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408A -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408A
KR20190124408A KR1020180048331A KR20180048331A KR20190124408A KR 20190124408 A KR20190124408 A KR 20190124408A KR 1020180048331 A KR1020180048331 A KR 1020180048331A KR 20180048331 A KR20180048331 A KR 20180048331A KR 20190124408 A KR20190124408 A KR 20190124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rol
valve
opening
control modu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8538B1 (en
Inventor
안명천
Original Assignee
안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천 filed Critical 안명천
Priority to KR102018004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38B1/en
Publication of KR2019012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4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01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details of the corr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capable of remotely opening and closing a valve of a pipelin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and a management terminal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ipeli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anagement terminal,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pipeline.

Description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밸브 컨트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Remote controllable smart valv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으로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제어가 되는 밸브의 수량을 손쉽게 바꿀 수 있으면서도, 밸브 자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alve itself while being able to easily change the number of valves to be controlled in controlling a plurality of valves remotely.

화력 발전소나 선박 등에서는,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유체의 순환이 필수적이다. 화력 발전 시 상당히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 밸브를 빈번하게 개폐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In thermal power plants and ships, circulation of cooling fluid is essential to prevent overheating. Since thermal power generation generates a great deal of heat, there is a need to open and close the valv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밸브는 관로 중간에 설치되어,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이러한 밸브를 열고 닫을 때 사람이 직접 하거나, 밸브에 모터 등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제공되는 힘을 이용하기도 한다.The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line. In most factories, these valves can be opened or closed by humans or by installing motors or the like on the valves and using the forces provided by them.

일반적인 경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밸브를 열고 닫을 수 있다. 하지만, 유체의 압력이 매우 큰 관로 상에서 밸브를 단순하게 열고 닫는 경우에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그 방식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In the general case, the valve can be opened and closed in various ways. However, in the case of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n a pipeline having a very high pressure of the fluid, the method is limited because various variables have to be considered.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유체의 압력이 상당히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를 전부 개방시키게 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유체가 관로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관로 자체에 큰 충격을 가하게 된다.With the valve closed, the pressure of the fluid can be kept quite high. If the valve is completely opened in this state,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conduit at an excessively high spe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a large shock is applied to the conduit itself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특히, 유체 관로는 그 방향을 90도 정도 꺾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유체가 꺾인 관로를 따라서 빠른 속도로 그 방향이 전환되게 되면, 유체 자체의 관성에 의해서 가해지는 충격이 더 커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fluid pipe line needs to be bent by about 90 degrees. When the fluid is quickly turned along the pipe line, the impact applied by the inertia of the fluid itself becomes greater.

이와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관로에 충격을 고려하지 않으면, 아무리 견고하게 설치된 관로라고 하더라도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As such, without considering the impact on the pipeline which may be gen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even if the pipeline is installed firmly, there will be a problem in durability.

이에 따라서, 화력 발전 시스템나 선박 등에서와 같이 온도, 유체의 압력 뿐만 아니라 유체의 온도 및 직경을 모두 고려하는 유체 밸브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research on a fluid valve control system that considers both the temperature and the diameter of the fluid as well as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of the fluid, such as in a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or a ship,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밸브에서 센싱되는 온도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해당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제어 모듈 및 그것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valve control module that can sense the temperature sensed at the valve and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it.

