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006A -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 Google Patents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006A
KR20190123006A KR1020180046640A KR20180046640A KR20190123006A KR 20190123006 A KR20190123006 A KR 20190123006A KR 1020180046640 A KR1020180046640 A KR 1020180046640A KR 20180046640 A KR20180046640 A KR 20180046640A KR 20190123006 A KR20190123006 A KR 2019012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jack
rack bracket
wedg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윤용
유지훈
김용주
차태형
오현수
Original Assignee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006A/en
Publication of KR2019012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immobilising, e.g. using wedges or clamping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1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ck-up rig breaking device, which includes a frame part, a rack bracket and a restricting unit. The rack bracket receives guidance of the restricting unit to be operated by being exactly engaged with a rack gear, and the restricting unit gradually performs horizontal operation and vertical operation by providing operation force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possible to restrict the rack bracket. Therefore, the jack-up rig breaking device is possible to perform exact breaking and stably perform maintenance into a breaking state.

Description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본 발명은 잭업 리그를 이루는 레그로부터 플랫폼을 승하강 동작한 후 해당 레그의 특정 위치에 플랫폼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한 브레이킹이 가능함과 더불어 브레이킹 상태로의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for braking the platform to be firmly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leg after lifting and lowering the platform from the legs constituting the jackup league. It relates to a braking device for a jack-up rig according to a new form that allows for stable maintenance.

일반적으로 시추 구조물이나 시추선 혹은, 바지선 등의 선박이나 해양 플랫폼에는 잭업 리그(jack-up Rig)가 제공된다.In general, jack-up rigs are provided on ships or offshore platforms, such as drilling structures, drilling vessels, or barges.

이러한 잭업 리그는 상기한 해양 플랫폼을 해저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설치되도록 하는 설비로써, 해저에 박혀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레그 및 이 레그를 따라 상기 플랫폼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jack-up rig is a facility that is installed while supporting the above-mentioned offshore platform stably on the seabed,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legs are fixed to the seabed fixedly installed and the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platform along the legs.

상기 승강유닛은 통상 레그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래크기어와, 이 래크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강제 회전시키는 승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레그를 해저에 박아 고정하는 작업 혹은, 상기 레그로부터 플랫폼을 승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는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 설치되는 잭하우스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unit comprises a rack gear which is usu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g, a pinion gear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and a lift drive motor for forcibly rotating the pinion gear, the drive of the lift drive moto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leg to the seabed by fixe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ccording to, or lifting and lifting the platform from the leg. At this time, the lifting drive motor is made to be fixed to the jack hous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한편, 상기 잭하우스에는 플랫폼의 승강 위치를 구속하기 위해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브레이킹 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378897호, 등록특허 제10-1524148호, 등록특허 제10-1379425호, 등록특허 제10-1824103호, 일본 등록특허 JP1336753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jack house is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for braking in order to restrain the lifted position of the platform, with respect to such a braking device Patent No. 10-0378897, Patent No. 10-1524148, Patent No. 10- 1379425, Patent No. 10-1824103, Japanese Patent No. JP1336753, and the like.

즉, 브레이킹 장치를 이루는 랙브라켓(초크 세그먼트, 레그 고정지그)가 상기 레그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래크기어에 맞물리며, 이를 통해 플랫폼이 더 이상 하향 이동되거나 혹은, 상승 이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rack bracket (choke segment, leg fixing jig) constituting the braking device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g, thereby preventing the platform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킹 장치는 랙브라켓과 래크기어 간의 상대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고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어 정밀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써 플랫폼이 정확한 수평을 이루지 못함과 더불어 상기 래크기어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ack bracket and the rack gear is not exactly matched 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braking device is not precisely fixed, thus preventing the precise positioning of the platform.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amage of the rack gear.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킹 장치는 랙브라켓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성들의 동작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혹은, 랙브라켓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유닛이나 잭하우스의 구조를 변경하여야만 함에 따른 제품의 컴팩트한 설계에 한계가 있었고, 이로써 상기 브레이킹 장치가 고정되는 잭하우스의 전체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unit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is installed to face up or down, or is installed to face the sam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ck bracket. The compact design of the product had to be limited due to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jack house, and thus, the overall size of the jack house in which the braking device is fixed is also inevitably increased.

