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181A -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 Google Patents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181A
KR20190105181A KR1020180021766A KR20180021766A KR20190105181A KR 20190105181 A KR20190105181 A KR 20190105181A KR 1020180021766 A KR1020180021766 A KR 1020180021766A KR 20180021766 A KR20180021766 A KR 20180021766A KR 20190105181 A KR20190105181 A KR 2019010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ildren
video
chil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1843B1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키
Priority to KR102018002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4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ing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which effectively manages uploading and downloading of video content only for children in a website,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therefor. The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ing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terminal set (100g)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a big data collecting server (500).

Description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린이 전용의 동영상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캐릭터 등의 부가사업도 계획할 수 있으며, VR 기반의 어린이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권 계약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a content for children,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effectively manage uploading and downloading of video content for children to a website, and additional business such as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therefor, to plan, proceed with a copyright agreement for providing VR-based children's content.

최근, 사용자가 자유롭게 동영상을 업로드 하고 동일하거나 다른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유투브 등과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가 활성화되고 있다. Recently, a video sharing site such as YouTube, which allows a user to freely upload a video and downloads the same or another unspecified user through a real time streaming method, has been activated.

그러나 이러한 동영상 공유 사이트는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어린이들도 쉽게 시청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서,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유해성 있는 콘텐츠로의 접근에 대한 차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uch a video sharing site has recently been spread by smart phones, but children can easily watch it, bu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is, and the technical field is required to block access to harmful content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89948호 "테이블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 TABLE-TOP INTERFACE)"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8994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 TABLE-TOP INTERFA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이 전용의 동영상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캐릭터 등의 부가사업도 계획할 수 있으며, VR 기반의 어린이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권 계약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effectively manage the upload and download of video content for children on the website, and to plan additional business, such as characters, copyright agreement for providing VR-based children's content It is to provide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the content for children to proceed,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for this.

또한, 본 발명은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어린이에게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필터링을 위한 머신 러닝과 딥 러닝을 통해 구체화하도록 하기 위한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using the content for children to block the video containing the concepts of sensation, violence, fear, imitation, etc. to the child at the source, and to materialize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for filtering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therefo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네트워크(200),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VR 콘텐츠 제공서버(400),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를 포함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어린이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 을 포함하며,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은, 암호화 인증키에 대해서 복호화를 수행한 뒤, 인증키에 대한 성인용 업로드인지 또는 어린이용 업로드인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오류체크 방식을 수행하고, 어린이용 업로드의 경우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set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nd a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children. In the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child-targeted content including the 3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a network 2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hild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user terminal set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 310 and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to the database number 33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fter storing together, the child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through an error check method for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 The children's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performs decryption on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performs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analyz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key is an adult upload or a child upload. In the case of uploading, it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video content for children.

이때,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IP 헤더와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페이로드(payload)가 IP 패킷화된 패킷데이터를 수신하여 IP 헤더에 포함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를 추출한 뒤,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 경우, 검증을 완료하는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IP header and the child video content payload by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IP packetized packet data payload included in the IP header Extracting the length information, and analyzing whether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and, if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completing the verific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에서 페이로드 정보를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영상 분석을 수행하며, 영상 분석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한 뒤 추출된 프레임 이미지에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자막 및 음성인식 카테고리에 따른 키워드 추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separates payloa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acket data to perform image analysis in real time, and extracts a frame image of one frame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image analysis. Verific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keyword extraction based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subtitles and speech recognition categories in the image is performed.

또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에 대한 검증 수행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 선정성 이미지 집합 DB, 폭력성 이미지 집합 DB, 공포성 이미지 집합 DB, 모방성 이미지 집합 DB에 대한 검색을 통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when performing verification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big data based sensational image set DB, violent image set DB, fear image stored in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earch for the set DB, mimic image set DB.

