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469A -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 Google Patents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469A
KR20190106469A KR1020180028006A KR20180028006A KR20190106469A KR 20190106469 A KR20190106469 A KR 20190106469A KR 1020180028006 A KR1020180028006 A KR 1020180028006A KR 20180028006 A KR20180028006 A KR 20180028006A KR 20190106469 A KR20190106469 A KR 2019010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rimination
banknote
discriminating
counterfe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4952B1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패스
Priority to KR102018002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952B1/en
Publication of KR2019010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unterfeit money detector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The portable counterfeit money detector comprises: a lower detection unit (20) including a transport unit (24) to receive a not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ransport the note along a prescribed path, a lower sensor unit (25) to test whether the note (N)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unit (24) is counterfeit, and a control unit (26) which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unit (24) and the lower sensor unit (25)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n upper detection unit (40)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detection unit (20), and includes a note support unit (44) correspondingly arranged on the transport unit (24) to support the note (B) being transported, and an upper sensor unit (45) to detect whether the note (N)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unit (24) is counterfeit; and a detection space maintaining unit (30)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and the upper detection unit (20, 40), provides a horizontal detection space (11) opened in a front and a rear transport direction of the note (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s, and has a guide surface (30a) formed in the detection space (11) to guide transport of one edge of the note (N).

Description

휴대형 위폐 감별기{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본 발명은 휴대형 위폐 감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종에 관계없이 다양한 사이즈의 지폐에 대한 감별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capable of performing discrimination on banknotes of various sizes, regardless of winding type.

복사기나 프린터의 고성능화에 따라,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위조기술이 과거에 비해 더욱 정밀해지고 그와 관련된 범죄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위폐는 소액 현금 거래시 육안으로 위조 여부를 일일이 가려내기가 어려워, 시중에 유통되다가, 이를테면, 최종 소지자가 은행에 예금 할 때가 되어서야 위조 여부가 밝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Due to the high performance of copiers and printers, counterfeit technologies such as banknotes and securities are becoming more precise than in the past, and crimes related to them are gradually increasing. In particular, counterfe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t was counterfeit with the naked eye during small cash transactions, so it was distributed on the market, for example, until the end holders deposited in the bank.

이러한 이유로 현금거래가 많은 재래시장이나 식당 또는 소매점 등의 업소에서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를 비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휴대형 위폐 감별기는, 대형 위폐감별기에 비해, 저렴하며 위폐 감별에 필요한 지폐의 일부 영역에 대한 센싱 신호만을 추출하여 신속하고 간단하게 위폐를 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For this reason,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s may be used in business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restaurants, or retail stores, where cash transactions are high. The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criminate counterfeits quickly and simply by extracting only a sensing signal for a portion of the bill required for counterfeit discrimination, compared to a large counterfeit discriminator.

종래의 휴대형 위폐 감별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지폐 투입시 지폐의 기울어짐 현상(Skew, 이하 스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측면부와 상하부면은 폐쇄된 형태이고 1개의 측면부를 개방하여 지폐 투입부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Conventional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has various types, and most of them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three side part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closed in order to prevent the skew (Skew, hereinafter referred to as skew phenomenon) when the bill is inserted. It has a structure which opened one side part part and formed banknote input part.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형 위폐 감별기는, 3개의 측면부가 막혀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지폐에 대한 감별을 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즉, 해당 감별기가 검사할 수 있는 최대 사이즈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권종의 지폐는 감별할 수 없는 것이다. 아니면, 폭과 길이가 큰 사이즈의 지폐에 맞춰 종래의 휴대형 위폐 감별기의 전체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scriminate bills of various sizes because three side portions are blocked. That is, banknotes of winding specie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maximum size that the discriminator can inspect cannot be discriminated. Or, the overall siz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is inevitably increased to match the bills of large width and length.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0367호(휴대형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위조지폐 감별기는, 다양한 권종의 위폐감별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었으며, 조작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Related art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80367 (Portable Fully Automatic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ounterfeit money discriminator, it could not be used universally for the differentiation of various kinds of counterfeit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cumberso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오픈 구조를 채용해 다양한 권종 및 크기의 지폐에 대한 위조 감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특히 위폐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휴대형 위폐 감별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maintaining a minimum size and adopting an open structure can perform forgery differentiation of banknotes of various windings and sizes, the operation is easy and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counterfe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gastrointestinal discriminator tha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immediately visually identif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받아 소정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24)와, 상기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하부센서부(25)와, 상기 이송부(24) 및 하부센서부(25)와 접속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26)을 구비한 하측감별부(20); 상기 하측감별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24)에 대응 배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지폐(N)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44)와, 상기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상부센서부(45)를 구비한 상측감별부(40); 및 상기 하측감별부(20)와 상측감별부(40)의 사이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지폐(N)의 전후방 이송방향 및 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평의 감별공간(11)을 제공하고, 상기 감별공간(11) 내측에는 상기 지폐(N)의 일측가장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이송가이드면(30a)이 형성된 감별공간유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ing a banknote input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whether or not forgery of the banknote (N) to be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24 A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having a lower sensor unit 25 for inspecting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module 26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24 and the lower sensor unit 25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the banknote support portion 44 for supporting the banknote (N)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portion 24 and conveyed by the conveying portion 24 An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having an upper sensor unit 45 for detecting whether the banknote N is forged; And a horizontal discriminating space 11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discriminating part 20 and the upper discriminating part 40 and opened in a forward and backward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rimination space holding unit 30 is formed in the discrimination space 11, the transport guide surface 30a for guiding the transport of one side edge of the banknote (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별공간(11)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감별부(20) 상부측을 이루는 면적은 상기 상측감별부(40)의 하부측을 이루는 면적보다 작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based on the discriminating space 11 is smaller than the area form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감별부(40)는 상기 하측감별부(20)의 모서리측으로 치우치게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iscriminating part 40 is disposed asymmetrically toward the edg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part 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4)는, 인가되는 전력에 의하여 출력기어(24b)를 회전시키는 모터(24a)와, 상기 구동벨트(24c)에 의하여 상기 출력기어(24b)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구동샤프트(24d)에 축결합되는 한쌍의 구동기어(24e)와, 상기 구동샤프트(24d)에 축고정되는 한쌍의 구동풀리(24f)와, 상기 한쌍의 구동풀리(24f)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동샤프트(24g)에 의하여 축고정되는 한쌍의 종동풀리(24h)와, 상기 구동풀리(24f)와 종동풀리(24h)를 연결하는 이송벨트(24i)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감별부(20)는 내측 방향의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터리(23)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24 is driven as being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24b by the motor 24a for rotating the output gear 24b by the applied electric power, and the drive belt 24c. A pair of drive gears 24e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24d, a pair of drive pulleys 24f axially fixed to the drive shaft 24d, and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drive pulleys 24f. A pair of driven pulleys 24h axially fixed by a driven shaft 24g, and a transfer belt 24i connecting the drive pulley 24f and the driven pulley 24h, wherein the lower discriminating part 20 The battery further includes a battery 23 dispos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inward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센서부(25)(45)를 통한 위폐 감별결과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6)는, 상기 하측감별부의 투광케이스(41)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26)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엘이디램프(46a)와, 상기 투광케이스(41)에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엘이디램프(46a)의 발광시 그 엘이디램프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46b)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 25,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46 for visually immediately notifying the user of the discrimination result through the 45; The display unit 46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and is applied to the LED lamp 46a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26 and to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And a light diffusion layer 46b which diffuses the light of the LED lamp when the LED lamp 46a emits light.

