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257A - Barista coffee robot - Google Patents

Barista coffe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257A
KR20190113257A KR1020180035701A KR20180035701A KR20190113257A KR 20190113257 A KR20190113257 A KR 20190113257A KR 1020180035701 A KR1020180035701 A KR 1020180035701A KR 20180035701 A KR20180035701 A KR 20180035701A KR 20190113257 A KR20190113257 A KR 2019011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per
hot water
robo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1750B1 (en
Inventor
김갑순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5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ista coffe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ista coffee robot, which inputs a desired type of coffee into the coffee robot to make coffee automatically and easily brews coffee by pushing out a cup filled with coffee, just as a barista turns hot water in a variety of ways and supplies the same to coffee powder to make different types of coffee.

Description

바리스타 커피로봇{Barista coffee robot}Barista coffee robot}

본 발명은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리스타가 다양한 방법으로 온수를 돌리면서 커피가루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제조하는 것과 같이, 원하는 커피의 종류를 커피로봇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커피를 제조하고 커피가 채워진 컵을 밀어 내줌으로써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ista coffe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he barista inputs a desired type of coffee into the coffee robot, such as to supply various types of coffee by supplying coffee powder while turning hot water in various ways. It is a technology for a barista coffee robot that automatically makes coffee and makes it easy to take out by pushing out a cup filled with coffee.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400잔을 넘어서며 커피시장 규모도 2014년부터 연평균 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규모 역시 지난 10년간 약 2배 이상 늘었으며, 커피전문점 시장은 2014년 대비 2년 이내에 53%가 성장했다.The annual coffee consumption per adult in Korea exceeded 400 cups, and the coffee market size increased by 9.3% per year since 2014. Exports also more than doubled in the last decade, and the coffee shop market grew 53 percent in less than two years compared to 2014.

전문가들은 커피 가격이 소득 및 식사비와 비교해 저렴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줄지 않는 것은 커피의 단순 효용 뿐만 아니라 다른 효용에서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이고, 커피는 커피 본연의 기능인 카페인에 대한 니즈 증가에 따른 소비 증가, 사교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식후 티타임 니즈 증가, 개인 작업을 위한 공간 등 부가적인 목적을 위한 시장이 커지면서 단순 기호 식품이 아닌 문화 소비 제품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소비 패턴 자체에도 상당히 습관적인 모습을 보이므로 커피 시장의 성장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Experts say that even though the price of coffee is not cheap compared to income and meal costs, the demand is not decreasing because it is satisfied not only with the simplicity of the coffee but also with other benefits. As the market for additional purposes grows, such as increases, the need for post-teaching teatime for social and information exchanges, and spaces for personal work, the market is changing to cultural consumption products rather than simple foods. As such, the growth of the coffee market is unlikely to slow down.

한편, 커피 본연의 맛인 원두커피는 아메리카노와 핸드드립 커피로 구분된다. 아메리카노는 커피머신의 인위적인 압력을 이용해 빠르고 진하게 에스프레소를 추출한 후 마시기 편하게 희석시킨 것이고, 핸드드립 커피는 원두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에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중력으로 인해 커피액이 아래로 떨어져서 커피로 추출되는 방식이다. 이렇게 지구의 중력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핸드드립 커피는 원두 자체의 종류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을 부을 때 과추출되면 쓰고 떫은 맛이 덜 추출된 곳은 신맛과 풋맛이 나게 되어, 물줄기의 모양과 속도, 즉 물을 부을 때 그리는 나선의 모양과 속도에 따라 맛이 변화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ffee's natural taste is divided into Americano and hand drip coffee. Americano uses the artificial pressure of the coffee machine to quickly and thickly extract the espresso and then dilute it easily. That's how it works. The hand drip coffee extracted using the gravity of the earth is not only a kind of coffee beans but also a place where the bitterness and a less astringent taste is extracted when the hot water is poured. When you pour water, the taste change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peed of the spiral you draw.

이러한 핸드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리스타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커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 있어서 개인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개인의 취향에 맞는 동일한 맛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힘든 작업이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hand drip coffee, the time and effort of the barista is required, so in a situation where the demand for coffee is increasing,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same taste for individual tastes in a personal office or home Will be working.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2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립퍼, 상기 드립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을 수용하는 서버, 상기 서버가 안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드립퍼와 상기 서버를 이격하고 상기 드립퍼가 거치되는 거치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구성된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바닥판에는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이 구비되어, 수동드립이 능숙하지 않은 작업자도 용이하게 커피 제조를 할 수 있으며 드립퍼의 이동시 커피가 관통공을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서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이 개시되었다.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prior art discl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9202, a dripper, a server for receiving a liquid discharged from the dripper, the floor on which the server is placed Plate and a cradle consisting of a top plate spaced apart from the dripper and the server and the mounting hole for the dripper is mounted, the bottom plate of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server, manual drip This inexperienced worker can easily make coffee and prevents coffee from flowing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dripper is moved, and a manual drip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server.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커피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큰 효과를 가져다주지 못해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not only troublesome to use in preparing coffee, but also does not directly bring about a large effect, and thus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above probl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202호(2012.03.22.)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459202 (2012.03.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리스타가 주전자로 뜨거운 물을 회전하면서 커피가루에 뿌려서 커피를 제조하는 것과 같이 원하는 맛으로 항상 동일하게 자동으로 커피를 내릴 수 있는 바리스타 커피로봇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barista is always sprinkled coffee automatically with the desired taste, such as sprinkling coffee powder while rotating hot water with a kettle to produce coffe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rista coffee robot.

