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962A -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 Google Patents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962A
KR20190115962A KR1020180039288A KR20180039288A KR20190115962A KR 20190115962 A KR20190115962 A KR 20190115962A KR 1020180039288 A KR1020180039288 A KR 1020180039288A KR 20180039288 A KR20180039288 A KR 20180039288A KR 20190115962 A KR20190115962 A KR 2019011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arbuds
case
function
ear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환
이강석
남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962A/en
Priority to PCT/KR2018/004857 priority patent/WO2019194344A1/en
Publication of KR2019011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6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ound equipment comprising: a case for receiving a pair of earbuds; a cov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forming an opening/closing of the case; fastening members respectiv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o rotate the cover in one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cover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earbud. The control unit transmits signals for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to each earbud along a direction where the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f the case accommodating the earbud can b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users.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Portable sound equipment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본 발명은 한쌍의 이어버드와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 device having a pair of earbuds and a case accommodating the same.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을 단자에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동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The sound device refers to a sound device that receives sound signals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the portable audio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ear jack terminal to use a wired method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but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portable audio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s explod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movement.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방식, 귀에다 걸거나 끼우는 방식과 같이, 휴대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휴대용 음향기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Portable audio devices have been increasing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portable audio devices considering portability and convenience, such as a headphone type that fits into a head shape to be carried on a user's body, and a method of hanging or inserting an ear.

휴대용 음향기기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뿐, 외부 단말기 없이는 활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음향기기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하거나, 라디오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별도의 단말기 없이도 자체적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도 등장하고 있다.The portable audio device on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le audio device cannot be utilized without an external terminal. Recently, a portable acoustic devic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by itself or directly receiving a radio signal to listen to music without a separate terminal has appeared.

특히, 출력된 음향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earbud) 경우, 크래들(cradle)이라고 불리는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쌍의 이어버드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손쉽게 귀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arbud (earbud) to be delivered to the user's ear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ound signal, the charging can be made while being stored inside the case called the cradle (cradle), by pulling a pair of earbuds from the case It can be easily worn on the ear.

다만, 종래의 이어버드를 수용하는 케이스는 한쪽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케이스에 수용된 이어버드에 고정된 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해당 기능이 부여된 이어버드를 직접 찾아 착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휴대용 음향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However, the case for accommodating the conventional earbud is made to open and close only in one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give a fixed function to the earbud accommodated in the case, the user has to find the earbuds grant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wear directly There is a ham. Therefore, in using the portable audio device, there is a need to find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어버드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덮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d is a structure of a portable audio device that can open the cover of the case for accommodating the earbud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의 개방 방향에 따라, 케이스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by providing a different function to each of the earbuds accommodated in the case, to provide a structure of a portable audio devic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will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한 쌍의 이어버드(earbud)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폐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고, 상기 각 이어버드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configured to receive a pair of earbuds; A cov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forming an opening / closing of the case; Fastening member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cas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ver, respectively, to rotate the cover in one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cover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earbud,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ignal for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to each earbud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각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각 이어버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a fastening ring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cover; And hinge parts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fastening ring, and the cover may rotate based on the hinge parts to expose each of the earbuds accommodated in the cas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각각 연결하는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제1 힌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양 방향으로 덮개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consisting of a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case and the cover, respectively, wherein the cover, the first hinge It can be support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when rotated by the branch and support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when rotat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the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힌지부에 의해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이어버드에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ignal to perform one function to the one earbud, and the other ear The bird may transmit a signal for performing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는 마그넷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is installed on an inner side of the cover, a hall sensor is install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on an inner side of the case, and the control unit is detected by the hall sensor. The opening of the cover is sens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signal for giving different functions to the earbuds when the opening of the cover is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에 L 기능 또는 R 기능을 부여하거나,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마스터(master) 기능을 부여하고, 상기 이어버드와 다른 이어버드에 슬레이브(slave)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by det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grants the L function or R function to each of the earbuds accommodated in the case, or the master (master) to any one earbud ), And it is possible to give a slave function to the earbuds and other earbud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어버드의 전원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각 이어버드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ive a master or slave function to each of the earbuds in consideration of a power charging state of each of the earbud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케이스의 덮개 개방이 체결부재의 양 측에 설치된 각 힌지부에 의해 양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케이스의 위치에 관계없이 덮개를 개방한 후, 수용된 이어버드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opening of the case can be made in both directions by each hinge portion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user is concerned with the position of the case. After opening the cover, the housed earbuds can be worn.