본 발명의 휴대형 위폐 감별기에 따르면, 콤팩트한 사이즈의 휴대형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권종 및 크기의 지폐에 대한 감별을 수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며 조작이 간편하고 특히 위폐 여부가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compact size of the portable type, it is possible to perform differentiation on bills of various windings and sizes, so that it is excellent in versatility, easy to operate, and in particular, whether the counterfeit can be immediately checked visually. It is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폐 감별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위폐 감별기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의 위폐 감별기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위폐 감별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위폐 감별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위폐 감별기의 하측감별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하측감별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의 위폐 감별기의 상측감별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위폐감별부의 상부센서부 및 하부센서부에 의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gastric discrimination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of FIG. 2 as viewed in the A direction,
4 is a view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of FIG. 1 as viewed in a direction B;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riation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discriminating portion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ure 2,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discriminating portion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ure 2,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criminating whether a banknote is forged by an upper sensor unit and a lower sensor unit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unit of FIG. 2;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rtable gastric discrimination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폐 감별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위폐 감별기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위폐 감별기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위폐 감별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위폐 감별기의 평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2의 위폐 감별기의 하측감별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하측감별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2의 위폐 감별기의 상측감별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gastric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 2 viewed from the A direction, and FIG. 4 is a view of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of FIG. 1 in a B direction,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of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 2,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discriminating unit of the gastric discriminator of FIG. 2.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낱장의 지폐(N)를 받아들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것이다. The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accepts a sheet of banknotes (N) having various sizes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forgery.

이러한 휴대형 위폐 감별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받아 소정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24)와,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검사하는 하부센서부(25)와, 이송부(24) 및 하부센서부(25)와 접속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26)을 구비한 하측감별부(20); 하측감별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하측감별부(20)와 함께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이송부(24)에 대응 배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지폐(N)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44)와,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상부센서부(45)와, 상하부센서부(25)(45)를 통한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46)를 갖는 상측감별부(40); 및 하측감별부(20)와 상측감별부(40)의 사이에 위치된 것으로서, 지폐(N)의 전후방 이송방향 및 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평의 감별공간(11)을 제공하고, 감별공간(11) 내측에서 지폐(N)의 일측가장자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면(30a)이 형성된 감별공간유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rtable counterfeit discriminator receives a banknote input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s it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lower sensor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banknote N transferred by the transferer 24 is forged. A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having a control module 26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24 and the lower sensor unit 25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and checks whether or not forgery of the banknotes N together with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and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unit 24 to support the banknotes N being transferr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rough the banknote support section 44, the upper sensor section 45 for detecting whether the banknote (N) conveyed by the transfer section 24, and the upper and lower sensor sections (25, 45) An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having a display unit 46 for visually informing a user of a signal; And a horizontal discriminating space 11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discriminating part 20 and the upper discriminating part 40 and opened in a forward and backward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N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And a discrimination space maintaining part 30 having a conveyance guide surface 30a for guiding the transport of one side edge of the banknote N in the discrimination space 11.

감별공간유지부(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감별부(20)와 상측감별부(40)를 체결 및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측감별부(20)와 상측감별부(40)의 일측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여 지폐(N)의 위조감별이 수행되는 감별공간(11)을 형성하고, 투입된 지폐(N)가 스큐되지 않도록 가이드해주어, 지폐(N)는 화살표 R 방향으로 감별공간(11)으로 진입 및 이송된다. 2 and 4, the discrimination space maintenance unit 30 serves to fasten and maintain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and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and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and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By supporting the one side of the upper discrimination unit 4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discrimination space 11 is performed forgery discrimination of the banknotes (N), guide the banknotes (N) to be inserted so as not to skew, bills (N) It enters and moves to the discrimination space 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감별공간(11)은 지폐(N)의 전후방 이송방향 및 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3 방향으로 개방되며, 이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지폐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감별공간(11)보다 작은 크기의 지폐와 더 큰 크기의 지폐는 물론, 폭과 길이가 다른 상이한 권종의 지폐를 모두 감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discrimination space 11 is ope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N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hat is, in three directions, so as to be able to inspect banknotes having various size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bills of a smaller size and bills of a larger size than the discriminating space 11, as well as bills of different winding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lengths.