또한, 본 발명은 커피가 완성이 되면 뜨거운 커피에 의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커피가 채워진 컵을 밀어 내줌으로써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바리스타 커피로봇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ista coffee robot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by pushing the cup filled with coffee so as not to be burned by hot coffee when the coffee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은 뜨거운 온수와 커피액이 중요한 부품에 튀지 않도록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바리스타 커피로봇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ista coffee robot capable of protecting parts from hot water and coffee liquor so as not to splash on important par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in i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은, 상부 받침대, 하부 받침대, 3개의 수직 받침대로 구성되어 ‘ㄷ’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분쇄된 원두와 여과지가 삽입된 드리퍼를 배치하여, 상기 드리퍼의 상측에 형성되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관의 범위 내에서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는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보일러를 통해 상기 물을 가열한 후, 온수가 필요한 경우 개폐밸브를 통해 상기 온수공급관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두에 상기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드리퍼를 통해 제조된 커피가 채워진 커피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컵을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시키는 커피컵 이동장치; 상기 커버 내에서 최후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아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커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드리퍼와 상기 커피컵을 제외하고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 상기 컨트롤러를 온수와 제조된 커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공급관과 상기 커피컵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반면, 상기 드리퍼는 상기 드리퍼에 삽입되어 있는 분쇄된 원두에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을 때 상기 드리퍼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edestal, the lower pedestal, consisting of three vertical pedestal cover is provided in the '' 'shape; A dripper moving devic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disposing a dripper into which crushed coffee beans and filter paper are inserted to move the dripper within a range of a hot water supply pipe to which hot water is formed on the dripper;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ipper moving device and receiving water from a bucket to heat the water through a boiler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through an open / close valve when hot water is require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e coffee cup movement to move the coffee cup to the user 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coffee cup filled with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prepared by the dripper Device; A control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ver to control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by receiving a user's order; And a cover provided in the cover and surrounding the outside to protect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from hot water and manufactured coffee except for the dripper and the coffee cup.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offee,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the coffee cup are disposed in a fixed position, while the dripper is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ground coffee is inserted into the dripper When the supply is provided to move the dripper in the direction input by the us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automatically manufacture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는, 이송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제1리니어가이드 및 제2리니어가이드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드리퍼가 배치되는 받침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 및 회전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 전달되어 상기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is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the linear force to the slide block connected to the ball screw The slide block is linearly moved within the first linear guide and the second linear guide, and thus the movable member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also linearly moves, thereby providing a pedestal in which the dripper is disposed by the movable member. A linear movement unit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And a rotational mov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tor to the pedestal by the timing belt to rotate the pedestal.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있어서,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는, 이송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리니어가이드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커피컵이 배치되는 받침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is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the straight line to the slide block connected to the ball screw The force is transmitted, the slide block linearly moves in the linear guide, and thus the movable member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also linearly moves to move the pedestal in which the coffee cup is disposed by the movable member in a linear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ear mot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출력부에 완료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order and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the controller receives the order signal from the input unit the order The coffee robo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and a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when the coffee productio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에 있어서, 테이블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를 상기 컨트롤러와 신호를 교환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주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완료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provided in a table for inputting a user's order,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and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exchange signals with the controller. And an ordering machin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order signal from the input unit to control the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order signal, and when the manufacture of coffee is comple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은 개인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자동으로 핸드드립 커피를 내릴 수 있으며, 커피 전문점에서는 종업원이 직접 커피를 내릴 필요가 없이, 동일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rop the hand drip coffee in a private office or home, the coffee shop can maintain the same taste without having to drop the coffee directl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은 테이블 위의 주문기 혹은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가지 않고 커피 주문을 입력한 후, 제조가 완료되면 발송되는 알림으로 커피를 취출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ntering the coffee order without going directly through the ordering machine or mobile phone application on the table,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coffee as a notification sent when the manufacturing is complet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have.

