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236A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236A
KR20190095236A KR1020190096025A KR20190096025A KR20190095236A KR 20190095236 A KR20190095236 A KR 20190095236A KR 1020190096025 A KR1020190096025 A KR 1020190096025A KR 20190096025 A KR20190096025 A KR 20190096025A KR 20190095236 A KR20190095236 A KR 2019009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water purifier
light
ro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5236A/en
Publication of KR2019009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which has a small size and a compact internal configuration, and which can rotate a water outlet unit from which water is drawn out. The water purifier comprises: a front cover; a case; an operating unit; and a rotator.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ater purifiers are widely used for home use as a mechanism for filtering impurities to remove impurities.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household water purifier, it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remove suspended substances or harmful components in the tap water by using a filter, and it is configured to purify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Such household water purifiers are available in a variety of products that can take hot water and cold water as well as purified water.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that are small in siz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38011803 is provided with a wate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water i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unit, the water extrac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unit and rotated by a set angle is disclosed to be able to combine again. The water purifier having such a structure allows the user to separate and recombine the water outlets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ater outlets can be changed to the set position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water purifi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irst,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ater extraction uni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unit to change its position and then recombin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coupling portion may occur during the repeated separation coupling process of the water extraction.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water outlet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leakage may occur when damage is caused to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pa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water outlet. In addition, the repetitive rotation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may cause damage to the water outlet tube or the fitting portion to which the water outlet pipe is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a leak.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is determined by the groov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main unit. Therefore, the water extraction unit can be located only in the set position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located at any point.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설치 공간에 제약을 적게 받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is small in size and compactly configured and which is less constrain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하여 상기 정수기의 전체적인 크기와 형상을 컴팩트하게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makes the overall size and shape of the water purifier compact by efficiently arranging a structure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and hot water disposed inside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기능별로 모듈화되고 컨트롤 베이스 상의 지정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여 부품과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옵션을 가지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various options without changing parts and structures by allowing the PC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to be modularized for each function and mounted at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control base.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수 냉각시 소비전력이 개선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when cooling cold water using an inverter-type compressor.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정수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efficiently cooling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provided ins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compact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사용자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 water extraction portion from which water is taken out is rotated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a user to improve us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부의 위치를 회전 조작하여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rotating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에도 배관이 꼬이거나 피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prevent the pipe from being twisted or the fitting damaged even after repeated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본 발명의 목적은,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출수 노즐에 의해 취출되는 물의 상태 또는 물을 받기 위한 용기의 상태를 가시화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visualizing a state of water taken out by a water extraction nozzle by irradiating light downward or a state of a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 버튼을 통한 색상 가시화로 정수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 water purifier by visualizing colors through an eject button.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조작되는 취출 버튼과 접촉되는 스위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엘이디를 배치하여 누름 조작을 통한 물취출 동작의 입력과 정수기의 상태 표시가 하나의 취출 버튼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n LED is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switch in contact with a push-out operation button, and an input of water extraction operation through a push operation and a status indication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implemented in a single push-out button. It is in doing it.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르고 즉각적인 온수의 가열이 가능하며,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heating the hot water quickly and immediately, the user can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discharged.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가열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여 온수 탱크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discharges steam generated during hot water heating to prevent excessive increase in the pressure in the hot water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탱크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고르게 퍼지고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여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enables effective heating by allow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to spread evenly and slow the flow rate.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정수기의 내부에서 온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ith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heating hot water in a water purifier having a compact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의 내부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고 내부의 냉각수의 순환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ompact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ling tank and enables active circulation of the cooling water therein.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 내부의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얼음이 유동되지 않도록하여 소음을 줄이고 쿨링 탱크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prevents ice from flowing in an evaporator inside a cooling tank, thereby reducing noise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cooling tank intern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배수와 재 급수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easy to drain and rewater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cooling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조작되어 상기 취출부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akeout unit so that it can be disposed below the takeout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부의 하방에서 잔수의 집수 및 용이한 잔수의 처리가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collecting residual water and easily handling residual water from below the outlet.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에 집수된 잔수의 수위를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nvey the water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llected in a tray to a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필터와 밸브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 상기 필터 브라켓과 이격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응축기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이 냉각되는 쿨링 탱크; 상기 필터 브라켓과 상기 쿨링 탱크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 브라켓과 상기 쿨링 탱크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는 압축기;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면에 장착되는 컨트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 filter bracke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equipped with a filter and a valve; A condenser bracket provided inside the case spaced from the filter bracket and accommodating the condenser; A cooling tank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condenser bracket and configured to cool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A support plate connecting the filter bracket to the cooling tank and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the filter bracket and the cooling tank up and down; A compressor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And a control assembly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upper surface.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정수기의 바닥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응축기가 수용되는 응축기 장착부와;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쿨링 탱크의 하단이 수용되는 탱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bracket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purifier, and a condenser mounting part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nk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응축기는 다수회 절곡된 냉매 튜브들이 연속 배치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the condens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tubes bent a plurality of times are arranged in a continuous cube shape.

상기 필터 브라켓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가 함몰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의 배면에는 다수의 상기 밸브가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is reces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and a plurality of the valves are fixed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상기 필터 브라켓에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를 개폐하며,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bracket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lter mounting part, and the front cover may be provided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응축기 브라켓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support for extending the support plate is formed.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는 정수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가 더 구비되는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by induction heating.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모듈 상태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is coupled to the control assembly and is mounted to the heating assembly in a modular state.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컨트롤 베이스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컨트롤 베이스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유도가열 피시비와;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기와 밸브를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컨트롤 베이스의 다른 일 면에 장착되며, 상기 유도 가열피시비와 상기 메인 피시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피시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assembly includes a control base; An induction heating PCB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ontrol base fac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and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A main PCB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induction heating PCB is mounted and controlling the compressor and the valve; It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b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PCB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duction heating PCB and the main PCB.

상기 컨트롤 베이스의 상단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엔에프시 피시비가 구비되며,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NFC receiver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rol base, and the NFC receiver is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컨트롤 베이스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와, 유도 가열 피시비 그리고 전원 공급 피시비를 각각 차폐하는 다수의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b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vers that shield the main PCB, the induction heating PCB, and the power supply PCB.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r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verter compresso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의 저면을 형성하며, 흡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압축기; 상기 베이스에 상기 압축기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응축기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증발기가 구비되어 냉수를 만드는 쿨링 탱크; 상기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응축기 브라켓과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리어 커버;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지나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쿨링 팬;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the suction port is formed; A compressor mounted to the base; A condenser bracket mounted on the bas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pressor and accommodating a condenser; A cooling tank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and provided with an evaporator to make cold water; A rear cover forming an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enser bracket; And a cooling fan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nd allowing air flowed through the inle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er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베이스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이격시키는 레그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는 베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extends downward and is provided with a leg separating the bottom of the base from the ground on which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nd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se.

상기 압축기는 상기 흡입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r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압축기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 장착되도록 돌출되는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rtion protruding so that the compressor is mount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상기 마운팅 부에는 상기 압축기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is fastened to the screw for fixing the compressor is arranged by insert injection.

상기 응축기 브라켓에는 상기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 장착부는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입구가 개구되고 및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출구가 개구되어 냉각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bracket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mount for accommodating the condenser, and the condenser mou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opened toward the compressor and the outlet is ope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to guide the flow of cooling air.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출구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개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ort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pening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상기 쿨링 팬은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ling fan is mounted to shield the inle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상기 응축기 장착부에 형성된 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쿨링 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oling fan through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 장착부와 대응하는 큐브 형상으로 외관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shape is formed in a c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 형상의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서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 노즐이 구비되는 출수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어 출수를 위한 취출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로테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And,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ircular rotator rotatably mounted in the case; A water extraction unit protruding from the rotator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water extraction; And an operation unit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 takeout button for water extraction, connected to the rotato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or.

상기 케이스는 정수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로테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격 배치되는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may include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ront cover may include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rotator interposed therebetween.

필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필터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로테이터의 일측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지는 회전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bracket extends up and down inside the case so that the filter is mounted, and a filter bracket for supporting the rotator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bracket maintains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tator and guides rotation of the rot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guide rail having a curvature to be provided.

상기 로테이터에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장착된 오일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브라켓에는 곡률을 따라 연장되는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은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or is provided with an oil damper equipped with a pinion on the rotation shaft, the filter bracket is formed with an internal gear extending along the curv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ion is moved along the internal gear when the rotator rotates.

상기 조작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터에는 상기 회전 연결부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rotary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the rot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ring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ng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에는 중심링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링에는 상기 취출 노즐과 연결되는 출수관과 연결된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피팅되는 회전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nter ring is form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or, and the center ring is provided with a rotation tube rotatably fitted to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ejection nozzle.

상기 회전관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커넥터의 콜렛이 삽입되는 피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ry tub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collet of the connector.

상기 조작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의 상면은 출수부와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hat is lower toward the closer to the water extraction portion.

상기 출수 노즐에는, 냉수와 정수가 공급되는 출수관과 연결되는 냉정수 연결부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과 연결되는 온수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d water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with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d the hot water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is supplied with hot water, respectively.

상기 출수부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로테이터에서 연장되며, 상기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부 하우징과;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출수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extraction unit may include: a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extending from the rotator, and on whic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moun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water extraction unit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라이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라이팅 홀을 통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ghting hol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outlet part housing, and a light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outlet part housing to irradiate light downwardly through the light hol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물 취출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취출 버튼;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조작부 피시비; 상기 조작부 피시비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접촉되어 온오프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조작부 피시비 상에 구비되어 상기 취출 버튼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 버튼의 적어도 일부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는 정수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A takeout button provided in the case and operated by a user for taking out water; An operation unit PCB provided inside the case; A switch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PCB and contacted by an operation of the take-out button to be turned on and off; And an LED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PCB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take-out butt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ake-out button is formed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and the LED has light of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vestigate.

상기 조작 버튼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상기 누름부의 복귀를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의 일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누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는 상기 누름부의 타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누름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button may include a pressing unit which is move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 elastic portion cut along the peri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for return of the pressing portion;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switc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facing the contact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support that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pressing portion.

상기 누름부에는 빛이 투과되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광 투과부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ght transmitting part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s formed in the press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is formed outside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광 투과부를 따라 상기 엘이디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이 상기 광 투과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guide may further be formed along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o guide the LED to be directed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광 투과부를 차폐하는 버튼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버튼 플레이트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plate that shield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button plate may be formed to transmit light.

상기 엘이디는 상기 광 투과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D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sid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상기 엘이디는 상기 필터의 교체 주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D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상기 엘이디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상기 조작부 피시비에는 상기 정수기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부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unit PC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zzer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with a soun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정수가 통과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수회 권취되며, 상기 온수 탱크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전자기력을 방출하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상기 온수 탱크와 워킹 코일이 서로 대향되는 면에 장착되는 가열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configured to heat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wherein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comprises: a hot water tank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es; A working coil wound several times in a position facing the hot water tank and emitting electromagnetic force for induction heating of the hot water tank; A plurality of radially disposed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walking coil, a ferrite core to prevent the loss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And a heating bracket mounted on surfaces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 working coil that face each other.

상기 온수 탱크의 하단에는 정수가 유입되는 입력관이 형성되고, 온수 탱크의 상단에는 온수가 배출되는 출력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put tub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t water tank, and an output tube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상기 입력관에는 커넥터가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체크밸브와 물이 공급되는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개폐되는 엔드 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input tube,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a check valve and w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is equipped with an end cap that opens and closes to drain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It is done.

상기 출력관에는 커넥터가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개방되어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세이프티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ne side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ipe to the hot water is discharge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is open when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is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safety to discharge the steam inside the hot water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is provided.

상기 세이프티 밸브의 출구에는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증기배관은 상기 정수기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정수기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am pipe for discharging steam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safety valve, and the steam pip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so as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정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어셈블리와 모듈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trol assembly and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가열 브라켓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와 이격된 상태서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결합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oss extending to b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assembly is provided.

상기 가열 브라켓에는, 상기 온수 탱크와 접하여 상기 온수 탱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 온도센서와, 상기 온수 온도센서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퓨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tank, and a fus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when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is above a set temperature. do.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며, 평면 형상의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둘레면이 접합되며,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물이 유동되는 공가능 형성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t water tank may include a first cover having a surface facing the walking coil and having a planar shape; The first cover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bon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ver which is formed in the concave-convex shape so that water flows.

상기 제 2 커버에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커버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ver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an inlet direction from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ver side.

상기 돌출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돌출부와, 상기 세로 돌출부의 양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rotrusion.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커버와 접하며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to each other by welding.

상기 코일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온수 탱크 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의 사이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마이카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co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a sheet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t water tank or the ferrite core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압축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응축기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 및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안착되며,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쿨링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 탱크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탱크 바디; 상기 탱크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탱크 커버; 상기 탱크 바디의 내측에서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탱크 바디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쿨링 코일; 상기 탱크 바디의 내측에서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며, 상기 쿨링 코일의 상방에서 상기 냉각수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쿨링 코일과 증발기가 권취된 중앙의 공간에서 회전되며, 상기 탱크 바디의 냉각수의 순환을 강제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And,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ompressor mounted inside the case; A condenser bracket mount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a condenser; And a cooling tank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and configured to cool purified water, wherein the cooling tank comprises: a tank body in which cooling water is received; A tank cove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A cooling coil wound in a coil shape inside the tank body and guiding purified wate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tank body; An evaporator wound in a coil shape inside the tank body and cooling the cooling water above the cooling coil; And a stirrer that is rotated in a central space in which the cooling coil and the evaporator are wound and forcibly circulates the cooling water of the tank body.

상기 탱크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쿨링 코일과 증발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탱크 바디의 내부를 구획하되, 냉각수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ide of the tank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coil and the evaporator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tank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allow the cooling water in and out.

상기 메쉬 부재는, 상기 탱크 바디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교반기가 관통되는 교반기 홀이 형성되는 구획부와; 상기 교반기 홀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교반기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를 구획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member may include: a partition portion which partitions the inside of the tank body up and down and has a stirrer hole through which the stirrer passes; It is formed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irrer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stirrer and the evaporator.

상기 메쉬 부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쿨링 코일의 상단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extended downwar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coil.

상기 메쉬 부재에는 상기 증발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portion protruding so that the evaporator can be seated.

상기 메쉬 부재에는 상기 증발기의 상단을 눌러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후크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ok which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evaporator is extended.

상기 탱크 바디의 저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 코일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냉각 코일의 하단과 탱크 바디의 저면을 이격시키는 코일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tank body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upport for sepa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oling coil and the bottom of the tank body is formed.

상기 교반기는 상기 증발기를 지나 상기 쿨링 코일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irr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past the evaporator to one side of the cooling coil.

상기 탱크 바디와 상기 탱크 커버의 외측면은 단열재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body and the tank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쿨링 탱크의 하부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탱크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nk mounting portion is opened upwardly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can be inserted.

상기 쿨링 탱크에는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배수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ling tank is provided with a drain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to the outside.

상기 쿨링 탱크의 저면에는 경사 또는 함몰되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 밸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of the cooling tank is inclined or recessed drain is formed, the dra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valve.

상기 배수 밸브는 냉각수의 주입을 위한 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valve may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a pipe for injection of cooling water is connected.

상기 냉각수의 주입을 위한 배관의 타단은 상기 정수기의 취출 노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쿨링 탱크를 채울 수 있도록 기설정된 양만큼의 물을 출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end of the pipe for the injection of the coolant may b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nozzl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fill the cooling tank.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취출 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 내측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취출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트레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forming an appearance; A takeout part having a takeout nozzl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taken out, which is protruded outwardly of the case and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inside of the case; A rotating ring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And a tray detachably mounted to the rotary ring and extending outward of the case.

상기 트레이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취출 노즐에서 낙하된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일부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트레이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y may include: a tray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receiving water dropped from the ejection nozzle; Remov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body, at least a portion is formed in a gril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y cover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상기 트레이 내측에는 플로터가 수용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는 플로터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플로터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인디게이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ott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tray, and a recess is formed in the tray body in such a siz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otter can be accommodated, and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tray cover to expose an upper end of the plotter.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플로터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는 플로팅부;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디게이팅 홀의 내측에 위치되는 캡; 상기 캡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캡 및 트레이 커버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인디게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인디게이터가 상기 인디게티이팅 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ater is accommodated in the depression, the floating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floating in water; A cap coupled to the floating portion and positioned inside the indication hole; It is provided below the cap, and includes an indicator formed in a different color than the cap and the tray cover, and when the tray is above the set water level, the indicator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dicator hole by the rising of the floating portion It features.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pres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ground on which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상기 출수 노즐의 수직 하방과 대응하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집수홀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ter collecting hole may be opened in the tray cover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상기 트레이에는 돌출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가 삽입되는 트레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y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ray is formed, the tray ring is formed in the rotary ring is inserted into the tray coupling portion, the tray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bottom of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라운드진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후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와 대응하는 곡률을 따라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ncludes a front cover forming a rounded front appearance, and the rear end of the base is recessed alo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ver.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기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접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for limiting rota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se of the rotary machine of the tray is formed stepped.

상기 스토퍼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 양측이 삽입되는 유동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sides of the stopper are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th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ray is inserted when the tray is rotated.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링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회전링의 내측면 접하여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extends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tating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guide portion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 냉수를 만들기 위한 압축기와 증발기 응축기 등은 물론, 쿨링 탱크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응축기의 상방에 쿨링 탱크가 배치되고,압축기와 쿨링 탱크 사이 공간에 컨트롤 어셈블리를 배치하여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형상을 컴팩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ompressor and evaporator condenser for making cold water in the water purifier, as well as having a structure having a cooling tank can have a compact structure. In particular, a cooling tank is disposed above the condenser, and a control assembly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cooling tank to efficiently use the internal space to compact the shape of the water purifi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정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모듈별로 구성되고, 컨트롤 베이스의 지정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컨트롤 베이스에 장착되는 피시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옵션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정수기 내부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B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for each module,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is mount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control b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op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PCB mounted on one control bas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models can be produc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inside the water purifier.

또한, 이러한 컨트롤 베이스는 필터 브라켓과 쿨링 탱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온수를 만들기 위한 온수 가열 유닛과 모듈 형태로 결합 장착되도록 할 수 있어 생산성과 공간 효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is control base can be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bracket and the cooling tank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and can be combined and mounted in a modular form with a hot water heating unit for producing hot water.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인버터 압축기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여 냉동 사이클을 구현하며, 이를 통해 냉수를 만들게 된다. 상기 인버터 압축기와 응축기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서 응축기를 흡입구 상에 배치하고 응축기를 응축기 브라켓 내측에 수용하며, 쿨링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응축기 전체를 지나면서 고르게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n inverter compressor,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thereby making cold water. For effective cooling of the inverter compressor and condenser, the condenser is placed on the inlet, the condens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ndenser bracket, and the air flowing by the cooling fan is cooled evenly through the condenser, effectively cooling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You can do it.

또한, 흡입구를 베이스에 형성하고 베이스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면서 동시에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base and the bas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suction po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 make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출수 노즐이 구비되는 출수부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로테이터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의 변경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protruded,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or.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change to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상기 출수부의 회전에 의해 다양한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적절한 위치로 상기 출수부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extraction unit can be used by moving the water extraction unit to an appropriate posi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due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출수부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회전 되도록 구성되어 출수 되는 위치에서의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extraction unit is rotated, the op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to allow easy operation at the water extraction position, and the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출수부에는 라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출수 노즐에 의한 물 취출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ight can easily identify the state of water extraction by the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more convenient to us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에 회전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에는 출수관과 연결되는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피팅되는 회전관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에도 배관이 꼬이거나 피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ring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or, the rotary ring is provided with a rotary tube rotatably fitted to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In addition, the rotary tube is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twisted or damaged by the repeated rotation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숙기는 취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출수가 가능함은 물론, 취출 버튼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투과되어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없이도 필터의 교환 상태나 취출되는 물이 온수, 냉수 또는 정수 인지와 같은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qui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harged by pressing the take-out button, and can transmit the light of various colors through the take-out button to indicat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filter is replaced or whether the water taken out is hot water,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without a separate display.

