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024A -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024A
KR20190120024A KR1020180043656A KR20180043656A KR20190120024A KR 20190120024 A KR20190120024 A KR 20190120024A KR 1020180043656 A KR1020180043656 A KR 1020180043656A KR 20180043656 A KR20180043656 A KR 20180043656A KR 20190120024 A KR20190120024 A KR 2019012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unting
banknotes
image preprocess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1132B1 (en
Inventor
권오현
고창호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32B1/en
Publication of KR2019012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nd a paper-money counting method thereby.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part. Image preprocessing for banknot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a sensor part is performed when heterogeneous media or unloaded paper type banknotes are inputted from an input/output part without a banknote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requiring a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at, if the result o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rmal, the control part performs only simple counting on the heterogeneous media or unloaded paper type banknotes to discharge and output. It is possible to count the banknotes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Description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Banknote Counting Device and Method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지폐 판별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계수할 수 있게 하는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banknote counting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count heterogeneous media or unloaded rolled banknotes in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without a separate mode switching operation; It is about a method.

다량 다종의 지폐 거래나 취급이 많은 은행, 우체국 등의 금융기관, 현금수송업체(CIT), 환전소, 카지노, 오락시설, 게임장, 대형유통점, 공항, 항구, 면세점 등에서는, 고객과 현금 수납, 출금 등과 같은 지폐 거래나 교환을 할 때 또는 다량의 지폐를 정리하거나 분류하는 작업을 할 때, 직원이 지폐를 손으로 일일이 세거나 분류할 수도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계수 오류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위변조 지폐나 훼손 지폐를 선별해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통상 분당 수 백장의 지폐 처리 속도로 지폐의 권종을 판별하여 권종별 매수와 금액은 물론 합계액까지 자동으로 산출해주면서 위변조 지폐나 훼손 지폐까지 분류해주는 지폐 계수 장치들이 상용화되어 있다.Banks, banks, post offices, financial institutions (CITs), currency exchanges, casinos, entertainment facilities, games, large retail stores, airports, ports, duty-free shops, etc. When trading or exchanging bills such as banknotes, or sorting or sorting a large number of bills, an employee may count or sort the bills by hand, but it may be time-consuming and may cause counting errors.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sort out the damaged banknotes, so the bill counter counts the number of banknotes at the processing speed of hundreds of bills per minute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number and amount of each kind as well as the total amount, and classifies even the counterfeit banknotes and the damaged banknot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근래에 들어,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들은 국가간 경계의 벽이 얕아져 인적, 경제적 교류가 급증하면서 한 국가 내에서 그 해당 국가의 지폐 권종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 지폐들에 대해서도 판별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요구받아 왔고, 또한 사용자들로부터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를 이용해서 지폐 이외에 지폐가 아닌 지류 형태의 이종 매체들(예컨대, 상품권, 티켓, 수표 등)에 대해서도 판별 처리까지는 못하더라도 계수만이라도 했으면 하는 수요가 있어 왔다.In recent years, these banknote counters have continued to be able to discriminate not only paper bills of a given country but also various foreign papers in a country as the barriers between nations become shallower and human and economic exchanges soar.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rom users to use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for counting heterogeneous media (eg, gift certificates, tickets, checks, etc.) other than banknotes, even if not counting, even if not counting. come.

이에 따라, 종래의 고성능 지폐 계수 장치들은 통상 여러 개(예: 5~7개)의 국가권들을 판별 처리할 수 있는 지폐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탑재하는 것과 함께 복수 종류의 지폐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들은, 지폐의 권종(본 명세서에서 권종은 국가권 종류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됨)을 판별하지 않고 단순히 투입되는 지폐가 몇 매인지 계수(count)만 하는 프리(Free) 모드, 투입되는 지폐들의 매수를 계수할 뿐만 아니라 지폐의 권종도 판별하고 권종별로 매수 및 금액, 부분합, 총합계 등을 산출하거나 위변조 여부나 방향이나 표리 등을 구분할 수 있는 밸류(Value) 모드, 투입 지폐들의 훼손이나 테이프 부착이나 오염 여부 등 소정의 지폐 유통 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별하는 정사(Fitness)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지폐 계수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들 중에서 원하는 지폐 처리 작업에 따라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를 선택해서 해당 지폐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conventional high performance banknote counters are equipped with a banknote paper classification algorithm capable of discriminating and processing several (for example, 5 to 7) country bills so as to perform a plurality of bill processing functions. It is equipped with the some banknote processing mode.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banknote counting device is a pre-counter that simply counts how many banknotes are inserted without discriminating the kind of bill (the ki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lso includes a country bill type). Free mode, not only counts the number of banknotes that are input, but also determines the number of bills, and calculates the number and amount of money, subtotals, and grand totals for each kind, or the value mode for distinguishing forgery, direction, and front and back. And a Fitness mod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nknotes meet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tribution standards, such as whether the banknotes are damaged, taped or contaminated.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predetermined banknote processing mode according to the desired banknote processing operation from among the predetermined banknote processing modes included in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nd perform the banknote processing operation.

이와 관련한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들에 관한 선행특허문헌으로는, 예컨대, 발명의 명칭이 "지폐 식별 계수기"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822호(공고일: 2011년10월25일)와 발명의 명칭이 "지폐 식별 계수기"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7289호(공고일: 2014년1월28일)가 있다. 상기 제10-1075822호에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의 시작/정지 버튼키를 누를 때마다 판별 처리하는 지폐의 국가권 판별 모드가 바뀌게 하여 1대의 지폐 계수기를 이용해 국가권 모드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탑재된 국가권 지폐를 판별 처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상기 제10-1357289호에는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들을 변환 제어하는 기술이 부분적으로 개시되어 있다.Prior patent document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banknote counting devices in this regard,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75822 (published: October 25, 2011) of the invention "bank identification counter"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57289 (Notification Date: January 28, 2014) is named "bank identification counter." No. 10-1075822 described above shows that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start / stop button key of the input / output unit, the state determination mode of the banknote to be discriminated is changed, and the country-counter mode setting is switched using a single banknote counter. A technique for discriminating and processing a bill is proposed, and part 10 discloses a technique for converting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bill processing modes in No. 10-1357289.

