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31A -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 Google Patents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31A
KR20190081931A KR1020170184802A KR20170184802A KR20190081931A KR 20190081931 A KR20190081931 A KR 20190081931A KR 1020170184802 A KR1020170184802 A KR 1020170184802A KR 20170184802 A KR20170184802 A KR 20170184802A KR 20190081931 A KR20190081931 A KR 2019008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
map
area
disast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221B1 (en
Inventor
염길동
Original Assignee
염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길동 filed Critical 염길동
Priority to KR102017018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rone map in an area including a mountain, an area including a river, an area including a dangerous facility, and an area where other disasters may occur for each of a local government in advance to prevent disaster when disaster occurs by using a drone.

Description

드론맵생성방법{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

본 발명은 재난 대비를 위한 드론맵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for disaster preparedness.

국내에서는 산악 지형이 국토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특성상 봄, 가을의 건기에 산불 발생 빈도가 상당히 높은데, 산불은 그 피해가 클 뿐만 아니라 바람의 변화와 같은 자연적인 변수로 인해 진압이 매우 어려운 화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산불은 바람을 타고 이동하며 산림을 파괴하기 때문에 초기에 신속한 진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In Korea, the mountainous terrain occupies 70% of the land area. Due to the nature of forest fires, the forest fires are not only large but also very difficult to suppress due to natural variables such as wind changes. It is one. These forest fires are carried on the wind and destroy the forests, so if damage is not suppressed early, the damage is very serious.

산불이 발생된 화재 지점은 산악 지형의 특성상 소방차량의 진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직접 소방관이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무거운 화재진압장비를 화재 지점까지 운반 후 화재를 진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이 능선 아래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불길이 포위하듯 내려와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에게 심각한 인명 피해를 입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산불의 발화지점 내지 진행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대피방향을 잘못 판단하거나 또는 진화방향을 잘못 판단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Since firefighting vehicles can not enter the fire area due to the nature of the mountainous terrain, firefighters have had to inconveniently fire the heavy firefighting equipment to the fire site to suppress the fire, Firefighters who crashed in the lower part of the ridge had the problem of falling down as if surrounded by flames and causing serious injuries to firefighters who were fighting the fire. In addition, there is a case that the ignition point or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forest fire can not be grasped correctly, so tha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evacuation direction wrongly or to judge the evolution direction wrong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도에 제한을 받지 않는 드론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위치, 산불 진행 방향 등을 확인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차량 또는 소방차량이 접근하여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드론을 띄울 수 있는 위치가 극히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활용도가 높지 못한 현실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lthough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direction of the forest fire are checked by using the dron which is not restricted by the altitude, in reality,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or fire truck can approach the dron It is a reality that utilization is not high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ich are extremely limited.