감별공간(11)을 기준으로, 하측감별부(20) 상부측을 이루는 면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감별부(40)의 하부측을 이루는 면적보다 크다. 또한 상측감별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감별부(20)의 모서리측으로 치우치게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측감별부(40)와 하측감별부(20)의 비대칭형 크기 및 배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지폐(N)를 어떤 방향으로(즉, R 방향에서) 투입해야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지폐(N)를 거꾸로(즉, B 방향에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ased on the discrimination space 11, the area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is larger than the area form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upper discrimination unit 40, as shown in Figure 6, is arranged asymmetrically to the edge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By the asymmetric size and arrangement of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and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n which direction (i.e., in the R direction) the banknote N should be injec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nknote N from being put upside down (that is, in the B direction).

또한, 이러한 비대칭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그 만큼 불필요한 크기와 부피를 줄여 종래에 비해 최대한 컴팩트한 사이즈가 유지되게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designing such an asymmetr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necessary size and volume by that much compact siz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하측감별부(20)는, 대략 반타원 형상 또는 직육면체에서 각 모서리를 크게 라운드 처리한 형상을 가지며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케이스(21), 수평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받침케이스(21)의 상단 테두리에 고정되는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 지폐(N)의 하부면에서 위폐 여부를 감별하는 하부센서부(25)와, 지폐(N)를 이송하는 이송부(24)와,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26)을 포함한다.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is largely rounded in an approximately semi-elliptic shap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support case 21 by providing a support case 21 and a horizontal surface supporting the bottom. Lower guide plate 22 to be, the lower sensor unit 25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counterfeit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nknote (N), the transfer unit 24 for transferring the banknotes (N), and the control module 26 for various control ).

받침케이스(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도어(21a)가 구비되며, 이러한 개폐도어(21a)를 개방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3)를 교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upport case 2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oor 21a for opening the inside, and a battery 23 for providing power by open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21a. Can be replaced.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는 대략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라운드된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는 판상부재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슬릿(22a)이 형성되고, 관통슬릿(22a)은 후술할 이송벨트(24i)를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의 상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구멍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개의 관통슬릿(22a)이 형성되고, 이중 양측 관통슬릿(22a)에 이송벨트(24i)가 위치하지만, 중앙의 관통슬릿(22a)에도 이송벨트(24i)를 설치할 수 있다.The lower guide plate 22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shape of a substantially oval or rounded corner, and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through slits 22a elonga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bills are formed and penetrated. The slit 22a provides a hole for projecting the conveying belt 24i to be described later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guide plate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through slits 22a are formed, and the transfer belt 24i is positioned in both of the through slits 22a, but the transfer belt 24i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through slit 22a.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에 있어, 후술할 감별공간유지부(30)의 이송가이드면(30a)의 맞은편에는 보조지지부(22b)가 설치된다. 보조지지부(22b)는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지폐의 이송시 지폐가 외측으로 쳐지게 되어 감별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송벨트(24i)의 최상면보다 같거나 약간 낮은 단차를 갖도록 직선 형상의 리브가 복수개 형성되어 감별 도중(즉, 이송중)에 지폐가 가급적 수평의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보조지지부(22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의 저면에 대향되게 서로 약간씩 엇갈리게 위치하는 보조지지부(42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lower guide plate 22,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22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fer guide surface 30a of the discrimination space hold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auxiliary support part 22b prevents discrimination errors from occurring due to banknotes being squeezed outward during the transfer of banknot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and has a straight line to have a step that is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4i. A plurality of ribs in the shape are formed to keep the banknote as horizontal as possible during the differentiation (that is, during conveyance).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support part 22b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art 42b which is slightly staggered from each other to face the bottom of the upper guide plate 42.

배터리(23)는 받침케이스(21)의 내측에 교체 및 충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옵선형 전원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로 처리된 형상이나 반타원 형상의 받침케이스(21)의 내부 공간의 협소함을 고려하여 내측 방향의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23)의 배치 구조는 개폐도어(21a)를 개방하더라도 배터리가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교체나 탈착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유지보수 등을 위해 배터리를 꺼내면 메인보드(26b)의 접속 포트가 노출되게 되어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The battery 23 is an offset type power source installed to be replaceable and charged inside the support case 21, and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case 21 having a rounded corner shape or a semi-ellips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narrowness of the inner space of the inwardly disposed diagonally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refor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attery 23 is easy to replace or detach the user without the battery is easily pulled out even i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a), when the user takes out the battery for maintenance, etc. of the motherboard (26b) Access ports are exposed to facilitate maintenance work.

이송부(24)는 지폐(N)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배터리(23)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의하여 출력기어(24b)를 회전시키는 모터(24a)와, 구동벨트(24c)에 의하여 출력기어(24b)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구동샤프트(24d)에 축결합되는 한쌍의 구동기어(24e)와, 구동샤프트(24d)에 축고정되는 한쌍의 구동풀리(24f)와, 한쌍의 구동풀리(24f)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동샤프트(24g)에 의하여 축고정되는 한쌍의 종동풀리(24h)와, 구동풀리(24f)와 종동풀리(24h)를 연결하는 이송벨트(24i)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샤프트(24d)와 구동기어(24e)는 별개로 형성하여 체결 조립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인써트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구동샤프트(24d)와 구동기어(24e)를 체결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 transfer part 24 transfers bills N. The motor 24a rotates the output gear 24b by electric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y 23, and the output gear 24b is driven by the driving belt 24c. And a pair of drive gears 24e axial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24d, a pair of drive pulleys 24f axially fixed to the drive shaft 24d, and a pair of drive pulleys 24f. It includes a pair of driven pulleys 24h that are axially fixed by the driven shaft 24g, and a transfer belt 24i connecting the drive pulley 24f and the driven pulleys 24h. In this case, the driving shaft 24d and the driving gear 24e may be provided separately by being fastened and assembled, or alternatively, may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integrally by insert injection. 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in one piece,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assembling the drive shaft 24d and the drive gear 24e can be omitted.

