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39A -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739A
KR20190100739A KR1020180020670A KR20180020670A KR20190100739A KR 20190100739 A KR20190100739 A KR 20190100739A KR 1020180020670 A KR1020180020670 A KR 1020180020670A KR 20180020670 A KR20180020670 A KR 20180020670A KR 20190100739 A KR20190100739 A KR 2019010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image
drop
transmission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7206B1 (en
Inventor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형지엘리트
주식회사 위싱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지엘리트, 주식회사 위싱라이브 filed Critical (주)형지엘리트
Priority to KR102018002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0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omprises: an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controlling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so that an image and a receiving smart device are selected and the selected image is transmitted; and a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controll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so that a resolution or a data capacity of the selected image is changed and the selected image having the changed resolution or data capacity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mart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selected image screen in a drag and drop manner and transmit the designated image screen to all receiving setters, or allow selection of a user on the image screen so that the image screen is transmitted and watched. In addition, a size of the image screen can be adjusted by the user when the image is transmitted. A resolution or a data capacity of the image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size of the selected image screen, and thus it is possible to autonomously adjust a load of data transmission.

Description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본 발명은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택한 영상 화면을 끌어다 놓으면 영상 화면이 모든 사람에게 전송되거나, 영상 화면에서 사용자를 선택하여 영상 화면을 전달하여 시청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율적인 해상도 및 데이터 용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when dragging and dropping a selected video screen, the video screen is transmitted to everyone, or the user selects a user from the video screen and delivers the video screen for viewing. And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resolution and data capacity adjustment.

최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원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와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을 위해 이메일 또는 메신저 서비스 등을 활용하고 있다.Recently, a smart device provided with a wireless or wired Internet service has used an e-mail or messenger service to access a site providing the service and to transmit desired multimedia data between a transmitting smart device and a receiving smart device.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어플리케이션들은 직관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신인 지정 및 선택, 그리고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한 지정 및 선택을 위해서는 직접 문자를 입력하거나, 폴더에 대한 지정 및 파일 또는 연락처 선택을 위해 2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However, thes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lications are not intuitive and require two or more steps for specifying and selecting destinations by users, and inputting text directly for specifying and selecting images to be sent, or for specifying folders and selecting files or contacts.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to go through.

