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466A -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466A
KR20190131466A KR1020190147622A KR20190147622A KR20190131466A KR 20190131466 A KR20190131466 A KR 20190131466A KR 1020190147622 A KR1020190147622 A KR 1020190147622A KR 20190147622 A KR20190147622 A KR 20190147622A KR 20190131466 A KR20190131466 A KR 2019013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reverse
sector gear
cam
h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3801B1 (en
Inventor
강영선
윤석수
소진환
신종필
신익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01B1/en
Publication of KR2019013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ic control unit for a rice transplanter. The electric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drive motor; a sector gear operated by the drive motor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 HST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and manipulating a swash plate of the HS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 cam member interlocked with the sector gear and having a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a reverse cam curved surface; and a throttle lever a lower roller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or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and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a central axis, and the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throttle cable for increasing the engine speed.

Description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와 같은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엔진의 회전수와 HST와 같은 다른 부품의 제어가 동시에 전자식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ntrol unit for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rice transplanter, and more particularly,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the electric motor control for agricultural machinery is configured to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engine speed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HST at the same time It's about the unit.

이앙기 및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주행에 있어서는 HST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HST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전진 및 후진을 HST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변속단수 및 전후진 자체를 트랜스미션에서 결정하고 HST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출력의 크기만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기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정해진 환경 하에서 주변속레버를 통한 HST 제어를 통하여 출력 회전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It is common to use HST when driving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rice transplanters and tractors. In the case of using the HST, various settings are possible. For example, a method of config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can be determined by the HST, and the number of gear shifts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re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output only. In addition, the engine speed can be basical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engine throttle valve, and the output speed can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HST control through the peripheral speed lever under a predetermined environment.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HST 및 엔진의 스로틀 제어는 각각 별도의 링크 및 와이어에 의하여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조작시 반력에 의한 조작의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고, 농기계의 부하에 따라서 HST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도 기적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rottle control of the HST and the engine is mechanically connected by separate links and wires, respectively, by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However, the mechanical connection is inevitably difficult and uncomfortable due to the reaction force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disadvantages that the control of HST is not smooth according to the load of agricultural machinery is also miracle.

그리고 와이어 및 링크를 통하여 전체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실제 제동이 이루어지거나 HST의 중립 상태가 구현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반응에 불만족할 수밖에 없음은 물론이고, 특정 페달 또는 레버의 조작시 반력에 의하여 정확한 동작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기도 한다. When the entire connection is made through wires and links, it may take time for the actual braking to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brake pedal, for example, or the neutral state of the HST may be implemented. Therefore,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dissatisfied with the accurate and quick response, and the correct operation may be difficult due to reaction force when operating a specific pedal or lever.

일반적으로 이식기는, 모판을 싣고 있는 씨드탱크의 일측 단부를 플랜팅 프레임의 단부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모판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부터 플랜팅아암이 집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능을 통상 묘탱크 정렬, 단부 정렬, 또는 단부 시프트라고 부르고 있다. Generally, the implanter has a seed tank alignment function that allows the planting arm to pick up from the outermost position of the base plate by aligning one end of the seed tank carrying the base plate with the end of the planting frame. It is common. This function is commonly referred to as seed tank alignment, end alignment, or end shift.

한국 특허 공개 10-2012-0106625에 의하면, 이와 같은 단부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앙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도면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앙기는, 동력원을 구비한 주행 차체와 이것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식부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부부(40)에 대한 동력 전달용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단부 정렬)를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개시한다. 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6625, a rice transplanter having such an end alignment function has been proposed. This prior art will be described. He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as it is. The rice transplanter consists of a traveling vehicle body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and a planting portion 40 mounted on the movable portion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ncludes a planting clutch mechanism 55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planting portion 40. The end shift (end alignment) by the side feed of the seedling loading stand 41 in the couple 40 is star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on of the said planting clutch mechanism.

