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828A -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828A
KR20190101828A KR1020180022246A KR20180022246A KR20190101828A KR 20190101828 A KR20190101828 A KR 20190101828A KR 1020180022246 A KR1020180022246 A KR 1020180022246A KR 20180022246 A KR20180022246 A KR 20180022246A KR 20190101828 A KR20190101828 A KR 2019010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external electronic
adjus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5737B1 (en
Inventor
박현석
이지현
김연우
심충선
정교문
허선
임경우
황보상무
서현석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737B1/en
Priority to PCT/KR2019/002058 priority patent/WO2019164255A1/en
Publication of KR2019010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ounting structure which comprises: a body unit including a first portion including a seating surface disposed to face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escription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Mounting structure for fixing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장치를 고정 및 거치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ounting structure, for example, to a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for fixing and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program installed, such as an electronic notebook,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PC, a video / audio device, a desktop / laptop computer, a car navigation system, etc. Can mean.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increased and ultra-high speed and high-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may be installed in on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not only communication functions, but also entertainment functions such as game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music / video playback, communication and security functions for mobile banking, calendar management or electronic wallet, etc. hav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를 홍보 또는 전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더욱이, 도난이나 사고 방지를 위하여 전자 장치를 고정 및 잠금할 수 있는 거치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거치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사용자(예: 매장 직원)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해체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In order to promote or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evice is provided that provides a charging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 mounting structure that can fix and lock the electronic device to prevent theft or accident.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should be able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not easily separated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by the user (for example, store staff).

일반적인 거치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 우 또는 상, 하 영역에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아 고정하고, 물리적으로 시건하는 그립 타입(grip type),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부착 구조 사이에 접착 테잎(tape)을 붙여 고정을 시키는 테잎 타입(tap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A general mounting structure is to hold and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bracket on the left, right or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hysically lock the grip type, or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ttachment structure. It can be divided into a tape type (tape type) to attach the adhesive tape (tape) to the fixed.

예를 들어, 그립 타입(grip type)의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예: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 우 또는 상, 하 영역을 그립하여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분리가 어려워, 사용자가 제품을 체험할 때의 그립감 또는 전시 제품의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테잎 타입(tape type)의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과 부착 구조 사이에 접착 테잎을 붙이고 추가 고정을 위해 접착 후에 나사를 사용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설치 및 해체하는 과정에서 나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거치 구조의 재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 grip type mounting structure is difficult to separate because the grip type physically fixes the left, right, or top and bottom areas of an exhibition product (e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can experience the product. The grip of the occasion or the aesthetics of the display product may be impaired. As another example, the tape type mounting structure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n adhesive tape between the display product and the attachment structure and turning it with screws after bonding for further fixing. May occur, thereby reducing the reusability of th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 제품(예: 외부 전자 장치)을 체험할 때 그립감과 심미성이 좋아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시 제품과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성이 개선된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grip and aesthetics may be improved when the display product (for exampl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experienced, and a mounting structure having improved usability may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with the display product. Can provid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나 유형에 따른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of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mounted may be adjusted, thereby providing a moun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sizes or typ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조절함에 따라,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structure for stably fix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eated on a seating surface may be provided by adjust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sea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part including a seating surface disposed to face a first direction, and a body including a second part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part;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회전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structure may include: a body part providing a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a first surface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body portion,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supporting a second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ort plat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rotatably engages with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adjustment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may move horizontally in correspondence to the area in which the contact is mad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예: 외부 전자 장치)을 체험할 때 그립감과 심미성이 좋아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시 제품과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mplement a structure that improves grip and aesthetics when experiencing an exhibition product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improves usability by simplify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with the exhibition product. Can b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나 유형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unting structure may adjust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mounted, and may mount and fix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sizes or typ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면을 제공하고, 일면에 접착 부재를 배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시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unting structure may provide a plurality of surfaces capable of suppor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rrange the adhesive member on one surface to tes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A-A'방향으로 절단한 거치 구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크래들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와 조절 부재(5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한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structure 10 viewed from one direc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is cut in the A-A 'direction of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7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6,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jig 8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ig 8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coupl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7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various types of devic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devic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terminology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And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B, or C"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merely to distinguish a component from othe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o separate the components from other aspects (e.g. Order). Some (eg,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any component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eg, by wire), wirelessly, or via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module"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The module may be an integral part or a minimum unit or part of the component, which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o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136 or external memory 138)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electronic device 101).