한편, 종래에는 지폐 계수 장치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프리 모드, 밸류 모드, 정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해놓고 지폐 처리 작업들을 수행한다. 그러다가 다른 모드로 지폐 처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지폐 처리 모드로 다시 변경한 후에야 그 원하는 지폐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밸류 모드나 정사 모드에서 지폐 처리 작업을 하는 도중에, 상기 지폐 계수 장치에 탑재되지 않은 권종의 지폐나 이종 매체(예: 상품권, 수표, 티켓 등)에 대해 계수만 하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출력부를 최소 1회이상 조작해서 프리 모드로 모드 전환을 한 후에야 계수 작업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불편함이 늘 있었고 또 사용자들이 모드 전환해야 하는 것을 잊고서 지폐를 투입하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해 왔다. 여기서, 참고로, 지폐 계수 장치에 탑재되지 않은 권종 또는 미탑재 권종이라는 표현은 지폐 계수 장치에는 판별 가능한 권종의 수가 미리 정해지고 그에 해당하는 권종별 판별 알고리즘이 내장되는데, 내장된 권종 판별 알고리즘이 판별할 수 없는, 즉 판별 알고리즘이 내장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권종의 지폐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when using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the user sets the billing mode to any one of the free mode, value mode, and orthogonal mode to perform banknote processing operations. Then, in order to process the bill processing in another mode, the user can perform the desired bill processing only after changing back to the desired bill processing mo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unit.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anknote counting device, while the user is processing bills in the value mode or the normal mode, the bills or different types of media (e.g., gift certificates, checks, tickets, etc.) that are not mounted on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may be used. If you want to do only counting, the inconvenience is that it is only possible to perform counting only after the user switches the input / output unit to the free mode at least once and forgets that the user must change the mode. There have been frequent occurrences of banknotes. Here, for reference, the expression of denominations or unloaded denominations not mounted in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the number of denominations that can be discriminated in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is pre-determined and a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each denomination is built in. A different kind of bill, which cannot be counted, that is, does not have a built-in discrimination algorithm.

또한, 어떤 종래의 2포켓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정상 포켓과 리젝 포켓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와 같은 이종 매체를 밸류 모드에서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지폐 계수 장치에서는 판별 불가로 정상 포켓(예: 스태커)이 아닌 리젝 포켓으로 배출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리젝 포켓의 기능을 활용하여 모드 변경의 수고를 덜거나 시간 절약을 위해 리젝 포켓으로 리젝되는 지폐를 별도로 계수하는 기능을 추가한 종래의 2포켓 지폐 계수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밸류 모드에서 해당 지폐 처리 작업을 하다가 상기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 이종 매체를 투입하여 리젝 포켓으로 배출되는 매 수를 계수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프리 모드로 변경하는 조작을 하지 않으면서 상기 미탑재된 권종의 지폐나 상기 이종 매체를 계수하곤 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항상 오계수가 발생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지폐가 두세장 겹쳐서 투입되는 경우도 종종 있고, 선행 지폐와 후행 지폐의 간격이 없이 연속해서 투입되거나 상기 간격이 판별 처리에 충분하지 않을 정도로 너무 짧은 간격으로 투입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지폐 계수 장치는 겹침(Doubled) 에러 신호나 체인(Chain)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 에러로 처리해 리젝 포켓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리젝 포켓으로 배출되는 매 수가 틀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since some conventional two-pocket banknote counters include a normal pocket and a reject pocket,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cannot be discriminated when the banknotes of the unloaded paper or the aforementioned heterogeneous media are put in the value mode. It will be discharged into the reject pocket rather than the normal pocket (eg stacker). By using the function of the reject pocket, the user can use the conventional two-pocket banknote counter which adds the function of separately counting the banknotes rejected into the reject pocket to save time. While the bill hand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user may not change the free mode by inserting the unloaded paper currency or the heterogeneous medium into the reject pocket by counting the number of sheets discharged into the reject pocket. The heterogeneous medium would be counted. However, this method always runs the risk of generating false coefficients. Because banknotes are often put in stacks of two or three sheets, there are often cases where the banknotes are continuously inserted without gaps between the leading banknotes and the following banknotes or at too short intervals such that the intervals are not sufficient for the discrimination process. Is generated,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generates a Doubled error signal or a Chain error signal, treats them as an error, and discharges them to the reject pocket. In this case, the number of sheets discharged to the reject pocket becomes incorrec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계수할 수 있게 하는 지폐 계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knote counting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ount different media or unloaded paper currency notes in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without a separate mode switching ope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 계수 장치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를 통해 얻어지는 지폐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solving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ll from the input and output unit in a state that is to perform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that requires a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bill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when the heterogeneous medium or the unloaded paper currency is inserted without a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and the image preprocessing result is normal, only the simple counting is performed on the heterogeneous medium or the unloaded paper currenc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o perform discharge and outpu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은,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정상 처리 및 출력하고,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상태인 경우에는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로부터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 cou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inserts a plurality of bills into the bill counting device one by one in a state set to perform a predetermined bill discrimination process requiring a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Making a step;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completed successfully, classifying the image preprocessing error and discharging the image preprocessing; If the first banknote of the plurality of banknotes to be input is successful in image preprocessing and is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in the class determination process, normal processing and outputting ar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tate, the step of switching from the input and output unit to the processing of performing a simple counting and outputting from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requiring the paper sheet discrimination process without the banknote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젝 포켓부와 스태커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으로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는 경우엔 상기 첫장 및 후속 투입 지폐에 대해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 및 출력을 하고 리젝된 지폐는 상기 리젝 포켓부로 분류 배출하며, 상기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상기 리젝 포켓부에 있던 지폐를 재투입하고 재투입된 지폐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nknote counting method of a banknote counting device having a reject pocket portion and a stacker portion, wherein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includes a value-and-free mode. In a set state, inserting a plurality of bills into the apparatus;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by the controller in the value and free mod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successfully completed for the inserted banknote, classifying it as an image preprocessing error and discharging it to the reject pocket part, and performing a winding type determination process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In the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when the first sheet of the plurality of inserted banknotes succeeds in image pre-processing and is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the first sheet and subsequent inserted banknotes are processed and output as in the value mode and rejected. Is classified and discharged into the reject pocket, and after all the banknotes have been processed, reinsert the banknotes in the reject pocket, and if the image preprocessing fails for the reinserted banknotes, eject them to the reject pocket and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completed successfully Switching to processing as in the free mode, performing only simple counting, discharging to the stacker unit,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제 2 및 제 3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으로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거나 리젝 사유가 있는 지폐를 제 1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에 대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로 배출시키면서 판별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실패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ll counting method for a bill counting device having a first, second, and third pocket portion, wherein the bill counting device includes a value-and-free mode, and the value Putting a plurality of banknotes into the apparatus in a state of being set in an anti-free mode;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by the controller in the value and free mod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the banknotes for which the image preprocessing has not been successfully completed or the reason for rejection are discharged to the first pocket part by the controller, and the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anknotes for which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 to perform the Up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aper type determina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ted as normal in the value mode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pocket portion. If the paper species determination fails, the paper sheet is switched to the free mode and discharged to the third pocket portion. Outputting the coefficient resul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 조작을 하지 않고서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를 자동으로 정확히 계수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지폐 처리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지폐 계수 장치의 상품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unt the heterogeneous medium or the unloaded winding paper money without the user having to perform a separate mode switching operation in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so as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banknote process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merchandise of the banknote counter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방법을 흐름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사시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ll c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nknote c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nknote c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본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편의상 과장되거나 간략히 도시되어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나 실시자의 의도 또는 실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부"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description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the size, shape of the components, the connection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or briefly shown and conceptu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e practitioner, and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 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 unit" and the like is not us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s a uni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r processing an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have. In addition, the expression that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presence of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지폐 계수 장치(100)의 기구적인 구조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요지와 크게 관련성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예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장치(100)가 투입부(10), 반송부(20), 구동부(30), 센서부(40), 적재부(50), 제어부(60), 저장부(70), 입출력부(80), 절체부(90)를 포함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cal structure, shape, and the like of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100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n example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ure 1,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put unit 10, the conveying unit 20, the driving unit 30, the sensor unit 40, the stacking unit 50, the control unit ( 60),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torage unit 70, an input / output unit 80, and a switching unit 90 is illustrated.