또한, 수신인 및 지정 파일 등을 지정 및 선택한 뒤에도 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파일에 대한 용량 또는 해상도를 네트워크 상황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한 용량 에 맞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In addition, even after designating and selecting a destination and a designated fil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using a separate conversion program to change the capacity or resolution of a file such as image data according to a network situation or an application limited capacity.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4081호 "클라이언트 신호 전송장치, 클라이언트 신호 전송에서의 종속슬롯 매핑 및 디매핑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optical signal)"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54081 "Client Signal Transmitter, Dependent Slot Mapping and De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ien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optical signal)"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한 영상 화면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지정하여 모든 수신 설정자에게 전송하거나, 영상 화면에서 사용자를 선택하여 영상 화면을 전달하여 시청하도록 할 수 있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drag and drop to specify the selected video screen to be sent to all the reception setters, or to select the user from the video screen to deliver the video screen to drag and drop It relates to a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전송시 영상 화면의 크기는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며, 선택된 영상 화면의 크기에 따른 자동적인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의 변경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부하를 자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video screen when transmitting the image, drag and drop to autonomously adjust the load of the data transmission by changing the resolution or data capacity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lected video screen An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전송하는 사용자와 이를 수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싱크 연산 플랫폼을 제공하여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로 협업으로 영상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영상 중계 기반의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relay-base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ync operation platform for a user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 a drag and drop method and a user receiving the image in collaboration with the target smart device It is to provid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은, 영상과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 및 선택된 영상의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을 변경하여 선택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 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ag-and-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select an image and a receiving smart device and transmit the selected image ( 321); And a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0 to change the resolution or data capacity of the selected imag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selected receiving smart device. It may include.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영상이 선택된 경우에 드롭 존(drop zone)(130)에 드래그하여 드롭되도록 하는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구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to drop by dropping the drop zone (130) when the image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to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은,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 ;을 더 포함하고,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가 로딩된 경우에 영상의 외주연 또는 외주면에 드롭 존(drop zone)(130) 상에 최종 드래그 좌표 정보에서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의 위치인지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further includes,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is a drag and drop browser 120 When loade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is in the final drag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drop zone 13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영상에 대한 드롭 앤 드래그가 수행되는 경우 선택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선택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is selected when one of the receiving smart devices is selected to drop and drag the image. It is preferable to designate that the select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mart device us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은,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을 변경이 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계별 용량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는 자동용량 설정모듈(323a);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solution or data capacity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is not changed, one of the preset step-by-step capacity An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image with a data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입출력부(110) 상에서 출력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이용해 로딩(loading)된 영상에 대한 선택 이후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에 대한 드래그 제어 신호 인식시, 선택된 좌표(선택 좌표 정보)와 드래그되는 좌표 정보(드래그 좌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the drag and drop browser output on the input and output unit 110 of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When the drag control signal for the preset direction is recognized o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after selection of the loaded image using the 120, the selected coordinate (select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dragged (drag coordinate information)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through the network (2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전후에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의 크기 설정 정보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창 크기 설정 정보에 비례한 화질 또는 데이터 용량으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로부터 수신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를 이용해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loads an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Sends the siz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indow back and forth to the smart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image selected by the sending smart device 100 with image quality or data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received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received from the location setting module 32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선택한 영상 화면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지정하여 모든 수신 설정자에게 전송하거나, 영상 화면에서 사용자를 선택하여 영상 화면을 전달하여 시청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ed video screen is designated by drag and drop to be transmitted to all reception setters, or the user is selected from the video screen to deliver the video screen for viewing. It provides the effect of doing s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영상 전송시 영상 화면의 크기는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며, 선택된 영상 화면의 크기에 따른 자동적인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의 변경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부하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video screen when the image transmission is user-adjustable, the automatic resolution or data capac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lected video screen The change provides the effect of autonomously adjusting the load of the data transmiss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영상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전송하는 사용자와 이를 수신하는 사용자에 대한 싱크 연산 플랫폼을 제공하여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로 협업으로 영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ync operation platform for a user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 a drag-and-drop manner and a user receiving it to the target smart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ideo can be provided in collabo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중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중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영상 선택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의 제어부(320)를 구성하는 추가 구성으로 싱크조절모듈(320a)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in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mage data control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 drag and drop type image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mong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mponents of the sync adjustment module 320a as an additional component that configures the controller 320 of the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 그리고 제 1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m)으로 이루어진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400g)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includes a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 network 200, an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and a first reception smart device 400-1 to m-th reception. It may include a receiving smart device set (400g) consisting of a smart device (400-m).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각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은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패드,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를 포함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each receiving smart device 400-1 to 400-m are broad concepts including wired terminal or wireless terminal, and include personal computer (PC), IP televisio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notebook personal computer. (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smart pad, smart phone,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phon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phon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phone And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phone,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phone, a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and the like, and different terminals and servers including a video data control server 300.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voice and video.

네트워크(200)는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 그리고 제 1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m)으로 이루어진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4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network 200 is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high-spee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ong 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Here, when the network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ampl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cheme.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network 2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n IP network based on a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LTE network, 4G network, 5G, or other IP. The network 200 is a reception smart device set 400g composed of a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n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and a first reception smart device 400-1 to an m-th reception smart device 400-m. ), And to transfer signals and data between system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중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in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중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영상 선택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illustrate a video data contro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drag and drop video selection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mong a drag and drop based video dat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UI') scree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 자동용량 설정모듈(323a), 그리고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로 구분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may include a transceiver 310, a controller 320, and a database 330. The control unit 320 may be divided into an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a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a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an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and a user selection capacity collecting module 324. Can be.

