into a PPG (optical volume pulse wave), a GSR (skin resistance), and a body impedance sensor.

MSP 신호 처리부(172)는 상기 수광 소자(136,137,139)가 제공하는 신호들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 신호를 증폭하는 비반전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MSP 신호는 제어부(171)에 제공될 수 있다. The MSP signal processor 172 may include a low pass filter that removes noise from the signals provid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36, 137, and 139, a non-inverting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signal, and an A / D converter that converts the amplifie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t may include. The digital MSP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71.

상기 제어부(171)는 발광 소자(135,138)의 밝기와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MSP 신호를 송수신부(173)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신호 분석 단말 또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71 may control the brightness and tim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135 and 138, and transmit the received digital MSP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173. The transceiver 173 may be wired or wireless.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ignal analysis terminal or a smart phone.

상기 제어부(171)는 선택된 단위 채널 내에서 하나의 발광 소자를 턴온시키고, 모든 단위 채널에서 수광소자들의 MSP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단위 채널을 변경한 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즉, LED1a ~ LED1n 중에서 하나를 순차적으로 턴온하여, 가시광 파장 조명 하에서의 모든 수광 소자들(PD1a~PD1n, PD2a~PD2n, PD3a~PD3n)의 MSP 신호를 측정한다. 이어서, LED2a ~ LED2n 중에서 하나를 순차적으로 턴온하여, IR 파장 조명하에서의 모든 수광 소자들(PD1a~PD1n, PD2a~PD2n, PD3a~PD3n)의 MSP 신호를 측정한다.The controller 171 may turn on on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selected unit channel and acquire MSP signals of the light receiving devices in all unit channels. Subsequently, the same operation may be repeated after changing the unit channel. That is, one of LED1a to LED1n is sequentially turned on to measure MSP signals of all light receiving elements PD1a to PD1n, PD2a to PD2n, and PD3a to PD3n under visible light wavelength illumination. Subsequently, one of LED2a to LED2n is sequentially turned on to measure MSP signals of all light receiving elements PD1a to PD1n, PD2a to PD2n, and PD3a to PD3n under IR wavelength illumination.

ECG 신호 처리부(174)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들(161a~161c)이 제공하는 신호들에서 노이즈를 저주파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비반전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할 수 있다. 증폭된 신호는 A/D 컨버터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17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4)는 상기 디지털 ECG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173)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The ECG signal processor 174 may remove the noise from the signals provided by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161a to 161c using a low pass filter, and then amplify the noise through a non-inverting amplifier. The amplified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and then provided to the controller 171. The controller 174 may transmit the digital ECG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173.

상기 제어부(171), 상기 ECG 신호 처리부(174), 상기 MSP 신호 처리부(172), 송수신부(173)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1, the ECG signal processor 174, the MSP signal processor 172, and the transceiver 173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8.