투입부(1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복수 매의 지폐를 투입부(10)에 올려 놓으면 한 매씩 낱장 분리하여 지폐 계수 장치(100)내로 투입시킨다. 투입되는 지폐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송부(20)에 의해 소정의 지폐 처리 속도로 반송로(미도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와 절체부(90)를 통과한 후 적재부(50)에 배출되어 적재된다.The input unit 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nknote counter 100, and when the user puts a plurality of banknotes on the scanner 10, the sheet is separated one by one and put into the banknote counter 100. Let's do it. The banknotes that are input are received by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nd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not shown) by the conveying unit 20 at a predetermined banknote processing speed, and the sensor unit 40 and the like. After passing through the switching unit 90 is discharged and loaded in the loading unit (50).

반송부(20)는 투입되는 지폐를 반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양한 반송 방식(예: 벨트, 롤러, 또는 이들의 혼합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롤러를 이용한 지폐 반송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반송부(20)는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인 반송로(미도시)와 지폐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경우에, 상기 반송 수단은 반송로를 따라 양쪽 상하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동롤러(미도시)와 아이들롤러(미도시)가 한 쌍을 이루어 모든 종류의 지폐 크기를 고려한 간격마다 복수 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conveying unit 20 serves to convey the inserted banknotes, and various conveying methods (for example, a belt, a rolle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adop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ll conveying method using a roll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conveying unit 20 includes a conveying path (not shown),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bills are conveyed, and a conveying means (not shown) for conveying bills. In this case, the conveying means has a plurality of driving rollers (not shown) and idle rollers (not shown) in pairs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long the conveying path, at intervals considering all kinds of banknote size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rows.

구동부(30)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어와 벨트(예: 타이밍 벨트) 등을 통해 상기 반송부(20)에 전달하여 지폐가 소정의 지폐 처리 속도로 반송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0)는 실시 환경이나 설계 의도에 따라 또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1개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motor (not shown), 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 to the conveying unit 20 through a gear and a belt (eg, a timing belt). Transfer so that the paper money is conveyed at a predetermined bill processing speed. The driving unit 30 may be formed of one motor or two or more motor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r design intention or the performance or specifications of the bill counter 100.

센서부(40)는 투입부(10)를 지나 이어지는 반송로(미도시) 상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 자기센서, 두께센서 등 복수 종류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며, 반송중인 지폐에 대해 각종 센싱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센싱 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하여 지폐들의 진위, 종류, 방향, 표리, 정사, 일련번호 등을 판별할 수 있게 하거나 지폐들의 금액, 매수, 부분합, 총합계가 산출되게 하는 등 다양한 기준에 따르는 지폐 처리들이 수행되게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미도시)는 라인 어레이 타입으로 형성되어 지폐의 각종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로서,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를 투과하는 가시광에 의한 이미지, 지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또는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에 의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 이미지 정보를 취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외선에 의한 반사 또는 투과 이미지 정보를 더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자기센서(미도시)는 지폐에 함유된 자기성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하여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하고, 두께센서(미도시)는 지폐의 겹침 또는 테이프같은 이물 부착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이 밖에도, 센서부(40)는 설계 의도 및 실시 환경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거나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conveying path (not shown) that passes through the feeding unit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ypes of sensors (not shown) such as an image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thickness sensor, and are being conveyed. Various sensing processes are performed on the bills, and each sensing signal obtained by the bills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 so a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type, direction, front and back, affairs, serial number, etc. of the bills, or the amount and number of bills. Banknote processing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subtotals, subtotals, and grand totals. The image sensor (not shown) is a device configured to obtain a variety of image information of the bill is formed in a line array type, the image by the visible light reflected from the front and / or back of the bill, the image by the visible light passing through the bill, bills Obtain at least one bill image information of an image by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front and / or rear surface of the image, or an image by infrared rays passing through the banknote. In some case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acquire the reflection or transmission image information by ultraviolet rays. The magnetic sensor (not shown) detects the magnetic component contained in the banknot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The thickness sensor (not shown) is whether the banknote overlaps or adheres to a foreign object such as a tape. Detects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40 may further include or variously modify other types of sensors according to design intent and implementation environment.