이하에서는 제어부(3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and the drag and drop-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320.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이후,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an access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after loading the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do.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입출력부(110) 상에서 출력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이용해 로딩(loading)된 영상에 대한 선택 이후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에 대한 드래그 제어 신호 인식시, 선택된 좌표(선택 좌표 정보)와 드래그되는 좌표 정보(드래그 좌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may select the image loaded using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output 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of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nd then o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hen recognizing the drag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the preset direction,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the selected coordinate (select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dragged coordinate information (drag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한편,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110)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입력부인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고, 출력부로 LCD, 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touch scre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but may be configured as a mouse, a keyboard, etc. as an input unit, and may separately configur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an LED as an output uni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선택 좌표 정보로부터 드래그 좌표 정보를 이용한 드래그된 방향을 분석한 뒤, 최종 드래그 좌표 정보에서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의 위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드롭 존(drop zone)(130)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드롭 존(130)은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가 로딩된 경우에 영상의 외주연 또는 외주면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analyzes the dragged direction using the drag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in the final drag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network 200. After receiving from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rough, it may b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drop zone (drop zone) 130 of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The drop zone 130 may be programmed and se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age whe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is loaded.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드롭 존(drop zone)(130)로의 분석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으로 선택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전송 대상으로 지정한 뒤, 지정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와, 선택된 영상을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로 통지한다.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designates an image transmission target for images selected by all of the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when analyzing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into the drop zone 130. After that,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notifi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and the selected images of all the designated receiving smart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드롭 존(drop zone)(130)이고, 드롭 존(130) 상에서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S1 내지 Sn)(n은 m과 같거나 다른 1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의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is a drop zone 130 of a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and the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S1 to N on the drop zone 130.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or not Sn (n is one or more natural numbers equal to or different from m).

이에,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드롭 존(drop zone)(130)이며 하나의 사용자 슬롯으로의 분석시,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를 포함하는 사용자 슬롯에 해당하는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로 선택된 영상에 대한 영상 전송 대상으로 지정한 뒤, 선택된 영상을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로 통지한다.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is a drop zone 130 of a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and receives a smart device corresponding to a user slot including a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when analyzing one drop into a user slot. After designating as an image transmission target for the selected image, the selected image is notified to the user-selected capacity collection module 324.

한편,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가 드롭 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로 재수행 통지를 전송함으로써, 드래그 앤 드롭이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의 다시 영상 선택 및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의 좌표 분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drop zone,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transmits a redo notification to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so that a preset time elapses from the point where the drag and drop occurs. The coordinate analysis of the image selection and the drag and drop event can be performed again later.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의 전체 전송 요청에 따라 구동 개시되며,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전후에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의 크기 설정 정보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창 크기 설정 정보에 비례한 화질 또는 데이터 용량으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로부터 수신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를 이용해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starts to be driven according to the entir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and drags and drops the browser before and after loading the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transmits the image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o the image quality or data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received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by requesting the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e transmitter / re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스마트폰이나 PC 화면에서 여러 화면 창에서 영상 전송을 위해 선택된 창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송 데이터와 화면 해상도(Resolution)를 크게 하여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을 전송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은 전송 데이터와 화면 해상도를 줄여서 데이터를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transmits a high-quality clear image 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data and the screen resolution (Resolution)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window selected for image transmission from multiple screen windows on a smartphone or a PC screen. Small screens transmit data by reducing the transmission data and screen resolution.

그리고,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관리자가 작은 화면의 사용자를 좀더 선명하게 접속한 사람에게 보여 주고자 할 경우에는 작은 화면은 손이나 마우스로 누르 상태에서 끌어다 큰 화면에 놓으면 자동으로 고화질의 해상도로 자동으로 변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dministrator who operates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wants to show a user of a small screen to a person who is more clearly connected,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drags the small screen while pressing with a hand or a mouse. When placed on a large screen, it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high resolution.

이때, 내장된 해상도 제어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그램인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큰 화면으로 선택시 고해상도와 고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고 작은 화면일 경우에는 저해상도와 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which is a program for internal resolution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transmit high resolution and high capacity data when selecting a large screen, and to transmit low resolution and low capacity data in a small screen. .

