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09A -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09A
KR20190087509A KR1020197017684A KR20197017684A KR20190087509A KR 20190087509 A KR20190087509 A KR 20190087509A KR 1020197017684 A KR1020197017684 A KR 1020197017684A KR 20197017684 A KR20197017684 A KR 20197017684A KR 20190087509 A KR20190087509 A KR 2019008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entral server
locking
car
ser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561B1 (ko
Inventor
마르크 밀러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8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18Central base unlocks or authorises un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6Interne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12)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중앙 서버 장치(20)가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에 관한 잠금 해제 명령(26)을 포함한 잠금 해제 신호(22)를 수신한다. 중앙 서버 장치(20)는 잠금 해제 신호(22)에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추가하고, 상기 명령은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과 접속 기준이 위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를 다시 록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잠금 해제 명령(26)과 추가된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22)는 통신 링크(24)를 통해 자동차(12)의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송신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잠금 해제 신호(22)에 포함된 명령을 수행하고,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중앙 서버 장치를 통해 자동차의 잠금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즉, US 2015/0332531 A1호에, 자동차의 사용자에게 자동차의 잠겨진 영역에 일시적인 접근이 허용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는 중간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중간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가능한 잠금 장치의 개방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이러한 요청을 자동차에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DE 198 02 532 C1호에는 잠금 명령을 통해 차량의 잠금 시스템이 록킹(locking)을 위해 어떻게 트리거되는지 설명된다. 차량의 내부에 트랜스폰더가 위치하는지 여부가 파악되고 이어서 그에 따라 잠금 시스템이 다시 잠금 해제되는지가 결정된다. EP 2 500 873 A2호에 차량의 도어- 및 플랩 자물쇠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시스템이 기술된다. 차량의 록킹 및 후속해서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별도의 개방 후에 이어서 트렁크 리드의 폐쇄 이후, 트렁크를 록킹 및 잠금 해제하도록 설계된 작동 부재는 소정의 시간 지연 후에 록킹된다.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잠금 장치에서, 자동차와 중앙 서버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보장될 수 없어서, 경우에 따라서 잠금 해제된 자동차는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록킹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사용자가 자동차를 수동으로 또는 무선 키를 통해 폐쇄할 수 없는 경우에, 자동차는 잠금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자동차 자체 및 자동차 내에 있는 물건들은 도난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에 확실한 도난 방지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가능한 잠금 장치를 가진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 기재 및 도면에 의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확실한 도난 방지를 위해 자동차의 원격 제어식 록킹 제어가 조건과 결합되어야 하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러한 조건은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원격 제어식 잠금 해제를 자동차와 중앙 서버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의 후속하는 모니터링에 연결한다. 따라서 자동차가 다시 원격 제어되어 록킹될 수 있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는 공개된 방식으로 자동차의 사용자의 및/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무선- 및/또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 2 방법 단계에서 중앙 서버 장치는 자동차의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에 대한 통신 링크를 구축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이용해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서버 장치는 잠금 해제 신호에 조건부 잠금 명령을 추가한다. 조건부 잠금 명령은,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의 경과 후에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과, 접속 기준이 위반된 경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록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속 기준은 전술한 조건이다. 이 경우 접속 기준은, 중앙 서버 장치와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계속해서 구축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에 조건부 잠금 명령을 추가한 후에, 중앙 서버 장치는 잠금 해제 명령과 조건부 잠금 명령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는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에 포함된 명령,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명령 및 접속 기준의 위반 시 조건부 잠금 명령을 수행한다. 따라서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트리거하여, 잠금 해제 명령에 따라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후속해서 잠금 명령에 따라 중앙 서버 장치에 대한 통신 링크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 후에도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지속 시간의 경과는 예를 들어 타이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접속 기준이 위반되면, 즉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와 중앙 서버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잠금 장치가 록킹된다. 이 경우 조건부 잠금 명령은, 반복적으로, 즉 제 1 및 제 2 지속 시간 및/또는 다수의 지속 시간의 경과 후에,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주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설정된 시점에, 접속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잠금 해제 신호에 조건부 잠금 명령을 추가함으로써, 자동차는 잠금 해제 이후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 후에 다시 록킹되고 따라서 자동차의 도난 방지가 보장되는 것이 확실해진다. 