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72A -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72A
KR20190116772A KR1020180039780A KR20180039780A KR20190116772A KR 20190116772 A KR20190116772 A KR 20190116772A KR 1020180039780 A KR1020180039780 A KR 1020180039780A KR 20180039780 A KR20180039780 A KR 20180039780A KR 20190116772 A KR20190116772 A KR 20190116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lectrode
electrode solar
overlap portion
over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1911B1 (en
Inventor
김기수
전익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11B1/en
Publication of KR201901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41Electrod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ack-contact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back contact photovoltaic module. The back contact photovoltaic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back contact photovoltaic cells stacked in a cascade manner; and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adjacent back contact photovoltaic cells. Each back contact photovoltaic cell includes an overlap portion overlapping adjacent back contact photovoltaic cells. At least part of the overlap portion forms a connection hole. The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s electrodes of the adjacent back contact photovoltaic cell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Description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에 연결홀을 형성하고 중첩하여 계단식으로 적층함으로써 모듈화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electrode solar cell and a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connection hole in a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and overlap by modularizing by stacking stepwise.

태양전지에서는 다양한 층 및 전극을 설계에 따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층 및 전극의 설계에 따라 태양 전지 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Solar cells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various layers and electrodes according to design, and solar cell efficiency can be determined by the design of these various layers and electrodes.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의 경우, 전극이 태양 전지 후면에 모두 배치되어 있어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를 모듈화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태양 전지들 사이 공간을 제어하는 동시에 패턴필름, 리본 및 페이스트 등의 많은 구성이 필요했으므로, 간단한 구조와 적은 공정으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들을 모듈화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In the case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the electrodes are al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olar cell, and thus,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such as pattern films, ribbons, and pastes are required to control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to modularize the back-electrode solar cells. As such, there has been a need for the ability to modularize back electrode solar cell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ow proces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와 적은 공정으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 electrode solar cell and a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ess process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에 연결홀을 형성하고, 연결부재를 이용해 복수의 태양 전지를 계단식으로 중첩하여 적층함으로써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 by forming a connection hole in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by stack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by cascading by using a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계단식으로 중첩되어 적층된 복수의 태양 전지에 대해 상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과 하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홀을 통과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electrode type in which the rear electrode of the upper solar cell and the rear electrode of the lower solar cel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hole by a connecting member for a plurality of solar cells stacked in a stepwise manner. It is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는 인접하는 상부 태양 전지 및 하부 태양와 중첩되는 오버랩 부분을 특정하고, 연결홀을 형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specifies an overlapping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adjacent upper solar cell and the lower sun and forms a connection hole.

뿐만 아니라,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은 오버랩 부분에 연결부재를 배치하여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들을 결합시키고, 상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 도전성 접착부, 연결홀 내부에 배치된 전극부 및 하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by arranging a connection member at an overlapping portion, and back electrode of the upper solar cell. ,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the electrode portion disposed in the connection hole and the back electrode of the lower solar cell are electrically connected.

본원 발명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를 셀 커팅을 통해 제조 함으로써 CMT(Cell to module loss) 감소, 온도계수 및 핫-스팟 내구성이 향상되고 비발전 영역에 연결홀을 형성하여 태양 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are manufactured through cell cutting, thereby reducing cell to module loss (CMT), improving temperature coefficient and hot-spot durability, and forming connection holes in non-power generation regions to improve solar cell efficiency. You can.

뿐만 아니라, 본원 발명의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가 계단식으로 중첩되어 적층되고, 인접한 상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이 연결홀을 통하여 도전성 접착부 및 전극부에 의해 하부 태양 전지의 후면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생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증가하고 불량률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with the sun overlapping stepwise, the rear electrode of the adjacent upper solar cell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rear electrode of the lower solar cell by the conductive adhesive and the electrode portion through the connecting hole As a resul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duce defective rates.

