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309A -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309A
KR20190105309A KR1020180025693A KR20180025693A KR20190105309A KR 20190105309 A KR20190105309 A KR 20190105309A KR 1020180025693 A KR1020180025693 A KR 1020180025693A KR 20180025693 A KR20180025693 A KR 20180025693A KR 20190105309 A KR20190105309 A KR 2019010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vatar
avatars
network marketing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섭
이승민
백경숙
Original Assignee
김관섭
백경숙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섭, 백경숙, 이승민 filed Critical 김관섭
Priority to KR102018002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309A/ko
Publication of KR2019010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추천한 신규유저에 대하여 자기산하에 포함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빈자리를 채워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으로 유저등록이 되되, 특정 인물이 포인트를 발생하는 경우 상위조직 또는 하위조직의 유저가 포인트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포인트의 분배가 어느 하나의 유저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분배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유저에게 포인트가 발생되면 매주마다 포인트에 대응되는 수의 가상 아바타를 마감기간까지 무한 누적시켜, 추후 상기 특정 유저의 하위조직으로 미리 누적된 가상 아바타를 배열하되, 이 배열방식에 의해 특정 유저의 하위로 포함된 모든 유저들에게 가능한 한 포인트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 아바타를 배열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고정 배열방식에 더불어 랜덤 배열방식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함에 따라, 유저로 하여금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METHOD FOR DISTRIBUTING PROFIT OF NETWORK MARKET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추천한 신규유저에 대하여 자기산하에 포함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빈자리를 채워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으로 유저등록이 되되, 특정 인물이 포인트를 발생하는 경우 상위조직 또는 하위조직의 유저가 포인트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포인트의 분배가 어느 하나의 유저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분배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유저에게 포인트가 발생되면 매주마다 포인트에 대응되는 수의 가상 아바타를 마감기간까지 무한 누적시켜, 추후 상기 특정 유저의 하위조직으로 미리 누적된 가상 아바타를 배열하되, 이 배열방식에 의해 특정 유저의 하위로 포함된 모든 유저들에게 가능한 한 포인트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 아바타를 배열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고정 배열방식에 더불어 랜덤 배열방식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함에 따라, 유저로 하여금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단계 마케팅(multi-level marketing, MLM) 은 "제조업자 → 도매업자 → 소매업자 → 소비자"와 같은 일반적인 유통경로를 거치지 않고, 다단계(多段階), 즉 다(많은) 단계의 회사 및 판매원들이 거래에 참여하는 유통방식이다.
유통방식뿐 아니라 후원수당에서도 다(많은)단계적 개입이 이뤄지는데, 이렇듯 다단계의 본질적 의미에서 후원수당의 단계적 배분에 의해 높은 수익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다단계의 시초는, 지금은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미국기업인 암웨이이고, 이러한 초반의 형태는 판매원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자발적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시작되었으나,
한국으로 도입되면서 방향이 다소 전환된 부분에 따라 한국에서는 다단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다시 말해, 다단계라는 것은 마케팅의 일종으로 판매원들의 수익을 보장하는 시스템이었으나, 근래 국내에서는 회사에서만 이익이 남기게끔 변질된 것이다.