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program 140) including the. For example, a processor (eg, the processor 120) of the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all and execute at least one command amo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the storage medium.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t least one command invok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means only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s), which is the case when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on the storage medium. It does not distinguish cases where it is temporarily stored.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raded between the seller and the buyer as a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two user devices ( Example: smartphones)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r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stored at least temporarily on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or may be temporarily created.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r plural ent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compon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before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actions may be add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구조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 또는 거치 구조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이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Hereinafter, mounting structur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document, the term user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or a person using a mounting structure or a device (e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A-A'방향으로 절단한 거치 구조(10)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structure 10 viewed from one direc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is cut in the A-A 'direction of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Z'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길이 방향, 'X'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폭 방향, 'Y'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Z)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2 방향(+X, -X)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Y)을 의미할 수 있다.1 to 5, 'Z' of the three-axis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X'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Y' is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mea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Z' may mean a first direction (+ Z, -Z), 'X' may mean a second direction (+ X, -X), 'Y' may mean a third direction (+ Y, -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상태가 유지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20))는 전시장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들에게 시연되어 자유로운 사용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be used to moun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device) and maintain a fixed stat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of FIG. 5) maintained in the fixed state may be demonstrated to users in a public place such as an exhibition hall to provide free use and prevent an accident such as thef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접착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body part 100, a connection connector 200, a support plate 300, an adjustment member 500, and an adhesive member 600. Can b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는 각종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각종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외부 지면(예: 테이블, 전시대 또는 가판대)에 입설된 상태로, 상기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100)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part 100 may be a housing structure includ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and may safely protect various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The body part 100 may support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n external surface (eg, a table, a display stand or a newsstand). As another example,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substantially opaque material, for example, coated or colored glass, ceramic, polymer, metal (eg, aluminum, stainless steel (STS), or Magnesium),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 above materi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에는 전원 케이블(150)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접속 커넥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케이블(150)은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151)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된 커넥터(151)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커넥터(151)로부터 연결된 전선은 바디부(100)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접속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와 외부 전자 장치(20)가 접점을 이루는 경우, 상기 노출된 커넥터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외부 전자 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wer cable 150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100 to provide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power cable 150 may include a connector 151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posed connector 1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wires connected from the exposed connector 151 may extend into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 the body part 100. When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ke contact, the power transferred through the exposed connector may be provided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는 제 1 부분(110) 및 상기 제 1 부분(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10)은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Z 방향을 향하고 외부 지면에 입설되도록 편평한 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과 반대 방향인 +Z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 전자 장치(20)의 적어도 일면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portion 10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0 and a second portion 120 protru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10. The first portion 11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and disposed in a flat shape bottom surface 111 and a + Z direction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111 so as to face the -Z direction and to be placed on an external ground. And a seating surface 112 on whic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seat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안착면(112)의 인접 영역에서 상기 제 1 방향(+Z)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돌출된 제 2 부분(120)에 의하여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 '┗' 형상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portion 12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110.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120 may protrude in the first direction (+ Z)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112. The second port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ortion 110 and manufactured by including the same material. As another example, the body part 100 may have an overall '┛' and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by the protruding second portion 12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접속 커넥터(200)와 대면하고 +X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면(121) 및 상기 제 1 면(121)과 반대 방향(-X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21)에는 지지 플레이트(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면(122)에는 조절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면(122)은 상기 +Z 방향으로 갈수록 제 1 면(121)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거치 구조(10) 외면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면(122)은 상기 +Z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 영역(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영역(122a)으로 인하여, 상기 거치 구조(1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예: 도 2 참조), 상기 제 2 부분(120)의 상단 부분은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상단 이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portion 120 faces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and faces the first surface 121 and the first surface 121 disposed to face in the + X direction (−). The second surface 122 facing the X direction).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21,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122.