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834A -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 Google Patents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834A
KR20190097834A KR1020180017742A KR20180017742A KR20190097834A KR 20190097834 A KR20190097834 A KR 20190097834A KR 1020180017742 A KR1020180017742 A KR 1020180017742A KR 20180017742 A KR20180017742 A KR 20180017742A KR 20190097834 A KR20190097834 A KR 2019009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inding
electronic device
folde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구호
Original Assignee
이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호 filed Critical 이구호
Priority to KR102018001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834A/en
Publication of KR2019009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8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bined grip device with a holder using grip force of a strap. The combined grip device with a holder using grip force of a strap comprises: a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an electronic device or one side of a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trap bound to the support plate. The strap is bound to first and second binding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and a first folding portion in which the strap is folded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Description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Dual-purpose grip device using the grip of the strap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본 발명은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어 전자 장치의 거치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holder grip device using the grip of the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holder grip device that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carrying of the electronic device.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적용된 전자 장치가 크게 각광을 받으면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직접 입력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ve been widely used. In particula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touch screen panel is applied is greatly attracting attention,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rectly inputting on a display is used.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적용된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에 대한 입력이 디스플레이 상에 직접 입력되므로, 휴대 중 전자 장치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한 손은 전자 장치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은 터치 입력을 입력하게 된다.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touch screen panel is applied, an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is directly input on the display, so that one hand grasps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ther hand touches the touch input in order to apply an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while being carried. Will be entered.

그러나, 한 손으로만 전자 장치를 파지하는 경우, 손에서 전자 장치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전자 장치가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된다. Howev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held by only one hand, the electronic device often slips from the hand, and the problem that the electronic device falls and breaks frequently occurs.

한편, 전자 장치의 두께가 얇아 짐에 따라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것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전자 장치가 얇은 두께의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전자 장치를 거치하기 위해, 전자 장치 뒷면에 별도의 받침대를 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becomes thi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arge-area display having a thin thicknes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eparate pedestal must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electronic device in order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이에,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전자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stably and easily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is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실시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In the meantime,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s possess for deriv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한손으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거치가 용이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ombined grip device that can stably hold an electronic device with one hand, and is easy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방과 같은 수납 수단에 전자 장치를 결속시킬 수 있고, 전자 장치의 부속품들을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ombined grip device that can bind the electronic device to a storage means such as a bag, and can easily accommodate the accessories of the electronic devic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일면 또는 전자 장치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결속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스트랩은 지지판의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에 결속되고, 스트랩이 접히는 제1 접힘부는 제1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purpose grip device using the grounding force of the strap is a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trap that is tied to the support plate. The strap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fold portion in which the strap is folded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는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스트랩이 삽입되도록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late, and each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to insert the stra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결속부의 하면과 전자 장치의 일면 사이의 간격 또는 제1 결속부의 하면과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스트랩의 두께보다 0.3 내지 0.5 mm 더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may be 0.3 to 0.5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트랩은 제1 결속부를 둘러싸도록 접힘으로써, 제1 접힘부를 형성하고, 제1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스트랩의 제1 부분은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스트랩의 제2 부분에 결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rap is folded to enclose the first tie, thereby forming a first fold,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folded on the basis of the first fold is a second portion of the strap facing the first portion. Can be bound to th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트랩의 제1 부분과 스트랩의 제2 부분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 결속 수단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may be engaged by the first binding means to enable fastening and detach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트랩은 제2 결속부를 둘러싸도록 접힘으로써, 제2 접힘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rap can be folded to surround the second engagement, thereby further forming a second fol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접힘부는 제2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second bind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스트랩의 제3 부분은 스트랩의 제1 부분 또는 스트랩의 제2 부분에 결속될 수 있고, 스트랩의 제3 부분과 스트랩의 제1 부분 또는 제2 부분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 결속 수단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hird portion of the strap fold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fold can be boun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or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the third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Alternatively, the second portion may be engaged by the second binding means to enable fastening and disengag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트랩의 제3 부분과 스트랩의 제1 부분 또는 제2 부분이 결속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속품이 수납되거나, 전자 장치를 다른 수납 수단에 체결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by binding the third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first portion or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the accessory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is accommodated, or a space for fastening the electronic device to another storage means Can be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접힘부가 제1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경우, 스트랩은 지지판에 밀착되고, 제1 접힘부가 제1 결속부에 접하는 경우, 스트랩은 굴곡되며, 제1 접힘부와 전자 장치의 일면 또는 제1 접힘부와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스트랩의 굴곡은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when the first fold is drawn out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the stra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and when the first fol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inding portion, the strap is bent and the first fold is Flexure of the strap may be maintained by friction between the part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first fold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로 인한 전자 장치의 두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거치 및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due to the dual-purpose grip device, it can facilitate the mounting and gripping of the electronic device .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자 장치를 가방과 같은 별도의 수납 수단에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부속품의 수납이 용이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bind the electronic device to a separate storage means such as a ba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accessories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스트랩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late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artially opened strap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100)는 전자 장치(10) 또는 전자 장치(10)와 결합된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10)의 그립을 용이하게 하고, 전자 장치(10)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휴대가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ual grip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10 or a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to facilitate grip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It is a means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10). Here, the electronic device 10 is a portable device having a display and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lectronic device 10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ase where the smartphone is used.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100)는 지지판(110) 및 스트랩(140)을 포함한다.The dual holder grip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and a strap 140.