또한,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은 세부 부품들을 보호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고장발생률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arista coffe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protecting the detailed parts has an effect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failure 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드리퍼 이동장치와 커피컵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드리퍼의 직선 및 회전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드리퍼의 직선 및 회전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컵과 드리퍼가 배치된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커피컵의 용이한 취출을 위해 밀어 내주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커피컵의 용이한 취출을 위해 밀어 내주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컨트롤러의 제어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기본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드리퍼가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커피컵이 안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드리퍼의 직선 및 회전운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커피컵의 직선운동으로 인한 취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의 작동순서에 따른 커피컵 취출 후 원래자리로 복귀하는 받침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pper and a coffee cup moving devi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eft side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ight side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linear and rotary motion of the dripper of the barista coffee robot in which the coffee cup and the dripper are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linear and rotary motion of the dripper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pushing out for easy take-out of a coffee cup of a barista coffee robot having a coffee cup and a d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for pushing out for easy take out of the coffee cup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logic of the controller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basic for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dripp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19 is a view showing a seated coffee cu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e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of the dripp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take-out form due to the linear motion of the coffee cu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the pedestal form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aking out the coffee cu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matter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은 커피 제조에 있어 분쇄된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는 패턴, 속도에 따라 맛이 달라지므로 동일한 맛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화된 로봇을 이용하여 핸드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 드리퍼 이동장치(20), 온수공급장치(30), 커피컵 이동장치(40), 컨트롤러(50) 및 케이스(60)를 포함한다.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hand-drip coffee using an automated robot to maintain the same taste because the taste varies depending on the pattern and speed of supplying hot water to the ground coffee in coffee production. As shown in FIG. 1, the cover 10, a dripper moving device 20, a hot water supply device 30, a coffee cup moving device 40, a controller 50, and a case 60 are included.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은 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가 공급되는 관(32)과 커피가 채워지는 커피컵(c)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반면, 드리퍼(d)는 드리퍼(d)에 삽입되어 있는 분쇄된 원두에 상기 온수공급관(32)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을 때 드리퍼(d)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offee, as shown in Figure 2, the coffee cup (c) is filled with a tube 32 and the coffee is supplied with hot water is fixed On the other hand, the dripper (d) moves the dripper (d) in the direction input by the user when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to the ground coffee inserted into the dripper (d). It is provided so as to automatically prepare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여기서, 상기 온수공급관(32)이 고정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리스타가 온수를 특정한 패턴으로 분쇄된 원두에 부을 때 주전자를 움직이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공급관(32)이 고정되고 드리퍼(d)를 움직여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이와 반대로, 온수공급관(32)이 움직이고 드리퍼(d)가 고정된다면, 온수공급관(32)이 이동함에 따라 드리퍼(d) 주변에 온수가 튀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is fixed to generally implement an operation of moving the kettle when the barista pours the hot water into the ground coffee in a specific pattern,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is fixed and the dripper (d) Move) to achieve the same effect. On the contrary, if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is moved and the dripper d is fixed,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is likely to cause an accident of splashing hot water around the dripper d as it moves.

또한, 커피컵(c)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고정되는 것은 커피컵(c)과 드리퍼(d)가 둘다 이동하면 동일한 맛이 커피컵(c)의 한쪽으로 쏠림으로 인해 다양한 맛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며, 커피제조가 완료된 다음 사용자 측으로 커피컵(c)을 밀어내는 것은 사용자가 커피컵(c)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고, 드리퍼(d)에서 완전히 떨어지지 못한 커피 방울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ffee cup (c) is fixe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if both the coffee cup (c) and the dripper (d) is moved, the same taste can show a variety of flavors due to the tip of the coffee cup (c) This is because the coffee cup (c) is pushed to the user side after the coffee produc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coffee cup (c), and the user can burn the image by a drop of coffee that is not completely dropped from the dripper (d). This is to avoid wearing.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의 세부 장치들을 커피가 제조되면서 튈 수 있는 드리퍼(d)와 커피컵(c)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기 커버(10) 및 상기 케이스(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2, the cover for protecting the detailed devices of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ripper d and a coffee cup c which can be taken out while coffee is produced. 10 and the case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커버(10)는, 상부받침대(11), 하부받침대(12), 3개의 수직받침대(13a-13b)로 구성되어 ‘ㄷ’형상으로 마련된다.First, the cover 10 is composed of an upper pedestal 11, the lower pedestal 12, three vertical pedestals (13a-13b) is provided in the '' 'shape.

상기 상부받침대(11)는 상기 하부받침대(12)의 길이보다 상기 온수공급관(32)이 상기 하부받침대(12)를 기준으로 돌출되는 길이만큼 더 길게 구성된다.The upper pedestal 11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pedestal 12 by the length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protrudes relative to the lower pedestal 12.

상기 수직받침대는 제1수직받침대(13a), 제2수직받침대(13b), 제3수직받침대(13c)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받침대(11)와 상기 하부받침대(12)를 연결하는 4개의 면 중 상기 드리퍼(d)와 상기 커피컵(c)이 위치하는 1개의 면을 제외한 3면에 각각 구비된다.The vertical support includes four surfaces fo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11 and the lower support 12 including a first vertical support 13a, a second vertical support 13b, and a third vertical support 13c. Of the dripper (d) and the coffee cup (c) is provided on each of the three surfaces except one surface.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커버(1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드리퍼(d)와 상기 커피컵(c)을 제외하고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 상기 컨트롤러(50)를 온수와 제조된 커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Next, the case 60 is provided in the cover 10, except for the dripper d and the coffee cup c,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and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the controller 5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side to protect the hot water and the coffee produced.

또한, 상기 케이스(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세 개의 영역을 각각 보호하는 제1케이스(61), 제2케이스(62), 제3케이스(63)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ase 60 includes a first case 61, a second case 62, and a third case that respectively protect three region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ver 10. And a case 63.

상기 제1케이스(61)는 상기 드리퍼(d)와 상기 커피컵(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리퍼(d)와 상기 커피컵(c)에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상부받침대(11)의 하부에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case 61 is positioned above the dripper and the coffee cup c to minimize dust inflow into the dripper and the coffee cup c. (11) is formed in the 'b' shape.

상기 제2케이스(62)는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의 보일러(31),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의 경우 후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62)와 상기 제3케이스(63) 사이를 연결하는 면 중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가 구비되는 하부는 상기 제2케이스(62)와 상기 제3케이스(63)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The second case 62 is formed to surround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boiler 31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but located below the coffee. In the case of the cup moving device 40 is configured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that is provided with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of the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case 62 and the third case (63) Is not blocked by the second case 62 and the third case 63.

