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37A - Position tracking system - Google Patents

Position trac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37A
KR20190115237A KR1020180038027A KR20180038027A KR20190115237A KR 20190115237 A KR20190115237 A KR 20190115237A KR 1020180038027 A KR1020180038027 A KR 1020180038027A KR 20180038027 A KR20180038027 A KR 20180038027A KR 20190115237 A KR20190115237 A KR 2019011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7617B1 (en
Inventor
이상호
강원석
윤상훈
문제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3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617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location tracking system, which comprises: a wearable device worn on a person to be protected and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and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providing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a protector or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regarding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to first determine the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in the monitoring device. The monitoring device requests to acquir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to the wearab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oximity search request of the protector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so that the wearable device can transmit a message regarding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Description

위치 추적 시스템{POSITION TRACKING SYSTEM}Location tracking system {POSITION TRACKING SYSTEM}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보호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tracks a location of a protected person using a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the protected person.

IC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사용화되고 있다. 최근 일반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워치와 스마트 밴드는 활동량, 심박 등 피보호자의 다양한 라이프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프로그 기반으로 질병진단 및 예측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는 최장 1주일, 스마트 밴드는 최장 30일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망 모듈이 포함된 스마트워치는 1~2일 정도로 사용 가능시간이 매우 짧다.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various wearab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Recently, smart watches and smart bands, which are used most by the general public, can collect various lifelogs of the wards such as activity amount and heart rate. AI techniques that can diagnose and predict diseases based on such lifelog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 smart watch has a drawback that it can be used for up to one week and the smart band for up to 30 days. In particular, the smart watch that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can be used for about 1 to 2 days.

또한, 미아 방지 및 치매 환자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들도 개발되어 치매 환자나 미아의 위치 추적을 위한 시스템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치의 경우 GPS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전송하며 통상적으로 10일정도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적 장치는 목걸이나 벨트 등에 착용하거나, 소지품처럼 들고 다니도록 고안되어 분실의 위험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devices for the prevention of deprivation and tracking dementia patients have also been developed, and a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dementia patients and babies has also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case of the device, it is known that the GP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and operate for about 10 days. However, such a tracking device is designed to be worn on a necklace or a belt, or carried like belongings, which has a large risk of loss.

국내공개번호 KR10-2015-0124272에는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Domestic Publication No. KR10-2015-0124272 discloses an 'open platform providing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beacons possessed by dementia patient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s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피보호자(예를 들어, 치매환자 또는 어린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명을 최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의 작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time of the system by optimally managing the life of the wearable device worn by the ward (for example, dementia patients or children).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역 위치를 먼저 파악한 후, 근접 수색 시에 비콘 모드(또는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정확하고 빠른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an embodiment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can identify a wide area first and then switch to beacon mode (or run mode) in close proximity search for accurate and fast location tracking and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정확하고 빠른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및 수색이 가능하여 실종자 수를 크게 줄임으로써 피보호자의 실종으로 인한 가족들의 경제적 및 정신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can accurately and quickly monitor and search the number of missing persons,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number of missing persons,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and mental damage of the family due to the missing pers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은, 피보호자에 착용되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먼저 파악하고, 상기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의 근접 수색 요청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earable device that is worn on the target person, to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o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And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providing a messag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a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wherein the wearable device sends a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about a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ransmits to the monitoring apparatus to grasp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first, and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search request of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monitoring device requests the wearable device to obtain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nd the wearable device May transmit a message about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o the monitoring devic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wearable devic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devi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onitoring device or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D 정보 및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일정한 주기로 송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피보호자가 비실종 상태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 최대 절전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ID information and the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to the monitoring device at regular intervals, the monitoring device inquires whether the target person is missing, the wearable device to the protected person If the message is transmitted or not, and the protected person is in the missing state, the wearable device may be kept in the hibernation mode while the message is not sen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로부터 이상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따라서 일정한 주기로 ID 정보 및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 절전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monitoring device transmits a message for the real-time report interval to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abnormal signal is confirm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ID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real-time report interval Information and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may be kept in a power saving mode while the messag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의 근접 수색 요청을 받으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D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행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monitoring device receives a proximity search request from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monitoring device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protector,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I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Continuously, the wearable device may remain in a running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피보호자(예를 들어, 치매환자 또는 어린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명을 최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의 작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ng time of the system may be increased by optimally managing the life of the wearable device worn by the guardian (for example, a dementia patient or a child).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광역 위치를 먼저 파악한 후, 근접 수색 시에 비콘 모드(또는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정확하고 빠른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lobal location is first identified, and then, when the proximity search is performed, the beacon mode (or the execution mode) can be switched to enable accurate and fast location tracking and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정확하고 빠른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및 수색이 가능하여 실종자 수를 크게 줄임으로써 피보호자의 실종으로 인한 가족들의 경제적 및 정신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fast monitoring and search of the ward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missing persons,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and mental damage of the family due to the missing war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최대 절전 모드 상태의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이상 신호 감지 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종 신고 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shows a message flow diagram of a hibernation stat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when a missing report is issued.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rang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최대 절전 모드 상태의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이상 신호 감지 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실종 신고 시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llustrates a message flow diagram in a hibernation state, FIG. 3 illustrates a message flow diagram when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and FIG. 4 illustrates a missing report. A message flow diagram is shown.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모니터링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00 and a monitoring device 20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피보호자가 착용 가능한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밴드로 마련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as a smart watch or a smart band that can be worn by the guardian.

