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230A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230A
KR20190107230A KR1020180027238A KR20180027238A KR20190107230A KR 20190107230 A KR20190107230 A KR 20190107230A KR 1020180027238 A KR1020180027238 A KR 1020180027238A KR 20180027238 A KR20180027238 A KR 20180027238A KR 20190107230 A KR20190107230 A KR 20190107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blockchain
block
lottery ticket
w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소트
Priority to KR102018002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230A/ko
Publication of KR2019010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권 발행 방식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복권 발행 방식은 블록에 당첨과 당첨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복권을 생성하여 발행하고, 채굴자에 의해서 채굴이 되는 경우에 당첨 내역이 블록에 저장되고, 상기 복권은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로 구분하고, 추첨은 복권 발행 시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를 포함하여 발행하고, 블록체인 복권의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당첨금으로 지급하고, 복권 계약은 복권 생성 시에 거래 데이터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복권발행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투명성 부족과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METHOD FOR LOTTERY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복권 발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투명성 부족과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권은 공공기관 등에서 특정한 사업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발행, 판매하는 것으로서, 현재 100여개 국가에서 발행되고 있으며, 수익금은 기간시설 확충이나 의료, 복지, 체육, 문화 등의 공익사업에 사용되고 있다.
복권은 당첨 여부를 가리는 형태에 따라 추첨식, 다첨식, 즉석식 등으로 분류되며, 인터넷이나 ARS 등 온라인 매체의 발전에 따라, 이들 온라인 매체를 통하여 복권을 발행, 판매하는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복권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복권번호가 미리 인쇄되어 구매자가 구입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점 및 판매점에서 판매되는 복권과, 구매자가 소망하는 복권번호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기입식 복권(즉 로또복권)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복권은 구매자가 복권 판매처(수탁업체 및 소매발행자)에 직접 방문하여 돈을 지불하고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 복권 발행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복권구매 및 복권판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라인 복권은 복권의 최종구매자가 복권판매장소에서 복권발행시스템을 갖춘 중앙전산센터와 전용회선으로 연결된 복권의 발매단말기를 통하여 직접 번호를 선택하거나 전산에 의하여 자동으로 번호를 부여받아 출력된 복권을 구매하고, 추첨으로 당첨번호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복권 구매자가 온라인 복권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복권을 구매하면, 중앙전산센터는 어느 복권 구매자가 해당 온라인 복권을 구매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고, 복권 당첨금의 안전한 지급을 위하여 이러한 구매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러한 익명성 보장 실패는 익명성을 요구하는 복권 구매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7605호는 전자 복권시스템 및 그것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사 서버가 복권 데이터와 복권 키의 쌍을 생성한 후, 복권 키로 복권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공급자 서버로부터 해당 복권 데이터의 복권 키가 접수되면 판매자 서버에서 복권 키를 이용하여 해당 복권 데이터를 복호화 한다.
또한, 해당 기술은 종래의 티켓 형태로 운영되던 복권을 전자 복권형태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9406호는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디지털 복권 및 상기 디지털복권 발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복권 발급 서버가 소정의 이미지 파일 및 복권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복권을 발급하고, 발급된 디지털 복권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0447605호(2004.09.07. 공고)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05-0109406호(2005.11.21. 공개) 문헌3: 공개특허공보 10-2010-0070650호(2010.06.28. 공개) 문헌4: 공개특허공보 10-2006-0098617호(2006.09.19. 공개) 문헌5: 공개특허공보 10-2005-0083034호(2005.08.24. 공개)
그러나 인터넷 등을 통한 온라인 복권의 경우, 구매과정에서 전자금융사고나 개인정보유출 등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복권의 발행, 판매 및 추첨 등의 과정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므로, 구매자가 이들 과정을 명확히 알 수 없어 추첨 및 배당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투명성 부족과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는 복권 발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은, 블록에 당첨과 당첨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복권을 생성하여 발행하고, 채굴자에 의해서 채굴이 되는 경우에 당첨 내역이 블록에 저장되고, 복권은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로 구분하고, 추첨은 복권 발행 시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를 포함하여 발행하고, 블록체인 복권의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당첨금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복권 계약은 복권 생성 시에 거래 데이터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권 추첨 계약자는 블록체인 디지털 지갑 생성 모듈을 사용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블록체인 복권 거래 데이터에 디지털 지갑 주소를 블록에 포함하여 추첨계약자가 복권의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에 발행된 당첨 블록해시를 블록헤더에 포함하여 해당 블록이 채굴자에 의하여 채굴이 되는 경우에 채굴된 블록헤더에 당첨블록 해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의 블록해시 결과값을 복권티켓 식별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복권발행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투명성 부족과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블록해시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블록헤드 해시 타입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본권 발행 방법은 복권 판매자가 복권 구매자에 의하여 구매된 복권번호를 알지 않고서 복권 당첨자를 안전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가상화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
여기에서, 가상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온라인 화폐로서,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돈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분산화 된 거래장부(즉, 블록체인) 방식을 도입한다. 채굴자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기록이 맞는지 확인해 거래를 승인하는 역할을 맡은 사람에 해당한다.
현재의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는 암화화 원천의 중심에 속하는 통합된 P2P, 인터넷 디지털 통화이다. 즉 원장 시스템이 분산되어 있다.
