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416A - Lighting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Lighting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416A
KR20190106416A KR1020180027909A KR20180027909A KR20190106416A KR 20190106416 A KR20190106416 A KR 20190106416A KR 1020180027909 A KR1020180027909 A KR 1020180027909A KR 20180027909 A KR20180027909 A KR 20180027909A KR 20190106416 A KR20190106416 A KR 2019010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power
signal
photo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동근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416A/en
Priority to PCT/KR2019/001900 priority patent/WO2019172551A1/en
Priority to EP19763562.6A priority patent/EP3764743A4/en
Priority to CN201980018236.9A priority patent/CN111837460A/en
Publication of KR2019010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4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54
    • H05B33/0815
    • H05B33/0848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n object; a PWM signal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WM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 first photocoupler to which a single output from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is input; an output unit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hotocoupler is input;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and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and a power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a dimming operation signal, wherein the first photocoupler may electrically insulate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output unit. In the embodiment, power is switched according to whether a dimming operation mode or a standby mode is on, so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standby mode.

Description

조명 제어 장치{LIGHTING CONTROL DEVICE}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실시예는 대기 전력 소모를 저감시키기 위한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ighting control device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특히, LED 조명장치는 다수개로 배열 설치된 LED의 점멸 순서, 발광 색상 및 밝기 등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연출을 수행할 수 있다.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a type of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Light emitting diodes have the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amps. In particular, the LED lighting device can perform a variety of production by controlling the flashing order, the emission color and the brightness of the LED arranged in a plurality.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실내 인테리어의 일반 조명,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무대 조명, 광고 조명 및 경관 조명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replace conventional light sources with light emitting diodes, and light emitting diodes are increasingly used as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such as various lamps, liquid crystal displays, electronic displays, and street lamps that are used indoors and outdoors. . In particular, it is used for general lighting in the interior, stage lighting for creating a specific atmosphere, advertising lighting and landscape lighting.

조명 장치는 경과 조명으로써 건물 외벽, 공원, 가로등, 다리 난간 또는 공연장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적용되는 용도나 대상 또는 위치에 따라 그 크기 및 적용 시스템이 각각 달리질 수 있다. 즉, 건물 외벽용은 건물 외벽에 띠 형태로 단순히 점멸 기능이나 단색 또는 조합된 색상으로 단순 표출되어서 사용하고, 공원이나 가로등, 다리 난간 등은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조명을 설치하여 점멸이나 색상을 변경하여 사용된다.The light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 park, a street lamp, a bridge railing, or a performance hall as lapsed illumination, and its size and application system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bject, or location. In other words,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s simply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n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or simply expressed in a single color or a combination of colors. It is used to change.

이러한 조명 장치는 LED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와, 외부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에 의해 LED 모듈의 디밍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디밍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ight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driver for driving the LED module, a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object, and a dim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imming signal of the LED module by a sensing value sensed by the sensor.

종래 조명 장치는 외부 물체가 감지되면 센서와 디밍 제어부를 동작시켜 LED 모듈의 제어를 수행해야 하므로, 센서부와 디밍 제어부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대기 전력 소모가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In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when an external object is detected, the sensor and the dimming control unit must be operated to control the LED module. Therefore, the sensor unit and the dimming control unit should always be activated. This causes a lot of problems in standby power consumption.

실시예는 대기전력 소모를 저감시키기 위한 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 aims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device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PWM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포토 커플러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출력부와, 상기 센서부 및 PWM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디밍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는 상기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bject, a PWM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WM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PWM signal generator. A photo coupler, an output unit to which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hoto coupler is inpu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the sensor according to a dimming operation signal And a power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unit, and the first photo coupler may electrically insulate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the output unit.

상기 디밍 동작 신호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전원 전환부에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an on-off signal to the power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dimming operation signal.

상기 전원 전환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전환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전원을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오프되는 제2 포토 커플러 및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부와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witch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power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to cut off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photo coupler and the second.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 branched between the photo coupler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nsor unit.

상기 제2 스위치는 BJT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BJT 회로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BJT 회로 사이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의 제2 노드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온 오프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includes a BJT circuit, wherein the BJT circuit is turned on and off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a first node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BJT circuit and a second node between the second photo coupler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Can be.

상기 제1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인가 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may be turned off so that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Low 신호를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를 통해 출력시키는 센싱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detector configured to output a low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through the first photo coupler.