도 10 및 11은 도 8의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MSP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MSP module of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8.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1.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인체의 피부(10)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201); 및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201)을 수납하고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 신호 블록(201)은, 수납 공간(321)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외부 개구부(381)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착용부(26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320,380);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의 상기 수납 공간(321)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하여 외부 개구부(381)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고 상기 외부 개구부(381)와 정렬된 내부 개구부(371)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340,370); 상기 인체의 피부(10)와 접촉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340,370)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352)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인체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353)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350);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240);를 포함한다.8 to 13,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biosignal sensor block 201 in contact with the skin 10 of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260 that accommodates the biological signal sensor block 201 and bends to form a loop. The bio-signal block 201 may include an outer housing 320 and 380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321 and an outer opening 381 formed on one surface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dy wearing part 260. An inner opening 37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21 of 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and linearl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opening 381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s a guide and aligned with the outer opening 381. Inner housings (340, 370)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353 contacting the skin 10 of the human body and mounted inside the inner housings 340 and 370, outputting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352, and detecting an optical signal via the human body. Skin optical characteristic diagram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350 including; And a pressure buffer 240 disposed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상기 신체 착용부(260)는 전자 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260)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266); 일단은 상기 몸체부(266)의 일측에 결합하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1 신체 착용부(262a);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266)의 타측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 신체 착용부(262a)의 타단에 분해 및 결합하도록 체결하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2 신체 착용부(26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 착용부(262a)는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20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부러진 스트립 형상의 장착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66)는 원판 또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 착용부(262a)는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350)와 상기 몸체부(266) 내부의 전자회로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을 위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 착용부(262a)의 타단과 상기 제2 신체 착용부(262b)의 타단이 서로 결합 있는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 착용부(262a)는 상기 장착부(263) 내에 손목의 바깥쪽 방향으로 제3 전극(310)을 배치하고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wearing part 260 may be worn on a wrist in the shape of an electronic watch. The body wearing part 260 may include a body part 266 including a display part; A first body wearing portion 262a, one end of which is bent to surround the human body with elasticit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66; And a second body wearing portion 262b,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266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disassemble and coupl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earing portion 262a and bends to surround the human body. It may include. The first body wearing part 262a may include a bent strip-shaped mounting part 263 into which the biosignal sensor block 201 is inserted and fixed. The body portion 266 may have a disc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first body wearing part 262a may include a passage for wir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350 and the electronic circuit inside the body part 266.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earing part 262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wearing part 262b may have a fastening structu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wearing part 262a may include an opening 264 for disposing and exposing the third electrode 310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wrist in the mounting part 263.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진 띠 형태로 손목의 요골을 감싸도록 구부러져 "L"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외부 하우징(320) 및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320) 상에 배치되는 상부 외부 하우징(38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외부 하우징(320) 및 상부 외부 하우징(380)의 채결은 스냅핏(snap-fit) 체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외부 하우징(380)은 상기 외부 개구부(3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개구부(381)는 구부러진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외부 하우징(380)의 상부면은 피부의 측정 곡면(20)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측정 곡면(20)은 일정한 너비의 띠 형사이고 연장 방향으로 따라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측정 곡면(20)은 너비 방향의 중심축 방향과 구부러진 연장 방향의 방위각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외부 하우징(380)의 중심 부위에는 중심축 방향에서 양쪽으로 반원 형태로 돌출된 상부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그 내부에 반원 형태의 개구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320)은 중심 부위에는 중심축 방향에서 양쪽으로 반원 형태로 돌출된 하부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개구부(382)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날개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may be bent to surround the radius of the wrist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to have an “L” shape. 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may include a lower outer housing 320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outer housing 380 disposed on the lower outer housing 320. The engagement of the lower outer housing 320 and the upper outer housing 380 may be a snap-fit fastening structure. The upper outer housing 380 may include the outer opening 381. The outer opening 381 may have a curved rectangular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housing 380 may be bent along the measurement curve 20 of the skin.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may be a strip of a constant width and b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 measurement curved surface 20 may be display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azimuth direction in the bent extension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outer housing 380 may include an upper wing protruding in a semicircle shape in both dir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wing portion may include a semicircular opening 382 therein. The lower outer housing 320 may include a lower wing portion protruding in a semicircle shape at both sides in a central axis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82 and fixed to the lower wing portion.

상기 내부 하우징(340,370)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내부 하우징(340) 및 상기 하부 내부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부 내부 하우징(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내부 하우징(370)은 상기 내부 개구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내부 하우징(340)과 상기 상부 내부 하우징(370)의 채결은 스냅핏(snap-fit) 체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내부 하우징(370)은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복수의 스트립들(3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들(372)은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의 격벽들(354)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housings 340 and 370 may include a lower inner housing 340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inner housing 370 disposed on the lower inner housing. The upper inner housing 370 may include the inner opening 371. The lower inner housing 340 and the upper inner housing 370 may have a snap-fit fastening structure. The upper inner housing 3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ips 372 travel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strips 37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s 354 of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350)는,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351);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351)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들(352);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방위각으로 배열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된 수광 소자들(353);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352) 및 수광 소자들(353)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를 각각 노출시키는 관통홀들(354a)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들(3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350 may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51 having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an azimuth direction and a central axis direction in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Light emitting devices 352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51; Light-receiving elements 353 arranged at an azimuth angle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spaced apart in a central axis direction; A through hole 354a dispos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353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ex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and exten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barrier ribs 354 may be formed.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350)는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LED1), 제1 수광 소자(PD1), 제2 수광 소자(PD2), 제2 발광 소자(LED2), 및 제3 수광 소자(PD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소자(LED1)는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LED2)는 적외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제1 수광 소자(PD1), 제2 수광 소자(PD2), 및 제3 수광 소자(PD3)는 포토다이오드일 수 있다.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350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LED1, a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PD1, a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PD2,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LED2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 And a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PD3.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LED1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LED2 may be an LED device emitting an infrared b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PD1,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PD2, and the third light receiving element PD3 may be photodiodes.