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surface 122 may include a region extending seamlessly toward the first surface 121 toward the + Z direction, which is a beaut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Can provide.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surface 122 may include an inclined region 122a exten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 Z direction. Due to the inclined region 122a,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eg, see FIG. 2),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20 has a first thickness (or width), The portion other than the top may have a second thickness thicker than the first thicknes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제 1 면(121)으로부터 제 2 면(122)까지 연장 형성된 관통 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123)은 제 2 부분(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조절 부재(500) 또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 부재(50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부분(120)에 형성된 관통 홀(120)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portion 120 may include a through hole 123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121 to the second surface 122. The through hole 123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part 12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500 or the supporting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member 500 and the supporting plate 300. It may provide a passag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through hole 120 formed in the second part 120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500 may be inserted into and rot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 홀(120) 내측으로 상기 조절 부재(500)의 체결부(5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결합함에 따라, 상기 조절 부재(500)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1 방향(+Z, -Z)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X, -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제 2 방향(+X, -X)의 수평 이동으로 인하여 외부 전자 장치(20)가 안착되는 안착면(1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20)에 따라, 상기 안착면(112)에 안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의 두께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관통 홀(120)과 조절 부재(500)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다양한 측면에 대응되는 유동적인 안착면의 면적(예: 안착면의 폭 방향(+X, -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이동 방향(예: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적어도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다양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the fastening portion 520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o the through hole 120, the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 300 may move in a second direction (+ X, -X)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 Z, -Z).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ing plat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 X, -X),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112 o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seated may be adjusted. For example,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20,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seated on the mounting surface 112 may vary. The area of the flexible sea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ide surfaces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e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surface) according to the coupling degree of the through hole 12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of the support plate 300. (+ X, -X)). However, the moving direction (eg,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is not limited to the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ly, and the first direction may stably suppor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he design can be changed to move along various direction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형성된 제 1 개구(112a)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Z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 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기 커넥터 홀에 삽입되어 내부 커넥터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접속 커넥터(200)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에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may be dispos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112a formed in the body part 100.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may protrude in the + Z direction to form a contact with a connector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For exampl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include a connector hole for accommodating a connector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nd / or data.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hol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to form a contact with the internal connector.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USB connector, and may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측을 안착하는 안착면(112)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00)와 함께 외부 전자 장치(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면(112) 상에 돌출된 접속 커넥터(200)의 전 영역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안착면(112)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커버하지 못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좌, 우 방향(예: 제 3 방향(+Y, -Y))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is a mounting plate 112 for mounting one sid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r rear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ogether with the 300,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be stably supported. For example, as the entire area of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protruding on the seating surface 11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he seating surface 112 and the support plate 300 are provided. )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g, the third direction (+ Y, -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제 2 부분(120) 또는 제 2 부분(120)과 인접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안착면(112)이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영역과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안착면(112)이 향하는 방향과 서로 다른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disposed on an area adjacent to the second portion 120 or the second portion 120 of the body portion 100.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manufactured in a plate shape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plate 300 may support a region different from a region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112 support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disposed to face various direction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112 faces, to suppor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와 접촉면을 형성하는 지지면(310), 상기 지지면(310)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5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출 부분(330) 및 상기 돌출 부분(3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0)은 전체적인 면적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부분(120)의 제 1 면(121)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모서리 부분은 미려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굴곡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300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310 form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310 toward the adjustment member 500. 330 and at least one second opening 320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330. The support surface 310 may have an overall area substantially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second portion 120. Each corn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o provide a beau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330)은 -X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330)의 외경은 조절 부재(500)의 체결부(52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 부분(330)의 외경보다 상기 체결부(520)의 외경이 더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520)의 외경보다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이 더 크도록 형성되어, 돌출 부분(330), 체결부(520) 및 관통 홀(123)은 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330 may extend in the −X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3 of the second portion 120.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330 may be provid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520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52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330, and the through hole 123 of the second portion 12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520. The protrusion part 330, the fastening part 520, and the through hole 123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so as to be larg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3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 2 개구(320)는 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개구(320) 내측으로 이탈 방지 부재(3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는 상기 지지면(310)과 상기 조절 부재(500)의 원평 플레이트(510)와 지정된 거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는 나사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외경은 단턱 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개구(3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 타측은 상기 조절 부재(5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의 결합 관계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2 부분(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320 formed to penetrate the protruding portion 330 may have a hole shape, and the departure preventing member 3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320.