이때, 피보호자는 치매 환자, 어린이, 독거 노인 등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rd may be a dementia patient, a child,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the like.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위치 정보 획득부(110), 제2 위치 정보 획득부(120), 생체 정보 획득부(130), 통신부(140), 전원부(150) 및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processing unit 160. )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위치 정보 획득부(110)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GPS information, of the ward.

상기 제2 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may obtain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130)는 피보호자의 활동량, 심박 등을 포함하는 피보호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정보 획득부(130)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는 피보호자의 이상 신호(예를 들어, 낙상, 심박 이상 등)를 확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may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including the activity amount, heart rate, and the like of the target person. In this case,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may be used to identify an abnormal signal (eg, a fall, a heartbeat abnormality, etc.) of the guardian.

상기 통신부(140)는 모니터링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device 200.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CDMS, GSM 등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장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비콘망 구성이 가능한 블루투스, Zigbee 등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perform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CDMS, GSM, and the lik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Bluetooth, Zigbee, etc., which is capable of constructing a beacon network.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전원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때, 전원부(150)는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고, 배터리 잔량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작동 또는 비작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provided as a battery, an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oper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상기 처리부(160)는 모니터링 장치(200)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또는 생체 정보 획득부(13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처리하거나 전원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60 may process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with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or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r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구체적으로, 처리부(160)는 통신부(140)를 통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생체 정보 획득부(130)로부터 이상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부(150)의 배터리 소모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60 may optimally manag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by process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by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rer 130. .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을 위한 CDMS, GSM 등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장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시간과 모니터링 장치(200)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많은 전력이 필요하고, 많은 배터리 소모를 하게 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performing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CDMS, GSM, etc.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aiting time for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monitoring device 200 and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This requires a lot of power and can consume a lot of battery.

이때, 처리부(160)에서 전원부(15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 시간 또는 위치 추적 시스템(10)의 작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in the processing unit 160,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device 100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 may be increased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한편,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사회복지사, 경찰 등)에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may provide a messag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a guardian or an external institution (social worker, police, etc.). .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뿐만 아니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사회복지사, 경찰 등)과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고, 모니터링 장치(200)에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작동 모드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Accordingly, the monitoring device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with a protector or an external organization (social worker, police, etc.) as well as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ccording to the message received by the monitoring device 200, Any one can make a decision about the mode of operation.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최대 절전 모드 상태의 메시지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message flow chart of the hibernation mode is as follows.

우선,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한다. 만약, 피보호자가 비실종 상태라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확인 완료(OK)'라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First,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and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ward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ward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stor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inquires whether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missing. If the guardian is not missing,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of 'OK'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hibernation mode.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확인 완료(OK)'라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부터 다시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200)에 송신할 때까지 최대 절전 모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the message 'OK' from the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n sends a message about the ID information and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again. Hibernate mode is maintained until transmitting.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 장치(200)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모니터링 장치(200)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 최대 절전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100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maintained in a hibernation mode while the wearable device 100 does not transmit a message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추가적으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한다. 만약, 피보호자가 비실종 상태라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확인 완료(OK)'라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In add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and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stor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inquires whether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missing. If the guardian is not missing,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of 'OK'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hibernation mode.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모니터링 장치(200)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에 의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메시지 송수신이 필요한 시점을 제외하고는 최대 절전 모드(sleep mode)로 유지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kept in the sleep mode except for the time at which the wearable device 100 needs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monitoring device 200, there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have.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이상 신호 감지 시 메시지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3, a message flow chart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is as follows.