또한, 케이스의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케이스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전원 관리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of the case is opened, it can be set to provide different functions to each earbud accommodated in the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power management or user convenienc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덮개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은, 덮개가 제1 힌지부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덮개가 제2 힌지부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덮개가 제1 방향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b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덮개가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덮개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가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덮개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가 제어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덮개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가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덮개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2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is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s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6 shows how the earbud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s the cover is opened.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each earbud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s the cover is opened.
8 shows how the earbud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s the lid is opene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audio device is set by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cover is closed.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audio device is set by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cover op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덮개(120)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한 쌍의 이어버드(earbud), 케이스(110), 덮개(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덮개(120)의 움직임에 의해 케이스(110)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200)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earbuds, a case 110, a cover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0, and a cover 120 installed in the case 110. By the movement of the) it is possible to expose each of the earbuds 200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to the outside.

여기서, 이어버드(earbud)란 이동 단말기와 같은 음향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끼워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좌측과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어 음향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버드는 무선 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버드는 음향 신호 발생 장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페어링됨으로써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earbud serves to deliver sound by inserting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an acoustic signal generating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into a user's ear, and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user to deliver sound information. Do it. Earbuds may be made to receive a sound signal in a wireless manner to provide to the user. For example, the earbuds may be wirelessly paired with a sound signal generator (eg, a mobile terminal) us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to provide an acoustic signal to a user.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통신 방식의 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Examples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t may mean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technology.

각 이어버드(200a, 200b)는 서로 동일한 외형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귀에 좌측 또는 우측 구분없이 착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이어버드(200a, 200b)는, 무선통신부, 음향출력부, 센싱부, 마이크, 사용자 입력부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may have the same appearance as each other, and may be made to be worn on the user's ear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Each earbud 200a or 200b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udio output unit, a sensing unit, a microphone, a user inpu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음향출력부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귀에 끼워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und output unit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signal, and serves to deliver the sound to the user's ear. The microphone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to remove noise generated while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센싱부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상태와 주변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bud)가 케이스(110)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이어버드의 내부나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는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The sensing unit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nd surrounding conditions, and includes an illu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brightness,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input,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an earbud case. It may include an earbud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it is located at (110). The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arbud or inside the case 110. The user input unit may be an input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all button, a volume control button, a power button, and the like.

도 1a와 도 1b에서 보듯이,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한 쌍의 이어버드(200a, 20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0)의 개폐를 형성하는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1A and 1B,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ase 110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air of earbuds 200a and 200b and a case 11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It may include a cover 120 to 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케이스(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모서리는 사용자가 파지시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orm an exterior, and may have a rectangular box having one end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In addition, the corners of the case 110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when holding.

케이스(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이어버드를 수용하므로 크래들(cradle)이라고 불리며, 각 이어버드의 보관과 이어버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충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 이어버드(200a, 200b)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보관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case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nd is called a cradle because it accommodates each earbud, and may serve to charge for storage of each earbud and power supply of the earbud. have. Each earbud 200a and 200b may be charged while being stored in the case 110.

케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제1 커버부재(141), 회로기판 지지브라켓(150), 배터리 지지브라켓(172)이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member 141, the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150, and the battery support bracket 172 may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case 110.

제1 커부부재(141)에는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어버드(200a, 200b)의 외형에 대응되게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member 141 is formed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141a formed to be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so that the earbuds 200a and 200b may be seated. Can be.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케이스(110)의 개폐를 형성하는 덮개(120)가 설치되며, 덮개(120)의 개폐에 따라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외부 노출을 형성할 수 있다.A cover 12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ase 110 to 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e 110, and the outside of each earbud 200a and 200b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20. May form exposure.

덮개(120)는,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개구된 케이스(110)의 일단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덮개(120)의 케이스(110)의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안쪽면은 리세스되도록 이루어져 제2 커버부재(1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커버부재(142)는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리세스되도록 형성된 제2 수용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홈(142a)은 제1 수용홈(14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어버드(200a, 200b)가 제1 수용홈(141a) 및 제2 수용홈(142a)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The cover 120 serves to cover one end of the case 110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opened.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110 of the cover 120 may be recessed so that the second cover member 142 may be installed. The second cover member 142 may have a second receiving groove 142a formed to be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so that the earbuds 200a and 200b may be seated thereon. have.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142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141a, and the earbuds 200a and 200b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141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142a. Will be.

덮개(120)는 체결부재(130)를 통해 케이스(110)와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10)의 개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120 is coupled to the case 11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30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to 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e 110.

덮개(120)는 힌지부(131, 132)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의미하며 서로 대칭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ver 120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parts 131 and 132, respectively, to be opened in different first and second directions. Her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mean different directions and may mean direc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덮개(120)는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11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덮개(120)가 제1 힌지부(13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가리킨다.The cover 120 may open the case 110 while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131. Here, the first direction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portion 131.