또 다른 목적은 밸브 제어를 위한 개별적인 모듈을 구비하고, 밸브 제어가 필요한 장소에 손쉽게 설치하였다가 손쉽게 설치해제가 가능한 밸브 제어 모듈 및 그것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 further object is to provide a valve control module having a separate module for valve control,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lace where valve control is needed and can be easily remov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은, 관로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상기 관리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측정된 관로의 온도에 기초하여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another object, a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 And a management terminal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wherein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condu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anagement terminal.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conduit.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설정 온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상기 설정 온도를 상기 복수 개의 제어 모듈 각각에 전달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전달 받은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receives a set tempera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 set temperature receiv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pens the valve based on the received set temperature. Can open and close.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설정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may transmit different set temperatu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컨트롤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valv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밸브 제어가 필요한 장소에 추가적으로 밸브 제어 모듈을 손쉽게 설치하고, 하나의 관리 단말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제어시할 수 있는 스마트 밸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valve control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lace where valve control is requir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mart valve control system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one management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관로에 지나는 유체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냉각 관로 시스템의 내구성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ipeline, to maximize the durability of the cooling pipeline system.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소(1000)에 설치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밸브 컨트롤 시스템(1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102)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제어 모듈(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제어 모듈(100)의 동작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installed in the power pla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valv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 100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flowchart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result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소(1000)에 설치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installed in the power pla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화력 발전소 등과 같이 큰 규모의 시설의 경우, 설비와 사무소가 상당 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그 이유는 다양할 수 있겠지만, 이와 같은 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공해, 발열 등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기 위함일 것이다.As shown, for large facilities, such as thermal power plants, facilities and offices are loc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The reasons may vary, but to be as far as possible from noise pollution, heat generated from such facilities.

이와 같은 설비(103) 내에 위치하는 밸브(101) 역시,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사무소 공간이나 건물(10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것이다.The valve 101 located in the facility 103 will also be remote from the office space or building 104 where the workers 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위와 같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게 될 경우,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밸브나 관로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모니터링 해야 하는 위치가 한두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이러한 모니터링 및 밸브의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 a distant state, it is not difficult at all.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position in order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valve or the pipeline, and there is not one or two positions to be monitored. For this reason, at present, a lot of manpower has been invested to perform such monitoring and valve management.

이와 같은 인력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waste of manpow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alve control system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fluid such as water.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소 공간이나 건물(104)에 위치하는 관리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술한 밸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개폐까지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by using the manager terminal 100 located in the office space or building 104, not only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valve described above, but also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it. Suggest a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밸브 컨트롤 시스템(1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valv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스마트 밸브 컨트롤 시스템(10)은, 밸브 제어 모듈(100) 및 관리자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밸브 제어 모듈(100)은 한 개로 표현되어 있지만, 제어해야 하는 밸브의 위치에 따라서 복수 개가 구비 및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figure, the smart valve control system 10 may include a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the manager terminal 100,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s represented as one, but the valv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밸브 제어 모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4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밸브 제어 모듈(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밸브 제어 모듈(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 sensing unit 140 ′, a memory 170 ′, a controller 180 ′,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so that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Can have

무선 통신부(110')는, 밸브 제어 모듈(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밸브 제어 모듈(100)와 다른 밸브 제어 모듈(100) 사이, 또는 밸브 제어 모듈(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밸브 제어 모듈(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may communicate wirelessly betwee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another valve control module 100, or betwee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connecting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센싱부(140')는, 밸브 제어 모듈(10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주변 환경 정보란, 온도, 습도, 관로 내 유체의 압력 및/또는 관로의 직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밸브 제어 모듈(100)과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온도 측정하는 위치(또는 관로 직경 측정 위치 등)가 달라짐에 따라서 상기 밸브 제어 모듈(100)과 이격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센싱부(140')는 데이터 전송 라인 등으로 밸브 제어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자체적인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센싱된 결과를 밸브 제어 모듈(100)에게 전달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nsing unit 140 ′ may sens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 ′. Here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of the fluid in the conduit, and / or diameter of the conduit. In particular, although the sensing unit 140 ′ may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sensing unit 140 ′ is spaced apart from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s the temperature measuring position (or the pipe diameter measuring position, etc.) is changed. May be installed as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40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 data transmission line, or may include its ow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nsed result to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re will be.

메모리(170')는 밸브 제어 모듈(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밸브 제어 모듈(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밸브 제어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memory 170 ′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memory 170 ′ may store data and instructions for operating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controller 180 ′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hav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명령어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밸브 제어 모듈(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retrieve data stored in the memory 170 ′ or execute instructions.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 제어 모듈(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 to supply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밸브 제어 모듈(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제어 모듈(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밸브 제어 모듈(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동력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부(120')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쇠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power unit 120 ′ may provide pow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80 ′. For example, the power unit 120 ′ may include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and may open or close the valve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술한 관리자 단말기(100)와 정보(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주고 받는 데이터에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다양한 환경 정보(데이터)나,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 may exchange information (data) with the above-described manager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data exchanged in this way may include various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or various user command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100.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동작 명령을 전달 받으면, 해당 동작에 맞도록 상기 동력부(120')를 제어하여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controller 180 ′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ontroller 180 ′ may control the power unit 120 ′ to open and close the valve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will be.