또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대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이미지 검색 요청과 프레임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검증 결과 데이터를 반환 정보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transmits an image search request and a frame image for at least one of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to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he verification result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as retur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은, 어린이 전용의 동영상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캐릭터 등의 부가사업도 계획할 수 있으며, VR 기반의 어린이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저작권 계약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children's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therefor, can effectively manage uploading and downloading of video content for children to a website and plan additional projects such as characters. In addi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oceed with the copyright agreement for providing VR-based children's conte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은,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어린이에게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필터링을 위한 머신 러닝과 딥 러닝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a child-targeted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deo providing method therefor, blocks the video including the sensational, violent, fearful, imitation to the child,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for filtering provide concret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 중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 중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기반의 동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child-targeted content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child-targeted content of FIG. 1.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method based on a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 중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child-targeted content of FIG. 1.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네트워크(200),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VR 콘텐츠 제공서버(400),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video providing system 1 using child-targeted content includes a user terminal set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 network 200,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 어린이 콘텐츠 수집 모듈(323) 및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2,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transceiver 310, a controller 320, a database 330, and the controller 320 includes a child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A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a child content collection module 323, and a child content providing module 324 may be included.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어린이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hild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is a user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roviding child content by one user terminal 100 from a set of user terminals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a network 200.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an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for the.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hild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in the database 330 together with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in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through an error checking method.

여기서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은 암호화 인증키에 대해서 복호화를 수행한 뒤, 인증키에 대한 성인용 업로드인지 또는 어린이용 업로드인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오류체크 방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린이용 업로드의 경우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children's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decrypt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may perform an error check method for analyz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key is an adult upload or a child upload. If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can be received.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IP 헤더와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페이로드(payload)가 IP 패킷화된 패킷데이터를 수신하여 IP 헤더에 포함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를 추출한 뒤,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 경우,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The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receives the IP header and the child video content payload by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and packetizes the packetized IP data to extract payload leng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P header. Subsequently, it may be analyzed whether 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and when verific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verification may be completed.

즉,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성인용 동영상 콘텐츠에 비해 상영 시간을 짧게 분할된 상태로 설정됨으로써,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인지 여부를 검증하며,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00 is generally set to have a shorter running time than the adult video content, thereby verifying whether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 To manage the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또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에서 페이로드 정보를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may separate the payloa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acket data and perform image analysis in real time.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영상 분석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한 뒤 추출된 프레임 이미지에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자막 및 음성인식에 따른 키워드 추출 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extracts one frame image of a frame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image analysis, and then extracts keywords based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caption, and voice recognition from the extracted frame image.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에 대한 검증 수행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 선정성 이미지 집합 DB, 폭력성 이미지 집합 DB, 공포성 이미지 집합 DB, 모방성 이미지 집합 DB에 대한 검색을 통해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is a big data-based sensational image set DB, violent image set DB, fear image set stored in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when performing verification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Can be determined by searching DB, imitation image set DB.

즉,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대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이미지 검색 요청과 프레임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검증 결과 데이터를 반환 정보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transmits and receives an image search request and at least one frame image for at least one of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to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After controlling the unit 310, the verification result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as return information.

이에 따라,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는 수신된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검증을 위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각각에 해당하는 다양한 패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데, 다양한 패턴 이미지 자체 정보 또는 다양한 패턴 이미지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미리 설정된 각도가 기울어진 것, 확대된 것, 축소된 것 등과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을 비교하여 프레임 이미지 속의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을 판별한다.Accordingly,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stores various pattern images corresponding to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for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frame image. Various pattern image information or various pattern images are stored. Compares the patterns included in the frame image with the tilted, inverted, pre-determined angles, enlarged, and reduced angles to determine the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in the frame image. .

한편,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는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로부터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프레임 이미지가 아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는 영상 정보와 각 패턴 이미지에 대한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는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not a frame image of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the specific of the pixel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 can be extracted from the intensity of the pixel, the color of the pixel, the lines formed by the pixel, and the shape in which the pixel changes over time. In addition,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determines that the pixel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 for each pattern image are similar ranges. That is,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judges the pixel from which the feature is extracted as the reference pixel, and determin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pixel and the neighboring pixels,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similar, selectiv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You can judge by. Here, the similarity is a concept including a difference in contrast between pixels or a distance between pixels.