그리고 이앙기는, 식부부(40)를 승강 이동하는 식부 승강 레버와, 주변속 레버(65)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변속 기구(22)와, 이 주변속 기구(22) 및 상기 식부부(40)로의 회전수를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에 의해 변속하는 무단 변속 기구를 구비한다. 단부시프트(단부 정렬)의 개시는, 식부 승강 레버를 상기 식부부(40)의 중립 위치로 조작하고 또한 상기 주변속 레버(65)를 주행정지인 중립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변속 페달(67)을 소정 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기구(55)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한다. The rice transplanter includes a planting lift lev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portion 40, a main gear mechanism 22 for shifting the traveling speed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gear lever 65, the main gear mechanism 22 and the above. It is provided with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echanism which shifts the rotation speed to the planting part 40 by stepping of a transmission pedal. The start of the end shift (end alignment)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planting elevation lever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planting portion 40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gear lever 65 is operated in the neutral position which is the driving stop. When step 67)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end shift of the seedling loading table is started by power transmission on of the planting clutch mechanism 55.

그리고 단부시프트의 종료에 대하여 살펴보면,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횡이송의 일단에 왔을 때에 작동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 수단[암 부재(123) 및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을 구비하고,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6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다. 여기서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69)을 상기 모종 적재대(41)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49) 중 좌우의 일단부의 내측 부위에 장착함으로써, 동작 및 감지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부 시프트의 시작은 실질적으로 다수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단부 정렬 조작이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And when looking at the end of an end shift, seedling stand position detection means means (arm member 123 and seedling stand position) which operate when the seedling loading stand 41 in the planting part 40 comes to the end of right and left lateral feed. Detection switch 69], and the end shift of the seedling loading table 41 is terminated by turning off the planting clutch mechanism 55 by the operation of the seedling stage position detecting means 69. Here, the seedling stage position detecting means 69 is attached to an inner portion of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edling stage frame 49 supporting the seedling loading table 41, so a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dete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tart of such a conventional end shift is made by a plurality of operations substantially, which means that the end alignment operation is complicated.

참고로 동력전달과 관련된 기구를 살펴보면, 식부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거나 차단되고, 식부클러치에서는 식부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식부 미션에서 동력은 이분되는데 실질적으로 모를 심는 플랜팅아암(식부아암)과 위에서 설명한 씨드탱크(모종 적재대)의 정렬을 위한 동력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되는 동력은 실질적으로 식부클러치의 온오프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오프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식부크러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은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가 온되거나 오프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the mechanism related to power transmission, power is transmitted or blocked through the planting clutch, and the planting clutch transmits power to the planting mission. In the planting mission, the power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planting arm (planting arm), which is actually planted, and the power for the alignment of the seed tank (seedling rack) described above. And the power thus separated is substantially driven or turned off by the on and off of the planting clutch.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urning on or off the planting clut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utch is turned on or off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en by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모종을 적재하고 있는 씨드탱크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에 맞추는 단부 정렬과 같은 농기계의 조작을 가장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ontrol unit for a farm machine that can most easily implement the operation of a farm machine such as an end alignment for moving a seed tank carrying seedling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it one side of a planting frame. Is in.

본 발명의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모터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연동하는 HST 연결로드, 그리고 상기 섹터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스로트레버는, 캠부재의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는 하단롤러를 구비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된다. 여기서 섹터기어 및 캠부재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하단롤러가 돌출 성형된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과 접촉하여 스로틀레버의 상단부는 스로틀케이블을 당겨서 엔진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다.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for agricultural machin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or supported by the base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ector gear rotatably supported by the base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drive motor, and forward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nd An HST connecting rod interlocked with the reverse rotation, and a cam member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se having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sector gear, and having a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a reverse cam curved surface. The throttle has a lower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cam surface or the reverse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the central axis, and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 throttle cable for increasing the engine speed. Here, by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nd the cam member, the upper roller of the throttle lever in contact with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or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protrudingly formed by pulling the throttle cable can increase the engine speed. .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캠부재의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은 각각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있어서,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과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of the cam member have different curvatures, so that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and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reverse movement are set differ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drive gea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forward or reverse rotation by the drive motor, the output of the HST is controll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engine through the throttle lever and the HST connection ro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을 적용한 이앙기는, 모의 이식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통상 기본적으로 하는 씨드탱크 정렬을, 정렬 버튼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전동식 제어유닛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ice transplanter to which the electric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can perform seed tank alignment which is normally basically performed before performing a mock transplantation operation by using an electric control unit by switch operation of an alignment button. It can be seen that.

