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706A -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706A
KR20190113706A KR1020190118642A KR20190118642A KR20190113706A KR 20190113706 A KR20190113706 A KR 20190113706A KR 1020190118642 A KR1020190118642 A KR 1020190118642A KR 20190118642 A KR20190118642 A KR 20190118642A KR 20190113706 A KR20190113706 A KR 20190113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event
portable terminal
auxiliary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080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04M1/72519
    • H04M1/725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표시부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필수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의한 소음 발생을 자제해야 하는 공공장소(예컨대, 회의실, 교실, 도서관 등)에서는 휴대단말이 제공하는 매너모드(예컨대, 진동모드 또는 무음모드)로 휴대단말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매너모드로 설정된 상황에서도 콜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은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시 표시부가 턴-온(turn-on)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전원을 강제 오프(off)하거나, 또는 휴대단말을 가리기, 엎어 놓기, 및 숨기거나 하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확인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긴급한 알림 이벤트 등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다. 즉,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휴대단말을 엎어 높거나, 표시부를 가린 경우 등)에서 콜이나 메시지가 수신될 시 해당 수신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 플렉서블 표시부를 구현하여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표시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휴대단말 본체의 측면까지 확장 장착하여 보조 표시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여,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메뉴 설정 기반의 매너알림모드 전환을 지원하여,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매너알림모드에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플렉서블 표시부의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형성된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시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의 진입 시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알림 이벤트를 검출할 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센서모듈에 의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자세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 내의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너알림모드는 전면의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생략하고, 측면의 상기 보조 표시영역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 표시영역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을 단색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보조 표시영역의 전원을 분리하여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을 위한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검출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체결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하고,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하며, 그리고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보다 작은 경우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알람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양 끝단이 구부러진 플렉서블 표시부를 휴대단말의 측면까지 확장 구성함으로써 표시영역을 보다 쉽게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을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보조 표시영역 기반으로 보다 직관적으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태에 대응하는 모드로 상기 발생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상황 즉, 매너알림모드에 대응할 시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는 상황 즉, 일반모드에 대응할 시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사용자 설정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통해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단말에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 수신, SNS 알림 수신 등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대처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상태별 이벤트 정보 출력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에서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벤트 정보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이 기타 물체(예컨대, 휴대단말의 케이스, 노트 등)에 가려지거나, 또는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 등에 접촉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는 콜 수신, 메시지 수신(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수신), 메일 수신, 푸시(push) 서비스의 정보 수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알림 수신 등과 같은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양 끝단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형태에 따라 휴대단말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휴대단말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을 위한 센서모듈과,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 상태를 검출하고, 휴대단말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하는 제어부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매너알림모드를 위한 동작 모드 전환은 사용자의 메뉴를 이용한 설정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와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형성되어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을 위한 부가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부가 장치는 스피커(301), 마이크(미도시), 센서 모듈(특히, 조도 센서(303), 전면 카메라 모듈(305) 등), 물리적인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및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앞서와 같이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크기에 따라 특정 화면 크기(예컨대,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active matrix screen)을 가지며,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컨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면)까지 연장되어,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동작 가능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예컨대, 곡률 반경 5cm, 1cm, 7.5mm, 5mm, 4mm 등) 이하로 접혀 본체(200)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전면에 나타나는 표시영역을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라 칭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구부러져서 본체(200)의 측면에 나타나는 표시영역을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으로,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구부러지는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지는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전면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110)이라 명명하고,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표시영역을 보조 표시영역(120)이라 명명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단말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휴대단말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이 기타 물체(예컨대, 휴대단말의 케이스(800), 노트 등)에 가려지거나, 또는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의를 위해 휴대단말을 테이블에 뒤집어 엎어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아래를 향하여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과 같이 휴대단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을 별도의 케이스(800)에 넣어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리거나, 노트 등으로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릴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은 센서모듈을 통해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은 빛의 양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동작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또는 타이머(timer) 등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은 하나의 칩(chip)에 복수의 센서들(예컨대, 센서1, 센서2, 센서3 등)이 일체화되거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이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휴대단말은 조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동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세정보(예컨대, x축, y축, z축에 대한 측정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은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현재 시간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는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매너알림모드 자동 실행으로 설정한 시간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 