등록특허 제10-0378897호Patent Registration No. 10-0378897 등록특허 제10-1524148호Patent Registration No. 10-1524148 등록특허 제10-1379425호Patent Registration No. 10-1379425 등록특허 제10-1824103호Patent Registration No. 10-1824103 일본 등록특허 JP1336753호Japanese Patent JP1336753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를 따라 이동되는 플랫폼의 정확한 브레이킹이 가능함과 더불어 브레이킹 상태로의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ccurate braking of the platform moving along the leg and to maintain a stable breaking st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cking rig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 new form that enables a compact desig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잭업 지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따르면 양측면의 축 방향을 따라 래크기어가 형성된 복수의 레그를 승강하는 플랫폼의 승강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진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각 레그가 통과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잭하우스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하측 벽면 및 양측 벽면을 가짐과 더불어 내부에는 동작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레그의 래크기어를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와의 대향면은 상기 래크기어와 동일한 치형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 및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중앙측 부위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면서 동작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랙브라켓;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면서 수평 동작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상하 경사면에 접촉되어 랙브라켓을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to restrai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latform for lifting the plurality of legs with a rack gear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 The bra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ack house provided at the portion of each leg of the platform while having a top and bottom walls and both side walls and a frame portion configured to provide a working space therein; Located in the frame portion and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oward the rack gear of the leg, the opposing surface with the rack gear is formed to have the same teeth as the rack gear,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rear toward the center A rack bracket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and moved forward by driving of the operation cylinder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a restrain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part and being operated by a horizontal operating force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of the rack bracket to restrain the rack bracket.

여기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랙브라켓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상승 이동을 구속하는 상부 승강웨지와,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랙브라켓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하강 이동을 구속하는 하부 승강웨지와, 상기 각 승강웨지의 경사진 측면에 대향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승강웨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두 수평이동웨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straining unit is located above the rack bracket in the frame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by the support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lifting lifting wedge to restrain the upward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and the rack in the frame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ortion, the lower lifting wedge for restraining the lowering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respectively positioned opposite to the inclined side of each lifting wedge to support the fram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moving wedge to move the lifting wedge up and down while being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또한, 상기 상부 승강웨지는 저면이 상기 랙브라켓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승강웨지는 상면이 상기 랙브라켓의 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저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수평이동웨지는 상기 각 승강웨지와의 대향면이 해당 승강웨지의 경사진 측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levating wedg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bottom surface inclin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bracket,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the lower elevating wedge is the upper surface of the In addition to being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bottom of the rack bracket,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bottom, each of the horizontal wedge is a lifting wedge is the opposite surface of each lifting wed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ide of the.