이하 도 3에서는, 관리자 단말기(102)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3,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r terminal 102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102)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의 관리자 단말기(102)는, 상기 밸브 제어 모듈(100)과 일부 일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둘을 구분하기 위하여, 밸브 제어 모듈(100)의 식별번호는 '와 함께 표시한다. 즉, 밸브 제어 모듈(100)의 센싱부는 140'으로 표기하며, 관리자 단말기의 센싱부는 140으로 표기한다.The manager terminal 102 in FIG. 3 has a configuration that is partially coincident with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w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s indicated with '. That is, the sensing unit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s denoted by 140 'and the sensing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is denoted by 140.

상기 관리자 단말기(102)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관리자 단말기(102)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관리자 단말기(102)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102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May be included.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manager terminal 102, so that the manager terminal 102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ha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관리자 단말기(102)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관리자 단말기(102)와 상술한 밸브 제어 모듈(100) 사이, 또는 관리자 단말기(102)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관리자 단말기(102)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described above, or with the manager terminal 102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xternal servers.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anager terminal 102 to one or more networks.

즉, 이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102)의 무선 통신부(110)와 밸브 제어 모듈(100)의 무선 통신부(110') 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수 있으며, 밸브 제어 모듈(100)을 통하여 감지되는 온도는, 두 무선 통신부(110, 110')에 의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02)로 전달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102)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명령은 마찬가지로, 두 무선 통신부(110, 110')에 의하여 밸브 제어 모듈(100)로 전달될 수 있다.That is, data exchang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may be possible, an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may be ,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102 by the two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10 ′, and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102 may be controlled by the two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10 ′. May be delivered to module 100.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센싱부(140)는 관리자 단말기(102) 내 정보, 관리자 단말기(102)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관리자 단말기(102)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anager terminal 102,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Thermal sensors, gas sensors, etc.), chemical sensors (eg, electronic noses, healthcare sensors, biometric sensors, etc.). On the other hand, the manager terminal 102 disclosed herein may utiliz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관리자 단말기(102)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관리자 단말기(102)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 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관리자 단말기(102)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2)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anager terminal 102.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anager terminal 102,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appropriat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may be performed.

또한, 메모리(170)는 관리자 단말기(102)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관리자 단말기(102)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자 단말기(102)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관리자 단말기(102)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관리자 단말기(102)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관리자 단말기(102)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02)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anager terminal 102.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in the manager terminal 102, data for operating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anager terminal 102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manager terminal 102 (for example, incoming / outgoing / outgoing function / message reception / outgoing function).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manager terminal 102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anager terminal 102.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기(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r terminal 102.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관리자 단말기(102)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anager terminal 102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관리자 단말기(10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anager terminal 102.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102)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102)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관리자 단말기(102)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anager terminal 1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anager terminal 102 may be implemented on the manager terminal 102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이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102)는, 일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테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제한이 되지는 않는다.The manager terminal 102 may be a fixed terminal such as a general desktop PC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phone. This form is not limi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제어 모듈(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실제 밸브(101)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ctual valve 101 is installed.

관로(101)에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핸들(4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 핸들(402)는, 사람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conduit 10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40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It is apparent that such opening and closing handle 40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ers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부(102')는 상기 개폐 핸들(402)과 연결되는 풀리(Pulley) 구조(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풀리 구조(401)에 의해서, 동력부(102')의 동력이 상기 개폐 핸들(402)에 전달되어, 밸브를 열거나 폐쇠시킬 수 있다.The power unit 1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ulley structure 401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02. By the pulley structure 401, the power of the power unit 102 ′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02 to open or close the valve.