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350 may prevent the support surface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at plate 510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50 may be manufactured in a screw shape, and an outer diameter formed at one side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or threaded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320. As another example,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50 may be combined with the adjusting member 500. According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50, the support plate 300 may prevent the separation from the second portion 12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제 2 부분(1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는 외경이 스쿠류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에 형성된 나나산과 회전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be coupled on the second portion 120 of the body portion 100.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adjusting member 50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queegee shape in an outer diameter,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Nanasan formed in the through hole 123 of the second part 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지그 등이 삽입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홈(511)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510)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510)로부터 돌출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511)은 일자 형상의 지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나사산은 상기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 내측의 나사산과 암수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 홀(123) 내측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 부재(500)의 홈 형상 및 나사산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개구(320)와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 2 방향(+X, -X)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a circular plate 510 is formed with a groove 511 is inserted into the jig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and the fastening portion 520 protruding from the circular plate 510 is formed. ) May be included. The groove 511 may be provided in a "-" shape so that a jig having a straight shape may be inserted therein, and the thread may be male and female coupled to a screw thread inside the through hole 123 of the second part 120.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crew thread inside the through hole 123. However, the groove shape and the thread shape of the adjusting member 50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320 to rotate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 X, -X). You can change the desig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원형 플레이트(510)는 상기 제 2 부분(120)의 제 2 면(122) 및 상기 제 1 면(121)에 배치된 지지면(310)과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0)는 상기 제 2 부분(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123)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제 2 개구(320)와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late 300 with the second portion 120 interposed therebetween. For example, the circular plate 510 of the adjusting member 500 faces the support surface 310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122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second portion 120. Can be. The fastening part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3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part 120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320 of the support plate 3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520)는 내측으로 리세스된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 부분(33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내측으로 이탈 방지 부재(350)가 삽입되고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part 520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 recessed inwardly,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330 of the support plate 300. For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5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may be fixed by fitting or screw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부분(120)의 상기 관통 홀(123)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와의 이격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된 영역이 늘어나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 부재(500) 및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 간극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된 영역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 부재(500) 및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 간극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500)의 조절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00)는 전체 면적이 안착면(112)에 수직인 상태로, 전, 후 운동이 가능하고, 안착면(112)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through hole 123 of the second portion 120, the separation gap with the support plate 30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ing member 5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increase the area coupled with the supporting plate 300, the user moves the supporting plate 300 in the -X direction to adjust the adjusting member 500. And a spacing gap between the support plates 30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ing member 50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educe the area combined with the supporting plate 300, the user moves the supporting plate 300 in the + X direction to adjust the adjusting member 500. ) And the separation gap between the support plate 300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the support plate 300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entire area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112, and is mounted on the seating surface 112. One surface of (20) can be stably support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재(60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 일면에 배치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와 지지 플레이트(300)간의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부재(600)는 박리지를 포함한 테잎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20)와의 접촉시 박리지를 제거한 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과 테잎을 접촉시켜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 부재(600)는 지지면(310)에 접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3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전자 장치(20)를 상기 거치 구조(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선 후술될 지그가 상기 접촉 부재(600)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act member 60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00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support plate 300. The contact member 6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ape including release paper, and after removing the release paper when contac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he tap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by the support plate 300. ) May be combined. For example, the contact member 600 may be adhesively disposed on the support surface 31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upport surface 310. Subsequently, in order to separat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from the mounting structure 10, a ji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member 60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크래들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7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6,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 및 도 7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Z'는 상기 크래들(700)의 두께 방향, 'X'는 상기 크래들(700)의 폭 방향, 'Y'는 상기 크래들(70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Z)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2 방향(+X, -X)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Y)을 의미할 수 있다.6 and 7, 'Z' in the three-axis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radle 700, 'X'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dle 700, and 'Y'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dle 700. It may mean.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Z' may mean a first direction (+ Z, -Z), 'X' may mean a second direction (+ X, -X), 'Y' may mean a third direction (+ Y, -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6 and 7,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body part 100, a connection connector 200, a support plate 300, an adjustment member 500, and a cradle 700. The body part 1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have a structure 1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of FIGS. 1 to 3.