렌즈들(362)은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354a)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투명 도파관(364)은 상기 관통홀들(354a) 각각을 채울 수 있다. The lenses 362 may be inserted into and disposed on upp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354a of the partition walls. The transparent waveguide 364 may fill each of the through holes 354a.

상기 압력 완충부(24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돌출부(322)는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에 배치되고, 제2 돌출부(341)는 상기 하부 내부 하우징의 외측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22)와 상기 제2 돌출부(341)는 서로 정렬되어 슬라이딩 가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완충부(240)는 상기 제1 돌출부(322) 또는 상기 제2 돌출부(341)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sure buffer 240 may be a compression spring. The first protrusion 322 may be dispos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lower outer housing, and the second protrusion 341 may be disposed on an outer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ner housing. The first protrusion 3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41 may be aligned with each other to operate as a sliding guide. The pressure buffer 24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protrusion 322 or the second protrusion 341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in an aligned state.

제1 전극(330a) 및 제2 전극(330b)은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의 상기 외부 개구부(381) 주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전극(330c)은 상기 외부 하우징(320,38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260)는 상기 제3 전극(330c)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330c)은 원판형의 전극 몸체와 상기 전극 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들(312)은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3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330a and the second electrode 33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outer openings 381 of 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to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to contact the skin of the human body. Can be. The third electrode 330c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s of the outer housings 320 and 380. The body wearing part 260 may include an opening 264 exposing the third electrode 330c to the outside.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may measure an ECG signal. The third electrode 330c may include a disc-shaped electrode body and a plurality of legs 31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lectrode body. The legs 312 may be fixed to the lower outer housing 32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10: 피부
100: 웨어러블 생체 측정 장치
101: 생체 신호 블록
110: 하우징
120: 인체 착용부
130: MSP 센서부
140: 압력 완충부
150: 슬라이드부
10: skin
100: wearable biometric device
101: biosignal block
110: housing
120: wearing body
130: MSP sensor unit
140: pressure buffer
150: slide section

Claims (21)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 및
상기 생체 신호 블록에 결합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 블록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하우징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개구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상기 하우징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센서 가이부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 biosignal sensor block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bent to form a loop by coupling to the biosignal block.
The biosignal block is:
A housing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opening is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slide par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with a gu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mounted to the sensor guide unit; And
And a pressure buffer disposed between the slid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센서 가이드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피부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skin, mounted on the sensor guide unit, to output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o detect an optical signal via the skin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함몰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개구부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개구부 주위의 테두리에 의하여 이탈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 unit includes a depression,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is mounted to the recess and protrudes into the housing opening,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dge around the housing open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들;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과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수광 소자들; 및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를 각각 노출시키는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an azimuth direction and a central axis direction in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ight-receiving elements spaced apar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s in a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rranged in the azimuth direction; And
Compri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ex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and includes a partition exten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된 렌즈들; 및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채우는 투명 도파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인식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Lenses inserted into and disposed on upp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of the partition walls; And
The wearable biometric measur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waveguide filling each of the through hol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완충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buffer is a spr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배치 곡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 제1 수광 소자, 제2 수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및 제3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a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rd light receiving device arranged in a direction along a central axis of the arrangement curved surfac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는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적외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s an LED device for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s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device for emitting an infrared b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주위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된 제3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arou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contact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의 발광 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의 수광 소자들이 제공하는 MSP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MSP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MSP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control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s of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An MSP signal processing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ocessing the MSP signal provid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of the skin optical property sensor unit and providing the MSP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MSP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생체 신호 센서 블록; 및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을 수납하고 루프를 형성하도로 구부러지는 인체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 블록은: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에 형성된 외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착용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을 가이드로 하여 외부 개구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고 상기 외부 개구부와 정렬된 내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 biosignal sensor block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And a human body wearing part configured to receive the biosignal sensor block and bend to form a loop.
The biosignal block is:
An outer housing including a storage space and having an outer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dy wearing part;
An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housing and including an inner opening linearl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open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s a guide and aligned with the outer opening;
A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mounted inside the inner housing; And
And a pressure buff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고 상기 인체를 경유한 광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광학특성도 (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MSP) 센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contacting the skin of the human body, mounted inside the inner housing, outputting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detecting an optical signal via the human body. Skin Photomatrics (MSP) sensor unit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외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외부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부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서로 결합하는 하부 내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내부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부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uter housing includes a lower outer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outer housing disposed on the lower outer housing,
The upper outer housing includes the outer opening,
The inner housing includes a lower inner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inner housing disposed on the lower inner housing,
The upper inner housing may include the inner opening.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원통 좌표계에서 방위각 방향과 중심축 방향에 의하여 정의된 배치 곡면을 가지는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들;
상기 유연성 인쇄회로 기판에서 방위각으로 배열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된 수광 소자들; 및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들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를 각각 노출시키는 관통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uni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rrangement curved surface defined by an azimuth direction and a central axis direction in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in an azimuth direction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ight-receiving elements arranged at an azimuth and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wearable living body includes a partition wall disposed to enclo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ng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through holes ex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and include partition walls exten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Signal measuring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관통홀들의 상부면에 각각에 삽입되어 배치된 렌즈들; 및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채우는 투명 도파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Lenses inserted into and disposed on uppe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of the partition walls; And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waveguide filling each of the through hole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완충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buffer is a spring.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광학특성도 센서부는 상기 방위각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열된 제1 발광소자, 제1 수광 소자, 제2 수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및 제3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kin optical characteristic sensor part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 first light receiving device, a second light receiving device,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rd light receiving device arranged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progresses in the azimuth direction. Signal measuring device.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소자는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이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적외선 대역을 발광하는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s an LED device for emitting a visible light b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s a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device for emitting an infrared ban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외부 개구부 주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된 제3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체 착용부는 상기 제3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은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outer opening of the outer housing to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outer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The body wearing part further includes an opening that exposes the third electrode to the outside,
The first to third electrodes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판형의 전극 몸체와 상기 전극 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들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third electrode includes a plate-shaped electrode body and a plurality of leg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lectrode body,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gs are fixed to the outer housing.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는 :
표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1 신체 착용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1 신체 착용부의 타단에 분해 및 결합하도록 체결하고 상기 인체를 감싸도록 구부러지는 제2 신체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체 착용부는 상기 생체 신호 센서 블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부러진 스트립 형상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ody wear part:
A body portion including a display portion;
A first body wearing portion having one end bent to surround the human body with elasticit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so as to disassemble and coupl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wearing portion and includes a second body wearing portion bent to surround the human body,
The wea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wearer includes a bent strip-shaped mounting part to which the biosignal sensor block is inserted and fixed.