어린이 콘텐츠 수집 모듈(323)은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에 의해 검증 결과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이 없으며, 자막 및 음성인식에 따른 추출된 키워드에서도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이 없다고 분석된 경우,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페이로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hildren's content collection module 323 has no sensibility, violence, fear, or imitation by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and even in extracted keywords based on subtitles and voice recognition, sensibility, violence, fear, mimic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he children's video content payloa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by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to the database 330 using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s metadata. Can be stored.

한편, 반대로 어린이 콘텐츠 수집 모듈(323)은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에 의해 검증 결과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검출되고. 자막 및 음성인식에 따른 추출된 키워드에서도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된 경우,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페이로드 정보에서 검출된 프레임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삭제하거나 시청 마크를 해당 패턴 이미지로 가리도록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거나 음성 정보에 노이즈 음성 신호를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한 뒤,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child content collection module 323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of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by the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If at least one of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is also detected in the extracted keyword according to subtitles and voice recognition, the children's video content page is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After performing the graphic operation to delete the frame image or the video information or the audio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load information, or to cover the viewing mark with the corresponding pattern image, or to add a noise voice signal to the audio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330 using the terminal number as metadata.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324)은 사용자 단말 집합(100g)을 이루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등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한 전송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Children content providing module 324 is a real-time streaming method or download method for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stored in the database 330 by the keyword or category search by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nstituting the user terminal set (100g).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the transmission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이를 위해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324)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어린이 콘텐츠 전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hild content providing module 324 may be configured as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child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by one user terminal 100 from the user terminal set 100g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transmitter / re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for 100.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324)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완료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 요청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hild content providing module 324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in the database 330 together with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in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through an error check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child video content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200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여기서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324)은 암호화 인증키에 대해서 복호화를 수행한 뒤, 인증키에 대한 성인용 다운로드인지 또는 어린이용 다운로드인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오류체크 방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린이용 다운로드의 경우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child content providing module 324 decrypt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may perform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analyz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key is an adult download or a child download. If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can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1) 중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1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1 using the child content of FIG. 1.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1)은 도 1의 구성요소에 복수의 캐릭터 사업화 단말(600)로 이루어진 캐릭터 사업화 단말 집합(600g)을 더 포함하며, 각 사용자 단말(100)은 Headed Mounted Display Device(이하, HMD 디바이스)(100a)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1 using content for children further includes a character commercialization terminal set 600g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acter commercialization terminals 600 in the components of FIG. 1, Each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headed mounted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HMD device) 100a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제어부(320)는 도 2의 구성요소에 캐릭터 사업화 모듈(325), VR 콘텐츠 제공 모듈(326),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320 of the children's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5, a VR content providing module 326, and a big data-based customized providing module in the component of FIG. 2. 327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에서는 도 2의 제어부(320)의 구성요소와 차별화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hildren's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ler 320 of FIG. 2.

캐릭터 사업화 모듈(325)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서 캐릭터를 추출하여 캐릭터 사업부 단말 집합(600g)에 해당하는 복수의 캐릭터 사업부 단말(600) 중 하나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요청한 캐릭터 사업부 단말(6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5 extracts a character from the children's video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330 and requests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a request of one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division terminals 600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vision terminal set 600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the requested character business unit terminal 600.

이에 따라, 캐릭터 사업화 모듈(325)은 캐릭터 사업부 단말(600)에 의한 자체 판단 결과 캐릭터 사업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로 캐릭터 사업화 거래 요청을 통해 저작권 합의를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5 receives 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request as a result of the self-determination by the character division terminal 600, the user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metadata for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to the database 330. Through 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transa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number of may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the copyright agreement.

결과적으로 캐릭터 사업화 모듈(325)은 저작권 합의가 완료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작권 전자 계약 합의서를 통해 캐릭터 사업시 미리 설정된 비율의 저작권료를 지불하는 과정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copyright agreement is completed, 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5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00 with a process of paying a preset fee for the character business in the character business through the copyright electronic contract agreement in the database 330.