즉,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1단계 판매원(다른 판매원의 권유를 통하지 아니하고 가입한 판매원), 즉 상위스폰서의 회원번호가 필요하지 않은 1단계 판매원과 그 하위 2단계 및 3단계 이상 판매원은 시작부터 공평하지 아니한 기회가 부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위스폰서가 악의적으로 조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판매원 모두가 발생하는 수익을 공평하게 배분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 방법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네트워크 마케팅에 관련하여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398호의 선불카드, 신용카드, 전자화폐를 이용한 네트워크 판매마케팅 수익 분배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2040호에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의하여 인터넷 컨텐츠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판매원(유저)들의 수익 배분을 공평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다단계 마케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가 지속됨에 따라 한국에서의 다단계 마케팅을 통해 성공할 수 있는 기업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어 국내 중소기업의 번영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2398호(2001.08.30.)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2040호(2009.02.02.)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이 추천한 신규유저에 대하여 자기산하에 포함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빈자리를 채워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으로 유저등록이 되되, 특정 인물이 포인트를 발생하는 경우 상위조직 또는 하위조직의 유저가 포인트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포인트의 분배가 어느 하나의 유저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분배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유저에게 포인트가 발생되면 포인트에 대응되는 수의 가상 아바타를 누적시켜, 추후 상기 특정 유저의 하위조직으로 미리 누적된 가상 아바타를 배열하되, 이 배열방식에 의해 특정 유저의 하위로 포함된 모든 유저들에게 가능한 한 포인트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아바타를 배열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고정 배열방식에 더불어 랜덤 배열방식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함에 따라, 유저로 하여금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은, 추천된 유저에 대하여 추천자 산하에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인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특정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대한 포인트 수익을 해당 유저의 상위조직 및 하위조직의 유저가 균등하게 배분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법은,
기존유저의 요청에 의해 신규유저를 등록하면, 등록되는 신규유저는 기존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되되,
상기 배열은, 배열될 열의 비어있는 좌측 자리를 모두 채운 뒤, 우측 자리를 채우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면 상기 물건에 대한 포인트와 포인트대비 아바타를 유저별로 마감기간 동안 무한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예로서 상기 방법은,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따른 아바타를, 물건을 구매한 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하되,
상기 배열은, 배열될 열의 비어있는 좌측 자리를 모두 채운 뒤, 우측 자리를 채우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예로서 상기 방법은,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따른 아바타를 랜덤으로 모든 유저의 산하로 배열하되,
어느 유저의 누적된 아바타수를 초과하여 배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를 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하기 전, 유저의 신규등록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저의 신규등록 차단은, 관리자의 제어에 의해 요일별 및 시간별 기준을 기반으로 정해진 요일의 시간이 되면 일정시간 동안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가 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되면,
배열된 아바타는 상위조직의 유저 또는 아바타에게 아바타에 할당된 포인트를 제공하되,
포인트를 제공받는 대상이 아바타인 경우, 포인트를 제공받은 아바타는 그 상위조직에 포함된 유저에게, 제공받은 포인트와 자신의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에 할당된 포인트의 제공은,
배열된 아바타를 기반으로 소정의 열의 수만큼 상위에 있는 대상에게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를 제공하기 전, 아바타의 배열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아바타의 배열이 완료된 경우,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의하면, 자신이 추천한 신규유저에 대하여 자기산하에 포함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빈자리를 채워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으로 유저등록되도록 함으로써, 활동한만큼 산하에 하위조직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에 대하여, 구매한 물건에 따른 가상의 아바타를 배열시킴으로써 수익분배를 수행하되, (a) 본 발명에서 제안된 "선좌후우 배열방식"에 의해 유저들이 공평하게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거나, (b) "선좌후우 배열방식"과 "랜덤 배열방식"을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유저들이 공평함은 물론, 더 높은 이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특정 유저에게 수익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의 흐름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서 유저 및 아바타가 배열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있어서, 종래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b) 및 (c))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a)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추천한 