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431A -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431A
KR20190115431A KR1020190053780A KR20190053780A KR20190115431A KR 20190115431 A KR20190115431 A KR 20190115431A KR 1020190053780 A KR1020190053780 A KR 1020190053780A KR 20190053780 A KR20190053780 A KR 20190053780A KR 20190115431 A KR20190115431 A KR 2019011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block
blocks
chain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노문
김용운
김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5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431A/ko
Publication of KR2019011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Cube Chain은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더욱 빠르고, 정밀한 데이터 처리 및 강화된 보안시스템 을 가진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Cube Chain은 생성된 27개의 블록을 하나의 큐브로 형성하고, 큐브와 큐브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보관하는 신개념 블록체인 원천기술이다. Cube Engine은 Cube Chain의 코어 기술로서, 블록을 큐브화(Cubing)시키고, 큐브를 이루는 27의 블록 중 3개의 특수한 기능을 가진 블록을 형성하여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또한, 블록화와 큐브화 를 거치는 2중 암호화 방식으로 인터넷이라는 신뢰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서 신뢰를 만들어 데 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암호화 기술이다.

Description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Cube type data link structure and data linking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거래내역이 공개된 기록장부, 즉 공공거래 장부 라고도 부르며, 암호화화폐를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특히 블록체인이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이유는 중앙관 리 기관 없이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은 P2P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노드가 모든 거래 장부를 복사 해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를 검증하기 때문에 사실상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4차 산업혁 명의 핵심 인프라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점점 뜨거워지면서,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노력 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비트코인에 대한 단점이 제기되자 2017년 8월, 하드포 크를 통해 분열되면서 새로운 BCH(Bitcoin Cash)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의 단점은 무엇일까? 첫째, 채굴로 인한 막대한 자원 낭비. 둘째, 사용자의 급증에 따라 거래 시 처리 속도가 느린 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랜 연구를 통해 블록체인의 새로운 기술혁명 'Cube Chain'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66193호 한국 등록특허 10-1827373호
오랫동안 제기된 블록체인 기반 비트코인의 단점은 첫째, 채굴로 인한 막대한 자원 낭비.
둘째, 사용자의 급증에 따라 거래시 처리 속도가 느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27개의 블록을 생성, 그 블록들이 하나의 큐브가 되면서 체인으로 연결된 신개념 원천기술입니다.
Cube Chain은 보안성이 뛰어나다.
모든 블록은 바로 전 블록의 Hash값을 기준으로 생성된다. 앞뒤 블록이 Hash값으로 연결되어 있 고, 이를 블록체인이라 부른다. Hashing이란 데이터를 정해진 길이에 무작위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변환시키는 작업을 의미하며, 블록의 내용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32바이트 결과값으로 치환한다. Hashing된 Hash값은 암호화되어 그 다음 블록과 연결된다. Cube Chain에서는 이렇게 1차암호화 된 블록체인 27개를 연결하여 하나의 큐브로 만들어진다. Cubing 작업이 완료되면, 하나의 큐브에 해당되는 새로운 Hashing작업이 이루어지며, 그 다음 큐브와 연결 되는 2차 암호화작업이 이루어 진다. 2중 암호화작업으로 더욱 우수한 보안성을 가진다.
Cube Chain은 동일 시간 대비 거래장부 처리량이 많다.
기존 블록체인은 정해진 시간에 1개의 노드만 거래장부를 처리하지만, Cube Chain은 24개의 노드 가 거래장부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비해 시간 대비 거래장부 처리량이 훨씬 많다.
Cube Chain은 에스크로 기능을 탑재했다.
에스크로 기능을 탑재한 Cube Chain은 코인으로 트랜잭션을 할 때 제3자를 개입시켜 승인을 해 줘야만 사용이 가능한 비트코인 등 기존의 많은 코인들이 불가능했던 안전한 신용결제가 가능하다.
Cube Chain의 채굴방식은 보다 효율적이다.
Cube Chain은 POW+POS Hybrid 방식을 응용하여 기존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채굴방식에 비 해 소요되는 자원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있다.
종래의 블록체인과의 성능대비표를 아래에 보인다.
