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666A -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666A
KR20190111666A KR1020180034075A KR20180034075A KR20190111666A KR 20190111666 A KR20190111666 A KR 20190111666A KR 1020180034075 A KR1020180034075 A KR 1020180034075A KR 20180034075 A KR20180034075 A KR 20180034075A KR 20190111666 A KR20190111666 A KR 2019011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antenna
transmitter
canc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갑구
선종필
박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엠제이링크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엠제이링크,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8003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666A/en
Publication of KR2019011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6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ansmission signal removing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a transmission signal to remove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and improving reception quality for a reception signal by allowing a transmission signal to remove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through an antenna.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part, a transmission antenna, a reception antenna, and a reception part which allows the signal of the transmission part to remove a signal which the reception antenna receives through the transmission antenna, and passes only a reception signal.

Description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Transmission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신 신호가 수신 신호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 신호 미치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moving interference from a transmission signal on a reception sign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signal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remov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antenna.

무선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 중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효율을 높이는 TDD(Time Division Dulpex)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TDD (Time Division Dulpex), which uses the same frequency to improve frequency efficiency, is widely used among wireless technologies.

TDD방식은 송수신기가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수신할 때 송수신을 동시에 하지 않고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 함으로써 송수신간의 간섭을 없애주는 방식으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의 경우 순방향 링크와 역방향 링크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서비스할 수 있고, 송신과 수신을 스위칭하여 사용하므로 순방향 링크의 신호와 역방향 링크의 신호 간에 서로 간섭을 주지 않는 잇점이 있다. TDD eliminates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by alternat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when the transceiver transmits and receives through one antenna.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forward link and a reverse link can be serviced in the same frequency band.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and the reception are used by switching, the signal of the forward link and the signal of the reverse link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러나 TDD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스위치하여 안테나에 연결하여야 하며, 이때, 스위치의 수명이 급격히 열화되는 문제와 스위치의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 그리고 스위칭에 필요한 시간 동안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대두 되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TDD method, a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signal must be switched to be connected to an antenna. In this case, the life of the switch is rapidly deteriorated, the problem of adjust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switch,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for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This deteriorating problem has emerged, and efforts to solve it have continued.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07452호에서는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용 서비스 안테나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용 서비스 안테나로 구분하고 기지국과 연결하는 송신용 도너 안테나와 수신용 도너 안테나를 구분하여 동기 검파 모듈과 스위치 없이 사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7452 is divided into a transmission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and a receiving service antenna for receiving from the terminal and the donor antenna for receiving and the donor antenna for 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we presented a method that can be used without a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and a switch.

그러나 이 경우에도,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간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기 어려워 송신 신호가 수신 신호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and the receiving antenna, and thus the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s with the received signal.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07452호(2006.01.2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7452 (2006.01.24.)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신호가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for remov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by a transmission signal.

본 발명은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which improves reception quality of a reception signal by remov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through an antenna.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는 송신부,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및 송신부의 신호가 송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tter, a transmitter antenna, a reception antenna,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move a signal received by a signal of the transmitter from the receiver antenna and to pass only the received signal.

여기서, 송신부는 초기 구동 시 수신부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tter may increase the power gradually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r during initial driving.

또한, 수신부는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수신부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r may connect the input of the receiver to ground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is inputted to the receiver above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수신부는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er may limit the transmit power of the transmitter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is input to the receiver above the reference value.

또한, 수신부는 수신부에 유입된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r ma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여기서, 수신부는 수신부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수신 안테나로 다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er may remove the feedba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to another antenna and received again by the receiver antenna.

또한, 수신부는 송신부의 입력 신호 또는 송신부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수신부에 유입된 송신부의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er may include a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configured to remove a signal of the transmit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or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여기서, 송신 신호 제거기는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부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발생한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receives the same signal as the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from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and the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and the intermodulation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t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that removes from the signal.

또한, 송신 신호 제거기는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부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발생한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receives the same signal as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from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and the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from the transmitter. It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that removes from the input signal.

여기서, 수신부는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송신부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 및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에 위치하여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unit is located at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and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for remov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antenna, the feedback signal for removing the signal fed back to the receiving antenna through the other antenna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t may include an eliminator.