설정 시간에 대응할 시 매너알림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먼저 조도 센서에 의한 조도 값을 판단하고,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기준 조건(예컨대, 앞서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10)이 가려져 그 값이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을 만족할 시 추가 동작 센서에 의하여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의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예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센서들의 조합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센서모듈 기반의 측정값에 의한 판단결과,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예컨대, 엎어진 상태 또는 메인 표시영역(110)이 가려진 상태 등)인 것으로 인지할 시 매너알림모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는 조도 센서가 조도 변화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에 따라 휴대단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매너알림모드 진입인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가 측정하는 가장 밝은 조도를 100, 가장 어두운 조도를 0이라 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치의 조도가 30이라 할 시,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 값이 상기 기준치 3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매너알림모드 진입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너알림모드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생략하고,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너알림모드에서는 화면 출력만이 이루어지고, 사운드 출력 및 진동 출력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을 단색(예컨대, 검은색)으로 출력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보조 표시영역(120)의 전원을 분리하여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환경설정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오른손 모드 및 왼손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결정된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만을 운영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1에서 오른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오른쪽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왼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 왼쪽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매너알림모드로 동작 전환 후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알림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의 출력은 사용자의 인터랙션 입력 시까지 계속 출력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예컨대, 1초, 3초, 5초 등)동안만 출력하고 그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해당 알림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이벤트 정보를 보조 표시영역(120)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그의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관련 알림 이벤트를 판단할 시 발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 정보와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해 설정된 사용자 정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예컨대, 중요, 일반)에 따라 상기 발신 정보를 해당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알림 이벤트를 판단할 시 발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 정보와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한 사용자 정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예컨대, 중요, 일반)에 따라 상기 발신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방식을 예시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타입별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알림 수신 등의 각 알림 이벤트별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이벤트 정보는 발신 번호, 발신자 이름, 메시지 내용(이때, 스크롤 기능 지원), 아이콘(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에 따라 구분된 아이콘), 컬러(보조 표시영역(120)을 전체 또는 일부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표시) 등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벤트 타입에 따라 다르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 출력 방식에 대해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모듈(310), 플렉서블 표시부(100), 센서모듈(330), 저장부(350), 그리고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통신모듈(31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다른 휴대단말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신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0)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신 등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통신모듈(100)은 휴대단말에서 외부 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은 특정 통신모듈이나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홈스크린(home screen), 메뉴스크린(menu screen), 콜 발신/수신 화면, 메시지 작성/수신 화면, 채팅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에 따른 정보 수신, SNS에 따른 정보 수신 등과 같은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LCD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LED, OLED, AM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터치(touch)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는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모듈(330)은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모듈(330)을 항상 동작시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되는 사용자 설정, 본 발명의 알림 이벤트 검출 시점,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센서모듈(3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330)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환경(예컨대, 휴대단말의 전면부가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되는 뒤집어 놓은 상태 또는 휴대단말의 케이스(800)에 의해 상기 메인 표시영역(120)이 가려진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조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해 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330)이 상기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고,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330)은 상기 통신모듈(310)로부터 알림 이벤트가 수집된 경우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모듈(330)을 항상 동작시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모듈(330) 특히, 가속도 센서는 알림 이벤트를 검출한 후에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을 위해 상기 센서모듈(200)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200)이 가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휴대단말의 검출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뒤집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휴대단말이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위로 향하고 휴대단말의 후면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조도를 먼저 측정한 후, 보조 표시영역(120) 운영을 위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경우의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330)이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13에 표시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휴대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휴대단말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휴대단말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단말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휴대단말이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할 시,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은 좌표계에서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모듈(330)이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성분에 의해 측정된 경우, 상기 각 축들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이 놓인 자세를 확인(연산)할 수 있다. 상기 자세는 롤각(roll angle)(
Figure pat00001
), 피치각(pitch angle)(
Figure pat00002
), 및 요각(yaw angle)(
Figure pat00003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롤각(
Figure pat00004
)은 도 13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상기 피치각(
Figure pat00005
)은 상기 도 13에서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상기 요각(
Figure pat00006
)은 상기 도 13에서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 중 Z축 중력 가속도가 +9.8m/sec2이면, 휴대단말이 놓인 자세는 상기 롤각(
Figure pat00007
), 및 피치각(
Figure pat00008