신규유저에 대하여 자기산하에 포함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빈자리를 채워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으로 유저등록이 되되, 특정 인물이 포인트를 발생하는 경우 상위조직 또는 하위조직의 유저가 포인트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포인트의 분배가 어느 하나의 유저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분배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유저에게 포인트가 발생되면 매주마다 포인트에 대응되는 수의 가상 아바타를 마감기간까지 무한 누적시켜, 추후 상기 특정 유저의 하위조직으로 미리 누적된 가상 아바타를 배열하되, 이 배열방식에 의해 특정 유저의 하위로 포함된 모든 유저들에게 가능한 한 포인트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 아바타를 배열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고정 배열방식에 더불어 랜덤 배열방식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함에 따라, 유저로 하여금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사용자(단말기)와 서버로 구성되는데, 이는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출원인이 일예로서 지칭하는 것일 뿐, 이는 당업자라면 단말기 등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신호/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것과, 이를 서버 등의 관제수단이 수신하여 정보처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은 아래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가. 유저등록요청단계(S1)
유저등록요청단계(S1)는, 유저의 신규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유저의 신규등록은 사용자의 조작과 정보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데, 유저의 신규등록에 대하여는 종래 다수 기술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유저의 신규등록을 위해 입력될 수 있는 인적정보는 당업자에 의해 예측 가능한 모든 인적정보를 포함함이 당연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단말기)는 정보입력모듈과 통신모듈과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통신모듈과 유저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등록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유저등록단계(S2)
유저등록단계(S2)는, 유저등록요청단계(S1) 후 수행되는 단계로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신규 유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저의 등록은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가 등록되는 일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서 유저 및 아바타가 배열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아바타의 배열을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아바타 대신 유저로 변환하여 해석되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한, 유저의 등록은 추천한 기존 유저의 산하에 포함되되, 빈자리를 매꿔가는 스필오버 방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A라는 기존 유저가 추천한 유저에 대해서는 A의 산하에 배열되도록 되고, 다른 예로 B라는 기존 유저가 추천한 유저에 대해서는 B의 산하에 포함되고, C의 산하에 포함되지 않는 기준에서 빈자리에 후술되는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만약, A유저 또는 C유저의 추천에 의해 산하에 배열되는 경우, 도 2의 (b)와 같이 C유저의 산하에 빈자리가 존재한다면, 해당 빈자리 먼저 배열되는 것이다(도 2의 (b)의 숫자 "1" 참조).
이러한 배열방식은, 추천(또는 구매에 따른 아바타)한 하나의 유저 또는 아바타에 대하여, 산하에 2개 포함되는 유저 또는 아바타 중, 좌측을 우선하여 1열의 모든 유저 또는 아바타의 산하에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고, 모든 좌측이 배열되면, 우측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한다. 이는 도 2의 숫자를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배열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쉽게 기재되기 위하여 "선좌후우 배열방식"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선좌후우 배열방식"를 도 3을 통해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A, B 및 C유저가 존재하고, A유저는 7개의 유저 또는 아바타가 배열되고, B유저는 4개, 그리고 C유저는 3개의 유저 또는 아바타가 배열된다는 가정하에,
B 및 C유저는 A의 산하유저이기 때문에, B 및 C유저의 산하에 A유저의 7개의 유저 또는 아바타가 배열된다(A1 내지 A7 참조).
그리고 B유저의 4개는 B유저의 산하로만 배열되고(B1 내지 B4 참조), C유저의 3개는 C유저의 산하로만 배열된다(C1 내지 C3 참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은 종래 네트워크 마케팅의 배열방식에 비해 산하에 포함된 유저에게 수익 배분을 공평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활동을 하지 않는 유저에게도 수익이 배분될 수 있게 되는데, 하나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저에게 불합리적이라고 판단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다르게 열의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1, 2, 4, 8, 16 ... 1024 등으로 1열의 유저수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저 역시 자신과 동일한 열에 위치한 유저의 산하에 포함된 다른 유저의 수익을 배분받게 되므로, 활동한 만큼의 수익 이상을 배분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선좌후우 배열방식이 종래 배열방식에 비해 배분이 공평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있어서, 종래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b) 및 (c))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a)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b)는 '
Figure pat00001
'의 순서로 유저가 배열되는 방식인데, 이는 도시된 숫자의 순서를 따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그리고 (c)는 종래 다수 채용하고 있는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방식이다. 이 역시 도시된 숫자의 순서를 따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열방식에 의하면, 도 4와 같이 어느 하나의 유저의 산하에만 몰리게 되어, 균등한 수익의 배분이 불가능하다.