또한, 덮개(120)는 제2 힌지부(132)를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110)의 개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앞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덮개(120)의 개방 방향과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over 120 may form the opening of the case 110 while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Here, the secon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120 that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에 의해 각각 덮개(12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됨으로써 덮개(120)는 양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120 can be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respectively, and the first hinge part 131. )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the cover 120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덮개(120)의 개방을 감지하고,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홀센서(182)와 덮개(1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넷(181)에 의해 덮개(120)의 개방과 개방된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각 이어버드(200a, 200b)에 서로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soun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cover 120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opening and the open direction of the cover 120 by the hall sensor 182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magnet 181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In response, the earbuds 200a transmit signals for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to the earbuds 200a and 200b.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a은, 덮개(120)가 제1 힌지부(131)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덮개(120)가 제2 힌지부(132)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120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131,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120 is open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to b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덮개(120)의 내측면에 마그넷(181a, 181b)이 설치되고,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그넷(181a, 181b)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182a, 182b)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181a, 181b)은 덮개(12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마그넷(181a, 181b)은 덮개(120)의 내측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위치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gnets 181a and 181b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and the magnets 181a and 181b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Hall sensors 182a and 182b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magnets 181a and 181b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For example, each of the magnets 181a and 181b may have a diago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Each may be located accordingly.

홀센서(182a, 182b)는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마그넷(181a, 182b)과 대응되게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110)의 내측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각각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o correspond to the magnets 181a and 182b. For example,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may be provided. Each may be located along.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각 홀센서(182a, 182b)와 각 마그넷(181a, 181b) 사이의 거리는 각각 d1에서 d2로, d1'에서 d2'로 각각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홀센서(182)를 통해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홀센서(182a, 182b)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면, 덮개(120)가 개방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홀센서(182a, 182b)에 의해 감지된 자기력이 설정된 값 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A,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as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131, the distance between each hall sensor 182a and 182b and the magnets 181a and 181b is respectively d1 to d2. , d1 'to d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will be reduced.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ognize that the cover 120 is opened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is gradually decreased. That is,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when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becomes smaller than a set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ct that the cover 120 is open.

또한,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따라 각 마그넷(181a, 181b)과 홀센서(182a, 182b) 간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면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제1 힌지부(131)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마그넷(181b)과 홀센서(182b) 사이의 거리(d1')은 제1 힌지부(131)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마그넷(181a)과 홀센서(182a) 사이의 거리(d1)보다 그 크기가 작은 값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d1과 d1' 사이의 거리값의 비교함으로써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s 181a and 181b and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is ch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As shown in FIG. 2A,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as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131, the magnet 181b and the hall sensor 182b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hinge portion 131 may be disposed. The distance d1 ′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magnet 181a and the hall sensor 182a that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hinge 1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by comparing the distance value between d1 and d1 '.

또한, 제어부는 홀센서(182)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경우, 덮개(120)가 폐쇄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홀센서(182)에서 감지된 거리 값의 비교를 통해 덮개(120)의 폐쇄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at the cover 120 is closed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is gradually increased, and further,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By comparing the values,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cover 120 may be recognized.

도 2b는, 덮개(120)가 제2 힌지부(132)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어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각 홀센서(182a, 182b)에 의해 덮개(120)의 개방 여부와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FIG. 2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and the control unit is opened by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Whether or no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can be recognized.

제2 힌지부(132)를 기준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각 홀센서(182a, 182b)와 각 마그넷(181a, 181b) 사이의 거리는 각각 d1에서 d2로, d1'에서 d2'로 각각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홀센서(182)를 통해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홀센서(182)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게 되면, 덮개(120)가 개방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홀센서(182)에 의해 감지된 자기력이 설정된 값 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따라 각 마그넷(181)과 홀센서(182) 간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면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ased on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the distances between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and the magnets 181a and 181b are respectively d1 to d2 and d1 'to d2'. Each will increase.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will be reduced.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ognize that the cover 120 is opened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becomes smaller. That is,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when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hall sensor 182 becomes smaller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ct that the cover 120 is open.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 181 and the hall sensor 182 is ch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힌지부(132)를 기준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제2 힌지부(132)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마그넷(181b)과 홀센서(182b) 간의 거리(d1')은 제2 힌지부(132)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마그넷(181a)과 홀센서(182a) 사이의 거리(d1)보다 그 크기가 작은 값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제어부는, d1과 d1' 사이의 거리값을 비교함으로써 덮개(120)의 개방 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B,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ased on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 181b and the hall sensor 182b position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D1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magnet 181a and the hall sensor 182a,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hinge 1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id 120 by comparing the distance value between d1 and d1 '. Will be.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홀센서(182)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 경우 덮개(120)가 폐쇄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홀센서(182a, 182b)에서 감지된 거리 값의 비교를 통해 덮개(120)의 폐쇄 방향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Similarly, 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at the cover 120 is closed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is gradually increased, and furthermore, it is detected by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By comparing the distance values,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lid 120.