또한, 상기 프레임부 내의 양측에는 상기 랙브라켓의 양측면을 받쳐주는 랙브라켓용 받침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ram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ck bracket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rack bracket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는 상기 레그에 형성된 래크기어의 각 기어잇에 대한 위치를 센싱하는 근접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for each gear of the rack gear formed on the leg is further characteriz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는 랙브라켓이 정확히 수평으로만 이동되는 구조가 아니라 자중에 의해 하부 승강웨지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면서 래크기어에 정확히 형합될 수 있어서 브레이킹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러한 브레이킹 위치의 불일치로 인한 래크기어의 치형에 대한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rack bracket is moved exactly horizontally, but can be accurately molded to the rack gear while mov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lifting wedge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braking device is bad. In addition to this prevention, breakage of the teeth of the rack gear due to the mismatch of the braking position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는 상부 승강웨지 및 하부 승강웨지의 동작 방향과 동일한 수직 방향을 향해 각 이동실린더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수평이동웨치를 각각 추가로 제공하여 이러한 각 수평이동웨지의 수평 이동에 의해 각 승강웨지가 승강 이동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이러한 수평이동웨지는 수평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수평 이동용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직 방향측에 위치되는 승강유닛이나 잭하우스의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도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each moving cylinder toward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upper elevating wedge and the lower elevating wedge, but additionally provides a separate horizontal movable wedge, respectively, such horizontal Each lifting wedge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wedge, and the horizontal moving wedge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horizontal moving cylinder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ifting unit or jack house located on the vertical side It has the effect that compact design is possible without changing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될 잭업 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에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에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프레임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프레임부 및 랙브라켓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8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각의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jack-up rig to be installed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o explain the state in which the bra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seen from different directions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portion omitted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rack bracket to omi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e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e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8 to explain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bre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respectiv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jacking rig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브레이킹 장치는 잭업 리그를 이루는 복수의 레그(10)에 안내받아 승강되는 플랫폼(20)이 특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이를 구속하는 장치이며, 이때 상기 각 레그(10)의 양측면에는 그의 축 방향을 따라 래크기어(11)가 형성되고, 상기 잭업 리그는 상기 레그(1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잭하우스(30)와, 상기 래크기어(11)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도시는 생략됨) 및 이 피니언기어를 강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모터(도시는 생략됨)로 이루어진 승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straining when the platform 20, which is guided by the plurality of legs 10 constituting the jack-up league reaches a specific position, wherein each of the legs (10) Rack gear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jack-up rig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jack house 30 and the rack gear 11 is installed so that the leg 10 penetrates And a lift unit consisting of a pinion gear (not shown) and a lift drive motor (not shown)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forcibly rotate the pinion gear.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각 방향의 설명은 첨부된 각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전방이나 전면은 레그(10)의 래크기어(11)를 향하는 측임과 더불어 전진은 상기 래크기어(11)를 향하여 움직이는 이동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direc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each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ront or the front is a side toward the rack gear 11 of the leg 10 as well as the forward It means a movement moving toward the rack gear (1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될 잭업 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에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에 브레이킹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jack-up rig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aking device is installed in a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views of the braking device of a jack-up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seen from different direction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ructur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크 장치는 크게 프레임부(100)와, 랙브라켓(200) 및 구속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랙브라켓(200)은 구속유닛(300)의 안내를 받아 래크기어(11)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상기 구속유닛(300)은 수평 방향으로의 조작력 제공에 의한 수평 동작 및 수직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랙브라켓(200)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rake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00, a rack bracket 200 and a restraining unit 300, and in particular, the rack bracket ( 200 is operated so as to be accurately engaged with the rack gear 11 under the guidance of the restraining unit 300, and the restraining unit 300 is a horizontal operation and a vertical operation by the operation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de sequentially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rack bracket 200 can be restrained.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브레이킹 장치의 외관 몸체로 제공되는 부위이다.First, the frame portion 100 is a portion provided as the outer body of the braking device.

이와 같은 프레임부(100)는 상기 잭하우스(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부 벽면과 하부 벽면 및 양 측부 벽면을 가지면서 내부에 동작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이의 경우 승강유닛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면(상부 벽면의 상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Such a frame portion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ack house 30, and has an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and both side wall surface to provide an operating space therein. Of course, in this case, the lifting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0.

이때, 상기 프레임부(100) 중 레그(10)의 래크기어(11)와 마주보는 측(전방측)은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반대측은 후방 벽면(140)으로 폐쇄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개방 부위를 통해 후술될 랙브라켓(200)이 돌출 이동되면서 상기 래크기어(11)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ide (front side) of the frame portion 100 facing the rack gear 11 of the leg 10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opposite side is formed to be closed to the rear wall surface 140, such opening The rack bracke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portion is made to engage the rack gear 11 while moving.

다음으로, 상기 랙브라켓(200)은 레그(10)의 래크기어(11)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플랫폼(20)의 승강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rack bracket 200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latform 20 while being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rack gear 11 of the leg 10.

이와 같은 랙브라켓(200)은 상기 프레임부(100) 내에 위치되면서 동작실린더(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그(10)의 래크기어(11)를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전면(래크기어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래크기어(11)와 맞물리도록 상기 래크기어(11)와 동일한 형상의 치형(2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rack bracket 200 is installed in the frame part 100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toward the rack gear 11 of the leg 10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ylinder 400 and the front side (the ladle). The tooth 21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rack gear 11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ze gea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11.

이와 함께, 상기 랙브라켓(200)의 상면 및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중앙측 부위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of the rack bracket 2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er portion toward the rear.

한편, 상기 프레임부(100) 중 후방 벽면(랙브라켓이 후퇴 이동되는 측의 벽면)(140)에는 통과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통과공(141)을 통해 상기 랙브라켓(200)의 전후 이동 동작을 위한 동작실린더(400)의 플런저(410)가 관통되면서 상기 랙브라켓(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 through hole 141 is formed through the rear wall surface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on which the rack bracket is moved backward) of the frame part 100, and the rack bracket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is formed.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ack bracket 200 while the plunger 410 of the operation cylinder 400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200 penetrates.