적재부(5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판별 처리 후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지폐가 배출되도록 한 개 이상의 포켓(또는 스태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는 적재부(50)를 2개 이상의 포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cker 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pockets (or stackers) such that the banknotes are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after the discrimination process for the inserted banknotes.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two or more pockets of the stacking portion 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재부(50)는 지폐 판별 결과가 판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되거나(예: 미탑재 권종 지폐, 이종 매체, 체인 에러, 스큐 에러 등) 위폐로 판정되거나 유통에 부적합한 경우(훼손, 오염 등)로 판정되거나 이매로 판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어떤 소정의 배출 분류 기준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지폐를 배출하여 적재하는 제 1 적재부(예: 리젝포켓부)(도 5의 51)와, 지폐 판별 결과가 상술한 제 1 적재부(51)로 배출되게 하는 경우를 제외한 다른 경우, 즉 정상 처리 지폐로 판정되거나, 해당 국가권이나 권종으로 판정되거나, 유통에 적합한 지폐로 판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또다른 소정의 적재 분류 기준에 따라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지폐를 식별하여 적재하는 제 2 적재부(예: 포켓 또는 스태커부)(도 5의 53, 55)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 적재부(53, 55)는 하나 이상의 포켓이나 스태커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50)는 그 밖에도 3개(53, 55, 57)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의도하는 적재량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이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각각의 적재부(50)는 판별 결과에 따라 지폐를 그 지폐의 속성이나 설정해놓은 분류 기준(예를 들면, 권종, 면방향, 표리, 국가권, 진위, 오류유무, 정사 등)에 따라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다. 적재부(50)가 여러 개로 구성될수록 한 번에 여러 개의 분류 기준으로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unit 50 is determined that the banknote discrimination result is not discernible (e.g., unloaded paper currency, heterogeneous media, chain error, skew error, etc.) or is determined to be counterfeit or unsuitable for distribution (damage). , A first stacking portion (e.g., a reject pocket portion) for ejecting and stacking a banknote corresponding to a case determined as a double sheet or a predetermined discharge classification standard set by a user (e.g., a reject pocket portion) (51 in FIG. 5). ) And other cases except the case where the banknote discrimination result is discharged to the first stacking unit 51 as described above, that is, judged to be a normal processed banknote, determined to be the appropriate sovereignty or class, or determined to be a banknote suitable for distribution. And a second stacking unit (eg, a pocket or a stacker unit) (53, 55 in FIG. 5) for identifying and stacking a banknote corresponding to a case determined according to another predetermined stacking classification set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second stacking portions 53 and 55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pockets or stackers. Also. The loading unit 50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53, 55, 57), or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shape or manner according to the intended loading amount, each loading unit 5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banknotes can be classified and loade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banknote or the sorting criteria set (e.g., paper type, surface direction, front and back, national rights, authenticity, error, orthodoxy, etc.). As the stacking unit 50 is composed of several pieces, the bills may be sorted by several sorting criteria at one time.

제어부(6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로부터 전달받는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다양한 판별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여러 종류의 지폐를 다양한 국가권(또는 권종)으로 섞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도 센서부(40)로부터 취득한 복수 종류(가시광, 적외선 등)의 지폐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지폐의 국가권 및 권종을 판별하고, 소정의 센싱 신호(예: 자기신호, 자외선신호, 적외선신호 등)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며, 지폐의 일련번호를 판별하여 일련번호를 추출하거나 일련번호영역의 이미지만을 추출하고 이를 저장하고, 분류, 검색 및/또는 전송 등을 수행하고, 투입되는 지폐들의 매수와 금액, 권종별 부분합 및 총합계를 산출하며, 지폐의 신권/구권 구분, 지폐의 앞면/뒷면/위/아래 방향 구분,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권종만을 분리 추출,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지폐를 추출, 낡거나 찢어지거나 오염 등의 훼손된 지폐를 정상권과 구분하여 추출, 상기와 같은 여러 기준에 따른 지폐 판별 결과에 의한 지폐 분류 배출 및 적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60 analyzes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40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banknote and performs various discrimination processe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0 pre-processes an image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banknote images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etc.)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40 even when various kinds of bills are mixed in various countries (or types) and input in an arbitrary direction. After determining the state and class of the bill, determine whether the forgery through a predetermined sensing signal (for example, magnetic signal, ultraviolet signal, infrared signal, etc.), and extract the serial number by determining the serial number of the bill Extract and store only images of the serial number area, classify, search and / or transmit, calculate the number and amount of bills to be input, subtotals and grand totals of bills, and separate new and old bills of bills; Front / back / up / down direction of the different kinds of notes, and put the various types of bills and extract only the desired kind of notes, put various bills and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amount Extracting the waste, worn or torn or extracted with a damaged banknote such as a contaminated separated from the normal notes, and do the bill classified discharge and loading, including the ability of the bill validator according to the result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또한, 제어부(6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각종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및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이나 각종 데이터 처리나 제어를 수행하며, 지폐 계수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반송 중인 지폐의 상태나 상기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입출력부(80)를 통해 표시해주는 등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전반적인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decrypts communication and commands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performs arithmetic logic operations, various data processing or control, and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s a whole. Overall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100, such as the control of the bills and the state of the banknotes being conveyed 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to perform an appropriat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display them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80. Do this.

그리고, 제어부(60)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80)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40)를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종료된 후 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를 사용자가 회수해 가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몇 가지 예를 들어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n, the control unit 60 is a sensor unit when a heterogeneous medium or an unloaded winding paper bill is inserte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80 without a banknote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that requires the winding paper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If the image preprocessing result is normal after performing the image preprocessing o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40), the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the simple counting is performed on the heterogeneous medium or the unloaded paper currency notes to be discharged and output. When the user collects the banknotes stacked in the stacking unit 50 after this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60 returns or resets the original banknotes to the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was originally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with some examples.

저장부(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센서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들과 함께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 지폐 처리 모드별로 제어 또는 처리해야 할 정보, 각 센서들의 설정값, 계수결과, 정사결과, 에러정보, 위폐정보, 로그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70)는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한 설정 데이터,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 및 지폐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SW 프로그램, 권종(국가권 포함) 판별, 정사 판별, 위폐 판별, 지폐 방향 판별, 일련번호 판별 등 다양한 지폐 판별 처리에 이용되는 각종 기준 정보 및 판별 알고리즘들을 저장하고, 필요시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독출되어 제공된다. 특히, 저장부(70)는 지폐의 권종(또는 국가권 포함) 판별에 필요한 판별 알고리즘 및 권종별(또는 국가권별) 기준 정보를 소정의 권종 수(또는 국가권 수)만큼 저장하고 있다. 이것은, 예컨대 지폐 계수 장치(100)가 10개의 국가권을 탑재하고 있다면 상기 저장부(70)가 상기 10개의 국가권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 알고리즘 및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10개의 국가권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각 국가권마다 대략 5개의 권종이 있다고 하면 50개의 권종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 알고리즘 및 기준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The storage unit 70 is to control or proc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nd bill processing modes together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Information, set values of each sensor, counting results, orthodontic results, error information, counterfeit information, log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70, the setting data changed by the us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bill counter 100 and the bill processing, SW program, determination of class (including national ticket), judicial determination, counterfeit determination, Various reference information and discrimination algorithms used for various bill discrimination processing such as banknote direction discrimination and serial number discrimination are stored, and are read out and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when necessary.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70 stores a discrimination algorithm necessary for discriminating the kind (or national right) of the bill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kind (or country right) as much as a predetermined number of kind (or country right). This means that, for example, i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carries ten national rights, the storage unit 70 stores the discrimination algorithm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discriminating the ten national rights. The fact that there are about five different kinds of nations means that each country has about five different species,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a discrimination algorithm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discriminating 50 different kinds.