상기 제3케이스(63)는 상기 케이스(60) 중 최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컨트롤러(50)와 물통(w)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물통(w)에 존재하는 물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제3케이스(63)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물통(w)은 상기 컨트롤러(50)의 하부에 구비된다.The third case 63 is provid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controller 50 and the water tank w positioned at the last side of the case 60, and the controller (by the water present in the water tank w) The controller 5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ase 63 so that the 50 is not affected, and the bucket w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ler 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케이스(61)에 의해 보호되는 부분, 커피가 제조되는 부분과, 상기 제2케이스(62) 상기 제3케이스(63)에 의해 보호되는 부분, 커피 제조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커피가 제조되는 경우에 커피컵(c)과 드리퍼(d)의 외부에 뜨거운 커피 혹은 온수가 튀거나 흐르더라도, 다른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rely protected by the first case 61, a part where coffee is manufactured, and the second case 62 and the third case 63. It is divided into a part protected by, a part provided with a device for making coffee, even if hot coffee or hot water splashes or flows outside the coffee cup (c) and the dripper (d) when the coffee is produced A device is provided to protect the element.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to 14,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which are directly used to prepare coffe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hall be.

먼저,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는, 상기 커버(10) 내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분쇄된 원두와 여과지가 삽입된 드리퍼(d)를 배치하여, 상기 드리퍼(d)의 상측에 형성되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관(32)의 단부가 상기 드리퍼(d) 내에 위치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First,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in the cover 10 to arrange a dripper (d) into which crushed coffee beans and filter paper are inserted, thereby forming hot water formed above the dripper (d). An end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to which is supplied is configured to move the dripper within a range located in the dripper d.

여기서, 상기 드리퍼(d)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최하부에는 지름이 제일 큰 고정판이 마련되어, 온수가 공급될 때 중심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dripper (d) is formed in a truncated truncated conical shape toward the bottom and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fixed plate having the largest diameter, so that the center can be easily maintained when hot water is supplied.

또한, 상기 드리퍼(d)는 외부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리부를 형성하여, 커피를 추출한 후 뜨거운 드리퍼(d)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ripper (d) forms a hook portion that can be grasped by a hand on the outer side, so that the user can safely remove the hot dripper (d) after the coffee is extracted.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는, 상기 드리퍼(d)가 배치되는 받침대(21), 상기 드리퍼(d)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22), 및 상기 드리퍼(d)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23)를 포함하며, 상기 드리퍼는 상기 직선운동부(22) 및 상기 회전운동부(23)가 함께 작동하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The dripper moving device 20 includes a base 21 on which the dripper d is disposed, a linear movement portion 22 for moving the dripper d in a straight line, and a rotation movement portion for rotating the dripper d. 23), wherein the dripper is the linear movement portion 22 and the rotary movement portion 23 is operated together so that the linear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occurs simultaneously.

상기 받침대(21)는 분쇄된 원두와 온수에 의해 추출되는 커피액이 상기 커피컵(c)으로 떨어지기 위한 취출구멍(211)을 포함한다.The pedestal 21 includes a take-out hole 211 for the coffee liquid extracted by the ground beans and hot water fall into the coffee cup (c).

상기 직선운동부(22)는 이송모터(221), 볼스크류(222), 슬라이드블럭(223), 제1리니어가이드(224a)와 제2리니어가이드(224b), 이동부재(225) 및 근접센서(226)를 포함한다.The linear movement part 22 includes a transfer motor 221, a ball screw 222, a slide block 223, a first linear guide 224 a and a second linear guide 224 b, a moving member 225, and a proximity sensor ( 226).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운동부(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터(22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222)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222)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223)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제1리니어가이드(224a) 및 제2리니어가이드(224b)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에 연결되는 이동부재(225)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225)에 의해 상기 드리퍼(d)가 배치되는 상기 받침대(21)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linear movement part 22 is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221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222 is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the ball screw 222 The linear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ide block 223 connected to the) so that the slide block 223 linearly moves in the first linear guide 224a and the second linear guide 224b, and thus the slide block (223). The moving member 225 connected to the 223 also moves linearly, thereby moving the pedestal 21 in which the dripper d is disposed by the moving member 225 in a linear direction.

상기 이송모터(22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을 정면 혹은 후면을 향해 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226)는 상기 리니어가이드(224a-224b)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의 홀이 형성되며, 일측에 그 중 2개의 홀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측에 나머지 2개의 홀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4개의 홀은 상기 드리퍼(d)가 움직일 수 있는 반경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근접센서(22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이 상기 4개의 홀 중 어느 홀까지 이동하는지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상술할 컨트롤러(50)는 상기 근접센서(226)가 감지한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의 이동위치를 전달받아, 커피컵(c)의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이동허용범위와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의 이동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위치가 상기 이동허용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이송모터(221)를 기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ransfer motor 221 is capable of bo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is provided to move the slide block 223 in two directions toward the front or the rear.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226 has four hole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ar guides 224a to 224b, two of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and the other two holes are adjacent to the other side. To be placed. The four holes are for adjusting the radial range in which the dripper (d) can move, the proximity sensor 226 is shown in Figure 11, the slide block 223 is any of the four holes Detects if it moves to the hole. Through this, the controller 50 to be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lide block 223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226, 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ffee cup (c) the movement allowable range and the slide block ( Compar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223, when the movement position reaches the movement allowable range, the controller 5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transfer motor 2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portunistic direction, .