VR 콘텐츠 제공 모듈(326)은 캐릭터 사업화 모듈(325)에 의해 캐릭터 사업화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VR 콘텐츠 제공 용의 질의를 통해 용의가 있는 경우 VR 콘텐츠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VR content providing module 326 is susceptible through a query for providing VR content through the network 200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provided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commercialized by the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5. If present, VR content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이를 위해, VR 콘텐츠 제공 모듈(326)은 2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좌우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를 결정한 뒤, 결정된 좌우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에 대응하는 2개의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에 대한 초점 거리를 연산한다.To this end, the VR content providing module 326 determines two left and right focal positions and the number of focal points for the video content for children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image, and then the two multiply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wo left and right focal positions and the number of foci. The focal length for the focal two-dimensional image content is calculated.

그리고 VR 콘텐츠 제공 모듈(326)은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에서 2개의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 각각의 초점위치에서 상대방 영상 콘텐츠의 초점위치의 중앙 지점을 향하는 거리에 비례하는 깊이값을 연산한 뒤, 2개의 깊이값에 따라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를 합성한다.In addition, the VR content providing module 326 calculates a depth value proportional to a distance from the focal position of each of the two focal two-dimensional image contents to the center point of the focal position of the counterpart image content in the multi-focus two-dimensional image content. A multifocal two-dimensional image content is synthesized according to two depth values.

이후, VR 콘텐츠 제공 모듈(326)은 2개의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와 기존의 2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2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영시차(Zero Parallax) 영상 데이터로, 좌측 초점에 해당하는 영상에 해당하는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를 좌시차 영상 데이터로, 우측 초점에 해당하는 영상에 해당하는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콘텐츠를 우시차 영상 데이터로 설정한 뒤,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여 적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우차각을 기반으로 우시차 방향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여 적용하여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VR content providing module 326 uses two multi-focus two-dimensional image contents and children's vide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two-dimensional images to zero-time parallax of the children's vide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images (Zero Parallax). ) As the image data, the multi-focus two-dimensional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focus is set to the left parallax image data, and the multi-focus two-dimensional im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ight focus is set to the right parallax image data. The left eye image data is generated by identifying and applying left parallax direction pixel shift information based on a disparity angle of at least one left parallax image data based on the identified zero parallax, and at least one based on the identified zero parallax. Based on the right angle of the right parallax image data, the right direction pixel movement information is identified and applied. It generates data can be stored by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330 with metadata.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자막 및 음성인식에 따른 키워드 추출 등에 대한 검증 결과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삭제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Big data-based custom provision module 327 i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the verification result data for the selection of keywords based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subtitles and voice recognition for children's video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330 Analyze and issue delete management commands.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ed in the big data-based custom provision module 327 may be one of a decision tree (DT) classification algorithm,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키워드 추출 방식 등의 검증 카테고리로 분산 저장된 검증 결과 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추가 검증 결과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The big data-based customized provision module 327 analyzes the verification result data stored in the verification categories such as sensibility, violence, fear, imitation, keyword extraction, and the like in the database 330 and analyzes the verification result data, respectively. Additional verification result data may be derived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information and learning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즉,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은 검증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big data-based custom provision module 327 may apply an ensembl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lementar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verification result.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of learning the tree structure to derive the result, it is eas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result, the data processing speed is fast, and the rule can be derived based on the search tree. RF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low classification accuracy of DT. The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of slaughtering a result of ensemble of a plurality of DTs, and it is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sult than the DT, but the result accuracy may be higher than the DT. SVM can be applied to improve overfitting that can occur through DT or RF learning. Th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classifies data belonging to different classifications on a plane basis, and generally has high accuracy and may have low sensitivity to overfitting.

머신러닝 이후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은 각 검증 카테고리로 분산 저장되는 정제된 데이터인 추가 검증 결과 데이터를 활용해 딥러닝 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딥러닝 방식은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327)에 의한 추가 검증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형성된 검증 카테고리별 차후의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로의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에 의한 검증 요청시 활용되도록 분산 시스템에 해당하는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상에서 제공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증 딥러닝 수행 결과를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machine learning, the big data-based custom provision module 327 may perform deep learning by utilizing additional verification result data, which is refined data distributed and stored in each verification category. Here, the deep learning method is used when the verification request by the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to the next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for each verification category formed by analyzing the additional verification result data by the big data-based custom provision module 327.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10 to provide the deep data execu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deep learning for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ed on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ed system to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는 이미지 검색 요청에 따른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검색 프로그램의 변환 및 적용에 따라 업그레이드되어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minimizes a decrease in cycle time, which is a time required for one entire process, and a maximum time, Tact time, in the repetitiv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mage retrieval request. In this way, it can be upgraded and execut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and application of the search program.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기반의 동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어린이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based video providing method using content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hereinafter, the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n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Referring to FIG. 5,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quests for providing child content by one user terminal 100 from a set of user terminals 100g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a network 200. In step S11,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for the user terminal 100 is transmitted.