입출력부(80)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전면에 마련되고, 통상적으로 LCD, LE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지폐 계수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나 설정을 입력받거나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장치의 동작 상황과 지폐 처리 결과(예: 에러정보, 진위, 매수, 권종 및 금액 등)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작 상태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설정 및 조작을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은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엔 디스플레이부상에서의 아이콘이나 메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 근방에 하나 이상의 누름식 버튼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80)는 지폐 계수 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착탈식 또는 별개의 독립된 주변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put / output unit 8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nknote counter 100, and typically includes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an LED, or an OLED, and receives a user's control or setting for the banknote counter 100 or receives a control unit ( 60, the operation state of the apparatus and a bill processing result (e.g., error information, authenticity, number of sheets, volume and amount, etc.) are output. The input / output unit 8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button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or setting and manipulating a user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type, the button may be provided as an icon or a menu on the display unit, or may be provided as one or more push buttons near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unit 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100 or may be formed as a detachable or separate independent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figured as a plurality as necessary. May be

이와 같이 입출력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지폐 계수 장치(100)의 지폐 처리 모드가 소정의 지폐 처리 모드(예: 프리 모드, 밸류 모드, 정사 모드 등)로 선택되거나 설정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출력부(80)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폐 처리 모드로 변경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폐 처리 모드는 지폐 처리 장치(100)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복수의 서브 모드를 트리 구조로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지폐 계수 장치(100)에서 밸류 모드는 그 서브 모드로 하나의 국가권만 판별 처리하고 다른 국가권의 지폐는 별도로 분류 배출하도록 처리하는 싱글 국가권 모드, 여러 국가권의 지폐들이 섞여 투입되는 경우에도 각 국가권별로 판별 처리하고 그 결과를 각기 출력해주는 혼합국가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 output unit 80 may select or change the banknote processing mode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to a predetermined banknote processing mode (eg, a free mode, a value mode, an orthogonal mode, etc.) by a user's manipulation. do.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or operate the input / output unit 80 to change or switch to a desired bill processing mode. In this case, the banknote processing mod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b-modes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pecifications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in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mode is a sub-mode of a single state right and a single state right mode for processing to separately classify and discharge banknotes of other country bills, the bills of several country bills In the case of a mixed input, it may include a mixed national rights mode that distinguishes and processes the respective countries and outputs the results.

절체부(90)는 센서부(40)를 지나서 하류측 지폐 반송로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고 지폐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지폐를 복수의 적재부(50) 중 어느 적재부(51 또는 53)로 배출시켜야 할지 반송로가 분기되는 곳에 배치되며, 적재부(50)의 수에 따라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절체부(90)는 센서부(40)의 마지막 센서를 지폐가 통과한 후 제어부(60)가 판별 결과를 출력하여 해당 지폐를 어느 적재부로 배출시켜야 할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상기 마지막 센서로부터의 거리를 확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fer unit 9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ownstream banknote conveying path past the sensor unit 40 and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nd the banknotes are transferred from the plurality of stacking units 50 according to the banknote discrimination result. Which loading part 51 or 53 should be discharged is arrange | positioned where the conveyance path diverges, an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loading parts 50. Transfer unit 90 is a distance from the last sensor by the time necessary for the control unit 60 outputs the determination result after the banknote passes through the last sensor of the sensor unit 40 to determine which loading unit to discharge the banknot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position to secure.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의 동작 및 계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and 2, the operation and counting method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전원 온(On)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출력부(8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 중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를 완료한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가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많이 사용하는 모드이면, 별도로 사용자가 입출력부(8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원 온(On) 시에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지폐 판별 처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가 완료된다.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nknote processing modes, and in a power-on state, a user determines a winding type among the banknote processing modes through an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unit 80. When a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is required,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completes preparation to perform the select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lternatively, if the user uses a lot of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input / output unit 80 separately,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may be set in advanc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In this cas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controller 60 is ready to perform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mode.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가 지폐 계수 장치(100)의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진다. 이 때 상기 투입부(1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지폐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지폐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아져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가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올려 놓여진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100) 내로 투입한다(도 2의 S10).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적재부로 배출된다.The input unit of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ills to be processed whether or not bills of one or more kinds of paper are mixed by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set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or whether or not unloaded paper or heterogeneous media is mixed. 10) is put on. At this time, it is detected by the bill detection sensor (not show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put section 10 to detect that the bill is placed on the input section 10, the control unit 60 received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driving unit 30 to automatically feed the loaded bills into the bill counting device 100 one by one (S10 in FIG. 2). The banknotes thus input are passed along the conveying path by the conveying unit 20 and pass through the sensor unit 40 and are discharged to the stacking unit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bill processing result.

제어부(60)는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외곽선을 추출하고 스큐를 보정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이미지 전처리(image pre-processing)를 수행한다(S20). 이어서, 제어부(60)는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0),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했으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배출한다(S40).The control unit 60 extracts an outline and corrects skew for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40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banknote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that requires the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Image pre-processing such as removing noise or removing noise (S20). Subsequently, when such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for the inserted banknote, the control unit 60 performs a class determination process (S30).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completed successfully, the controller 60 classifies and discharges it as an image preprocessing error (S40). ).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투입되는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정상 판별 처리하여 정해진 적재부(50)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 분류 배출하는 등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정상 처리 및 출력하고(S50),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상태, 즉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라고 결정하는 경우에 입출력부(80)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에서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로 매수 등을 출력시킨다(S60).In addition, when the banknote inputted through the predetermined paper type discrimination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is determined to be the loaded paper type in the pap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ler 60 performs normal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discharges it to the predetermined loading unit 50. The predetermined amount of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such as outputting the amount, number, and the like of each kind of paper to the input / output unit 80, generating an error signal, and classifying and discharging the paper is performed if it is not determined as the mounted paper typ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if the first banknote of the plurality of banknotes is also successful image pre-processing and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normal processing and output (S50), the first banknot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 When the determination is completed,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paper is not discriminated, that is, unloaded paper or heterogeneous medium, only the simple counting is performed in the predetermined bill discrimination process that requires the paper sheet discrimination process without the bill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80. The process is switched to the output process, and the number of copies and the like is output as the counting result (S60).