)은 '0'에 해당하므로, 상기 휴대단말이 놓이는 자세는 Z축의 중력 가속도를 받는 후면이 중력 방향으로 놓인 자세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단말이 놓이는 어떠한 자세라도 감지 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을 위한 자세 검출부가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390)는 오일러 각을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가속도 예측 스위칭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도계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350)는 휴대단말에서 진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350)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센서모듈(330)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 및 그에 따른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운용과 관련된 설정정보(370)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정보(370)는 센서모듈(330)(특히,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이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판별(즉,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부합하는지 여부 판별)을 위한 기준 조건 정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 출력 방식 결정을 위한 이벤트 타입별 또는 발신 정보별로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 오른손 모드 및 왼손 모드 운용을 위한 동작모드 정보, 이벤트 정보의 출력 완료 처리를 위한 정보(예컨대,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 시까지 계속 출력,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출력 등), 매너알림모드에 대한 센서모듈(330)의 운용 방식(예컨대, 이용하고자 하는 센서 및 각 센서별 이벤트 조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370)는 적어도 하나의 매핑테이블(mapping table)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이용한 알림 이벤트에 대한 매너알림모드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90)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에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과 무관하게 상기 센서모듈(330)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매너알림모드 상태에서 발생되는 알림 이벤트에 대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매너알림모드 진입 시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타이머 기반으로 매너알림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을 판단하여 매너 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390)는 현재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예컨대, 자정, 또는 일정 시간 범위)에 속할 시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상태에서 발생되는 알림 이벤트에 대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 시 알림 이벤트별 설정된 우선순위 및 발신 정보별 설정된 우선순위 등에 따라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식에 따라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 표시 방향을 적응적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9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활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5a는 휴대단말의 전면이 나타나고 그의 후면이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이벤트 정보(400)가 출력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5b는 휴대단말의 후면이 나타나고 그의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이벤트 정보(400)가 출력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6은 상기 도 5a 및 상기 도 5b와 같이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이 적응적으로 회전 전환하여 이벤트 정보(400)를 출력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정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에서 반대의 후면이 다시 위로 향하는 경우, 또는 휴대단말의 상태가 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에서 반대의 전면이 다시 위로 향하는 경우,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를 회전(예컨대, 180도)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항상 정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면이 위로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도, 120도 등)로 경사지게 놓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는 상기 소정 각도에 따라 앞서와 같이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소정 각도가 30도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앞서 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각도가 120도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앞서 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따른 이벤트 정보(400)의 회전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알람 이벤트를 검출할 시 일차적으로 센서모듈(330)의 조도 센서 기반으로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진입으로 결정할 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자세 방향)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301), 조도 센서(303) 및 전면 카메라 모듈(305) 등의 부가 장치와 메인 표시영역(120)이 나타나는 면을 전면이라 칭하고, 상기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카메라 모듈(500)과 배터리 커버(550) 등이 나타나는 면을 후면이라 칭할 수 있다.
휴대단말이 상기 도 5a의 예시와 같이 전면이 위로 향하는 상태인 경우 이벤트 정보(400)의 회전 없이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바로 출력하고, 휴대단말이 상기 도 5b의 예시와 같이 전면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인 경우 이벤트 정보(400)를 180도 회전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a 및 상기 도 5b의 예시와 같은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반대의 상태로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환될 시 상기 도 6의 예시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400) 표시 방향이 적응적으로 회전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90)는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400)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휴대단말의 전면 및 후면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자세 정보가 검출될 시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의 표시 방향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a 내지 도 6에서는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이 휴대단말의 케이스(800)에 속해 있는 경우에도 동작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7a의 경우 휴대단말 본체(200)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보조 표시영역(120)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 종단까지 구현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7b의 경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보조 표시영역(120)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 일부분까지 구현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8의 경우 휴대단말에 보조 표시영역(120)이 구현되는 타입에 따른 이벤트 정보(400) 출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까지 확장되어 나타나는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를 'H'라 가정할 시, 상기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 'H'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를 다르게 가공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 'H'에 따라 추출된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7a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예를 들어, H=7mm, A=6mm), 텍스트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 7b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표시 크기 'A' 보다 작은 경우(예를 들어, H=6mm, A=7mm), 텍스트 표시는 생략되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에 의해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텍스트 외곽에 구현되는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등을 고려하여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는 텍스트 크기 'T'와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gap)인 2a 즉, "A = T+2a"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2a)은 각각 상측 갭(a)과 하측 갭(a)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들 중 하측 갭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휴대단말 본체(200)의 측면까지만 연장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이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경우 하측 갭이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측 갭 및 하측 갭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참조번호 <801>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크거나 같고,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들을 포함하는 크기(예컨대,
Figure pat00009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803>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크거나 같고,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들을 포함하거나 그들 사이의 크기(예컨대,
Figure pat00010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최소 표시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지만,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는 컬러 테두리를 제외한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번호 <805>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작고,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컨대,
Figure pat00011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작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의 표시는 생략되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는 상기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특히, 이미지 타입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텍스트 기반의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