Figure 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록 체인의 데이터 처리 기능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 블록 인덱스을 사용한 데이터 처리 기능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덱싱 블록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블록체인에서의 검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tatistics Block의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crow Block을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Escrow Block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crow Block을 이용한 방식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인 보상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을 활용한 보안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을 활용한 의료정보교류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을 활용한 골프 예측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Cube Chain은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더욱 빠르고, 정밀한 데이터 처리 및 강화된 보안시스템 을 가진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Cube Chain은 생성된 27개의 블록을 하나의 큐브로 형성하고, 큐 브와 큐브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보관하는 신개념 블록체인 원천기술이다. Cube Engine은 Cube Chain의 코어 기술로서, 블록을 큐브화(Cubing)시키고, 큐브를 이루는 27의 블록 중 3개의 특수한 기능을 가진 블록을 형성하여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또한, 블록화와 큐브화를 거치는 2중 암호화 방식으로 인터넷이라는 신뢰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서 신뢰를 만들어 데 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암호화 기술이다.
1. 큐빙(cubing)
27개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로 만드는 큐브화 기술을 뜻한다. 거래장부를 기록한 24 개의 블록과 큐브화가 진행되면서 동시에 생기는 3개의 특수블록이 합쳐져 하나의 큐브를 생성한 다. 27개의 블록이 생성됨과 동시에 큐브화는 진행되며, 생성된 큐브는 또 하나의 Hash값을 만든 다. 이 후 기록되는 모든 장부들은 지속적으로 Cube를 만들고, Hash값은 블록과 블록이 아닌 큐브와 큐브를 잇는다. 이는 블록이 연결되면서 생기는 1차 암호화, 큐브가 연결되면서 생기는 2차 암호화 현상을 만들어내며,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훨씬 강력한 암호화 기술을 가진다.
Cubing이 시 작됨과 동시에 Cube 내에선 3개의 특수 블록이 생성된다. 그것은 각각 Indexing Block, Statistics Block, Escrow Block으로 불리우며,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2. 특수 블록
Cube내 27개의 블록 중 3개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다. Indexing, Statistics, Escrow 기능을 가진 이러한 특수블록은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거나, 안전한 거래를 진행하게 한다.
2.1 Indexing Block
Indexing Block은 전체 블록에 대한 데이터를 색인 한 블록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검색기능을 강화한다.
기존의 블록체인 방식에서 특정 지갑주소에 관한 거래 내역을 검색할 때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여 야 한다. 모든 데이터에 대한 검색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 러나 Indexing Block은 전체 거래에 포함된 전자지갑을 주소별로 거래가 이루어졌던 블록높이를 정리한 데이터 블록이기 때문에, 인덱싱 블록만 검색하면 해당 검색자료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찾을 수 있다.
Indexing Block 내에는 예를 들어, A라는 주소: 20,32,105,201,302 블록높이, B라는 주소: 3,102,201,1001 블록높이, C주소 ...... 위와 같이 모든 주소들을 주소값 순서대로 정리한 후, 해당되는 블록높이를 주소값에 맞게 정리해 져 있다. 검색자가 b주소내 특정거래를 검색하고 싶을 때, Indexing Block 내 정리되어 있는 b주소 - 특정거래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인텍싱블록의 목적은 특정주소에 대한 이력을 빠르게 찾고 쉽게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자지갑의 목록 출력이나 이력제공, API 제공 시 빠른 속 도로 구현된다.
2.2 Statistics Block
전체 블록에 대한 통계 값을 정리함으로써 Statistics Block을 이용하면 빠른 시간내에 정리된 내 용으로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다. 응용서비스와 각종 API에서도 빠른 로직 구현과 다양한 활용성 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Statistics Block내에서 POS 대상자가 5,000이상이므로 잔고 5,000이상인 전자지갑 주소에 대한 데이터, 잔고가 많은 전 자지갑 상위 리스트 1,000개, 이체 횟수가 100회이상인 전자지갑 리스트를 모아둘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성이 많은 통계 데이터를 모아두어, 언제든지 필요할 때 리스트 를 빠르게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는 전체 블록에 대한 통계 값으로 정리된 내용이 없다면 검색 시 많은 시간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Statistics Block을 이용하면 빠른 시간내에 정리된 내용으 로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다.
2.3 Escrow Block
에스크로 거래는 거래체결이 되더라도 받은 지갑에서 즉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반드시 승인이 이루어져야만 사용할 수 있는 거래이다. 일반 거래는 24개의 데이터에 분산되어 기록되지 만 에스크로 거래시에는 에스크로 블록에 기록된다.