그리고, 이러한 단순 계수 처리 작업이 종료된 후, 즉 투입부(10)상에 놓여 있던 지폐(또는 매체)들이 모두 투입되어 처리된 후, 적재부(50)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를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키는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지폐 계수 방법은 실시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별도의 지폐 처리 모드로 지폐 계수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의 지폐 처리 모드를 본 명세서에서는 일명 밸류앤프리(Value & Free) 모드(또는 자동 전환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워질 수 있으나, 밸류 모드에서처럼 동작하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에서 프리 모드에서처럼 동작하고 다시 밸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After the simple coun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at is, after all the bills (or media) placed on the input section 10 have been loaded and processed, the bills (or media) loaded on the stacking section 50 are removed. When the user collects, the control unit 60 may further perform a process of returning or resett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original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was originally performed. In addition,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provided in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in a separate banknote processing mod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r the purpose. Such a separate banknote processing mode will be referred to herein as a value & free mode (or automatic switching mode). Although it may be called by various names, it means a function that operates as in the value mode, operates as in the free mode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switches back to the value mode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더 쉽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지폐 계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2개의 적재부(50, 즉 51, 53)로 구성된 경우(예: 도 5의 (a))의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가 적어도 3개 이상의 적재부(50, 즉 51, 53, 55)로 구성된 경우(도 5의 (b))의 본 발명의 지폐 계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implement. In this example, the banknote cou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is composed of two stacking portions 50, i.e. 51, 53 (e.g. (a) of Fig. 5).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bil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or more stacking units 50 (i.e. 51, 53, 55) (Fig. 5 (b)).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1,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1개의 리젝 포켓부(51)와 1개의 스태커부(53)로 형성되는 적재부(50)를 구비하고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전원 온(On)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출력부(80)를 조작하여 복수의 지폐 처리 모드 중 밸류앤프리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설정된 밸류앤프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를 완료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폐 처리 장치(100)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엔 전원 온(On) 시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를 수행할 준비가 완료된다.1, 3 and 5 (a),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one reject pocket portion 51 and one stacker portion 53. It is equipped with the loading part 50, and the value-and-free mode is provided. When the user selects the value and free mode among a plurality of bill processing modes by operating the input / output unit 80 in the power on state, the bill counting device 100 sets the value set by the controller 60. You are ready to run Antifree Mode. Alternatively, when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previously set to the value and free mode, the controller 60 is ready to perform the value and free mod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또는 매체)가 지폐 계수 장치(100)의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진다. 이 때 상기 투입부(1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지폐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폐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아져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가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올려 놓여진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100) 내로 투입한다(도 3의 S1).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제어부(60)에 의해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적재부(50), 즉 리젝 포켓부(51)나 스태커부(53)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된다.In the state set in the value and free mode, a plurality of bills (or media) to be processed, whether or not mixed with one or more bills, or mixed with non-loaded paper or heterogeneous media by the user is inserted into the bill counting device 100 It is put on the part 10. At this time, it is detected by the bill detection sensor (not show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put section 10 to detect that the bill is placed on the input section 10, the control unit 60 received this detection signal ) Controls the drive unit 30 to automatically feed the placed bills into the bill counting device 100 one by one (S1 in FIG. 3). The bills thus introduced are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by the conveying unit 20 and pass through the sensor unit 40 and output the bill processing result by the control unit 60, together with the stacking unit 50, that is, the reject pocket. It is discharged to the part 51 or the stacker part 53, and is loaded.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외곽선을 추출하고 스큐를 보정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이미지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한다(S2). 이어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 지폐에 대해 상기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한다(S4).In the value and free mode, the control unit 60 extracts an outline of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40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banknote, and corrects image skew or removes noise. Perform (S2). Subsequently,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s successfully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banknote, the controller 60 performs a pap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S3).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completed successfully, the control unit 60 classifies the image preprocessing error as a reject pocket unit ( 51) (S4).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S3)에서, 상기 투입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즉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투입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정상 판별 처리하여 스태커부(53)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액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예컨대,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인 경우) 미판별 권종으로 분류하여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하는 등의 밸류 모드에서와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즉, 밸류앤프리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밸류 모드에서와 같은 지폐 처리를 수행함을 의미한다.Then, in the pap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S3),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at the paper money is successfully inputted through the predetermined paper type determination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If it is discriminated as the mounted winding type, it outputs the amount, number of sheets, the total amount, etc. for each type of paper to the input / output unit 80 while discharging it to the stacker unit 53 by normal determination processing. In the case of) is classified into the unclassified winding type and the same processing as in the value mode, such as discharged to the reject pocket 51. That is, in the value and free mode, basically, the bill processing is performed as in the value mode.

이 때, 본 발명에 의해,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엔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정상 처리 및 출력을 한다(S5). 이는 후속 투입 지폐들도 밸류 모드에서처럼 처리함을 의미한다. 즉, 이미지 전처리와 권종 판별에 성공한 지폐는 스태커부(53)로 배출하여 적재하고 그 판별 결과(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 등)를 출력하며, 그 외 리젝 사유(위폐, 겹침, 에러, 미탑재 권종, 이종 매체 등)인 경우 리젝 포켓부(51)로 분류 배출한다. 그리고, 투입부(10)에 놓인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리젝 포켓부(51)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들을 투입부(10)에 다시 올려 놓고 재투입하고(이 때 스태커부에 적재된 지폐는 먼저 회수할 수 있음)(S5), 이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와 같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리젝 포켓부(51)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첫장이 탑재 권종이 아닐 것이므로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스태커부(53)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한다(S6). 또한, 이 때 스태커부(53)에 적재된 지폐들을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되게, 즉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되게 다시 자동 전환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lue and free mode,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first banknote of the plurality of banknotes to be inserted has succeeded in preprocessing the image and determined to be a loaded paper type, as in the value mode. Output (S5). This means that subsequent input banknotes will be processed as in value mode. In other words, banknotes that have succeeded in image preprocessing and class determination are discharged to the stacker unit 53, loaded, and the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amount, number of sheets, total, etc.), and other reasons of rejection (counterfeiting, overlapping, error, unloaded) Rolled paper, heterogeneous media, etc.), and is classified and discharged into the reject pocket 51. After all the banknotes placed in the input unit 10 have been processed, the banknotes (or media) loaded in the reject pocket 51 are put back on the input unit 10 and re-injected (in this case, the stacker unit). Stacked banknotes can be recovered first) (S5), if the image preprocessing fails for these, it is discharged to the reject pocket 51 due to the image preprocessing err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and the first sheet is loaded. If not, switch to the free mode to process as in the free mode to perform only a simple counting and discharge to the stacker unit 53 and outputs the counting result (S6). In this case, when the user collects the bills loaded on the stacker unit 53, the controller 60 may automatically switch back to the original state again, that is, to be processed as in the value mode.