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상기 바디부(100)를 지지할 수 있는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700)은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8 내지 10의 외부 전자 장치(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00)보다 큰 저면을 포함하여 외부 지면(예: 테이블, 전시대 또는 가판대)에 안정적으로 입설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cradle 700 capable of supporting the body portion 100. The cradle 70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art 100 to stably support variou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of FIGS. 8 to 10), and the body part It can be stably placed on an external surface (e.g. a table, exhibition stand or stand), including a bottom larger than 1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700 may be formed of a substantially opaque material, for example, coated or colored glass, ceramic, polymer, metal (eg, aluminum, stainless steel (STS), Or magnesium),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 above materi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은 제 1 영역(710) 및 상기 제 1 영역(710)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 2 영역(720) 및 제 3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710)은 상기 바디부(100)의 제 1 부분(110)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 영역(711)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영역(711)은 지정된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안착 영역(711)에 상기 바디부(100)의 제 1 부분(110)이 결합된 경우, 상기 바디부(100)도 경사진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00)에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20)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직립되어 있는 상태보다 지정된 기울기를 가진 경우, 사용자는 전시된 외부 전자 장치(2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7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710 and a second region 720 and a third region 73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710. The first area 710 may include a seating area 711 on which the first portion 110 of the body part 100 may be seated, and the seating area 711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pecified slope. Can be. When the first part 110 of the body part 100 is coupled to the seating area 711 including the inclined surface, the body part 100 may also be seated in an inclined shape. Accordingl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may also be disposed in an inclined form.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has a specified inclination, the user may use the display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ore convenientl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후면은 바디부(100)에서 외부로 노출된 전원 케이블(150)의 커넥터가 외부 전원과의 연결 관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710 of the cradle 700 may have an opening such that the connector of the power cable 150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body part 1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form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영역(720)은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720)의 저면은 외부 지면에 입설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연장된 길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면이 확장되어, 상기 대면적의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region 7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 Y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710.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72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that is plac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720. The surface suppor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710. Large area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an be fixed stabl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영역(730)은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730)의 저면은 외부 지면에 입설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연장된 길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면이 확장되어, 상기 대면적의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region 7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Y direction from the first region 710.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region 73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that is plac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rd region 730, and the surface suppor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710. Large area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an be fixed stably.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와 조절 부재(5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jig 8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ig 8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coupl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지그(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8 and 9,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body part 100, a connection connector 200, a support plate 300, an adjustment member 500, and a jig 800. The body part 1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have a structure 1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of FIGS. 1 to 3.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상기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8 내지 10의 외부 전자 장치(20))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손으로 직접 돌려서 지지 플레이트(300)의 이동시킬 수 있으나, 지그(800)를 이용하여 편하고 안정적으로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지그(800)는 상기 거치 구조(10)와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상기 거치 구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지그(800)의 일측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와 상기 거치 구조(10)(도 5 참조)사이에 끼움 결합 후 밀어내는 방식으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분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adjusting member 500 to fix the jig 800 to fix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of FIGS. 8 to 10). )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he support plate 300 by directly rotating the adjustment member 500 by hand, but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comfortably and stably by using the jig 800. . As another example, the jig 800 may separat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coupled with the mounting structure 10 from the mounting structure 10. For example, the user may use one side of the jig 800 to fi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mounting structure 10 (refer to FIG. 5) after fitting and push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separation process of 20 may be perform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800)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jig 800 may be formed of a substantially opaque material, for example, coated or colored glass, ceramic, polymer, metal (eg, aluminum, stainless steel (STS), Or magnesium),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 above material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8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810), 상기 몸체(810)로부터 연장되고, 양 단에 배치된 제 1 단부(820) 및 제 2 단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820)는 상기 조절 부재(500)의 홈(511)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부(820)가 상기 홈(511)에 삽입된 채로 상기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500)는 지그(800)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00)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511)은 "ㅡ"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단부(820)도 "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jig 800 includes a body 810 that can be held by a user, a first end 820 and a second end 830 extending from the body 810 and disposed at both ends. ) May be included. The first end 82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511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the control member (with the first end 8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11) 500) can provide rotational force.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adjust the distance to the support plate 300 according to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jig 800. For example, when the groove 511 is provided in a "-" shape, the first end 820 may also be provided in a "-" shape so as to correspon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부(830)는 상기 제 1 단부(820)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830)는 주걱과 같은 형상으로 일부 경사면을 포함한 단부 형상으로 마련되어,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20)와 거치 구조(10)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end 83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from the first end 820. The second end 830 may have an end shape including some inclined surfaces in the shape of a spatula, and may be used to separate the coupl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mounting structure 10.