또한, 수신부는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송신부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 및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에 위치하여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r is located at the in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and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to remove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ntenna, the feedback signal for removing the signal fed back to the receiving antenna through the other antenna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t may include an eliminator.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방법은 송신부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및 송신부의 신호가 송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includes a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at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step of removing a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unit through a transmitting antenna and receiving only the received signal. Can be.

여기서, 송신 단계는 초기 구동 시 수신부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tt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gradually increased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r during the initial driving.

또한, 수신 단계는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수신부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하거나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step may connect the input of the receiver to ground or lim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is input to the receiver above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수신 단계는 수신부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송신부의 상호 간섭 또는 수신부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step may remove at least any one of the mutual interference of the transmitter acting as an interference to the receiver or a signal from the receiver is transmitted to another antenna and received by the receiver antenna.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은 송신 신호가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remov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by a transmission sig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은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reception quality of a reception signal by remov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through a antenn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신부에서 간섭 신호가 없을 경우, 송신 안테나의 출력인 송신 신호와 수신 안테나의 수신인 수신 신호를 나타낸 파형이다.
도 3은 도 1의 수신부에서 간섭 신호가 존재할 경우, 송신부의 간섭 신호인 간섭 신호와 간섭이 제거된 신호인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나타낸 파형이다.
도 4는 도 1의 수신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송신 신호 제거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송신 신호 제거기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신부인 제 1 수신부 또는 제 2 수신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의 수신부인 제 1 수신부 또는 제 2 수신부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avefor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signal that is an output of a transmission antenna and a reception signal that is a receiver of a reception antenna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signal in the reception unit of FIG. 1.
FIG. 3 is a waveform illustrating an interference signal that is an interference signal of a transmitter and a reception signal from which an interference signal is removed, when an interference signal exists in the receiver of FIG. 1.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receiver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of FIG. 4 in detail.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of FIG. 4.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first receiver or a second receiver that is a receiver of FIG. 7.
9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first receiver or a second receiver that is a receiver of FIG. 7.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파형 및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detailed waveforms and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FIG. 1 in detail.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는 송신부(100), 송신 안테나(200), 수신 안테나(300), 및 송신부(100)의 신호가 송신 안테나(200)를 통해 수신 안테나(300)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수신부(400)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 1,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als of the transmitter 100, the transmitter antenna 200, the receiver antenna 300, and the transmitter 100 ar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antenna 200. By remov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300 through a) is made of a receiver 400 to pass only the received signal.

여기서, 송신부(100)는 초기 구동 시 수신부(400)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tter 100 may increase the power gradually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r 400 during initial driving.

또한, 수신부(400)는 송신부(100)의 신호가 수신부(400)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수신부(400)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r 400 may connect the input of the receiver 400 to ground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s input to the receiver 400 or more.

여기서, 수신부(400)는 송신부(100)의 신호가 수신부(400)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송신부(100)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er 400 may lim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100 when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is input to the receiver 400 or more.

또한, 수신부(400)는 수신부(400)에 유입된 송신부(100)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r 400 ma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400.

여기서, 수신부(400)는 수신부(400)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수신 안테나(300)로 다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er 400 may remove the feedback signal from the signal of the receiver 400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ntenna and received again by the receiver antenna 300.

즉, 수신부(400)는 송신부(100)와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독립된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와의 거리에 따라 아이솔레이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receiver 400 uses an independent antenna without using the transmitter 100 and the switch,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isol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 antenna 200 and the receive antenna 300.

또한,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가 수신부(400)로 유입되어 간섭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유입되는 간섭의 크기가 클 경우 수신부(400) 내의 저 잡음 증폭기의 파손이 우려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may enter the receiver 400 and affect the interference. In particular, when the magnitude of the incoming interference is large, the low noise amplifier in the receiver 400 may be damaged. .

따라서, 수신부(400)에서는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의 간섭 신호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수신부(400)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하거나 송신부(100)의 송신 전력을 제한함으로써, 수신부(400)의 저 잡음 증폭기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receiver 400 measures the interference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connects the input of the receiver 400 to the ground or limit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100 when the input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is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low noise amplifier.