상기 센싱 검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센서부의 High 신호에 의해 온되며 Low 신호로 전환될 시 오프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 할 수 있다.The sensing detector may include a third switch disposed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first photo coupler and turned on by the high signal of the sensor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urned off when the signal is switched to the low signal. .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ias curren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bias current of the second photo coupler by the on / off signal of the first switch.

상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bias current controller may increase the bias current of the first photo coupler when an on signal of the first switch is received, and decrease the bias current of the first photo coupler when an off signal of the first switch is received. .

상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는 MOSFET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4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의 게이트 단과 소스 단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10 저항 및 제11 저항과,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 단과 제1 포토 커플러 사이에 상기 제10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8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as current controller includes a MOSFET circuit and a tenth and eleventh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ourth switch and the gate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and the fourth switch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witch, An eighth resis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and the first photo coupler in parallel with the tenth resistor.

실시예는 디밍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에 따라 전원을 전환시킴으로써, 대기 모드시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ower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dimming operation mode and the standby mod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standby mode.

또한, 실시예는 스위치 및 수동 소자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로 센싱 검출부를 설계함으로써,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Low 신호를 효과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output the low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by designing the sensing detector with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switch and a passive element.

또한, 실시예는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by controlling the bias current of the photo coupler.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전원 전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센싱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전류 제어부의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에서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d 3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wer switch of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nsing detector of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bias current controller of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in an operation mode and a standby mode of a current controller.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한,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addition, only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oreover,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under, 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on, above)", "상부(upper)"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under, below, beneath", "lower", "on, above", "upper", and the like are shown as one element as shown in the drawings. Or it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the components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device shown in the figure, a device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device may be placed "above" of another devic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that is present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전원 전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센싱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7은 전류 제어부의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에서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2 and 3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wer switching unit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bias current controller of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and a standby mode of a current controller. Is a diagram showing waveform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PWM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신호 발생부(300)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포토 커플러(PC1)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PC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출력부(400)와,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PWM 신호 발생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와, 디밍 동작 신호에 신호에 따라 상기 PWM 신호 발생부(300)와 상기 센서부(1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전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unit 100 for detecting an object and a PWM signal generator 300 for generating a PWM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100. And a first photo coupler PC1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is input, an output unit 400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hoto coupler PC1 is input, and the sensor. A power supply unit 5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it 100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 to a signal of a dimming operation signal It may include a power switching unit 600 for supplying.

센서부(100)는 사람의 출입이 잦은 현관이나, 자동차 등의 물체가 출입하는 주차장 입구 등에 설치되고, 이러한 현관이나 주차장 입구 등에는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출입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unit 1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parking lot where humans frequently enter or exit an object, such as a car, and the like, and detects the entrance of a person or a car at the entrance or parking entrance.

센서부(100)는 디머(200)의 (+),(-)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디머(200)는 LED 모듈(9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머(200)는 일정 범위의 전압을 LED 구동 드라이버(910)에 인가함으로써 해당 전압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범위는 예를 들어, 0 내지 10V 범위의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디머(200)는 0 내지 10V 사이의 DC 전압을 입력하여 10V 대비 입력된 전압 비율로 조명을 디밍할 수 있으며, 그 연결부는 마이너스(-) 입력부와 플러스(+) 입력부의 극성을 가지도록 구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 and (-) terminals of the dimmer 200. The dimmer 200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ED module 900. The dimmer 200 may adjust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voltage by applying a range of voltages to the LED driving driver 910. Such a voltage range may use a voltage in the range of 0-10V, for example. The dimmer 200 may dimm the illumination by inputting a DC voltage between 0 and 10 V at an input voltage ratio of 10 V, and the connection part may be divided to have a negative (−) input part and a positive (+) input part. Can be.

PWM 신호 발생부(300)는 센서부(10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PWM 신호 발생부(300)는 디머의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전원의 전원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PWM 신호 발생부(300)는 인덕터, 커패시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may generate a PWM signal for controlling dimming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100.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may control the power level of the driving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of the dimmer.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may be configured using an inductor, a capacitor, or the like.