나아가, 비발전 영역을 최소화하여 모듈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non-power generation area can be minimized to improve module output and efficiency.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6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에 후면 전극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를 분할하는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1 is a rear view of a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 electrode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rear electrodes in the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7 is a rear view illustrating dividing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b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layers, films, panels, regions, etc., are exaggerated for clarit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upper"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the other part is "directly over"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Also includes. On the contrary, when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or a plate is "below" or "below"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the part is "below"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Include. In contrast, when a part is "just below" another par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셀 커팅을 통해 생성된 본원 발명 복수 개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인접하는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중첩되는 오버랩 부분(OP)을 포함하고, 오버랩 부분(OP)에 연결홀(13)이 형성됨으로써 추후 모듈화에 따른 손실(CMT, cell to module loss)를 감소시키고, 온도계수 및 핫-스팟(Hot-spot) 내구성이 증가하며 태양 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d through cell cutting include an overlap portion OP overlapping an adjacent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a low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hole 13 is formed in the overlap portion OP, the cell-to-module loss (CMT) can be reduced later, the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hot-spot durability are increased, and the solar cell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일정 면적의 태양 전지를 하나로 사용하는 것 대신 셀 커팅을 통해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생성할 경우, 단위 태양 전지의 면적이 감소하여 전류가 감소하는 대신 전체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are generated through cell cutting instead of using a single solar cell of a predetermined area, the entire back-electrode type is reduced instead of reducing the area of the unit solar cell. Since the number of solar cells 10 increases, the voltage increases.

이 때, 온도계수는 25℃ 기준 1℃ 증가에 따른 출력의 감소%를 의미하고, 전압이 증가할 수록 온도계수는 감소하므로 고온에서도 우수한 출력을 생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구름 및 외부 이물질등에 의해 수광면의 일부가 가려진 경우 국부적인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열은 전류가 감소할수록 감소하므로 효과적으로 핫스팟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oefficient means a decrease of the outpu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1 ℃ based on 25 ℃, the temperature coefficient decreases as the voltag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oduce excellent output even at high temperatures. In addition, the rear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may generate local heat when a part of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s covered by clouds and external foreign matters, and the heat may decrease as the current decreases,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hot spot durability. .

나아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을 밀도 있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저항 및 광학적 손실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모듈화를 하더라도 태양 전지 출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can be densely arranged, electrical resistance and optical loss can be reduced, resulting in maximum solar cell output even when modularized.

나아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계단식으로 중첩되어 적층되는 동시에,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후면 전극이 연결홀(13)을 통해 도전성 접착부(14a) 및 전극부(14b)에 의해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후면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구조 및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광학적 손실을 최소화하여 태양 전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are stacked in a stepwise overlap, and at the same time the adjacent top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While the rear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lectrode of the lower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by the conductive adhesive part 14a and the electrode part 14b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3, the structure and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Minimizing optical losses can maximize solar cell efficiency.

구체적으로, 종래에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이용해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극들이 후면에 모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솔더링 페이스트 및 인슐레이션 페이스트가 필요한 멀티 리본 버스바(Multi-riboon busbar,MRB), 고가의 패턴 필름 또는 복잡한 구조의 인터커넥터등을 이용해야 했고 그에 따라 공정이 번거롭고 모듈화된 태양 전지의 구조 역시 복잡하였다.Specifically, in order to form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using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electrodes are all disposed on the back side, a multi-ribbon busbar requiring soldering paste and insulation paste (Multi- riboon busbars (MRBs), expensive pattern films, or complex interconnects have to be used, which is cumbersome and the structure of modular solar cells is complex.

이에, 본원 발명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계단식으로 태양 전지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므로 전기적 쇼트 및 누설(leakage) 방지를 위한 태양 전지간 이격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수광면적 극대화에 따른 태양 전지 효율 향상이 가능하고, 오버랩 부분(OP)에 배치된 도전성 접착부(14a) 및 연결홀(13)의 전극부(14b)에 의해 인접한 태양 전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므로, 공정 및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생산비용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공정상 불량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is disposed in a stepped manner, the solar cells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re is no need to form a space between solar cells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rts and leakage. The solar cell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adjacent solar cells are electrically coupled by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disposed in the overlap portion OP and the electrode portion 14b of the connection hole 13,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structure.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production costs, and can also reduce process defect rat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 및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특징적인 내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features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nd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설명한다.First, a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본원 발명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 영역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이 모두 반도체 기판의 일면, 구체적으로 후면 상에 배치되어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역시 모두 반도체 기판의 후면에 존재하게 된다.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having a conductivity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electrode in which bo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pecifically, the back su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ll are present on the back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본원 발명의 상기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의 구조 및 배열 형상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것이다.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range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can be formed. something to do.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오버랩 부분(OP)을 포함하고, 오버랩 부분(OP)의 일부에 연결홀(13)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overlap portion OP at an opposite edge portion and form a connection hole 13 in a portion of the overlap portion OP.