이때, 상기 제1리니어가이드(224a)와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24b)는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이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양측에 방지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inear guide 224a and the second linear guide 224b may further include bumps on both sides such that the slide block 223 does not mov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회전운동부(23)는 회전모터(231) 및 상기 회전모터(231)의 회전동력을 상기 드리퍼(d)로 전달하는 타이밍벨트(232)를 포함한다.The rotary motion unit 23 includes a rotary motor 231 and a timing belt 232 for transmitting the rotary power of the rotary motor 231 to the dripper (d).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운동부(2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3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상기 타이밍벨트(232)에 의해 상기 받침대(21)로 전달되어 상기 받침대(2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In detail, as shown in FIG. 11, the rotational force 23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tor 231 to the pedestal 21 by the timing belt 232. 21) to rotate.

상기 타이밍벨트(232)는 상기 회전모터(2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풀리, 상기 드리퍼(d)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모터(231)로부터 상기 받침대(2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를 포함한다. The timing belt 232 connects the first pulley disposed under the rotary motor 231, the second pulley disposed under the dripper d, and the first pulley and the second pulley to connect the first pulley. It includes a bel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edestal 21 from the rotary motor 231.

여기서, 상기 드리퍼(d)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풀리의 면적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받침대(21)의 면적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드리퍼(d)에서 커피가 추출 중 튀더라도 상기 드리퍼(d)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풀리에 손상을 가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Here, the area of the second pulley disposed under the dripper d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pedestal 21 located above.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second pulley disposed below the dripper d even if coffee splashes during the extraction in the dripper d.

또한, 상기 이송모터(221)와 상기 회전모터(231)는 커피가 튈 수 있는 드리퍼(d)와 커피컵(c) 방향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모터(221)는 후측 방향으로, 상기 회전모터(231)는 상측 방향으로, 다른 장치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tor 221 and the rotary motor 231 are installed to exten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of the coffee cup (c) and the dripper d coffee can be, specifically, the transfer motor 221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rotary motor 231 is provided in an upward direction, at a position that is not interfered by other devices.

다음으로, 상기 온수공급장치(30)는,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통(w)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보일러(31)를 통해 상기 물을 가열한 후, 온수가 필요한 경우 개폐밸브를 통해 상기 온수공급관(32)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Next,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receives the water from the bucket w to heat the water through the boiler 31, the hot water is required In this case, it is provided to supply hot water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through an open / close valve.

상기 물통(w)은 물을 담기 위해 장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판재 상에 위치한다. 상기 판재는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와 상부에서 상기 제2케이스(62) 및 상기 제3케이스(63)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통(w)은 장탈착되는 경우에도 타 장치에 피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다.The bucket (w) should be provided in a removable form for containing water, it is located on the plat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Since the plate is blocked by the second case 62 and the third case 63 at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and the upper portion, the water container w is damaged by other devices even when it is mounted or detached. May not coat.

또한, 상기 물통(w)은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cket w may be provided with a pump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iler.

상기 보일러(31)는 본 발명의 바리스타 커피로봇(1)의 최우측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에 위치하여, 세워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는 누운 형태로 구비될 경우, 구조적 관점에서 물을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The boiler 31 is located at the rightmost side of the barista coffee rob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which is located at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located at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It is provided in the form. This is because when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lying down, the operation of heating with hot water can be made by receiving water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다음으로,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는, 상기 온수공급장치(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두에 상기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드리퍼(d)를 통해 제조된 커피가 채워진 커피컵(c)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컵(c)을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Next,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the coffee cup filled with the coffee produced by the dripper (d) is supplied with the hot water to the coffee beans (c) ) Is a device for moving the coffee cup (c) to the user 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는, 상기 커피컵(c)이 배치되는 받침대(41), 상기 커피컵(c)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42), 및 상기 커피컵(c)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3)를 포함한다.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detects a pedestal 41 on which the coffee cup c is disposed, a linear movement part 42 for moving the coffee cup c in a straight line, and the coffee cup c. It includes a detecting sensor 43.

상기 직선운동부(42)는 이송모터(421), 볼스크류(422), 슬라이드블럭(423), 리니어가이드(424), 및 이동부재(425)를 포함한다.The linear motion part 42 includes a transfer motor 421, a ball screw 422, a slide block 423, a linear guide 424, and a moving member 425.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운동부(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터(42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422)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422)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423)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리니어가이드(424a)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에 연결되는 이동부재(425)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2425)에 의해 상기 커피컵(c)이 배치되는 상기 받침대(21)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linear movement part 42 is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421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422 is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the ball screw 422 The linear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ide block 423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423 is linearly moved in the linear guide 424a, thereby moving member 425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423 In addition, the linear movement is to move the base 21 in which the coffee cup c is disposed by the moving member 2425 in a linear direction.