(2)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아이템의 일부(특히, 컬러 테두리를 제외한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적어도 하나)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
(3) 보조 표시영역(120)의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작은 경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특히, 이미지 타입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
예를 들어, 상기 (1) 방식의 경우, 상기 도 7a 및 도 8의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로부터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텍스트 기반의 발신 정보,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 알림 내용, SNS 알림 내용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및 그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결정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1) 방식의 경우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2) 방식의 경우, 상기 도 8의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로부터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텍스트 기반의 발신 정보,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 알림 내용, SNS 알림 내용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및 그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결정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 방식의 경우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3) 방식의 경우, 상기 도 7b 및 상기 도 8의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알림 이벤트 타입에 매핑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특히,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이미지 타입 아이콘) 또는 컬러 바)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림 이벤트 타입(또는 발신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른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컬러 바)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와,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 'a'와, 텍스트 표시 크기 'T', 그리고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는 휴대단말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크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알림 하는 구체적인 동작 예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서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에 대해 텍스트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에 따라 텍스트 기반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Call:"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텍스트 타입 아이콘과, "010-1234-5678 어머니"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Call:"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텍스트 타입 아이콘과, "010-1234-5678 어머니"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텍스트 타입 아이콘 및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 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3>에서 "010-1234-5678"의 발신 번호에 대해 중요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빨강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어떠한 우선순위 설정도 없는 경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참조번호 <901>과 같이 별도의 테두리 아이템 없이 제공되거나 설정된 특정 컬러(예컨대, 검정 컬러)의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
Figure pat00012
"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010-1234-8765 친구1"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 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5>에서 "010-1234-8765"의 발신 번호에 대해 즐겨찾기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파랑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
Figure pat00013
"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일찍 들어오세요!!"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7>에서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 번호에 대해 일반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노랑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팸 메시지와 같이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어떠한 우선순위 설정도 없는 경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참조번호 <901>과 같이 별도의 테두리 아이템 없이 제공되거나 설정된 특정 컬러(예컨대, 검정 컬러)의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가 텍스트 최소 표시 크기보다 작은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컬러바가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별로 컬러바의 형태를 다르게 나타내고, 수신된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별로 컬러바의 컬러를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수신의 알림 이벤트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909>와 같이 일직선의 바 형태를 가지며, 해당 바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컬러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수신의 알림 이벤트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911>과 같이 점선의 바 형태를 가지며, 해당 바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컬러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컬러바가 조합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수신 알림 이벤트가 사용자 정의에 따른 중요도 또는 조건에 따라 컬러바를 보조 표시영역(120) 전체 또는 일부에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매너알림모드가 사전 정의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의 등에 참가할 시 매너알림모드를 위해 미리 정의된 상태로 휴대단말 환경을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책상과 같은 테이블의 표면에 내려놓을 때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놓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전면부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놓을 때 휴대단말의 케이스(800)를 이용하여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리는 것과 같은 상태로 놓을 수 있다. 이러한 도 10의 경우, 매너알림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센서모듈(330)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특정 센서모듈(330)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 될 수 있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10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책상 등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30)는 조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모듈(330)로부터 획득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조도 변화)를 검출할 시, 기 설정된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1003단계). 이때, 상기 비교는 검출된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가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기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 비교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매너알림모드로 전환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5단계). 예를 들어, 상기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가 미리 정의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면 매너알림모드 전환으로 결정하고, 미리 정의된 설정정보에 대응하지 않으면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 처리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 전환으로 결정하면(1005단계의 YES),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007단계). 그리고 제어부(390)는 상기 매너알림모드 전환 시, 메인 표시영역(110) 턴-오프(turn-off) 및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1009단계).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 전환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면(1005단계의 NO),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1011단계). 이때, 만약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가 매너알림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1007단계에서 상기 동작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90)는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의 선택적 운용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1013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의 경우 외부로부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시 휴대단말의 상태(조도, 자세 등)를 확인하고,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동작 또는 일반모드에 의한 동작을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11의 경, 매너알림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휴대단말의 상태 판단하는 특정 센서모듈(330)은 알림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동작 될 수 있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다양한 알림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1101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정보 수신 등에 따른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기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1103단계)(11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센서모듈(330)을 통해 휴대단말의 상태를 체크한 후,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 또는 일반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별로 매너알림모드의 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을 판단하여 매너 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현재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예컨대, 자정, 또는 일정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휴대단말의 매너알림모드의 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로 결정하면(1105단계의 YES), 보조 표시영역(120)을 활성화 하고(1107단계)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109단계).