단계(S11) 이후,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12).After step S11,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together with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330. Thereaft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S12).

단계(S12) 이후,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의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13).After step S12,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erforms verification on the child video content of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S13).

단계(S13) 이후,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검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서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관리를 통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수집을 수행한다(S14).After the step S13,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the child video content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for the verified user terminal 100. (S14).

단계(S14) 이후,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집합(100g)을 이루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등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한 전송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다(S15).After operation S14,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search for the child video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330 by keyword or category search b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forming the user terminal set 100g. A transmission request through a real time streaming method or a download method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S15).

단계(S15) 이후,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완료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 요청된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16). After step S15,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together with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330. After tha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upon completion of authentication, the child video content requested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network 2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16).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
100g : 사용자 단말 집합
200 : 네트워크
300 :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
322 :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
323 : 어린이 콘텐츠 수집 모듈
324 : 어린이 콘텐츠 제공 모듈
325 : 캐릭터 사업화 모듈
326 : VR 콘텐츠 제공 모듈
327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VR 콘텐츠 제공서버
500 : 빅데이터 수집 서버
1: Video provision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100: user terminal
100g: user terminal set
200: network
300: server providing video content for children
310: transceiver
320: control unit
321: Children's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2 children's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3: Children's Content Collection Module
324: Children's content provision module
325: character commercialization module
326: VR content provision module
327: Big data based customized module
330: Database
400: VR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Big Data Collection Server

Claims (5)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네트워크(200),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 VR 콘텐츠 제공서버(400),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를 포함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1)에 있어서,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집합(100g)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어린이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유한 암호화 인증키를 수신하여, 암호화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번호와 함께 저장한 뒤, 암호화 인증키에 대한 오류체크 방식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 을 포함하며,
어린이 콘텐츠 인증 모듈(321)은, 암호화 인증키에 대해서 복호화를 수행한 뒤, 인증키에 대한 성인용 업로드인지 또는 어린이용 업로드인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오류체크 방식을 수행하고, 어린이용 업로드의 경우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Children including a user terminal set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network 200, children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VR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and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In the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1 using the target content, the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nd an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for the user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hild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user terminal set 100g includ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hrough the network 200.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receives a uniqu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store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in the database 330 with th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n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 child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authentication through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Including;
The children's content authentication module 321 decrypts the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and performs an error checking method for analyz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key is an adult upload or a child upload.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the content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use video cont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린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IP 헤더와 어린이용 동영상 콘텐츠 페이로드(payload)가 IP 패킷화된 패킷데이터를 수신하여 IP 헤더에 포함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를 추출한 뒤,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 이하인 경우, 검증을 완료하는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ild video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IP header and the child video content payload by the authenticated user terminal 100 receive the IP packetized packet data, extract payload leng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P header, and then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A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for completing verification if the conte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payload length information;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children's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에서 페이로드 정보를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영상 분석을 수행하며, 영상 분석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한 뒤 추출된 프레임 이미지에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자막 및 음성인식에 따른 키워드 추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Performs video analysis in real time by separating payload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acket data, extracts one frame image among frames for a preset time during video analysis, and then selects, violent, fears, mimics the extracted frame image. , A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children's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verific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keyword extraction based on subtitles and voice recogni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에 대한 검증 수행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 선정성 이미지 집합 DB, 폭력성 이미지 집합 DB, 공포성 이미지 집합 DB, 모방성 이미지 집합 DB에 대한 검색을 통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When performing verification on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search for big data based sensational image set DB, violent image set DB, fear image set DB, mimic image set DB stored in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the content for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discriminated through.
청구항 4에 있어서, 어린이 콘텐츠 검증 모듈(322)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에 대한 선정성, 폭력성, 공포성, 모방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이미지 검색 요청과 프레임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검증 결과 데이터를 반환 정보로 빅데이터 수집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과 사업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Child content verification module 322,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an image search request and a frame image for at least one of sensibility, violence, fear, and imitation to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hen verifying Video providing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using children's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data is received from the big data collection server 500 as return information.
KR1020180021766A 2018-02-23 2018-02-23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KR102021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66A KR102021843B1 (en) 2018-02-23 2018-02-23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66A KR102021843B1 (en) 2018-02-23 2018-02-23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81A true KR20190105181A (en) 2019-09-16
KR102021843B1 KR102021843B1 (en) 2019-09-17