도 3a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덮개(120)가 제1 방향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덮개(120)가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is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G. 3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is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한 쌍의 이어버드(earbud), 케이스(110), 덮개(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덮개(120)의 움직임에 의해 케이스(110)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200)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earbuds, a case 110, a cover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0, and a cover 120 installed in the case 110. By the movement of the) it is possible to expose each of the earbuds 200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to the outside.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한 쌍의 이어버드(200a, 20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0)의 개폐를 형성하는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20)는 체결부재(130)를 통해 케이스(110)와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10)를 개폐할 수 있다.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includes a case 110 configured to receive a pair of earbuds 200a and 200b and a cover 120 installed on the case 110 to form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e 110. It may include. The cover 120 is coupled to the case 11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30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case 110.

또한, 체결부재(130)는 체결링(133)과 힌지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120)는 체결링(133)에 설치되는 힌지부(131, 132)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체결링(133)의 서로 다른 위치에는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덮개(12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130 may include a fastening ring 133 and hinge parts 131 and 132, and the cover 120 may be formed around the hinge parts 131 and 132 installed in the fastening ring 133. Each can be rotated.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fastening ring 133, respectively.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120 can be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덮개(120)는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제2 힌지부(132)를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110)의 개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120 may open the case 110 while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rotate the case 110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part 132. ) Can be opened.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에 의해 각각 덮개(12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됨으로써, 덮개(120)는 양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acoustic devic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120 can be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respectively, and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1 are formed. Since the hinge parts 132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the cover 120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view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케이스(110), 덮개(120) 및 체결부재(13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10)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배터리 지지브라켓(172)과 배터리(171), 메인회로기판(160)과 회로기판 지지브라켓(150) 및 제1 커버부재(141)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체결부재(130)를 통해 덮개(1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개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 cover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0 in a configuration. In addition, a battery support bracket 172 and a battery 171, a main circuit board 160, a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150, and a first cover member 141 may b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case 110. Has a structure. The cover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e 110 may be formed.

케이스(110)의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배터리(171)가 장착되는 배터리 지지브라켓(172)이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브라켓(172)의 상부에는 회로기판 지지브라켓(150)에 고정된 메인회로기판(160)이 결합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160)은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전원 충전과 이어버드에 설정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신호 전송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어부로서의 기능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 battery support bracket 172 on which the battery 171 is mounted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110. The main circuit board 160 fixed to the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support bracket 172. The main circuit board 160 may perform a function as a controller by performing a function of charging power of each earbud 200a and 200b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give a function set to the earbud.

제1 커버부재(141)에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보관을 위해 제1 수용홈(141a)이 형성되며, 제1 수용홈(141a)은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장착될 수 있는 깊이까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홈(141a)은 회로기판 지지브라켓(150)에 형성되는 수용홀(151)을 향해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accommodating groove 141a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member 141 to store the ear buds 200a and 200b, and the ear accommodating grooves 141a are to be mounted with the earbuds 200a and 200b. It can be made to protrude in a downward direction to a depth that can be. The first receiving groove 141a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hole 151 formed in the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150.

제1 커버부재(141)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에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재(141)는 제1 수용홈(141a)에 위치되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ver member 14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alleviate the shock or vibration acting on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For example, the first cover member 14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position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41a.

덮개(120)의 내측에는 제2 커버부재(1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커버부재(142)는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수용되도록, 제2 수용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이어버드(200a, 200b)는 제1 수용홈(141a)과 제2 수용홈(142a)에 의해 안착되어 외부 충격에도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cover member 14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120. The second cover member 142 may be formed with a second receiving groove 142a such that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is accommodated. Each earbud (200a, 200b) is seated by the first receiving groove (141a)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42a)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in the external impact.

체결부재(130)는 제1 힌지부(131), 제2 힌지부(132) 및 체결링(13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링(133)은 덮개(120)를 힌지부(131, 132)를 기준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통해 덮개(120)의 움직임에 의한 케이스(11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fastening member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hinge part 131, a second hinge part 132, and a fastening ring 133. In this case, the fastening ring 133 represents one example for rotating the cover 120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arts 131 and 132, and the movement of the cover 120 through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pening of the case 110 may be made.

체결링(133)은, 케이스(110)와 덮개(120)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체결링(133)은 케이스(110)와 덮개(120)면에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며, 도 4와 도 5에서 보듯이, 총 3개의 체결링(133)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상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되는 체결링(133)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체결링(133)은 덮개(1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덮개(120)는 개폐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체결링(133)은 각 힌지부(131, 13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끼워져 덮개(120)의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astening ring 133 is installed to b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ase 110 and the cover 120. The fastening ring 133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10 and the cover 120,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a total of three fastening rings 133 are dispos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Could be. The fastening ring 133 located at the bottom in the drawing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fastening ring 133 located at the top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in a manner 120 ) Can be opened and closed. Specifically, each fastening ring 133 is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hinge parts 131 and 132 to allow the cover 120 to be moved.