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한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mounting structure 10 including a cradle 7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10 to 12, the mounting structure 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0, a connection connector 200, a support plate 300, an adjustment member 500, and / or a cradle 700. have. The structure of the body part 100,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the adjustment member 500 and / or the cradle 7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is FIGS. 1 to 3, 6, and FIG. Some or all of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100,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the support plate 300, the adjustment member 500 and / or the cradle 7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of 7 may be the sam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거치 구조(10)와 복수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측면에는 커넥터 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텍터 홀 내측으로 상기 거치 구조(10)의 접속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 홀 주변의 측면은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에 형성된 안착면(112)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지지 플레이트(300)와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일면에 접착 부재(예: 도 5의 접착 부재(60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접착 부재(6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강한 접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 플레이트(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10 and 11,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structure 10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For example, a connector hole is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nd a connection connector 2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to provide a sid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It can support and provide power at the same time. As another example, a side surface of a connector hol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forms a contact surface with a seating surface 112 formed in the body part 1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thereby forming a contac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Can support the side. As anothe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form a contact surface with the support plate 3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As another example, when an adhesive member (eg, the adhesive member 600 of FIG. 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00, the adhesive member 600 is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300 by providing a strong adhesive force to the support plate 300.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거치 구조(10)의 크래들(700)과 복수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으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측면 중 안착면(112)이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은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안착 영역(711)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후면 중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커버할 수 없는 일부 영역은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안착 영역(711)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be coupled to the cradle 700 of the mounting structure 10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and maintain an inclined state. For example, an area of the side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that cannot be covered by the seating surface 112 form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ating area 711 of the first area 710 of the cradle 700, thereby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be supported. As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the support plate 300 may not cover may form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ating region 711 of the first region 710 of the cradle 700.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be suppor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예: 도 1의 거치 구조(10))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예: 도 1의 안착면(112))을 포함하는 제 1 부분(예: 도 1의 제 1 부분(110))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예: 도 1의 제 2 부분(120))을 포함하는 바디부(예: 도 1의 바디부(100));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예: 도 4의 제 1 개구(112a))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예: 도 1의 접속 커넥터(200));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예: 도 1의 지지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예: 도 2의 조절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mounting structure (eg, the mounting structure 10 of FIG.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surface (eg, the mounting surface 112 of FIG. 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rtion (eg, first portion 110 of FIG. 1) and a second portion (eg, second portion 120 of FIG. 1)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Body portion (eg, body portion 100 of FIG. 1); A connection connector (eg, the connection connector 200 of FIG. 1) exposed through an opening (eg, the first opening 112a of FIG. 4)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A support plate (eg, the support plate 300 of FIG. 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 adjustment member (eg, the adjustment member 500 of FIG. 2)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은, 상기 안착면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part of the adjusting member is disposed to face the supporting plate with the second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linear movement of the support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djusting member is performed by the mounting surface. The area can be vari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 홀(예: 도 4의 관통 홀(123))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body portion, the second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s a through hole (eg, the through hole 123 of FIG. 4) penetrating therein. ), And a thread may be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면(예: 도 4의 지지면(310)); 상기 지지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 부분(예: 도 4의 돌출 부분(330));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분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예: 도 4의 제 2 개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eg, the support of FIG. 4) to form a contact surface with one surface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of FIG. 5)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Facet 310); A protruding portion (for example, a protruding portion 330 of FIG. 4) protruding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toward the adjusting member; And an opening (eg, the second opening 320 of FIG. 4) exten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into the protruding por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홈(예: 도 3의 홈(511))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예: 도 4의 원형 플레이트(510));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 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대응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예: 도 4의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 circular plate (eg, circular plate 510 of FIG. 4)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eg, groove 511 of FIG. 3); And a fastening part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520 of FIG. 4) formed from the circular plate and hav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through ho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돌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의 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may press the support plate by rotation.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은 회전에 따른 암수 결합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부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간극은 가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provide a male and female coupling according to rotation, and in response to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circular plate of the support plate may var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의 안착면의 면적이 가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rea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may vary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in the second directi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관통 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 및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체결부의 중심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the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접속 커넥터를 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배치되고,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예: 도 4의 접착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may be disposed on a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facing the connection connector, and may provide an adhesive member (eg, FIG. 4)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eated on a seating surface. The adhesive member 600 may further inclu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예: 도 4의 이탈 방지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end of the mounting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eg,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30 of FIG. 4).