또한, 하나의 취출 버튼에서 스위치의 누름 조작과 엘이디의 빛 투과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도 스위치와 엘이디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하나의 구성을 통해 조작과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light transmission of the LED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at one ejection button, the switch and the LED are designed to be positioned at position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n operation and display of information through a single configuration. .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판상의 온수 탱크를 통과하는 물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온수의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온수 탱크를 통과하는 동안 온수 가열이 가능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온수의 취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heat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of the plate by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hot water can be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so that immediate hot water is taken out. There is a possible advantage.

또한, 유도 가열 방식의 특성상 워킹 코일의 출력 조절을 통해서 가열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다양한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performan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thus it is possible to take out hot water at various temperatures set by the us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온수 탱크의 출력관의 분지된 일측에 세이프티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 가열 중 증기의 발생으로 인한 압력 상승시 상기 세이프티 밸브를 통해 증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기로 인한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온수 가열 성능의 향상은 물론 상기 온수 탱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valve is provided on the branched side of the output pipe of the hot water tank so that steam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afety valve when the pressure rise due to the generation of steam during the hot water heating.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pressure increase due to steam,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durability of the hot water tank as well as improving hot water heating performan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에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 경로가 분지되어 상기 온수 탱크 전체에 고르게 물이 유동될 수 있으며,돌출부와의 충돌에 의해 유속이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의 전체에 분포되는 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유속의 감소로 상기 온수 탱크 내부 잔류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온수의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side the hot water tank, and the flow path of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branched by the protrusions so that the water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hot water tank. This can flow, and the flow velocity is slowed by the collision with the protru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enly heat the water distributed throughout the hot water tank,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ore efficient heating of the hot water is possible as the residence time in the hot water tank in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flow rat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의 내부에 냉각을 위한 정수가 유동되는 쿨링 코일을 권취하여 배치하고, 상기 쿨링 코일의 상방에 증발기를 권취하여 배치하며 내부에 냉각수를 채워 상기 쿨링 코일을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 효과적인 정수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coil in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in the cooling tank flows and is arranged, the evaporator is wound up and disposed above the cooling coil and filled with the cooling water therein It cool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coil. Therefore, the cooling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is compactly constructed.

또한, 상기 쿨링 코일과 증발기의 권취된 내측 영역에 교반기가 배치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순환을 보다 활성화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을 통과하는 정수의 냉각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irrer is arranged in the wound inner region of the cooling coil and the evaporator to further activate the circulation of the cooling water and thus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coi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의 내부에 증발기와 쿨링 코일 그리고 교반기가 배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메쉬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메쉬 부재에 의해 냉각수는 유동되지만 상기 증발기에서 결빙된 얼음은 교반기나 쿨링탱크 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얼음의 충돌에 의한 소음 또는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sh member that partitions an area in which an evaporator, a cooling coil, and an agitator are disposed in the cooling tank. Cooling water is flowed by the mesh member, but the ice frozen in the evaporator does not flow to the stirrer or cooling tank, thereby preventing noise or breakage of the internal structure due to the collision of i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에 구비되는 배수 밸브에 의해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탱크 내부에 냉각수를 재급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밸브를 배수 밸브와 취출 노즐에 연결하고 기 설정된 양만큼의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배수와 재급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oling water by the drain valve provided in the cooling tank. Therefore,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and in order to replenish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tank, the service valve can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and the extraction nozzle and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ooling water.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draining and rewatering the cooling water becomes eas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회전 조작되는 취출부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 조작될 수 있는 트레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취출부를 특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그 수직 하방에는 트레이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고 잔수를 받을 수도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y that can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ake-out portion to be rotated. Therefore, even if the take-out portion is rotated at a specific angle, the tray can be disposed below the vertical,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eated and the remaining water can be receiv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집수홀이 형성되어 집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잔수의 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ray cover is formed in a grill shape, or the collection hole is formed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And the tray has a removabl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easy processing of the residual water.

또한, 상기 트레이 내측에는 플로터가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는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상기 트레이 커버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알리게 된다. 특히, 상기 플로터의 인디게이터가 노출되는 경우 설정수위 이상으로 트레이의 잔수를 비워야됨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otter is formed inside the tray, and the plotter ris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is exposed to the tray cover to notify the user of the water level of the tray. In particular, when the indicator of the plotter is expo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form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ray should be emptied above the set water level,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쿨링 탱크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수 밸브를 통해 냉각수를 배수하고, 배수 밸브와 출수 노즐을 서비스 배관으로 연결한 후 냉각 수 교체 모드로 설정을 변경한 후 출수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쿨링 탱크를 채울 수 있는 설정된 유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설정 유량의 공급 완료후 정상 운전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에 냉각수를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쿨링 탱크 내부를 청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valve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tank is assembled, and the drain valve and the outlet nozzle are connected to the service pipe and then set to the coolant replacement mode. After making the change, the water is manipulated. In this opera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of a set flow rate to fill the cooling tank, and return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after the supply of the set flow rate is completed. Therefore, the user can replace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in a simple manne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keeping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탑 커버와 필터 브라켓 및 베이스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탑 커버 및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취출 버튼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취출 버튼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스위치 엘이디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취출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부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밸브의 배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출수부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정수기의 히팅 및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정수기의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온수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25-25'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정수기의 컨트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정수기의 쿨링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쿨링 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30-30'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메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32-32' 단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정수기의 배수 밸브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에 압축기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7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상기 정수기의 응축기 브라켓과 송풍팬 그리고 응축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상기 정수기의 냉각 공기 유동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42는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3은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4는 상기 정수기의 냉각수 교체 작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5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6은 상기 정수기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top cover, the filter bracket and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unit and the top cover combined state seen from below.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extraction button of the said water purifier from the upper sid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out button viewed from below.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lighting state of the switch LED of the said water purifier.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ject butt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of the water purifier viewed from above.
12 is a headquarters view of the rotator from below.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of the said water purifier.
14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side the rotator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bracket of the water purifier.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rotator.
17 is a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valve mounted on the filter bracket from the rear;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purifier.
1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nd control module of the water purifier.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viewed from the front.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viewed from the rear;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24 is a front view of the hot water tank.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5-25 'of FIG. 24.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assembly.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tank of the water purifier.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tank.
3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30-30 'of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sh member.
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2-32 'of FIG. 28.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of the water purifier.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3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36 is a view illustrating a compressor bracket mounted on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tray.
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ray of the water purifier.
Fig. 39 is a view showing the full water level state of the tray.
4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denser bracket, the blower fan, and the condenser of the water purifier.
Fig. 4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air flow of the water purifier.
4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path of water in the water purifier.
Fig. 4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water purifier.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water replacement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4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46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inventions which are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are easily provided. I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1)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슬림하고 컴팩트한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narrow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water purifier 1 has a slim appearance and a compact shape as a whole.

상기 정수기(1)의 외형은 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쿨링 팬 커버(12), 베이스(13)와 탑 커버(14)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패널(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ternal shape of the water purifier 1 may be formed by the case 10. The case 10 includes a front cover 11 forming a front appearance, a rear cover 12 forming an exterior of a rear surface, a base 13 forming a bottom surface, a top cover 14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s. It consists of the side panels 15 which form both sides. The front cover 11, the cooling fan cover 12, the base 13, the top cover 14, and the pair of side panels 15 may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

상기 정수기(1)의 전면에는 출수부(20)가 배치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노즐(25)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1. The water extraction portion 2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front cover 11, the purifi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protruding downward.

상기 프론트 커버(11)는 어퍼 커버(111)와 로어 커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와 로어 커버(112)의 사이에는 로테이터(2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11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over 111 and a lower cover 112. The rotator 21 may b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111 and the lower cover 112.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부(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탑 커버(14)에 구비된 조작부(4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water outlet 2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or 21.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at a desired ang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r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water purifier 1.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40 provided in the top cover 14 also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together.

상기 베이스(13)에는 트레이(9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출수부(2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출수부(2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면이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90 may protrude forward of the front cover 11 on the base 13, and may be positioned below the water outlet 20. In addition, the tray 90 may be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13. The tray 90 may be formed in a grill shape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outlet 20 may be stored.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34)와 다수의 밸브(366,367,369)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30)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방에 상기 조작부(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ilter bracket 30 for water purification and a filter bracket 30 on which a plurality of valves 366, 367, and 369 are mounted, and the rotator 21 rotates on an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Possibly mounted. The operation unit 40 may be provided above the rotator 21, and the operation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or 21 to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or 21 is rotated.

상기 베이스(13)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91)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링(91)에는 상기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는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출수부(20)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회전링(91)으로부터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ase 13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ring 91 rotatably mounted, and the tray 90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rotatable ring 91. Therefore, the tray 90 can be rotated in a mounted state, and can be positioned below the water outlet 20. And, if necessary, the tray 9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rotary ring 91.

상기 베이스(13) 상면에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51)와 응축기(52)의 사이에는 쿨링 팬(5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51)와 응축기(5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5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3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51 and a condenser 52. In addition, a cooling fan 53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51 and the condenser 52 to allow cooling of the compressor 51 and the condenser 52. The compressor 51 may be an inverter type compressor that can adjust the cooling capacity by varying the frequency. Therefore, cooling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베이스(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2)에 형성되는 토출구(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5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denser 5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se 13 and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121 formed in the rear cover 12. The condenser 52 may be formed to be bent a plurality of flat tube type refrigerant tube in order to be used in the condenser bracket 54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an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는 상기 응축기(5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541)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6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542)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상기 응축기(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5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상기 쿨링 팬(53)과 토출구(121)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5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The condenser bracket 54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to which the condenser 52 is fixed, and a tank mounting portion 542 to which a cooling tank 60 for making cold water is mounted.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forms a hexahedr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condenser 52 so as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52. In addition,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may be formed such that portions facing the cooling fan 53 and the discharge port 121 are opene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denser 52 may be effectively cooled.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쿨링 탱크(60)를 고정한다.The tank mounting part 542 is formed above the condenser bracket 54, that is,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e tank mounting portion 542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60 to fix the cooling tank 60.

상기 쿨링 탱크(6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되는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63)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oling tank 60 is for making cold water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and filled with cooling wate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purified water. In addition, an evaporator 63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oling tank 60. Then, the purified wate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to be cooled.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6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는 상기 압축기(5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5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One side of the filter bracket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35 extending toward the cooling tank 60 side. The support plate 35 is provided above the compressor 51 and extends from the filter bracket 30 to the condenser bracket 5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is mounted.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상기 정수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may be composed of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for producing hot water and a control assembly 8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ater purifier 1.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control assembly 8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mbined in a single module state, and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35 in a coupled state.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for heating purified water and configured to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can heat water at an instant and high speed during hot water extraction opera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magnetic field to heat the purified water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refore, hot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can be taken ou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51)와, 쿨링 팬(5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기(1)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8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and may control the compressor 51, the cooling fan 53, various valves and sensors,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be. The control assembly 80 may be modularized by a combination of the PCB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each function. That is,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 extracts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the PCB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may be omitted, and at least one or more PCBs may be omitted in this manner.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의 각 구성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water purifi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탑 커버와 필터 브라켓 및 베이스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top cover, the filter bracket and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에는 회전링(91)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링(91)에는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회전링(9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괸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half of the base 13 is provided with a rotary ring 91, the tray 9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ry ring 91. The tray 90 is protruded in front of the base 13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rotary ring 91.

상기 필터 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13)와 결합되는 저면부(31)와, 상기 필터(34)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racket 30 includes a bottom portion 31 coupled to the base 13,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 in which the filter 34 is accommodated, and a rotator mounting portion 33 in which the rotator 21 is mounted. It can be composed of).

상세히, 상기 저면부(31)는 상기 베이스(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bottom part 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13 and is coupled to the base 13.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30 may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portion 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32 may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31)는 상기 회전링(91)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1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링(91)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lter bracket 30 may be hooked to the base 13 in a hook manner, and may be fixed by a screw fasten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3. The bottom portion 31 may be coupled to the base 13 in the inner region of the rotary ring 91, and is configured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ry ring 91 so that the rotation of the tray 90 is smooth. To be done.

상기 필터 수용부(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에서 볼 때(도 3에서 좌측) 상기 필터(3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32)에는 복수의 필터(3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34)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recessed space to accommodate the filter 34 when viewed from the front (left side in FIG. 3). A plurality of filters 34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2. The filter 34 is for the purification of the raw water (tap water) to be supplie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filters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32)에는 상기 필터(34)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34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341)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366,367,369)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34)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366,367,369)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lter receptacle 32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socket 341 in which the filter 34 is mounted. The filter socket 341 may be provided with a pipe for flowing purified water. Tubing may be connected with multiple valves 366, 367, 369. Thus, the raw water can pass through the filter 34 in turn and then be directed to the valves 366, 367, 369 for water supply.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배면(필터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다수의 밸브(366,367,36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366,367,369)들은 상기 필터(34)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6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 그리고, 상기 출수부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A plurality of valves 366, 367, and 369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2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and the valves 366, 367, and 369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tank as well as the filter 34. 60),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selectively supply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water outlet.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상단에는 로테이터 장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는 상기 로테이터(21)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otator mounting part 3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32.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has a semi-circular shape projecting forwar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or 21 can be seated on an upp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21. Therefore, the rotator 21 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a state seated on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331)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게 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피니언 기어(271)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 internal gear 33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or mounting part 33. The internal gear 331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and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271 to be described later to smoothly rotate the rotator 21.

상기 로테이터(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부(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or 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rotator 21 is further formed with a water outlet 20 protruding forwar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or 21, and may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or 21 rotates.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방에는 어퍼 커버(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11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로어 커버(112)와 함께 정수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111)는 상기 로테이터(21)와 탑 커버(14)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다.An upper cover 111 may be provided above the rotator 21. The upper cover 111 forms a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1 together with a lower cover 112 that shields the filter bracket 30 from the front. Accordingly, the upper cover 111 is formed to be rounded to form a part of the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between the rotator 21 and the top cover 14.

상기 어퍼 커버(111)의 상단에는 탑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4)는 상기 정수기(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조작부(4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4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에는 취출 버튼(41)이 구비된다.The top cover 14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111. The top cover 14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40 is mounted to the top cover 14. The operation unit 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coupled to the rotator 21 is configured to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or 21 is rota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40 is provided with a take-out button 4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탑 커버 및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6-6'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unit and the top cover combined state seen from below.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탑 커버(14)는 상기 정수기(1)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탑 커버(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1) 및 리어 커버(12)와 결합되며, 각각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리어 커버(12)의 상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op cover 14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top cover 14 are rounded, and are coupled to the front cover 11 and the rear cover 12, respectively, and correspond to the upper ends of the front cover 11 and the rear cover 12,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그리고, 상기 탑 커버(14)에는 커버 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홀(141)은 상기 조작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4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개구된다.In addition, a cover hole 141 is formed in the top cover 14. The cover hole 141 is open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unit 40 so that the manipulation unit 40 can be rotatably mounted.

상기 커버 홀(141)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40)의 하부를 형성하는 조작부 베이스(42)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장착부(142)와 베이스 지지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A base mounting part 142 and a base support part 143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hole 141 to fix the operation part base 42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on part 40.

상기 베이스 장착부(142)는 상기 커버 홀(141)에서 상기 커버 홀(141)의 중앙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장착부(142)는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면을 가압 고정한다.The base mounting portion 142 may extend from the cover hole 141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cover hole 141, and a plurality of base mounting parts 142 may be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addition, the base mounting portion 142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end is bent inwardly to fix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base 42.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는 상기 커버 홀(141)의 후반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는 상기 커버 홀(141)의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돌기(425)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와 상기 돌기(425)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의 회전시에도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The base support 143 extends inwar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cover hole 141. In addition, the base support part 143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center of the cover hole 141 to support the operation unit base 42 from below. In addition, a protrusion 425 protruding t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ase support part 143 is further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part base 42. Accordingly, the base support 143 and the protrusion 425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table support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manipulation unit 40 is rotated.

그리고, 상기 커버 홀(141)의 둘레에는 단차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40)의 둘레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40)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조작부(4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144 is formed around the cover hole 141 to seat the circumference of the manipulation unit 40. Therefore, the operation unit 40 can be additionally supported, and the operation unit 40 can be stably rotated.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와 조작부 피시비(43) 그리고 조작부 커버(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상기 조작부(4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홀(141)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탑 커버(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The operation unit 40 may include the operation unit base 42, the operation unit PCB 43, and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he operation unit base 42 forms a lower appearance of the operation unit 40 and is mounted to the cover hole 141 to support the operation unit 40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top cover 14.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상기 커버 홀(14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 커버(44)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operation unit base 4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cover hole 141. The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unit base 42 may extend upward, and i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o form a space therein.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하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로테이터(2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1)와 조작부(4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Rotating connecting portions 421 extending downward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base 42. The rotation connector 421 may be coupled to the rotator 21,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or 21 and the manipulation unit 40 may be rotated together.

상기 조작부 베이스(42)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 장착을 위한 장착용 보스(422,4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저면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4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Mounting bosses 422 and 423 for fixed mounting may be protruded by screwing the manipulation unit PCB 43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base 42. In addition, a wire hole 424 may be furth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base 42 to allow the wi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PCB 43 to enter and exit.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지지하는 장착용 보스(422,423)는 후방에 위치된 장착용 보스(422)가 전방에 위치된 장착용 보스(42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후단이 전단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경사는 상기 조작부 상면(441)의 경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bosses 422 and 423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unit PCB 43 are formed higher than the mounting bosses 423 located at the rear side. Therefore, the operation part PCB 43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rear end is higher than the front en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of the operation unit PCB 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operation unit upper surface 441.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재는 스위치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신호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PCB 43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members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The manipulation member may be configured as a switch or a sensor, and various types of input apparatuses capable of inputting signals by user manipulation may be used.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다수의 터치 센서(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43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막 방식,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PCB 4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431. The touch sensor 431 is for detecting a user's touch, and various types of touch sensors such as a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ultrasonic type, and an infrared type may be used.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431)는,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의 선택 기능, 온수의 온도 조절 기능, 취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touch sensors 431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unction of selecting purified water and cold or hot water,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and a func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withdrawn through a user's touch input. .

그리고, 조작부 피시비(43)의 일측에는 스위치(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32)는 누름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상기 스위치(432)의 온, 오프에 의해 상기 출수를 위한 밸브(366,367,369)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 중 선택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switch 432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nipulation unit PCB 43. The switch 432 is a general switch operated by a pressing operation and is pressed by an operation of the take-out button 41. By turning on and off the switch 432, the valves 366, 367, and 369 for water discharge may be selectively driven, and water selected from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may be taken out.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다수의 엘이디(433,4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엘이디(433,434)는 정보의 표시를 위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와 스위치의 위치 또는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PCB 4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433 and 434. The plurality of LEDs 433 and 434 may be use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ay display positions or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s and switches.