상기 PWM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출력된 PWM 신호는 제1 포토 커플러(PC1)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포토 커플러(PC1)는 PWM 신호 발생부(300)와 출력부(4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토 커플러(PC1)의 출력단에는 0V 내지 10V의 전압을 0V 내지 3.3V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WM signal output from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may be input to the first photo coupler PC1. The first photo coupler PC1 may electrically insulate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from the output unit 400. Here,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photo coupler PC1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voltage of 0V to 10V into a voltage of 0V to 3.3V.

제1 포토 커플러(PC1)는 전기신호를 빛으로 결합시키는 소자로서 발광부인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부인 포토 트랜지스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특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PWM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빛이 나와 포토 트랜지스터에 닿게 되어 포토 트랜지스터가 전기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토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PWM 출력 신호는 출력부(400)를 통해 LED 구동 드라이버(900)로 출력될 수 있다.The first photo coupler PC1 is an element for coupling an electrical signal to light, and may be configured by a property i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a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photo transistor as a light receiving unit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WM input signal is input,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ouches the photo transistor so that the photo transistor is electrically operated. Accordingly, the PWM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photo transistor may be output to the LED driving driver 900 through the output unit 400.

출력부(400)는 PWM 신호 반전부(410)와 제13 저항(R13)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평상시에는 접점이 오픈되고, 물체가 감지되면 온되도록 쇼트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부(100)로부터 외부 디밍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출입이 없는 평상시에는 강한 디밍 신호가 입력되고 물체의 출입이 있는 경우, 약한 디밍 신호가 입력되어 디밍 조절이 반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센서부(100)의 외부 디밍 신호를 입력수단으로 그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외부 디밍 신호를 반전시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PWM 신호 반전부(410)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3 저항(R13)과 제1 커패시터(C1)는 신호를 평활시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400 may include a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a thirteenth resistor R13, and a first capacitor C1. The sensor unit 100 may be normally opened so that a contact is opened and turned 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Therefore, when the external dimming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100, a strong dimming signal is normally input when there is no entry and exit, and when there is an entry or exit of an object, a weak dimming signal is input and the dimming adjustment is reverse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external dimm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00 as an input means, it is necessary to invert and provide the input external dimming signal, and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may serve to invert the signal. . The thirteenth resistor R13 and the first capacitor C1 may smooth and output a signal.

LED 구동 드라이버(910)는 LED 모듈(9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LED 모듈(90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ED 구동 드라이버(9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EMI 필터부, 정류부, 역률 보정부 및 직류/직류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D driving driver 910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ED module 900 by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9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ED driving driver 910 may include an EMI filter unit, a rectifier, a power factor corrector, and a DC / DC converter.

EMI 필터부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부는 입력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전원부(100)로부터 입력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 잡음이 자기장으로 변하여 조명 제어 장치의 다른 소자들에 간섭을 일으키는 전자파 장해(EMI)가 발생될 수 있다. EMI 필터부는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EMI 필터부는 EMI를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EMI filter unit may remove noise of an input power source from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filter unit. When inpu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electrical noise may be converted into a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may be generated, which causes interference with other elements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The EMI filter unit can remove this noise. The EMI filter portion may be configured by an inductor and / or a capacitor to remove EMI.

정류부는 전원부(500)의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정류부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는 브릿지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류된 전원은 직류-직류 변환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rectifier serves to rectify the AC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500. The rectifier may comprise a diode. The rectifier may include a bridge rectifi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ctified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DC-DC converter.

PFC(Power Factor Correction) 제어부는 직류/직류 변환부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며, 직류/직류 변환부의 출력을 정현파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파형과 전류파형은 서로 동일한 형태와 위상이 서로 같게 하여 역률을 개선하고, 정전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FC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terminal from overvoltage by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DC / DC converter switch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DC / DC converter as a sine wave. Accordingly, the output voltage waveform and the current waveform have the same shape and phase, so that the power factor can be improved and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function can be performed.

직류-직류 변환부는 LED 모듈(900)을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한 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LED 모듈(900)에 공급할 수 있다.In order to drive the LED module 900, the DC-DC converter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and convert the power into DC power to supply the LED module 900.