반면, 도 4의 (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에 따르면, 배열이 어느 한측으로 몰리지 않고, 산하의 모든 유저가 균등하게 수익을 배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 포인트발생단계(S3)
포인트발생단계(S3)는, 등록된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해당 물건에 대한 포인트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포인트발생단계(S3)는 유저등록단계(S2)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유저등록요청단계(S1)나 유저등록단계(S2) 없이 단계의 시작단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존 등록된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여 포인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유저등록요청단계(S1)나 유저등록단계(S2)가 전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포인트의 발생은, 최초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물건에 할당된 포인트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물건에 따라 포인트를 산출하고 아바타를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포인트산출모듈 및 아바타개수파악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라.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는, 포인트발생단계(S3)에서 발생된 포인트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물건을 구매한 유저에게 누적시키는 단계이다.
즉, 물건에 처음 설계 당시 포인트와 아바타의 개수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는데,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해당 아바타가 구매한 유저에게 누적되는 것이다.
이때, 아바타는 가상의 캐릭터로서, 추후 구매한 유저의 산하에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으로 배열되어 구매한 유저는 물론, 상기 구매한 유저의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 해당 유저의 산하에 포함된 유저들에게 포인트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물건에 대한 아바타의 개수를 기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아바타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선좌후우 배열방식"의 배열방식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신규 유저 등록시 저장된 유저의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마.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는,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에서 누적된 모든 아바타정보를 배열하기에 앞서, 유저의 신규등록이 마감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유저의 신규등록을 마감시키는 이유는, 아바타는 배열된 이후 포인트가 결산되고 나면 사라지도록 구성되는데, 중간에 유저가 신규등록되어 버리면, 아바타가 사라지고 난 뒤, 빈공간이 다수 발생될 뿐만 아니라, 특정 유저가 허공에 떠버리는 시스템 상의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저신규등록의 마감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 동안 유저신규등록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설정하여 실시간(RTC)에 대비함으로써 마감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의 결과, 유저신규등록이 마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유저신규등록 마감을 확인하면서, 아바타의 누적과 신규유저의 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유저등록마감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는,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의 결과, 유저신규등록이 마감된 것으로 확인되면,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에서 누적된 아바타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유저(들)의 산하에 각 아바타정보에 대응되는 아바타의 개수만큼 아바타를 "선좌후우 배열방식"을 기반으로 배열한다.
이러한 아바타의 배열방식은 상술된 설명 중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아바타배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는,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 후, 아바타의 적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의 판단결과, 아바타의 적용이 완료되지 않아서 미적용된 아바타정보가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가 다시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아바타적용완료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아. 포인트결산단계(S8)
포인트결산단계(S8)는,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의 판단결과, 아바타가 모두 적용되어 미적용된 아바타정보가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수행되는 단계로서, 어느 특정 아바타의 상위조직에 포함된 유저들에게 포인트를 배분하여 결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위조직으로 포인트를 배분하는 것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서 적어도 2개열 이상의 상위조직으로 포인트가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결산이 종료되면, 배열되었던 아바타는 사라지고, 다시 신규유저의 등록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때, 아바타의 상위조직이 아바타라면, 상위조직의 아바타는 하위조직의 아바타와 자신의 포인트를 모두 갖게 되고, 이렇게 포인트가 누적되다가,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에게 모든 포인트를 주도록 한다.