스트랩(140)은 지지판(110)에 결속되며, 전자 장치(10)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장치로 기능하거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기능한다. 스트랩(140)은 굴곡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트랩(140)은 가죽, 천 또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고, 지지판(110)에 밀착되거나 아치 형태로 굴곡될 수 있다. The strap 140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10, and functions as a grip device that can grip the electronic device 10 or as a cradle f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Strap 1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For example, the strap 140 may be made of leather, cloth, or rubber,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0 or bent in an arch shape.

스트랩(140)이 지지판(110)에 밀착되는 경우, 전자 장치(10) 일면에 대한 스트랩(140)의 높이는 최소화될 수 있고, 스트랩(140)과 전자 장치(10)의 전체적인 두께가 감소되어 전자 장치(10)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When the strap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0, the height of the strap 140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minimized, an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trap 14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reduced to reduce the he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10. Portable and storage of the device 10 can be facilitated.

스트랩(140)이 아치 형태로 굴곡되는 경우, 스트랩(140)과 지지판(110)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스트랩(140)의 굴곡으로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전자 장치(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When the strap 140 is bent in an arch shape, a space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strap 140 and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a space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strap 140. (10) can be grasped stably.

또한, 스트랩(140)과 지지판(14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스트랩(140)의 굴곡 형태는 유지될 수 있고, 굴곡된 스트랩(140)은 전자 장치(10)를 비스듬하게 지지해줄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의 거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t shape of the strap 140 may be maintained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trap 140 and the support plate 140, and the bent strap 140 may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 at an angle. Mounting of the device 10 can be facilitated.

지지판(110)은 전자 장치(10)의 일면 또는 전자 장치(10)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된다. 도 1에는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된 지지판(110)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판(1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The support plate 1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r one surface of a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1 illustrates a support plate 110 direct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Reference will also be made to FIG. 2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110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late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of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지지판(110)은 그 바닥면에 구비된 점착 시트에 의해 전자 장치(10)의 일면 또는 전자 장치(10)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110)은 접착제에 의해 전자 장치(10)의 일면 또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전자 장치(10)의 일면 또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결속될 수 도 있다. 점착 시트의 접착력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지지판(110)은 판 형태로 구성된다. 지지판(110)은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의 색상에 어울리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110)은 금속, 원목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upport plate 1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r one surface of a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by an adhesive she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r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by an adhesive, and one surface or prot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It may be bound to one side of the case. The support plate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sheet is sufficiently secured.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easily molded,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lors to suit the color of the electronic device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solid wood.