가상화폐 에스크로 이체 시 승인 암호화키를 만들어 거래 할 수 있고 승인 암호화키를 송신인과 수신인이 암호화 키를 통해 승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승인 암호화키는 자동 생성 방식과 송 신인이 만들어서 보내는 방식이 있다. 암호화키 승인 허용 방식에서도 송신인만 승인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수신인 측에서 승인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으며, 송신인과 수신인 둘 다 허용 해야 승인 가능한 방법이나 송신인과 수신인 한 곳에서만 허용해도 승인 가능한 방법도 처리 가 능하다. 또한, 일정기간후 자동승인 방식도 있는데 이때 승인키로 자동승인을 해제하지 않는 한 일정기간후 승인되어 수신인에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자동승인 해제를 하면 송신인 측 에서 승인 허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며 이렇게 에스크로 상태가 허용시까지 유지된다. 그렇게 되 면 수신인은 거래를 취소할 수는 없지만 송신인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거래나 계 약을 지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승인키 허용방식에서 수신인 승인 허용방식은 송신인 측에서 이 메일이나 메신저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 승인키를 전달하면 된다.
기존의 에스크로 거래는 중계자가 거래자 간의 중간에서 거래의 매개 역할을 했다면 에스크로 블 록은 중계자가 없는 에스크로 기능이 특징이다. 물론 서비스 구현에 따라 기존의 방식처럼 제3자 가 중간 매개 역할도 가능합니다만 직접 당사자간 거래로만 에스크로를 도입할 수 있다는 큰 특징점이 있다.
온라인 쇼핑몰, 오픈마켓 뿐만 아니라 쇼핑몰이 없는 개인간의 직거래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안전 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3. 2중암호화
시간순으로 발행된 거래내역을 포함한 블록들은 노드들에 의해 생성이 된다. POW 또는 POS 방 식을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은 생성되는 과정에서 Hashing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는 다음 블록 생 성시 이전 Hash값을 검증한다. 매 블록은 바로 전 블록의 Hash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이어 져 블록체인을 이룬다. 한 블록이 생성될 때 이루어지는 Hashing 작업을 1차 암호화 작업이라 부 른다. 무작위로 이루어진 문자열(Hash)은 그 안의 데이터의 크기나 내용은 알 수 없다.
이렇게 이어진 블록들 중 24개 블록과 3개의 특수 블록이 생성되는 동시에 하나의 큐브로 만들 어지는 Cubing 작업이 이루어진다. Cubing 작업 시 하나의 큐브에 해당하는 Hashing 작업이 새 로 진행된다. 하나의 큐브에 대한 Hash값이 생성되면 다음 큐브 생성시 이전 큐브 Hash값을 가 지고 이어진다. 이를 2차 암호화 작업이라 부른다. 이는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훨씬 강력한 암호화 기술을 가진다
4. POW+POS Hybrid방식
Cube chain는 POW+POS Hybrid 방식을 채택하여 마이너의 네트워크 참여를 유도하면서 전력 낭 비를 줄이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POW와 POS 혼용 시 POS를 계산하여 지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Cube Engine의 Statistics Block 통계기능으로 계산에 대한 단점을 없애고 POW와 POS 비율을 확정했기에 밸런스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OS 참여 조건은 지갑에 최소 5,000개 이상의 Cube Coin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조건에 부합 되는 대상자에게 잔고 비율에 따른 코인보상 지급을 한다.
5. Cube Coin
Cube Chain은 50년동안 총 120억개의 Cube Coin을 발행한다. 5년간격으로 POW와 POS의 비율이 변화한다.
6. 솔루션 & 어플리케이션
Cube Chain에서는 다양한 솔루션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으로, Cube Chain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한 다. 금융, AI와 결합한 IoT, 보안시스템, 병원, 예측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가능 하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사회 전반의 혁신적인 변혁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6.1. 보안로그인시스템 Security Login System (SLS)
Cube Chain을 활용한 보안 로그인 플랫폼은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분 산 및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접속 서비스를 통해 유입된 하나의 통합 로그인 아이디(One ID)의 개인정보와 로그인 시 지문, 홍채, 생체인식, 휴대폰 핀코드, 통신사 인증정보, 신분증 스캔 등으로 발급된 디지털 증명서를 큐브(블록)에 저장하고 분산되어 있는 큐브(블록)에서 대조/확인함 으로써 하나의 단독서버의 해킹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6.2 의료정보교류플랫폼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Platform (MIEP)
의료정보가 서로 통합되어 있는 않은 한국 사회에서 환자는 병원을 옮길 때마다 기존 병원의 의 료정보를 가지고 가야만 한다. 이는 시간과 비용의 낭비이며 환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Cube Chain은 의료병원을 연계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Cube Chain 기반의 블록DB에 저장하여 서로 공유하며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타인에게 노툴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의료정보 교류 플랫 폼을 제시한다.