이는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가 아바타가 갖고 있는 모든 포인트를 갖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정 개소의 상위조직에게 n분의 1로 배분하거나 등급별로 배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술된 방법이 1회차 진행된 이후부터는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와 포인트결산단계(S8)의 사이, 즉 포인트결산단계(S8)가 수행되기 전에 유저확인단계(S7-1)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포인트결산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1. 유저확인단계(S7-1)
유저확인단계(S7-1)는 포인트결산단계(S8)를 수행하기 전에 전회차에 적용되었던 아바타가 삭제되지 않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바타가 적용된 이후에 유저 사이에 아바타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유저 사이에 아바타가 존재한다는 것의 의미는, 상술된 "선좌우후 배열방식"의 배열순서에 따라 유저->유저->유저가 되어야 하는 것이 유저->아바타->유저의 순서로 배열된 것이 있다는 것이며,
이는 전회차에서 아바타의 삭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저확인단계(S7-1)는 유저 등록시 유저에게만 할당되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비교할 수 있으며, 식별코드가 없는 경우 유저가 아닌 아바타인 것으로 시스템이 확인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저확인단계(S7-1)의 결과에 따라, 유저 사이에 아바타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아바타의 배열을 회수하고, 다시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래 없었어야 하는 아바타는 삭제되고, 해당 아바타의 자리에 신규 아바타가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다음회차의 신규유저의 등록에 의해 유저가 비어있는 자리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저확인단계(S7-1)는, 이전 회차에서 오류에 의해 삭제되지 않은 아바타를 다음 회차에서 삭제함으로써, 없어야 할 수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유저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유저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환불처리요청에 대하여 환불을 수행하는 환불단계(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환불단계는, 크게 포인트결산단계(S8) 이후 또는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환불단계가 포인트결산단계(S8)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누적된 아바타정보에서 환불된 물건에 대응되는 아바타 개수를 차감하여 환불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만약, 환불단계가 포인트결산단계(S8)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포인트결산 이후 결산된 포인트에 대한 수당 지급을 통상의 소비자 환불(반품) 가능기간인 15일 이후에 지급함으로써, 환불이 수당지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환불단계가 포인트결산단계(S8)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도 있다.
환불단계가 포인트결산단계(S8)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환불된 물건에 대한 아바타의 개수를 산출하고, 다음 회차에서 아바타 적용(S6)이 수행될 때 해당 아바타의 개수만큼 삭제하여 배열되도록 한다.
다만, 해당 유저의 구매가 다음 회차에서부터 발생되지 않는 경우, 산하에 포함된 유저의 활동에 의해 배열되는 아바타에서 삭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유저의 악의에 의해 산하에 포함된 유저만 손해를 보게 될 수 있으므로, 아바타에 기반하여 해당 유저가 배분받을 포인트를 산출하여, 아바타는 유지되도록 하되, 환불을 수행한 유저에게 배분될 포인트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서버에 포함된 환불처리모듈에 의해 수행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2. 아바타의 랜덤 분배가 적용된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를 분배하는데 있어서, 랜덤 분배를 적용하되, 제1 실시예의 자기산하로 분배되는 것과 일정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정간격은 1주일 간격일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주는 아바타의 분배를 자기산하 방식으로 분배하고, 다음 한 주는 아바타의 분배를 랜덤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랜덤 분배를 수행하는 경우, 자기산하에 유저 또는 아바타가 적은 유저의 아바타가 자기산하에 유저 또는 아바타가 많은 유저의 산하로도 분배될 수 있어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랜덤 분배의 경우라도, 서버는 본래 분배되어야 하는 아바타의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A유저의 아바타 발생 누적이 10개인 경우, 랜덤으로 아바타가 분배되어 A유저의 산하로 다른 유저의 아바타가 분배되어도 총 10개를 초과하는 아바타가 분배되지 않도록 서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서버에 누적 아바타 개수 판단 모듈과 누적값 초과 방지 모듈 등을 포함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아바타의 랜덤 분배는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 1a를 참조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의 흐름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가. 유저등록요청단계(S1)
유저등록요청단계(S1)는, 유저의 신규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유저의 신규등록은 사용자의 조작과 정보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데, 유저의 신규등록에 대하여는 종래 다수 기술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유저의 신규등록을 위해 입력될 수 있는 인적정보는 당업자에 의해 예측 가능한 모든 인적정보를 포함함이 당연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단말기)는 정보입력모듈과 통신모듈과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통신모듈과 유저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등록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유저등록단계(S2)
유저등록단계(S2)는, 유저등록요청단계(S1) 후 수행되는 단계로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신규 유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저의 등록은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가 등록되는 일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서 유저 및 아바타가 배열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아바타의 배열을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아바타 대신 유저로 변환하여 해석되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한, 유저의 등록은 추천한 기존 유저의 산하에 포함되되, 빈자리를 매꿔가는 스필오버 방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A라는 기존 유저가 추천한 유저에 대해서는 A의 산하에 배열되도록 되고, 다른 예로 B라는 기존 유저가 추천한 유저에 대해서는 B의 산하에 포함되고, C의 산하에 포함되지 않는 기준에서 빈자리에 후술되는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만약, A유저 또는 C유저의 추천에 의해 산하에 배열되는 경우, 도 2의 (b)와 같이 C유저의 산하에 빈자리가 존재한다면, 해당 빈자리 먼저 배열되는 것이다(도 2의 (b)의 숫자 "1" 참조).