LED 모듈(900)은 다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모듈(900)의 LED 들은 LED 구동 드라이버(90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원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LED 모듈(900)은 직렬 연결된 복수 LED를 포함하며, 이러한 직렬 연결된 복수 LED의 세트 여러 개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LED 모듈(900)은 적색 LED 어레이, 녹색 LED 어레이, 청색 LE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LED module 9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e LEDs of the LED module 900 may emit light according to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LED driving driver 900. The LED module 900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connected in series, and several sets of the plurality of LEDs connected in serie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LED module 900 may include a red LED array, a green LED array, and a blue LED array, each of which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전원부(500)는 교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원부(500)는 조명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입력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500)는 전원 장치에 사용되는 여러 소자들의 공급 전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부(500)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은 220V 상용 전원일 수 있다. 220V의 상용 전원의 경우, -311V에서 +311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사인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교류 전원은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원부(500)는 100V ~ 250V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고, 주파수는 50Hz 또는 60Hz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generate AC power. The power supply unit 500 supplies the overall input power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serve as a supply power supply for various devices used in the power supply device. The input power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be 220V commercial power. In the case of a commercial power supply of 220V, it may have a sinusoidal form that alternates periodically between -311V and +311. Since the AC power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power supply unit 500 outputs an AC voltage of 100 V to 250 V, and a frequency of 50 Hz or 60 Hz may be used.

실시예는 디밍 동작 모드 시 동작되는 PWM 신호 발생부와 대기 모드시 동작되는 센서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원 전환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ower switch 60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a PWM signal generator operating in a dimming operation mode and a sensor unit operating in a standby mode to reduce standby power consumption.

전원부(500)는 센서부(100), PWM 신호 발생부(300) 및 LED 구동 드라이버(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전환부(600)는 디밍 동작 모드 시 동작하는 PWM 신호 발생부(300)와 대기 모드 시 동작되는 센서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100,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the LED driving driver 910. The power switch 600 may selectively switch the power su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operating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and the sensor unit 100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전원 전환부(600)는 디밍 동작 신호를 제공받아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전환부(600)에는 제1 스위치(Q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디밍 동작 신호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디밍 동작 모드시 온 신호를 전원 전환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대기 모드시 오프 신호를 전원 전환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MOSFET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witching unit 600 may selectively supply power by receiving a dimming operation signal. To this end, the first switch Q1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600. The first switch Q1 may be turned on or off by a dimming operation signal. The first switch Q1 may provide an ON signal to the power switching unit 600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provide an off signal to the power switching unit 600 in the standby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include a MOSFET circuit.

전원 전환부(600)는 전원부(500)와 PWM 신호 발생부(300) 사이에 배치된 제2 포토 커플러(P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토 커플러(PC2)의 타측은 제1 스위치(Q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포토 커플러(PC2)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전원을 PWM 신호 발생부(3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The power switching unit 600 may include a second photo coupler PC2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Q1.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may supply or block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by an on / off operation.

전원 전환부(600)는 제2 스위치(Q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Q2)는 전원부(500)와 센싱 검출부(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Q2)의 일단은 전원부(500)에 연결되며, 제2 스위치(Q2)의 타단은 제2 포토 커플러(PC2)와 PWM 신호 발생부(300)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Q2)는 BJT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Q2)는 베이스의 에미터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The power switch 600 may include a second switch Q2. The second switch Q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sensing detector 700.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Q2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Q2 may be branched between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The second switch Q2 may include a BJT circuit. The second switch Q2 can be turned off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rs of the base.