이때, 상기 프레임부(100)의 후방 벽면 후방으로는 상기 동작실린더(400)의 후방측 끝단이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50)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플런저(410)와 상기 랙브라켓(200)의 후면 역시 상하로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rear wall of the frame portion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frame 150 is install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cylinder 400 can be tilted up and down, the plunger 410 And the rear of the rack bracket 200 is also installed so as to be tilted up and down.

다음으로, 상기 구속유닛(300)은 상기 랙브라켓(200)의 승강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restraining unit 30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restrai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200.

이와 같은 구속유닛(300)은 프레임부(100) 내의 상측 및 하측 공간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수평 동작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랙브라켓(200)의 상하 경사면에 접촉되어 랙브라켓(200)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승강웨지(310)와, 하부 승강웨지(320) 및 두 수평이동웨지(330,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strain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frame portion 100, respectively, and operated by the horizontal operating force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of the rack bracket 200 to constrain the rack bracket 200. The upper lifting wedge 310, the lower lifting wedge 320, and two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상부 승강웨지(310)는 상기 프레임부(100) 내의 상기 랙브라켓(200)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200)의 상승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upper lifting wedge 310 is located above the rack bracket 200 in the frame part 100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art 100 while the rack bracket 200 is installed. Is made to constrain the upward movement of the.

이때, 상기 상부 승강웨지(310)는 저면이 상기 랙브라켓(200)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case, the upper lifting wedge 31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bottom surface inclin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top surface of the rack bracket 200 and one side is narrowed toward the top. This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6-9.

그리고, 상기 하부 승강웨지(320)는 상기 프레임부(100) 내의 상기 랙브라켓(200)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200)의 하강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진다.The lower lifting wedge 320 is positioned below the rack bracket 200 in the frame part 100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art 100. Is made to constrai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이때, 상기 하부 승강웨지(320)는 상면이 상기 랙브라켓(200)의 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저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lower lifting wedge 32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upper surface inclin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rack bracket 200, and any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is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6-9.

그리고, 상기 두 수평이동웨지(330,340)는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의 경사진 측면에 대향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지지를 받아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two horizontal wedges 330 and 340 are positioned to face the inclined side surfaces of the lifting wedges 310 and 320,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art 100. It is made to move up and down.

이때, 상기 각 수평이동웨지(330,340)는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와의 대향면이 해당 승강웨지(310,320)의 경사진 측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수평 이동용실린더(331,341)가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수평 이동용실린더(331,3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를 향해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horizontal wedges (330,34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ides of the lifting wedges (310,320) of the lifting wedges (310,320), the outer surface cylinders for horizontal movement (331,341)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lifting wedges 310 and 320 by driving the horizontal movement cylinders 331 and 341.

한편, 상기 프레임부(100)의 후방 벽면에는 상기 상부 승강웨지(310) 및 하부 승강웨지(32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브라켓(160)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측 내벽면 및 하측 내벽면에는 상기 각 수평이동웨지(330,3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브라켓(17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guide bracket 160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upper elevating wedge 310 and the lower elevating wedge 320, the frame portion 100 Horizontal guide brackets 170 are provided on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wall surface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이때, 상기 승강 가이드브라켓(160) 및 수평 가이드브라켓(170)에는 레일홈(161,171)이 각각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 및 수평이동웨지(330,340)에는 상기 레일홈(161,171)에 수용되는 레일(312,322,33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rail grooves 161 and 171 are formed in the lifting guide brackets 160 and the horizontal guide brackets 170,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lifting wedges 310 and 320 and the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are provided in the rail grooves 161 and 171, respectively. The rails 312, 322 and 332 accommodated are formed to protrude.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양측 벽면(130) 내에는 상기 랙브라켓(200)의 양측면을 받쳐주는 랙브라켓용 받침프레임(1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어느 한 측 벽면(130) 내에는 상기 각 승강웨지(310,320)의 측면을 받쳐주는 승강웨지용 받침프레임(190)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oth sides of the wall surface 130 constituting the frame portion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ack bracket support frame 180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rack bracket 200, any one of the frame portion 100 The side wall surface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190 for the lifting wedge for supporting the sides of the lifting wedges (310,320).