상세히, 다수의 엘이디(433,434)는 상기 터치 센서(431)의 위치 또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의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터치 센서(431)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 엘이디(433)와, 상기 스위치(4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스위치 엘이디(434)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lurality of LEDs 433 and 434 may include a sensor LED 433 dispos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431 to display an indication of a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431 or an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 The switch 432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witch 432 and may include a switch LED 434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별도의 표시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장치에 의해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unit PCB 43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an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부저(4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저(435)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수기(1)의 이상 동작 상황시 이를 소리로 출력하여 알릴 수 있으며, 이때 출력되는 소리가 특정 패턴을 가지는 음 또는 비프음으로 음성이 출력되어 사용자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상 동작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동작 상황에서도 상기 부저(435)를 통한 동작 상태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 buzzer 435 may be installed at the operation unit PCB 43. The buzzer 435 may output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 in voice. For example, when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 it can be notified by outputting it as a sound, and at this time, the sound is output as a sound or a beep sound having a specific patter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Of course, the transfer of the operating state through the buzzer 435 may be possible even in a general operating situation other than the abnormal operating situation.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조작부 커버(4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조작부 커버(44)는 상기 조작부(4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탑 커버(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The operation unit base 42 is coupled by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he operation unit cover 44 forms an upper shape of the operation unit 40, and forms an appearance of the operation unit 40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operation unit 40 is mounted on the top cover 14. do.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하면은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상면과 대응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 커버(44)는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441)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44) 상면(441)의 기울기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기울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431) 및 스위치(432)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base 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at is, the operation unit cover 44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low front end and a high rear end, and the upper surface 441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441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operation unit PCB 43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touch sensor 431 and the switch 432, and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readability.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improve.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에는 다수의 센서 홀(442)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홀(442)은 상기 터치 센서(431)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센서 홀(442)과 대응하는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43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A plurality of sensor holes 44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he sensor hole 442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or 431. Accordingly, the user may manipulate the touch sensor 431 by touching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nsor hole 442.

그리고, 상기 조작부 커버(44)에는 버튼 홀(443)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홀(443)은 상기 취출 버튼(41)의 일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며, 상기 스위치(43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홀(443)의 외측에는 상기 취출 버튼(41)이 고정 장착되는 버튼 후크부(4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버튼 후크부(444)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후크 홀(414)에 삽입될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후크부(444)는 상기 후크 홀(414)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그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조작부 커버(44)상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고, 장착 위치가 고정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tton hole 443 is formed in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he button hole 443 may be opened to allow a portion of the eject button 41 to enter and exit,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switch 432. In addition, a button hook portion 444 to which the take-out button 41 is fixedly mounted is furth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utton hole 443. The button hook portion 444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ok hole 414 of the take-out button 41. The button hook portion 444 extends to pass through the hook hole 414, and the end portion of the button hook portion 444 is formed in a hook shape so that the button hook portion 444 may be locked. Therefore, the eject button 41 is mounted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operation unit cover 44, and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fixedly maintained.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버튼 홀(443)의 하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41)의 상면에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개구를 차폐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홀(443)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조작부 피시비(43) 상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플레이트(411)의 둘레에는 버튼 링(412)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 링(412)은 버튼 플레이트(411)와 상기 버튼 홀(443)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The eject button 4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hole 443.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eject button 41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plate 411 that shields the opening of the eject button 4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button plate 411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is formed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switch LED 434 provided on the operation part PCB 4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443. Can be. The button ring 412 is provided around the button plate 411. The button ring 412 is configured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button plate 411 and the button hole 443.

한편,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에는 접착 시트(45)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 시트(45)의 상면에는 조작부 플레이트(46)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4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는 외관을 형성하므로 유리 또는 고광택 소재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431)와 인접한 위치의 센서 엘이디(43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작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에는 상기 터치 센서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위치를 표면 가공 또는 인쇄에 의해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sheet 4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the operation unit plate 46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45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40. Since the operation unit plate 46 forms an appearance, it may be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of glass or high gloss material.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plate 46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nsor LED 433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ouch sensor 431 may be transmitted to allow the user to more easily identify the operation position. You can do that. If necessary, the operation unit plate 46 may display the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or the user's touch manipulation position by surface processing or printing.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에는 버튼 플레이트(411)와 대응하는 홀(4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상기 홀(461)에 위치되어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와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동일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 hole 461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late 411 may be formed in the operation unit plate 46, and the button plate 411 may be positioned in the hole 461 to enable independent f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plate 46 and the button plate 41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to have a sense of unity of appearance.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취출 버튼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취출 버튼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스위치 엘이디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취출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extraction button of the said water purifier from the upper sid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out button viewed from below. 9 is a view show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switch LED of the water purifier.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ject butt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하면에서 장착되며, 네 곳의 모서리에는 후크 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홀(414)은 테두리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튼 후크부(444)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eject button 41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cover 44, and hook holes 414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The hook hole 414 has an edge extending upward, and the button hook portion 444 is insert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취출 버튼(41)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동되는 누름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413)는 상기 버튼 홀(44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홀(443)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 홀(443)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enter of the take-out button 41, a user presses the press and a press part 413 flowing by the user's manipulation may be formed. The pressing part 413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tton hole 443 so that the pressing part 413 may be located inside the button hole 443.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413 protrudes upwar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13 is positioned inside the button hole 443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pressing.

상기 누름부(413)의 중앙에는 광 투과부(4131)가 형성되며, 상기 광 투과부(4131)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부(4131)의 외측에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가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리브(4132)가 형성될 수 있다. A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413,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may be shielded by the button plate 411. A plate rib 4132 may be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to allow the button plate 411 to be press-fitted.

그리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의 둘레에는 상기 플레이트 리브(411)에 안착되는 단차부(4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에는 삽입부(4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12)는 상기 광 투과부(41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 투과부(41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4111 seated on the plate rib 411 is formed around the button plate 411. In addition, an insertion part 41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utton plate 411, and the insertion part 411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to be inserted in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Can be.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의 하면에는 상기 광 투과부(413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라이트 가이드(41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는 상기 광 투과부(4131)에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는 상기 누름부(413)의 유동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In addition, a light guide 4133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413. The light guide 4133 may exten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toward the manipulation part PCB 43. In this case, the light guide 4133 is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on unit PCB 4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light guide 413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unit PCB 43 when the pressing unit 413 flows.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의 내측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는 다수개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스위치 엘이디(434)가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LED 434 is positioned in the manipulation unit PCB 43 corresponding to the inner region of the light guide 4133. The switch LEDs 434 may be mounted in plural, and one switch LED 434 may be formed to irradiate light of various colors.

그리고,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를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광 투과부(4131)를 지나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취출 버튼(41)을 통해 나타나는 빛의 색상을 통해 상기 필터(34)의 수명 또는 온수, 냉수, 정수의 선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witch LED 434 is moved along the light guide 4133 to pass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4131 and pass through the button plate 411.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ejection button 41, and the life of the filter 34 or the selection of hot water,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hrough the color of light appearing through the ejection button 41. You can check the status.

예컨데, 상기 필터(34)의 수명이 남은 상태에서는 상기 취출 버튼(41)이 푸른색의 빛을 띠게 되고, 상기 필터(34)의 수명이 다되어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주황색의 빛을 띠도록 하여 사용자에 즉각적인 상기 필터(34)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34)의 교체 주기를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fe of the filter 34 is remaining, the take-out button 41 has a blue color, and when the life of the filter 34 is exhausted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light is orange.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status of the filter 34 immediately and can inform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34.

상기 누름부(413)의 둘레에는 상기 누름부(41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부(4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134)는 다수의 절개부(4135)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413)의 누름 조작시 상기 취출 버튼(4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손을 떼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4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An elastic portion 4134 may be formed around the pressing portion 413 by cutt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portion 413. The elastic part 4134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utouts 4135, and may be mov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ake-out button 41 when pressing the pressing part 413. When the hand is released, the pressing portion 413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한편, 상기 누름부(413)의 전단(도 10에서 좌측)에는 회전 지지부(413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13)의 후단에는 접촉부(4137)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4136)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취출 버튼(41)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베이스 지지부(426)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rotary support portion 4136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left side in FIG. 10) of the pressing portion 413, and a contact portion 4137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413. The rotation support part 4136 protrudes downward, but maintains contact with the base support part 426 of the operation part base 42 when the ejection button 41 is mounted.

따라서, 상기 누름부(413)의 어느 위치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누름부(413)는 상기 회전 지지부(4136)를 축으로 시계방향(도 9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부(413)의 회전시 상기 회전 지지부(4136)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4137)의 회전거리는 상기 스위치(432)를 누를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된다.Therefore, even if any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13 is pressed, the pressing portion 413 rotates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36 in the clockwise direction (see FIG. 9) about its axis. In particular, the rotational distance of the contact portion 4137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36 when the pressing portion 413 is rotated is large enough to press the switch 432.

상기 접촉부(4137)는 상기 스위치(432)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413)의 누름 조작 전에는 상기 스위치(432)와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413)가 상기 회전 지지부(4136)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부(4137)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The contact portion 4137 is positioned above the switch 432, and maintains a state away from the switch 432 before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13. When the pressing part 413 is pressed, the pressing part 413 rotates the rotation supporting part 4136 in an axis, and the contact part 4137 presses the switch.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413)의 어느 위치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접촉부(4137)가 상기 스위치(432)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432)가 상기 광 투과부(413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취출 버튼(41)의 개구 위치에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취출 버튼(41)을 통해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Due to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press the switch 432 accurately even if the user presses any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413. In addition, by allowing the switch 432 to be located outsid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4131,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switch LED 434 i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take-out button 41, and the take-out button 41 The light emitted from the switch LED 434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부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of the water purifier viewed from above. 12 is a headquarters view of the rotator from below.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of the water purifier. 14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side the rotator and the water outlet.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테이터(21)는 로테이터 하우징(22)을 구비한다.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직경에 비해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tor 21 has a rotator housing 22. The rotator housing 22 has a hollow portion and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hort height compared to the diameter.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면에 체결부(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홀(231,241)이 형성된다. 볼트 등이 상기 체결홀(231,241)을 통해 체결부(2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이 로테이터 하우징(22)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다.The rotator 21 includes an upper guide bracket 23 and a lower guide bracket 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tor housing 22. In addition, a fastening part 221 is protrude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rotator housing 22, and fastening holes 231 and 241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 Bolts and the like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221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31 and 241 so that the upper and lower guide brackets 24 may be faste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or housing 22.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는 체결 후크(237,247)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후크(237,247)와 체결 돌기(222)는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결합시 가고정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oks 237 and 247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and a fastening protrusion 22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or housing 22. have. The fastening hooks 237 and 247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may be locked to each other, and serve as a temporary fixation when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로테이터(21)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또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232,24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 수용홈(232,242)은 상기 어퍼 커버(111)에 형성되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을 수용하는 상부 레일 수용홈(232)과,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1)에 형성되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331)을 수용하는 하부 레일 수용홈(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or 21 further includes rail receiving grooves 232 and 242 reces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upper guide bracket 23 or the lower guide bracket 24. The rail accommodating grooves 232 and 242 may include an upper rail accommodating groove 232 accommodating the first rotating guide rail 1111 formed in the upper cover 111 and a second rotatable guide formed in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1. It may be configured as a lower rail receiving groove 242 for receiving the rail 331.

상기 상부 레일 수용홈(232) 또는 하부 레일 수용홈(24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부 레일 수용홈(232) 및 하부 레일 수용홈(24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가 형성된다. Protrude upward or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rail receiving groove 232 or the lower rail receiving groove 242, or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rail receiving groove 232 and the lower rail receiving groove 242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downward.

상기 로테이터(21)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형의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내측면에서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으로 각각 상부 연결부(235)와 하부 연결부(245)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은 상부 연결부(235) 및 하부 연결부(245)에 의해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연결되며 지지된다. 상부 및 하부 연결부(245)는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한다.The rotator 21 includes a circular upper center ring 234 and a lower center ring 244 disposed at the centers of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the upper connection part 235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245 are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respectively.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ar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by the upper connection part 235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245.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245 each have a fan shape and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rein.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출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은 상기 로테이터(21)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된다.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are formed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drawn out.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or 21 and become a rotation center when the rotator 21 rotates.

그리고,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에는 T커넥터(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T커넥터(264)의 일측은 상기 출수부(20) 측으로 연장되어 출수 노즐(25)과 연결되는 출수관(261)이 연결되고, 다른 양측은 각각 상부에 냉수관(265)이 접속되고 하부에 정수관(263)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정수관(263)과 냉수관(265)은 회전관(264)에 의해 상기 T커넥터(264)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may be provided with a T connector 264. One side of the T connector 264 extends toward the water outlet 20, and a water outlet pipe 261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25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T connector 264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265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thereof. The water purification pipe 263 is connected to this. In this case, the purified water pipe 263 and the cold water pipe 265 may be connected to the T connector 264 by a rotary tube 264.

이때, 상기 냉수관(265)과 정수관(263)은 각각 상기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T커넥터(264)는 상기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T커넥터(264)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d water pipe 265 and the purified water pipe 263 pass through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center ring 244, respectively, and the T connector 264 is the upper center ring 234 and the lower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ring (244). Therefore, the T connector 264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한편, 상기 회전관(2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264)의 상부와 하부의 둘레를 따라서 피팅홈(26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홈(2641)은 상기 회전관(264)의 상단과 하단이 T커넥터(26)와 결합될 때 금속재의 콜렛(collet)이 삽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tube 264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In addition, a fitting groove 2641 may b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tube 264. The fitting groove 2641 is a metal collet is inserted when the top and bottom of the rotary tube 264 is coupled with the T connector 26.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상기 회전관(264)을 축으로 T커넥터(26)가 회전될 수 있으며, 출수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관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관(2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에 의한 반복적인 회전과 금속소재의 콜렛의 결합에도 파손 및 변형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or 21 rotates, the T connector 26 may be rotated around the rotary tube 264, and the twisting of the pipe forming the flow path for water discharge may be prevented. In particular, the rotary tube 264 is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r broken even by repeated rota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or 21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llet of the metal material.

한편, 온수 탱크(71)와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취출시 상기 온수 탱크(71)의 물이 즉각적으로 취출될 수 있게 되며, 온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즉, 냉수 또는 정수와 공통된 유로를 사용하게 될 경우 온수 취출시 유로상에 잔류되는 냉수 또는 정수에 의해 처음 취출되는 온수는 온도를 만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별도의 상기 온수관(262)이 출수 노즐과 연결되는 경우 온수 탱크(71)의 온수가 온도 손실 없이 그대로 출수 노즐(25)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hot water pipe 262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71 and supplied with hot wate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ater discharge unit 20. Therefore, when hot water is taken out,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can be immediately taken out, and the quality of the hot water is improved. That is, when using a common flow path with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hot water first taken out by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remaining on the flow path when hot water is taken out may not satisfy the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separate hot water pipe 262 is connected to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tank 71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without temperature loss.

상기 결합링(236,246)은 내부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축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부 가이드 브라켓(23)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rings 236 and 246 are formed in a circular coupling hole therein, a pair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pair of coupling rings 236 and 246 disposed at both sides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rossing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or 21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oupling rings 236 and 246 may be formed at both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or only at the upper guide bracket 23.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기 조작부(40)의 저면의 상기 회전 연결부(421)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결합링(236,246)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rings 236 and 246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42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art 40. In detail, the pair of rotary connection portions 421 may b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rings 236 and 246, and thus the operation unit 40 may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or 21 is rotated.

상기 조작부(40)와 로테이터(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조작부(40)와 로테이터(21)가 함께 회전할 때 취출 버튼(41) 및 출수부(20)도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취출 버튼(41)과 출수 노즐(25)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며 회전됨에 따라 취출 버튼(41)과 출수 노즐(25)의 위치를 별도로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unit 40 and the rotator 21 rotate together by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 unit 40 and the rotator 21, the take-out button 41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also rotate together. As a result, since the ejection button 41 and the ejection nozzle 25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nd rotated, the ejection button 41 and the ejection nozzle 25 do not ne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user operability.

한편, 상기 로테이터(21)의 저면 즉,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는 오일 댐퍼(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댐퍼(27)는 상기 출수부(20)의 회전 시 상기 로테이터(21)가 걸리는 느낌 없이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로테이터(21)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n oil damper 27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or 21, that is, the lower guide bracket 24. The oil damper 27 allows the rotator 21 to be rotated smoothly without the feeling that the rotator 21 is caught when the water outlet 20 is rotated, and the rotator 21 rotates at a constant speed only by applying a constant size force. To be possible.

상기 오일 댐퍼(27)는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댐퍼(27)의 회전 축에는 피니언 기어(271)가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7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내접 기어(3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The oil damper 27 is a general configuration used to make the rotational speed consta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inion gear 271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oil damper 27, and the pinion gear 271 is arranged to move along the internal gear 33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do.

상기 피니언 기어(271)는 내접 기어(331)의 곡률반경에 비해 훨씬 작은 곡률반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치의 갯수도 작다. 상기 로테이터(21)가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에 장착되면 피니언 기어(271)는 내접 기어(331)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내접 기어(331)와 맞물리게 결합된다.The pinion gear 271 has a circular curvature radiu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internal gear 331, and the number of teeth is also small. When the rotator 21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the pinion gear 271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ternal gear 331 and is engaged with the internal gear 331.

도 15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bracket of the water purifier.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rotat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331)가 형성된다. 상기 내접 기어(331)는 로테이터 장착부(33)의 상단부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접 기어(331)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접 기어(331)는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장착시 상기 내접 기어(331)는 상기 피니언 기어(271)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n internal gear 33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The internal gear 33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The internal gear 331 i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The internal gear 331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and may be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Thus, when the rotator 21 is mounted, the internal gear 331 may be configured to engage the pinion gear 271.

한편, 필터 브라켓(30)의 배면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이드 패널(15)의 전단부에 필터 브라켓(3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는 로테이터(21)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30 is opened to the rear, the rea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panel 15. 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so that the rotator 21 is rotatably moun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은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반원형의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은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may be made of a semi-circular curvatur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or 21. 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may be formed to be fix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은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마주보는 상방에 위치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The second rotating guide rail 1111 may further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1. The second rotary guide rail 1111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rotary guide rail 332 to have the same shap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or 21.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은 상기 로테이터(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장착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21)의 상하단은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 및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과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The first rotating guide rail 332 and the second rotating guide rail 1111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rotator 21 therebetween.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tor 21 ar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guide rail 332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rail 1111 by the mounting of the rotator 21 to guide rotation of the rotator 21. do.

상기 로테이터(21)는 출수부(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테이터(21)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갖지 않고, 중심부에서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를 구비하고,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를 이용하여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otator 21 is a component for horizontally rotating the water outlet 20 to the left or right. The rotator 21 does not have a rotation axis in the center, and has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formed at a constant curvature in the center, and can be slid along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using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To be combined.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로테이터(21)에 구비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은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어퍼 커버(111)에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 및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은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며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re provided in the rotator 21,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are provided in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upper cover 111, but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are different. The 233 and 243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nd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guide rotation of the rotator 21.

상세히,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하부 레일 수용홈(242)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회전 가이드 돌기(243)와, 상부 가이드 브라켓(23)의 상부 레일 수용홈(23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회전 가이드 돌기(233)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for example,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may include a lower rotation guide protrusion 24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rail receiving groove 242 of the lower guide bracket 24 and the upper guide bracket 23. The upper rail guide groove 232 of the upper rotation guide protrusion 23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결합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의 내주면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며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end portions of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have a hook shape. When the rotary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nd the rotary guide rails 332 and 1111 are combin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ends of the rotary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face each other with the rotary guide rails 332 and 1111 and overlap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Can be.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에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이 결합되면,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232,242)에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이 수용되어 레일 수용홈(232,242)과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일면이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고,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된다.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r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and slidably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in a rotation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are couple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are accommodated in the rail receiving grooves 232 and 242 formed inwardly of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One surface of the rail receiving grooves 232 and 242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ends of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have a hook shape and overlap with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combined.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면, 출수부(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출수부(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출수 노즐(25)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테이터(21)의 중심에 회전축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can be rotated stably, and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can be freely changed without removing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form a rotating shaft in the center of the rotator 21.