Family

ID=6806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66A KR102021843B1 (en) 2018-02-23 2018-02-23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3B1 (en) * 2019-09-30 2020-10-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Streaming Bloc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ideo Obscenity Analysis
KR20220107697A (en) * 2021-01-26 2022-08-02 (주)아몬드미디어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content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796A (en) 2020-12-03 2022-06-13 주식회사 커넥팅더다츠 Interactive platform system combined game and video for educ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531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uthenticating server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20090021514A (en) * 2007-08-27 2009-03-04 (주)미디어스메일커뮤니케이션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content copyright in advertisement open market system based on content copyright clearing
KR20110098344A (en)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uthoring service
KR20130101645A (en) * 2012-02-22 2013-09-16 주식회사 팬택 Contents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40117217A (en) * 2013-03-26 2014-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of the traffic classific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KR20150030445A (en) * 2013-09-12 2015-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detecting child pornography
KR20150053080A (en) * 2013-11-07 2015-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multi platform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531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uthenticating server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20090021514A (en) * 2007-08-27 2009-03-04 (주)미디어스메일커뮤니케이션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content copyright in advertisement open market system based on content copyright clearing
KR20110098344A (en)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authoring service
KR20130101645A (en) * 2012-02-22 2013-09-16 주식회사 팬택 Contents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40117217A (en) * 2013-03-26 2014-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of the traffic classific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KR20150030445A (en) * 2013-09-12 2015-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detecting child pornography
KR20150053080A (en) * 2013-11-07 2015-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multi platform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89948호 "테이블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 TABLE-TOP INTERFACE)"
박경세."입체영상 특성 및 응용".KBI포커스.2008.12.01.08-16(통권58호),(제1면 내지 제35면) *
최원희 외 2인."디스플레이 화질의 진화: 디스플레이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016.12.31.제17권 제6호,(발행본: 제39면 내지 제47면)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3B1 (en) * 2019-09-30 2020-10-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Streaming Bloc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ideo Obscenity Analysis
KR20220107697A (en) * 2021-01-26 2022-08-02 (주)아몬드미디어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content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843B1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2732A1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US107155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information risk management
CN102467661B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289619A1 (en) Method for positioning video, terminal apparatus and cloud server
KR102021843B1 (en) Video provision system using contents for children,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children based on the same
KR201900725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cial live varnish, and electronic device
EP3893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video segment, devic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1639968B (en) Track data processing method, track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3207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users
US20150186426A1 (en) Searching information using smart glasses
KR102437103B1 (en) Livestock produc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neural network and livestock product distribution metaverse platform
KR102110642B1 (en) Password protection question setting method and device
KR1022972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object and object location equality between images
CN109618236A (en) Video comments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EP4036759A1 (en) Pose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1432410B (en) Network security protection method of mobile base station of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server of Internet of things
CN114495128B (en) Subtitle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134816A (en) Access to the data on remote equipment
CN109726709A (en) Icon-based programm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O2017107431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sorting images
CN111625793A (en) Identity recognition method, order payment method, sub-face library establish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order payment system
CN116996309A (en) Semanti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chain,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US9900376B2 (en) Method for presenting schedule reminder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cloud server
CN112749352A (en) Webpage skipp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518061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equipment, device, system and medium in fac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