6.3. 골프예측프로그램 Golf Prediction Program (GPP)
GPP는 골프 경기 시작전에 미리 순위를 예측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국제 골프경기 일정을 프로 그램에서 미리 공지하고 사용자는 지정한 일정기간 내에 선수에게 베팅을 할 수 있다. 베팅은 Cube Coin으로만 가능하며 출금/입금도 Cube Coin으로만 할 수 있다. 범주형이 아닌 연속적인 데 이터로 통계를 산출하고, 상관관계 추적 계수 산출 및 정밀 적합성 회귀분석알고리즘, 추세추적알 고리즘, 분포변형(환산값, 사이값, 누락값 산출), Interpolation metho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한 다. NORMAL 분포를 백분위 균등분포화로 모든 데이터 상호 호환하는 사표준화 서열 지수법과 기록과 지수값 연관기술 및 시간 영향률 평가 예측법도 구현하여 더욱 정확한 예측 시스템을 구 축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으로 Cube Coin 활성화와 상용화, 마케팅 효과까지 기대한다.

Claims (1)

  1. 27개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로 만드는 큐브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27개의 블록은 거래장부를 기록한 24 개의 블록과 큐브화가 진행되면서 동시에 생성하는 3개의 특수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나의 큐브를 구성하는 27개의 블록 각각은 블록이 생성될 때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체인 연결방법.
KR1020190053780A 2019-05-08 2019-05-08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190115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80A KR20190115431A (ko) 2019-05-08 2019-05-08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80A KR20190115431A (ko) 2019-05-08 2019-05-08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299 Division 2018-04-02 2018-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431A true KR20190115431A (ko) 2019-10-11

Family

ID=6821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780A KR20190115431A (ko) 2019-05-08 2019-05-08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4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93B1 (ko) 1995-12-30 1999-02-18 석진철 중장비의 아암굴삭력 증대장치
KR101827373B1 (ko) 2017-08-29 2018-02-08 주식회사 더블체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93B1 (ko) 1995-12-30 1999-02-18 석진철 중장비의 아암굴삭력 증대장치
KR101827373B1 (ko) 2017-08-29 2018-02-08 주식회사 더블체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vez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DAG-based blockchain architectures
CN110582793B (zh) 分布式交易共识网络上数字财产交易的匿名性和可追踪性
Worley et al. Blockchain tradeoffs and challenges for current and emerging applications: generalization, fragmentation, sidechains, and scalability
Herrera-Joancomartí et al. Privacy in bitcoin transactions: new challenges from blockchain scalability solutions
Kaur et al. Scalability in blockchain: Challenges and solutions
TW202029086A (zh) 基於區塊鏈的存證方法和裝置
Tsai et al. A multi-chain model for CBDC
Chaudhary et al. Double-spending analysis of bitcoin
KR20200073803A (ko) 블록체인 전자지갑 관리 시스템
Zhao Graph-based forensic investigation of bitcoin transactions
Sohan et al. Increasing throughput and reducing storage bloating problem using ipfs and dual-blockchain method
Bharti A study of emerging areas in ado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prospective challenges in India
CN110493323A (zh) 基于区块链的公平性文件分发方法、系统及存储介质
Rust Banking on blockchain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reshaping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economies
KR20190115431A (ko) 큐브 형태의 데이터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190115398A (ko) 큐브 체인을 이용한 챗봇 기반의 콜센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Van Hee et al. A new digital currency system
KR102538988B1 (ko) 큐브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Murugan et al. Preventing the bitcoin Double Spend using Transaction Hash and Unspent Transaction Output
Mwale Modelling the dynamics of the bitcoin blockchain
Azad An introduction to cryptocurrency investigations
Iushkevich et al. D3ledger: The decentralized digital depository platform for asset management based on hyperledger iroha
Ali et al. An Efficient E-Voting Algorithm and Dapp Using Blockchain Technology
Mvula et al. A blockchain based mobile money interoperability scheme
Zilnieks Choosing a Consensus Mechanism for a Blockchain Based P2P Instant Transaction System Integrated with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