예를 들면, 출수부(20)가 로테이터(21)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서 출수부(20)를 잡고 로테이터(21)를 회전시키더라도 출수부(20)의 편심하중에 의해 출수부(20)가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내려가서 출수부(20) 및 로테이터(21)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후크 형상에 의해, 로테이터(2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protrudes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rotator 21, even when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s rotated while the rotator 21 is rotate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may be driven by the eccentric loa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may be lifted up or dow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ot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and the rotator 21 is unstable. In addition, the hook shapes of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can prevent the rotator 21 from being removed.

또한, 로테이터(21)의 회전 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출수부(2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is wide when the rotator 21 rotates, the eccentric load may be dispersed when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s rotated. Abrasion and scratches due to friction can be reduced.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상기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O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을 따라 회전할 때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formed on the upper guide bracket 23 and the lower guide bracket 24, respectively, are preferab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with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More preferably,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may be formed of engineering plastic (POM) having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toughness, abrasion resistance, and the like.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rotate along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wear and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rotation guide protrusions 233 and 243 and the rotation guide rails 332 and 1111 may be reduced.

도 17은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밸브의 배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7 is a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valve mounted on the filter bracket from the rea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배면에는 온도센서 브라켓(76)(361)와 유량 센서(363), 정수 출수밸브(367), 냉수 출수밸브(366), 유량 조절 밸브(3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밸브들은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 상방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30 has a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361, a flow sensor 363, a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367, a cold water discharge valve 366, a flow control valve ( 368) may be provided. These valves are arranged in an area above the support plate 35 in more detail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30 so as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inside the water purifier 1.

우선, 상기 급수 밸브(361)는 상기 필터(34)의 출구측과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34)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361)의 출구측에는 유량 센서(363)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 밸브(361)를 지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게 된다. First, the water supply valve 361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34 to determine th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34. In addition, a flow sensor 363 is provided at an outlet side of the feed valve 361 to sense a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feed valve 361.

상기 유량 센서(363) 출구와 연결된 배관에는 분지관(364)과 연결된다. 상기 분지관(364)의 출구는 각각 냉정수측(3641)과 온수측(3642)으로 분지된다. 상기 분지관(364)의 냉정수측(3641)과 연결된 배관은 다시 T커넥터(365)에 의해 분지되어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으로 분지된다. 상기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은 각각 냉수 출수밸브(366) 및 정수 출수밸브(367)와 연결되며, 따라서 정수와 냉수의 공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Th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low sensor 363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364). The outlets of the branch pipes 364 are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3641 and the hot water side 3642, respectively. The pipe connected to the cold purified water side 3641 of the branch pipe 364 is branched by the T connector 365 to be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3701 and the purified water side 3652. The cold water side 3701 and the purified water side 3652 ar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outlet valve 366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respectively, and thus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can be determined.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는 정수관(263)과 연결되며, 상기 정수관(263)은 연장되어 회전관(264)에 의해 T커넥터(26)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 출수밸브(366)는 쿨링 탱크와 연결되어 정수를 상기 쿨링 탱크(60)로 공급하여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60)의 출구에는 냉수관(265)이 연결되며, 상기 냉수관(265)은 연장되어 상기 회전관(264)에 의해 상기 T커넥터(26)의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263, and the purified water pipe 263 is extend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 connector 26 by the rotary pipe 264. The cold water outlet valve 366 is connected to a cooling tank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cooling tank 60 to cool. The cold water pipe 265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ooling tank 60, and the cold water pipe 265 is extend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 connector 26 by the rotary tube 264.

한편, 상기 분지관(364)의 온수측(3642)과 연결된 배관은 유량 조절 밸브(368)와 연결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는 상기 온수 탱크(71)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량의 조절을 통해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물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side (3642) of the branch pipe (364) is connected to the flow control valve (368). The flow rate control valve 368 is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7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by adjusting the flow rate. do.

상세히,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빠른 속도로 지나는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온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detail, when the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is too larg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at high speed cannot be efficiently heated, and in such a situation,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hot water cannot be satisfied. Things may happen.

따라서, 고온의 온수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71)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여 상기 온수 탱크(71)에서의 가열 성능을 향상시킬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ot water is to be taken out, the water may be hea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71. In addition,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water is too low,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in the hot water tank 71 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 또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입구, 출구 중 어느 일측에는 입수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ny one of the inlet, outlet of the flow control valve 368 or the flow control valve 368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temperature sensor, the flow control by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368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출구와 연결된 배관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출구는 온수 출수밸브(369)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의 개폐에 의해 온수 취출이 결정된다.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는 온수관(262)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20)의 출수 노즐(25)과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A pipe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flow control valve 368 is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hot water tank 71, an outlet of the hot water tank 71 is connected to a hot water discharge valve 369, and a hot water discharge valve 369. ), Hot water extraction is determi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hot water outlet valve 369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262, the hot water pipe 262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25 of the water outlet 20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출수부의 절개 사시도이다.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purifier. 1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과 연통되어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rotator housing,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rotator housing 22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outlet pipe 261 and the hot water pipe 262. It is configured to be.

상기 출수부(20)는 출수부 하우징(201)과 출수부 커버(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은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 커버(202)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The water outlet 20 may be composed of a water outlet housing 201 and the water outlet cover 202. An upper surface of the outlet portion housing 201 is opened,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outlet tube 261 and the hot water tube 262 may be disposed. The water outlet cover 202 is formed to shield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using 201.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면에는 출수 홀(2011)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 홀(2011)에는 상기 출수 노즐(25)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25)과 연결되는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내측을 통해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으로 안내된다.A water extraction hole 2011 may b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201,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may be mounted in the water extraction hole 2011. The water outlet pipe 261 and the hot water pipe 262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25 are guided into the rotator housing 22 through the water outlet housing 201.

상기 출수 노즐(25)은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냉정수 연결부(251)와 온수 연결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냉정수 연결부(251)는 상기 출수 노즐(25)의 측면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26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연결부(252)는 상기 출수 노즐(25)의 측면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온수관(262)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서 냉수와 정수 및 온수를 독립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includes a cold water connection 251 and a hot water connection 252 to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261 and the hot water pipe 262, respectively. The cold water connection part 251 extends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261. The hot water connection part 252 i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a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262. Therefore,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can be independently taken out through one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s 25.

상기 출수 노즐(25)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출수 노즐(25)을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장착할 수 있는 노즐 고정부(253)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25)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25)의 개구된 상면에는 노즐 캡(254)이 장착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is further formed with a nozzle fixing portion 253 which can be fixed to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by the screw in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201.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may be formed to be opened up and down to facilitate molding, and a nozzle cap 254 may be mount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그리고,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면에는 라이팅 홀(20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홀(2012)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28)에서 조사되는 빛이 하방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이팅 홀(2012)과 인접하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에는 상기 라이팅 유닛(28)이 고정 장착되는 고정 돌기(20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riting hole 201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201. The lighting hole 2012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28 provided inside the water outlet housing 201 to be directed downward. 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2013 to which the lighting unit 28 is fixed may be further formed at a bottom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201 adjacent to the lighting hole 2012.

상기 라이팅 유닛(28)은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할 때 물 취출 상태를 보이거나 물 컵에 채워진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20)의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라이트 하우징(281)과 라이트 피시비(282)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28 is a light housing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20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state or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water cup when the operation button 41 is operated 281 and the light PCB 282.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은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결합부(281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2811)는 상기 고정 돌기(2013)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light housing 281 is formed so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the light housing 282 may be mounted therein. A housing coupling part 2811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light housing 281, and the housing coupling part 2811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2013 to be engaged with the light housing 281. It can be fixedly mounted in this correct position.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에는 상기 라이팅 홀(20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2812)가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일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위치에 투명한 부재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 자체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홀(20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하우징 결합부(2811)와 함께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light housing 281 is formed with a transmissive portion 2812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hole 2012. The transparent part 2812 may be configured by mounting a transparent member at a position where a part of the light housing 281 is opened and opened, or the light housing 281 may be formed transparently. The transmission part 28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ight housing 281,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writing hole 2012.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art 2812 together with the housing coupling part 2811 allows the light housing 281 to be mounted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 투과부(2812)의 둘레를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8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2814)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 상에 실장된 엘이디(2821)의 빛이 상기 라이팅 홀(201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 light guide 2814 extend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ransmission portion 2812, and the light guide 2814 is formed by the light of the LED 2821 mounted on the light PCB 282. It will guide you to the outside survey.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중앙에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지지하기 위한 피시비 지지부(281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는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안착되며, 스크류가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관통하여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체결되어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고정한다.In addition, a PCB support part 281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housing 281 to support the light PCB 282. The light PCB 282 is seated on the PCB support 2813, and a screw penetrates the light PCB 282 to the PCB support 2830 to fix the light PCB 282.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장착된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에는 상기 엘이디(2821)가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의 장착시 상기 엘이디(2821)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28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ight PCB 282 is formed in a size and a shape capable of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281, and is mounted on the PCB support 281. The LED 2821 may be mounted on the light PCB 282, and the LED 2821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guide 2814 when the light PCB 282 is mounted.

상기 출수부 커버(202)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출수부(20)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 커버(202)의 양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결합부(20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2021)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2014)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부 커버(202)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water outlet part 202 is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water outlet part housing 201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part 20. In addition, cover coupling parts 2021 exten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water outlet part cover 202. The cover coupling part 2021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protrusion 2014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281, and the water outlet part cover 202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part housing 201. To maintain.

도 20은 상기 정수기의 히팅 및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and control module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쿨링 탱크(6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탑 커버(14)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의 사이에 위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control assembly 80.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control assembly 80 may be combined in a single module state, a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35 as shown in FIG. 2.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cooling tank 60 and is located between the top cover 14 and the support plate 35.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을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방식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결합되는 온수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온수 케이스(10)의 내측에 온수 탱크(71)와 워킹 코일(72)을 비롯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각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configured to heat purified water by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In addition,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has an external shape formed by the hot water case 10 coupled with the control assembly 80, and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working coil 72 inside the hot water case 10. Each configu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can be accommodated.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51)와 각종 밸브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시비(82)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제어를 위한 유도 가열 피시비(84) 그리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피시비(86) 그리고 상기 엔에프시(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피시비(88)가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assembly 80 i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the induction heating for the control of the main PCB 82 an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51 and the various valves. A PCB 84, a power supply PC 86 for power supply, and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PC 88 are configured to be mounted,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컨트롤 베이스(81)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후면을 차폐하는 제 1 컨트롤 커버(83)와, 전면을 차폐하는 제 2 컨트롤 커버(85) 그리고 측면을 차폐하는 제 3 컨트롤 커버(8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assembly 80 shields the control base 81 and the first control cover 83 that shields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the second control cover 85 that shields the fron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by the third control cover 87.

도 21은 상기 정수기의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viewed from the front.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viewed from the rear.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필터(34)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for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34 to be heated with hot water, it is configured to be heated in an induction heating method.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이 통과되는 온수 탱크(71)와,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72)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72)과 온수 탱크(71)가 장착되는 가열 브라켓(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ncludes a hot water tank 71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a working coil 72 for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working coil 72 and a hot water tank (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bracket 73 is mounted 71.

상기 가열 브라켓(73)은 상기 온수 탱크(71)와 상기 워킹 코일(72) 및 페라이트 코어(74)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브라켓(73)은 고온에도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bracket 73 provides a mounting space for the hot water tank 71, the working coil 72, and the ferrite core 74. In addition, the heating bracket 73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or damaged even at a high temperature.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모서리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 결합부(731)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의 연장된 단부는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되며,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각각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for coupling with the control assembly 80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heating bracket 73.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extended end of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nd may have a directionality. Thus,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espectively integrated with the control assembly 80,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can be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그리고,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7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양면에 상기 온수 탱크(71)와 상기 워킹 코일(72)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an edge 73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heating bracket 73 to accommodate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working coil 72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bracket 73. It will form a space for you.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가 장착되는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일면 중앙에는 온도센서 브라켓(76)이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 함몰부(7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는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6)이 압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의 중앙에는 온수온도센서(761)와 퓨즈(762)에 연결된 전선이 출입되는 개구(73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bracket recess 733 for mounting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heating bracket 73 on which the hot water tank 71 is mounted. The bracket recess 733 is recessed in a corresponding shape so that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can be press-fitted. In addition, an opening 731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racket recess 733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and the fuse 762 enter and exit.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6)에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센서(76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온수온도센서(761)는 온수 탱크(71) 중앙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온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온수의 온도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온도센서(761)에 의해서 취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적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온수온도센서(761)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추가 가열 또는 가열 정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may be equipp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71.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enter of the hot water tank 71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ken out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can be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range. That is, it may be controlled by determining whether to further heat or stop heating by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그리고, 온도센서 브라켓(76)에는 퓨즈(76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퓨즈(762)는 온수 탱크(71) 내의 물이 지나치게 많이 과열되었을 때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a fuse 762 may be moun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The fuse 762 cuts off the power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when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is overheated.

상기 온수 탱크(71)와 접하는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6)의 후면(도 23에서 우측면)에는 상기 온수온도센서(761)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홈(76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온도센서(761)는 상기 온수 탱크(71)와 접하여 상기 온수 탱크(71)의 표면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6)의 전면에는 상기 퓨즈(762)가 장착되는 퓨즈 장착홈(764)이 형성된다. 상기 퓨즈 장착홈(764)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에는 퓨즈 장착돌기(7332)가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6)의 장착에 의해 상기 퓨즈(762)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rear surface (right side in FIG. 23) of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tank 71 is provided with a sensor mounting groove 763 on which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is mounted. Accordingl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tank 71 to effectively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71. In addition, a fuse mounting groove 764 in which the fuse 762 is moun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A fuse mounting protrusion 7332 is formed in the bracket recess 733 corresponding to the fuse mounting groove 764 so that the fuse 762 may be fixed by mounting the temperature sensor bracket 76.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전면에는 워킹 코일(72)이 구비된다. 상기 워킹 코일(72)는 온수 탱크(71)의 발열을 유발하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 상기 워킹 코일(72)에 전류가 공급되면, 워킹 코일(72)에서 자기력선이 형성되며, 이 자기력선은 상기 온수 탱크(71)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상기 온수 탱크(71)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발열된다.The working coil 7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ing bracket 73. The working coil 72 forms a magnetic force line that causes heat generation of the hot water tank 71.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72, a magnetic force line is formed in the working coil 72, and the magnetic force line affects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hot water tank 71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line. Fever.

상기 워킹 코일(72)은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양면 중 평면 형상으로 된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72)은 여러 가닥의 구리 또는 기타 도체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가닥들은 절연되어 있다. 워킹 코일(72)은 상기 워킹 코일(7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 또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The working coil 7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ing bracket 73, and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a planar shape on both sides of the hot water tank 71. The working coil 72 consists of several strands of copper or other conductor wires and the strands are insulated. The working coil 72 forms a magnetic field or a line of magnetic force by a current applied to the working coil 72.

따라서, 상기 워킹 코일(72)과 마주보고 있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전면은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도 23에는 워킹 코일(72)의 가닥들을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고, 각 가닥들이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의 외측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워킹 코일(72)의 전체적인 윤곽만을 도시하였다.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71 facing the working coil 72 generates heat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line formed by the working coil 72. 23 does not show the strands of the working coil 72 in detail, only the overall contour of the working coil 72 formed by winding each strand out of the bracket recess 733.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에 마이카 시트(75)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 형상과 대응하며, 상기 워킹 코일(72) 전면과 후면 전체를 차폐하게 된다. The mica sheet 75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working coil 72. The mica sheet 75 corresponds to the front and rear shapes of the working coil 72 and shields the entir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rking coil 72.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 및 페라이트 코어(74)는 워킹 코일(72)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온수 탱크(71)가 상기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열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필요에 따라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일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The mica sheet 75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ccordingly,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ferrite core 74 maintain the working coil 7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hot water tank 71 can be effectively heated by the magnetic force line formed by the working coil 72. It becomes possible. Of course, the mica sheet 75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rking coil 72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마이카 시트(75)의 전면에는 페라이트 코어(74)가 구비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74)는 전류의 손실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력선의 차폐막 역할을 한다. 상기 워킹 코일(72)는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74)는 상기 워킹 코일(72)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errite core 7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ica sheet 75. The ferrite core 74 is to suppress the loss of current, and serves as a shielding film for the magnetic force lines. The working coil 7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errite cores 74, and the plurality of ferrite cores 74 may be radially disposed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ing coil 72.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열 브라켓(73)에는 코어 고정부(734,735)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 고정부(734,735)는 내측 고정부(734)와 외측 고정부(735)로 구성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74)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 고정부(734)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둘레면 중 상기 워킹 코일(72)의 회전 중심과 가까운 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외측 고정부(735)는 상기 내측 고정부(734)와 마주보는 면에 위치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둘레면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코어 고정부(734,735)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배치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Core fixing parts 734 and 735 are formed in the heating bracket 73 to fix the ferrite core 74. The core fixing parts 734 and 735 include an inner fixing part 734 and an outer fixing part 735, and protrude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errite core 74 is disposed. The inner fixing part 734 supports a surface close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working coil 72 among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ferrite core 74, and the outer fixing part 735 is the inner fixing part 734.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 to support one 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errite core (74). A plurality of core fixing parts 734 and 735 may be formed radially as in the arrangement of the ferrite core 74.

상기 온수 탱크(71)는 상기 가열 브라켓의 후면에 장착된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는 온수 탱크(7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어 온수가 된다.The hot water tank 71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heating bracket. The hot water tank 71 is made to generate heat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line formed by the working coil 72. Therefore, the purified water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t water tank 71 to become hot water.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전체적인 형상은 납작하고 컴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가 상기 정수기(1) 내의 필터 브라켓(30)과 쿨링 탱크(6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71)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가열 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overall shape of the hot water tank 71 may be formed in a flat and compact shape. The hot water tank 7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verall shape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such that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cooling tank 60 in the water purifier 1. It can be accommodated in space. In addition, the hot water tank 71 is formed to have a large area, the heating area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instantaneous heating is possible.

상기 온수 탱크(71)는 평면 형상의 제 1 커버(711)와, 요철 형상을 가지는 제 2 커버(712)의 둘레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상단에는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출력관(71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하단에는 가열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입력관(714)이 형성된다. 상기 출력관(713)은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력관(714)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측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와 연결되는 배관의 연결 공간을 확보하고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hot water tank 71 is formed by join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ver 711 having a planar shape and the second cover 712 having an uneven shape. In addition, an output pipe 713 through which heated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71, and an input pipe 714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t water tank 71 to supply water for heating. The output tube 713 extends laterally to have an upward slope, and the input tube 714 extends laterally to have a downward slope. Therefore, to secure the connection space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71 and to facilitate the flow of water.