이러한 배열방식은, 추천한 하나의 유저에 대하여, 산하에 2개 포함되는 유저 중, 좌측을 우선하여 1열의 모든 유저의 산하에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고, 모든 좌측이 배열되면, 우측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한다. 이는 도 2의 숫자를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배열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쉽게 기재되기 위하여 "선좌후우 배열방식"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선좌후우 배열방식"를 도 3을 통해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A, B 및 C유저가 존재하고, A유저는 7개의 유저가 배열되고, B유저는 4개, 그리고 C유저는 3개의 유저가 배열된다는 가정하에,
B 및 C유저는 A의 산하유저이기 때문에, B 및 C유저의 산하에 A유저의 7개의 유저가 배열된다(A1 내지 A7 참조).
그리고 B유저의 4개는 B유저의 산하로만 배열되고(B1 내지 B4 참조), C유저의 3개는 C유저의 산하로만 배열된다(C1 내지 C3 참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은 종래 네트워크 마케팅의 배열방식에 비해 산하에 포함된 유저에게 수익 배분을 공평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활동을 하지 않는 유저에게도 수익이 배분될 수 있게 되는데, 하나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저에게 불합리적이라고 판단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다르게 열의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1, 2, 4, 8, 16 ... 1024 등으로 1열의 유저수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유저 역시 자신과 동일한 열에 위치한 유저의 산하에 포함된 다른 유저의 수익을 배분받게 되므로, 활동한 만큼의 수익 이상을 배분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선좌후우 배열방식이 종래 배열방식에 비해 배분이 공평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에 있어서, 종래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b) 및 (c))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a)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b)는 '
Figure pat00002
'의 순서로 유저가 배열되는 방식인데, 이는 도시된 숫자의 순서를 따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그리고 (c)는 종래 다수 채용하고 있는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방식이다. 이 역시 도시된 숫자의 순서를 따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열방식에 의하면, 도 4와 같이 어느 하나의 유저의 산하에만 몰리게 되어, 균등한 수익의 배분이 불가능하다.
반면, 도 4의 (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에 따르면, 배열이 어느 한측으로 몰리지 않고, 산하의 모든 유저가 균등하게 수익을 배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 포인트발생단계(S3)
포인트발생단계(S3)는, 등록된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해당 물건에 대한 포인트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포인트발생단계(S3)는 유저등록단계(S2)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유저등록요청단계(S1)나 유저등록단계(S2) 없이 단계의 시작단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존 등록된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여 포인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유저등록요청단계(S1)나 유저등록단계(S2)가 전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포인트의 발생은, 최초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물건에 할당된 포인트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물건에 따라 포인트를 산출하고 아바타를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포인트산출모듈 및 아바타개수파악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라.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는, 포인트발생단계(S3)에서 발생된 포인트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물건을 구매한 유저에게 누적시키는 단계이다.
즉, 물건에 처음 설계 당시 포인트와 아바타의 개수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는데,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해당 아바타가 구매한 유저에게 누적되는 것이다.