한편, 송신부(100)의 송신 전력을 서서히 증가함으로써, 갑작스런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의 유입 대비하여 수신부(400)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tect the receiver 400 against the inflow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udden transmitter 100.

도 2는 도 1의 수신부(400)에서 간섭 신호가 없을 경우, 송신 안테나(200)의 출력인 송신 신호(500)와 수신 안테나(300)의 수신인 수신 신호(600)를 나타낸 파형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될 경우,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500)가 수신 안테나(300)로 유입되지 않고 수신 안테나(300)에는 수신 신호(600)만 수신될 수 있다. 2 is a wavefor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signal 500 that is an output of the transmission antenna 200 and a reception signal 600 that is a receiver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signal in the reception unit 400 of FIG. 1. As shown in FIG. 2,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0 is secured, the transmitting signal 500 of the transmitting unit 100 does not flow into the receiving antenna 300 but the receiving antenna ( Only the received signal 600 may be received at 300.

한편,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송신 신호(500)가 수신 안테나(300)로 유입되어 수신부(40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0 is not secured, the transmitting signal 500 may flow into the receiving antenna 300 to act as an interference to the receiving unit 400.

도 3은 도 1의 수신부(400)에서 간섭 신호가 존재할 경우, 송신부(100)의 간섭 신호인 간섭 신호(700)와 간섭이 제거된 신호인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800)를 나타낸 파형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 간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간섭 신호(700)가 수신부(400)에 유입될 수 있는데, 이때, 간섭 신호(700)에 의해 수신부(400)의 수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FIG.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erence signal 700 that is an interference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a reception signal 800 from which an interference signal is removed when an interference signal exists in the receiver 400 of FIG. 1. to be. As can be seen in FIG. 3,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0 is not secured, an interference signal 700 may flow into the receiver 400, in which case the interference signal 700 As a result,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receiver 400 may decrease.

따라서, 수신부(400)에서 간섭 신호(700)를 제거하여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800)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received signal 800 from which the interference signal has been removed by removing the interference signal 700 from the receiver 400.

도 4는 도 1의 수신부(40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receiver 400 of FIG. 1.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부(400)는 송신부(100)의 입력 신호 또는 송신부(100)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수신부(400)에 유입된 송신부(100)의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receiver 400 removes a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400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may be included.

여기서, 송신 신호 제거기(410)에서 제거할 간섭 신호는 송신부(100)의 입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거나, 송신부(100) 내부의 앰프에서 발생한 액티브 상호 변조(Active Intermodulation)가 포함되거나, 송신 안테나(200) 또는 수신 안테나(300)에서 발생하는 패시브 상호 변조(Passive Intermodulation)이거나, 송신 신호 제거기(410) 내부의 앰프에서 발생한 액티브 상호 변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 the interference signal to be remov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is the same signal as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ncludes an active intermodulation (Active Intermodulation) generated in the amplifier inside the transmitter 100, or transmit antenna 200 Or pass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the reception antenna 300 or at least one of act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an amplifier inside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and refer to FIGS. 5 to 6.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4의 송신 신호 제거기(41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of FIG. 4.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신호 제거기(410)는 송신 신호 제거기(410)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수신 안테나(300)의 입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부(100)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411) 및 상호 변조 발생기(411)에서 발생한 송신부(100)의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안테나(300)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5,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er 4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generates a signal identical to the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from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411 and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411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412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generated from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411 from an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즉, 송신 신호 제거기(410)의 수신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는 TDD의 송신 시각으로 볼 수 있으며, 이때, 수신 신호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신 안테나(300)의 신호는 간섭 신호(700)만 존재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er 4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regarded as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DD. In this case, since the reception signal does not exist, the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may exist only the interference signal 700. have.

이때,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를 토대로 수신 안테나(300)의 출력과 동일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상호 변조 제거기(412)에서 제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ame intermodulation signal as the output of the receiving antenna 30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the intermodulation canceller 412 may remove it.

따라서, 상호 변조 제거기(412)에서는 송신 시각에서 발생된 간섭 신호(700)의 특성을 토대로 TDD의 수신 시각에서도 간섭 신호(700)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800)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intermodulation canceller 412 may effectively remove the interference signal 700 even at the reception time of the TD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erence signal 700 generated at the transmission time to output the reception signal 800 from which the interference signal has been removed. It can be effective.