그리고 본 발명에 전동제어유닛 및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섹터기어 및 캠부재를 통하여 스로틀레버를 조작과 동시에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제어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농기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one drive motor controlled by the electric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controls the throttle lever through the sector gear and the cam member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HST through the HST connecting rod. Therefor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farm machinery more efficient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s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요부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기계의 제동페달 및 가속페달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의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다른 요부를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of agricultural machine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main portion of the agricultural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HST 및 엔진의 스로틀밸브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하는 주변속레버(10)에 설치된 포텐셔미터(12), 제동페달(23)의 리미트스위치(도시 생략), 전동제어유닛(20)의 포텐셔미터(25), 식부클러치(62), 그리고 씨드탱크 정렬버튼(또는 조작 스위치)(64)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tentiometer 12 and a braking pedal 23 installed at a peripheral speed lever 10 used by a user for control of a throttle valve of an HST and an engin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not shown), the potentiometer 25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the planting clutch 62, and the seed tank alignment button (or operation switch) 64, respectively, so that signal transmission It is installed to be possible.

여기서 주변속레버(10)에 설치된 포텐셔미터(12)는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어느 정도 밀었는가 또는 어느 정도 당겼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되는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은 농기계의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포텐셔미터(12)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동제어유닛(20)으로 보내게 된다. 즉, 주변속레버(10)의 이동량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동제어유닛(20)으로 송신한다.Here, the potentiometer 12 installed in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how much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he detected value of the potentiometer 12 detected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controller 50 of the agricultural machine, and the controller 50 send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tentiometer 12 to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That is, the movement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 1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And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this to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그리고 식부클러치(6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부부(Planting portion)로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것이고, 식부클러치(62)가 온상태로 되어야만 씨드탱크(66)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플랜팅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일치시키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씨드탱크 정렬 기능은, 종래의 특허 문헌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 또는 단부 정렬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씨드탱크 정렬은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는 것임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리고 식부클러치의 온에 의하여 씨드탱크의 횡이송을 위한 기구적 구성 및 동작은 위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것이고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nd the planting clutch 62 is to interrupt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plan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planting clutch 62 must be turned on to move the seed tank 66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lanting fram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ed tank alignment function to match either side. For reference, the seed tank alignment function refers to "end shift by lateral movement of seedling load" or end alignment, as mention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and this seed tank alignment is a power transmission on state of the planting clutch mechanism. As can be done in the above mentioned. And since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the lateral transfer of the seed tank by the planting clutch is known and widely used as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의 온오프(동력의 단속)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정렬 버튼(64)이 눌러지면, 제어부(5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씨드탱크 정렬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동제어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 후, 씨드탱크 정렬을 위한 제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50 can control the planting clutch 62 on / off (power interruption). Therefore, when the alignment button 64 is press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50 performs control for seed tank alignment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control for seed tank alignmen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제어유닛(20)은, 제어부(50)에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기초하여 일정 구간 회전 하는 섹터기어(24), 상기 섹터기어(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부품은 베이스(20a)에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includes a drive motor 22 that operates based on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50, and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2. And a cam member 30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sector gear 24. Each of these components is provided in the base 20a.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모터(22)의 회전에 따라서 섹터기어(24)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에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섹터기어(24)와 캠부재(30)는 동일한 회전축(21)을 가지고 있고, 서로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Naturally, the sector gear 24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2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22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0, and thu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including a speed reducer.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have the same rotation shaft 21 and are design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2 will be represented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around the rotation shaft 21.

그리고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는 캠부재(30)와 접촉되면서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레버(28)의 상단부(28b)는 스로틀케이블(29)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캠부재(30)와 접촉하는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구름접촉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스로틀레버(28)도 중간 부분의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의 아이들 상태에서 스로틀케이블(29)은 도면상 상방으로 당겨진 상태 때문에, 상기 스로틀케이블(29)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스로틀케이블(29)에 의하여 엔진의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And the lower end portion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installe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0, the upper end portion 28b of the throttle lever 28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rottle cable 29. Here, it is natural that the lower end portion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0 is preferably mounted to induce rolling contact. Such a throttle lever 28 is also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28a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throttle cable 29 is pulled upward in the drawing in the idle state of the engine, when the throttle cable 29 is pulled downward,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is opened by the throttle cable 29 to increase the engine speed. do.