이때, 아바타는 가상의 캐릭터로서, 추후 구매한 유저의 산하에 본 발명에 따른 선좌후우 배열방식과 랜덤 배열방식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수행되어 구매한 유저는 물론, 상기 구매한 유저의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 해당 유저의 산하에 포함된 유저들에게 포인트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물건에 대한 아바타의 개수를 기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아바타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선좌후우 배열방식"의 배열방식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신규 유저 등록시 저장된 유저의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마.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는,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에서 누적된 모든 아바타정보를 배열하기에 앞서, 유저의 신규등록이 마감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유저의 신규등록을 마감시키는 이유는, 아바타는 배열된 이후 포인트가 결산되고 나면 사라지도록 구성되는데, 중간에 유저가 신규등록되어 버리면, 아바타가 사라지고 난 뒤, 빈공간이 다수 발생될 뿐만 아니라, 특정 유저가 허공에 떠버리는 시스템 상의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저신규등록의 마감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 동안 유저신규등록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설정하여 실시간(RTC)에 대비함으로써 마감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의 결과, 유저신규등록이 마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유저신규등록 마감을 확인하면서, 아바타의 누적과 신규유저의 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유저등록마감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는,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S5)의 결과, 유저신규등록이 마감된 것으로 확인되면,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S4)에서 누적된 아바타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유저(들)의 산하에 각 아바타정보에 대응되는 아바타의 개수만큼 아바타를 "선좌후우 배열방식"과 "랜덤 배열방식" 기반으로 배열한다.
이때, "선좌후우 배열방식"은 상술된 설명 중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랜덤 배열방식"이란, 자기 산하가 아니어도 비어 있는 랜덤의 위치에 아바타를 배열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을 통해 자기 산하에 유저가 적은 유저라도, 산하에 유저가 많은 유저의 산하로 아바타가 배열되어 더 높은 수익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랜덤 배열방식에 있어서, 특정 유저의 산하에 배열되어야 할 아바타의 총 개수가 초과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선좌후우 배열방식"과 "랜덤 배열방식"은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수행되는데, 예를 들면 1주일 간격으로 한 주는 "선좌후우 배열방식"으로 아바타가 배열되고, 다음 한 주는 "랜덤 배열방식"으로 아바타가 배열되며, 다시 "선좌후우 배열방식"의 아바타 배열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아바타배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는,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 후, 아바타의 적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의 판단결과, 아바타의 적용이 완료되지 않아서 미적용된 아바타정보가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S6)가 다시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아바타적용완료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아. 포인트결산단계(S8)
포인트결산단계(S8)는,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S7)의 판단결과, 아바타가 모두 적용되어 미적용된 아바타정보가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수행되는 단계로서, 어느 특정 아바타의 상위조직에 포함된 유저들에게 포인트를 배분하여 결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위조직으로 포인트를 배분하는 것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서 적어도 2개열 이상의 상위조직으로 포인트가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결산이 종료되면, 배열되었던 아바타는 사라지고, 다시 신규유저의 등록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때, 아바타의 상위조직이 아바타라면, 상위조직의 아바타는 하위조직의 아바타와 자신의 포인트를 모두 갖게 되고, 이렇게 포인트가 누적되다가,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에게 모든 포인트를 주도록 한다.