즉, 상기 랙브라켓(200)은 상기 동작실린더(400)에 의한 전후 이동력만 제공받으면서 자중에 의해 그 아래에 위치되는 하부 승강웨지(320)의 상면 경사면에 얹힌 상태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랙브라켓용 받침프레임(18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랙브라켓(200)이 상기 하부 승강웨지(320)의 상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도중 어느 한 측편으로 유동되지 않고 정확히 래크기어(11)를 향해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rack bracket 200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ile being placed on the top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elevating wedge 320 positioned below it by its own weight while being provided with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force by the operation cylinder 400. Considering that the rack bracket 200 through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rack bracket support frame 180 is not moved to any one side while moving along the slo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ifting wedge 320 exactly the size of the rack It can be moved only toward the fish (11).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상측 벽면의 상면에는 래크기어(11)의 각 기어잇에 대한 위치를 센싱하는 근접센서(50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constituting the frame portion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ximity sensor 500 for sensing the position for each gear of the rack gear (11).

즉, 상기한 근접센서(5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승강용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플랫폼(20)의 승강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래크기어(11)의 치형과 랙브라켓(200)의 치형(210)이 정확히 일치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teeth of the rack gear 11 and the teeth of the rack bracket 200 at a specific position during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platform 20 by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drive motor through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proximity sensor 500. ) Can match exactly.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대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잭업 리그를 이루는 승강유닛(도시는 생략됨)의 동작에 의해 플랫폼(20)이 승강 이동되며, 이러한 플랫폼(20)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플랫폼(2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First, the platform 2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not shown) constituting the jack-up league, and the brake device is reached when the platform 20 reaches the set position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latform 20. Will be activated.

그리고,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 근접센서(500)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러한 근접센서(500)의 센싱 동작에 의해 플랫폼(2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용 구동모터에 대한 동작이 중단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brake device is controlled,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500 is performed, and when the platform 20 reaches the set position by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500, the lifting unit is lifted. The operation to the drive motor is stopped.

이때, 상기 근접센서(500)는 레그(10)에 형성된 래크기어(11)의 기어잇이 이루는 산 부위에 근접하였음을 감지한 후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근접센서(500)에 의한 특정 기어잇의 근접이 이루어지면 이를 불빛이나 부저 등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ensor 500 detects the proximity to the mountain formed by the gears of the rack gear 11 formed on the leg 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 motor to be stopped. Of course, when the proximity of the specific gear it is made by the proximity sensor 500 may notify the operator with a light or a buzzer,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e motor may be stopped by the operator.

또한,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의 동작이 중단되면 하부측 수평 이동용실린더(341)가 동작되면서 하부측 수평이동웨지(340)를 하부 승강웨지(320)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 motor is stopped, the lower horizontal moving cylinder 341 is operated to move the lower horizontal moving wedge 340 to the lower lifting wedge 320.

이로써, 상기 하부측 수평이동웨지(340)의 경사면이 하부 승강웨지(320)의 경사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하부 승강웨지(320)가 상승 이동되어 상기 랙브라켓(200)의 저면을 받쳐주면서 랙브라켓(200)의 전진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Thus,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ide horizontal wedge 340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elevating wedge 320, the lower elevating wedge 320 is moved upwar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rack bracket 200, while the rack bracket The forward position of 200 is adjusted.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8 to 10.

그리고, 상기 하부측 수평 이동실린더(341)의 동작이 완료되면 동작실린더(400)가 동작되면서 랙브라켓(200)을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lower horizontal moving cylinder 341 is completed, the operation cylinder 400 is operated to move the rack bracket 200 forward.

이때, 상기 랙브라켓(200)은 상기 동작실린더(400)로부터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중에 의해 하부 승강웨지(32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상기 하부 승강웨지(320)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를 따라 조금씩 하향 이동되면서 래크기어(11)를 향해 전진하며, 이후 상기 래크기어(11)에 정확히 맞물리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since the rack bracket 2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ylinder 400 so as to be tilted up and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ifting wedge 3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ifting wedge 320 by its own weight. A little downward movement along this inclination is advanced toward the rack gear 11, and then is accurately engaged with the rack gear (11). This is as shown in FIG. 11 attached.

계속해서, 상기한 동작실린더(400)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부측 수평 이동실린더(331)가 동작되면서 상부측 수평이동웨지(330)를 상부 승강웨지(310)로 이동시킨다. 이는 첨부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Subsequently, 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ylinder 400 is completed, the upper horizontal moving cylinder 331 is operated to move the upper horizontal moving wedge 330 to the upper lifting wedge 310. This is as shown in Figures 12 and 13 attached.