구체적으로, 오버랩 부분(OP)은 후술할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을 형성하여,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이 중첩될 때, 중첩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부분으로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각각은 인접한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중첩되는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중첩되는 제2 오버랩 부분(OP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verlap portion OP forms a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overlap, a back electrode solar cell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section ( 10), each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includes a first overlap portion OP1 overlapping with the adjacent bottom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a first overlapping portion with the adjacent top back-electrode solar cell 10. It may include two overlap portions OP2.

예를 들어, 배열 방향으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이 계단식으로 중첩되어 적층되는 구조라면, 특정한 하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인접한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중첩되어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을 포함하게되고,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은 배열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다.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are stacked and stacked in a stepwise manner in a direction of arrangement, one particula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may include an adjacent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re overlapped with the adjacent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re arranged. It is disposed at the corners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부분(OP)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또는 기하학적 다각형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오버랩 부분(OP)의 형상은 상기 기재 또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가 중첩 부분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것이다.In addition, the overlap portion OP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rectangular or geometric polygonal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However, the shape of the overlap portion OP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or drawings, and will include a range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the shape of the overlapping portion.

오버랩 부분(OP)의 폭은 약 1mm 초과 약 15mm 미만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약 1mm 초과 약 10mm 미만일 수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버랩 부분(OP)의 폭이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추후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 형성시 안정적인 모듈화가 가능한 동시에 많은 수광면적을 확보하여 우수한 태양 전지 출력을 생산할 수 있다. 오버랩 부분(OP)의 폭이 1mm 미만인 경우, 모듈화 과정에서,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결합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오버랩 부분(OP)의 폭이 15mm 초과인 경우,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수광 면적을 지나치게 감소시켜 오히려 태양 전지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may be greater than about 1 mm and less than about 15 mm,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greater than about 1 mm and less than about 10 mm.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is maintained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tably modularize when forming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secure a large light receiving area to produce excellent solar cell output. When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is less than 1 mm, the bonding stability of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may be degraded during the modularization process. When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is greater than 15 mm,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may be excessively reduced, and rather, the solar cell output may be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오버랩 부분(OP)의 폭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중첩되어 배열되는 방향에서 오버랩 부분(OP)의 두께로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불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 최대 두께를 오버랩 부분(OP)의 폭으로 볼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is a thickness of the overlap portion O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overlap and are arranged, and the thickness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is nonuniform. In the case of, the maximum thickness will be regarded as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나아가,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의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폭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약 1mm 내지 약 15mm 범위 내에서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의 폭이 다를 수 있다.Further, the widths of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ven when the wid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within a range of about 1 mm to about 15 mm. )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have different widths.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오버랩 부분(OP)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홀(13)을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2 오버랩 부분(OP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버랩 부분(OP2)에 형성된 연결홀(13)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로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상부와 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form a connection hole 13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overlap portion OP,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he connection hole 13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i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act as a passageway.

나아가, 연결홀(13)의 단면은 타원 및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다면체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 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홀(13)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 may have an irregular shape as well as a geometric polyhedron such as an ellipse and a quadrangle, and may have an irregular shap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s long as it can play a role, it can include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design. For example, the connection hol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연결홀(13)은 제2 오버랩 부분(OP2)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가지고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거나, 제2 오버랩 부분(OP2)을 분할하여 특정 부분에 밀집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2 오버랩 부분(OP2)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holes 13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be uniform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r may be divided in a specific portion by dividing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r irregular. As a result, it may be formed by being dispers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연결홀(13)의 형성 위치 및 배열 구조는 상기 기재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것이다.The formation position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hole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will include a range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나아가, 연결홀(13)의 폭은 오버랩 부분(OP)의 폭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연결홀(13)의 폭을 오버랩 부분(OP)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오버랩 부분(OP) 안에 연결홀(13) 전체가 형성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의 효율 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태양 전지 모듈화를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OP. By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verlap part OP, the entire connection hole 13 can be stably formed in the overlap part OP, effectivel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Solar cell modularization can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에서 연결홀(13)의 폭은 연결홀(13)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가장 긴 길이로 볼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will be viewed as the longest length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