상기 섹터기어(24)에는 HST(40)와 연결되는 HST 연결로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HST 연결로드(26)는 HST(40)와 연결되어 있고, 사판의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HST 연결로드(40)와 섹터기어(24)는 자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로드(40)가 섹터기어(24)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면, 비상시(고장시) 연결로드(4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ctor gear 24 is provided with an HST connecting rod 26 connected to the HST 40. The HST connection rod 26 is connected to the HST 40, it can be said to operate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wash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ST connection rod 40 and the sector gear 24 are assembled to be detachable by themselves. When the connecting rod 40 is assembled to the sector gear 24 in a detachable state, it may be expected that the emergency rod (in case of failure) can be manually operated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동페달(23) 주변에는 제동페달(23)을 밟았는지의 여부만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동페달(23)을 밟게 되면, 제동페달(23)의 회전량과는 무관하게 제동페달을 밟았다는 사실 자체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for example,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only whether or not the brake pedal 23 is pressed is provided around the brake pedal 23. Therefore, when the user steps on the brake pedal 23, the fact that the user has stepped on the brake pedal irrespective of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rake pedal 2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다음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전동 제어유닛(20)을 이용하는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T 연결로드(26)와 섹터기어(24)는 연결되어 있고, 캠부재(30)와 섹터기어(24)도 같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기어(24)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HST 연결로드(26)와 스로틀레버(28)가 같이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Next, the overall operation using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described above, the HST connecting rod 26 and the sector gear 24 are connected, and the cam member 30 and the sector gear 24 are also connected together. Therefore, when the sector gear 24 rotates in any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ST connecting rod 26 and the throttle lever 28 operate together.

엔진의 아이들상태에서 스로틀케이블(29)은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약한 인장력으로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는 섹터기어(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 2에서 (b)는 이와 같은 아이들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조작하게 되면 그 변위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송된다. 도 2에서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한 상태를 보인 것인데, (a)는 후진 상태, 그리고 (c)는 전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아이들, 전진 및 후진에 대응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idle state of the engine, since the throttle cable 29 is pulled upward by a weak tension force by the spring, the lower end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is in a state in which the throttle cable 28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sector gear 30. 2, (b) shows such an idle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he displacement is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 1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Figure 2 shows the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a) is a reverse state, and (c) shows an example of the forward stat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states corresponding to idl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비례하여, 전동제어유닛(20)의 구동모터(22)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주변속레버(10)가 앞으로 밀리게 되면, 이식기의 전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동모터(22)를 전진에 해당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2)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서, 섹터기어(24)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drive motor 22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in propor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For example, when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pushed forward, since it means the forward of the implanter, the driving motor 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As the drive motor 2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tor gear 2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about the rotation shaft 21.

그리고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오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음과 같이 정렬버튼(64)과도 신호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오프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식부클러치(62)를 단속하는 것은 실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임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정렬버튼(64)을 단순히 조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50 is also connected to the alignment button 64 in such a way that the planting clutch 62 can be driven on / off.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planting clutch 62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to turn the planting clutch 62 on and off. And th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ed tank alignment function, such a function is performed by simply operating the alignment button 64.

사용자가 이앙기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정렬버튼(64)을 조작하면, 이러한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시킴으로써 씨드탱크(66)의 정렬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과 동시에, 전동 제어유닛(20)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씨드탱크(66)의 정렬 기능은, 씨드탱크(66)의 일측을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과 일치시킴으로써, 플랜팅 아암이 최외측에 있는 모부터 순차적으로 떠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ignment button 64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the controller 50 which senses such a signal transmits power for aligning the seed tank 66 by turning on the planting clutch 62.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left and right,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is adjusted through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alignment function of the seed tank 66 is to match one side of the seed tank 66 with one side of the planting frame so that the planting arm can be sequentially removed from the outermost hair.

따라서 정렬 버튼(64)이 눌러지면, 식부클러치(62)가 온됨으로써 씨드탱크(66)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의 회전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정렬 기능이 시작되어 일정 거리 씨드탱크가 움직여서 단부에 일치하게 되면, 씨드탱크의 일측이 플랜팅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접수한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오프시켜 씨드탱크(66)의 단부 정렬을 완료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alignment button 64 is pressed, the planting clutch 62 is turned on so that the seed tank 66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has an important meaning. When the alignment function is started and the seed tank moves by a certain distance to coincide with the end portion, one side of the seed tank contacts the limit switch installed in the planting frame to generate a signal. The controller 50 receiving the signal of the limit switch turns off the planting clutch 62 to complete the end alignment of the seed tank 66.