이로써, 상기 상부측 수평이동웨지(330)의 경사면이 상부 승강웨지(310)의 경사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상부 승강웨지(310)가 하강 이동되어 상기 랙브라켓(20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랙브라켓(200)의 후퇴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Thus,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moving wedge 330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lifting wedge 310, the upper lifting wedge 310 is moved downward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bracket 200 while the rack The retraction movement of the bracket 200 is prevented.

따라서, 전술된 과정에 의해 랙브라켓(200)은 래크기어(11)에 맞물린 상태로 구속되고, 이로써 플랫폼(20)은 브레이킹 장치에 의해 해당 높이의 위치에서 각 레그(10)에 브레이킹 된 상태로 유지된다.Therefore, the rack bracket 200 is restrained by being engaged with the rack gear 11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reby the platform 20 is braked to each leg 10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height by the braking device. Is maintained.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는 랙브라켓(200)이 정확히 수평으로만 이동되는 구조가 아니라 자중에 의해 하부 승강웨지(32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면서 래크기어(11)에 정확히 형합될 수 있어서 브레이킹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러한 브레이킹 위치의 불일치로 인한 래크기어(11)의 치형에 대한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ack bracket 200 is moved exactly horizontally, but moves precisely to the rack gear 11 while moving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lifting wedge 320 by its own weight. It can be molded so that a bad braking can be prevented and damage to the teeth of the rack gear 11 due to the mismatch of the braking position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는 상부 승강웨지(310) 및 하부 승강웨지(320)의 동작 방향과 동일한 수직 방향을 향해 각 이동실린더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수평이동웨지(330,340)를 각각 추가로 제공하여 이러한 각 수평이동웨지(330,340)의 수평 이동에 의해 각 승강웨지(310,320)가 승강 이동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이러한 수평이동웨지(330,340)는 수평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수평 이동용실린더(331,341)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직 방향측에 위치되는 승강유닛이나 잭하우스(30)의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도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the respective moving cylinders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upper elevating wedge 310 and the lower elevating wedge 320 rather than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Each of the lifting wedges 310 and 32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horizontally moving each of the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and the horizontal moving wedges 330 and 340 ar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331,341) it is possible to compact design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the lifting unit or jack house 30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ide.

10. 레그 11. 래크기어
20. 플랫폼 30. 잭하우스
100. 프레임부 110. 상부 벽면
120. 하부 벽면 130. 측부 벽면
140. 후방 벽면 150. 설치프레임
160. 승강 가이드브라켓 161. 레일홈
170. 수평 가이드브라켓 171. 레일홈
180. 랙브라켓용 받침프레임 200. 랙브라켓
300. 구속유닛 310. 상부 승강웨지
320. 하부 승강웨지 312,322,342. 레일
330,340. 수평이동웨지 331,341. 수평 이동용실린더
10. Leg 11. Rack Gear
20. Platform 30. Jackhouse
100. Frame 110. Upper wall
120. Lower wall 130. Side wall
140. Rear wall 150. Mounting frame
160. Lifting Guide Bracket 161. Rail Groove
170. Horizontal Guide Bracket 171. Rail Groove
180. Supporting frame for rack bracket 200. Rack bracket
300. Restraint Unit 310. Upper Lift Wedge
320. Lower lifting wedges 312,322,342. rail
330,340. Horizontal Wedge 331,341. Horizontal Cylinder

Claims (5)