도 6은 도 4의 송신 신호 제거기(410)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of FIG. 4 in detail.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신호 제거기(410)는 송신 신호 제거기(410)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송신 신호 제거기(410)의 출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부(100)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413) 및 상호 변조 발생기(413)에서 발생한 송신부(100)의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안테나(300)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generates the same signal as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10 from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413 and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413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414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즉, 송신 신호 제거기(410)의 수신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는 TDD의 송신 시각으로 볼 수 있으며, 이때, 수신 신호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신 안테나(300)의 신호는 간섭 신호(700)만 존재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er 4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regarded as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DD. In this case, since the reception signal does not exist, the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300 may exist only the interference signal 700. have.

이때,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를 토대로 수신 안테나(300)의 출력과 동일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상호 변조 제거기(412)에서 제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ame intermodulation signal as the output of the receiving antenna 30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and the intermodulation canceller 412 may remove it.

따라서, 상호 변조 제거기(412)에서는 TDD의 송신 시각에 발생된 간섭 신호(700)의 특성을 토대로 TDD의 수신 시각에서도 간섭 신호(700)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간섭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800)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intermodulation canceller 412 effectively removes the interference signal 700 even at the reception time of the TD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erence signal 700 generated at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DD to remove the reception signal 800 from which the interference signal has been re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utpu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7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detailed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FIG. 7 in detail.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는 제 1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1 수신 안테나(910), 제 1 수신부(920), 제 1 송신부(930), 및 제 1 송신 안테나(940)와 제 2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 수신 안테나(950), 제 2 수신부(960), 제 2 송신부(970), 및 제 2 송신 안테나(980)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7,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ceiving antenna 910, a first receiving unit 920, and a first transmitting unit 930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receiving antenna 950, a second receiving unit 960, a second transmitting unit 970, and a second transmitting antenna 980 that receive and amplify the first transmitting antenna 940 and the second signal. It is a configuration showing an example of a repeater.

여기서, 제 1 송신 안테나(940)의 출력은 제 1 수신 안테나(910)로 피드백되는 제 1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2)와 제 2 수신 안테나(950)로 유입되는 제 2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3)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utput of the first transmit antenna 940 is the first equal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2 fed back to the first receive antenna 910 and the second transmit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3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ive antenna 950. ) May be included.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송신 안테나(980)의 출력은 제 2 수신 안테나(950)로 피드백되는 제 2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4)와 제 1 수신 안테나(910)로 유입되는 제 1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1)를 포함할 수 있다. Similarly, the output of the second transmit antenna 980 is the second same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4 fed back to the second receive antenna 950 and the first transmit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1 flowing into the first receive antenna 910. ) May be included.

따라서, 제 1 수신부(920)의 경우 제 1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1) 및 제 1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2)를 제거하여야 하며, 제 2 수신부(960)의 경우 제 2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3) 및 제 2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4)를 제거하여야 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receiver 920,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1 and the first same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2 should be remov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receiver 960,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3. ) And the second identical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4 should be removed.

제 1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1)의 경우 제 1 수신 안테나(910)와 제 2 송신 안테나(980)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1 수신부(920)에 간섭으로 작용하며, 제 1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2)의 경우 제 1 수신 안테나(910)와 제 1 송신 안테나(940)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1 수신부(92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1,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reception antenna 9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980 is not secured,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acts as an interference to the first reception unit 920 and the first same signal interference. In the case of the signal 992,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receiving antenna 910 and the first transmitting antenna 940 is not secured, the signal 992 may act as interference to the first receiving unit 920.

또한, 제 2 송신 신호 간섭 신호(993)의 경우 제 2 수신 안테나(950)와 제 1 송신 안테나(940)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2 수신부(960)에 간섭으로 작용하며, 제 2 동일 신호 간섭 신호(994)의 경우 제 2 수신 안테나(950)와 제 2 송신 안테나(980)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 2 수신부(96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3,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antenna 950 and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940 is not secured, the second reception unit 960 acts as an interference,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3 is the same. In the case of the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4, when the isolation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antenna 95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ntenna 980 is not secured, the signal interference signal 994 may act as interference to the second receiving unit 960.