상기 출력관(713)에는 T커넥터(71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관(713)과 마주보는 상기 T커넥터(715)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와 연결되는 온수관(262)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T커넥터(715)의 다른 일측 즉, 상기 출력관(713)과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에는 세이프티 밸브(716)가 구비된다.The output connector 713 is connected to the T connector 715. The hot water pipe 262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369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 connector 715 facing the output pipe 713. In addition, a safety valve 71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 connector 715, that i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utput pipe 713, that is, in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는 상기 온수 탱크(71)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afety valve 716 is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when the hot water is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71, and prevents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71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by the steam. . The safety valve 716 may be configured to open at a set pressure,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o smoothly discharge steam in the hot water tank 71.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의 출구는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향하게 되며,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의 출구에는 실리콘 호스 및 추가의 증기 배관(7161)이 연결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와 연결된 증기 배관(7161)은 상기 베이스(13)를 따라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설치시 상기 증기 배관(7161)은 싱크나 배수 가능한 별도의 통으로 빼내어서 증기 또는 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of the safety valve 716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 and a silicone hose and an additional steam pipe 7141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afety valve 716. A steam pipe 7161 connected to the safety valve 716 extends out of the water purifier 1 along the base 13. Accordingly, when the water purifier 1 is installed, the steam pipe 7161 may be drained out into a separate sink or drainable tub to drain the steam or water generated by the steam.

상기 입력관(714)에도 T커넥터(717)가 연결되며, 상기 T커넥터(717)의 일측에는 엔드캡(7171)이 구비되어 상기 T커넥터(717) 일측의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T커넥터(717)의 하방으로 개구된 일측에는 체크 밸브(7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718)는 정수를 상기 입력관(714)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718)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엔드캡(7171)을 제거하게 될 경우 상기 입력관(714)을 통해서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 T connector 717 is also connected to the input tube 714, and an end cap 717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 connector 717 to shield an opening at one side of the T connector 717. A check valve 718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 connector 717 opened downward. The check valve 718 is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input pipe 714, and is formed to be open in the supply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end cap 7171 is removed while the check valve 718 is closed, water in the hot water tank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input pipe 714.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정수기(1)는 출하 전 상기 온수 탱크(71)에 물을 채우고 가열 성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의 완료 후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완전히 배수한 상태에서 출하를 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water purifier (1) is filled with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prior to shipping will test the heating performance. After completion of this test, the water is shipp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is completely drained.

따라서, 상기 엔드캡(7171)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테스트 후 출하시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비우기 위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체크 밸브(718)는 닫힌 상태이며, 상기 엔드캡(7171)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하단의 입력관(714)에 연결된 T커넥터(717)의 개구를 차폐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상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은 상기 엔드캡(7171)의 개방시 자중에 의해 모두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nd cap 7171 is opened to completely empty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at the time of shipment after the test of the hot water tank 71. At this time, the check valve 718 is in a closed state, the end cap (7171) has a structure that shields the opening of the T connector 717 connected to the input pipe 714 of the lower end of the hot water tank (71). Due to such a structural feature,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can be discharged by the self-weight upon opening of the end cap 7171.

물론 상기 엔드캡(7171)은 단순한 마개의 구조가 아닌 개폐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밸브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비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end cap (7171) may be configured as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rather than a simple stopper structure, it may be configured to empty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도 24는 온수탱크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4의 25-25' 단면도이다.24 is a front view of the hot water tank.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5-25 'of FIG. 24.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온수 탱크(71)는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의 테두리끼리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 1 커버(711)의 테두리와 제 2 커버(712)의 테두리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서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hot water tank 71 is formed by coupling the edges of the first cover 711 and the second cover 712 with each other. The edge of the first cover 711 and the edge of the second cover 7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to maintain airtightness.

상기 제 1 커버(711)는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도록 평판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711)는 발열을 위한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커버(711)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계열의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711)가 STS(STainless Steel, 한국공업규격) 439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ver 711 has a flat plate shape so as to generate heat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line formed by the working coil 72. The first cover 711 may be made of a suitable material for heat generation. The first cover 711 may be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and preferably may be made of four series of stainless materials. More preferably, the first cover 711 may be made of STS (Sainless Steel, Korea Industrial Standard) 439 material.

제 2 커버(712)는 제 1 커버(711)를 기준으로 워킹 코일(72)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자기력선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제 1 커버(711)에 비해 발열과의 관련성이 적다. 따라서 제 2 커버(712)는 발열 특성보다 내식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712)의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는 출력관(713)과 입력관(714)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관(713)과 입력관(714)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cover 71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ing coil 7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711 and has less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line, the second cover 712 has less relationship with heat generation than the first cover 71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ver 7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property rather than heat generation property. In addition, an output tube 713 and an input tube 714 are provided at the centers of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ver 712. The output tube 713 and the input tube 714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 2 커버(712)는 베이스 면(7121), 돌출부(71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면(7121), 돌출부(712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면(7121)을 갖는 제 2 커버(712)를 부분적으로 프레스 가공하면, 제 2 커버(712)에 돌출부(7122)가 성형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712 includes a base surface 7121 and a protrusion 7122. The base surface 7121 and the protrusion 712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press working. By partially pressing the second cover 712 having the base surface 7121, the protrusions 7122 can be formed on the second cover 712.

상기 베이스 면(7121)은 제 1 커버(7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커버(711)를 마주보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커버(71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122)는 베이스 면(7121)으로부터 제 1 커버(711)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의 접합시 상기 돌출부(7122)는 제 1 커버(711)에 접촉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122)의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surface 7121 faces the first cover 71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ver 7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ver 711 to form an inner space of the hot water tank 71. . In addition, the protrusion 7122 protrudes from the base surface 7121 toward the first cover 711, and the protrusion 7142 may be the first when the first cover 711 and the second cover 712 are bonded to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cover 711.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7122 may be inclined.

상기 돌출부(7122)는 상기 입력관(714)과 출력관(713)의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관(714)으로 유입되어 상기 출력관(713)으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분산시켜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part 7142 is positioned between the input tube 714 and the output tube 71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7142 are formed to disperse the flow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put tube 714 and discharged to the output tube 713. The residence time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can be lengthened.

상기 돌출부(7122)는 가로 돌출부(7124)와 세로 돌출부(7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돌출부(7123)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상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돌출부(7124)는 상기 세로 돌출부(7123)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The protrusion 7122 may be formed of a horizontal protrusion 7224 and a vertical protrusion 7123. The vertical protrusion 7123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t water tank 71. The horizontal protrusion 722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rotrusion 7123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돌출부(7122)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하나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동일한 개수만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7142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eferably, on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the same may be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ree is formed,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따라서, 상기 입력관(714)으로 유입되는 물은 하방의 상기 가로 돌출부(7124)와 부딪혀 분산되고, 상기 세로 돌출부(7123)를 따라서 유동된 후 다시 상방의 상기 가로 돌출부(7124)와 부딪혀 분산된 후 상기 출력관(713)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은 다수의 돌출부(7122)에서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put pipe 714 is dispersed by hitting the horizontal protrusion 7224 below, flows along the vertical protrusion 7123, and then strikes the horizontal protrusion 7152 upward and is dispersed. T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put pipe 713. And this action occurs simultaneously 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712).

이 과정에서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분산되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 지게 되어 더 가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전체에 고르게 퍼지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물의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is dispersed, so that the residence time in the hot water tank 71 becomes long, and thus it can be heated further. In addition, the water is evenly spread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71,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heating of water.

한편, 상기 복수의 돌출부(7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부(7122)에는 용접부(7125)가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7125)는 상기 돌출부(7122)와 같이 상기 제 1 커버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7125)의 위치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7125)와 상기 제 1 커버(711)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7122)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7122) is formed with a welding portion (7125). The welding part 7125 protrudes toward the first cover like the protrusion part 7142. Position of the weld portion 7125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71). In addition, the welding part 7125 and the first cover 711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상기 용접부(7125)를 제외한 다른 돌출부(7122)들은 상기 제 1 커버(711)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상기 제 1 커버(711)와 접촉하거나 인접한 상태인 반면, 상기 용접부(7125)는 상기 제 1 커버(711)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The protrusions 7122 other than the weld portion 7125 are not coupled to the first cover 711 by welding, and are simply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first cover 711, whereas the weld portion 7125 may be The first cover 711 is coupled to the state.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는 온수 가열시 발생되는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압력 상승에도 변형 및 파손되지 않고 상기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가 형태를 유지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hot water tank 71 is not deformed or damaged even when the pressure rises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generated when the hot water is heated, and the first cover 711 and the second cover 712 maintain their shape and are stab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도 26은 상기 정수기의 컨트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컨트롤 베이스(81)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후면을 차폐하는 제 1 컨트롤 커버(83)와, 전면을 차폐하는 제 2 컨트롤 커버(85) 그리고 측면을 차폐하는 제 3 컨트롤 커버(8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assembly 80 includes a control base 81, a first control cover 83 that shields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and a second control cover 85 that shields the front surface. And the outer shape may be formed by the third control cover 87 to shield the side.

상기 컨트롤 베이스(81)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유도 가열 피시비(84), 전원 공급 피시비(86) 및 엔에프시 피시비(8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ontrol base 81 may be mounted with the main PCB 82,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the power supply PCB 86, and the NFC PCB 88 constituting the control assembly 80. Provide space.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후면(도 27에서 우측면)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82)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면이 형성된다.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정수기(1)와 같은 물 공급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데,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압축기(51)와 쿨링 팬(53)을 비롯한 다수의 밸브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A first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main PCB 82 is moun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in FIG. 27) of the control base 81. The main PCB 8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a water supply such as the water purifier 1. For example, the main PCB 82 may control the driving of a plurality of valves, including the compressor 51 and the cooling fan 53.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1 장착면(811)에는 제 1 컨트롤 커버(83)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제 1 장착면(811)과 상기 제 1 컨트롤 커버(8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trol cover 83 is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811 of the control base 81 on which the main PCB 82 is mounted. The main PCB 82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mounting surface 811 and the first control cover 83.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도 27에서 좌측면)에는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면(812)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워킹 코일(72)의 유도 가열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데,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워킹 코일(72)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워킹 코일(72)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온수 탱크(71)가 발열되어 온수를 가열하게 된다.On the front surface (left side in FIG. 27) of the control base 81, a second mounting surface 812 on which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is mounted is formed.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controls the induction heating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72. For example,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controls the current to flow in the working coil 72, the hot water tank 71 is heated by the current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72 to heat the hot water.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2 장착면(812)에는 제 2 컨트롤 커버(85)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상기 제 2 장착면(812)과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control cover 85 is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812 of the control base 81 on which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is mounted.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mounting surface 812 and the second control cover 85.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전력 소모가 크며 이에 따라 고온의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의 냉각을 위해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에는 방열부재(8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에는 상기 방열부재(84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방열구(851)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PCB 84 consumes a lot of power, and thus high temperature heat may be generated. In order to cool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may be provided with a heat radiating member 841. The second control cover 85 may have a heat dissipation portion 85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at dissipation member 841.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에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브라켓 결합부(731)와 결합되는 결합 보스(8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보스(852)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 보스(852)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온의 상기 온수 탱크(71) 또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가 오작동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second control cover 85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boss 852 coupled to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The coupling boss 852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731. The coupling boss 852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maintain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second control cover 85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control assembly 80 is prevented from being malfunctioned or damaged by the hot water tank 71 or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having a high temperature.

상기 제 2 장착면(812)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 전체 중 일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 중 상기 제 2 장착면(812)의 상방에는 케이블 고정부(8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813)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상의 한쌍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돌기 사이를 다수의 피시비들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mounting surface 812 may form a partial region of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A cable fixing part 813 may be further formed above the second mounting surface 8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The cable fixing part 813 is formed by a pair of protrusions having an annular shape protruding forward, and allows the wir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CBs to be fixed through the pair of protrusions.

상기 제 2 장착면(812)의 측방에는 제 3 장착면(8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장착면(814)은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A third mounting surface 814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surface 812. The third mounting surface 814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the power supply PCB 86, and may be formed to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유도 가열 피시비(8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유도 가열을 위한 출력 전압은 매우 높기 때문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가열을 위한 출력 전압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은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피시비(82)에도 전원을 제공하게 되며, 다른 구성에도 보조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PCB 86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Since the output voltage for induction heating is very high, sufficient power must be supplied. Therefore, a separate power supply PCB 86 may be provided to supply a separate power to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to satisfy an output voltage for induction heating. The power supply PCB 86 may provide power to the main PCB 82 as well as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and may provide auxiliary power to other components.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3 장착면에는 제 3 컨트롤 커버(87)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상기 제 3 장착면(814)과 상기 제 3 컨트롤 커버(87)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control cover 87 is provided on the third mounting surface of the control base 81 on which the power supply PCB 86 is mounted. The power supply PCB 86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hird mounting surface 814 and the third control cover 87.

한편,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상단에는 제 4 장착면(8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장착면(81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엔에프시 피시비(8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Meanwhile, a fourth mounting surface 815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base 81. The fourth mounting surface 815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NFC PCB 88 can be mounted.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는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정수기(1)의 사용 정보나 동작 또는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1)의 설정을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FC PCB 88 is for exchanging data with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NFC PC 88 may transmit the usage information or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to the user's terminal, and the setting of the water purifier 1 may be manipulated using the terminal. .

예를 들어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로 정수와 냉수 온수의 사용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일간, 주간 또는 월간 사용량을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34)의 교체 주기 또는 냉수와 온수의 온도 등의 전보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NFC PC 88 may be used to deliver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hot water to the terminal, and may be used daily, weekly or monthly. In addition, the user may confirm through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a telegram such as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34 or the temperature of cold water and hot water.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냉수의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1회 취출되는 물의 양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타 정수기(1)의 설정들을 묶어서 상기 단말기를 엔에프시 피시비(88)와 인접하는 상기 탑 커버(14)의 특정 위치에 가져가는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사용자는 해당 위치에 상기 단말기를 얹어서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se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of the cold water through the terminal, and may set the amount of water drawn out once. The settings of the other water purifiers 1 may be bundled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by bringing the terminal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p cover 14 adjacent to the NFC PC 88. The top cover 14 may display a position wher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NFC PC 88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may place the terminal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NFC PC 88. can do.

한편,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모델에 따라 다양한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와 메인 피시비(82)는 그대로 사용을 하게 되지만, 정수와 냉수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와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에프시 기능이 생략된 모델에서는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생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assembly 8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options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water purifier (1). That is, the control base 81 and the main PCB 82 are used as they are, but when using only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water function,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and the power supply PCB 86 may be omitted. . In the model in which the NFC function is omitted, the NFC PCB 88 may be omitted.

이처럼, 상기 정수기는 하나의 상기 컨트롤 베이스(81) 상에 기능 모듈별로 피시비를 배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옵션에 따라서 해당하는 기능을 가지는 피시비를 상기 컨트롤 베이스(81) 상의 지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 내부의 공간 구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구성의 설계의 변경 없이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water purifi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CB is arranged for each functional module on one control base 81. Therefore, the PCB hav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option of the water purifier 1 can be mount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on the control base 81. Therefore, the spatial structure inside the water purifier 1 can be used in common, and various options can be selected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the existing configuration.

도 28은 상기 정수기의 쿨링 탱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쿨링 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도 29의 30-30'단면도이다.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tank of the water purifier.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tank. 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0-30 'of FIG.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쿨링 탱크(60)는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 하단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쿨링 탱크(60)는 전체적으로 탱크 바디(61)와 상기 탱크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탱크 커버(6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cooling tank 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condenser bracket 54 is mounted. The cooling tank 60 may be externally formed by a tank cover 62 covering the tank body 61 and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61 as a whole.

상기 탱크 바디(61)는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611)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재 바디(612)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는 수지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바디(612)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외측에 발포액이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ank body 61 includes an inner case 611 that forms a space in which coolant is filled, and an insulating body 612 that is formed outside the inner case 611. The inner case 611 may be injection-molded with a resin material, and the heat insulating body 612 may be formed by foaming a foam solu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611.

그리고, 상기 탱크 커버(62)는 상기 탱크 바디(61)의 개구를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출물로 형성된 이너 커버(621)와 상기 이너 커버(621)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재 커버(622)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nk cover 62 is formed to shield the opening of the tank body 61 from above, and the inner cover 621 formed of an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 622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cover 621. It can be composed of).

상기 탱크 커버(62)의 외관은 상기 탱크 바디(61)의 외관과 같이 단열재(612,6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63)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커버 외측으로 연결되는 증발기(63)의 배관은 피이(PE : Polyethylene)폼(631)과 같은 단열소재로 감싸 단열시키게 된다. 이때 팽창장치로 이용되는 모세관(55) 일부는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함께 감싸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exterior of the tank cover 62 may be formed by heat insulating materials 612 and 622, as the exterior of the tank body 61. In addition, the evaporator 63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tank cover 62, and a pipe of the evaporator 63 connected to the tank cover outside may be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foam (631). Wrapped and insulated.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capillary tube 55 used as the expansion device may be wrapp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pipe of the evaporator 63.

상기 쿨링 탱크(60)에는 냉수 온도센서(6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사이클의 작동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The cooling tank 60 may be provided with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i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예를 들어, 상기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보다 더 높게 되면 상기 정수기(1)의 냉동사이클이 작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낮춘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3)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611)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냉각된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water purifier 1 operat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he coolant stored in the inner case 611 is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63.

그리고,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정수기(1)의 냉동사이클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제 2 기준 온도는 제 1 기준 온도보다 낮다. 제 1 기준 온도와 제 2 기준 온도는 각각 냉동사이클의 작동과 정지를 위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는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한 온도 측정과 냉동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제 1 기준 온도와 제 2 기준 온도의 사이로 유지될 수 있다.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easured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water purifier 1 is stoppe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re respectively the reference for the operation and stop of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fore, the coolant stored in the inner case 611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by the temperature measurement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and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공간에는 쿨링 코일(64)이 수용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정수가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에 잠겨진 상태가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을 통과하는 정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가 가지는 열은 냉각수로 전달되며, 정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냉수가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41)와 출구부(642)는 상기 탱크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쿨링 탱크(60) 외부로 노출된다.The cooling coil 64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611. The cooling coil 64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es. The cooling coil 64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611 and is locked to the coolant.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coil 64 may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water. Therefore, the heat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cooling coil 64 is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becomes cold water within a short time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The cooling coil 6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to promote heat exchange. In addition, the inlet part 641 and the outlet part 642 of the cooling coil 64 pass through the tank cover 62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tank 60.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쿨링 코일(64)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6111)가 구비된다. 코일 지지부(6111)는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쿨링 코일(64)을 향해 돌출된다. 코일 지지부(6111)는 쿨링 코일(64)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6112)을 갖는다. 쿨링 코일(64)은 코일 지지부(6111)의 홈(6112)에 거치되며, 상기 코일 지지부(6111)에 의해 지지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611 is provided with a coil support 6111 for supporting the cooling coil 64. The coil support 6111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611 toward the cooling coil 64. The coil support 6111 has a groove 6112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oil 64. The cooling coil 64 is mounted in the groove 6112 of the coil support 6111 and is supported by the coil support 6111.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64)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면과는 이격될 수 있으며, 냉각수가 상기 쿨링 코일(64)의 하단과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되어 냉각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oling coil 6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611, and cooling water may flow through a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cooling coil 64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611. It is possible to smoothly circulate the cooling water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cooling coil 64 can be improved.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는 메쉬 부재(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증발기(63)와 상기 쿨링 코일(6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코일과 같은 형상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코일(64)보다 더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증발기(63)와 쿨링 코일(64)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63)를 지지하고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A mesh member 65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611. The mesh member 65 may be located between the evaporator 63 and the cooling coil 64. The evaporator 63 may flow into the inner case 611 to be wound in a coil-like shape,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cooling coil 64. In addition, the mesh member 6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63 and the cooling coil 64 to support the evaporator 63 and have a structure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cooling coil 64.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상단에는 상기 탱크 바디(61)와 상기 탱크 커버(62)의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한 가스켓(66)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gasket 66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case 611 to seal between the tank body 61 and the tank cover 62.