이러한 이송부(24)에 있어서, 제어모듈(26)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24a)는 출력기어(24b)를 회전시키고, 출력기어(24b)는 구동기어(24e) 및 구동풀리(24f)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구동풀리(24f)와 종동풀리(24h) 사이에 걸어진 이송벨트(24i)는 구동풀리(24f)에 의하여 이송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이송벨트(24i)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24f)와 종동풀리(24h)에 지지된 상태로 양방향으로 순환운동하면서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의 관통슬릿(22a)의 상부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별공간(11)의 내부에서 돌출됨으로써 마치 벨트컨베이어와 같이 지폐(N)를 지지하며 수평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벨트(24i)의 이송방향은, 모터(24a)가 역회전함에 따라 반대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송벨트(24i)는 지폐(N)를 일방향(즉, 투입방향)으로 이송시키다가 역방향으로 이송시킨다. In this transfer section 24, the motor 24a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6 rotates the output gear 24b, and the output gear 24b rotates the drive gear 24e and the drive pulley 24f. Accordingly, the conveying belt 24i, which is caught between the driving pulley 24f and the driven pulley 24h, receives the conveying force by the driving pulley 24f. At this time, the conveying belt 24i, as shown in Figure 7, of the through slit 22a of the lower guide plate 22 while circulating in both direction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driving pulley 24f and the driven pulley 24h. As it is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ure 3, by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discrimination space 11 to support the banknote (N) as a belt conveyor, horizontal transfer. In this cas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24i may be reversed as the motor 24a rotates in reverse. In this case, the conveying belt 24i conveys the banknote N in one direction (ie, feeding direction). Transfer it in the reverse direction.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4i)를 대신하여 이송롤러(24m)를 적용할 수 있다. 이송롤러(24m)는 그 외주면에 지폐(N)와 접촉되면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마찰링(24n)이 적층된 롤러부재로 구현된다. 이러한 이송롤러(24a)를 채용할 경우, 지폐(N)는 이송롤러(24m)와 지지롤러(44a)의 사이를 통과하며 이송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instead of the conveying belt 24i may be applied to the conveying roller (24m). The conveying roller 24m is implemented as a roller member in which a friction ring 24n for generating fri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knote N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tacked. In the case of employing such a conveying roller 24a, the banknote N is conveyed passing between the conveying roller 24m and the supporting roller 44a.

하부센서부(2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에 장착되는 반사형UV센서(25a), 반사형IR센서(25b), 투과형IR센서(25c), 진입센서(25d)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the lower sensor unit 25 includes a reflective UV sensor 25a, a reflective IR sensor 25b, a transmissive IR sensor 25c, and an entrance sensor mounted on the lower guide plate 22. (25d).

반사형UV센서(25a)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다. 발광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은 지폐의 표면에 부딪혀 지폐의 표면에 나타난 자외선 반응물질을 활성화시킨다. 수광부는 이렇게 지폐의 표면에서 반사된 형광반응의 패턴을 수광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한다.The reflective UV sensor 25a ha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hit the surface of the banknote to activate the ultraviolet reactant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The light receiving unit detects the counterfeit by receiving the pattern of the fluorescent reaction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nknote.

반사형IR센서(25b)도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다. 발광부에서 조사된 적외선은 지폐(N) 표면에 함유된 적외선 반응물질을 활성화하여 수광부로 하여금 반응물질의 패턴을 감지하여 위폐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The reflective IR sensor 25b also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activates an infrared reactant contained on the banknote N surface to allow the light receiver to detect a pattern of the reacta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counterfeit.

투과형IR센서(25c)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IR출력부(45b)에서 출력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센서로서 지폐(N)를 통과한 적외선을 검출하여 위폐 여부를 판별한다.As shown in FIG. 8, the transmissive IR sensor 25c is a sensor for receiving the infrared rays output from the IR output unit 45b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ct the infrared rays passing through the banknote 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counterfeit.

상기 반사형UV센서(25a), 반사형IR센서(25b), 투과형IR센서(25c)는 일반적인 위폐 감별기에 사용되는 센서로서, 후술할 제어모듈(26)과 접속된다. 감지한 내용이 제어모듈(26)로 실시간 전송되고, 제어모듈(26)의 제어신호도 각 센서부로 전달된다.The reflective UV sensor 25a, the reflective IR sensor 25b, and the transmissive IR sensor 25c are sensors used in a general counterfeit discriminator and are connected to a control module 26 to be described later. The detect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26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26 is also transmitted to each sensor unit.

한편 진입센서(25d)는 감별공간(11) 내부로의 지폐(N)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진입센서(25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폐(N)를 화살표 R 방향으로 투입할 때 신호를 발생하여, 이후 제어모듈(26)로 하여금 위폐감별을 수행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try sensor (25d)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bill N into the discrimination space (11). As shown in FIG. 1, the entry sensor 25d generates a signal when the user inserts the banknote 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and then causes the control module 26 to perform counterfeit discrimination.

진입센서(25d)가 지폐(N)의 진입을 감지한 순간, 제어모듈(26)은 이송부를 작동시켜 이송벨트(24)가 지폐(N)를 이송하게 한다. 이때 지폐(N)의 이송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폐(N)를 계속 이송시켜 진입방향으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고, 이송벨트(24i)를 역회전시켜 감별을 마친 지폐(N)를 애초 진입하였던 입구 부분으로 역이송시킬 수도 있다. At the moment when the entry sensor 25d detects the entry of the bill N, the control module 26 operates the conveying unit so that the conveyance belt 24 conveys the bill N. At this time, the transfer method of the banknote (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banknote (N) may be continuously transported to be discharged in the entry direction, the reversed rotation of the conveying belt (24i) banknote (N) ) Can also be transported back to the entrance where it originally entered.