구체적으로, 연결홀(13)의 폭은 약 0.5mm 초과 약 10mm 미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홀(13) 폭의 범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간의 원활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수준의 저항 및 연결홀(13) 형성에 따른 데미지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다. 연결홀(13)의 폭이 약 0.5mm 미만인 경우, 저항이 지나치게 커 전기적 손실이 클 수 있고, 연결홀(13)의 폭이 약 10mm 초과인 경우, 연결홀(13) 형성에 따른 데미지가 커 전체적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detail,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may be greater than about 0.5 mm and less than about 10 mm. In this embodiment, by controlling the range of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to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resistance and the connection hole 13 at a level capable of smoot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Can be implemented. Wh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is less than about 0.5 mm, the resistance is too large and the electrical loss may be large. Wh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hole 13 is greater than about 10 mm, the damage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 is large. Overall durability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may be reduced.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 and a second electrode 12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반도체 기판 후면에서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전극(11)은 제1 오버랩 부분(OP1)과 중첩되나 제2 오버랩 부분(OP2)과는 중첩되지 않으며, 제2 전극(12)은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중첩되나 제1 오버랩 부분(OP1)과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In detail,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 and the second electrodes 12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ck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extend in an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Can be. Furthermore, the first electrode 11 overlaps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but does not overlap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the second electrode 12 overlaps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but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may not overlap.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면, 도면에 개시된 제2 전극(12)은 도면에 개시된 제1 전극(11)과 이격되어 제1 전극(11)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12)은 제1 전극(11)보다 제2 오버랩 부분(OP2)쪽으로 더 연장되어 제2 오버랩 부분(OP2)에 중첩되고, 제1 오버랩 부분(OP1)에는 중첩되지 않는다(미도시).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electrode 12 disclosed in the drawing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 disclosed in the drawing and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electrode 11. The second electrode 12 extends further towar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han the first electrode 11 and overlaps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does not overlap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not shown). .

반대로, 제1 전극(11)은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랩 부분(OP1) 쪽으로 더 연장되어 제1 오버랩 부분(OP1)과 중첩되고, 제2 오버랩 부분(OP2)과는 중첩되지 않는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11 further extends toward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to overlap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does not overlap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저지는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을 제1 전극(11) 또는 제2 전극(12) 중 하나의 전극에만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션트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태양 전지 출력을 구현해 낼 수 있다.That is, the back electrode sola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o be connected to only one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11 or the second electrode 12.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hunt and the like, and to stably realize solar cell output.

나아가,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중첩되기만 하면 족하므로 필요에 따라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오버랩 부분(OP) 내부로 더 연장되거나 오버랩 부분(OP) 내부에서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턴을 가지고 중첩될 수도 있다.Furthermore, since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only need to overlap with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as necessary. 12 may be further extended into the overlap portion OP or overlapped with a patter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y direction inside the overlap portion OP.

이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전술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이용해 태양 전지 모듈을 구현한 것으로,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olar cell module by using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described abov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전술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계단식으로 중첩하여 적층한다. 예를 들어,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에 대해,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 및 인접한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이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일부 중첩되는데,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상부에서 일부 중첩되고,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하부에서 일부 중첩되어 적층된다.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cks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described above in a stepwise manner. For example, for the referenc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the adjacent top back-electrode solar module 100 and the adjacent bottom back-electrode solar module 100 are connected with the referenc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Some overlap, the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partially overlaps on top of the referenc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low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of the referenc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Some overlap at the bottom and stacked.

구체적으로,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이 서로 중첩되고, 기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과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이 서로 중첩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referenc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ference back electrode solar cell (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10)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overlap each other and are stacked in a stepwise manner.

즉, 도 1을 참고하면, 본원 발명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서로 이격하여 배열하지 않고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일부가 중첩되어 연속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전기적 쇼트 및 누설(leakage)등을 방지하기 위한 면적없이 일정 면적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내에서 수광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태양 전지 모듈의 생산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rrange a plurality of rear electrode solar cells 10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ortion of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s 10 overlaps and is sequentially stacked so that electrical short and leakage ( Without receiving an area for preventing leakage, etc., the light receiving area can be maximized in the rear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output of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연결홀(13)을 모듈화 과정시 중첩되는 제2 오버랩 부분(OP2)에 형성함으로써 태양 전지 출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관통하는 연결홀(13)을 형성하는 경우, 연결홀(13)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다소 물리적 충격 또는 화학적 변성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연결홀(13)이 형성되는 제2 오버랩 부분(OP2)은 모듈화 과정에서 어차피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에 의해 중첩되어 수광면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홀(13) 형성에 따른 태양 전지 출력 저하가 없고, 오히려 일정 면적의 태양 전지 모듈내에서 수광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elp the solar cell output by forming the connection hole 13 in the overlapping second overlap portion OP2 during the modularization proces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nnection hole 13 penetrating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hole 13 is formed may cause some physical shock or chemical modification, but the connection hole 13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in which the) is formed is overlapped by the upper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light-receiving surface in the modularization process, so there is no decrease in solar cell output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nnection hole 13. Rath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light receiving area within a certain area of the solar cell module.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일부가 중첩되어 배열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 중에서, 임의의 일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각각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기준이 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에 따라 동일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라고,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또는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herein, the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low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re among the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arranged partially overlapping as described above.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relative to any on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ll be referred to,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s a reference, the sam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may be an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or a low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이어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과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 사이에 연결부재(14)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adjacent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a second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s the connecting member 14 is disposed between the overlap portions OP2, the adjacent rear electrode solar cells 10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연결부재(14)는 도전성 접착부(14a) 및 전극부(14b)를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두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기준으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과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 사이에 도전성 접착부(14a)가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onnection member 14 may include a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and an electrode portion 14b, and the upper back side is based on two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The conductive adhesive part 14a may be entir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본 명세서에서 전체적으로 배치되었다 함은, 해당 영역 또는 공간에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모두 배치된 것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일부 제외된 부분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ntirety includes not only physically perfectly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r space, but also inevitably including some excluded parts.