우선,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이상 신호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First,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batter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abnormal signal information of the ward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ward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이때, 이상 신호 정보는 생체 정보 획득부(130)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가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결과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normal signal information may be a result of proces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by the processor 160.

그런 다음,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ID 정보,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 및 이상 신호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제공한다.Then,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provides a message to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about the 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and the abnormal signal information.

이후에,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이 피보호자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피보호자의 이상(emergency)으로 결정하면, 모니터링 장치(200)에 "이상(emergency) "으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interval)을 결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레포트 간격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Subsequently, when the guardian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checks whether the guardian is abnormal and determines that the guardian is abnormal,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as an “emergency”. Then,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determines a real time report interval and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report interval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따라서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Thereafter, the wearable device 100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ID information and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real time report interval.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모니터링 장치(200)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에는 절전 모드로 유지되고, 절전 모드로 유지되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은 최대 절전 모드 간격보다 짧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kept in the power saving mode while the messag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nd the real time report interval maintained in the power saving mode may be shorter than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interval.

한편,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이 모니터링 장치(200)에 근접 수색 요청 또는 비콘 모드 요청을 하게 되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makes a proximity search request or a beacon mode reques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for the proximity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guardian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비콘 모드 또는 실행 모드(run mode)로 작동하라는 요청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비콘 모드 또는 실행 모드로 작동되는 동안에는 모니터링 장치(200)를 통해서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ID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This is a request to operate the wearable device 100 in the beacon mode or the run mode (run mode), while the wearable device 100 is operated in the beacon mode or run mode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200 to the guardian or an external authority ID Send information continuously.

이와 같이 피보호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이상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통보하여 즉시 수색, 구급차 출동 등의 조치를 통하여 피보호자를 수색하거나 구조할 수 있으며,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서 피보호자의 소재 파악을 위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최대 절전 모드가 아닌 수색이 가능하도록 비콘 모드로 작동하여 근접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abnormal signals can be detected from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nd notified to the guardian or an external agency, and the guardian can be searched or rescued through immediate search and ambulance dispatch. 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100 may operate in the beacon mode to provide search rather than the hibernation mode, thereby providing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실종 신고 시 메시지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message flow chart when missing disappear is as follows.

우선,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한다. 만약, 피보호자가 비실종 상태라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확인 완료(OK)'라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First,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and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ward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ward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stor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inquires whether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missing. If the guardian is not missing,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of 'OK'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hibernation mode.

이때,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서 실종 신고가 접수되면,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으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ID 정보가 수신된다.At this time, when the missing report is received by the guardian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ID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guardian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by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이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확인 완료(OK)'라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부터 다시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200)에 송신할 때까지 최대 절전 모드로 유지된다.Subsequently, the wearable device 100 receives the message 'OK'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nd then sends a message regarding the ID information and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Hibernate mode is maintained until transmitting.

추가적으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한다. 이때,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으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송신된 ID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에 송신된 ID 정보의 일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200)는 피보호자의 실종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실종(MISSING)'라는 메시지를 송신한다.In add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and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stor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inquires whether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missing. At this time, by confirming whether the 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tector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and the 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are partially, the monitoring device 200 disappears from the person being protected. The state is checked, and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of 'MISSING'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에,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100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ID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battery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fter transmitting the message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그런 다음, 모니터링 장치(200)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interval)을 결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레포트 간격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Then,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determines a real time report interval and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report interval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따라서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 장치(200)에 ID 정보 및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GPS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Thereafter, the wearable device 100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ID information and the global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real time report interval.

이때,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이 모니터링 장치(200)에 근접 수색 요청 또는 비콘 모드 요청을 하게 되면, 모니터링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한다.At this time, when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makes a proximity search request or a beacon mode request to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for the proximity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guardian to the wearable device 100.