중앙 서버 장치와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중단되더라도, 자동차 잠금 시스템의 사용자를 위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주어지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 사용자는 상기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중앙 서버 장치에 출력된 추가 록킹 신호가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도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이로써 자동차가 실제로 다시 록킹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통신 링크가 중단된 것을 사용자가 알고 있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무선 키를 이용해서 자동차를 다시 록킹하기 위해, 자동차의 수신 범위 내로 직접 가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자동차는 원격 제어식 잠금 해제의 경우에도 일시적으로만 잠금 해제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선택적인 개선예도 포함하며, 상기 개선예에 의해 추가 장점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 장치는 잠금 해제 신호를 중앙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신호는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특정 디바이스 및/또는 특정 사용자에게 특정적으로 할당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중앙 서버 장치는, 자동차의 소유자 및/또는 자동차에 대해 인증된 사람 및/또는 자동차의 임대인 및/또는 자동차를 잠깐만 이용하는 사람과 같은 메인 발신자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후자는, 서비스와 관련해서 공급품 및/또는 소포를 자동차 내에 내려놓으므로 자동차에 대한 일시적인 접근만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에 따라서 중앙 서버 장치는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가 중앙 서버 장치에 대해 존재하는 통신 링크를 검사하는 과정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
이 경우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 각각에 대해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은,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인 경우보다,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가 메인 발신자인 것을 중앙 서버 장치가 인식하는 경우에 더 길다. 이로 인해, 서비스를 위해서만 자동차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졌을 때, 중앙 서버 장치와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없는 경우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가 신속하게 다시 록킹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소유자는, 특정 사람 및/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업체, 예를 들어 소포 배송원이 얼마나 오랫동안 자동차에의 접근이 유효한지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앙 서버 장치는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은 거리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거리에 기초해서, 자동차에 도달하기 위해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가 필요로 할 수 있는 지속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가 자동차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차가 잠금 해제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렌터카 회사는 자동차를 임차인에게 임대한다. 렌터카 회사는 임차인이 있을 때 중앙 서버 장치를 통해 자동차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중앙 서버 장치에 대한 통신 링크가 중단된 경우에 적어도, 임차인이 자동차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차는 록킹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의 경과는 자동차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사용 행위의 인식 후에야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사용 행위의 인식 후에야 타이머가 예를 들어 활성화되는 것이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조건부 잠금 명령에 추가된다. 사용 행위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잠금 장치의 개방 및/또는 폐쇄일 수 있다. 사용 행위는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소정의 영역에 물품을 내려놓는 것일 수도 있다. 자동차의 영역은 예를 들어 트렁크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에 해당하는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사용 행위를 인식한다.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사용 행위를 중개하는 센서 신호의 수신 시 타이머를 스위치 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후속해서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의 경과 후에 접속 기준이 검사된다. 이로써, 자동차에서 사용 행위가 수행 가능하기 전에, 자동차가 조기에 다시 록킹되지 않는 것이 보장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포 배달과 관련해서 자동차는 적어도, 자동차 도어가 개방되는 것 및/또는 자동차 내에, 예를 들어 트렁크의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짐이 놓이고 및/또는 자동차 도어가 다시 폐쇄되는 것을 자동차 내부의 해당하는 센서가 인식할 때까지,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접속 기준의 검사 및 접속 기준의 위반의 확인 후에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도어가 폐쇄된 닫힘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동차 도어가 폐쇄된 닫힘 상태인 것을 제어 장치가 인식하는 경우에야, 관련 잠금 장치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추가된 조건부 잠금 명령은 이를 위해, 이것이 해당하는 명령을 포함하도록 확장된다. 이로써, 록킹이 트리거된 경우에 자동차가 실제로도 록킹되는 것이 보장된다. 중단된 통신 링크에 의해 도입되는 록킹은 이로 인해 자동차 내의 사용 행위 중에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건부 잠금 명령은 또한, 접속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및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는 계속해서 잠금 해제되어 유지되고 록킹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록킹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록킹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명령을 포함하고, 중앙 서버 장치 및/또는 무선 키를 통해서도 및/또는 자동차 상의 수동 조작 행위에 의해서도 송신될 수 있다. 이로써, 자동차의 잠금 장치는 원격 제어된 잠금 해제 후에 계속해서 후속하는 록킹에 관한 명령을 기다리는 것이 보장된다. 중앙 서버 장치에 대한 통신 링크가 중단된 경우에만 자동차는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 후에 자동으로 록킹된다.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되고, 상기 잠금 해제 신호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중앙 서버 장치는,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에 대한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설계된다. 중앙 서버 장치는, 통신 링크를 통해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계된다. 잠금 해제 신호의 수신 후 및 통신 링크를 통해 잠금 해제 신호가 송신되기 전에 중앙 서버 장치는, 조건부 잠금 명령을 수신 잠금 해제 신호에 추가하도록 설계된다. 조건부 잠금 명령은,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의 경과 후에 통신 링크가 계속해서 구축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건부 잠금 명령은, 접속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록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앙 서버 장치는, 잠금 해제 명령과 조건부 잠금 명령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를 통신 링크를 통해 송신하도록 설계된다.