도전성 접착부(14a)는 에폭시 아크릴 플루오르, 실리콘 및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블렌드를 포함하여 접착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물리적으로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도전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적으로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부(14a)로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전성 접착제(electrical conductive adhesive, EC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전성 접착부(14a)의 종류는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has adhesive properties including polyblends such as epoxy acrylic fluorine, silicon, and polyamide,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physically stably bonds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has conductive characteristics. It may function to connect the electrically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ECA) or the like. However, the kind of the conductive adhesive part 14a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may include a range that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

추가로, 전극부(14b)는 연결홀(13) 내부 및 제2 전극(12)과 접하는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면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면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전극부(14b)는 제2 전극(12)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동시에 연결홀(13) 내부를 채우면서 배치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 14b may be disposed entirely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hole 13 and the second electrode 12. The electrode part 14b entire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be formed while covering the second electrode 12 and may be disposed while filling the connection hole 13.

전극부(14b)는 금속 물질(예를 들어 Ag. Cu, Al)등을 포함하여 도전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2 전극(12)과 효과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될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part 14b has a conductive property including a metal material (eg, Ag. Cu, Al), the electrode part 14b may be eff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2.

다만, 도전성 접착부(14a) 및 전극부(14b)의 배치는 상기 기재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부(14a)는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의 오버랩 부분(OP) 사이 뿐만 아니라 연결홀(13)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고, 전극부(14b)는 제2 전극(12)이 중첩된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면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and the electrode portion 14b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may include a range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may be disposed not only between overlap portions OP of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but also inside the connection hole 13, and the electrode portion 14b may be formed of the second electrode ( 12) may be dispos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overlapped second overlap portion OP2.

이어서 도전성 접착부(14a)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도 2 및 도 3을 이용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후면 제1 오버랩 부분(OP1)에는 제1 전극(11)이 중첩되어 있고,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후면 제2 오버랩 부분(OP2)에는 제2 전극(12)이 중첩되어 있는 동시에 제2 오버랩 부분(OP2)에 연결홀(13)이 형성되어 있다.Next,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first electrode 11 overlaps the rear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upper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rear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lower rear electrode solar cell 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 The two electrodes 12 overlap each other and a connection hole 13 is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이 때, 도전성 접착부(14a)가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면,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전극(11)은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오버랩 부분(OP1)과 중첩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11)과 도전성 접착부(14a)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is disposed entirely between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Since the first electrode 11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overlaps with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are overlapped.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전극(12)은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중첩된 상태에서, 전극부(14b)가 연결홀(13)의 내부를 채우는 동시에, 제2 오버랩 부분(OP2)의 하부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제2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electrode 12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overlaps with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he electrode portion 14b fills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hole 13,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overlap The entire surface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OP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2.

즉,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1 전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접착부(14a)가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부(14b)와 접함으로써,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와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de portion 14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2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By contacting 14b, the upp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lower back-electrode solar cell 10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따라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를 이용해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계단식으로 중첩되게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in a stepwise manner by using the connection member 14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and reduce the defective rate.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별도의 복잡한 인터커넥터, 전극 패턴필름 및 리본 없이 연결부재(14)만을 이용해 간단히 태양 전지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공정이 간단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듈에 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도 감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y implement the solar cell module using only the connecting member 14 without a separate complex interconnector, electrode pattern film and ribbon, production process This simplicity not only improves productivity, but also reduces the configuration required for the module,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나아가, 종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모듈화 하기 위해서는 솔더링 페이스트 및 인슐레이팅 페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리본을 얼라인해야 하므로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본 발명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연결부재(14)를 이용한 계단식의 간단한 중첩만으로 모듈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modularize the conventional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the ribbon has to be aligned using soldering paste, insulating paste, or the like, so that the defect rate is relatively high, but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0. ) Can implement the modularity only by a simple superposition of the step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4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ailure rate.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이를 이용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와 아래의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들을 서로 결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For the same or very similar parts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applied as it is,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odified example thereof and the following embodiment or a combination of modified examples thereof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이를 이용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 제조 방법을 이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 내지 도 7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 및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의 제조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5 to 7 are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back-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in detail.