제어모듈(26)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26a)가 실장되어 있는 메인보드(26b)와, 메인보드(26b)에 접속되며 그 일부가 받침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로부터 위폐감별 소프트웨어를 전달받는 USB포트(26c)와, 외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끼워지는 단자부(26d)와, 작동을 위한 온오프스위치(26e)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모듈(26)은 각 센서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위폐를 판별함은 물론, 이송부(24)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46)를 작동한다.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module 26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26b on which the control circuit 26a is mounted and the main board 26b,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case and is externally provided. And a USB port 26c receiving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software from the terminal, a terminal portion 26d into which a power lin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is inserted, and an on / off switch 26e for operation. The control module 26 determines the counterfeit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each sensor, as well as operating the transfer unit 24 and the display unit 46 to be described later.

USB포트(26c)는 메인보드(26b)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위폐감별 소프트웨어를 전달받는 것으로서, 위폐 판별 알고리즘등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업그레드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USB가 접속된다.The USB port 26c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26b and receives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software from the outside. The USB port 26c is connected to the USB storing the software for upgrading for software update such as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algorithm.

단자부(26d)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끼워진다. 가령, 벽에 시설되어 있는 전력 콘센트와 위폐 감별기(10)를 연결하는 전력선이 끼워진다. 이 경우, 최초 초기화 이후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장시간 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terminal portion 26d is fitted with a power lin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For example, a power line connecting the power outlet installed in the wall and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10 is fitt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the on-state for a long time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after the initial initialization.

온오프스위치(26e)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으로서, 위폐 감별기(10)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이다. 위폐 감별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온오프스위치(26e)를 통해 장치를 오프(OFF)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온(on) 시켜 가동한다.The on-off switch 26e is a switch which is operated by a user and switches on and off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10. When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10 is not used, the device is turned off through the on-off switch 26e, and when the counterfeit discriminator 10 is used, the device is turned on and operated.

상측감별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타원 형상 또는 직육면체에서 각 모서리부를 크게 라운드 처리한 형상을 가지며, 하측감별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하측감별부(20)와 함께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광케이스(41),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 서브보드(43), 지폐지지부(44), 상부센서부(45) 및 디스플레이부(4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9, the upper discriminating part 40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part is largely rounded in a substantially semi-elliptic shap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discriminating part 20. 20 and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forgery of the bill,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the upper guide plate 42, the sub-board 43, the bill support 44, the upper sensor 45 and the display 46 ).

투광케이스(41)는 투광성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케이싱부재이다. 이러한 투광케이스(41)의 내부 용적은 받침케이스(21)의 내부 용적보다 상대적으로 적다.The translucent case 41 is formed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and h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casing member fixed to the edge of the upper guide plate 42. The internal volume of the light transmitting case 4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ternal volume of the base case 21.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는 대략 타원 또는 모서리가 라운드된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판상부재이다. 이때 상호 마주보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의 면적은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The upper guide plate 42 is a plate member having a shape of an approximately oval or a quadrangular rounded corner.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upper guide plate 42 facing each othe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guide plate 22.

서브보드(43)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센서부(45)와 엘이디램프(46a)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으로서, 제어모듈(26)과도 접속된다.The sub board 43 is installed on the upper guide plate 42 and is a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for driving the upper sensor part 45 and the LED lamp 46a is formed. The sub board 43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26. do.

지폐지지부(44)는 네개의 지지롤러(44a)를 한쌍씩 연결하는 롤러샤프트(44b)를 포함하고, 롤러샤프트(44b)는 그 양단부가 지지브라켓(42a)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롤러(44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지지롤러(44a)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24i)나 이송롤러(24m)에 대응하여 이송되는 지폐를 하부로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anknote support part 44 includes a roller shaft 44b for connecting four support rollers 44a in pairs, and the roller shaft 44b has a support roller 44a with both end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42a. ) Is rotatably support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3 and 5, the support roller 44a serves to press and support the banknotes to be transpo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port belt 24i or the transport roller 24m downward.

상부센서부(45)는 자기력센서(45a)와 IR출력부(45b)를 포함한다. The upper sensor part 45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or 45a and an IR output part 45b.

자기력센서(45a)는 감별공간(11) 내부의 지폐를 향하여 자기력을 발생하거나 감지하고, 지폐(N)에 함유된 산화철 물질의 반응 여부를 검출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력센서(45a)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자기력센서(45a)가 지폐(N)와 최근접하거나 접촉하게 설치된다.The magnetic force sensor 45a generates or detects a magnetic force toward the banknote in the discrimination space 11, and detects the reaction of the iron oxide material contained in the banknote N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feit is counterfeit. The magnetic force sensor 45a is installed such that the magnetic force sensor 45a is close to or contacts the banknote N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guide plate 42.

IR출력부(45b)는 지폐(N)를 투과하여 하부센서부의 투과형IR센서(25c)에서 수광하기 위한 적외선을 출력한다.  The IR output part 45b transmits the banknote N, and outputs infrared rays for receiving light from the transmission type IR sensor 25c of the lower sensor part.