지지판(110)은 제1 결속부(120) 및 제2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제1 결속부(120) 및 제2 결속부(130)는 스트랩(140)과 지지판(110)을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판(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결속부(120) 및 제2 결속부(130)는 스트랩(140)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결속부(120)의 일측에는 제1 홀(H1)이 배치되며, 제2 결속부(130)의 양측에는 제2 홀(H1) 및 제3 홀(H3)이 배치된다. 스트랩(140)은 제1 홀(H1)에 삽입되어 제1 결속부(120)에 결속되며, 제2 홀(H2) 및 제3 홀(H3)에 삽입되어 제2 결속부(130)에 결속된다. 스트랩(140)과 제1 결속부(120) 및 제2 결속부(130)의 결속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The support plate 110 includes a first binding unit 120 and a second binding unit 130.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re configured to bind the strap 140 and the support plate 110, and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binding unit 130 include at least one hole to insert the strap 140. For example, the first hole H1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hole H1 and the third hole H3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binding unit 130. . The strap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H1 and bound to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H2 and the third hole H3 and bound to the second binding part 130. do.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FIG. 3 to describe in detail the binding method of the strap 140,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binding unit 130.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랩(140)의 일 단은 제1 홀(H1)에 삽입되어 제1 결속부(120)의 하부로 삽입되며, 스트랩(140)은 제1 결속부(120)를 둘러싸도록 접힌다. 스트랩(140)이 접힘으로써 제1 접힘부(141)가 형성되며, 제1 접힘부(141)는 제1 결속부(120)의 외측에 위치된다. 즉, 스트랩(140)의 일 단은 제1 홀(H1)에 삽입되어 제1 결속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제1 결속부(120)를 둘러싸도록 접힘으로써, 제1 접힘부(141)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3, one end of the strap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H1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the strap 140 surrounds the first binding part 120. Fold so that As the strap 140 is folded, a first folded part 141 is formed, and the first folded part 141 is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binding part 120. That is, one end of the strap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H1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folded to surround the first binding part 120. 141).

스트랩(140)이 접힘에 따라 스트랩(140)은 제1 접힘부(141)를 기준으로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40A)은 제1 부분(140A)과 마주하는 제2 부분(140B)에 결속되며, 제1 결속 수단(151)에 의해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은 결속된다. 이 경우, 제1 결속 수단(151)은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을 서로 체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써, 버튼, 단추, 지퍼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은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결속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As the strap 140 is folded, the strap 14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 140A and a second part 140B based on the first folded part 141, and the first part 140A and the first part 140A. The two parts 140B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ortion 140A is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140B facing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first portion 140A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140A by the first binding means 151. The second part 140B is engaged. In this case, the first binding means 151 is a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from each other, and may be configured by various means such as a button, a button, a zipper,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may be bonded or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제1 결속부(120)의 내측에는 제1 홀(H1)이 배치되며, 제1 결속부(120)의 외측은 개방되어 있다. 제1 접힘부(141)는 제1 결속부(12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결속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접힘부(141)가 제1 결속부(120)의 외측으로 최대한 인출되는 경우 스트랩(140)은 전자 장치(10)의 일면으로 밀착된다. 반면, 제1 접힘부(141)가 제1 결속부(120) 측으로 근접하는 경우, 스트랩(140)은 아치 형태로 굴곡되며, 스트랩(140)과 지지판(11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제1 접힘부(141)와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은 스트랩(140)의 굴곡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므로, 스트랩(140)은 굴곡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hole (H1)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inding portion 120, the outsid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120 is open. The first folded part 141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first binding part 120. When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120 as much as possible, the strap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is close to the first binding portion 120 side, the strap 140 is bent in an arch shape, the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rap 140 and the support plate 110. Meanwhile, sinc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foldable part 141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bending of the strap 140, the strap 140 may maintain the curved shape.