한편, 상기 탱크 커버(62)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 커버(621)에는 플러그(623)가 장착되는 플러그 장착부(6211)와 교반기(68)(agitator)의 동작을 위한 모터(67)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6212)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ver 621 which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cover 62 is equipped with a plug mounting portion 6211 on which the plug 623 is mounted and a motor 67 for the operation of the agitator 68. The motor mounting part 6212 may be formed.

상기 플러그(623)는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전선이 출입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이너 커버(62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623)는 벤딩되는 증발기(63) 배관 또는 전선이 상기 탱크 커버(62)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무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g 623 form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pipe and the wire of the evaporator 63 enter and exit, and prevent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pipe of the evaporator 63 and the inner cover 621 and maintain airtightness. The plug 623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so that the evaporator 63 pipe or wire to be bent is not damag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the tank cover 62.

상기 모터(67)는 이너 커버(621)의 중앙에 개구되는 모터 장착부(621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67)는 회전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모터(67)의 하방에 상기 교반기(68)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motor 67 is mounted to a motor mounting part 6212 open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cover 621. In addition, the motor 67 is disposed such that the rotating shaft faces downward so that the stirrer 68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tor 67.

상기 교반기(68)는 상기 모터(67)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냉각수의 내측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기(68)는 하단이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에 의한 물의 강제 유동시 상기 냉각수와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가 활발하게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irrer 68 may be rotated by the motor 67, and configured to extend downward to be immersed inside the cooling water. The stirrer 68 may extend so that the lower e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coil 64. Therefore, during the forced flow of water by the stirrer 68, the cooling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cooling coil 64 can be actively heat exchanged.

그리고, 상기 교반기(68)에는 다수의 블레이드(681)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681)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더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블레이드(681)의 하단에서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81)의 하부는 일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의 회전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물이 하방으로 강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서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lades 681 are formed in the stirrer 68, and the plurality of blades 681 ar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in particular, toward the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lade 681. It has a protruding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681 may be inclined to have a direction in one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stirrer 68 is rotated, water of the inner case 611 may be forced to flow downward, and circulation may be actively performed in the inner case 611.

상기 블레이드(681)는 상기 메쉬 부재(6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681)의 구동시 냉각수가 상기 메쉬 부재(65)를 통과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The blade 681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mesh member 65, and the coolant may be circul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member 65 when the blade 681 is driven.

도 31은 상기 메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도 28의 32-32' 단면도이다.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sh member. And FIG. 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2-32 'of FIG. 28.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쉬 부재(65)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구획부(651)와 상기 구획부(651) 중앙의 교반기 홀(6511)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5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와 연장부(652)는 모두 메쉬 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구멍으로 냉각수가 원활하게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sh member 65 may be injection-molded with a plastic material, and the partition part 651 crossing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611 and the stirrer hole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art 651. It may be configured as an extension 652 extending upward along 6511. In addition, the partition portion 651 and the extension portion 652 may both be formed in the shape of a mesh member and formed to allow the coolant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e plurality of holes.

상기 구획부(651)의 형상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획부 돌기(65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65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case 611 to partition the inner case 611 when the mesh member 65 is moun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6512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partition 651.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면에는 단턱(6113)과 돌기(6114)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구획부(651) 또는 상기 구획부 돌기(6512)가 상기 단턱(6113)과 돌기(6114)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611 is provided with a stepped jaw 6113 and a protrusion 6114. When the mesh member 65 is mounted, the partition portion 651 or the partition projection 6512 may be mounted between the stepped 6113 and the projection 6114, and the mesh member 65 may be mounted on the mesh member 65.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xed position inside the inner case 611.

상기 구획부(651)의 하면에는 하부 지지부(6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6513)는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쿨링 코일(64)이 삽입될 수 있는 홈(6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651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교차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메쉬 부재(65)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쿨링 코일(64) 상부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A lower support part 651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651. The lower support part 6613 is for accommodating an upper end of the cooling coil 64, and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and to form a groove 6714 into which the cooling coil 64 may be inserted. The lower support part 6513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the lower support part 6613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or crossing each other to prevent the mesh member 65 from tilting when the mesh member 65 is mounted. 64) prevent the flow of the upper portion.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의 상면에는 상부 지지부(65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6521)는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증발기(63)의 하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63)가 삽입될 수 있는 홈(652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pport part 650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651. The upper support part 6251 is for accommodating a lower end of the evaporator 63 wound in a coil shape, and may be formed with a groove 6652 extending upward and into which the evaporator 63 may be inserted.

상기 상부 지지부(6521)는 상기 연장부(652)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부(6513)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6521)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63)는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한다.The upper support part 6501 may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extension part 652, and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ower support part 6613. The evaporator 63 may be seated in a proper position by the upper support part 6251, and may not be flowed inside the inner case 611 and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상기 구획부(651)의 둘레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와 출구부(6517)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안내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 돌기(65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돌기(6515)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가 위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쿨링 코일(64)의 출구부(6517)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안내부의 일측에는 안내홈(651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6518)은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와 연결된 쿨링 코일(64)의 절곡된 부분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artition 651 may be formed with a coil guide part recessed inward to allow the inlet part 6616 and the outlet part 6517 of the cooling coil 64 to be positioned. 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6515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in the coil guide part. Therefore, the inlet part 6516 of the cooling coil 64 may be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utlet part 6517 of the cooling coil 64 at one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6515. In addition, a guide groove 651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il guide part. The guide groove 6518 is formed to allow a bent portion of the cooling coil 64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6516 of the cooling coil 64 to pass therethrough.

상기 구획부(651)의 상면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후크(65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후크(6519)는 상기 증발기(63)를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후크(6519)는 상기 증발기(63)의 권취된 부분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후크(6519)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63)의 권취된 부분의 가장 상단을 눌러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기(63)는 고정될 수 있으며 유동에 의한 소음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A fixing hook 6519 extending upwar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651. The fixing hook 6519 is formed to restrain the evaporator 63. The fixing hook 6519 extends upward from an outer side of the wound portion of the evaporator 63, and an upper end of the fixing hook 6519 presses and restrain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wound portion of the evaporator 63. . Therefore, the evaporator 63 may be fixed inside the inner case 611 and noise or breakage due to flow is not generated.

상기 연장부(652)는 상기 구획부(651) 중앙의 교반기 홀(6511)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652)의 내부 공간을 상기 교반기(68)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52)는 상기 구획부(651)에서 상기 모터(67)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52)는 상하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6523)가 연속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냉각수의 통과가 가능하지만 이물은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extension part 652 is formed along the stirrer hole 6511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part 651, and is formed to allow the stirrer 68 to pas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extension part 652.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652 may extend from the partition part 651 to the motor 67.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652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ribs (6523) extending up and down continuously spaced apart to allow the passage of the cooling water, but blocking the foreign matter.

따라서, 상기 구획부(651) 및 연장부(652)에 의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증발기(63)가 위치되는 영역과 상기 증발기(63)의 하부 영역 즉, 상기 쿨링 코일(64)이 위치되는 영역이 구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권취된 상태의 상기 증발기(63)는 상기 연장부(65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블레이드(681)는 상기 연장부(65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611 is defined by the partition 651 and the extension 652 in the region where the evaporator 63 is located and the lower region of the evaporator 63, that is, the cooling coil ( The area where 64 is located can be partitioned. In addition, the evaporator 63 in the wound state is positioned outside the extension 652, and the blade 681 is positioned inside the extension 652.

한편,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63)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증발기(63) 주변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교반기(68)의 회전에 의한 냉각수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63)에 결빙된 얼음 중 일부가 떨어져 나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메쉬 부재(65)에 의해 상기 증발기(63) 주변의 얼음은 상기 메쉬 부재(65)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결국 상기 증발기(63) 주변의 얼음이 상기 교반기(68)와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얼음이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5)에 의해 얼음이 유동하여 상기 쿨링 코일(64)과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순환하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freezing may be generated around the evaporator 63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63 while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to cool the cooling water, and the coolant may be rotated by the stirrer 68. Some of the ice frozen in the evaporator 63 may fall off during the circulation process. However, the ice around the evaporator 63 is blocked by the mesh member 65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esh member 65. As a result, the ice around the evaporator 63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stirrer 68.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irrer 68 from being broken and to prevent noise generated when the ice is hit. In addition, ice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mesh member 65 and colliding with the cooling coil 64, and the circulating inside of the inner case 611 with cooling wat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Will be.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에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밸브(69)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 밸브(69)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저면은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거나 함몰 형성되는 배수부(6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6115)는 배수 밸브(69)와 연통되어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60 is provided with a drain valve 69 for draining the cooling water. The drain valve 69 allows the coolant stored in the inner case 611 to be periodically replaced. In addition, a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ase 611 is formed with a drainage portion 6115 at least partially inclined or recessed. In addition, the drainage part 6115 may communicate with the drain valve 69 so that the coolant in the cooling tank 60 may be smoothly drained.

상기 배수 밸브(69)는 이너 케이스(611)에 연결된다. 배수 밸브(69)는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너 케이스(611)로부터 돌출된다.The drain valve 69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611. The drain valve 69 protrudes from the inner case 611 to form a discharge flow path of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inner case 611.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하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배수 유로부(6116)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 유로부(6116)는 상기 배수 밸브(69)와 연결된다. 배수 밸브(69)는 정수기(1)의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냉각수 배수 유로부(6116)가 배수 밸브(69)에 삽입되면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밸브는 밸브 고정부(6117)에 의해 고정된다. 배수 밸브(69) 및 밸브 고정부(6117)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A drain passage 616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611 to protrude, and the drain passage 6161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69. Since the drain valve 69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 when the coolant drain channel 661 is inserted into the drain valve 69, a flow path capable of draining the coolant stored in the inner case 611. Is formed. The drain valve is fixed by the valve fixing part 6171.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in valve 69 and the valve fixing portion 6171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배수 밸브(69)는 상기 단열재 바디(612)에 의해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밸브(69)의 단부가 상기 단열재 바디(6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밸브(69)는 단열 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밸브(69)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The drain valve 69 may be embedded and fixed by the heat insulating body 612, and an end of the drain valve 69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body 612 to be externally accessible. Therefore, the drain valve 69 may be insulated and prevents dew from form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valve 69.

도 33은 상기 정수기의 배수 밸브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5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of the water purifier. And, Figure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And, Figure 3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611)는 상기 배수 밸브(69)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밸브 고정부(6117)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고정부(6117)는 배수 밸브(69)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상기 밸브 고정부(6117)는 배수 밸브(69)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case 611 includes a valve fixing portion 6171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drain valve 69. The valve fixing portion 6171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valve 69. The valve fixing part 617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drain valve 69.

상기 밸브 고정부(6117)의 내측에는 실링부재(691)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를 연결시키고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 sealing member 691 is provided inside the valve fixing part 6171. The sealing member 691 is formed to surrou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ner case 611 and the drain valve 69. The sealing member 691 serves to connect and seal the inner case 611 and the drain valve 69. Therefore, the sealing member 691 prevents the cooling water from leaking through a gap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ner case 611 and the drain valve 69.

한편, 배수 밸브(69)는 밸브 하우징(692), 밸브시트(694), 탄성부재(695), 제 1 오링(693), 제 2 오링(696)을 포함한다.The drain valve 69 includes a valve housing 692, a valve seat 694, an elastic member 695, a first O-ring 693, and a second O-ring 696.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배수 밸브(69)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중공부를 구비한다. 중공부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유로에 해당하며 상기 밸브시트(694), 탄성부재(695) 등을 수용하는 공간에 해당한다.The valve housing 692 forms the appearance of the drain valve 69. The valve housing 692 has a hollow portion. The hollow part corresponds to a drain flow path for draining the coolant and corresponds to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valve seat 694, the elastic member 695, and the like.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제 1 하우징(6921)과 제 2 하우징(69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694)는 밸브 하우징(69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시트(694)는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배수 밸브(69)의 배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The valve housing 692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housing 6921 and the second housing 6922. The valve seat 694 is disposed inside the valve housing 692. The valve seat 694 receives a pressing operation from the user.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flow path of the drain valve 69.

상기 배수 유로의 개방은 상기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개방될 수도 있지만, 상기 냉각수가 완전히 배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방될 수도 있다. The opening of the drain passage may be open for drainage of the cooling water, but may be opened to fill the cooling water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water is completely drained.

상기 제 1 오링(693)은 밸브시트(694)와 제 1 하우징(6921) 사이를 실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링(693)은 밸브시트(694)에 결합되며, 탄성부재(69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부재(695)는 밸브시트(694)를 제 1 하우징(6921)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695)는 상기 제 2 하우징(6922)에 의해 지지된다.The first O-ring 693 seals between the valve seat 694 and the first housing 6921. The first O-ring 693 is coupled to the valve seat 694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695. The elastic member 695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closely contacting the valve seat 694 with the first housing 6921. The elastic member 695 is supported by the second housing 6922.

상기 제 2 오링(696)은 상기 제 1 하우징(6921)과 제 2 하우징(6922)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 2 오링(696)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O-ring 696 seal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housing 6921 and the second housing 6922. The second o-ring 696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도 36은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에 압축기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7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36 is a view illustrating a compressor bracket mounted on the base of the water purifier. 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tra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는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5)과 프론트 커버(11)와 리어 커버(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ase 13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 And the base 13 is formed so that the circumference is extended upward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side panel 15, the front cover 11 and the rear cover 12.

상기 베이스(1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레그(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131)는 상기 베이스(13)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의 하면 전체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3)의 하면을 통한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Legs 131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base 13. A plurality of legs 131 may be formed in the base 13, and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refore,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3 can be easily made.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에 회전링(9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90)는 회전링(91)의 전방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91)과 연결되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ring 9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half of the base 13. The tray 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front side of the rotary ring 9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tary ring 91 and rota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는 베이스(13)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와 로어 커버(112)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90)의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링(91)과 결합된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half of the base 13 is stepped lower than the second half of the base 13.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base 13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ver 1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ray 9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is left and right coupled to the rotating ring 91. Can be rotated laterally.

또한,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90)의 회전시 스토퍼(1301)가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9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1301)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the base 13 becomes the stopper 1301 during the rotation of the tray 90.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tray 9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301 when the tray 90 is rotated, and the rotation of the tray 90 may be limited.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스토퍼(1301)에는 상기 트레이(90)가 상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방지부(1302)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1302)는 상기 트레이(9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90)의 후단부 양측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1301 of the base 13 is formed with a flow preventing part 1302 extending forward to prevent the tray 90 from flowing up and down. The flow preventing part 1302 is formed to restrai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ray 90 while the tray 90 is rotated.

상기 베이스(13)의 내부에는 회전 안내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안내부(132)는 베이스(13)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회전 안내부(1321)와 제 2 회전 안내부(13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안내부(1321)가 제 2 회전 안내부(1322)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회전 안내부(1321)와 제 2 회전 안내부(1322)는 베이스(13)의 저면에서 일정한 곡률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링(9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132)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tation guide 132 is provided inside the base 13. The rotation guide 132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guide 1321 and a second rotation guide 1322 concentrically disposed on the base 13. The first rotation guide 1321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rotation guide 1322. The first rotation guide portion 1321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32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13 at a constant curvatur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ring 91. The rotation guide 1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may have an arc shape.

상기 회전링(91)은 회전 안내부(132)에 의해 안내되어 베이스(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이(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링(91)은 외측링부(911), 내측링부(912) 및 링 이음부(91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ry ring 91 is guided by the rotation guide 132 to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3, and serves to support the tray 90. The rotary ring 91 may be composed of an outer ring part 911, an inner ring part 912, and a ring joint 913.

상기 외측링부(911)는 회전링(91)의 외부 골격 및 형태를 이룬다. 외측링부(9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부(911)의 일부가 제 1 회전 안내부(1321)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 1 회전 안내부(1321)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outer ring portion 911 forms the outer skeleton and shape of the rotary ring (91). The outer ring part 9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art of the outer ring part 911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guide part 1321, and is rotatably mounted along the first rotation guide part 1321.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912)는 상기 외측링부(911)의 내부에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링부(9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2 회전 안내부(1322)의 일부 및 다른 일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정수기 및 베이스(13)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In addition, the inner ring portion 912 is disposed to have concentricity inside the outer ring portion 911. The inner ring part 912 has a circular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rotation guide part 132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base 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restricted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Guided by the portion 1322 is rotatably mounted in place.

상기 외측링부(911)에는 트레이(9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트레이 장착부(914)가 구비된다. 트레이 장착부(914)는 상기 트레이(90)의 트레이 결합부(96)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수용홀(9141)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홀(9141)은 트레이 결합부(96)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수용홀(9141)을 통해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 결합된다. The outer ring portion 911 is provided with a tray mounting portion 914 on one side for coupling with the tray 90. The tray mounting portion 914 includes a receiving hole 9141 of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of the tray 90. The receiving hole 9141 is ope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tray coupling part 96, so that the tray coupling part 96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ray mounting part 914 through the receiving hole 9141.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를 감싸서 상기 트레이 결합부(96)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를 지지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는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When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is inserted into the tray mounting portion 914, the tray mounting portion 914 surrounds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The tray coupling part 96 supports the tray coupling part 96 so that the tray coupling part 96 does not mov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However,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the tray mounting portion 914 may be inserted and withdrawn.

한편,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측에는 돌기(9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96)에는 체결홈(961)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9142)가 상기 체결홈(961)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90)가 상기 회전링(91)에 장착되는 상태를 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의 장착시 상기 돌기(9142)와 체결홈(961)이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트레이(90)가 상기 회전링(91)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3)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otrusions 9142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mounting portion 914. 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961 is formed in the tray coupling part 96 so that the protrusion 9422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961 when the tray coupling part 96 is inserted into the tray mounting part 914. Coupled to allow the tray 90 to be mounted on the rotary ring 91. In addition, when the tray 90 is mounted, the protrusion 9422 and the fastening groove 961 may be easily recognized. As the tray coupling part 96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ray mounting part 914, the tray 9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ring 91 to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ase 13.

한편,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는 이탈방지돌기(1323)가 형성되어, 회전링(91)이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1323)의 상단부는 내측링부(912)의 상면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가 회전될 때 회전링(91)이 상방향으로 들림에 따라 회전링(91)이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9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322 is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1323, to prevent the rotation ring 9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otation guide portion 1322. An upper end portion of 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1323 i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caught by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art 912. Therefore, as the rotary ring 91 is lifted upward when the tray 9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ry ring 9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otation guide 1322, and the tray 90 The rotation of the can be kept stab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11)는 상기 케이스(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파지부(1121)가 형성(도 2,3 참조)되고, 상기 회전링(91)에는 상기 파지부(1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파지홈(9143)이 형성(도 36,37참조)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121)와 파지홈(9143) 사이로 상기 프론트 커버(11)를 파지한 뒤, 프론트 커버(11)를 케이스(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트레이(90)를 분리한 뒤, 프론트 커버(11)를 분리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cover 1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1121 bent convex forward (Fig. 2, 3), the rotary ring 91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9143) inwardly conca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ortion 1121 (see Figs. 36, 37), the user is holding the holding portion 1121 After holding the front cover 11 between the and gripping grooves 9143, the front cover 11 may be separated from the case 10. At this time, after removing the tray 90, the front cover 11 is removed.

또한, 필터브라켓(30)의 저면부(31)에도 상기 파지부(1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파지홈(311)이 형성(도 2,3 참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ipping groove 311 concave inwardly may be formed in a bottom portion 31 of the filter bracket 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portion 1121 (see FIGS. 2 and 3).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 중앙에는 감압 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압 밸브(133)는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정수작업을 원할하게 하고 취출시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압 밸브(133)는 상기 회전링(91)의 장착시 상기 내측링부(912)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A pressure reducing valve 133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alf of the base 13.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adjusts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o smooth the water purification work and to control the water pressure at the time of taking out.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is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inner ring portion 912 when the rotary ring 91 is mounted to enable efficient use of space.