밸브 제어 모듈(100)의 하우징(403) 내부 수용 공간에는 상술한 블록도의 구성들이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403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the above-described block diagrams may be loc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 100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밸브 개폐 핸들(402) 상에 이와 같은 밸브 제어 모듈(100)이 복수 개 설치되어, 각 밸브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밸브의 제어가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102)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uch valve control modules 100 are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valve opening / closing handles 402 to individu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valve, and in particular, the control of such a valve is one manager terminal. It may be controlled in a batch (102).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제어 모듈(100)의 동작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의 제어 방법은, 밸브 제어 모듈(100) 자체 구성인 제어부(180')에 의해서 동작할 수도 있고, 관리자 단말기(102)에 위치하는 제어부(180)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제어부를 통칭하여 제어부(180, 180')이라 부른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flowchart of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in FIG. 6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ler 180 ′ which is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itself, or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ler 180 located in the manager terminal 102. Therefore, the two controllers are collectively called the controllers 180 and 180 '.

S601 단계에서 제어부(180, 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40')를 통하여 관로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센싱부(14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되는 온도 센서를 통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로의 정보란, 관로의 직경, 관로 내부의 유체 압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peration S601, the controllers 180 and 180 ′ may measure the information on the pipeline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140 ′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d may measure the temperature through the included temperature senso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conduit may further include the diameter of the conduit, the fluid pressure in the conduit.

이와 같이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180, 180')는 관리자 단말기(102)에 송신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102)는, 이와 같은 측정 결과를 그래프나 도식화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ler 180, 180 ′ may transmit the measured result to the manager terminal 102, and the manager terminal 102 may provide the measured result to the user through a graph or a diagram. will b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결과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ment result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02)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상기 측정된 결과를 출력해 줄 수 있으며, 특히, 전체 밸브 제어 모듈(100)의 배치도 및 해당 배치도 상 각각의 밸브 제어 모듈(100)의 위치 상에 측정 결과를 그래프(701)로 출력하여 직관적인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anager terminal 102 can output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through the display 151. In particular, the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the respective valve control modules ( The measurement result may be output as a graph 701 on the position of 100 to enable intuitive output.

다시 도 6으로 복귀하면, S602 단계에서 제어부(180, 180')는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설정 온도 범위 내가 아니라면, 계속하여 S601 단계를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6, in operation S602,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is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If it is not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you can continue with step S601.

만약, 설정 온도 범위 내라면, S603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If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603.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단말기(102) 자체에 의해서 상기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즉, 관리자 단말기(102)는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100) 각각에 적당한 온도 범위를 입력할 수 있고, 해당 온도 범위에 맞도록 모듈(100) 각각이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02)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은 설정 온도를 각각의 밸브 제어 모듈(100)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각 밸브 제어 모듈(100)은 해당 온도 설정 범위에 맞도록 상기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at the temperature range can be set by the manager terminal 102 itself. That is, the manager terminal 102 may input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100, and each of the modules 100 may operate individually to fit the temperature range. The manager terminal 102 may transmit the s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to each valve control module 100, and each valve control module 100 may open and close the valve so as to correspond to a corresponding temperature setting range.

S603 단계에서 제어부(180, 180') 는 개폐시키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603, the controller 180 or 180 ′ may determine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상술한 바에서와 같이, 관로 내의 유압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급속한 밸브의 개방은 관로 내구도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압을 고려하여 개방되는 정도를 결정하도록 제안한다.As mentioned above, if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conduit is too high, rapid opening of the valve may act critically to the conduit durabil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determine the opening degree in considera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특히, 관로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더욱 개방되는 정도를 달리 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압과 관로의 직경을 함께 고려하여 개방되는 정도를 결정한다.In particular, when the diameter of the pipe is small, the degree of opening will be differe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opening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diameter of the pipelin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밸브 개방 정도를 결정하도록 제안한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determine the valve opening degre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지수 감소율을 나타내며, 2R은 직경, P는 유체 압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B는 임계 압력값으로, 특정 압력 값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관로를 100% 개방하는 임계 압력 값을 의미한다.Where A represents an index reduction rate, 2R is diameter, and P is fluid pressure. B is a critical pressure value, which means a critical pressure value that opens the pipeline 100% when it rises above a certain pressure value.