자동용량 설정모듈(323a)은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로부터 수신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 및 선택된 영상을 수신하고, 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전후에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의 크기 설정 정보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창 크기 설정 정보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계(제 1 내지 제 L 단계, L은 2 이상의 자연수)별 용량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창 크기 설정 정보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로는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구현하는 창의 최소화 단추에 대한 입력에 따라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을 현재의 입출력부(110) 상에서 인식할 수 없는 경우나 최대화 단추에 대한 입력에 따라 입출력부(110) 상에서 최대 픽셀 크기를 갖도록 특정이 가능하나, 전송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The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and selected images of all receiving smart device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and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song smart device 100. If the size of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indow setting information is requested to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before and after image loading, and the received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cannot be specified, the preset steps (steps 1 to L and L) May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with a data capacity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apacity of each of the two or more natural numbers). Here, when the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cannot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the input for the minimize button of the window implementing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is input. Accordingly,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can be specified to have the maximum pixel size 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window cannot be recognized on the current input / output unit 110 or the input of the maximize button. It may be the case.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은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의 부분 전송 요청에 따라 구동 개시되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각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중 드롭 존(130) 상에서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S1 내지 Sn) 중 하나로 선택된 수신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이 선택된 영상의 용량에 대해서 드롭 존(130) 상에서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S1 내지 Sn) 중 하나로 선택된 수신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로 지정된 용량 선택 사항을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용량 선택 사항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환하여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selected capacity collecting module 324 is driven in response to a partial transmission request of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and the drop zone 130 is selected among the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stored in the database 330. ),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the selected receiving user smart device as one of the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S1 to Sn. In this case, the user-selected capacity collecting module 324 stores a capacity selection designated by the receiving user smart device selected as one of the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S1 to Sn on the drop zone 130 for the capacity of the selected image. In operation 330,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switch and transmit the selected image with the extracted capacity op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loading) 이후,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다(S11).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receives an access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after loading an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 S11).

단계(S11) 이후,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로딩된 영상에 대한 선택 이후,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 중 하나의 드래그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인식한다(S12). 여기서 미리 설정된 방향은 4방향(상,하,좌,우), 8방향(상,하,좌,우,상좌,상우,하좌,하우), 그 밖의 4×k방향(k는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After the step S11,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transmits a drag control signal in one of preset directions o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after the selection of the image loaded on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Received through and recognized (S12). Here, the preset directions are 4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8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top, left,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other 4xk directions (k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Can be.

단계(S12) 이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미리 설정되 방향 중 하나와 매칭되는 드래그된 방향에 따라 드래그를 종료하는 드롭 이벤트(drop event)로 인식된 위치를 분석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수행되는 선택된 좌표(선택 좌표 정보)와 드래그되는 좌표 정보(드래그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S13).After step S12,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analyzes the network 200 to analyze the position recognized as a drop event that ends the drag according to the dragged direction matching one of the preset directions. Receives the selected coordinates (select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dragged coordinate information (drag coordinate information) performed on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rough (S13).

단계(S13) 이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분석된 위치가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의 사용자로 지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최종 드래그 좌표 정보에서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의 위치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S1 내지 Sn)(n은 m과 같거나 다른 1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의 영역에 속하지는 않지만 드롭 존(drop zone)(130)인지 여부를 분석한다(S14).After step S13,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determines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s in the final drag coordinat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analyzed position is designated as a user of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After receiving the position from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via the network 200, the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S1 to Sn of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n is one or more natural numbers equal to or different from m). It does not belong to one of the areas, but it is analyzed whether or not the drop zone (drop zone) (130) (S14).

단계(S14)에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로 지정된 것으로 판단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제 1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제 n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n) 모두를 영상 전송 대상으로 지정한 뒤,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을 구동시킨다(S15).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all of the receiving smart device users are designated,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transmits both of the first receiving smart device 400-1 to the nth receiving smart device 400-n to be transmitted. After the designation,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is driven (S15).

단계(S15) 이후,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전 창의 크기에 비례한 화질 또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자동용량 설정모듈(323a)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계별 용량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한다(S16). After the step (S15),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transmits the selected image in the image quality or data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window before transmission or corresponds to one step of the step capacity preset by the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The selected video is transmitted at the data capacity of the device (S16).

즉,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전후에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의 크기 설정 정보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창 크기 설정 정보에 비례한 화질 또는 데이터 용량으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로부터 수신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를 이용해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transmits the siz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indow to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before and after loading the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ll received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the image selected by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in the image quality or data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by request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the smart devices 400-1 to 400-m.