제1 결속부(12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D)은 스트랩(140)의 두께(T)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부(12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D)은 스트랩(140)의 두께(T)보다 0.3mm 내지 0.5mm 더 클 수 있다. 만약, 제1 결속부(12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D)과 스트랩(140)의 두께(T)의 차이가 0.3mm 보다 작은 경우, 스트랩(140) 제1 결속부(12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인출되지 못할 수 있고, 스트랩(140)을 굴곡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1 결속부(12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D)과 스트랩(140)의 두께(T)의 차이가 0.5mm보다 더 큰 경우, 제1 결속부(120)가 지지판(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많이 이격되므로, 스트랩(14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밀착되었을 때, 스트랩(140)에 미세한 굴곡이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An interval 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strap 140. In detail, the distance 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0.3 mm to 0.5 mm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strap 14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thickness T of the strap 140 is smaller than 0.3 mm, the strap 140 may be first. It may not be easy to withdraw based on the binding unit 120, it may be difficult to bend the strap 140. 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thickness T of the strap 140 is greater than 0.5 mm, the first binding unit ( Since the 120 is spaced too fa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when the strap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inute bending may be formed in the strap 140, which is not preferable.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지지판(110)은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1 결속부(120)의 하면과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스트랩(14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there is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support plate 1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a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140.

한편, 스트랩(140)의 타 단은 제2 홀(H2)에 삽입되어 제3 홀(H3)로 인출되며, 스트랩(140)은 제2 결속부(130)를 둘러싸도록 접힌다. 스트랩(140)이 접힘으로써 제2 접힘부(142)가 형성되며, 제2 접힘부(142)는 제2 결속부(130)의 외측에 위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strap 1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H2) and withdrawn to the third hole (H3), the strap 140 is folded to surround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 second folded portion 142 is formed by folding the strap 14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is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binding portion 130.

스트랩(140)이 접힘에 따라 스트랩(140)은 제2 접힘부(142)를 기준으로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은 제1 접힘부(141)를 기준으로 접히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140C)의 일 부분은 제1 부분(140C)과 부분적으로 포개진다. As the strap 140 is folded, the strap 140 may be divided into a third portion 140C and a second portion 140B based on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The two parts 140B face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ortion 140A of the strap 140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as shown in FIG. 3, one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140C is the first portion 140C. ) And partially overlapped.

제3부분(140C)은 제3부분(140C)과 마주하는 제2 부분(140B) 및 제1 부분(140A)에 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3 부분(140C)은 제2 결속 수단(152)을 통해 제2 부분(140B)과 결속되고, 제3 결속 수단(153)을 통해 제1 부분(140A)과 결속된다. 이 경우, 제2 결속 수단(152) 및 제3 결속 수단(153)은 제3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및 제3부분(140C)과 제1부분(140A)을 서로 체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제1 결속 수단(151)과 같이 버튼, 단추, 지퍼 등 다양한 결속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및 제3 부분(140C)과 제1 부분(140A)은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결속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The third portion 140C is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first portion 140A facing the third portion 140C. Specifically, the third portion 140C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rtion 140B through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and is coupled with the first portion 140A through the third binding means 153. In this case,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and the third binding means 153 fasten the third part 140C and the second part 140B and the third part 140C and the first part 140A to each other. As a means that can be separated or separated,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binding means such as a button, a button, a zipper, like the first binding means 15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portion 140C,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first portion 140A may be bonded or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한편, 제2 결속부(130)의 외측에는 제3 홀(H3)이 배치되며, 스트랩(140)은 제3 홀(H3)의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홀(H3)의 측면은 스트랩(140)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지 턱으로 작용하며, 제2 결속부(130)의 외측에서 스트랩(140)의 움직임은 최소화된다. 즉, 스트랩(14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밀착되는 경우, 스트랩(140)은 제3 홀(H1)의 측면에 접할 수 있고, 제2 결속부(130)의 외측으로 스트랩(140)의 제2 접힘부(142)가 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 결속부(130)의 외측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힘부(142)의 인출이 최소화됨에 따라 스트랩(140)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가리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hole (H3)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inding unit 130, the strap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hird hole (H3).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hole H3 serves as a prevention jaw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strap 140, and the movement of the strap 140 is minimized outside the second binding unit 130. That is, when the strap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strap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hole H1, and the strap 1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inding part 130. Pulling out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of the) can be minim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mposed of a smart phone, the camera of the smart phone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nd as the withdrawal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is minimized, the strap ( 140 may minimize the problem of covering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속부(130)의 내측에는 제2 홀(H2)이 배치되고, 제2 결속부(130)의 외측은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결속부(130)의 외측에는 스트랩(140)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지 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접힘부(142)는 제2 결속부(13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트랩(140)이 전자 장치(10)의 일면에 밀착되는 경우, 스트랩(140)의 제1 접힘부(141)는 제1 결속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스트랩(140)의 제2 접힘부(142)는 제2 결속부(13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hole H2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binding unit 130 may be opened.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prevention jaw that suppresses movement of the strap 140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inding part 130, the second folded part 142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second binding part 130. Can be. That is, when the strap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first folded part 141 of the strap 140 is drawn out of the first binding part 120, and the strap 140 of the strap 140 is closed. The second folded part 142 is drawn out of the second binding part 130.