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센서모듈(330)의 조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일차적으로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별하고,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른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진입 시 상기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이차적으로 휴대단말의 자세를 판별하고, 휴대단말의 자세에 따른 이벤트 정보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일반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로 결정하면(1105단계의 NO),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1111단계). 그리고 제어부(390)는 활성화된 표시영역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113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벤트 정보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2의 경우 매너알림모드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해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처리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12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정보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 타입들 중 어디에 속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벤트 타입 판별은 해당 이벤트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확인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기 이벤트 타입을 판별할 시, 판별된 이벤트 타입에 따른 이벤트 출력(알림)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12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도 9를 예시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 타입에 대응하는 이벤트 식별 아이콘(예컨대, 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등) 결정,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에 조합에 의한 출력 결정, 이벤트 식별 아이템에 대한 우선순위별 컬러 적용 여부 결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기 이벤트 출력 방식이 결정될 시 결정된 이벤트 출력 방식에 준하여 이벤트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1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도 9의 참조번호 <901> 내지 참조번호 <911>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이벤트 정보를 상기 결정된 이벤트 출력 방식에 따라 이벤트 식별 아이템과 조합하는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가공된 이벤트 정보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출력 제어할 수 있다(1207단계). 이때,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자세를 체크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표시할 상기 이벤트 정보의 회전 여부를 판별하고, 회전 결정 시 상기 이벤트 정보를 180도 회전하여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플렉서블 표시부
110: 메인 표시영역
120: 보조 표시영역
200: 본체
301: 스피커
303: 조도 센서
305: 전면 카메라 모듈
310: 통신 모듈
330: 센서 모듈
350: 저장부
390: 제어부
400: 이벤트 식별 아이템
500: 후면 카메라 모듈

Claims (14)

  1.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확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단(end)은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단은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만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출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했을 때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만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모드 동안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휴대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제공되는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회전하며, 상기 회전된 정보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계 시간 동안에만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알람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되는 컬러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휴대 단말.
  8. 휴대 단말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확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단(end)은 제1 단 및 제2 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단은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만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출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동안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만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알람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했을 때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만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모드 동안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에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제공되는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회전하며, 상기 회전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임계 시간 동안에만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알람 이벤트의 유형에 대응되는 컬러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알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KR1020190118642A 2019-09-26 2019-09-26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42A KR102096080B1 (ko) 2019-09-26 2019-09-26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42A KR102096080B1 (ko) 2019-09-26 2019-09-26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20A Division KR102027890B1 (ko) 2018-10-15 2018-10-15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13A Division KR102215076B1 (ko) 2020-03-26 2020-03-26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06A true KR20190113706A (ko) 2019-10-08
KR102096080B1 KR102096080B1 (ko) 2020-04-01

Family

ID=6820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42A KR102096080B1 (ko) 2019-09-26 2019-09-26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79A (ja) * 1997-06-05 1999-01-22 Motorola Inc 複数の表示装置を有す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01086205A (ja) * 2000-08-04 2001-03-30 Nec Saitama Ltd 無線通信機
JP2003298703A (ja) * 2002-04-04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
JP2010183532A (ja) * 2009-02-09 2010-08-19 Toshiba Corp 通信端末、通信端末の着信表示秘匿方法および通信端末の着信表示秘匿プログラム
JP2010193494A (ja) * 2010-04-02 2010-09-02 Toshiba Corp 画面表示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79A (ja) * 1997-06-05 1999-01-22 Motorola Inc 複数の表示装置を有す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01086205A (ja) * 2000-08-04 2001-03-30 Nec Saitama Ltd 無線通信機
JP2003298703A (ja) * 2002-04-04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
JP2010183532A (ja) * 2009-02-09 2010-08-19 Toshiba Corp 通信端末、通信端末の着信表示秘匿方法および通信端末の着信表示秘匿プログラム
JP2010193494A (ja) * 2010-04-02 2010-09-02 Toshiba Corp 画面表示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80B1 (ko)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9994B2 (ja) フレキシブル表示部を有する携帯端末のイベント提供方法及び装置
KR101726309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5622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7890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5076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4612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84615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10162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6080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31510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53074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4611B1 (ko)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