도 8 내지 도 9는 제 1 수신부(920)와 제 2 수신부(960)를 포함한 수신부(400)에서 이러한 간섭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상세한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8 to 9 illustrate a detailed configur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such interference in the receiver 400 including the first receiver 920 and the second receiver 960.

도 8은 도 7의 수신부(400)인 제 1 수신부(920) 또는 제 2 수신부(96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first receiver 920 or a second receiver 960 that is the receiver 400 of FIG. 7.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부(400)는 수신 안테나(300)로 유입된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430) 및 송신 신호 제거기(430)의 출력에 위치하여 송신 신호 제거기(430)의 출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300)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8, the receiver 400 is located at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3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30 for remov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antenna 300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30 may include a feedback signal canceller 420 for removing a signal fed back to the receiving antenna 300 through another antenna.

이때, 수신부(400)는 간섭 신호(700)를 먼저, 제거하고 이후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는 경우 이며, 간섭 신호(700)가 클 경우 송신 신호 제거기(430)에서 간섭 신호(700)를 미리 제거하므로 피드백 신호 제거기(420)에서의 피드백 신호 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er 400 removes the interference signal 700 first and then removes the feedback signal. If the interference signal 700 is large, the reception signal eliminator 430 removes the interference signal 700 in advance. The feedback signal cancellation performance of the feedback signal canceller 420 may be improved.

도 9는 도 7의 수신부(400)인 제 1 수신부(920) 또는 제 2 수신부(960)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FIG. 9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first receiver 920 or the second receiver 960 of the receiver 400 of FIG. 7.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부(400)는 수신 안테나(300)로 유입된 송신부(100)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440) 및 송신 신호 제거기(440)의 입력에 위치하여 송신 신호 제거기(440)의 입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300)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9, the receiver 400 is located at the in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4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40 for remov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antenna 300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440 may include a feedback signal canceller 450 for removing a signal fed back to the receiving antenna 300 through another antenna.

이때, 수신부(400)는 피드백 신호를 먼저, 제거하고 이후 간섭 신호(700)를 제거하는 경우이며, 피드백 신호가 클 경우 피드백 신호 제거기(450)에서 피드백 신호를 미리 제거하므로 송신 신호 제거기(440)에서 간섭 신호(700)의 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er 400 removes the feedback signal first and then removes the interference signal 700. If the feedback signal is large, the receiver 400 removes the feedback signal in advance and thus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er 44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rference performance of the interference signal 700 can be improv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신호 제거 방법은 송신부(100)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00) 및 송신부(100)의 신호가 송신 안테나(200)를 통해 수신 안테나(300)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0, the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is a step (S100)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and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0 is received by the receive antenna 300 through the transmit antenna 200 Removing the signal is made to pass only the received signal (S200).

여기서, 송신 단계(S100)는 초기 구동 시 수신부(400)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mitting step (S10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gradually increased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r 400 during the initial drive.

또한, 수신 단계(S200)는 송신부(100)의 신호가 수신부(400)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수신부(400)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하거나 송신부(100)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step (S200) may connect the input of the receiver 400 to ground or lim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100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100 is input to the receiver 400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수신 단계(S200)는 수신부(400)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송신부(100)의 상호 간섭 또는 수신부(400)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수신 안테나(300)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 등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step (S200) is a signal such as a feedback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300 by mutual interference of the transmitter 100 acting as an interference to the receiver 400 or a signal from the receiver 400 is transmitted to another antenna Can be removed.