제1결속부(120)와 동일하게 제2 결속부(13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스트랩(140)의 두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부(130)의 하면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스트랩(140)의 두께보다 0.3mm 내지 0.5mm 더 클 수 있다. Like the first binding unit 120,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140. In detail,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unit 13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0.3 mm to 0.5 mm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140.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지지판(110)은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2 결속부(130)의 하면과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스트랩(14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there is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support plate 1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a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inding unit 130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140.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스트랩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artially opened strap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of FIG. 3.

도 4a를 참조하면, 제2 결속 수단(152) 및 제3 결속 수단(153)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된 경우, 스트랩(140)의 제3 부분(140C)은 제1부분(140A) 및 제2 부분(140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사이의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second fastening means 152 and the third fastening means 153 are constituted by means of fastening and detaching, the third part 140C of the strap 140 may be the first part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may be opened.

제2 결속 수단(152)은 제1 부재(152A) 및 제2 부재(15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152)의 제1부재(152A)는 스트랩(140)의 제3 부분(140C)에 결합되고, 제2결속 부재(152)의 제2 부재(152B)는 스트랩(140)의 제2 부분(14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재(152A)는 제2 부재(152B)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may be composed of a first member 152A and a second member 152B. The first member 152A of the second binding member 152 is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140C of the strap 140, and the second member 152B of the second binding member 152 is of the strap 1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140B. In this case, the first member 152A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member 152B.

한편, 제3 결속 수단(153)은 제1 부재(153A) 및 제2 부재(153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결속 수단(153)의 제1 부재(153A)는 스트랩(140)의 제3 부분(140C)에 결합되고, 제3 결속 수단(153)의 제2 부재(153B)는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재(153A)는 제2 부재(153B)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binding means 153 may be composed of a first member 153A and a second member 153B. The first member 153A of the third fastening means 153 is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140C of the strap 140, and the second member 153B of the third fastening means 153 is of the strap 140. 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140A. In this case, the first member 153A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member 153B.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결속 수단(151)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된 경우,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은 제2부분(140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 사이의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first binding means 151 is constituted by means of fastening and detaching, the first portion 140A of the strap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first portion 140A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portion 140B. The space between portion 140A and second portion 140B may be open.