중앙 서버 장치는 또한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 장치는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장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실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 장치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자동차 잠금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선예와 관련해서 전술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서버 장치의 실시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해당하는 개선예들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중앙 서버 장치와 자동차를 포함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방법의 방법 단계들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실시예에서 실시 형태의 전술한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을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도 개선하고 따라서 개별적으로 또는 도시된 조합과 다른 조합으로도 본 발명의 일부로서 간주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각각의 개별적인, 서로 독립적으로 고려되는 특징들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다른 특징들에 의해서도 보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에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에 도시된 자동차(12)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도어(14)를 갖고, 예를 들어 자동차 도어(14)는 트렁크 리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도어로서 형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자동차 도어(14)는 각각 잠금 장치(16)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해 자동차 도어(14)는 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 자동차(12)는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잠금 장치(16)를 록킹 또는 잠금 해제와 관련해서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잠금 장치(16)마다 각자의 제어 장치(18)가 제공될 수 있다.
자동차 도어(14)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잠금 장치(16)의 수동 작동을 통해 및/또는 무선 키에 의한 잠금 장치(16)의 트리거를 통해 및/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 장치(20)에 의한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의 원격 제어를 통해 잠금 해제되고 및/또는 록킹될 수 있다. 중앙 서버 장치(20)는 이를 위해 잠금 해제 신호(22)를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송신하고, 이로써 잠금 장치들(16) 중 적어도 하나가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 장치(20)는,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대한 통신 링크(24)를 구축하도록 설계된다. 통신 링크(24)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공개된 방식으로 중앙 서버 장치(20)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및/또는 태블릿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신호(22)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12)의 사용자는 상기 자동차를 원격 제어하여 잠금 해제하고자 하고, 중앙 서버 장치(20)를 통하지 않고는 자동차(12)에 대한 다른 접근 가능성이 없는 서비스 제공자는 자동차(12)의 트렁크로 소포 배달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앙 서버 장치(20)에 의해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22)는 어떤 자동차(12)의 어떤 잠금 장치(16)가 잠금 해제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잠금 해제 명령(24)을 포함한다.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22)는 또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에 관한 정보를 중앙 서버 장치(20)에 제공한다.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의 작동을 위한 방법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2와 관련하여, 중앙 서버 장치(20) 및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단계들이 명백해진다. 제 1 방법 단계(S1)에서 중앙 서버 장치(20)는 자동차(12)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 명령(26)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22)를 수신한다. 제 2 방법 단계(S2)에서 중앙 서버 장치(20)는 잠금 해제 신호(22)에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추가한다.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 접속 기준이 검사되어야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은 자동차(12) 및/또는 자동차 도어(14) 및/또는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에 따라 중앙 서버(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접속 기준이 위반되면,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가 록킹되어야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기준은, 중앙 서버 장치(20)와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 사이의 통신 링크(24)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속 기준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준, 예를 들어 자동차(12)가 록킹되기 전에, 자동차 도어(14)가 폐쇄된 닫힘 상태여야 한다는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조건은,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 자동차 도어(14)가 트리거되어, 상기 자동차 도어가 폐쇄된 닫힘 상태가 되고 따라서 록킹될 수 있다.
제 3 방법 단계(S3)에서 중앙 서버 장치(20)는 잠금 해제 신호(22)가 할당되는 자동차(12)에 대한 통신 링크를 구축하고, 잠금 해제 명령(26)과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22)를 송신한다.
제 4 방법 단계(S4)에서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는 잠금 해제 신호(22)에 포함된 잠금 해제 명령(26)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잠금 장치들(16) 중 적어도 하나가 잠금 해제된다.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는,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가 시작되는 시간을,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해서 기록하도록 설계된다. 조건부 잠금 명령(28)에 제시된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이 경과하면,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는 제 5 방법 단계(S5)에서, 중앙 서버 장치(20)에 대한 통신 링크(24)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통신 링크(24)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는 먼저 잠금 해제된 잠금 장치(16)를 제 6 방법 단계(S6)에서 조건부 잠금 명령(28)에 따라 록킹한다.