제1 힌지부(131)와 제2 힌지부(132)는 체결링(133) 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덮개(120)는 제1 힌지부(131)에 의해 회전시 제2 힌지부(132)에 의해 지지되며, 제2 힌지부(132)에 의해 회전시 제1 힌지부(131)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양 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된다. 덮개(120)가 한 방향이 아닌 양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특정 방향으로만 덮개(120)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the fastening ring 133, and the cover 120 is rotated by the first hinge part 131. It is support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manner that is support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131 when rotat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Since the cover 12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instead of one direc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n the cover 120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또한,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홀센서(182a, 182b)를 지지하기 위한 홀센서 지지부재(182a)가 복수개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덮개(12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링(133)의 상부면에는 마그넷(181)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ll sensor support member 182a for supporting the hall sensors 182a and 182b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he magnet 18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133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홀센서(hall sensor, 182)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내는 센서를 의미한다. 마그넷(181)은 자성을 띄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홀센서(182)는 마그넷(181)과의 거리에 따른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hall sensor 182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 magnetic field by using a Hall effect in which a voltag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e magnet 181 mean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hall sensor 182 may serve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agnet 181.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덮개(120)의 내측면에는 마그넷(181)이 설치되고,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그넷(18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182)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 181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and the hall sensor 182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0 to correspond to the magnet 181.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이에, 앞서 도 2a 및 도 2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홀센서(182)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을 통해서, 제어부는 덮개(120)의 개방여부,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u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through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whether the cover 120 is open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도 6은,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FIG. 6 shows how the earbuds 200a and 200b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s the cover 120 is open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덮개(120)의 개방 여부와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whether the cover 120 is ope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to control the functions of each earbud 200a or 200b. Can b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덮개(120)가 양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제어부는 홀센서(18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120 is made to open in both directions, the controller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by using a signal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can do.

제어부는, 제1 힌지부(131)에 의해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버드에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131, the controller transmits a signal to perform one function of one earbud,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to the other earbud. And may transmit a signal for performing the second function.

각 이어버드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버드와,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버드로 그 역할이 구분되어 사용된다. 제어부는 제1 힌지부(131)에 의해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버드에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Each earbud is divided into earbuds worn on the user's left ear and outputting sound, and earbuds worn on the user's right ear and outputting sound.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art 131, the controller transmits a signal to one earbud to perform a first function, and the other earbud is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performing the two functions.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a)에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맞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기능(L 기능)을 부여하고, 다른 일측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b)에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맞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기능(R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grants a function (L function) to outpu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left ear to the earbud 200a positioned at one side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and the earbud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A function (R function) can be given to 200b to output a sound suitable for a user's right ear.

제어부는, 덮개(120)가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는 도면상에서 사용자의 안면부의 왼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a)에 왼쪽 귀에 맞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L 기능)을 부여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b)에 오른쪽 귀에 맞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R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서 여는 경우나,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여는 경우에도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 L기능을, 오른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 R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when the cover 120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131 and opened, the control unit outputs a sound to fit the left ear to the earbud 200a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user's face in the drawing. A function (L function) can be given, and a function (R function) for outputting sound to fit the right ear can be given to the earbuds 200b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even when the user pulls the cover 120 with a finger to open the cover 120 or when the user opens the cover 120 by pushing the cover 120 with a finger. As a reference, the L function can be given to the earbuds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 function can be given to the earbuds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사용자는 사용자의 몸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제1 방향으로 개방하거나, 사용자의 몸과 먼쪽에 위치되는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제2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can push the cover 120 positioned adjacent to the user's body with a finger to open it in the first direction, or pull the cover 120 positioned away from the user's body with the finger to open the second direction. do.

덮개(120)가 제1 힌지부(13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는 도면상에서 사용자의 안면부의 왼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a)에 왼쪽 귀에 맞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L 기능)을 부여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b)에 오른쪽 귀에 맞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R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ver 120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hinge 131 to be opened, the controller outputs a sound to fit the left ear to the earbud 200a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user's face in the drawing (L). Function) and a function (R function) for outputting sound to fit the right ear to the earbuds 200b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