상기 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축기(51)가 장착되는 마운팅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134)는 상기 압축기(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34)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저면 네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34)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안착 후 하방에서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압축기(5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13, a mounting portion 134 on which the compressor 51 is mounted is formed. The mounting part 134 may protrude upward to support the compressor 51. In addition, four mounting parts 134 may be provided, and four bottom edges of the compressor 51 may be supported. In addition, a nu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134, and is configured to fasten the compressor 51 by fastening a screw downward from the seat of the compressor 51.

상기 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135)이 더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135)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운팅부(13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기(51)를 경유하면서 상기 압축기(51)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35)은 상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A suction grill 135 is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13.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grille 135 may be located between the mounting units 134 and may be positioned below the compressor 51. 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water purifier 1 can cool the compressor 51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51. The suction grill 135 is formed in the lattice shape, and forms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outside.

상기 흡입 그릴(135)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52)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54)이 배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상기 베이스(13)의 후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541)와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위치되는 탱크 장착부(542)로 구성될 수 있다.A condenser bracket 5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135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52. The condenser bracket 54 is loc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base 13. The condenser bracket 54 may include a condenser mounting part 541 fixed to the base 13 and a tank mounting part 542 positioned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는 쿨링 팬(53)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 팬(53)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135)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압축기(51) 및 응축기(52)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구(121)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후면은 상기 토출구(121)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정수기(1)의 토출구(121)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cooling fan 5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e cooling fan 53 sucks outside air through the suction grille 135 to cool the compressor 51 and the condenser 52, and discharges the same to the discharge port 121.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is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121. Therefore, the condenser 52 accommodated insid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1 of the water purifier 1.

상기 베이스(13)의 후단에는 전원 코드(136)가 고정되는 코드 장착부(13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장착부(1303)에서 상기 베이스(13)의 중간 부분까지 코드 안내부(130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코드(136)는 상기 코드 안내부(1304)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연결된다.The rear end of the base 13 is formed with a cord mounting portion 1303 to which the power cord 136 is fixed. A cord guide 1304 is formed from the cord mounter 1303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se 13. Accordingly, the power cord 136 may be moved along the cord guide 1304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assembly 80.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후단에는 입수관(360)(도 42 참조)이 유입되는 입수관 출입구(1305)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 출입구(1305)를 통해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입수관(360)이 유입된다. 상기 입수관(360)의 단부는 상기 감압 밸브(133)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360)의 절곡되는 일부 구간에는 상기 입수관(360)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가이드(36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360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360)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튜브 가이드(3601)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가 유동되는 배관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let pipe entrance 1305 through which an inlet pipe 360 (see FIG. 42) flows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ase 13, and an inlet pipe 36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inlet pipe entrance 1305. It flows in. An end of the inlet pipe 360 may extend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inlet pipe 36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ube guide 3601 for preventing the inlet pipe 360 is folded. The tube guide 3601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guides the inlet pipe 360 so as not to be bent or folded excessively. The tube guide 3601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

도 38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9는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ray of the water purifier. 39 is a view showing the full water level state of the tra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트레이(9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바디(92)와, 트레이 바디(92)의 상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커버(93)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ay 90 may include a tray body 92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tray cover 93 detachably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92. Can be.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잔수를 저장한다.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가장자리부는 트레이 커버(93)의 테두리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 트레이 커버(93)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921)가 구비될 수 있다.A storage space is recessed downward in the tray body 92 to store residual water therein. The edge portion of the tray body 92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side of the tray cover 93. In addition, a support part 921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cover 93 may be provided in the tray body 92.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저면에는 함몰부(922)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922)는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1)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여 상기 트레이(9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가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시 정수기(1)의 설치되는 지면에서 처짐 발생 없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A depression 9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ray body 92. The depression 92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ray body 92, and contacts the ground on which the water purifier 1 is install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tray 90. Therefore, when the tray 9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ray 90 may be supported at a constant height without sagging in the ground on which the water purifier 1 is installed.

한편, 상기 함몰부(922)는 플로터(9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터(9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922)의 내측에 상기 플로터(94)가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pression 922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lotter 94 to accommodate the plotter 94. Therefore, the plotter 94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recess 922 to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상기 플로터(94)는 플로팅부(941)와 인디게이터(942) 그리고 캡(9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941)는 상기 함몰부(922)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otter 94 may include a floating unit 941, an indicator 942, and a cap 943. The floating portion 941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cess 922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float on water by buoyancy.

그리고, 상기 플로팅부(941)의 상단에는 인디게이터(9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캡(943)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9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디게이터(9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941)와 캡(943)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93)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dicator 942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loating part 941, a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floating part 941 by the cap 943. The indicator 94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floating portion 941, the cap 943, and the tray cover 93.

그리고, 상기 캡(943)은 상기 플로터(94)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 커버(93)로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943)은 상기 트레이 커버(93)로 노출되는 노출부(9431)와 상기 노출부(94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943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9431)는 상기 인디게이터(942)의 직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9432)는 상기 인디게이터(942)를 관통하여 상기 플로터(94)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The cap 943 forms an upper end of the plotter 94 and forms a portion exposed by the tray cover 93. The cap 943 may be formed of an exposed portion 9431 exposed through the tray cover 93 and a through portion 94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xposed portion 9431. The exposed portion 9431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iameter of the indicator 942. In addition, the through part 9432 may penetrate the indicator 942 and be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plotter 94.

상기 트레이(9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캡(943)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거나 만수위가 되면 상기 플로팅부(941)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캡(943)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tray 90 is not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943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93 or further below. In addition, when the tray 90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or becomes full, the floating portion 941 is raised by buoyancy, and the cap 943 may also protrude more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93. Will be.

이때, 도 39와 같이 상기 플로팅부(941)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인디게이터(942)가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디게이터(942)의 색상이 식별되면 만수위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트레이(90)를 분리하여 저장된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loating part 941 is fully raised as shown in FIG. 39, the indicator 942 protrudes upwar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cover 93. Therefore, when the color of the indicator 942 is identifi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full water level, and can separate the tray 90 to empty the stored water.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후방면과 트레이 커버(93)의 후단에는 오목부(923)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923)가 회전링(91)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후단이 상기 회전링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ar surface of the tray body 92 and the rear end of the tray cover 93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933 is concave in an arc shape, so that the concave portion 923 surrounds a part of the rotary ring 91 The rear end of the tray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ring.

또한, 트레이 바디(92)의 후단 양측에는 돌출부(95)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95)의 외측면은 트레이 바디(92)의 일 측면에서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90)와 회전링(91)의 연결 부위를 가려주게 된다. In addition, protrusions 95 ar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ray body 92.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95 is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plane on one side of the tray body 92,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y 90 and the rotary ring 91.

특히,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시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으로부터 이어지는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90)의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orm the appearance in a shape that continues fro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formed roundly even when the tray 90 is rotated. Therefore, the appearance may be beautiful regardless of whether the tray 90 is rotated.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와 회전링(91)의 결합을 위해 트레이 바디(92)의 오목부에의 중앙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는 상기 트레이(90)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coupling portion 96 protrudes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e recess of the tray body 92 for coupling the tray 90 and the rotary ring 91. The tray coupling part 96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ray mounting part 914 when the tray 90 is mounted.

한편,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복수의 슬릿(931)이 형성되어, 잔수가 슬릿(931)을 통해 트레이 바디(92)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잔수가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서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lits 931 are formed in the tray cover 93 so that residual water may flow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tray body 92 through the slits 931, and the residual water may flow into the tray body 92. To prevent it from popping out.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인디게이팅 홀(93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은 상기 플로터(94)의 캡(94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캡(94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터(94)의 승강시 상기 캡(943)은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을 통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가 만수될 때 상기 인디게이터(942)는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만수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An indicator hole 932 is further formed in the tray cover 93. The indicator hole 9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p 943 of the plotter 94 and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ap 943. Therefore, the cap 943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indicator hole 932 when the floater 94 is elevated. In addition, when the tray 90 is full, the indicator 9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dicator hole 932 to display the full water situation to the user.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집수홀(9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홀(933)은 상기 출수 노즐(25)의 수직 하방에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에 컵과 같은 용기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취출될 때 낙하되는 물은 상기 집수홀(933)을 통과하여 상기 트레이(90)에 직접 집수된다.A collecting hole 933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tray cover 93. The water collecting hole 933 is opened vertically below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Therefore, when water is taken out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not placed in the tray 90, the water falling is directly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ng hole 933 to the tray 90.

도 40은 상기 정수기의 응축기 브라켓과 송풍팬 그리고 응축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1은 상기 정수기의 냉각 공기 유동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4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denser bracket, the blower fan, and the condenser of the water purifier. 4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air flow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하부에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가 형성되고, 상부에 탱크 장착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denser bracket 54 may be formed with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on the lower portion, the tank mounting portion 54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하단에는 브라켓 장착부(1307)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며,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게 된다. A bracket mounting part 1307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e bracket mounting part is supported on the base, and the screw is fastened to fix the condenser bracket.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응축기(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응축기 지지부(921)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응축기 지지부(9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바닥과 이격되며 냉각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is formed to op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52 therein. The condenser support part 92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e condenser 52 is supported by the condenser support 92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flow of cooling air to promote heat exchange.

상기 응축기(52)는 판상의 튜브(521)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판상의 튜브의 사이에는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된 열교환판(522)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521)의 양단에는 다수의 튜브(521)와 연통되는 헤더(523)가 구비된다. 상기 헤더(523)에는 상기 압축기(51) 및 증발기(63)측과 연결되는 냉매 배관이 접속될 수 있으며, 냉매가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52)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The condenser 52 is formed by bending a plate-like tube 521 a plurality of times,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 heat-exchange plate 522 continuously bent between the plate-shaped tubes is disposed. And, both ends of the tube 521 is provided with a header 523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tubes 521. A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51 and the evaporator 63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header 523, and the refrigerant may circulate the refrigeration cycle. Accordingly, the condenser 52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in the compact size and accommodated in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는 상기 쿨링 팬(53)의 장착을 위한 고정부재(543)가 삽입되는 고정 홀(5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5411)은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전면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쿨링 팬(53)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다.The fron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may be formed with a fixing hole (5411)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543 is inserted for mounting the cooling fan 53. The fixing hole 5411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and the fixing member 543 fixes four corners of the cooling fan 53.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쿨링 팬(53)의 구동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고정 홀(54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543)의 둘레를 따라서 한쌍의 걸림부(54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431)의 형상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543)의 삽입 장착이 용이하고 상기 쿨링 팬(53)이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43)의 전단은 상기 쿨링 팬(53)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삽입구(531)에 삽입되어 상기 쿨링 팬(53)이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member 54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 so as to absorb vibrations when the cooling fan 53 is driven. The fixing member 543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locking portions 553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member 543 so that the fixing member 543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5411.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543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fixing member 543 can easily be inserted and mounted, and the cooling fan 53 is not easily removed.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fixing member 54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31 formed at the corner of the cooling fan 53 to allow the cooling fan 53 to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쿨링 탱크(60)의 단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둘레를 따라 테두리(5421)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5421)의 내측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부가 삽입된다.The tank mounting portion 542 is positioned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ortion 541 and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cooling tank 60 so as to accommodate a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60. The tank mounting portion 542 has an edge 5251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n inner side of the edge 5251 forms a predetermined space to insert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60.

그리고, 상기 테두리(5421)에는 상기 배수 밸브(69)가 통과되는 배수 홀(5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5422)은 상기 리어 커버(12)의 제거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밸브(6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배수 또는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drain hole 5542 through which the drain valve 69 passes may be formed at the edge 5421. The drain hole 5542 is exposed when the rear cover 12 is removed. Therefore, the drain valve 69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able drainage or filling of the cooling water.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 즉, 상기 쿨링 팬(53)의 상방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의 일단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5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는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 plate support part 5253 supporting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35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at is, above the cooling fan 53.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 35 may be fixed to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condenser bracket 54, and provide a mounting space of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물 취출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ater extrac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42는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43은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4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 path of water in the water purifier. 4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수기(1)의 입수관(360)은 수도와 연결되어 원수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입수관(360)은 상기 감압 밸브(133)와 연결되며, 상기 감압 밸브(133)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inlet pipe 360 of the water purifier 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receives raw water. The inlet pipe 360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and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is reduced in pressure to be set for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상기 감압 밸브(133)와 상기 필터(34)를 연결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필터(34)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34)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361)의 개방에 의해 정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361)를 지나 유량 센서(363)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Then, the decompressed raw water flows to the filter 34 along the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and the filter 34.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4 is purifi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s the water supply valve 361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361 along the pipe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low sensor 363.

이때, 상기 급수 밸브(361)와 유량 센서(363)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36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감지된 유량이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전달되어 상기 정수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valve 361 and the flow sensor 363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82,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water supply valve 36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PCB 82. do.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flow sensor 363 may be transferred to the main PCB 82 and used as data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er.

상기 유량 센서(363)를 통과한 정수는 분지관(364)을 통해서 냉정수측(3641)과 온수측(3642)으로 분지될 수 있다. 냉정수측(3641)의 배관으로 유동되는 정수는 T커넥터(365)에 의해 재차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으로 분지되어 각각 냉수 출수밸브(366)와 정수 출수밸브(367)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와 냉수 출수밸브(366)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되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와 냉수 출수밸브(366)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 될 수 있다다.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sensor 363 may be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3641 and the hot water side 3642 through the branch pipe 364.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pipe on the cold water side 3641 is again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3651 and the purified water side 3652 by the T connector 365 a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outlet valve 366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respectively. do.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367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366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82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s discharged. That i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367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366 may be selected by the user's setting, and the selected valve may be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take-out button 41 to extract water.

한편, 상기 냉수 출수밸브(366)를 통과한 물은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쿨링 코일(64)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 되며,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된다.Meanwhil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366 passes through the cooling coil 64 inside the cooling tank 60. The water flowing along the cooling coil 64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60, and for this purpose, the cooling water is cooled to maintain a set temperature.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된 상기 압축기(51)가 구동된다.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은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1)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51)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The compressor 51 connected to the main PCB 82 is driven to cool the coolant.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51 may be determined by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601 provided in the cooling tank 60. Therefore, the coolant can always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the drive of the compressor 51 can be adjusted for this purpose. The compressor 51 may adjust the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load required by the inverter compressor, the cooling capacity can be adjusted. That is, the compressor 51 may be driven by an inverter control and cool the cooling water at an optimum efficiency.

한편, 상기 압축기(51)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동작을 강제 오프(OFF)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수의 소비가 적은 동계나 절전이 필요한 시기, 또는 냉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강제로 상기 압축기(51)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 51 may be set to a force off (OFF) state by the use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40. It is possible to force the compressor 51 to be in the off state when the cold consumption is low, the time when power saving is required, or when the cold water is not desired.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은 물론 상기 쿨링 팬(5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모터(67)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모터(67)는 냉각수와 상기 쿨링 코일(64)을 통과하는 냉수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구동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모터(67)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반기(68)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에서 강제 대류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ain PCB 82 controls not only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51 but also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53. In addition, the main PCB 82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67. The motor 67 is driven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cooling water and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coil 64 and is controlled by the main PCB 82. The stirrer 68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67, the cooling water can be forced convection in the cooling tank 60, to effectively cool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cooling coil 64 do.

상기 쿨링 탱크(60)를 지난 냉수는 상기 T커넥터(26)를 통해 상기 출수관(261)으로 유입되며, 상기 출수관(261)을 통과하는 냉수는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tank 60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outlet pipe 261 through the T connector 26, and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261 is taken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25. It becomes possible.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T커넥터(26)를 통해 상기 출수관(261)으로 유입되며, 상기 출수관(261)을 지나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flows into the outlet pipe 261 through the T connector 26 and passes through the outlet pipe 261. It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5.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취출을 선택한 경우 정수는 상기 분지관(364)의 온수측(364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8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가 개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를 통해서 유동되는 물은 온수의 가열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된다. 즉,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 탱크(71) 측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ot water withdrawal, the purified water may be flowed to the hot water side 3542 of the branch pipe (364). The flow rate control valve 368 is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main PCB 82,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valve 368 is adjusted to a flow rate suitable for heating the hot water. That is,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71 is adjusted to allow the water to be heated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를 지난 정수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워킹 코일(72)의 자기력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368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And, it can be heated to a temperature se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hot water tank (71). The hot water tank 71 may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he outpu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working coil 72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을 위해서는 메인 피시비(82)에 비해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고전압의 공급을 위해 전원선과 연결된 전원 공급 피시비(8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도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In order to driv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 higher voltage is required than the main PCB 82, and power is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PCB 86 connected to a power line to supply the high voltage. The power supply PCB 86 supplies suitable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driven, and also supplies suitable power to the main PCB 82.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369)에는 온수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온도센서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입력되는 온수 온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워킹 코일(72)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71 may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by driv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The hot water outlet valve 369 may be provid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to the main PCB 82. In addition, the main PCB 82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72 based on the input hot water temperature data.

또한, 상기 온수 탱크(71)의 외측에 구비되는 온수온도센서(761)에 의해 온수 탱크(71) 자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온수온도센서(761)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퓨즈(762)를 단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피시비에는 오엘피(OLP:Over Load Protection)(51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오엘피(511)는 상기 압축기(51)의 과부하 발생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압축기(51)를 보호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71 itself may be sens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provided outside the hot water tank 71. When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761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a fire may be generated,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PCB 82 to short-circuit the fuse 762. An OLP (51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and the OLP 511 may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compressor 51 is overloaded to protect the compressor 51. do.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이상 동작에 의해 상기 퓨즈(762)가 단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로부터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가 과열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fuse 762 is short-circuited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CB 86 to the induction heating PCB 84 is cut off to induc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 To prevent overheating and breakage.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여 가열된 상기 온수는 상기 온수관(262)을 통해 상기 출수 노즐(25)로 유동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71 by the hot water discharge valve 369 is flow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through the hot water pipe 262 to be taken out.

한편,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물이 취출될 때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출수부(20)의 엘이디(2821)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의해 상기 출수부(20) 하방이 밝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s take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take-out button 41, the LED (2821)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may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unit PCB 43. By turning on the LED, the water outlet portion 20 may be revealed below.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의 점등 색상을 통해서 상기 필터(34)의 상태 또는 교환주기를 인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PCB 43 is a state of the filter 34 through the lighting color of the switch LED 434 irradiated through the ejection button 41 irrespective of whether the ejection button 41 is operated. Alternatively, the exchange cycle may be recognized.

또한,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정도는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로 정보 및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or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f the user through the NFC PC 88 to be displayed. In addi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NFC PC 88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water purifier 1 may be driven us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예컨데, 사용자는 휴대전화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상기 필터(34) 수명 그리고 상기 정수기(1)의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서 상기 정수기(1)의 냉수 모드를 끄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등 기타 정수기(1)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user can check information such as the life of the filter 34 and the usage pattern of the water purifier 1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and the power saving mode of turning off the cold water mode of the water purifier 1 through the app. The operation of the other water purifier 1 can be set.

한편, 상기 정수기(1)의 사용 중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냉각수를 채워 넣을 수 있다. Meanwhile, during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1,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60 may be drained and filled with new cooling water.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수의 교체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placement process of the cooling wa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4는 상기 정수기의 냉각수 교체 작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5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water replacement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4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청결 상태 유지를 위해서는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일정 주기마다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상기 배수 밸브(69)를 노출시킨 후 상기 배수 밸브(69)를 개방하여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 state inside the cooling tank 60,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tank 60 should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To this end, the user first exposes the drain valve 69 and then opens the drain valve 69 to discharge the coolant inside the cooling tank 60 to the outside.