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바디부가 외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큰 접촉면을 제공하는 크래들(예: 도 6의 크래들(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eg, cradle 700 of FIG. 6) that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s a contact surface that is larger than the area where the body portion contacts the outer surface. Can b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의 안착 영역(예: 도 6의 안착 영역(711))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예: 도 6의 제 1 영역(710)); 상기 제 1 영역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2 영역(예: 도 6의 제 2 영역(720)) 및 제 3 영역(예: 도 6의 제 3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area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 seating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an inclined form (eg, FIG. A first region (eg, first region 710 of FIG. 6) including a seating region 711 of 6; A second region (eg, the second region 720 of FIG. 6) and a third region (eg, the third region of FIG. 6)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and supporting the first region; 73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조절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 결합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탈착을 위한 지그(예: 도 8의 지그(8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몸체(예: 도 8의 몸체(810));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 1 단부(예: 도 8의 제 1 단부(820));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진 제 2 단부(예: 도 8의 제 2 단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jig (eg, jig 800 of FIG. 8) for rotationally coupling the adjustment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or detach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jig includes a body. (Eg, body 810 of FIG. 8); A first end extending from the body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 insertion into the groove of the adjustment member (eg, the first end 820 of FIG. 8); And a second end extending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nd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eg, the second end 830 of FIG. 8).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수평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unting structure may include: a body part providing a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a first surface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body portion,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supporting a second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lat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may pass through the body to engage with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may move horizontally in correspondence to an area where the control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contact each oth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of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seated may vary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unt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end of the mounting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The member may further includ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안착면이 배치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ortion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is disposed;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and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lat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nection connector may include a USB connecto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거치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the art.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거치 구조: 10
외부 전자 장치: 20
바디부: 100
제 1 부분: 110
제 2 부분: 120
접속 커넥터: 200
지지 플레이트: 300
조절 부재: 500
접착 부재: 600
크래들: 700
지그: 800
Mounting structure: 10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Body part: 100
First part: 110
2nd part: 120
Connector Connector: 200
Support plate: 300
Adjustable member: 500
Adhesive member: 600
Cradle: 700
Jig: 800

Claims (20)

거치 구조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In the mounting structure,
A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portion including a seating surface disposed to face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control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은, 상기 안착면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is disposed facing the support plate with the second portion therebetween,
The linear structure of the said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aid adjustment member is a mounting structure which changes the area of the said mount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body portio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the mounting structure formed with a thread inside the through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의 일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 부분;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분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late,
A support surface for forming a contact surface with one surface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toward the adjustment member; And
A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an opening exten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into the protrud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 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대응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A circular plate having at least one groove formed therein; And
And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ircular plate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in the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돌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의 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 end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is a mounting structure for pressing the support plate by rot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은 회전에 따른 암수 결합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부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간극이 가변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provide a male and female coupl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a spacing between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circular plate of the supporting plate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안착면의 면적이 가변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area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관통 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 및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체결부의 중심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en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ortion, the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를 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on a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facing the connection connector and providing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support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of the support plat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the mount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uppor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바디부가 외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큰 접촉면을 제공하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radle that receiv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s a contact surface that is larger than an area in which the body portion contacts the outer groun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의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radle,
A first region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first portion including a seating region of a designated inclination for being seated in an inclined form; And
And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each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and supporting the first reg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 결합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탈착을 위한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 1 단부;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진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jig further includes a jig for rotationally coupling the adjustment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or detach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ody;
A first end extending from the body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 insertion into the groove of the adjustment member; And
And a second end extending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nd, the second e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거치 구조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하는 거치 구조.