전체적으로 이 예는, 본 발명에 의해 자동차 잠금 시스템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제시하므로,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의 원격 제어식 잠금 해제의 경우에 중앙 서버 장치에 의해, 자동차가 가급적 도난 방지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Claims (7)

  1. 자동차(12)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명령(26)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22)를 중앙 서버 장치(20)가 수신하는 단계(단계 S1);
    - 상기 중앙 서버 장치(20)에 의해 상기 자동차(12)의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대한 통신 링크(24)를 구축하고 상기 통신 링크(24)를 통해 상기 잠금 해제 신호(22)를 상기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송신하는 단계(단계 S3); 및
    - 상기 잠금 해제 신호(22)를 수신하고 상기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신호(2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명령(26)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S4)를 포함하고,
    - 상기 중앙 서버 장치(20)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22)에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추가하는 단계(단계 S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 상기 통신 링크(24)가 계속해서 구축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과, 상기 접속 기준이 위반된 경우,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를 록킹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2)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 장치(20)는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22)의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 장치(20)는 상기 잠금 해제 신호 발신자와 상기 자동차(12)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의 경과는 상기 자동차(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사용 행위의 인식 후에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도어(14)에 할당되고, 상기 자동차 도어(14)는 개방된 닫힘 상태 및 폐쇄된 닫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도어(14)가 폐쇄된 닫힘 상태일 때에만, 접속 기준의 위반 시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가 록킹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접속 기준의 충족 시 그리고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가 잠금 해제된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가 잠금 해제 상태로 유지되고 록킹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신호는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록킹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방법.
  7.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 장치는, 자동차(12)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명령(26)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신호(22)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 서버 장치는 또한, 상기 자동차(12)의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대한 통신 링크(24)를 구축하도록 그리고 상기 통신 링크(24)를 통해 상기 자동차 내부의 제어 장치(18)에 잠금 해제 신호(22)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서버 장치(20)는, 조건부 잠금 명령(28)을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22)에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건부 잠금 명령(28)은,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의 잠금 해제 이후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 상기 통신 링크(24)가 계속해서 구축되는 것을 포함하는 접속 기준을 검사하는 것과, 상기 접속 기준이 위반된 경우에 상기 자동차(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6)를 록킹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20).
KR1020197017684A 2016-12-05 2017-11-23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KR10228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4155.9 2016-12-05
DE102016224155.9A DE102016224155B4 (de) 2016-12-05 2016-12-05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verriegelungssystems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zentrale Serv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CT/EP2017/080205 WO2018104065A1 (de) 2016-12-05 2017-11-23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verriegelungssystems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zentrale serv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09A true KR20190087509A (ko) 2019-07-24
KR102287561B1 KR102287561B1 (ko) 2021-08-10

Family

ID=6045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84A KR102287561B1 (ko) 2016-12-05 2017-11-23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4648B2 (ko)
KR (1) KR102287561B1 (ko)
CN (1) CN110050297B (ko)
DE (1) DE102016224155B4 (ko)
WO (1) WO2018104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0497B2 (ja) * 2017-11-29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98102B2 (ja) * 2018-02-22 2022-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11932737A (zh) * 2020-08-14 2020-11-13 四川巧盒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通讯的包装箱智能锁生物识别解锁方法
CN111932739A (zh) * 2020-08-14 2020-11-13 四川巧盒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通讯的循环包装箱智能锁解锁方法
CN111932741A (zh) * 2020-08-14 2020-11-13 四川巧盒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通讯的循环包装箱智能锁批量解锁方法
CN111932740A (zh) * 2020-08-14 2020-11-13 四川巧盒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通讯与电子围栏的包装箱智能锁解锁方法
CN112802241B (zh) * 2021-01-04 2022-03-18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车用远程锁车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36A1 (en) * 2009-02-10 2010-08-12 William Benjamin Roberts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device