제2 스위치(Q2)의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제1 저항(R1)이 연결되고, 제1 저항(R1)은 제2 스위치(Q2)의 베이스와 제2 저항(R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제2 저항(R2)과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 사이 및 제3 저항(R3)의 끝단은 PWM 신호 발생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Q2)가 온되면 전원은 센싱 검출부(7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2 스위치(Q2)가 오프되면 전원은 센싱 검출부(700) 및 센서부(100)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The first resistor R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and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 Q2, and the first resistor R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second resistor R2 of the second switch Q2. .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sistor R2, and between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is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It can be connected with. When the second switch Q2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ing detector 700. When the second switch Q2 is turned off,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ensing detector 700 and the sensor unit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동작 모드시 제1 스위치(Q1)에는 High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온되고 제2 포토 커플러(PC2)에는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제2 포토 커플러(PC2)는 온될 수 있다. 전원부(500)에서 발생된 전원은 제1 라인(L1)을 통해 전원이 흐르게 된다. 제1 라인(L1)을 통해 흐르는 전원은 제2 포토 커플러(PC2)에 의해 제2 라인(L2)으로 흐르게 된다. 제2 라인(L2)으로 흐르는 전원은 PWM 신호 발생부(300)에 제공되어 PWM 신호 발생부(300)가 활성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high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switch Q1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be turned on and a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may be turned on by the supplied current.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500 flows through the first line L1. Power flowing through the first line L1 flows to the second line L2 by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Pow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line L2 may be provid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to activate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반면, 전원부(500)와 제2 스위치(Q2) 사이의 제1 노드(N1)에는 전원이 흐르게 되고, 제2 포토 커플러(PC2)와 제2 스위치(Q2) 사이의 제2 노드(N2)에서도 동일한 전원이 흐르게 되므로, 제2 스위치(Q2)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제2 스위치(Q2)는 오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부(100)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ower flows through the first node N1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second switch Q2, and also in the second node N2 between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and the second switch Q2. Since the same power flows, the potential dif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 Q2 and the emitter, so that the second switch Q2 may be turned off. As a result, power supplied to the sensor unit 100 may be cut off.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시 제1 스위치(Q1)에는 Low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위치(Q1)는 오프되고 제2 포토 커플러(PC2)에는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포토 커플러(PC2)는 오프될 수 있다. 전원부(500)에서 발생된 전원은 제1 라인(L1)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나, 제2 포토 커플러(PC2)가 오프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라인(L2)에서 전원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PWM 신호 발생부(3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As illustrated in FIG. 3, a low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switch Q1 in the standby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be turned off and current may be cut off to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As a result,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may be turned off.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line L1, but the power does not flow in the second line L2 because the second photo coupler PC2 is turned off. As a resul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반면, 전원부(500)와 제2 스위치(Q2) 사이의 제1 노드(N1)에는 전원이 흐르게 되고, 제2 노드(N2)에서는 전원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제2 스위치(Q2)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제2 스위치(Q2)는 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부(100)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power flows to the first node N1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second switch Q2, and no power flows to the second node N2, the base and the emi of the second switch Q2. The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and second switches Q2. As a result,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nsor unit 100.

실시예는 디밍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에 따라 전원을 전환시킴으로써, 대기 모드시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대기 모드시 PWM 신호 발생부에 의한 전력 손실이 약 150mW 였으나, 실시예에서는 대기모듯 PWM 신호 발생부에 의한 전력 손실이 약 10mW가 되어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power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dimming operation mode and the standby mod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standby mode. Conventionally, the power loss by the PWM signal generator in the standby mode was about 150mW, but in the embodiment, the power loss by the PWM signal generator is about 10mW as in the standby mode, thereby minimizing the power loss.

도 1로 돌아가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센싱 검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 검출부(700)는 대기 모드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 센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Low 신호를 출력부로 전달할 수 있다. 종래에는 PWM 신호 발생부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였으나, 실시예에서는 대기 모드 시 PWM 신호 발생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센싱 검출부(700)를 마련하여 센싱 신호를 용이하게 출력시킬 수 있다.1,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detector 700. The sensing detector 700 may transmit a low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100 to the output unit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Conventionally,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PWM signal generator, but in the embodiment, sinc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in the standby mode, the sensing detector 7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easily output the sensing signal.

센싱 검출부(700)는 센서부(100)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PC1) 사이에 배치된 제3 스위치(Q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위치(Q3)는 대기 모드시 센서부(100)의 High 신호에 의해 온되며 Low 신호로 전환될 시 오프될 수 있다. 센싱 검출부(700)는 전압의 분배를 위한 다수의 저항 및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tector 700 may include a third switch Q3 disposed between the sensor unit 100 and the first photo coupler PC1. The third switch Q3 is turned on by the high signal of the sensor unit 100 in the standby mode and may be turned off when the switch is switched to the low signal. The sensing detector 7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and diodes for voltage distribution.