즉, 제어부는 덮개(120)의 개방 방향 및 덮개(120)의 개방에 따라 감지된 물체 정보를 조합하여 각 이어버드에 L 기능 또는 R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may give the L function or the R function to each earbud by combining the object information detected according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120 and the opening of the cover 120.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덮개(120)의 일 측에 설치되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사용자의 몸이 감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각 이어버드에 L 기능 또는 R 기능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cover 120 is opened, the L function or R on each earbu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user's finger or the user's body is detected by an object sensor (not show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ver 120. The function can be set.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몸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제1 방향으로 개방하는 경우, 덮개(120)가 제1 방향으로 개방되는 경우, 물체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몸이나 손가락이 계속해서 감지될 것이므로, 제어부는 제1 방향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감지되는 물체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는 L 기능을, 오른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는 R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cover 120 positioned adjacent to the user's body is pushed with a finger to open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object is detected by an object sensor (not shown). Since the user's body or finger will continue to be detected, the control unit has an L function on the earbud locat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detected object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on the earbud located on the right side. R function can be given.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몸과 먼쪽에 위치되는 덮개(12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제2 방향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시적으로 감지되거나 혹은 감지되지 않을 것이므로, Similarly, when the user pulls the cover 120 positioned away from the user's body with a finger to open it in the second direction, the user's finger is temporarily detected or not detected by the object sensor (not shown). Will not,

제어부는 제2 방향으로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덮개(120)의 개방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 L기능을, 오른쪽에 위치되는 이어버드에 R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When the cover 120 is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ntroller may provide an L function to the earbud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an R function to the earbud locat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120.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7은,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제어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arbuds 200a and 200b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s the lid 120 is open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덮개(120)의 개방 여부와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식하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portabl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whether the cover 120 is ope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and uses each earbud 200a and 200b by u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sensor. You can control the function of.

제어부는 홀센서(18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감지한 후,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by using a signal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and then controls the function of each earbud 200a or 200b by using the detected information. do.

또한,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는 마스터(master) 기능을 부여하고, 상기 이어버드와 다른 이어버드에는 슬레이브(slave)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grant a master function to one earbud and a slave function to the other earbuds.

좌우 다른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소스를 좌우 2개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TWS(True Wireless Stereo)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이어버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와 슬레이브 이어버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방향은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provide stereo sound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different left and right sound signals, a true wireless stereo (TWS) technology may be used, in which an audio source input from an external terminal is separated into two left and right channels and output.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master earbud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lave earbud is generally fixed.

덮개(1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보관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 중 어느 하나에 마스터(master)의 기능을 부여하고 다른 나머지 이어버드에 슬레이브(slave) 기능이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earbuds 200a and 200b are stored in the case 110 while the cover 120 is closed, the control unit functions as a master in any one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And other slave earbuds.

여기서, 이어버드가 마스터(master)의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고, 이어버드가 슬레이브(slave)의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Here, when the earbuds operate as a master function, the first function may be performed, and when the earbuds operate as a slave function, the second function may be performed.

마스터 기능을 갖는 이어버드와 슬레이브 기능을 갖는 이어버드의 간에는 A2DP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버드에서 기본적인 제어를 하고, 슬레이브 기능을 하는 이어버드는 마스터 기능을 하는 이어버드에서 분리된 사운드만을 전송받아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이어버드 모두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필요는 없다.The A2DP method is generally used between the earbuds having a master function and the earbuds having a slave function. The basic control is performed on the earbuds performing the master function, and the earbuds acting as the slave function are used in the earbuds serving as the master function. Only separated sound is received and output. Thus, not all of the earbuds need to transmit or receive a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제어부에 의해 덮개(120)의 개방이 인지되는 경우,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전원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충전된 전원이 큰 이어버드에 마스터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이어버드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하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ning of the cover 120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s into account the power charging state of each earbud 200a or 200b, and the charged power source has a large earbud. It can be given a function as a master, and the earbuds can be given a slave function.

이때,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케이스(110)의 수용된 각 이어버드(200a, 200b)를 기준으로 양단에 LED 램프(183a, 183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 마스터 기능이 부여된 이어버드(200b)가 위치하는 LED 램프(183b)에 빛이 방사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LED lamps 183a and 183b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110 based on each of the received earbuds 200a and 200b of the case 110. In this case,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to be applied so that light is emitted to the LED lamp 183b in which the earbud 200b to which the master function is applied is located.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에 충전된 전원 상태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전원이 충전된 상태의 이어버드(200b)에 마스터 기능을 부여하도록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전원이 충전된 상태의 이어버드(200a)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이어버드의 효율적인 전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ower states charged to the earbuds 200a and 200b, sets the earbuds 200b in a state where a relatively large power is charged, and sets a master function, and a state in which a relatively small power is charged. The earbuds 200a may be set to give a slave function. This ensures efficient power management of each earbud.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에 충전된 전원 상태를 인지한 후, 충전된 전원이 큰 이어버드(200b)에 마스터(master) 기능을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recognizes a power state charged in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and then controls to give a master function to the earbud 200b in which the charged power is large. It becomes possible.