상기 이송모터(42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을 정면 혹은 후면을 향해 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송모터(421)가 정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이 정면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커피컵(c)을 정면 방향으로 내밀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커피컵(c)을 사용자가 취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모터(421)가 역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이 후면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커피컵(c)이 배치되는 상기 받침대(21)를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fer motor 421 is capable of bo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is provided to move the slide block 423 in two directions toward the front or the rear. When the transfer motor 421 is rotated forward, the slide block 423 is moved toward the front to easily take out the coffee cup (c) in the front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akes out the coffee cup (c), the transfer motor 421 is rotated in reverse, the slide block 423 is moved toward the rear, the pedestal in which the coffee cup (c) is disposed Move (21) to the rear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리니어가이드(424)는 상기 슬라이드블럭(423)이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양측에 방지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near guide 424 may further include bumps on both sides such that the slide block 423 does not mov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이송모터(421)는 커피가 튈 수 있는 드리퍼(d)와 커피컵(c) 방향과 반대측인,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다른 장치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tor 421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to the rear side, which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ffee dripper (d) and the coffee cup (c) can stan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not to be interfered with by other devices.

상기 감지센서(43)는 상기 온수공급관(32)으로부터 상기 드리퍼(d)에 온수를 공급받기 전에 미리 상기 커피컵(c)이 상기 받침대(41)에 위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컨트롤러(50)가 상기 커피컵(c)이 없을 때 온수를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러(5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sensor 43 checks whether the coffee cup c is positioned on the pedestal 41 before receiving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to the dripper d. When the coffee cup (c) is absent,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so as not to supply hot w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이 작동되는 제어로직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logic of operating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상기 컨트롤러(50)는,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아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를 제어하고,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의 작동이 완료되면 커피제조가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완료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The controller 50 receives the user's order to control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When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is completed, it is recognized that the coffee production is completed and transmits a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에서는 상기 이송모터(221), 상기 회전모터(231)를, 상기 온수공급장치(30)에서는 상기 물통(w)의 몰을 상기 보일러(31)로 공급하는 펌프(미도시), 상기 보일러(31)를,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에서는 상기 이송모터(421)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50 is the transfer motor 221, the rotary motor 231 in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mole of the water tank (w) i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to the boiler A pump (not shown) to be supplied to the 31 and the boiler 31 may be controlled by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and the transfer motor 421.

상기 커버(10)는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4)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입력부(14)로부터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1)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출력부(15)에 완료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ver 10 may include an input unit 14 for inputting an order of a user and an output unit 15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rein the controller 50 is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14. In response to the order signal, the coffee robot 1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rder signal, and when the coffe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comple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5.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테이블 내에,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71),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73), 및 상기 입력부(71)와 상기 출력부(73)를 상기 컨트롤러(50)와 신호를 교환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72)로 구성되는 주문기(7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입력부(71)로부터 상기 통신부(72)에 의해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1)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72)에 의해 상기 출력부(73)에 완료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 used by the user, an input unit 71 for inputting a user's order, an output unit 73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and the input unit 71 and the output unit 73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Ordering unit 70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unit 72 is provided to exchange a signal with the 50, wherein the controller 50 is an order signal from the input unit 71 by the communication unit 72 Received to control the coffee robot 1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signal and when the production of coffee is comple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2 may transmit a comple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73).

상기 커버(10) 혹은 상기 주문기(70)에 구비되는 입력부(14, 71)는 커피의 종류,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20)의 이동패턴,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20)의 회전방향(정,역),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상기 커피컵(c)의 크기 등을 사용자에게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s 14 and 71 provided in the cover 10 or the ordering machine 70 may include a type of coffee, a movement pattern of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20, and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20 ( Forward, revers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he size of the coffee cup (c) may be input to the user.

상기 입력부(14, 71)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전달받은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20), 상기 온수공급장치(30),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40)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receiving the contents input by the input units 14 and 71 may control the first half of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hot water supply device 30,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Can be.