제1 결속 수단(151)은 제1 부재(151A) 및 제2 부재(15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151)의 제1부재(151A)는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에 결합되고, 제1결속 부재(151)의 제2 부재(151B)는 스트랩(140)의 제2 부분(14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재(151A)는 제2 부재(151B)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binding means 151 may be composed of a first member 151A and a second member 151B. The first member 151A of the first binding member 151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140A of the strap 140, and the second member 151B of the first binding member 151 is of the strap 1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140B. In this case, the first member 151A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econd member 151B.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랩(140)이 굴곡되는 경우, 스트랩(140)과 지지판(11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격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전자 장치(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140)이 굴곡됨에 따라 스트랩(140)의 제1 접힘부(141)는 제1 결속부(120)의 하부에서 전자 장치(10)의 일면과 접하게 되며, 제2 접힘부(142)는 제2 결속부(130)의 하부에서 전자 장치(10)의 일면과 접하게된다. 스트랩(140)의 제1 접힘부(141) 및 제2 접힘부(142)와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은 스트랩(140)의 굴곡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므로, 스트랩(140)의 굴곡은 유지될 수 있고, 스트랩(140)의 굴곡된 형상은 전자 장치(10)의 지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strap 140 is bent,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rap 140 and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user easily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separation space. can do. Meanwhile, as the strap 140 is bent,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of the strap 140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under the first bind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under the second binding unit 130.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fold 141 and the second fold 142 of the strap 14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bending of the strap 140, Flexion may be maintained and the curved shape of the strap 140 may function as a sup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us, as shown in FIG. 5,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stably supported.

한편, 스트랩(140)의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이 제2 결속 수단(152)에 의해 결속됨에 따라,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 안에 전자 장치(10)의 부속품(20)들이 수납되거나, 전자 장치(10)가 다른 수단에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사이의 공간에는 이어폰, 충전 케이블 등과 같은 스마트폰용 부속품(20)들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 수단(152)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2 결속 수단(152)을 분리한 후, 스트랩(140)을 가방과 같은 다른 수납 수단의 끈을 삽입하고, 제2 결속 수단(152)을 다시 체결함으로써 전자 장치(10)를 다른 수납 수단에 결속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of the strap 140 are bound by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is provided. The accessory 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stored in the space, or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bound to another means.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figured as a smartphone, smartphone accessories 20 such as earphones and a charging cable may be stored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hav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detached, after removing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the strap 140 is inserted into a strap of another storage means such as a bag, By refastening the second binding means 152,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bound to another storage means.

또한, 스트랩(140)의 제1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이 제1 결속 수단(151)에 의해 결속됨에 따라,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 안에 전자 장치(10)의 부속품(20)들이 수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of the strap 140 are bound by the first binding means 151,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is provided. Is formed, and the accessories 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stored in the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겸용 그립 장치는 지지판(110)의 제1 결속부(120) 및 제2결속부(130)에 결속되는 스트랩(140)을 포함한다. 스트랩(140)은 굴곡되어 전자 장치(10)의 파지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사용자는 스트랩(140)의 굴곡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전자 장치(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al support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p 140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b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binding unit 130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strap 140 may be bent to form a space for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user may stably hold the electronic device 10 by inserting a finger into a space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strap 140. .

또한, 스트랩(140)과 전자 장치(10)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은 스트랩(140)의 굴곡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며, 스트랩(140)의 굴곡된 형태는 전자 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가 요구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trap 14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bending of the strap 140, the curved shape of the strap 140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function. Thus, no additional cradle f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is requir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겸용 그립 장치는 스트랩(140)이 제1 접힘부(141) 및 제2 접힘부(142)에서 접히며, 스트랩(140)이 접힘에 따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40)의 접힘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는 전자 장치(10)에서 사용되는 이어폰 또는 케이블 등과 같은 부속품(20)이 수납될 수 있으므로, 부속품(2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dual support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140 is folded in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the space is formed as the strap 140 is folded Can be. Since the accessory 20, such as an earphone or a cable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olding of the strap 14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ccessory 20 is easily stored and carried.