도 8은,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각 이어버드(200a, 200b)가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8 shows that the earbuds 200a and 200b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s the cover 120 is opened.

앞서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도록, 제어부는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a)에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맞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기능(L 기능)을 부여하고, 다른 일측에 위치되는 이어버드(200b)에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맞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기능(R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he control unit grants a function (L function) to output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left ear to the earbud 200a positioned at one side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And, the earbuds (200b) located on the other side can be given a function (R function) to output a sound for the right ear of the user.

또한,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에 충전된 전원 상태를 고려하여, 마스터 기능 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이어버드(200a, 200b) 간에 충전된 전원의 크기가 유사한 경우(충전된 게이지가 동일한 경우 포함)에는 제어부는 임의로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마스터 기능을, 다른 이어버드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하거나, 두 개의 이어버드 모두에 마스터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may assign a master function or a slav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 power state charged in each earbud 200a or 200b. As shown in FIG. 8, when the size of the charged power is similar between the earbuds 200a and 200b (including when the charged gauges are the same), the controller arbitrarily provides a master function to one earbud and another earbud. It may be possible to assign a slave function to the master or a master function to both earbuds.

이때, 케이스(110)에 설치된 각 LED 램프(183a, 183b)에는 사용자가 마스터 기능이 부여된 이어버드(200a, 200b)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마스터 기능이 부여된 이어버드에 인접한 LED 램프(183a, 183b)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LED lamp (183a, 183b) installed in the case 11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earbuds (200a, 200b) to which the master function is given, the control unit LED lamp adjacent to the earbuds to which the master function is given At 183a and 183b, light may be controlled to be irradiated.

도 9와 도 10은, 이동 단말기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9 and 10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is set by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mobile terminal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100 (eg, smart watch, smart glass, HMD ( head mounted display).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는 홀센서(182)에 의해 감지된 자기력의 세기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여 덮개(120)의 개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각 홀센서(182) 간에 감지되는 자기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덮개(120)가 개방되는 방향을 인지한 후 케이스(110)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에 L 기능 혹은 R 기능을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충전된 전원 상태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는 마스터 기능을, 다른 이어버드에는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hether the cover 120 is opened by detecting tha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82 is reduced,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etween each hall sensor 182 is detected. After comparing the sizes and recogniz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2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give an L function or an R function to each earbud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give a master function to one of the earbuds and a slave function to the other earbud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ed power state of each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이때, 이동 단말기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전원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충전된 에너지 레벨이 높은 이어버드에 마스터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earbuds (200a, 200b), the controller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harging state of each of the earbuds (200a, 200b), the master function to the earbuds with a high energy level charged to the user It may provide a notification about whether to set the.

사용자가 에너지 레벨이 높은 이어버드에 마스터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는 각 이어버드(200a, 200b) 간에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기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 각 이어버드가 수용된 상태로 덮개(120)가 닫혀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120)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각 이어버드(200a, 200b)의 전원 충전 상태를 알림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 인가에 의해 이어버드(200a, 200b)의 전원 충전 레벨에 따라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 기능을 부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기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grant the master function to the earbud with a high energy level, the controller allows the master or slave function to be switched between the earbuds 200a and 200b. This is not only when the cover 120 is closed with each earbud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as shown in FIG. 9, but also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as shown in FIG. 10. By notifying the power charging state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and controlling the granting of a master or slave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charging level of the earbuds 200a and 200b by applying a user's touch input, the devic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ing state. Enable opera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4)