사용자는 별도 제공되는 서비스 배관(2)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 밸브(69)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배관(2)의 단부는 상기 배수 밸브(69)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에 의해 상기 배수 밸브(69)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인 커플링 배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ser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69 using a service pipe (2) provided separately. An end of the service pipe 2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69 in a coupling manner,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the drain valve 69 by a connection. Such a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coupling pip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가 완전히 배수된 후에는 상기 서비스 배관(2)의 다른 일단을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배관(2)의 연결에 의해 상기 배수 밸브(69)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출수 노즐(25)은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fter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tank 60 is completely drained, the other end of the service pipe 2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By the connection of the service pipe 2, the drain valve 69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d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ing tank 6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상기 정수기(1)의 모드를 냉각수 교체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메인 피시비)는 취출 버튼(41)을 조작하게 될 때 냉각수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정수를 취출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양의 물이 한번의 조작에 의해 급수 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S110]In this state,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40 to set the mode of the water purifier 1 to the coolant replacement mode. In the cooling water replacement mode, the control unit (main PCB) takes out the purified water to enable the charging of the cooling water when the discharge button 41 is operated, so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by a single operation. Is set. [S110]

이와 같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S120]  In the state set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ject button 41 is operated. [S120]

사용자가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한 후 설정시간 동안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하지 않게 되면, 냉각수 교체를 위한 작업을 실시하지 않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S130]If the user selects the entry into the coolant replacement mode and does not operate the take-out button 41 for a set time, the work for cooling water replacement is not performed, and the main PCB 82 returns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Done. [S130]

사용자가 상기 취출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출수 노즐(25)에서 취출되는 정수가 상기 서비스 배관(2)을 통해서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수를 다시 채워 넣는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S140]When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button 41,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5 flows into the cooling tank 60 through the service pipe 2 to start the operation of refilling the cooling water. Done. [S140]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량 센서(363)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센싱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설정 용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제어된다. [S150]In the state of setting the coolant replacement mode,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by the flow sensor 363 is sensed,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367 is controlled by the main PCB 82 to supply water at a set capacity. do. [S150]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전달되는 감지값을 판단하여 감지되는 유량이 설정된 유량이 될 때까지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의 개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피시비(82)에 설정된 용량은 상기 쿨링 탱크(60)에 채울 수 있는 적정 용량으로 기설정되어 있다. 예컨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에서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개방되며 상기 쿨링 코일(64)과 증발기(63)가 잠길 수 있도록 2.4L 만큼의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6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S160]The main PCB 82 determines the detect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flow sensor 363 to maintain the opening of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367 until the detected flow rate reaches a set flow rate. The capacity set in the main PCB 82 is preset to an appropriate capacity to fill the cooling tank 60. For example, in the main PCB 82, when the take-out button 41 is operated in the cooling water replacement mod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367 is opened so that the cooling coil 64 and the evaporator 63 may be locked. The purified water as much as 2.4L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tank 60. [S160]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된 유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냉각수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를 닫게 된다. [S170]When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flow sensor 363 reaches the set flow rate, the main PCB 82 determines that the filling of the cooling water is completed and close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367. [S170]

그리고, 설정된 유량의 물이 모두 공급 완료된 후에는 상기 조작부(40)를 통해서 냉각수 교체 완료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냉각수의 교체 완료는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는 빛의 색상을 통해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냉각수 교체 완료는 부저(435)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고, 별도의 표시 수단을 이용한 냉각수 교체 완료의 표시 또한 가능할 것이다. [S180]In addition, after the supply of the water of the set flow rate is completed, the cooling water replacement comple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40. At this time, the replacement of the coolan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color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ake-out button 41. Of course, the completion of the cooling water replacement may be output by the buzzer 435, and the display of the completion of the cooling water replacement using a separate display means may also be possible. [S180]

상기 냉각수의 교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배관(2)을 상기 배수 밸브(69)와 출수 노즐(25)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자동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냉각수 교체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적인 정상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정상 운전 모드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을 통해 온수 정수 냉수를 원하는 양만큼 출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이다. [S190]When the replacement of the cooling water is completed, the user separates the service pipe 2 from the drain valve 69 and the water discharge nozzle 25. Then, the controller releases the coolant replacement mode according to the automatic or user setting and switches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normal operation mode is a state in which hot water purified cold water can be discharged by a desired amoun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ake-out button 41. [S19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조립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6은 상기 정수기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6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1)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베이스(13)에 전원 코드(136)와 입수관(360)을 배치한다.As shown in the figure, 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ower cord 136 and the water inlet pipe 360 is disposed on the base 13.

그리고, 성형된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응축기 장착부(541)에 상기 응축기(52)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3)을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응축기 브라켓(54)을 성형된 상기 베이스(13)에 장착하게 된다. The condenser 52 is disposed on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of the condenser bracket 54. In addition, the cooling fan 53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denser mounting part 541. The condenser bracket 54 in the assembled state is mounted on the molded base 13.

또한, 상기 베이스(13)에 상기 회전링(91)과 상기 감압 밸브(133)를 장착한다. [STEP 1]In addition, the rotary ring 91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3 are mounted on the base 13. [STEP 1]

다음으로, 상기 응축기(52)를 상기 베이스(13) 상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51)는 상기 베이스(13)에 형성된 상기 흡입 그릴(135)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1) 및 응축기(52)의 배관 및 드라이어 배관을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STEP 2]Next, the condenser 52 is mounted on the base 13. At this time, the compressor 51 is located above the suction grille 135 formed on the base 13. Then, the pipes and the dryer pipes of the compressor 51 and the condenser 52 are wel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TEP 2]

다음으로, 상기 응축기(52)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탱크 장착부(542)에 상기 쿨링 탱크(60)를 장착한다. 상기 쿨링 탱크(60)는 내부에 쿨링 코일(64)과 증발기(63), 모터(67)와 교반기(68), 메쉬 부재(65) 등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이며, 단열재 바디(612)와 단열재 커버(622)의 발포까지 완전히 완료된 상태로 장착된다. Next, after the mounting of the condenser 52 is completed, the cooling tank 60 is mounted on the tank mounting part 542 of the condenser bracket 54. The cooling tank 60 is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cooling coil 64 and the evaporator 63, the motor 67 and the stirrer 68, the mesh member 65 and the like are completed, and the heat insulating body 612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mounted in a completely completed state until the foaming of the cover 622.

상기 쿨링 탱크(60)의 장착 후 상기 드라이어와 모세관(55) 등 배관을 용접하고 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냉동 사이클의 구동을 위해 배관 및 압축기(51)와 응축기(52) 내부를 진공시킨 후 냉매를 주입시킨 후 밀봉시키게 된다. [STEP 3]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oling tank 60, the pipes such as the dryer and the capillary tube 55 are welded and wires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 pipe and the compressor 51 and the condenser 52 are vacuumed to drive the refrigeration cycle, and then refrigerant is injected and then sealed. [STEP 3]

다음으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을 상기 베이스(13)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 브라켓(30)에는 다수의 밸브들이 장착 완료된 상태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장착과 함께 물이 공급되는 유로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Next, the filter bracket 30 is mounted on the base 13. At this time, the filter bracket 3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pipes to which water is supplied together with the mounting of the filter bracket 3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s are mounted.

그리고,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사이에는 서포트 플레이트(35)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의해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 공간이 확보된다. [STEP 4]In addition, a support plate 35 is mounted between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condenser bracket 54. The mounting plate of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is secured by the support plate 35. [STEP 4]

다음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는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Next, the support plate 35 is mounted wit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35 whil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control assembly 80 are combined into one module.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쿨링 탱크(6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상단은 상기 탑 커버(14)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정수기(1) 내에 제공되는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의 커넥터를 연결하게 된다.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cooling tank 60 in a mounted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is extended to the position of the top cover 14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the space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1. When the mounting of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50 is complete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and the connector of the control assembly 80 are connected.

물론 상기 정수기(1)가 온수를 취출하는 모델이 아니라 정수와 냉수만을 취출하는 모델이라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옵션 기능에 따라 해당되는 피시비가 조립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가 장착될 수 있다. [STEP 5]Of course, if the water purifier 1 is not a model for taking out hot water, but only a model for taking out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only the control assembly 8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35. In addition, the control assembly 80 in which the corresponding PCB is assembled may be mounted according to an optional function. [STEP 5]

다음으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장착된다. 상기 로테이터(21)에는 상기 출수부(20)가 조립된 상태이며,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에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이 조립되고 내부에는 출수관(261)이 배치될 수 있게 된다.Next, the rotator 21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The water extraction unit 20 is assembled to the rotator 21. An upper guide bracket 23 and a lower guide bracket 24 are assembled to the rotator housing 22, and a water discharge pipe 261 is disposed therein. It becomes possible.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로테이터 장착부(33)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에 구비되는 상기 피니언 기어(271)은 상기 필터 브라켓(30) 상단의 내접 기어(331)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0)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 기어(271)이 상기 내접 기어(33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한다.The rotator 2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33 of the filter bracket 30. In addition, the pinion gear 271 provided in the rotator 21 is geared to the internal gear 331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racket 30 so that the pinion gear 271 is rotated when the rotator 20 rotate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or 21 is made constant by moving along the internal gear 331.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를 장착한 후에는 상기 출수관(261)과 냉수와 정수 배관이 연결된 T커넥터(26)를 피팅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관(261)의 단부를 출수 노즐(25)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온수관(262) 또한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하여 배관의 연결을 완료한다.After the rotator 21 is mounted, the water outlet pipe 261 and the T connector 26 to which the col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pipe are connected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26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nozzle (25). In addition, the hot water pipe 262 is also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25 to complete the connection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커버(111)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는 상하 결합이 완료되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STEP 6]The upper cover 11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or 21. Therefore, the rotator 2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stable rotation by completing the vertical coupling. [STEP 6]

다음으로, 상기 탑 커버(14)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조작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어퍼 커버(111)와 상기 쿨링 탱크(6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top cover 14 is assembled. The top cover 14 may be form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1 and the cooling tank 60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40 is rotatably mounted.

상기 탑 커버(14)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40) 전면에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421)가 상기 로테이터(21)의 결합링(236,246)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부(40)와 상기 로테이터(21)가 서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When the top cover 14 is mounted, a rotation connection part 421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on part 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ings 236 and 246 of the rotator 21 so that the operation part 40 and the rotator 21 are provided.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rotate together.

또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에 구비되는 메인 피시비(82)를 커넥터로 연결하게 되며, 전원 및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CB 43 and the main PCB 82 provided in the control assembly 8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power and signal can be transmitt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필터 소켓에 테스트를 위한 필터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필터 연결 후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테스트 완료 후 검사용 필터를 제거하고 유로의 잔수를 제거한 후 상기 필터(34)를 상기 필터 소켓에 조립하게 된다.In this state, a filter for a test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socket of the filter bracket 30, and the test is performed after the filter is connected. After the test is completed, the inspection filter is removed, and the residual amount of the flow path is removed, and then the filter 34 is assembled to the filter socket.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에 물을 주입하고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를 동작시켜 온수 가열을 테스트한다. 테스트 완료 후 상기 엔드캡(7171)을 제거하고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잔수를 완전히 배수시킨 후 다시 상기 엔드캡(7171)을 장착한다. [STEP 7]T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hot water tank 71 an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70 is operated to test hot water heating. After completion of the test, the end cap 7171 is removed, the remaining water in the hot water tank 71 is completely drained, and then the end cap 7171 is mounted again. [STEP 7]

다음으로 상기 리어 커버(12)를 상기 베이스(13)에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어서 베이스(13)의 양측에 사이드 패널(15)을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패널(15)은 상기 탑 커버(14)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STEP 8]Next, the rear cover 12 is fixed by screwing the base 13, and then the side panel 15 is screw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se 13. In this case, the side panel 15 may be coupled to the top cover 14 by a screw. [STEP 8]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112)를 상기 사이드 패널(15)과 로테이터(21)에 결합시켜 상기 정수기(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로어 별도 조립된 상기 트레이(90)는 함께 포장되어 출하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사용시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90)를 회전링(91)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STEP 9]The lower cover 112 is coupled to the side panel 15 and the rotator 21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water purifier 1. The tray 90 assembled separately from the lower may be packaged and shipped together, and when the user installs and uses the tray 90, the tray 90 is coupled to the rotary ring 91. [STEP 9]

Claims (32)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며,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탑커버에 위치하며, 정수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케이스의 좌우 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일 측면에는 연장된 출수부가 위치하는 로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로테이터는 동축의 위치 관계이고,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조작부는 함께 회전하는 정수기.
A front cover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A case including a top cover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An operation unit disposed on the top cover and includ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And a rotator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case and having an extended water outlet at one side thereof.
The operation unit and the rotator are coaxial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he rotator and the operation unit rotate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purifier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 face the fro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물 취출을 위한 취출 버튼;
상기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조작부 피시비;
상기 조작부 피시비에 포함되며, 상기 취출 버튼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조작부 피시비 상에 구비되어 상기 취출 버튼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for taking out the water extraction button;
An operation unit PCB located inside the case;
A switch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PCB and operated on / off by the take-out button;
And an LED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PCB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take-out butt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버튼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상기 누름부의 복귀를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의 일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스위치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는 상기 누름부의 타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누름부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eject button,
A pressing unit which is move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 elastic portion cut along the peri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for return of the pressing portion;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and positioned above the switch and in contact with the switc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 rotation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art facing the contact part and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pressing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빛이 투과되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및 접촉부는 상기 광 투과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switch and the contact portion are formed outsid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하면에는, 상기 광 투과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엘이디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이 상기 광 투과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light guid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to extend toward the 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o guide the light of the LED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광 투과부를 차폐하는 버튼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버튼 플레이트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tton plate for shield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e button plate i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water purifier to allow light transmis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상기 필터의 교체 주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ED is a water purifier for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는 상기 정수기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부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unit PCB includes a buzzer that display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by sou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에는 다수의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in the control unit PC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의 사이에 회전가능 하게 배치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cover is composed of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nd the rotator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중공의 로테이터 하우징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or,
A hollow rotator housing;
And an upper guide bracket and a lower guide brack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tor housing.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중심부에는 각각 상부 중심링과 하부 중심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2,
An upper center ring and a lower center ring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upper guide bracket and the lower guide bracke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 구속되는 체결 후크;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3,
A fastening protrusion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otator housing;
And a fastening hook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guide bracket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guide bracket, the fastening hook being lock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중심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중심링과 하부 중심링;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an upper center ring and a lower center ring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centers of the upper guide bracket and the lower guide bracke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심링과 하부 중심링 사이에는 위치하는 T커넥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T connector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center ring and the lower center ring.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T커넥터의 일측은 상기 출수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출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T커텍터의 상측은 냉수된 물이 공급되는 냉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T커넥터의 하측은 정수된 물이 공급되는 정수관과 연결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6,
One side of the T connector extends toward the water outlet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 water outlet tu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guide bracket and the lower guide bracket.
The upper side of the T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supplied with cold water,
The lower side of the T connector is connected to a purified water pipe is supplied purified water.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T커넥터와 상기 냉수관 및 정수관은 회전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T커넥터가 냉수관 및 정수관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T connector and the cold water pipe and the water purification pipe are connected to the rotary tube, the T connector is a water purifier to rotate based on the cold water pipe and the water purification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회전 연결부와;
상기 로테이터에는 상기 회전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rotational connection part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operation part;
The rotator is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coupling ring for the rotational connection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원형의 형상인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is a water purifier of a circular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cover i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cover hole rotatably mounted to the operation unit.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홀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부의 둘레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위치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1,
A water purifier having a stepped portion on which a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unit is seated around the cover ho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출수관과 온수관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출수부 하우징과;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출수부 커버;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ter extraction unit,
A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extending from the rotator housing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pipe and the hot water pipe may be disposed;
And a water outlet cover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using.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출수 홀이 위치하고,
상기 출수 홀에는 상기 출수관과 온수관과 연결되는 출수 노즐이 위치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3,
A water extraction hol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housing,
The water purifier has a water discharge nozzle is located in the water discharge hole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hot water pipe.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는 냉정수 연결부와 상기 온수관에 연결되는 온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정수 연결부는 상기 출수 노즐의 측면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위치하고,
상기 온수 연결부는 상기 출수 노즐의 측면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위치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4,
The water discharge nozzle includes a cold water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a hot water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e cold water connection portion is extended to extend through one side of the discharge nozzle,
The hot water connection unit is a water purifier extending to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side of the water discharge nozzle.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출수부 하우징에 고정되기 위한 노즐 고정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4,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nozzle fixing for fixing to the water outlet housing.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상하 개구를 가지며,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출수 노즐의 상기 개구된 상면에 위치하는 노즐 캡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4,
The water extraction nozzle has a vertical opening,
And the outlet nozzle comprises a nozzle cap positioned on the opened top surface of the outlet nozzl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라이팅 유닛과;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하방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라이팅 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3,
A lighting unit located inside the water outlet housing;
And a lighting hole position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outlet part housing so that light emitted by the lighting unit may be irradiated downward.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유닛은 라이트 피시비와;
상기 라이트 피시비가 장착되는 라이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에는 고정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 돌기와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가 위치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8,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ght PCB;
And a light housing in which the light PCB is mounted.
A fixing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outlet housing,
A water purifier at a rear end of the light housing,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and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하우징은 상기 라이팅 하우징에서 돌출되고 상기 라이팅 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투과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9,
And the light housing protruding from the lighting housing and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lighting hole.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하우징은,
상기 투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위치하는 라이트 가이드와;
상기 라이트 피시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라이트 하우징 중앙에 위치하는 피시비 지지부;
상기 라이트 피시비 상에 실장되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피시비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엘이디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0,
The light housing,
A light guide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transmission part;
A PCB support par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housing to support the light PCB;
Includes; LED mounted on the light PCB;
The light PCB has a size and shape that shield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The LED is a water purifier locat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guid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 커버는 양측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버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3,
The outlet portion cover includes a cover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s at both end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and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portion.
KR1020190096025A 2019-08-07 2019-08-07 Water purifier KR20190095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25A KR20190095236A (en) 2019-08-07 2019-08-07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25A KR20190095236A (en) 2019-08-07 2019-08-07 Water pur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27A Division KR102599537B1 (en) 2018-06-11 2019-04-11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36A true KR20190095236A (en) 2019-08-14

Family

ID=6762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025A KR20190095236A (en) 2019-08-07 2019-08-07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523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282B2 (en)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2575B1 (en) Water purifier
KR20170063454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7673B1 (en) Water purifier
KR101884560B1 (en) Water purifier
KR20160119133A (en) Stand
KR101828207B1 (en) Water purifier
EP3785586B1 (en) Blender
KR101907823B1 (en) Water purifier
KR20160119132A (en) Water dispenser and dispenser tray for water dispenser
KR102599537B1 (en) Water purifier
KR102167560B1 (en) Water purifier
KR102223921B1 (en) Water purifier
KR102223807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95236A (en) Water purifier
KR20190131002A (en) Water purifier
KR101948685B1 (en) Water purifier
KR20170063448A (en) Water purifier
KR101869217B1 (en) Water purifier
KR101969822B1 (en) Water purifier
KR20160145706A (en) Method for installing self-propelled cleaning robot and water server
KR20230156290A (en) Water purifier
KR20180020188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63450A (en) Water purifier
KR102423820B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7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025

Effective date: 202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