또한,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요청에 따라 창 크기 설정 정보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구현하는 창의 최소화 단추에 대한 입력에 따라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을 현재의 입출력부(110) 상에서 인식할 수 없거나 최대화 단추에 대한 입력에 따라 입출력부(110) 상에서 최대 픽셀 크기를 갖도록 특정이 가능하나 전송 용량을 초과시, 미리 설정된 단계(제 1 내지 제 L 단계, L은 2 이상의 자연수)별 용량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may implement a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when the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cannot be specified according to a request for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indow may not be recognized on the current input / output unit 11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inimize button of the window, or may be specified to have a maximum pixel size 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aximize button. When one or more transmission capacities are exceeded,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at a data capacity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apacities according to preset steps (first to Lth and L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

한편, 단계(S14)에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로 지정된 것이 아닌 경우,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분석된 위치가 미리 설정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로 지정 여부를 판단한다(S17). 즉,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 위치의 드롭 존(drop zone)(130)이고, 드롭 존(130) 상에서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S1 내지 Sn)(n은 m과 같거나 다른 1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의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을 통해 각 수신 사용자 슬롯과 매칭되는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를 추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designated as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 users in step S14,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nalyzed position is designated as a predetermined receiving smart device user (S17). That is,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is a drop zone 130 of a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 position, and the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S1 to Sn (n is m on the drop zone 130). A receiving smart device user matching each receiving user slot may be extracted by analyzing whether the information belongs to one or more natural numbers equal to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단계(S17)의 판단 결과, 분석된 위치가 미리 설정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단계(S12)로 회귀하도록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로 재수행 통지를 전송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 if the analyzed position is not designated as a preset receiving smart device user,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notifies the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to perform the retransmission to step S12. Send it.

한편, 단계(S17)의 판단 결과, 분석된 위치가 미리 설정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로 지정된 경우,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분석된 위치로 설정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를 영상 전송 대상으로 지정한 뒤,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을 구동시킨다(S18).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 when the analyzed location is designated as the preset smart user,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selects the received smart device set as the analyzed location as an image transmission target and then selects a user. The capacity collection module 324 is driven (S18).

단계(S18) 이후,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324)은 선택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미리 설정된 용량 선택 사항을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용량 선택 사항으로 선택된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S19).
After the step S18, the user-selected dose collection module 324 extracts the preset dose option of the selected receiving smart device from the database 330 and transmits the selected image as the extracted dose option through the network 200. (S19).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300)의 제어부(320)를 구성하는 추가 구성으로 싱크조절모듈(320a)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싱크조절모듈(320a)은 사용자 관리 모듈(321a), 넷 스튜디오 모듈(322a), SW/HW 복합 지원 모듈(323a)을 구비함으로써,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선택된 영상을 제공받은 제 1 내지 제 m 수신 디바이스 디바이스(400-1 내지 400-m)가 연동되어 싱크조절 방식으로 협업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등을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 등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모두 온라인 강사가 운영하는 단말일 수 있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mponents of the sync adjustment module 320a as an additional component that configures the controller 320 of the image data control server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sync adjustment module 320a includes a user management module 321a, a net studio module 322a, and a SW / HW composite support module 323a to display an image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e first to m-th receiving device devices 400-1 to 400-m provided are linked to the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corresponds to the target smart device, to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which have been cooperated in a synchromatic manner. In this case, both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smart device 400 may be terminals operated by an online instructor.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관리 모듈(321a)은 ID 인식 수단(321a-1), UI 동기화 수단(321a-2), 딜레이 유입 수단(321a-3)으로 구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management module 321a may be divided into an ID recognition unit 321a-1, a UI synchronization unit 321a-2, and a delay inflow unit 321a-3.