PWM 신호 발생부(300)와 디머(200)의 (+) 단자 사이에는 제1 다이오드(D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위치(Q3)의 소스 단에는 제3 다이오드(D3)가 배치되고, 제3 다이오드(D3)는 PWM 신호 발생부(300)와 제1 포토 커플러(PC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Q3)의 드레인 단에는 제4 저항(R4)이 전원 전환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Q3)의 게이트 단에는 제7 저항(R7)이 연결될 수 있다. 제7 저항(R7)은 PWM 신호 발생부(300)와 디머(200)의 (-)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Q3)의 게이트 단에는 제5 저항(R5), 제6 저항(R6)이 배치될 수 있다. 제6 저항(R6)은 제5 저항(R5)과 제3 스위치(Q3)의 게이트 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4 저항(R4)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과 제6 저항(R6) 사이에서 분기되어 제1 다이오드(D1)와 디머(200)의 (+) 단자 사이에는 제2 다이오드(D2)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iode D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the (+) terminal of the dimmer 200. A third diode D3 may be disposed at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and the third diode D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the first photo coupler PC1.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600 at the drain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A seventh resistor R7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The seventh resistor R7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WM signal generator 300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immer 200. A fifth resistor R5 and a sixth resistor R6 may be disposed at the gate end of the third switch Q3. The sixth resistor R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resistor R4.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sixth resistor R6 between the first diode D1 and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dimmer 2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동작 모드 시 14V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제2 다이오드(D2)와 제3 다이오드(D3)는 모두 오프될 수 있으며, 센싱 검출부(700)도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power of 14 V is cut off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both the second diode D2 and the third diode D3 may be turned off, and the sensing detector 700 may also be inactivated. Can be.

대기 모드 시 14V의 전원이 제5 저항(R5)과 제6저항(R6) 및 제7저항(R7)의 합성 저항을 통해 분배된 전압으로 분배되고 이 전압은 제2 다이오드(D2)를 온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디머(200)의 (+),(-) 단자에는 14V에서 분배된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00)는 High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standby mode, a 14V power supply is divided by a voltage divided by the combined resistance of the fifth resistor R5, the sixth resistor R6, and the seventh resistor R7, and this voltage causes the second diode D2 to turn on. Can be. As a result,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dimmer 200 may be maintained at a voltage divided at 14V.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00 may maintain a high signal.

제3 스위치(Q3)의 Vgs가 Vth 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제2 다이오드(D2)는 온을 유지하고 제4 저항(R4)과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제1 포토 커플러(PC1)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출력부(400)의 제1 커패시터(C1)의 양단 전압은 High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Vgs of the third switch Q3 is higher than Vth, the second diode D2 remains on and supplies current to the first photo coupler PC1 through the fourth resistor R4 and the third diode D3. Can be maintained to supply.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capacitor C1 of the output unit 400 may maintain a high voltage.

대기 모드 시 물체가 감지될 경우, 센서부(100)는 High 신호에서 Low 신호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00)에 의해 디머(200)의 (+),(-) 단자 전압은 3V 이하가 될 수 있다. 제3 스위치(Q3)의 Vgs가 Vth 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제3 스위치(Q3)는 오프되고 제1 포토 커플러(PC1)에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When an object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the sensor unit 100 may switch from a high signal to a low signal. At this time,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voltages of the dimmer 200 may be 3V or less by the sensor unit 100. Since Vgs of the third switch Q3 is lower than Vth, the third switch Q3 is turned off and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photo coupler PC1 can be cut off.

이에 의해 제1 포토 커플러(PC1)는 오프되고, PWM 신호 반전부(410)의 입력이 Low 전압에서 High 전압으로 변경될 수 있다. PWM 신호 반전부(410)에 의해 High 전압은 Low 전압으로 변경되어 출력부(400)의 제1 커패시터(C1)의 양단에는 Low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photo coupler PC1 may be turned off, and the input of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may be changed from a low voltage to a high voltage. The high voltage is changed to the low voltage by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so that a low voltage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C1 of the output unit 400.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센싱 검출부는 스위치 및 수동 소자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Low 신호를 효과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ensing detector has a simple structure composed of a switch and a passive element, thereby effectively outputting a low signal generated from a sensor.

도 1로 돌아가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는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ias current controller 800.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는 제1 포토 커플러(PC1)와 출력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는 디밍 동작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 PWM 반전 신호부(410)와 제1 포토 커플러(PC1)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변경해 줄 수 있다.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hoto coupler PC1 and the output unit 400. 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may change the bias current supplied to the collector of the PWM inversion signal unit 410 and the first photo coupler PC1 according to the dimming operation mode or the standby mode.