상기 출력부(15, 73)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혹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s 15 and 73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such as an LE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or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상기 통신부(72)는 블루투스와 같이 무선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72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은 커피추출과정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순서대로 작동되도록 마련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opera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s shown in FIG. 16, 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바리스타 커피로봇(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형태로 마련된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원두가루를 여과지에 넣은 드리퍼(d)를 상기 드리퍼이동장치(20)의 상기 받침대(21)의 상기 취출구멍(211)에 삽입한다. 그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고자 하는 커피컵(c)을 상기 커피컵이동장치(40)의 상기 받침대(41)에 안착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50)를 통해 커피추출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물통(w)으로부터 물이 상기 보일러(31)로 공급되어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는 상기 온수공급관(32)을 통해 상기 드리퍼(d)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드리퍼(d)는 상기 드리퍼이동장치(20)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맛을 내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50)에 의해 정해진 방향, 혹은 입력된 방향으로 상기 드리퍼(d)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드리퍼(d)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및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드리퍼(d)의 직선운동을 야기하는 상기 이송모터(221)와, 회전운동을 야기하는 상기 회전모터(231)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직선운동의 경우, 기입력된 상기 커피컵(c)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의 이동위치를 상기 근접센서(226)를 통해 입력받고 기입력된 상기 커피컵(c)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이ㅗ동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223)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온수공급관(32)으로부터 정해진 양의 온수 공급이 완료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컵(c)은 상기 커피컵이동장치(4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커피컵(c)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커피컵(c)의 직선운동을 야기하는 상기 이송모터(421)를 정회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423)과 상기 이송부재(425)에 의해 상기 커피컵(c)이 안착된 상기 받침대(41)를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감지센서(43)는 상기 커피컵(c)이 상기 받침대(41)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커피컵(c)이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컵이동장치(40)의 상기 이송모터(421)를 역회전 제어하여 상기 커피컵(c)이 안착되는 상기 받침대(41)를 원래 자리로 복귀시킨다.First, the barista coffee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basic form as shown in FIG. In order to extract coffee, as shown in FIG. 18, a dripper (d) in which the user puts the desired coffee beans into the filter paper is inserted into the ejection hole 211 of the pedestal 21 of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 Thereafter, as shown in FIG. 19, the user places the coffee cup c to receive the extracted coffee on the pedestal 41 of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When a user inputs a coffee extraction command through the controller 50,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w to the boiler 31 to be heated, and the heated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per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d). At this time, the dripper (d) is moved by the dripper moving device 20, the dripper (d) in the direction or input direc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0 to taste the coffee desired by the user. Can be moved. The dripper d has a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as shown in FIG. 20, and the controller 50 causes a rotational motion with the transfer motor 221 causing a linear motion of the dripper d. The rotary motor 231 is controlle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linear motion, the controller 50 receives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lide block 223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226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ffee cup c previously input. The slide block 223 is controlled to move within the allowable moving range not exceeding the size of the coffee cup (c).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is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32,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coffee cup c is connected to the coffee cup c by the user by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It is moved toward the user so that it can be easily taken out. To this end, the controller 50 performs forward rotation control of the transfer motor 421 causing the linear motion of the coffee cup c, so that the coffee cup is controlled by the slide block 423 and the transfer member 425. (c) moves the base 41 on which it is seated. Thereafter, the detection sensor 43 checks whether the coffee cup c is located on the pedestal 4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ffee cup c is taken out by the user, the controller 50 As shown in FIG. 22, the transfer motor 421 of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40 is rotated in reverse to return the base 41 on which the coffee cup c is se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an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바리스타 커피로봇
10 : 커버
11 : 상부받침대
12 : 하부받침대
13a : 제1수직받침대
13b : 제2수직받침대
13c : 제3수직받침대
14 : 입력부
15 : 출력부
20 : 드리퍼 이동장치
21 : 받침대
211 : 취출구멍
22 : 직선운동부
221 : 이송모터
222 : 볼스크류
223 : 슬라이드블럭
224a : 제1리니어가이드
224b : 제2리니어가이드
225 : 이동부재
226 : 근접센서
23 : 회전운동부
231 : 회전모터
232 : 타이밍벨트
30 : 온수공급장치
31 : 보일러
32 : 온수공급관
40 : 커피컵 이동장치
41 : 받침대
42 : 직선운동부
421 : 이송모터
422 : 볼스크류
423 : 슬라이딩블럭
424 : 리니어가이드
425 : 이동부재
43 : 감지센서
50 : 컨트롤러
60 : 케이스
61 : 제1케이스
62 : 제2케이스
63 : 제3케이스
70 : 주문기
71 : 입력부
72 : 통신부
73 : 출력부
c : 커피컵
d : 드리퍼
w : 물통
1: Barista Coffee Robot
10: cover
11: upper stand
12: lower support
13a: first vertical support
13b: second vertical support
13c: third vertical support
14: input unit
15: output unit
20: dripper moving device
21: pedestal
211: blowout hole
22: linear motion part
221: feed motor
222 ball screw
223: Slide Block
224a: First Linear Guide
224b: Second Linear Guide
225: moving member
226: proximity sensor
23: rotary motion part
231: Rotating Motor
232: Timing Belt
30: hot water supply device
31: boiler
32: hot water supply pipe
40: coffee cup moving device
41: pedestal
42: linear motion portion
421: transfer motor
422 ball screw
423: Sliding Block
424: Linear Guide
425: moving member
43: detection sensor
50: controller
60: case
61: case 1
62: second case
63: third case
70: ordering machine
71: input unit
72: communication unit
73: output unit
c: coffee cup
d: dripper
w: bucket

Claims (5)