한편,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경우에는,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후속 지폐들도 프리 모드처럼 처리) 상기 첫장 및 후속 지폐(또는 매체)들을 스태커부(53)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로 매수 등을 출력시킨다(S6). 이 때, 두번째 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권종 판별도 성공하는 경우에도 프리 모드에서처럼 단순 계수만 하고 스태커부(53)로 적재되게 하고, 후속 지폐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 계수 처리 작업, 즉 프리 모드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스태커부(53)에 적재되어 있던 지폐(또는 매체)를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되게, 즉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되게 자동 전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alue and free mode, when the first sheet of paper has been successfully pre-processed but cannot be judged, it is switched to the free mode so as to be processed as in the free mode, and only a simple count is performed (following bills are also in the free mode). Processing) The first and subsequent banknotes (or media) are discharged to the stacker unit 53, and the number of sheets and the like are output as the counting result (S6). At this time, even if the second banknote succeeds in image preprocessing and success in discriminating the kind of paper, the simple counting is carried out and loaded into the stacker unit 53 as in the free mode, and the subsequent banknotes are the same. That is, after the processing in the free mode ends, when the user collects the bill (or medium) loaded in the stacker unit 53,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or resets, that is, in the value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다음으로, 도 1, 도 4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지폐 계수 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로 형성되는 적재부(50)를 구비하고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 도 5(b)에서와 같은 3개의 포켓부로 적재부(50)를 구성한 예를 설명하겠으나, 4개 이상의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예에 국한해 설명한 것임을 유의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ures 1, 4 and 5 (b),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first to third pockets (51, 53, 55) It has a loading part 50 to be provided, and the value-and-free mode is provided. In the present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e stacking unit 50 is configured with three pockets as shown in FIG. 5 (b)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present example since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banknote counting device having four or more pockets. Be careful. In addition,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 example will be omitted.

상기 지폐 계수 장치(100)는, 밸류앤프리 모드 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권종의 지폐들이 섞인 상태로 또는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가 섞여 있든 아니든 처리할 복수의 지폐(또는 매체)가 투입부(10) 상에 올려 놓여지면 한 장씩 자동으로 상기 장치(100)내로 투입시킨다(S100). 이렇게 투입되는 지폐들은 반송부(20)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센서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제어부(60)에 의해 지폐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함께 설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적재부(50), 즉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된다.The banknote counting device 100, under the value and free mode, a plurality of bills (or media) to be processed, whether or not mixed with one or more kinds of bills, or mixed with unloaded paper or heterogeneous media by the user in the value & free mode 10) Onc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automatically put into the device 100 (S100). The banknotes thus input are passed along the conveying path by the conveying unit 20 and pass through the sensor unit 40 and output the banknote processing result by the control unit 60 and the stacking unit according to the sorting criteria set. 50), that is, discharged into one of the first to third pocket portions 51, 53, and 55 to be loaded.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또는 매체)에 대해 센서부(40)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다(S200). 이어서, 제어부(60)는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상기와 같은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고(S300),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제 1 포켓부(51)(즉, 3개의 포켓부 중 하나를 리젝된 지폐를 적재하는 포켓부로 할당할 수 있음)로 배출한다(S400).In the value and free mode, the control unit 60 performs image preprocessing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40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banknote (or medium) (S200). Subsequently, the controller 60 performs a pap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on the inserted banknotes (S300).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completed successfully, the controller 60 classifies the image into an image preprocessing error. The pocket 51 is discharged to the pocket 51 (that is, one of the three pockets can be allocated to the pocket for stacking the rejected banknotes) (S400).

그리고, 제어부(60)는,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들에 대해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S300)에서,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즉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권종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가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53)로 배출시키면서 권종별 금액, 매수, 합계액 등을 입출력부(80)에 출력시키고(S500), 권종 판별에 실패하면, 즉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지 않으면(예컨대, 미탑재 권종이나 이종 매체인 경우) 미판별 권종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55)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예: 매수)를 출력한다(S600).Then, the control unit 60,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paper type of the paper money is successfully completed, that is, the predetermined paper type determin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in the pap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S300) for the bills for which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 When the inserted banknote is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through the algorithm, the amount, number of sheets, the total amount, etc. for each kind are outputted to the input / output unit 80 while being processed normally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pocket portion 53 as in the value mode ( S500),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scoop type is determined, that is, if it is not discriminated as the loaded scoop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nloaded or the dissimilar medium), the third pocket part 55 is switched to the processing as in the free mode with the classification as the unsettled roll type. And outputs the counting result (for example, number) (S600).

또한,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이미지 전처리와 권종 판별이 성공했으나 위폐, 겹침, 체인에러 등의 리젝 사유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제 1 포켓부(51)로 배출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포켓부(51, 53, 55)는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할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포켓부(51, 53, 55)에 적재된 지폐들을 사용자가 회수하면 제어부(60)는 다시 처음의 밸류앤프리 모드로 된다. 또한, 4개 이상의 포켓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만큼 더 한 번의 투입으로 여러 분류 기준에 따라 한번에 분류 처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and the denomination determination are successful in the deno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 but it is determined by reject reasons such as forgery, overlapping, chain error, etc., it is processed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pocket 51. Here, the first to third pocket portions 51, 53, and 55 may be alloc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riteria. Then, when the user collects the bills stacked in the pockets 51, 53, and 55,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the first value and free mo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having four or more pocket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orting process at once according to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by one more input.

이제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설명 과정에서, 균등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중복되지 않게 생략한 것도 있고 각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나 동작방법 등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음을 유의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지폐란 용어는 일부 실시예에서도 지폐(또는 매체)로도 표기하였지만, 실시예나 문맥에 따라 지류형 이종 매체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해석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process, the description of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re omitted so as not to overlap, and it is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by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 methods and the like that differ from those described above in each embodiment. Note that In particular, although the term banknote used herein is also described as a bill (or a medium) in som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also interpreted to mean a tributary heterogeneous medium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e context.

또한 상기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특정한 구성이나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bove examples are merely exemplary, and specific configurations, structures, and functional descriptions provided in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xampl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ly known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100: 지폐 처리 장치 10: 투입부
20: 반송부 30: 구동부
40: 센서부 50; 51, 53, 55: 적재부
60: 제어부 70: 저장부
80: 입출력부 90: 절체부
100: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10: input unit
20: conveying section 30: driving section
40: sensor unit 50; 51, 53, 55: loading section
60: control unit 70: storage unit
80: input and output unit 90: switching unit

Claims (8)