디스플레이부(46)는 상부감별부(45)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상하부센서부(25)(45)를 통한 위폐 감별결과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6)는 투광케이스(41)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제어모듈(26)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엘이디램프(46a)와, 투광케이스(41)에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엘이디램프(46a)의 발광시 그 엘이디램프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46b)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6)에 의하여, 사용자는 위폐 감별 유무를 광학산층(46b)을 통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형 위폐 감별기가 별도로 구비해야 했던 진위폐 감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 등의 표시창 유닛 또는 입력조작용 버튼키패드 등을 위한 별도의 공간 및 이를 위한 하드웨어 설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 또한 갖는다.The display unit 46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5 to visually notify the user of the result of the gastric discriminatio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s 25 and 45. The display unit 46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26 and the LED lamp 46a, the LED lamp 46a as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 A light diffusion layer 46b that diffuses the light of the LED lamp. By the display unit 46, the user can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discrimination of counterfeit through the optical diffusion layer 46b.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urden of installing a separate space for a display window unit, such as an LCD, or an input operation button keypad for displaying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tion of authenticity, which had to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gastrointestinal discriminator. Also have.

여기서 광확산층(46b)은 투광케이스(41)에 도포된 확산용 레진 적층체로서, 엘이디램프(46a)의 점등시 엘이디램프의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뛰어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서 방사상으로 도시된 삼각형들은 빛이 삼각형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로는 원형 방사상으로 연속되게 발광 확산되어 시인성을 높인다.Here, the light diffusion layer 46b is a diffusion resin laminat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and serves to diffuse light of the LED lamp when the LED lamp 46a is turned on, thereby realizing excellent visibility. The radial triangles shown in FIG. 6 schematically show that the light is radially diffused in the triangular direction, and in reality, light emission is diffused continuously in a circular radial shape to increase visibility.

또한 엘이디램프(46a)에서 조사되는 광의 칼라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가령 검사한 지폐가 위폐인 경우는 적색광, 정상인 경우에 녹색광이나 청색광을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46a may be selec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f the checked banknote is counterfeit, red light is output, and green or blue light is output when it is normal.

감별공간유지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정두께의 부재로서, 감별공간(11)을 향하는 면에는 이송가이드면(30a)과 진입가이드면(30b)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differentiation space maintenance unit 30 is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guide plate 22, and the transfer guide surface 30a and the surface facing the differentiation space 11 are formed. An entry guide surface 30b is formed.

이송가이드면(30a)은 이송중인 지폐(N)의 폭방향 일단부를 지지하며 지폐(N)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며, 이에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skew)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송가이드면(30a)이 제공하는 또 다른 효과는, 지폐 투입시 지폐를 이송가이드면(30a)에 지지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심어줌으로써, 감별기(10)를 올바로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The conveyance guide surface 30a supports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nknote N being conveyed and guides the linear movement of the banknote N, so that a skew phenomenon of the conveyed banknote does not occur. In addition, another effect provided by the transfer guide surface 30a is to make the use of the discriminator 10 correctly by injecting the idea that the banknote should be supported on the transfer guide surface 30a when the banknote is inserted.

진입가이드면(30b)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지폐의 진입시 지폐를 보다 안정적으로 진입되도록 유도한다. 즉, 사용자가 지폐를 투입시 지폐를 1차적으로 정렬시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ntry guide surface 30b guides the bills more stably when entering bills input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user inserts a bill, the user firstly sorts and guides the bill.

감별공간유지부(30)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30c)가 형성되고, 결합돌기(30c)에 도 9에 도시된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에 형성된 고정구멍(42c)이 끼어지게 되고 상측감별부(40)는 감별공간유지부(30)에 고정된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0c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rimination space holding unit 30, and the fixing holes 42c formed in the upper guide plate 42 shown in FIG. 9 are sandwich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0c. The discriminating unit 40 is fixed to the discriminating space maintaining unit 30.

도 10은 도 2의 위폐감별부의 상부센서부 및 하부센서부에 의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criminating whether a banknote is forged by an upper sensor unit and a lower sensor unit of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unit of FIG. 2.

하부가이드플레이트(22)와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의 사이공간인 감별공간(11)에서 이송중인 지폐(N)가 위치하고 있으며, 지폐(N)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반사형UV센서(25a) 및 반사형IR센서(25b)가, 지폐에 대한 자외선 및 적외선 감별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부가이드플레이트(42)에 구비되어 있는 IR출력부(45b)에서 출력된 적외선은, 지폐(N)를 관통하여 투과형IR센서(25c)에 도달한다. In the discrimination space 11,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lower guide plate 22 and the upper guide plate 42, a banknote N being transferred is located, and a reflective UV sensor 25a disposed below the banknote N. And the reflective IR sensor 25b performs ultraviolet and infrared discrimination on bills. In addition, the infrared rays output from the IR output section 45b provided in the upper guide plate 42 penetrate the banknote N to reach the transmissive IR sensor 25c.

이와 같이, 상기 반사형UV센서(25a)와 반사형IR센서(25b)와 IR출력부(45b) 및 투과형IR센서(25c)는, 제어모듈(26)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자외선과 적외선을 출력하여 지폐(N)의 위폐 여부를 감별하고, 감별 결과를 제어모듈(26)로 전송한다. 또는, 상기 센서들, 즉 상하부센서부(25, 45)로 부터 검출된 신호를 제어모듈(26)이 전달받아 제어모듈(26)에서 위폐 여부를 감별하게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UV sensor 25a, the reflective IR sensor 25b, the IR output unit 45b, and the transmissive IR sensor 25c are ultraviolet rays and infrared rays based 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26. It outputs to discriminate whether the banknote (N) is counterfeit, and transmits the discrimination result to the control module (26). Alternatively, the control module 26 may receive a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s 25 and 45 to discriminate whether the control module 26 detects a counterfeit.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위폐 감별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gastric discrimination discrimin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온오프스위치(26e)를 눌러 장치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고, 감별기(10)가 초기화 상태로 되어 지폐 감별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되게 하고, 이후 감별할 지폐(N)를 도 1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투입한다. First, the user presses the on-off switch 26e so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apparatus, the discriminator 10 is initialized to a ready state for discriminating bills, and thereafter, the bill N to be discriminated is shown in FIG. 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지폐(N)가 투입되면 진입센서(25d)가 작동하여 제어모듈(26)로 하여금 이송부(24)를 작동하게 하고, 이송부(24)가 작동하면 지폐가 이송벨트(24i)에 의해 이송된다. When the bill N is input, the entry sensor 25d is operated to cause the control module 26 to operate the transfer section 24, and when the transfer section 24 is operated, the bill i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belt 24i.