제1 포토 커플러(PC1)에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류가 작게 되면 디밍 동작 모드 시 신호의 왜곡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바이어스 전류가 크게 되면 대기 모드 시 오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bias current input to the first photo coupler PC1 is small, distortion of the signal may be severely generated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If the bias current is large, the signal may not be turned off in the standby mod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는 디밍 동작 모드시 전류를 크게 하고, 대기 모드시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control to increase the current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and reduce the current in the standby mode.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는 제1 스위치(Q1)와 연결된 제4 스위치(Q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위치(Q4)는 MOSFET 회로일 수 있다. 제4 스위치(Q4)의 게이트 단은 제1 스위치(Q1)의 소스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스위치(Q4)의 드레인 단은 제1 포토 커플러(PC1)와 PWM 신호 반전부(410)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may include a fourth switch Q4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Q1. The fourth switch Q4 may be a MOSFET circuit. The gat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Q4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The drain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Q4 may be branched and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hoto coupler PC1 and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제4 스위치(Q4)의 게이트 단과 소스단 사이에는 제10 저항(R10)과 제11 저항(R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8 저항(R8)의 일단은 제10 저항(R10)과 연결되며 제8 저항(R8)의 타단은 제1 포토 커플러(PC1)와 PWM 신호 반전부(410) 사이에서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9 저항(R9)은 제8 저항(R8)과 연결되며 제1 포토 커플러(PC1)와 PWM 신호 반전부(4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resistor Q4 may be connected to the tenth resistor R10 and the eleventh resistor R11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Q4. One end of the eighth resistor R8 may be connected to the tenth resistor R10, and the other end of the eighth resistor R8 may be branched between the first photo coupler PC1 and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The ninth resistor R9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sistor R8 and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hoto coupler PC1 and the PWM signal inverting unit 4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동작 모드인 경우 제1 스위치(Q1)는 High 신호에 의해 온되고, 제11 저항(R11)의 양단에는 3.3V가 인가될 수 있다. 제4 스위치(Q4)의 Vsg가 Vth보다 레벨이 높아져 제4 스위치(Q4)가 온될 수 있다. 이때, 제10 저항(R10)과 제8 저항(R8)은 병렬 연결되어 두 저항의 합성 저항값은 작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be turned on by a high signal, and 3.3V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eleventh resistor R11. Since Vsg of the fourth switch Q4 is higher than Vth, the fourth switch Q4 may be turned on. At this time, the tenth resistor R10 and the eighth resistor R8 are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combined resistance value of the two resistors is reduced. Thereby the bias current can be increas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인 경우, 제1 스위치(Q1)는 Low 신호에 의해 오프되고, 제11 저항(R11)의 양단에는 0V가 인가될 수 있다. 제4 스위치(Q4)의 Vsg가 Vth보다 레벨이 낮아져 제4 스위치(Q4)가 오프될 수 있다. 이때, 제10 저항(R10)과 제8 저항(R8)은 분리되어 두 저항의 합성 저항값은 제10 저항(R10)으로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는 줄어들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in the standby mode, the first switch Q1 may be turned off by a low signal, and 0 V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eleventh resistor R11. Since Vsg of the fourth switch Q4 is lower than Vth, the fourth switch Q4 may be turned off. In this case, the tenth resistor R10 and the eighth resistor R8 are separated, and the combined resistance of the two resistors is increased to the tenth resistor R10. This reduces the bias curr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동작 모드 시에는 합성 저항이 크게 되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에 의해 디밍 동작 시 합성 저항을 작게 하여 전류를 증가시키면 신호의 왜곡 없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when the synthesis resistance increases, signal distortion occurs. Accordingly, when 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reases the current by decreasing the synthesis resistance during the dimming operation, the signal without distortion of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반면, 대기 모드 시에는 합성 저항이 작게 되면 신호의 상하 폭이 좁게 되어 오프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800)에 의해 대기 모드 시 합성 저항값을 크게 하여 전류를 감소시키게 되면 온오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ndby mode, when the synthesis resistance is small, the vertical width of the signal is narrowed, so that the off signal may not be generated. As a result, when the bias current controller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creases the current by increasing the combined resistance value in the standby mode, the on-off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즉,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는 디밍 동작 모드시에는 합성 저항을 작게 하여 전류를 증가시키고, 대기 모드 시에는 합성 저항을 크게 하여 전류를 감소시켜 조명 제어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bias curr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he current by increasing the synthesis resistance in the dimming operation mode and decreasing the current by increasing the synthesis resistance in the standby mode, thereby effectively transmitt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센서부
200: 디머
300: PWM 신호 발생부
600: 전원 전환부
700: 센싱 검출부
800: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
100: sensor
200: dimmer
300: PWM signal generator
600: power switch
700: sensing detector
800: bias current controller