우선, 도 5는 일정 면적내에 구분된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광전 변환부(10a)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에서, 후면 전극이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광전 변환부(10a)는 반도체 기판,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a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di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may refer to a state before the rear electrode is formed in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an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may include a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a first electrode. It may include a two conductivity type region.

도 5를 참고하면, 일정 면적내에 분할된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와 관련하여 각 광전 변환부(10a)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 배열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에 제1 오버랩 부분(OP1)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을 형성하고, 제2 오버랩 부분(OP2)에 복수의 연결홀(13)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relation to a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divided in a predetermined area, each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may have a first overlapping portion at a corner facing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1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인접한 광전 변환부(10a)의 제1 오버랩 부분(OP1)과 제2 오버랩 부분(OP2)은 서로 폭이 동일하고, 연결홀(13)은 제1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 드릴링(laser drilling)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연결홀(13)을 제2 오버랩 부분(OP2)에 다수 형성하여 광전 변환부(10a)에 물리적 충격 또는 화학적 결정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추후 공정에서 다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에 의해 중첩되어 수광면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태양 전지 효율을 저해하지 않는다.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adjacent photoelectric converter 10a have the same width, and the connection hole 13 irradiates the first laser to use laser drilling.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1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to cause physical shock or chemical crystalline deformation i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as described above, another rear surface in a later process may be used. Since it overlaps with the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the solar cell efficiency is not impaired.

이어서, 광전 변환부(10a)에 후면 전극을 형성하여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6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 각각에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Next, the back electrode is formed i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section 10a to form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 rear electrode on each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0a.

연결홀(13)이 형성된 복수의 광전 변환부(10a)에 제1 도전형 영역 및 제2 도전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교번하게 배치된 제1 전극(11) 및 2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First electrodes 11 and 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in the plurality of photoelectric converters 10a in which the connection holes 13 are formed, and alternat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Can form electrodes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전극(11)은 제1 오버랩 부분(OP1)과 중첩되나 제2 오버랩 부분(OP2)과는 중첩되지 않으며 제2 전극(12)은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중첩되나 제1 오버랩 부분(OP1)과는 중첩되지 않는다.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exten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and the first electrode 11 overlaps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but the second The second electrode 12 does not overlap the overlap portion OP2 and the second electrode 12 overlaps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but does not overlap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은 도금, 인쇄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form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plating and printing, and may be included to a range that can be easi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form the electrode. .

추가적으로, 광전변환부의 연결홀(13) 형성과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형성 순서는 상기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ation order of the connection hole 13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and the formation order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bed order, and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design. It may include.

예를 들어, 광전 변환부(10a)에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형성한 이후에 연결홀(13)을 형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hole 13 may be formed after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formed in the photoelectric converter 10a.

이어서, 일정 면적내에 구분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분할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은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분할하는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Next, the division | segmentation of the some back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divided in predetermined area is demonstrated. 7 is a rear view illustrating dividing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까지 형성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 및 제1 오버랩 부분(OP1) 사이를 경계로 분할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formed up to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include a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a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 Can be divided into boundaries.

구체적으로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과 제1 오버랩 부분(OP1) 사이의 분할선(CL)을 따라 제2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각 분리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laser may be irradiated along the dividing line CL betwee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of the adjacent back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to separate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면적을 가지는 광전 변환부(10a)를 분할하여 제2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형성함으로써, 모듈화에 따른 손실(Cell to module loss, CTM)을 감소시키고, 온도계수가 감소하며 핫-스팟(Hot-spot) 내구성이 증가하며 태양 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having the first area is divided to form a plurality of back-electrode solar cells 10 having the second area. CTM), reduced temperature coefficient, increased hot-spot durability, and improved solar cell efficiency.

구체적으로, 제1 면적을 가지는 광전 변환부(10a)를 분할하여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형성하면,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0a having the first area is divided to form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is formed. ) Can be created.