따라서, TDD 중계기에 있어서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함으로써 스위치의 열화로 인한 TDD 중계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TDD repeater without using a switch, by secur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TDD repeater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witc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은 송신 신호가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으며,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 대역에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liminat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a reception band by a transmission signal, and receiving the reception signal by removing interference introduced into the reception band by a transmission signal.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quality.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cludes exampl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Of course, not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components or methods may b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many further combinations and substitutions of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alter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송신부;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송신부의 신호가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A transmitter;
radiator;
A receiving antenna; And
And a receiver which removes a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tter from the signal through the transmit antenna and passes only the received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초기 구동 시 상기 수신부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ing unit, the transmission signal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power gradually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ing unit during the initial dr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신호가 상기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상기 수신부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ceiving unit connects the input of the receiving unit to ground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ing unit is inputted to the receiving unit by a reference value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신호가 상기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ceiving unit limit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ing unit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ing unit is inputted to the receiving unit by a reference value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에 유입된 상기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ceiving unit removes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ing unit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부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상기 수신 안테나로 다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ceiving unit removes a feedback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of the receiving unit is transmitted to another antenna and received again by the receiving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입력 신호 또는 상기 송신부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상기 수신부에 유입된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ception unit comprises a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configured to remove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er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or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는,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상기 송신부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발생한 상기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상기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generating a signal identical to an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from a signal of the transmitter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nd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generated from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from an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는,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상기 송신부의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발생한 상기 송신부의 상호 변조 신호를 상기 수신 안테나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generating a signal identical to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from a signal of the transmitter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And an intermodulation canceller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generated from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from an input signal of the reception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 및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에 위치하여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출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A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unit introduced into the reception antenna; And
And a feedback signal remover positioned at an output of the transmit signal canceller to remove a signal from which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 signal remover is fed back to the receive antenna through another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 안테나로 유입된 상기 송신부의 송신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 신호 제거기; 및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에 위치하여 상기 송신 신호 제거기의 입력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A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for remov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unit introduced into the reception antenna; And
And a feedback signal canceller positioned at an in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and removing a signal fed back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canceller to the reception antenna through another antenna.
송신부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및
상기 송신부의 신호가 송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만 통과 시키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 제거 방법.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transmission unit; And
And a reception step of removing a signal from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to the reception antenna through the transmission antenna and passing only the reception sign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초기 구동 시 수신부에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서서히 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transmitting step, the initial signal driv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gradually increase the power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부로 기준값 이상으로 입력 시 상기 수신부의 입력을 접지로 연결하거나 상기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is input to the receiver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input of the receiver to ground or lim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수신부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기 송신부의 상호 간섭 또는 상기 수신부의 신호가 다른 안테나로 송신되어 상기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제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receiving step, a transmiss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mutual interference of the transmitter acting as interference to the receiver or the signal of the receiver is transmitted to another antenna to remove at least on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How to remove.
KR1020180034075A 2018-03-23 2018-03-23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KR201901116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75A KR20190111666A (en) 2018-03-23 2018-03-23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75A KR20190111666A (en) 2018-03-23 2018-03-23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666A true KR20190111666A (en) 2019-10-02

Family

ID=6842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075A KR20190111666A (en) 2018-03-23 2018-03-23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166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52A (en) 2015-12-23 2016-01-20 주식회사 루멘스 Light emitting element pack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52A (en) 2015-12-23 2016-01-20 주식회사 루멘스 Light emitting element pac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233B2 (en) Full duplex radio
US20160028469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US20160036403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US10499352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for multiple bands and multiple standards
KR200701063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ultipath interference signal using multiple wire feedback signal
KR20190111666A (en) transmit signal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JP2002158599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KR20130143726A (en) Wireless communications including distributed feedback architecture
CN106411386B (en) Full-band repeater
KR100957837B1 (en) Antenna separately radio system using Time Division Duplex
KR101868848B1 (en) Device for Canceling Passive Intermodulation Signal
KR20080105803A (en) A repeat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42993B1 (en) Front end unit of base station for interference signal control
KR200407860Y1 (en) Unwanted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and Cancellation System
KR100728247B1 (en) Wireless internet tdd repeater adopting feedback signal decreasing tools
US20170163233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KR102023452B1 (en) analog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KR100784149B1 (en)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WO2016062576A2 (en) Full duplex radio
CN111131103B (en) Multimode signal interference elimination method and system
KR100813238B1 (en) Full band duplexer
US20070155432A1 (en) Apparatus for improved reception sensitivity of base transceiver station
JP2000156657A (en) Near disturbance wave eliminating device
KR1009606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ath of radio frequency signal
KR101431528B1 (en) Full Band Duplex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