양측면의 축 방향을 따라 래크기어가 형성된 복수의 레그를 승강하는 플랫폼의 승강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진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각 레그가 통과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잭하우스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하측 벽면 및 양측 벽면을 가짐과 더불어 내부에는 동작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레그의 래크기어를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와의 대향면은 상기 래크기어와 동일한 치형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 및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중앙측 부위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면서 동작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랙브라켓;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면서 수평 동작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상하 경사면에 접촉되어 랙브라켓을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to restrai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latform for lifting a plurality of legs with a rack gear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both sides,
The breaking device is
A frame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jack house provid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each leg of the platform passes, and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l surfaces and both side walls, and providing a working space therein;
Located in the frame portion and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oward the rack gear of the leg, the opposite surface to the rack gear is formed to have the same teeth as the rack gea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toward the center portion toward the rear A rack bracket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and moved forward by driving of the operation cylinder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Bre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installed in the frame portion is operated by a horizontal operat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up and down inclined surface of the rack bracket to restrain the rack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랙브라켓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상승 이동을 구속하는 상부 승강웨지와,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랙브라켓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랙브라켓의 하강 이동을 구속하는 하부 승강웨지와,
상기 각 승강웨지의 경사진 측면에 대향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를 받아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승강웨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두 수평이동웨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training unit
An upper elevating wedge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rack bracket in the frame portion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ortion, thereby restrain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A lower elevating wedge positioned under the rack bracket in the frame part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art, thereby restrain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ack bracket;
Bre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horizontal moving wedges which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pposite to the inclined side of each lifting wedge and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with the support of the frame portion to move the lifting wedge up and down.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승강웨지는 저면이 상기 랙브라켓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승강웨지는 상면이 상기 랙브라켓의 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어느 한 측면은 저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수평이동웨지는 상기 각 승강웨지와의 대향면이 해당 승강웨지의 경사진 측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lifting wedg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bottom surface inclin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bracket,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top.
The lower lifting wedg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upper surface inclined with the same inclination as the bottom of the rack bracket,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bottom.
And said horizontal movable wedges are formed such that opposite surfaces of said elevating wedges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ide of said elevating w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내의 양측에는 상기 랙브라켓의 양측면을 받쳐주는 랙브라켓용 받침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frame portion of the jack up rig brea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ck bracket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rack bracket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는 상기 레그에 형성된 래크기어의 각 기어잇에 대한 위치를 센싱하는 근접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브레이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device of the jack-up ri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for each gear of the rack gear formed on the leg.
KR1020180046640A 2018-04-23 2018-04-23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KR201901230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0A KR20190123006A (en) 2018-04-23 2018-04-23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0A KR20190123006A (en) 2018-04-23 2018-04-23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06A true KR20190123006A (en) 2019-10-31

Family

ID=6842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40A KR20190123006A (en) 2018-04-23 2018-04-23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0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60B1 (en) * 2023-10-31 2024-01-18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Leg and Hull Fixation System for Jack-up Ri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897B1 (en) 1997-06-26 2003-04-07 르뚜르노 인코포레이티드 Jack-up platform locking apparatus
KR101379425B1 (en) 2012-08-14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jack-up type platform
KR101524148B1 (en) 2014-01-09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ack chock system using winch operation
KR101824103B1 (en) 2015-11-27 2018-01-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fixation jig for le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897B1 (en) 1997-06-26 2003-04-07 르뚜르노 인코포레이티드 Jack-up platform locking apparatus
KR101379425B1 (en) 2012-08-14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jack-up type platform
KR101524148B1 (en) 2014-01-09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ack chock system using winch operation
KR101824103B1 (en) 2015-11-27 2018-01-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fixation jig for le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60B1 (en) * 2023-10-31 2024-01-18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Leg and Hull Fixation System for Jack-up Ri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359B1 (en) A concrete mold lifter
JP5119346B2 (en) Lifting thruster
JPS60242210A (en) Wedge-locker for elevating legs of offshore working platform
KR20190123006A (en) breaking device of jack up rig
KR101666024B1 (en) Guide Device for loading of canister
JP2019131343A (en) Drilling construction device for hoistwa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43132B1 (en) device for riser tensioning
JP4221761B2 (en) Boiler module lifting construction method and lifting device
KR102239786B1 (en) A high work place platform
KR20170054943A (en) An offshore plant including cantilevered drill floor
KR101246890B1 (en) Elevating Work Platform for Drillship.
KR20130046634A (en) Riser raising crane having guide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ame
CN104612154B (en) Afterburning self tapping stake stake machine
JP5570612B2 (en) elevator
JP2992793B2 (en) Vertical circulation type multi-story parking facility
KR20190123011A (en) position leveling system for jack up rig
KR20040066115A (en) Device for securing cage of elevator
KR20170039378A (en) Apparatus for testing jack-up system
JPS5917970Y2 (en) Support leg clamp device for workbench device
JP2010265647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control thereof
KR101585335B1 (en) Testing apparatus for thruster jack up module
CN216981493U (en) Cable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for self-elevating platform submersible pump
KR101463756B1 (en) Jack-up Barge's Up and Down Machine
CN115653651A (en) Temporary supporting equipment for tunnel bridge construction
KR200433361Y1 (en) Elecrical lif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