ID 인식 수단(321a-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는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인증 ID를 갖는 영상 중계 대상이 되는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 일련번호 검색을 통해 싱크 연동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The ID recognizing means 321a-1 is the first to the first to be an image relay target having the same authentication ID as that of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performing access through the network 200. m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perform sync synchronization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serial number search for the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UI 동기화 수단(321a-2)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대한 동일한 영상, 자막(수업 내용 또는 질의 내용)을 로딩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동된 싱크 개시 시간을 메타 데이터로 하여 동일한 영상, 자막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의한 동일한 영상, 자막에 따른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기준 데이터,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의한 동기화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The UI synchronizing means 321a-2 loads the same image and subtitles (class contents or query contents) of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linked to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In order to control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same video and caption information using the sync start time interworked through the network 200 as meta data,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to m The same image by the receiving smart device (400-1 to 400-m), the reference data by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ubtitles, by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 (400-1 to 400-m) Request to provide synchronization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운영하는 장치이고,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중 하나가 온라인 강의를 수행하는 온라인 강사가 운영하는 장치인 경우, 현재까지 불가능했던 이격된 거리에 있는 온라인 강사에게 동시에 선택된 영상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강의 제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동일한 강의 제출 자료 제출을 위한 사전의 동기화 데이터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is a device operated by a student taking an online lecture, and one of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performs the online lecture. In the case of the device operated by the online instructor, the lecture submission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the on-line instructor at a distance which has not been possible until now by drag-and-drop on the selected video. It may be synchronization data of a dictionar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온라인 강사가 운영하는 장치이고,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가 온라인 강의에서 동기화 데이터 또는 보조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람이 운영하는 장치인 경우, 상술한 동일한 영상, 자막은 온라인 강의 진행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일 수 있으며, 다른 목적 대상 디바이스로 기준 데이터(주 강의 데이터), 동기화 데이터(온라인 강의를 위한 보조자의 데이터로 예컨대, 전자 칠판 데이터, 음향 데이터)를 믹싱한 데이터를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is a device operated by the online instructor, and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provide synchronization data or auxiliary image data in the online lecture. In the case of a device operated by a person, the same image and subtitles described above may be scenario information for an online lecture progression, and reference data (main lecture data) and synchronization data (assistant data for online lectures) may be used for another target device. For example, data obtained by mixing electronic blackboard data and sound data) may be provided to a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is a target device.

UI 동기화 수단(321a-2)은 후술하는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에 의한 판단에 따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딜레이 발생 판단시 각 연동된 스마트 디바이스 별로 딜레이 타임을 인입하여 50ms 이하의 오차범위 내에서 동기화시켜서 동일한 영상 화면이 출력되도록 동일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I synchronization means 321a-2 is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interlocked with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by 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322a-2 described later. When determining the delay caused by any one of the delay time for each of the interlocked smart devices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and transmit the same selected video to output the same video screen by synchronizing within the error range of 50ms or less to the same video screen. have.

딜레이 유입 수단(321a-3)은 넷 스튜디오 모듈(322a)에 의해 믹싱되는 데이터에 상호 연동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중 하나에 의한 사전 딜레이 유입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믹싱 수단(322a-2)으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한 딜레이 유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lay inflow means 321a-3 is one of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interworked with the data mixed by the net studio module 322a. When receiving the pre-delay inflow request by the first, the inflow information on the video or audio may be provided to the data mixing means (322a-2).

또한, 넷 스튜디오 모듈(322a)은 딜레이 판단 수단(322a-2), 데이터 선택 수단(322a-2), 데이터 믹싱 수단(322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 studio module 322a may be divided into a delay determining unit 322a-2, a data selecting unit 322a-2, and a data mixing unit 322a-2.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동기화 데이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한 상대적인 딜레이를 판단하여 딜레이 발생시 딜레이 시간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322a-2 corresponds to reference data and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Delay relative to the digital signal to determine the delay time when the delay occurs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330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은 기준 데이터, 동기화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타입(선택된 영상이 동영상 강의와 같이 음성을 포함), 그리고 음성 타입의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에 따라 음성 인식 발생 시간을 정렬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우선 순위 중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차순위 음성 데이터 간의 딜레이 시간을 타임 라인에서 구간을 설정한 뒤, 정량적 수치인 절대적 크기 정보 1로 설정하고, 차순위 음성 데이터와 차차순위 음성 데이터 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k차순위(k는 3 이상의 자연수) 음성 데이터 간의 딜레이 시간을 상대적 수치로 연산함으로써, 후술하는 데이터 선택 수단(322a-2)에 의한 딜레이 발생 데이터를 제거시, 제거 연산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322a-2 samples the voice data among the reference data, the video type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data (the selected video includes voice as in the video lecture), and the voice type data. The priority of the received data can be determined by sorting the speech recognition occurrence time according to sampling, and the delay time between the next-order voice data is set in the timeline based on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priorities. Then, by setting the absolute magnitude information 1, which is a quantitative value, and calculating the delay time between not only the next-order voice data and the next-order voice data, but also the next-order k-order (k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voice data as a relative valu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removing delay generation data by the data selecting means 322a-2, it is possible to provide rapidity of the elimination operation. Can.