Claims (10)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PWM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신호 발생부;
상기 PWM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포토 커플러;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는 출력부;
상기 센서부 및 PWM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디밍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는 상기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조명 제어 장치.
A sensor unit detecting an object;
A PWM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WM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A first photo coupler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PWM signal generator is input;
An output unit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hoto coupler is inpu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A power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a dimming operation signal;
And the first photo coupler electrically insulates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the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동작 신호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전원 전환부에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an on-off signal to the power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dimming operation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환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에 배치되고,상기 전원 전환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전원을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오프되는 제2 포토 커플러 및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원부와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witch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power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to cut off power to the PWM signal generating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photo coupler and the second And a second switch branched between the photo coupler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and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nso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BJT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BJT 회로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BJT 회로 사이의 제1 노드와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 사이의 제2 노드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온 오프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witch includes a BJT circuit, wherein the BJT circuit is turned on and off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a first node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BJT circuit and a second node between the second photo coupler and the PWM signal generator. Lighting control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인가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so that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s applied to the PWM signal gener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Low 신호를 상기 제1 포토 커플러를 통해 출력시키는 센싱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nsing detector configured to output a low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the first photo coup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검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1 포토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센서부의 High 신호에 의해 온되며 Low 신호로 전환될 시 오프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ing detector includes a third switch disposed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first photo coupler, the third switch being turned on by the high signal of the sensor unit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urned off when being switched to the low signal. Devi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bias curren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bias current of the second photo coupler by the on-off signal of the first swit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포토 커플러의 바이어스 전류를 감소시키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bias current controller increases the bias current of the photo coupler when the on signal of the first switch is received, and reduces the bias current of the first photo coupler when the off signal of the first switch is recei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 제어부는 MOSFET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4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의 게이트 단과 소스 단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10 저항 및 제11 저항과, 상기 제3 스위치의 소스 단과 제1 포토 커플러 사이에 상기 제10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8 저항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bias current controller includes a MOSFET circuit and a tenth and eleventh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ourth switch and the gate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and the fourth switch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witch, And an eighth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enth resistor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and the first photo coupler.
KR1020180027909A 2018-03-09 2018-03-09 Lighting control device KR20190106416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09A KR20190106416A (en) 2018-03-09 2018-03-09 Lighting control device
PCT/KR2019/001900 WO2019172551A1 (en) 2018-03-09 2019-02-18 Lighting control apparatus
EP19763562.6A EP3764743A4 (en) 2018-03-09 2019-02-18 Lighting control apparatus
CN201980018236.9A CN111837460A (en) 2018-03-09 2019-02-18 Lighting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909A KR20190106416A (en) 2018-03-09 2018-03-09 Lighting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416A true KR20190106416A (en) 2019-09-18

Family

ID=680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909A KR20190106416A (en) 2018-03-09 2018-03-09 Lighting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4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159B2 (en) Illumination systems
US8975825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with isolated control circuits
KR101334042B1 (en) Led lighting apparatus, current regulator and current regulating method thereof
JP2014160574A (en) Led driving device and led lighting device
JP3197202U (en) LED lighting device control circuit
JP6373947B2 (en) Lighting device and system in which dimmer and driver have electrically insulating structure
CN102065598A (en) Lighting device, driving circuit of light-emitting di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30380028A1 (en) Light dimming system
US9763297B2 (e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oscillator-based dimming control
JP2014127426A (en) Marker lamp control device
KR20190106416A (en) Lighting control device
KR20140084732A (en) Power supplies for LED modules
EP3764743A1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KR10251784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EDs using integrated cable and radio dimming circuit
US9699843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LED light
US11490476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dimming driver
US9265106B2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9845369U (en) Switch multistage LED dimmer circuit that discolours
CN110099476A (en) A kind of high PF Intelligent dimming circuit structure of high integration
US10841991B2 (en) Dimmer interfa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JP5358605B2 (en) Gaze guidance lamp and self-luminous gaze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196185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d lighting
CN106211496A (en) Generate the voltage feedback signal in non-isolated LED driver
KR10252092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EDs using integrated cable and radio dimming circuit
JP2017022981A (en) Apparatus for sensing input power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