이후 이송되는 지폐(N)는 상기 상하부센서부(25)(45)에 의해 스캐닝 또는 센싱되고, 상하부센서부(25)(45)에서 센싱한 신호를 제어모듈(26)로 보내어 제어모듈(26)이 위폐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제어모듈(26)은 판단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banknote N to be transferred is scanned or sensed by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s 25 and 45, and sends a signal sensed by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s 25 and 45 to the control module 26 to control the module 26. ) To determine if it is counterfeit. The control module 26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46.

한편, 지폐를 이송시키면서 미리 정해놓은 지폐의 일정 영역만큼 상하부센서부(25)(45)를 통과하게 되면, 즉 지폐(N)가 감별에 필요한 만큼 이송하여 상하부센서부(25)(45)가 센싱 신호를 취득하게 되면, 제어모듈(26)은 모터(24a)를 역회전시켜 지폐(N)를 투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반송하여 배출시킨다. 지폐 1장을 투입에서 위폐 판별 결과 표시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0.3 초 내지 3초 정도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ensor portion 25, 45 by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redetermined bill while transferring the banknote, that is, the banknote (N) is transferred as necessary for differenti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ensor portions (25, 45) When the sensing signal is acquired, the control module 26 reversely rotates the motor 24a to reversely convey the banknote 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ing direction and discharge it. The time required from the input of one bill to display the counterfeit discrimination result can be configured to range from about 0.3 seconds to about 3 second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한 사이즈의 휴대형임에도 불구하고, 3 방향으로 개방된 감별공간(11)을 가지므로, 다양한 권종 및 크기의 지폐에 대한 감별을 수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고 조작이 간편하다. 특히 제조 원가를 높이는 별도의 LCD 유닛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위폐 여부가 디스플레이부(46)를 통해 시인성이 높게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compact size of the portable type, having a discrimination space 11 open in thre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erform differentiation for banknotes of various windings and sizes, excellent in versatility and easy to operate. easy. In particular, even without having a separate LCD unit, such as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is not easy to use because it is immediately visible visually high visibi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46.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위폐감별기 11 ... 감별공간
20 ... 하측감별부 21 ... 받침케이스
21a ... 개폐도어 22 ...하부가이드플레이트
22a ... 관통슬릿 22b ... 보조지지부
23 ... 배터리 24 ... 이송부
24a ... 모터 24b ... 출력기어
24c ... 구동벨트 24d ... 구동샤프트
24e ... 구동기어 24f ... 구동풀리
24g ... 종동샤프트 24h ... 종동풀리
24i ... 이송벨트 25 ... 하부센서부
25a ... 반사형UV센서 25b ...반사형IR센서
25c ... 투과형UR센서 25d ... 진입센서
26 ... 제어모듈 26a ... 제어회로
26b ... 메인보드 26c ... USB포트
26d ... 단자부 26e ... 온오프스위치
30 ... 감별공간유지부 30a ... 이송가이드면
30b ... 진입가이드면 30c ... 결합돌기
40 ... 상측감별부 41 ...투광케이스
42 ... 상부가이드플레이트 42a ... 지지브라켓
42b ... 보조지지부 42c ... 고정구멍
43 ... 서브보드 44 ... 지폐지지부
44a ... 지지롤러 44b ...롤러샤프트
45 ... 상부센서부 45a ... 자기력센서
45b ... IR출력부 46 ... 디스플레이
46a ... 엘이디램프 46b ... 광확산층
10 ... counterfeit discriminator 11 ... discrimination space
20 ... Lower discrimination unit 21 ... Support case
21a ... closing door 22 ... bottom guide plate
22a ... through slit 22b ... auxiliary support
23 ... Battery 24 ... Transfer
24a ... motor 24b ... output gear
24c ... drive belt 24d ... drive shaft
24e ... drive gear 24f ... drive pulley
24g ... driven shaft 24h ... driven pulley
24 i ... Transfer belt 25 ... Lower sensor part
25a ... reflective UV sensor 25b ... reflective IR sensor
25c ... Transmissive UR sensor 25d ... Entry sensor
26 ... control module 26a ... control circuit
26b ... Motherboard 26c ... USB Port
26 d ... terminal 26 e ... on-off switch
30 ... Differentiation space holding part 30a ... Feed guide surface
30b ... entry guide surface 30c ... engaging projection
40 ... upper discrimination unit 41 ... light emitting case
42 ... upper guide plate 42a ... support bracket
42b ... Auxiliary Support 42c ... Fixing Hole
43 ... Subboard 44 ... Banknote Support
44a ... support roller 44b ... roller shaft
45 ... upper sensor part 45a ... magnetic force sensor
45 b ... IR output 46 ... Display
46a ... LED Lamp 46b ... Light Diffusion Layer

Claims (5)