이러한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 과정에서, 씨드탱크의 이동속도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이는 플랜팅 아암의 관성 등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씨드탱크(66)의 단부 정렬 기능이 수행되어 멈춤 위치에 이르면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에 대응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어야 한다. 여기서 엔진의 회전수가 아이들 상태의 회전수(예를 들면 1800 rpm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면, 실질적으로 씨드탱크(66)의 이동속도가 늦어서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는 것이 어렵게 된다.  In the end alignment process of the seed tank, the movement speed of the seed tank is an important factor because it may not be able to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due to the inertia of the planting arm. That is, when the end alignment function of the seed tank 66 is performed to reach the stop position, it must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limit switch.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maintains the rotation speed of the idle state (for example, about 1800 rpm), the movement speed of the seed tank 66 is substantially slow, making it difficult to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회전수가 실제 이식 작업의 회전수보다는 낮고 아이들 회전수보다는 높은 정도의 단부 정렬을 위한 회전수 범위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2000~2500 rpm 범위에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러한 단부 정렬 회전수를 메모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렬버튼(64)이 눌러지면 이러한 회전수를 가지도록 전동 제어유닛(20)을 제어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range for the end alignment of the engine rotational speed is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ctual transplant operation and higher than the idle rotational speed, which is in the range of 2000 to 2500 rpm. Since the controller 50 stores the end alignment rotation spee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to have such rotation speed when the alignment button 64 is pressed.

즉 제어부(50)가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를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22)의 동작에 의한 캠부재(30) 및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의 제어는, 미리 제어부(50)에 입력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고, 전동 제어유닛(20) 이면의 포텐셔미터(25)가 감지하는 회전량을 피드백 받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at is, the controller 50 drives the driving motor 22 to control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will be. And the control of the rotation amount of the cam member 30 and the sector gear 24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22 can also be input to the control part 50 beforehand, and the potentiometer on the back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It may also be made by the controller 50 receiving the feedback of the amount of rotation sensed by (25).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 제어유닛(20)은 엔진의 회전수 제어와 HST(40)의 사판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섹터기어(24)에는 HST연결로드(26)가 같이 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섹터기어(24)의 회전은 엔진의 회전수 조절 뿐만 아니라 HST(40)의 사판 경사각 조절을 통한 HST 출력도 같이 비례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30)의 회전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조절 및 HST의 사판 경사각 제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nd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control of the engine and the swash plate control of the HST 40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is, since the HST connecting rods 26 are pin-connected to the sector gears 24,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s 24 not only adjusts the engine speed but also HST output through adjusting the swash plate inclination angle of the HST 40. It is possible to control in proportion as well. Here, the adjustment of the engine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member 30 and the swash plate inclination angle control of the HST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이 완료되는데, 이는 실제로는 플랜팅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가 이동한 씨드탱크의 일측에 접촉되고, 이러한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50)가 전동 제어유닛(20)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식부클러치(62)의 동력을 오프함으로써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은 완료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전동제어유닛(20)을 제어하여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하고 HST(40)를 중립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end of the end tank alignment is completed, which is actually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eed tank to move the limit switch installed in the planting frame,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signal of the limit switch Is made by. End control of the seed tank is completed by the controller 50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planting clutch 62. And if necessary, 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to put the engine in an idle state and control the HST 40 in a neutral state.

그리고 섹터기어(24)에 고정되어 있는 캠부재(30)도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캠부재(3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에 설치되는 하단롤러는 캠부재(30)의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된다. 즉, 스로틀레버(28)는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단부(28c) 또는 하단롤러는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The cam member 30 fixed to the sector gear 24 also rotates clockwise. According to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cam member 30, the lower roller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vance cam curved surface 34 of the cam member 30. That is, the throttle lever 28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central axis 28a, while the lower end 28c or the lower roll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전진캠곡면(34)은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상단부(28b)는 하강하는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스로틀케이블(29)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로틀케이블(29)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실질적으로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Since the advanced cam curved surface 34 is in a protruding state, the upper end 28b of the throttle lever 28 performs a downward movement, which is represented by a movement of pulling the throttle cable 29 downward. When the throttle cable 29 is pulled downward in this way, the engine speed is increased while the throttle valve is opened substantially.