또한, 스트랩(140)이 접힘으로써 구분되는 부분들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이 경우, 체결 수단을 분리함으로써 스트랩(140)의 접히는 공간을 개방할 수 있으며, 개방된 공간에 가방 끈 등을 삽입한 후, 체결 수단을 다시 체결함으로써, 전자 장치(10)가 가방 등과 같은 별도의 수납 수단에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s separated by folding the strap 140 are boun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detached. In this case, the folding space of the strap 140 can be opened by separating the fastening means, and after inserting a bag strap or the like into the open space and re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separate It can be easily bound to the receiving means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의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와 비교하여 스트랩(140)의 제3 부분(140C)이 제2 부분(140B)에만 결속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holder grip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combined grip device of FIG. 6 shows that the third portion 140C of the strap 140 is coupled to only the second portion 140B as compared to the cradle combined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same as the dual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제1접힘부(141)를 기준으로 스트랩(140)이 접혀짐에 따라 스트랩(140)은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으로 구분된다. 제1 부분(140A)은 제2 부분(140B)과 마주보며,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은 제1 체결 수단(651)에 의해 결속된다. 이에,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strap 140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ed portion 141, the strap 140 is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140A and a second portion 140B. The first portion 140A faces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are bound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651. Thu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제1 결속 수단(651)은 버튼, 단추 등과 같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속 수단(651)이 분리되는 경우, 제1 부분(140A)과 제2 부분(140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The first binding means 651 may be composed of means capable of fastening and detaching, such as a button and a button. When the first binding means 651 is separate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may be opened.

한편, 제2 접힘부(142)를 기준으로 스트랩(140)이 접혀짐에 따라 스트랩(140)은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으로 구분된다. 제3 부분(140C)은 제2 부분(140B)과 마주보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은 제2 체결 수단(652)에 의해 결속된다. 이에,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Meanwhile, as the strap 140 is 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ed portion 142, the strap 140 is divided into a third portion 140C and a second portion 140B. The third portion 140C faces the second portion 140B, and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are bound by the second fastening means 652. Thu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제2 결속 수단(652)은 버튼, 단추 등과 같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수단(652)이 분리되는 경우, 제3 부분(140C)과 제2 부분(140B) 사이의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The second binding means 652 may be composed of means capable of fastening and detaching, such as a button, a button, and the like. When the second binding means 652 is separated,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can be ope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는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 및 제3 부분(140C)이 서로 포개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제1 부분(140A)은 제1 결속 수단(651)에 의해 제3 부분(140C)은 제2 결속 수단(652)에 의해 스트랩(140)의 제2 부분(140B)에 결속된다. 이 경우,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 및 제3 부분(140C) 각각은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third portion 140C of the strap 140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rtion 140A includes the first binding means. By 651 the third portion 140C is bound to the second portion 140B of the strap 140 by the second binding means 652.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third portion 140C of the strap 140 forms an independent space.

사용자는 스트랩(140)의 제1 부분(140A) 및 제2 부분(140B)이 형성하는 제1 공간과 제3 부분(140C) 및 제2 부분(140B)이 형성하는 제2 공간을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은 전자 장치(10)에 사용되는 이어폰, 케이블 등의 부속품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2 공간은 전자 장치(10)를 가방 등과 같은 별도의 수납 수단에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결속 수단(652)을 분리하여 제2 공간을 개방하고, 제2 공간에 가방 끈 등을 삽입한 후, 제2 결속 수단(652)을 다시 체결함으로써, 전자 장치(10)가 가방에 결속될 수 있다. The user independently utilizes the first space formed by the first portion 140A and the second portion 140B of the strap 140 and the second space formed by the third portion 140C and the second portion 140B. Can be. For example, the first space may be used as a space in which accessories such as earphones and cables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are stored, and the second space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means such as a bag. Can be used for fastening purposes. In this case, the second binding means 652 is opened to open the second space, a bag strap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binding means 652 is fastened again, thereby ca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 to be reconnected. Can be bound to the bag.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의 부속품
100: 지지대 겸용 그립 장치 110: 지지판
120: 제1 결속부 130: 제2 결속부
140: 스트랩 140A: 스트랩의 제1 부분
140B: 스트랩의 제2 부분 140C: 스트랩의 제3 부분
141: 제1 접힘부 142: 제2 접힘부
151, 651: 제1 결속 수단 152, 652: 제2 결속 수단
153: 제3 결속 수단
10: electronic device 20: accessorie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grip support device 110: support plate
120: first binding unit 130: second binding unit
140: strap 140A: first portion of the strap
140B: second part of the strap 140C: third part of the strap
141: first folded portion 142: second folded portion
151, 651: first binding means 152, 652: second binding means
153: third binding means