상부받침대, 하부받침대, 3개의 수직받침대로 구성되어 ‘ㄷ’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분쇄된 원두와 여과지가 삽입된 드리퍼를 배치하여, 상기 드리퍼의 상측에 형성되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관의 단부가 상기 드리퍼 내에 위치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는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보일러를 통해 상기 물을 가열한 후, 온수가 필요한 경우 개폐밸브를 통해 상기 온수공급관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두에 상기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드리퍼를 통해 제조된 커피가 채워진 커피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컵을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시키는 커피컵 이동장치;
상기 커버 내에서 최후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아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커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드리퍼와 상기 커피컵을 제외하고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 상기 온수공급장치,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 상기 컨트롤러를 온수와 제조된 커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공급관과 상기 커피컵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반면, 상기 드리퍼는 상기 드리퍼에 삽입되어 있는 분쇄된 원두에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을 때 상기 드리퍼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 커피로봇.
A cover composed of an upper pedestal, a lower pedestal, and three vertical pedestals, the cover having a 'B'shape;
The drippe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dripper is placed in the ground, and the filter paper is inserted. A dripper moving device;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ipper moving device and receiving water from a bucket to heat the water through a boiler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through an open / close valve when hot water is require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e coffee cup movement to move the coffee cup to the user 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coffee cup filled with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prepared by the dripper Device;
A control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ver to control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by receiving a user's order; And
Is provided in the cover, except the dripper and the coffee cup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side to protect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the controller from hot water and coffee produced Includes case;
In the case of producing coffee,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the coffee cup are arranged in a fixed position, while the dripper is used when the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ground coffee inserted into the dripper. Barista coffe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put by the user can automatically manufacture coffee to suit the tast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 이동장치는,
이송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제1리니어가이드 및 제2리니어가이드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드리퍼가 배치되는 받침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 및
회전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기 받침대로 전달되어 상기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 커피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pper moving devi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to be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and the linear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ide block connected to the ball screw, so that the slide block is provided in the first linear guide and the second linear guide. Linear movement, and thus a linear movement part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also linearly moves to move the pedestal in which the dripper is disposed by the movable member in a linear direction; And
Barista coffe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motor is transmitted to the pedestal by the timing belt to rotate the pedes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컵 이동장치는,
이송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힘이 볼스크류에 전달되어 직선힘으로 전환되고,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럭에 상기 직선힘이 전달되어 리니어가이드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이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도 직선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커피컵이 배치되는 받침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 커피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offee cup moving devi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motor is transferred to the ball screw to be converted into a linear force, the linear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ide block connected to the ball screw to linearly move the slide block in the linear guide, thereby The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is also linear movement, barista coffe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ear movement portion for moving the base in which the coffee cup is disposed by the moving member in a linea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출력부에 완료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 커피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order and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The controller receives the order signal from the input unit to control the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order signal and when the coffee is completed, the barista coffe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mple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테이블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를 상기 컨트롤러와 신호를 교환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주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주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문신호에 따라 상기 커피로봇을 제어하고 커피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 완료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 커피로봇.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in the table, further comprising an ordering unit consisting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order,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arranged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
The controller receives the order signal from the input unit by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coffee robot according to the order signal, and when the coffee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unit sends a comple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bar Star coffee robot.
KR1020180035701A 2018-03-28 2018-03-28 Barista coffee robot KR102121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01A KR102121750B1 (en) 2018-03-28 2018-03-28 Barista coffe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01A KR102121750B1 (en) 2018-03-28 2018-03-28 Barista coffee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57A true KR20190113257A (en) 2019-10-08
KR102121750B1 KR102121750B1 (en) 2020-06-11

Family

ID=6820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701A KR102121750B1 (en) 2018-03-28 2018-03-28 Barista coffe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75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73B1 (en) 2020-04-17 2020-11-03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Gripp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ing robot arm and controllong method thereof
KR102232598B1 (en)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Brush and removing apparatus of coffee grounds including the brush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32603B1 (en)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Coffee extracting system using robot ar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80976A (en)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상화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feeding of beverage
KR20210157654A (en)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상화 Beverage feeding apparatus and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feeding of beverage using it
KR102497339B1 (en)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Multi-use cup access device provided i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543A (en) * 2003-11-06 2005-06-02 Shigeki Kageyama Drip coffee maker
JP3169268U (en) * 2011-05-12 2011-07-21 チャン ハオ‐フェンChang Hao−Feng coffee maker
KR200459202Y1 (en) 2009-02-16 2012-03-22 송유진 Coffee maker for manual-drip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1652754B1 (en) * 2015-04-30 2016-08-31 이기택 Coffee drip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268B2 (en) * 1992-06-10 2001-05-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ush molded produ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543A (en) * 2003-11-06 2005-06-02 Shigeki Kageyama Drip coffee maker
KR200459202Y1 (en) 2009-02-16 2012-03-22 송유진 Coffee maker for manual-drip
JP3169268U (en) * 2011-05-12 2011-07-21 チャン ハオ‐フェンChang Hao−Feng coffee maker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1652754B1 (en) * 2015-04-30 2016-08-31 이기택 Coffee drip mach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976A (en)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상화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feeding of beverage
KR102173073B1 (en) 2020-04-17 2020-11-03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Gripp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ing robot arm and controllong method thereof
KR102232598B1 (en)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Brush and removing apparatus of coffee grounds including the brush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32603B1 (en)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Coffee extracting system using robot ar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157654A (en)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상화 Beverage feeding apparatus and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feeding of beverage using it
KR102497339B1 (en) * 2022-10-07 2023-02-07 (주)플레토로보틱스 Multi-use cup access device provided i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750B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3257A (en) Barista coffee robot
AU20192467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uring out milk froth, liquids or the like
KR101693261B1 (en) Automatic drip coffie
EP2983571B1 (en) Espresso milk frother
CN103813740B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2214778B1 (en) Barista robot
JP3172243U (en) Manual coffee dripper
BR112018016422B1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CN206197768U (en) A kind of coffee machine of adjustable concentration of infusing coffee
CN104484950B (en) Self-service cake vending machine based on 3D (three dimensional) printing forming
CN107309881B (en) Automatic tea making robot
CN108577547A (en) A kind of novel coffee machine
CN205409492U (en) Rotary -type face machine that boils in succession
WO2013128323A3 (en) Beverage producing machine with adjustable dispensing nozzle
EP1738676A1 (en) Machine and device for supplying beverages in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and method therefor
EP0630602A1 (en) Infusion maker
TWM491424U (en) Latte art device and beverage machine having the same
CN205181105U (en) Coffee maker
CN105266657A (en) Coffee maker and filter and guide cylinder
KR101894843B1 (en) Hand dripper for coffee
CN201079290Y (en) Beverage punching and boiling machine capable of regulating flow quantity
CN210930899U (en) Coffee machine
CN208941814U (en) A kind of novel coffee machine
CN202287478U (en) Novel automatic teapot
CN207071044U (en) The filter of soaking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