여기서 섹터기어(24)에는 HST 연결로드(2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섹터기어(24)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HST 연결로드(26)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HST 연결로드(26)의 우방향 이동은, HST(40)의 사판을 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HST 연결로드(26)의 회전 정도는, 사용자의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포텐셔미터(12)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HST의 출력이 제어될 것이다. Here,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24. As the sector gear 24 rotates in the A direction, the HST connecting rod 26 move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The rightward movement of the HST connecting rod 26 causes the swash plate of the HST 40 to rotat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dvancing.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HST connecting rod 26, the output of the HST will be controll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ed value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 12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즉,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구동모터(22)를 제어하여 섹터기어(2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동제어유닛(20)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또 하나의 포텐셔미터(25)(도 1 참조)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50)는 섹터기어(24)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셔미터(25)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That is, the controller 50 rotates the sector gear 24 by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22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otentiometer 12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hen, another potentiometer 25 (see FIG. 1)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20 detects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ctor gear 24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potentiometer 25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ctor gear 24.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10)를 밀어서 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전진 방향으로 HST(40)가 제어됨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수도 빨라지도록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당겨서 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대응하는 처리가 진행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is pushed to operat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HST 40 moves for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in the A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controlled, it can be seen that the engine speed is also linked to the engine. Further, when the user pulls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o operat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at described above proceeds.

예를 들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반시계방향(B)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의 롤러는 돌출 성형된 후진캠곡면(32)에 접촉하게 되어, 상단부(28b)는 스로틀케이블(29)를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빨라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로드(26)에 의하여 HST(40)도 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사판이 제어될 것이다. For example, as the sector gear 24 and the cam member 30 rotate counterclockwise (B), the roller of the lower end portion 28c of the throttle lever 2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backward cam curved surface 32. The upper end 28b pulls the throttle cable 29 downward.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engine speed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wash plate is controlled by the connecting rod 26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direction.

여기서 캠부재(30)에는 전진을 위한 전진캠곡면(34)와 후진을 위한 후진캠곡면(34)이 각각 성형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이 수행되면, HST 연결로드(26)의 조작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스로틀케이블(29)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진진시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의 상승률은 상이하다. Here, the cam member 30 has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for the forward and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4 for the reverse,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forward or backward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HST connecting rod 26 is the opposite direction, but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through the throttle cable 29 is the sam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increase of the engine speed at the time of forward and reverse is different.

본 발명의 캠부재(30)에서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은 각각 상이한 곡률 또는 곡면을 가지고 있다. 즉,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의 돌출된 곡면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과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정하면, 전진캠곡면(34)은 후진캠곡면(32)에 비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에 비하여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m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and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have different curvatures or curved surfaces, respectively. That is, since the protruding curved shapes of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and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are different,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and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reverse movement ar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assuming the same rotation angle,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is formed to have a gentl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so that the engine speed increas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increased to the engine speed increase in the reverse direction. It can be set to rise slowly.

이는 주변속레버(10)의 후진 조작시, 엔진 회전수의 상승이 더욱 급격하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스로틀케이블(29)이 더욱 빨리 당겨진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더욱 급격한 돌출 형상을 가짐으로써, 스로틀케이블(29)을 상대적으로 더욱 빨리 잡아당길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도 동일하다. This means that the engine speed increases more rapidly during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0, which may be equivalent to that the throttle cable 29 is pulled faster. And this point is the same as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has a more rapid protruding shape than the advanced cam curved surface 34, thereby having a shape that can pull the throttle cable 29 relatively faster. .

예를 들면 이식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후진캠곡면(32)이 더욱 신속한 회전수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캠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식기에는 묘종을 이식하는 식부장치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데, 후진시 이러한 식부부를 보다 신속하게 들어올리는 것이 손상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같은 회전량으로도 엔진의 회전수를 더욱 신속하게 올림으로써 식부부를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plan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has a cam curved surface that enables a faster speed increase. In the transplanting machine, a planting apparatus for transplanting seedlings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it is preferable to lift the planting portion more quickly in reverse to prevent dam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32 is configured to raise the planting part quickly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even more quickly with the same amount of rota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rotrusion than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34. .