Claims (10)

전자 장치의 일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결속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지지판의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에 결속되고,
상기 스트랩이 접히는 제1 접힘부는 상기 제1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A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or one surface of a protective cas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trap that is bound to the support plate,
The strap is bound to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 first folding part in which the strap is folded, configured to be drawn out of the first binding part, and using a grip force of a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inding part and the second binding part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late, and each of the first binding part and the second binding part includes at least one hole so that the strap is inserted, using a traction force of the strap Combined grip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의 하면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제1 결속부의 하면과 상기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스트랩의 두께보다 0.3 내지 0.5 mm 더 큰,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is 0.3 to 0.5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p, using a holding force of the strap Combination gr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제1 결속부를 둘러싸도록 접힘으로써, 상기 제1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기 스트랩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상기 스트랩의 제2 부분에 결속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ap is folded to surround the first binding portion, thereby forming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a first portion of the strap that is folded relative to the first fold portion is coupled to a second portion of the strap that faces the firs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2 부분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 결속 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are engaged by a first engagement means to enabl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제2 결속부를 둘러싸도록 접힘으로써, 제2 접힘부를 더 형성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trap is folded to enclose the second binding portion, thereby further forming a second fold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제2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second folding part configur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ind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기 스트랩의 제3 부분은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2 부분에 결속되고,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 결속 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third portion of the strap that is folded about the second fold portion is boun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strap or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third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first portion or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are engaged by a second engagement means to enabl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제3 부분과 상기 스트랩의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이 결속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속품이 수납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를 다른 수납 수단에 체결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By binding the third portion of the strap and the first portion or the second portion of the strap, an accessory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is accommodated, or a space is formed for fastening the electronic device to another storage means. Grip device using the grip of th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가 상기 제1 결속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스트랩은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접힘부가 상기 제1 결속부에 접하는 경우, 상기 스트랩은 굴곡되며,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일면 또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보호 케이스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의 굴곡은 유지되는, 스트랩의 접지력을 이용한 거치대 겸용 그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folded portion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inding portion, the stra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When the first folded portion contacts the first binding portion, the strap is bent, and the strap is caused by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betwee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Combined grip device using the grip of the strap is maintained.
KR1020180017742A 2018-02-13 2018-02-13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KR20190097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42A KR20190097834A (en) 2018-02-13 2018-02-13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42A KR20190097834A (en) 2018-02-13 2018-02-13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834A true KR20190097834A (en) 2019-08-21

Family

ID=6780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42A KR20190097834A (en) 2018-02-13 2018-02-13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83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00B1 (en) * 2020-08-12 2021-05-27 오병기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2378091B1 (en) * 2020-12-04 2022-03-24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WO2022119373A1 (en)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00B1 (en) * 2020-08-12 2021-05-27 오병기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2378091B1 (en) * 2020-12-04 2022-03-24 주식회사 프로펠 Apparatus for holding smart phone
WO2022119373A1 (en)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7915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135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ases
US20120111881A1 (en) Protectiv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03855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20190097834A (en) Holder combined grip apparatus using frictional force of strap
US20140216954A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131392B1 (en) Protecting cover
US20120104059A1 (en) Notepad Holder
US20110299231A1 (en) Rotatabl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40034521A1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10171122B2 (en) Hand strap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14026412A (en) Jacket
KR20140094441A (en)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97363A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533129B1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379329B1 (en) Attachment for tablet devices
US20140197048A1 (en) Multiple orientatio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KR200464678Y1 (en) Tablet PC Bag
US20140084613A1 (en) Attachment for digital control of portable device
US20200363840A1 (en) Magnetic Keyboard Protective Device Covering
KR200461379Y1 (en) Tablet computer case
KR200471353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07213U (en) Cradle for Vehicle Combined Use Case of Tablet PC
WO2014148728A1 (en) B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