이렇게 형성된 제2 면적의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는 추후 계단식으로 중첩된 적층구조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별도의 분할을 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개수가 증가하고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면적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의 전압은 증가하고 전류량은 감소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having the second area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by forming a stacked structure in a stepwise manner. In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is increased and the area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10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separate division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overall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increases and the amount of current decreases.

따라서, 높아진 전압에 의해 온도 상승에 따른 출력 감소를 나타내는 온도계수가 감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소한 전류량에 의해 외부적 환경에 의해 국부적으로 열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발생하는 열이 감소하여 핫스팟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이 서로간의 이격 공간 없이 결합되므로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키고 수광면을 최대로 확보하여 모듈화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temperature coefficient indicating the decrease in output due to the temperature rise can be decreased by the increased voltage. In addition, even if heat is locally gener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the reduced amount of current, heat generated may be reduced to improve hot spot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divided rear electrode solar cells 10 are coupled withou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ectrical resistance may be reduced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may be maximized to minimize losses due to modularization.

이어서, 도 7을 다시 참고하여 분할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모듈화하여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을 제조 하는 것을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will be manufactured by modularizing the plurality of divided back electrode solar cells 10 with reference to FIG. 7 again.

전극부(14b)를 이용하여 제2 전극(12)과 중첩되는 제2 오버랩 부분(OP2)의 표면 및 연결홀(13)에 전극부(14b)를 배치한다. 전극부(14b)는 도금 또는 인쇄등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 표면상에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건조를 통해 전극부(14b)를 형성하는 경우,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 표면상에 전극 페이스트가 전체적으로 인쇄되는 동시에, 전극 페이스트의 일부가 연결홀(13) 내부로 이동하면서 연결홀(13)을 채워 연결홀(13) 및 제2 오버랩 부분(OP2)의 일표면을 덮는 전극부(14b)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de portion 14b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verlapping the second electrode 12 and the connection hole 13 by using the electrode portion 14b. The electrode portion 14b may be disposed by plating or printing. For example, the electrode portion 14b may be printed by drying an electrode paste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then dried. ), The electrode paste is printed as a whole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and a portion of the electrode paste moves into the connection hole 13 to fill the connection hole 13 to fill the connection hole ( 13) and an electrode portion 14b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may be formed.

곧이어 도전성 접착부(14a)를 제1 오버랩 부분(OP1)에 전체적으로 배치하고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의 제2 오버랩 부분(OP2)을 도전성 접착부(14a) 상에 배치하여 부착시킴으로써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ductive back portion 14a is disposed on the first overlap portion OP1 as a whole, and the second overlap portion OP2 of the adjacent back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is disposed on and attached to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Type solar cells 10 may be physically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100)은 도전성 접착부(14a)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모듈화 구현이 가능함므로, 저온 공정이 가능하고, 박막 기판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modularized using the conductive adhesive part 14a, a low temperature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thin film substrate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도전성 접착부(14a), 예를 들어 ECA를 사용하는 경우, 공정 온도가 250℃ 미만으로써 저온 공정이 가능하고, 저온 공정이 가능함에 따라 박막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공정상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생산 비용감소에 유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using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14a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ECA, a low temperature process is possible because the process temperature is less than 250 ° C., and even a thin film substrate may be us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in the process. It can be reduced, which can be advantageou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다만, 전극부(14b)의 형성 방법, 전극부(14b)와 도전성 접착부(14a)의 형성 순서 등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10)를 계단식으로 중첩하여 적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 까지 포함할 것이다.However, the formation method of the electrode part 14b, the order of formation of the electrode part 14b, and the electroconductive bonding part 14a are not limited to the said base material,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superimposes the back electrode type solar cell 10 stepwise. It will include those that can be easily changed design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stacked.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In addition,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 13: 연결홀
14: 연결부재 OP: 오버랩 부분
10: back electrode solar cell 11: first electrode
12: second electrode 13: connection hole
14: connection member OP: overlap part

Claims (12)