블록체인은 암호화된 복권번호를 공공 거래장부(즉,블록체인)에 등록하여 복권 구매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해당 복권 구매자에 의한 복권구매사실을 보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권 구매자의 익명성 보장 및 구매사실 객관성 보장을 위
하여 암호화된 복권번호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서는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에 발행된 당첨 블록해시를 블록헤더에 포함하여 해당 블록이 채굴자에 의하여 채굴이 되는 경우에 채굴된 블록헤더에 당첨블록 해시 정보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의 블록해시 결과값을 복권티켓 식별자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블록에 당첨과 당첨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복권을 생성하여 발행하게 되는데, 채굴자에 의해서 채굴이 되는 경우에 당첨 내역이 블록에 저장된다. 그리고 복권은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로 구분하고, 추첨은 복권 발행 시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를 포함하여 발행한다.
또한, 블록체인 복권의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당첨금으로 지급하고, 복권 계약은 복권 생성 시에 거래 데이터로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복권 추첨 계약자는 블록체인 디지털 지갑 생성 모듈을 사용하여 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블록체인 복권 거래 데이터에 디지털 지갑 주소를 블록에 포함하여 추첨계약자가 복권의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에 발행된 당첨 블록해시를 블록헤더에 포함하여 해당 블록이 채굴자에 의하여 채굴이 되는 경우에 채굴된 블록헤더에 당첨블록 해시 정보가 포함된다.
게다가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의 블록해시 결과값을 복권티켓 식별자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블록에 당첨과 당첨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복권을 생성하여 발행하고, 채굴자에 의해서 채굴이 되는 경우에 당첨 내역이 블록에 저장되고, 복권은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로 구분하고, 추첨은 복권 발행 시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및 별도의 복권 티켓 식별자에 당첨 블록체인 헤더 및 별도 복권 티켓 식별자를 포함하여 발행하고, 블록체인 복권의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당첨금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복권 계약은 복권 생성 시에 거래 데이터로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복권 추첨 계약자는 블록체인 디지털 지갑 생성 모듈을 사용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복권 거래 데이터에 디지털 지갑 주소를 블록에 포함하여 추첨계약자가 복권의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에 발행된 당첨 블록해시를 블록헤더에 포함하여 해당 블록이 채굴자에 의하여 채굴이 되는 경우에 채굴된 블록헤더에 당첨블록 해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복권은 블록헤더의 블록해시 결과값을 복권티켓 식별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KR1020180027238A 2018-03-08 2018-03-08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KR20190107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38A KR20190107230A (ko) 2018-03-08 2018-03-08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38A KR20190107230A (ko) 2018-03-08 2018-03-08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30A true KR20190107230A (ko) 2019-09-19

Family

ID=6806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38A KR20190107230A (ko) 2018-03-08 2018-03-08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723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05B1 (ko) 2001-06-20 2004-09-07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전자 복권시스템 및 그것의 운영방법
KR20050083034A (ko) 2005-06-22 2005-08-24 이근영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9406A (ko) 2005-01-14 2005-11-21 (주)케이비씨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디지털 복권 및 상기 디지털복권 발급 시스템
KR20060098617A (ko) 2005-03-03 2006-09-19 강정욱 인터넷 복권 서비스 운영 방법
KR20100070650A (ko) 2008-12-18 2010-06-28 최동우 온라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05B1 (ko) 2001-06-20 2004-09-07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전자 복권시스템 및 그것의 운영방법
KR20050109406A (ko) 2005-01-14 2005-11-21 (주)케이비씨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디지털 복권 및 상기 디지털복권 발급 시스템
KR20060098617A (ko) 2005-03-03 2006-09-19 강정욱 인터넷 복권 서비스 운영 방법
KR20050083034A (ko) 2005-06-22 2005-08-24 이근영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0650A (ko) 2008-12-18 2010-06-28 최동우 온라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0531A1 (en) Diamond custody system with blockchain non-fungible tokens (nfts)
Bollen The Legal Status of Online Currencies–Are Bitcoins the Future?
Raiborn et al.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Bitcoins
RU2591564C2 (ru) Авторизация выдачи наличных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US11978084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KR20200094531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34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icropayment transactions, corresponding client terminal and trader equipment
JP2020140400A (ja) 電子通貨、プログラム及び電子通貨取引システム
JP2023546273A (ja) デジタル資産交換システム、デジタルウォレット、及びデジタル資産交換アーキテクチャ
JP2019159935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20005023A1 (en) Programmable Transactions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US201602755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warding parties in a payment transaction via managing circulation of small denominations of currency
KR20190107230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복권 발행 방법
Willett et al. Omni protocol specification (formerly mastercoin)
Joy The Future of Crypto-Currency in the Absence of Regulation, Social and Legal Impact
WO200702912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s
US20180060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igital bearer instruments
JP7048039B1 (ja) 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決済方法及び決済プログラム
US20230065042A1 (en) Blockchain marketplace for debt capital
KR20190135360A (ko) 인비저블 월렛을 이용한 블록체인 무결성 확보방법
KR20080068631A (ko) 부동산 거래 계약 체결을 위한 단말장치
GB2428126A (en) System for processing transactions
KR20240026670A (ko) Nft를 이용한 ar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2089542A (ja) 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