지폐 계수 장치에 있어서,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이종 매체나 미탑재 권종 지폐가 투입될 때에 센서부를 통해 얻어지는 지폐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미지 전처리 결과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이종 매체나 상기 미탑재 권종 지폐에 대해 단순 계수만 행하여 배출 및 출력할 수 있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장치.
In the banknote counting device,
Image pre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banknot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when a heterogeneous medium or an unloaded sheet of paper banknote is inserte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without a banknote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unit in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ing that requires the paper sheet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performing a simple counting operation on the heterogeneous medium or the unloaded paper currency notes after performing the image preprocessing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지폐가 회수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returns or resets to the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processed banknote is collected.
지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한 장씩 자동으로 지폐 계수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도 성공하고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탑재 권종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정상 처리 및 출력하고,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상태인 경우에는 입출력부로부터 지폐 처리 모드 전환 명령 없이도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로부터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In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Automatically injecting a plurality of bills into the bill counting device one by one in a state set to perform a predetermined bill discrimination process requiring a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completed successfully, classifying the image preprocessing error and discharging the image preprocessing;
If the first banknote of the plurality of banknotes to be input is successful in image preprocessing and is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in the class determination process, normal processing and outputting ar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tate, the step of switching from the input and output unit to the processing of performing a simple counting and outputting from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requiring the paper sheet discrimination process without the banknote processing mode switching command,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Banknote coun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계수만 행하여 출력하는 처리로 전환하여 수행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가 종료된 후에, 종료된 지폐들이 회수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정의 지폐 판별 처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던 상태로 복귀 또는 리셋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fter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only the simple counting and outputting and ending the outputting of the counting result, when the finished banknotes are collected, the predetermined banknot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turning or resetting to the banknote.
리젝 포켓부와 스태커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이미지 전처리 에러로 분류하여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권종 판별 프로세스에서, 상기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 중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를 성공하고 탑재 권종으로 판별되는 경우엔 상기 첫장 및 후속 투입 지폐에 대해 밸류 모드에서와 같이 처리 및 출력을 하고 리젝된 지폐는 상기 리젝 포켓부로 분류 배출하며, 상기 지폐가 모두 처리 완료된 후 상기 리젝 포켓부에 있던 지폐를 재투입하고 재투입된 지폐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실패하면 상기 리젝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전환해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In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ject pocket part and the stacker part,
Injecting a plurality of bills into the device while the bill counter is provided with a value and free mode and is set to the value and free mode;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by the controller in the value and free mod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not successfully completed for the inserted banknote, classifying it as an image preprocessing error and discharging it to the reject pocket part, and performing a winding type determination process when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ly completed;
In the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when the first sheet of the plurality of inserted banknotes succeeds in image pre-processing and is determined as the loaded paper type, the first sheet and subsequent inserted banknotes are processed and output as in the value mode and rejected. Is classified and discharged into the reject pocket, and after all the banknotes have been processed, reinsert the banknotes in the reject pocket, and if the image preprocessing fails for the reinserted banknotes, eject them to the reject pocket and if the image preprocessing is completed successfully Switching to process as in the free mode, performing only simple counting, discharging to the stacker unit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상기 첫장의 지폐가 이미지 전처리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권종 판별이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첫장 및 후속 지폐에 대해 상기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도록 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단순 계수만 수행하고 상기 스태커부로 배출하며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value and free mode, when the first sheet of paper has been successfully processed for image pretreatment but no distinction is made, the first sheet and subsequent bills are switched to the free mode to be processed as in the free mode, and only simple counting is performed. And discharging to the stacker unit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제 1, 제 2 및 제 3 포켓부를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의 지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 장치가 밸류앤프리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폐를 상기 장치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에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이미지를 취득하여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투입되는 지폐들에 대해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거나 리젝 사유가 있는 지폐를 제 1 포켓부로 배출하고, 이미지 전처리가 성공한 지폐에 대해 권종 판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밸류 모드에서와같이 정상 처리하여 제 2 포켓부로 배출시키면서 판별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지폐의 권종 판별이 실패하면 프리 모드에서처럼 처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제 3 포켓부로 배출하고 그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In the banknote counting method of the banknote cou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1st, 2nd and 3rd pocket part,
Injecting a plurality of bills into the device while the bill counter is provided with a value and free mode and is set to the value and free mode;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erted banknote by the controller in the value and free mode and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the banknotes for which the image preprocessing has not been successfully completed or the reason for rejection are discharged to the first pocket part by the controller, and the paper type discri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anknotes for which the image preprocessing is successful to perform the Up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aper type determina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ted as normal in the value mode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pocket portion. If the paper species determination fails, the paper sheet is switched to the free mode and discharged to the third pocket portion. And outputting the counting result.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에 의해 처리된 지폐들이 회수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류앤프리 모드로 복귀 또는 리셋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And recovering or resetting to the value and fre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the bills processed by the above steps are recovered.
KR1020180043656A 2018-04-14 2018-04-14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511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en) 2018-04-14 2018-04-14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en) 2018-04-14 2018-04-14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24A true KR20190120024A (en) 2019-10-23
KR102511132B1 KR102511132B1 (en) 2023-03-17

Family

ID=684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656A KR102511132B1 (en) 2018-04-14 2018-04-14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61A (en)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34A (en)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엑스티엠 A bill counter having the function of withdrawal of the required amount and the method for control of the same
KR20070093210A (en) * 2006-03-13 2007-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Recognizing the denomination of a note using wavelet transform
KR20110039577A (en) * 2006-10-24 2011-04-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Bill identifier/counter
KR101492407B1 (en) * 2013-10-23 2015-02-12 기산전자 주식회사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34A (en)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엑스티엠 A bill counter having the function of withdrawal of the required amount and the method for control of the same
KR20070093210A (en) * 2006-03-13 2007-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Recognizing the denomination of a note using wavelet transform
KR20110039577A (en) * 2006-10-24 2011-04-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Bill identifier/counter
KR101492407B1 (en) * 2013-10-23 2015-02-12 기산전자 주식회사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61A (en)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132B1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476B2 (en) Apparatus for sorting mixed bills and barcoded tickets and method therefor
JP5430082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EP2600320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US11055679B2 (en) Bunch document recycler
CN106469484B (en) Currency processing device
KR20190120024A (en) Paper-money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04879B1 (en) Bill counter capable of counting bar code tickets and bills simultaneously
WO2016063658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KR1023362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escrow function of paper money depositor
KR200452340Y1 (en) Banknote counter with second run fuction
KR102568847B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of changing banknote transfer rate
JPH0546842A (en) Handling device for sheet paper or the like and inventory management method
JP2005275586A (en) Currency processor
KR102633923B1 (en) Long-edge feeding banknote counter and method of processing different kind of paper sheet
JP6644122B2 (en) Money handling machine
JP3427830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KR101492407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228434B2 (en)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JP2013140620A (en)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EP3706085A1 (en) Coin handling device and coin handling method
KR102075331B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with multi-pockets
JP6918180B2 (en) Money processing machine
JP4361408B2 (en) Money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3657470B2 (en) Paper sheet counting device
JP2017059222A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