A는 10, 그리고 B는 100kbar일 경우 개방 정도를 계산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첫번째 행은 If A is 10 and B is 100 kbar, the opening degree is calcul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first r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와 같이, 관로 내 유체 압력 및 온도를 모두 고려할 경우, 유체 관로에 금속 피로를 주지 않고 오랫동안 내구도를 유지하면서 전체 밸브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when both the fluid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in the condui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entire valve system can be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for a long time without introducing metal fatigue to the fluid conduit.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컨트롤(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a valv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hich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us the technical spirit and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No,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 limited by the drawings or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cept a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o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valent structure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to be boun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5)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은,
관로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상기 관리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측정된 관로의 온도에 기초하여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
A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And
And a management terminal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s.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
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ipeli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with th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pipeline,
Valve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설정 온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상기 설정 온도를 상기 복수 개의 제어 모듈 각각에 전달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전달 받은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terminal receives a set tempera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from a user,
The input set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et temperature,
Valve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제어 모듈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설정 온도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different set temperatu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 control module,
Valve control system.
밸브 제어 모듈에 의해 관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밸브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측정된 온도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관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개폐의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밸브 제어 모듈로 결정된 개폐의 정도를 전송하는 단계; 및
밸브 제어 모듈에 의해 전송 받은 개폐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의 제어 방법.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duit by the valve control module;
Transmit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to a manager terminal by a valve control module;
Determining, by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pipeline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Determin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by the manager terminal;
Transmit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determined by the manager terminal to the valve control module; And
Opening the valve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received by the valve control module;
How to control the valve control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여부의 결정은, 상기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컨트롤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open or clo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measured temperature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How to control the valve control system.
KR1020180048331A 2018-04-26 2018-04-26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KR102118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31A KR102118538B1 (en) 2018-04-26 2018-04-26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31A KR102118538B1 (en) 2018-04-26 2018-04-26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08A true KR20190124408A (en) 2019-11-05
KR102118538B1 KR102118538B1 (en) 2020-06-03

Family

ID=6857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31A KR102118538B1 (en) 2018-04-26 2018-04-26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702U (en) * 1993-02-02 1994-09-16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Steam hammer accident prevention device
KR100370662B1 (en) * 2002-10-04 2003-02-06 Simulation Tech Inc Remote control system of valve for ship by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70027518A (en) * 2015-09-02 2017-03-10 신우산업 (주) Frost pro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702U (en) * 1993-02-02 1994-09-16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Steam hammer accident prevention device
KR100370662B1 (en) * 2002-10-04 2003-02-06 Simulation Tech Inc Remote control system of valve for ship by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70027518A (en) * 2015-09-02 2017-03-10 신우산업 (주) Frost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38B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088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146194B2 (en) Building lighting and temperature control with an augmented reality system
US11064009B2 (en) Augmented reality-based wiring, commissioning and monitoring of controllers
EP30608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lve
JP5679521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1700525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versal setup, monitoring and control of field devices for a plant
KR101965321B1 (en) sensor fusion device and laboratory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same
US20160341333A1 (en) Valve positioner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two-dimensional graphical display
JP6705961B2 (en) Automatic door monitoring device
JP2009139328A (en) Field device search system
JP2023041058A (en) Remote control of hydraulic system
KR102118538B1 (en) Remote valve control system and cotrol method thereof
JP6248985B2 (en)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method
KR101975537B1 (en) SERIAL TO LoRa CONVERTER
US20180246252A1 (en) Air conditioner
KR20120037589A (en)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and controlling of ship status
US10876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logging compressed gas data
JP5780978B2 (en) Plant maintenance and inspection system
CN10499557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ustrial process
JP5812800B2 (en) Loop check system
EP2757803A1 (en) Fiel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12527A (en) Crime prevention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camera
KR1026538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ly and remotely controlling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JP7347409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2322925B1 (en) Equipment condition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