계단식으로 중첩되어 적층된 복수의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및
인접한 상기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들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는 인접한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와 중첩되는 오버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랩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인접한 상기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들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 solar cells stacked in a stepwise manner; And
And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rear electrode solar cells.
Each of the back electrode solar cells includes an overlapping portion overlapping with an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
At least a portion of the overlap portion forms a connection hole,
The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s of the adjacent back electrode solar cell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은 인접한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와 중첩되는 제1 오버랩 부분 및
인접한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와 중첩되는 제2 오버랩 부분을 포함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lap portion includes a first overlap portion overlapping an adjacent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and
A second overlap portion overlapping an adjacent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2 오버랩 영역에 형성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overlap region.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폭은 상기 연결홀의 폭보다 동일하거나 큰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is the same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hole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폭은 1mm 초과 15mm 미만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idth of the overlap portion is greater than 1mm and less than 15mm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의 폭은 0.5mm 초과 10mm 미만인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hole is more than 0.5mm less than 10mm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도전성 접착부 및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부는 상기 하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의 상기 제2 오버랩 부분과 상기 상부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의 상기 제1 오버랩 부분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conductive adhesive portion and an electrode portion,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entirely between the second overlap portion of the lower back electrode solar cell and the first overlap portion of the upper back electrode solar cell.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연결홀 내부 및
상기 제2 오버랩 부분의 일면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ode unit is inside the connection hole and
Disposed entirely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overlap portion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상기 도전성 접착부는 서로 접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lectrically connected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부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ive adhesive portion includes a high molecular compound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서로 교번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lternate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Rear electrode solar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오버랩 부분과 중첩되고, 제2 오버랩 부분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제2 오버랩 부분과 중첩되고, 제1 오버랩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후면 전극형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electrode overlaps the first overlap portion, does not overlap the second overlap portion,
The second electrode overlaps the second overlap portion and does not overlap the first overlap portion.
Rear electrode solar module.
KR1020180039780A 2018-04-05 2018-04-05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81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80A KR102581911B1 (en) 2018-04-05 2018-04-05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80A KR102581911B1 (en) 2018-04-05 2018-04-05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72A true KR20190116772A (en) 2019-10-15
KR102581911B1 KR102581911B1 (en) 2023-09-22

Family

ID=6820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780A KR102581911B1 (en) 2018-04-05 2018-04-05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9443A (en) * 2022-03-03 2022-06-21 浙江爱旭太阳能科技有限公司 Back contact solar cell str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US20220216357A1 (en) * 2019-05-23 2022-07-07 Alpha Assembly Solutions Inc. Solder paste for module fabrication of solar cel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134A (en) * 2010-04-19 2013-02-01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Solar cell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JP2013102179A (en) * 2004-06-01 2013-05-23 Merck Patent Gmbh Solar cell module
KR101816164B1 (en) * 2016-09-22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2179A (en) * 2004-06-01 2013-05-23 Merck Patent Gmbh Solar cell module
KR20130012134A (en) * 2010-04-19 2013-02-01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Solar cell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KR101816164B1 (en) * 2016-09-22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6357A1 (en) * 2019-05-23 2022-07-07 Alpha Assembly Solutions Inc. Solder paste for module fabrication of solar cells
CN114649443A (en) * 2022-03-03 2022-06-21 浙江爱旭太阳能科技有限公司 Back contact solar cell str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CN114649443B (en) * 2022-03-03 2024-04-16 浙江爱旭太阳能科技有限公司 Back contact solar cell str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cell assembly and photovolta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11B1 (en)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2282A (en) Integrated array of photovoltaic cells having minimized shorting losses
WO2016095859A1 (en) Solar cell slice, solar cell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bypass diode
KR20120018369A (en) Photovoltaic module string arrangement and shading protection therefor
JP2022537499A (en) Back-contact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8664512B2 (en) Photovoltaic module
KR20160001227A (en) Solar cell module
JP2006216608A (en) Solar battery module
CN113611766B (en) Solar cell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58807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hotovoltaic solar cell, photovoltaic solar cell and photovoltaic module
JP2020509585A (en) Back contact type solar cell st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dule and system
US20120273022A1 (en) Solar cell and assembly of a plurality of solar cells
KR20190116772A (en) A back contact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93447A (en) solar module
US10644181B2 (en) Photovoltaic module
US20180219109A1 (en) Sola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olar module
CN112673481A (en) Solar cell with wrap-around fingers
WO2020103358A1 (en) Solar cell sheet and solar cell assembly
JP2567294Y2 (en) Solar cell module
CN215988784U (en) Solar cell and photovoltaic module
JP3170914B2 (en)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2008607A (en) Solar cell module
US20210313479A1 (en) High Power Density Solar Module and Methods of Fabrication
CN115832076B (en) Electrode structure of back contact solar cell, assembly of back contact solar cell and photovoltaic system
KR20190043295A (en) Stile type solar cell module using divided cell
US20240072181A1 (en) A solar cel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