여기서,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은, 각 음성 데이터의 첫 번째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며, 각 음성 데이터의 발생 시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시 각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대한 질의 메시지 요청을 통해 첫 번째 패킷 데이터 압축지연 시간 및 첫 번째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을 인입하여 도달 우선 순위를 산정한다. 그리고,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은 첫 번째 패킷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에 대해서는 각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와의 RTT(round trip time) 측정 방식으로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Here, sampling of the voice data by 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322a-2 extracts the first packet data of each voice data, and determines each priority of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when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generation time of each voice data. The arrival priority is calculated by receiving the first packet data compression delay time and the transmission delay time of the first packet data through the query message request to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In addition, the delay determining unit 322a-2 may transmit an RTT (round) with each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delay time of the first packet data. trip time) can be obtained in advance by measuring.

데이터 선택 수단(322a-2)은 딜레이 발생 데이터를 제거한다. 즉 데이터 선택 수단(322a-2)은 딜레이 판단 수단(322a-2)에 의해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딜레이 시간에 대한 절대적 크기 정보 및 상대적 크기 정보를 활용하여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되는 기준 데이터,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서 수신되는 동기화 데이터 각각에 대한 딜레이 시간만큼의 데이터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The data selecting means 322a-2 removes delay generation data. That is, the data selection means 322a-2 is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by utilizing the absolute size information and the relative size information of the delay time measured by the delay determination means 322a-2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The dat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lay time for each of the reference data and the synchronizati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may be removed.

이후, 데이터 믹싱 수단(322a-2)은 딜레이 발생이 없는 현재의 데이터만 취합하여 싱크를 맞춘 뒤, 싱크가 맞춰진 데이터만을 목적 대상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data mixing means 322a-2 collects and synchronizes only current data without delay and transmits the synchronized data only through the network 200 to the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is the target device.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control.

또한, 데이터 믹싱 수단(322a-2)은 싱크가 맞춰진 데이터에 대해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그리고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에 대해서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mixing means 322a-2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smart device 100 and the first to mth smart devices 400-1 to 400-interlocked with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with respect to the synchronized data. For m),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rough the network 200.

SW/HW 복합 지원 모듈(323a)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생성 속도, 송수신 속도, 데이터 압축/해제 속도가 각 파라미터에 대해서 단계별로 구분되어 n(파라미터의 개수)×m(m은 각 파라미터 단계의 개수)(n,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이며, m은 각 파라미터 별로 가변적)의 셀(cell)에 매칭되어 저장된 클라우드(cloud) 기반의 각 장치별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각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400-1 내지 400-m), 대상 스마트 디바이스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미도시)의 하드웨어 특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교정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W / HW composite support module 323a corresponds to a digital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the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s 400-1 to 400-m, and a target smart device (not shown). The data generation speed,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and data compression / decompression speed are divided step by step for each parameter so that n (the number of parameters) × m (m is the number of each parameter step) (n, m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bove natural number, m is variable for each parameter, by providing a cloud-based software module for each device stored in matched with the cell (cell), each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the first to m-th reception smart The device 400-1 to 400-m may provide a software calibration process for minimizing hardwar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smart device (not shown), which is the target smart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
110 : 입출력부
120 :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
130 : 드롭 존(drop zone)
S1 내지 Sn : 제 1 내지 제 n 수신 사용자 슬롯
200 : 네트워크
300 : 영상 데이터 제어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영상 선택 전송모듈
322 : 전송 위치 설정모듈
323 : 전송 용량 설정모듈
323a : 자동용량 설정모듈
324 : 사용자 선택 용량 수집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1 내지 400-m : 제 1 내지 제 m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400g :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
100: transmission smart device
110: input and output unit
120: Drag and Drop Browser
130: drop zone
S1 to Sn: first to nth receiving user slots
200: network
300: video data control server
310: transceiver
320: control unit
321: Image selection transfer module
322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3: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4: user selectable capacity collection module
330: Database
400-1 to 400-m: first to m-th receiving smart device
400g: Receive Smart Device Set

Claims (7)