10 ..... 주변속레버
12 ..... 주변속레버의 포텐셔미터
20 ..... 전동제어유닛
21 ..... 회전축
22 ..... 구동모터
24 ..... 섹터기어
25 ..... 섹터기어의 포텐셔미터
26 ..... HST 연결로드
28a ...... 중심축
28b ..... 스로틀레버의 상단부
28c ..... 스로틀레버의 하단부
30 ..... 캠부재
32 ..... 후진캠곡면
33 ..... 캠부재의 오목홈
34 ..... 전진캠곡면
40 ..... HST
50 ..... 클러치
51 ..... 연동로드
10 ..... Peripheral lever
12 ..... Potentiometer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 Electric control unit
21 ..... axis of rotation
22 ..... Drive motor
24 ..... Sector Gears
25 ..... Potentiometers in Sector Gears
26 ..... HST connection rod
28a ... center axis
28b ..... Upper part of the throttle lever
28c ..... Lower part of the throttle lever
30 ..... Cam member
32 ..... Reverse Cam Surface
33 ..... concave groove of cam member
34 ..... Forward Cam Surface
40 ..... HST
50 ..... Clutch
51 ..... Interlocking Rod

Claims (3)

베이스에 지지되고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모터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연동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그리고 상기 캠부재의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는 하단롤러를 구비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섹터기어 및 캠부재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하단롤러가 돌출 성형된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과 접촉하여 스로틀레버의 상단부는 스로틀케이블을 당겨서 엔진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는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
An electric motor supported on the base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ector gear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se and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by the drive motor;
An HST connecting rod interlocked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sector gear;
A cam member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se with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sector gear and having a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a reverse cam curved surface; And
And a throttle lever having a lower roller contacting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or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of the cam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a central axis,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throttle cable for increasing the engine speed;
By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ector gear and the cam member, the upper end of the throttle lever in contact with the forward cam surface or the reverse cam surface protrudingly formed by the lower roller can pull the throttle cable to increase the engine speed Electric control unit for agricultural machin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은 각각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있어서,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과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orward cam curved surface and the reverse cam curved surface of the cam member have different curvatures, so that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and the engine speed increase rate at the time of reverse movement are set different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electric motor control unit for a farm machine having a braking device which simultaneously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through the throttle lever and outputs the HST through the HST connecting rod by a sector gear that rotat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drive motor. .
KR1020190147622A 2019-11-18 2019-11-18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KR102123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22A KR102123801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22A KR102123801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89A Division KR102053016B1 (en) 2018-02-05 2018-02-05 Pland transportation machine with function of adjusting rice seed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66A true KR20190131466A (en) 2019-11-26
KR102123801B1 KR102123801B1 (en) 2020-06-22

Family

ID=6873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22A KR102123801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8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445A (en) * 2003-12-05 2005-06-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Farm work machine
KR20090076293A (en) * 2008-01-08 2009-07-13 대동공업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KR20100125250A (en) * 2008-03-05 2010-11-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KR20140025128A (en) * 2012-08-21 2014-03-04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Main handing appliance for changing of speed of transmission for comb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445A (en) * 2003-12-05 2005-06-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Farm work machine
KR20090076293A (en) * 2008-01-08 2009-07-13 대동공업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KR20100125250A (en) * 2008-03-05 2010-11-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KR20140025128A (en) * 2012-08-21 2014-03-04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Main handing appliance for changing of speed of transmission for com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801B1 (en)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16B1 (en) Pland transportation machine with function of adjusting rice seed tank
KR20190131466A (en) Electrical control units for agricultural machine
KR101956598B1 (en)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KR101968088B1 (en) Brak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JP6785098B2 (en) Multi rice transplanter
JP2002262624A (en) Sulky rice transplanter
KR101968090B1 (en) Accelerat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JP2014155462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4155462A5 (en)
JP5779995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0213626A (en) Gearshift mechanism of rice transplanter
JP2001209449A (en) Operation device for mobile agriculture machine
JP4041419B2 (en) Traveling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for traveling type farm work machine
KR20050026343A (en) A rice field working machine
JP7090022B2 (en) Porting machine
CN206136644U (en) Seedling transplanter
JP6922949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4726639B2 (en) Transplanter
JP3657107B2 (en) Lifting control device for mobile agricultural machine
KR100376367B1 (en) Seedling transplanter
JP5174705B2 (en) Transplanter
JP2002356119A (en) Farm working machine
JP2012249535A5 (en)
JPH036750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orking machine
KR20210050680A (en) Rice transplanter comprising an apparatus for regulating maximum sp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