KR1020180065887A 2018-06-08 2018-06-08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KR20190139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87A KR20190139440A (en) 2018-06-08 2018-06-08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87A KR20190139440A (en) 2018-06-08 2018-06-08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40A true KR20190139440A (en) 2019-12-18

Family

ID=690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87A KR20190139440A (en) 2018-06-08 2018-06-08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944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8121A (en) * 2021-11-19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22177039A1 (en)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주)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ear cover structure considering optical sensor
CN115097715A (en) * 2022-07-22 2022-09-23 深圳市纳晶云实业有限公司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ith blood sugar function detection function
WO2023243740A1 (en) * 2022-06-14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CN114088121B (en) * 2021-11-19 2024-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Wear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039A1 (en)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주)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ear cover structure considering optical sensor
CN114088121A (en) * 2021-11-19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4088121B (en) * 2021-11-19 2024-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Wear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WO2023243740A1 (en) * 2022-06-14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CN115097715A (en) * 2022-07-22 2022-09-23 深圳市纳晶云实业有限公司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ith blood sugar function detection function
CN115097715B (en) * 2022-07-22 2023-09-26 深圳市纳晶云实业有限公司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ith blood glucose function dete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79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living body
US98950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surface pressure and blood volume
US7813534B2 (en) Sensing arrangement
KR102590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ignal,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JP6976919B2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body-worn sensor with visual display
KR20190139440A (en) Werabl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KR102517692B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nthod
US10912469B2 (en) Electronic fitness device with optical cardiac monitoring
KR201700046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biological information
US10551310B2 (en) Detection device
KR101075507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ulse with adjustable measuring point according to wrist thickness
JP6293927B2 (en) Sensor
KR202000145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KR102544668B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EP3685747B1 (en) Texture interface for measuring bio-signal an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50071304A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CN109688928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KR10225018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the living body
CN210727722U (en) Pulse wave detection device
CN219373978U (en) Intelligent wearing equipment
US20210365664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WO2023058550A1 (en) Sensing device and device set
KR20170141336A (en) Wearable Band Apparatus for Bio-signal Measurement
EP424987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ptical-based force
US20210106232A1 (en) Non-contact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