In the mounting structure,
A body portion providing a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s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connection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body portion,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supporting a second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facing the support plat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body, and the support plate moves horizont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ea where the control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contact each oth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5,
A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seated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6,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7,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plat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the mount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upport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안착면이 배치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dy portion,
A first portion in which said seating surface is disposed; And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adjacent region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and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lat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nector has a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a USB connector.
KR1020180022246A 2018-02-23 2018-02-23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KR102455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en) 2018-02-23 2018-02-23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9/002058 WO2019164255A1 (en) 2018-02-23 2019-02-20 Mounting structure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en) 2018-02-23 2018-02-23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28A true KR20190101828A (en) 2019-09-02
KR102455737B1 KR102455737B1 (en) 2022-10-19

Family

ID=6768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en) 2018-02-23 2018-02-23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5737B1 (en)
WO (1) WO201916425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854B1 (en) * 2023-02-01 2023-05-30 (주)금오전자 Connector for displayed mobi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229A (en) * 2004-12-24 2006-06-28 심병철 Camera phone supporter having a joint hole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JP2011113485A (en) * 2009-11-30 2011-06-09 S-Cube Inc Crime prevention sensor and crime prevention system
KR20120010706A (en) * 2010-07-27 2012-02-06 김영기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machine
KR20130003806U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인피센스 Display stand for moke-up of mobile phone
KR20150084599A (en)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er for mobile terminal
KR101627460B1 (en) * 2015-04-02 2016-06-07 임영철 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KR20170134999A (en)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팝폰 Smartphone 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056B2 (en) * 2006-09-29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Cradle device with music function
JP4760759B2 (en) * 2007-03-30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Crad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 device
JP6171823B2 (en) * 2013-10-09 2017-08-0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Terminal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KR101718859B1 (en) * 2015-05-06 2017-03-22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Handset crad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229A (en) * 2004-12-24 2006-06-28 심병철 Camera phone supporter having a joint hole
KR100673577B1 (en)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Mult-function cradle
JP2011113485A (en) * 2009-11-30 2011-06-09 S-Cube Inc Crime prevention sensor and crime prevention system
KR20120010706A (en) * 2010-07-27 2012-02-06 김영기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machine
KR20130003806U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인피센스 Display stand for moke-up of mobile phone
KR20150084599A (en)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er for mobile terminal
KR101627460B1 (en) * 2015-04-02 2016-06-07 임영철 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KR20170134999A (en)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팝폰 Smartphone Charg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854B1 (en) * 2023-02-01 2023-05-30 (주)금오전자 Connector for displayed 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737B1 (en) 2022-10-19
WO2019164255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86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5852545A (en) Detach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mounting mechanism for snap mounting computer speakers
CN110622104B (en) Electronic equipment supported at multiple angles
TWI574538B (en) Dock with compliant connector mount
US11150689B2 (en) Image display device
EP3534236B1 (en) Electric conduction apparatus
US7377603B2 (en) Computing device mounting systems
CN111886559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045856A (en) Electronic device incluing stand member
TWM415545U (en) Hand-held buckling Plate computer screen Cover Pivot cap of
WO2016176658A1 (en) Apparatus with twistable electronics dock and rotatable connecting port having a plurality of heads
US20210286410A1 (en) Computer
EP3742712A1 (en) Contac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12740141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racket member
JP2012238999A (en) Electronic apparatus
WO2022100193A1 (en) Housing assembly for head-mounted device and head-mounted device
TWI227678B (en)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onitor device using this apparatus
KR20190101828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TW201351016A (en) Projection device
WO2021050242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KR102502607B1 (en)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TWM542165U (en) Base for computer device
TW201218780A (en) capable of supporting and positioning a display
KR20210038108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ptic actuator
KR101627460B1 (en) 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