한 쌍의 이어버드(earbud)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폐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고, 상기 각 이어버드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A case configured to receive a pair of earbuds;
A cov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forming an opening / closing of the case;
Fastening member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cas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ver, respectively, to rotate the cover in one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cover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earbu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ignals for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to the earbud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덮개가 어느 일 방향으로의 개폐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각각 연결하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폐 가능하며,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제1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connecting the case and the cover and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The cover may b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hinge when rotated by the first hinge and supported by the first hinge when rotated by the second hinge. Portable audio equipment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의해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제1 기능을 수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다른 이어버드에는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cover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unit, transmits a signal for performing a first function to any one earbud, and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to the other earbud. Portable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perfor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면의 일 측에는 마그넷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며 상기 덮개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magnet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hall sens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pening of the cover by the magnetic forc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and when the opening of the cover is detected, each of the earbuds transmits a signal for giving a different function to each other. Portable audio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덮개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홀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gnet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he Hall sensor, a portable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넷과 상기 각 홀센서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magnet and the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is loca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기력이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각 이어버드에 서로 다른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ler may detect that the cover is open when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hall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 a signal for driving differently to the earbu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각 이어버드에 대해 좌측(Left) 또는 우측(Right)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nse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to perform a left or right function on each earbud accommodated in the cas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이어버드에 마스터(master) 기능을 부여하고, 상기 이어버드와 다른 이어버드에 슬레이브(slave)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provides a master function to one of the earbuds and a slave function to the earbuds and the other earbud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어버드의 전원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충전된 전원이 큰 이어버드에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aster function on the earbud with a large charged power in consideration of a power charging state of each earbu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는 상기 각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덮개가 닫히는 경우 상기 힌지부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체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cover is por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ring configured to engage the hinge portion when the cover is closed while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respective hinge parts. Sound equip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부는, 상기 체결링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1,
Each hinge portion, the portable soun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fastening ring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각 이어버드의 안착을 위해 제1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커버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각 이어버드의 안착을 위해 제2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2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ver member fitt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seating each of the earbuds; And
And a second cover member fitted inside the cover and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cover member and hav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seating each of the earbud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용홀이 형성되는 회로기판 지지브라켓;
상기 회로기판 지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각 이어버드의 제어를 위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 회로기판; 및
상기 메인 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이어버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A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over member and having a receiv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 main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upport bracke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arbuds; And
And a battery support bracket installed under the main circuit board and mount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earbuds.
KR1020180039288A 2018-04-04 2018-04-04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KR2019011596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88A KR20190115962A (en) 2018-04-04 2018-04-04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PCT/KR2018/004857 WO2019194344A1 (en) 2018-04-04 2018-04-26 Portable audio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88A KR20190115962A (en) 2018-04-04 2018-04-04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62A true KR20190115962A (en) 2019-10-14

Family

ID=6810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288A KR20190115962A (en) 2018-04-04 2018-04-04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5962A (en)
WO (1) WO2019194344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59B1 (en) * 2020-01-10 2020-10-16 (주)마키나 Wireless sound device set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KR102166637B1 (en) * 2019-10-30 2020-10-16 주식회사 블루콤 Cradles for bluetooth headsets
KR20210098774A (en) * 2020-02-03 202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21162364A1 (en)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voltage
WO2022119410A1 (en)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torage device mount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nducing normal mounting
WO2023027213A1 (en) * 2021-08-26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radle and portable audio device
WO2024025164A1 (en) * 2022-07-29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First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second electronic device, method therefor, and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first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2407B2 (en) * 2020-02-11 2024-01-23 Reshma N Kheraj Charging case for earbuds
CN113243115B (en) * 2021-02-03 2022-11-25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Earphone charging box and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thereof
CN116419113A (en) * 2021-12-31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Wear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07B1 (en) * 2006-10-1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ging cradle for head set device and speaker cover for head set device
KR101004715B1 (en) * 2010-05-12 2011-01-04 필스전자 주식회사 Earphone package
US8714358B2 (en) * 2011-06-27 2014-05-06 Béla Debitzky Earphone protector device
US9148717B2 (en) * 2014-02-21 2015-09-29 Alpha Audiotronics, Inc. Earbud charging case
EP3570557B1 (en) * 2015-09-30 2022-03-23 Apple Inc. Earbud case with charging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37B1 (en) * 2019-10-30 2020-10-16 주식회사 블루콤 Cradles for bluetooth headsets
KR102166659B1 (en) * 2020-01-10 2020-10-16 (주)마키나 Wireless sound device set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KR20210098774A (en) * 2020-02-03 202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21162364A1 (en)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voltage
WO2022119410A1 (en)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torage device mount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nducing normal mounting
WO2023027213A1 (en) * 2021-08-26 2023-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radle and portable audio device
WO2024025164A1 (en) * 2022-07-29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First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second electronic device, method therefor, and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first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344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962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system
US10587943B2 (en) Earpiece with wirelessly recharging battery
AU2020244539B2 (en) Wireless earbuds
KR101885734B1 (en) A case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using earphones
US9602907B2 (en) Earbud charging case
CN107078550A (en) Wireless transceiver of the assist power to machine
KR102602642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10286615A1 (en)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WO2015126572A1 (en) Earbud charging case
WO2018133323A1 (en) Wireless headset devi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WO2017086553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DK180836B1 (en) Case with magnetic over-center mechanism
JP2012100248A (en) Cradle
KR102550056B1 (en) Cover including repeater coil member for wireless charging 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17858A (en) Cradles and portable audio devices
KR20220022707A (en) Audio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status of audio output device
US11240584B2 (en) Earphone systems
KR20200013541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e coil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10678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KR102251322B1 (en) Earphone apparatus and earphone system having the same
WO2021044391A1 (en) Storage cases to store an earphone system
CN115278425A (en) Wireless earphone system and wireless earphone
KR20220094863A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audio output device using power supply device
KR20160116555A (en) Speaker mounted by headset and headse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087356B1 (en) Device case with sp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