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비콘 모드 또는 실행 모드(run mode)로 작동하라는 요청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비콘 모드 또는 실행 모드로 작동되는 동안에는 모니터링 장치(200)를 통해서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ID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This is a request to operate the wearable device 100 in the beacon mode or the run mode (run mode), while the wearable device 100 is operated in the beacon mode or run mode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200 to the guardian or an external authority ID Send information continuously.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모니터링 장치(200)에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여 모니터링 장치(200)에서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먼저 파악한 다음에,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의 근접 수색 요청에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200)에 송신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 피보호자의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추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by the wearable device 100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200 first obtains the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fter the identification, the monitoring apparatus 200 requests the wearable device 100 to acquire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search request of the guardian or the external organization, so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By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200, the loc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can be accurately and quickly tracked while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apparatu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may be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substituted.

10: 위치 추적 시스템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제1 위치 정보 획득부
120: 제2 위치 정보 획득부
130: 생체 정보 획득부
140: 통신부
150: 전원부
160: 처리부
200: 모니터링 장치
10: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wearable device
110: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power supply
160: processing unit
200: monitoring device

Claims (5)

피보호자에 착용되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먼저 파악하고,
상기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의 근접 수색 요청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송신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guardian and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o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nd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providing a messag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a protector or an external organization;
Including,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regarding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to the monitoring device to first identify the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by the monitor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search request of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monitoring device requests the wearable device to obtain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and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to the monitoring device. Location track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wid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devi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onitoring device or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Location track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D 정보 및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일정한 주기로 송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를 조회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피보호자의 실종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피보호자가 비실종 상태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 최대 절전 모드로 유지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message about ID information and glob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o the monitoring apparatus at regular intervals,
The monitoring apparatus inquires whether the target person is missing, and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target person is missing to the wearable device.
And if the guardian is not missing, the wearable device remains in hibernation mode while not sending a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로부터 이상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시간 레포트 간격에 따라서 일정한 주기로 ID 정보 및 상기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메시지를 비송신하는 동안 절전 모드로 유지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abnormality signal is confirm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monitoring apparatus transmits a message about a real time report interval to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ID information and wide-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o the monitoring device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a real-time report interval, and maintains the power saving mode while the wearable device does not transmit a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보호자 또는 외부기관의 근접 수색 요청을 받으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D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행 모드로 유지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onitoring device receives a proximity search request from the guardian or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monitoring device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protector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continuously transmits I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apparatus, and the wearable device is maintained in an execution mode.
KR1020180038027A 2018-04-02 2018-04-02 Position tracking system KR10243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27A KR102437617B1 (en) 2018-04-02 2018-04-02 Position trac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27A KR102437617B1 (en) 2018-04-02 2018-04-02 Position trac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37A true KR20190115237A (en) 2019-10-11
KR102437617B1 KR102437617B1 (en) 2022-08-30

Family

ID=6821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27A KR102437617B1 (en) 2018-04-02 2018-04-02 Position trac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6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31A (en) 2021-01-06 2022-07-13 (주)바이오스마트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63A (en)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디엔비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KR20170007288A (en) * 2015-06-12 2017-01-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KR101828718B1 (en) * 2016-12-23 2018-02-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rom missing chil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63A (en)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디엔비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KR20170007288A (en) * 2015-06-12 2017-01-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KR101828718B1 (en) * 2016-12-23 2018-02-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rom missing chil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31A (en) 2021-01-06 2022-07-13 (주)바이오스마트 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617B1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43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global location enabled intelligent health monitoring system
US8618930B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US11330397B2 (en) System for continuously determining location of electronic tags with methods to achieve low power consumption
US10983579B2 (en) Healthcare asset tracker apparatus and methods
US9111435B2 (en) Reducing medical error
JP2019522391A (en) Worker safety system
US10410499B2 (en) Identifying an identity of a person detected in a monitored location
US20140155705A1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WO2006099120A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JP2016116130A (e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012255680A (en) Human position search system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CN110517366A (en) A kind of automatically dotting system and limited area judgment method based on UWB technology
KR20190115237A (en) Position tracking system
KR20170069728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old and infirm person based on algorithm for tracing location and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CN103431852A (en) Old people nursing pulse watch
CN112492018A (en) Intelligent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Gunasekaran et al. A novel control of disaster protection (NCDP) for pilgrims by pan technology
KR20210006200A (en) Silver Healthcare System using AMI Networks
KR20200116241A (en) Smart care system
KR102560262B1 (en) Care Elderly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230293010A1 (en) Non-face-to-face body temperature change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23423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solated person using the cradle and wearabel device
Rajaei et al. Intelligent Fall Detection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