영상과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 및
선택된 영상의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을 변경하여 선택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An image selection transmitting module 321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select an image and a receiving smart device and transmit the selected image; And
A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10 to change the resolution or data capacity of the selected image and transmit it to the selected receiving smart device;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영상이 선택된 경우에 드롭 존(drop zone)(130)에 드래그하여 드롭되도록 하는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구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to implement a drag and drop browser 120 to drop by dropping the drop zone (130) when the image is selected .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 ;을 더 포함하고,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가 로딩된 경우에 영상의 외주연 또는 외주면에 드롭 존(drop zone)(130) 상에 최종 드래그 좌표 정보에서 드롭 이벤트 발생 좌표의 위치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further comprising,
Whe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is loaded, the transmission location setting module 322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drop event occurrence coordinates is in the final drag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drop zone 13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age.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은,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영상에 대한 드롭 앤 드래그가 수행되는 경우 선택된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선택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selected receiving smart device when one of the receiving smart device is selected and the drop and drag on the image is per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해상도 또는 데이터 용량을 변경이 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단계별 용량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용량으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는 자동용량 설정모듈(323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utomatic capacity setting module 323a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image at a data capacity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reset step-by-step capacities when the resolution or data capacity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is not changed;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선택 전송모듈(321)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입출력부(110) 상에서 출력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를 이용해 로딩(loading)된 영상에 대한 선택 이후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에 대한 드래그 제어 신호 인식시, 선택된 좌표(선택 좌표 정보)와 드래그되는 좌표 정보(드래그 좌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mage selection transmission module 321,
Drag control signal for a preset direction on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after selection of an image loaded using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output 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of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0 to receive the selected coordinates (selected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dragged coordinate information (drag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송 용량 설정모듈(323)은,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상으로 영상 로딩 전후에 드래그 앤 드롭 브라우저(120) 창의 크기 설정 정보를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창 크기 설정 정보에 비례한 화질 또는 데이터 용량으로, 전송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전송 위치 설정모듈(322)로부터 수신된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식별번호를 이용해 모든 수신 스마트 디바이스로 선택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기반 영상 데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capacity setting module 323,
Before and after loading the image onto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by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the siz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ag and drop browser 120 window is requested to the transmitting smart device 100 and is proportional to the received window siz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to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ll the receiving smart device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position setting module 322 in one image quality or data capacity, the transmission smart device 100 Drag and drop based image data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310).
KR1020180020670A 2018-02-21 2018-02-21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KR102067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70A KR102067206B1 (en) 2018-02-21 2018-02-21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70A KR102067206B1 (en) 2018-02-21 2018-02-21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39A true KR20190100739A (en) 2019-08-29
KR102067206B1 KR102067206B1 (en) 2020-01-15

Family

ID=6777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70A KR102067206B1 (en) 2018-02-21 2018-02-21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0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021A (en) * 2011-11-24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101491045B1 (en) * 2013-09-25 2015-02-10 주식회사 픽스트리 Apparatus and methdo for sharing cont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021A (en) * 2011-11-24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101491045B1 (en) * 2013-09-25 2015-02-10 주식회사 픽스트리 Apparatus and methdo for sharing cont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4081호 "클라이언트 신호 전송장치, 클라이언트 신호 전송에서의 종속슬롯 매핑 및 디매핑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optical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06B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238B2 (en) Video/au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confirmation capability
CN105739937B (en) Mobile terminal project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system
US98943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20190215484A1 (en) Multifunctional conferencing systems and methods
US6856346B1 (en) Camera operation apparatus
KR100784971B1 (en) Upgrade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ntrol between portable terminal
CN111049868B (en) Data interaction system and data interaction method
US8705447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US20190132613A1 (e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live broadcasting
EP1675390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US20230252043A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transmitting file between multiple terminals
US104772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CN103902288A (e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5335932A (en) Multi-channel image acquisition and splicing method and system
US20120296979A1 (en) Conference system, conferenc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for conference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US2009001948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067206B1 (en) Image and video data control system based on drag and drop, and method thereof
CN105376318A (en) Fil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8200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a direct video output feed from a selected remote device
KR20160134043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965634B (en) Offline cross-device image printing method and system and shooting device
CN110928506B (en) Data interaction system and data interaction method
KR2013008271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vatar service
US119792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US201402930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etwork camera and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