외부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받아 소정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24)와, 상기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하부센서부(25)와, 상기 이송부(24) 및 하부센서부(25)와 접속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26)을 구비한 하측감별부(20);
상기 하측감별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24)에 대응 배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지폐(N)를 지지하는 지폐지지부(44)와, 상기 이송부(24)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지폐(N)의 위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상부센서부(45)를 구비한 상측감별부(40); 및
상기 하측감별부(20)와 상측감별부(40)의 사이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지폐(N)의 전후방 이송방향 및 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평의 감별공간(11)을 제공하고, 상기 감별공간(11) 내측에는 상기 지폐(N)의 일측가장자리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이송가이드면(30a)이 형성된 감별공간유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
A transfer unit 24 for receiving banknotes input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ring the bankno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 lower sensor unit 25 for inspecting whether the banknotes N are forged by the transfer unit 24, and the transfer unit ( A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connected to the lower sensor unit 25 and having a control module 26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the banknote support portion 44 for supporting the banknote (N)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portion 24 and conveyed by the conveying portion 24 An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having an upper sensor unit 45 for detecting whether the banknote N is forged; And
Located between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and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the horizontal discriminating space 11 is ope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N)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And a discrimination space holding part 30 having a conveyance guide surface 30a for guiding the transfer of one side edge of the banknote N inside the discrimination space 1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공간(11)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감별부(20) 상부측을 이루는 면적은 상기 상측감별부(40)의 하부측을 이루는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20 on the basis of the discrimination space 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gastric discri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area form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discrimination unit (40).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감별부(40)는 상기 하측감별부(20)의 모서리측으로 치우치게 비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discriminating unit 40 is a portable gastrointestinal discrimin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symmetrically to the edge side of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4)는,
인가되는 전력에 의하여 출력기어(24b)를 회전시키는 모터(24a)와, 상기 구동벨트(24c)에 의하여 상기 출력기어(24b)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구동샤프트(24d)에 축결합되는 한쌍의 구동기어(24e)와, 상기 구동샤프트(24d)에 축고정되는 한쌍의 구동풀리(24f)와, 상기 한쌍의 구동풀리(24f)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동샤프트(24g)에 의하여 축고정되는 한쌍의 종동풀리(24h)와, 상기 구동풀리(24f)와 종동풀리(24h)를 연결하는 이송벨트(24i)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감별부(20)는 내측 방향의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배터리(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24,
A pair of drive gears axial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24d by being connected to the motor 24a for rotating the output gear 24b by the applied electric power and the output gear 24b by the drive belt 24c. 24e, a pair of drive pulleys 24f axially fixed to the drive shaft 24d, and a pair of shafts fixed by the driven shaft 24g a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drive pulleys 24f. A driven pulley 24h and a transfer belt 24i connecting the drive pulley 24f and the driven pulley 24h,
The lower discriminating unit 20 further comprises a battery 23 disposed obliquely in a diagonal direction inward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센서부(25)(45)를 통한 위폐 감별결과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6)는, 상기 하측감별부의 투광케이스(41)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26)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엘이디램프(46a)와, 상기 투광케이스(41)에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엘이디램프(46a)의 발광시 그 엘이디램프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46b)을 포함하는 휴대형 위폐 감별기.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46 for visually immediately notifying the user of the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of gastric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ensor units (25, 45);
The display unit 46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of the lower discrimination unit, and is applied to the LED lamp 46a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26 and to the light transmission case 41. And a light diffusing layer (46b) for diffusing light of the LED lamp when the LED lamp (46a) emits light.
KR1020180028006A 2018-03-09 2018-03-0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KR102034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06A KR102034952B1 (en) 2018-03-09 2018-03-0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06A KR102034952B1 (en) 2018-03-09 2018-03-0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469A true KR20190106469A (en) 2019-09-18
KR102034952B1 KR102034952B1 (en) 2019-10-22

Family

ID=6807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06A KR102034952B1 (en) 2018-03-09 2018-03-09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9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033B1 (en) * 2023-03-08 2023-08-30 (주)현대피씨디 Portable counterfeit money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counterfeit money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45A (en) * 1992-07-10 1994-02-04 Shinji Suga Paper money discrimination device
KR20110001678U (en)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케이준 Banknote identifying machine
JP5020582B2 (en) * 2006-04-26 2012-09-05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Portable bill recogni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45A (en) * 1992-07-10 1994-02-04 Shinji Suga Paper money discrimination device
JP2851752B2 (en) * 1992-07-10 1999-01-27 伸治 須賀 Bill validator
JP5020582B2 (en) * 2006-04-26 2012-09-05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Portable bill recognition device
KR20110001678U (en)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케이준 Banknote identify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033B1 (en) * 2023-03-08 2023-08-30 (주)현대피씨디 Portable counterfeit money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counterfeit money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952B1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60277A (en) Counting and sorting device for coin or the like
TW201011700A (en) Document handler capable of protecting a built-in sensor from extraneous substance
JP2006146367A (en) Denomination classification device in coin processor
KR102034952B1 (en) Portable counterfeit bill discriminator
KR101992387B1 (en) Integrated sensor module fo Bill counter
US5324921A (en) Sheet counting machine
KR200215092Y1 (en) Banknote counter
KR200199843Y1 (en) Paper money sensing device using infrared ray transmitting array module
JP5020582B2 (en) Portable bill recognition device
CN208335336U (en) Small-sized counterfeit money discriminator
KR100812254B1 (en) Paper money detector
KR101779310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WO2019142482A1 (en) Cashless settlement machine and service device
KR101876503B1 (en) Counter stop prevention structure for bill counting machines
KR20030022909A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sorting bank note
JP5608902B2 (en) Sensor adjustment reference sheet and sensor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884866B1 (en) A Banknote Counter for Discriminating Denomination andfor Detecting Counterfeit Bill
KR101974601B1 (en) Sensor structure for inspecting the state in which the bills of the bill counting machine overlap
JP5323336B2 (en)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KR101928997B1 (en) Guide for bill counter
JP2000090318A (en) Paper sheets and its discrimination method
KR100980367B1 (en) Portable full-auto counterfeit detector
JP5540771B2 (en)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bill processing device, and bill handling device
JP2011034141A (en) Coin recycling device
KR200399932Y1 (en) A paper money recogniz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