이는 상위조직에 위치한 유저가 아바타가 갖고 있는 모든 포인트를 갖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정 개소의 상위조직에게 n분의 1로 배분하거나 등급별로 배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S1 : 유저등록요청단계
S2 : 유저등록단계
S3 : 포인트발생단계
S4 : 포인트대비 유저별 아바타 누적단계
S5 : 유저신규등록 마감 확인단계
S6 : 유저 산하별 아바타 적용단계
S7 : 아바타 적용 완료 판단단계
S8 : 포인트결산단계

Claims (8)

  1. 추천된 유저에 대하여 추천자 산하에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추천산하 스필오버 방식인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특정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대한 포인트 수익을 해당 유저의 상위조직 및 하위조직의 유저가 균등하게 배분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존유저의 요청에 의해 신규유저를 등록하면, 등록되는 신규유저는 기존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되되,
    상기 배열은, 배열될 열의 비어있는 좌측 자리를 모두 채운 뒤, 우측 자리를 채우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저가 물건을 구매하면 상기 물건에 대한 포인트와 포인트대비 아바타를 유저별로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따른 아바타를, 물건을 구매한 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하되,
    상기 배열은, 배열될 열의 비어있는 좌측 자리를 모두 채운 뒤, 우측 자리를 채우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저가 구매한 물건에 따른 아바타를 랜덤으로 모든 유저의 산하로 배열하되,
    어느 유저의 누적된 아바타수를 초과하여 배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아바타를 유저의 산하에 자동으로 배열하기 전, 유저의 신규등록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아바타가 자동으로 배열되면,
    배열된 아바타는 상위조직의 유저 또는 아바타에게 아바타에 할당된 포인트를 제공하되,
    포인트를 제공받는 대상이 아바타인 경우, 포인트를 제공받은 아바타는 그 상위조직에 포함된 유저에게, 제공받은 포인트와 자신의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포인트를 제공하기 전, 아바타의 배열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아바타의 배열이 완료된 경우,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KR1020180025693A 2018-03-05 2018-03-05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KR20190105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93A KR20190105309A (ko) 2018-03-05 2018-03-05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93A KR20190105309A (ko) 2018-03-05 2018-03-05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09A true KR20190105309A (ko) 2019-09-17

Family

ID=6807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93A KR20190105309A (ko) 2018-03-05 2018-03-05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3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89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261하우스 인터넷쇼핑몰 후기 시스템
KR20210089887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261하우스 리뷰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398A (ko) 2001-05-03 2001-08-30 지대호 선불카드, 신용카드, 전자화폐를 이용한 네트워크 판매마케팅 수익 분배 방법
KR20090012040A (ko) 2008-05-06 2009-02-02 김서준 네트워크 마케팅에 의하여 인터넷 컨텐츠로부터 발생되는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398A (ko) 2001-05-03 2001-08-30 지대호 선불카드, 신용카드, 전자화폐를 이용한 네트워크 판매마케팅 수익 분배 방법
KR20090012040A (ko) 2008-05-06 2009-02-02 김서준 네트워크 마케팅에 의하여 인터넷 컨텐츠로부터 발생되는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89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261하우스 인터넷쇼핑몰 후기 시스템
KR20210089887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261하우스 리뷰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8732A1 (en) Service platform provided with shopping mall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product according to sales record and product promotion system for providing promotional giveaway product according to product promotion,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040107289A (ko) 구매 순서에 의한 인터넷 쇼핑몰 판매 촉진 방법 및 시스템
EP4165578A1 (en) Using a product or service as the start of an mlm tree
WO202012419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ferring cryptographic tokens
CN109146659A (zh) 资源分配方法及装置、系统
KR20190105309A (ko) 네트워크 마케팅의 수익분배 방법
JP2023027329A (ja) 販売促進システム
KR100864477B1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054475B1 (ko) 기부창업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8716A (ko) 다단계 수익 분배 시스템
KR102065257B1 (ko) 블록체인방식에 기반한 전자상거래 마일리지 운용 방법 및 전자상거래 마일리지 운용 시스템
KR101539515B1 (ko) 복권 뽑기 스타일의 게임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9377270A (zh) 交易保障平台及其账户管控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1815295B1 (ko) 수익 분배 방법
KR20190019384A (ko) 다단계 회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275798B1 (ko) 박람회 프로모션 시스템
KR20100121898A (ko) 원타임패스워드 및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이벤트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2891B1 (ko) 판매 이익금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528153B1 (ko) 판매 수익 분배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를 촉진하는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378060B1 (ko) 다른 회원의 소비에 의해 본인의 자산이 증가되도록 하는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279440B1 (ko)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528149B1 (ko) 판매 수익의 분배를 바탕으로 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330268B1 (ko) 상품코드 기반 구매순서로 순위 및 그룹을 결정하는 릴레이 캐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6385B1 (ko) 판매 수익 분배를 이용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302859B1 (ko) 판매 수익 분배를 이용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