US20150332531A1 (en) * 2014-05-14 2015-11-19 Volvo Car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a temporary user to gain temporary access to a locked space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532C1 (de) 1998-01-26 1999-08-1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chlüssellosen Zutrittsystems eines Fahrzeugs
DE19912319C1 (de) * 1999-03-19 2000-10-12 Daimler Chrysler Ag Elektronische Schließanlage, insbesondere Fahrzeugschließanlage
JP2004187096A (ja) * 2002-12-04 2004-07-02 Toshiba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およびキーレスエントリ方法
DE10334624A1 (de) 2003-07-29 2005-03-03 Siemens Ag Zugangskontroll- und Benutzungssystems,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501719B2 (ja) * 2005-02-22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遠隔操作装置
US7312691B2 (en) * 2005-03-14 2007-1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elematics unit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functions
JP4389879B2 (ja) * 2005-07-07 2009-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リモート操作装置及びサービスセンタ
JP4687779B2 (ja) 2008-12-09 2011-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ロック制御方法
CZ2011129A3 (cs) 2011-03-14 2012-09-26 ŠKODA AUTO a.s. Systém dálkového ovládání zámku dverí a vík vozidla
CN102733676B (zh) * 2011-04-11 2015-04-1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汽车控制系统及方法
US8849519B2 (en) * 2011-08-09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hardware theft prevention
DE102012002758A1 (de) * 2012-02-11 2013-08-14 Audi Ag Verfahren und System zum Einstellen eines Kraftfahrzeugs aus der Ferne
JP5974876B2 (ja) * 2012-12-07 2016-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輌錠制御装置
CN103921762A (zh) * 2013-01-11 2014-07-16 深圳市伊爱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重型机械车辆紧急解锁装置及方法
FR3006485B1 (fr) * 2013-06-03 2015-05-22 Renault Sa Dispositif de securisation de l'acces a un vehicule a l'aide d'un telephone portable
EP3078001A1 (en) * 2013-12-03 2016-10-12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for fleet vehicles
US9716762B2 (en) * 2014-03-31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vehicle connection status
DE102014112849A1 (de) * 2014-09-05 2016-03-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Fernsteuerung wenigstens einer ersten Funktion einer Sicherheitsvorrichtung eines Fahrzeuges
DE102015205300B4 (de) * 2015-03-24 2018-05-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en,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e zum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s Schlosssteuerungssignals für ein mobiles Logistikziel
CN105160745A (zh) * 2015-10-20 2015-12-16 莆田市云驰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和云端识别的汽车锁控制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36A1 (en) * 2009-02-10 2010-08-12 William Benjamin Roberts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device
US20150332531A1 (en) * 2014-05-14 2015-11-19 Volvo Car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a temporary user to gain temporary access to a locked space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24155B4 (de) 2019-07-18
US20190392663A1 (en) 2019-12-26
WO2018104065A1 (de) 2018-06-14
KR102287561B1 (ko) 2021-08-10
CN110050297A (zh) 2019-07-23
CN110050297B (zh) 2022-03-01
DE102016224155A1 (de) 2018-06-07
US10614648B2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561B1 (ko) 자동차용 자동차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자동차용 중앙 서버 장치
US20220379839A1 (en)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and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US20180297558A1 (en) Motor Vehicle Access And/Or Start System
US20120268242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a nomadic device location
US20150343993A1 (en) Method of making a vehicle available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making a vehicle available
US20160342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of unlocking and locking of at least one door of a vehicle for a delivery
JP4635390B2 (ja) 遠隔解錠方法
WO20151732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a temporary user to gain temporary access to a locked space of a vehicle
JP2019012337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用プログラム
US20150015396A1 (en) Mobile-radio-based additional electronic immobilizer having a door opener having a theft alarm
KR101936961B1 (ko) 핸즈프리 트렁크 오픈시스템 및 오픈방법
US9656632B2 (en) Method of operating a telematics system, and telematics system
KR20190084293A (ko) 제 3 자 사용을 위해 차량에 대한 액세스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576767B2 (ja) 遠隔解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ユーザー端末及び該ユーザー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JP5436587B2 (ja) 電子キー装置および電子キー装置に用いられる親機
JP2018173721A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通信管理装置
CN106444696A (zh) 对车身控制模块的诊断端口保护
JP2012167495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9950691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3955237B2 (ja) Idコード登録方法、idコード認証装置、及び、盗難検出装置
KR102044955B1 (ko) Nfc를 이용한 차량 금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6316434A (ja) 遠隔操作装置
JP4635389B2 (ja) 遠隔解錠方法
US20210001805A1 (en) Driving authorization system
CN109562737B (zh) 用于借助便携式钥匙装置运行机动车的至少一种功能的方法和钥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