KR 10-2017-0118334 AKR 10-2017-0118334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산불, 천재지변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드론을 띄울 수 있는 위치가 표시된 드론맵을 생성하고자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dron map that shows a location where a dron can be launched to quickly respond to a disaster such as a forest fire or a natural disa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각 지자체마다 산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 강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 위험 설비를 포함하는 지역, 그 외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미리 드론맵을 생성하여 재난이 발생한 경우 신속히 드론을 이용하여 대비하고자 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municipality generates a dron map in advance, including areas containing mountains, areas containing rivers, areas containing hazardous facilities, and other areas where disasters may occur, If you want to prepare quickly using the dron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무인비행기가 추락하더라도 사람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최적의 드론 공역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들이 선정된 드론맵을 생성하고자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is desired to generate a dron map in which no damage occurs to a person even if the unmanned airplane crashes, and regions in which the optimum dron airspace can be secured are sel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드론맵을 이용하여 재난관리서버에서재난이 발생한 경우 드론사용자에게 드론을 띄울 수 있는 드론이륙리스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드론사용자들로부터 신속히 드론영상을 확보하고자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occurs in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using a dronemark, drones are prompted to transfer drones to the drones so that drones can be quickly acquired from the dron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재난관리서버에서 드론맵을 이용하여 드론사용자들로부터 드론영상을 확보하고, 재난의 진행방향에 따라 드론영상이 추가로 더 필요한 영역과 인접한 드론이륙리스트 정보를 드론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신속하게 드론영상을 확보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obtains a dron image from a drones user using a dron map, and acquires a dron launch list information adjacent to an area where a dron image is further required, To secure the drones image quick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은 소방도로데이터베이스 및 지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임의의 영역에 대한 도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영역에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검출하는 단계;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높이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기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도로 또는 소방도로가 있는 영역에 대한 조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지역(spot)들을 포함하는 지역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includes receiving a road information for an arbitrary area from a fire road database and a map database, respectively, and detecting roads or fire roads in the arbitrary area; Classifying the detected road or fire road by a height reference using contour information; Receiving illuminance information for a road having a road height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or an area having a road for a fire and generating an area list including spots exceeding predetermined illuminan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맵생성방법은 지역리스트 내에서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내는 드론이륙리스트를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a dron map may include a drones take-off indicating areas in which the drones can take off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towers, wires, high-rise buildings and facilities, wires, obstacles, And regenerating the lis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맵생성방법은 유인항공기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별 드론공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generation metho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nned aircraft operating altitude, flight performance per drone,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 communication visibility per drone, And setting a droned star space in the dron taking-off list in consideration of the drones taken in the take-off lis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은 재난관리서버에서 지도상에 상기 드론이륙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a dron ma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dron takeoff list on a map at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은 드론을 이용하는 사용자 각각은 드론을 이륙시킨 드론이륙리스트 정보와 상기 드론을 이륙시킨 지역에서 촬영한 촬영 영상을 함께 상기 재난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난관리서버는 지도상에 드론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includes transmitting, to each of users using a dron, a drones take-list information for taking out a dron and a taken image taken in an area taken off from the drones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 ≪ / RTI >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display images collected from the drones on the ma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재난관리서버는 수집된 드론 영상을 기초로 지도상에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을 표시하고, 추가로 지도상에 표시된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과 인접한 드론이륙리스트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해당 드론이륙리스트를 드론사용자 단말기에 재차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난관리서버는 촬영영상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수집된 드론이륙리스트 중 임의 리스트는 빨강 색상으로, 기설정된 기준 이하로 수집된 드론이륙리스트 중 임의 리스트는 파란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촬영영상의 데이터량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막대그래프의 색상의 농도를 차등화 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displays an area where a photographed image is further required on the map based on the collected drones image, and further displays a dron takeoff list Can be displayed on the map. Thereafter, the user can transfer the dron take-off list to the drone user terminal again. In this case,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can display an arbitrary list of the dragon take-out lists, in which the photographed images are collected over a preset reference, in red, and a randomly selected list of the dragon take-off lists collected under predetermined criteria in blue color.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bar graph or to differentiate the color concentration of the bar graph according to the data amount of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은 상기 재난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륙시킨 지역에서 촬영한 재난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한 재난 촬영 영상을 분석하며, 드론을 이용하여 재난 발생 지역의 거주민에게 재난 알림을 전송하고, 거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방향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generating a dron map,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collects a disaster shooting image taken in an area where the drones are taken off, analyzes the collected disaster shooting image, It sends a disaster notification to the residents of the area and informs the direction that the resident should evacu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드론을 띄울 수 있는 드론이륙리스트가 표시된 드론맵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responding to a dron map in which a dron take-off list is displayed, in which a dron can be promptly rais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드론맵을 이용하여 국가나 소방서 등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드론을 운행할 뿐만 아니라, 드론맵에 표시된 드론이륙리스트를 해당 지역의 드론비행자격소지자 내지 드론 기체를 등록한자에게 알림으로써 재난 발생시 해당 지역 주민 내지 일반인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아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n map is used to operate a dron which is held in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a country or a fire station, and a dron flight list displayed on a dron map is registered as a dron flight carri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informing Hanja,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ceive help from the local residents or ordinary people and prepare for disa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드론맵을 이용하여 재난의 진행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지역 내의 드론이륙리스트를 해당 지역의 드론사용자들에 전송하여 예상치 못한 재난의 진행방향에도 대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rection of a disaster is changed using a dron map, a dron takeoff list in a changed area is transmitted to a drones user in a corresponding area to provide an effect of preparing for an unexpected disaster hav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을 이용한 재난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이륙리스트와 드론공역이 표시된 드론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재난관리서버에서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정도를 드론맵에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a dron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xample of a dron map in which a dron takeoff list and a dron space ar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a degree of reception of an image from a drone on a drone map in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을 이용한 재난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a dron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난관리시스템(100)은 재난관리서버(100), 드론사용자DB(120), 공공기관DB(130)를 포함한다. 재난관리서버(100)는 소방도로DB(111), 지도DB(113), 드론맵DB(114) 내지 날씨 및 지형 DB(115)를 이용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DB는 데이터베이스의 약자로 기술하였다.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a drone user DB 120, and a public institution DB 130.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can use the fire road DB 111, the map DB 113, the drone map DB 114, the weather and the terrain DB 115. In the specification, DB is abbreviated as datab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DB(114)는 각 지자체 또는 임의의 영역에서 드론을 띄우기에 적합한 지역을 나타내는 드론이륙리스트가 포함된 지도데이터베이스를 지칭한다. 일 실시예로, 드론맵DB(114)는 도 2 의 일 실시예와 같이 드론이륙리스트(도 2, 201, 202, 203, 204, 205, 206) 정보를 포함하며, 각 드론이륙리스트(도 2, 201, 202, 203, 204, 205, 206)에서 드론별로 드론공역(도 2, S201, S202, S203, S204, S205, S206)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이륙리스트와 드론공역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고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DB 114 refers to a map database containing a dron takeoff list indicating an area suitable for droning in each municipality or any area. 2, 201, 202, 203, 204, 205, 206) inform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and each dron takeoff list S201, S202, S203, S204, S205, and S206) by the drones in the first, second, 201, 202, 203, 204, See Figure 2 for a description of the drones takeoff list and the drones conjugate.

재난관리서버(100)는 재난이 발생하면 센서부(101)를 통해 기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재난과 관련된 센서정보를 획득하거나, CCTV(103)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또는 신고자(105)의 신고를 접수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aster from the sensors installed through the sensor unit 101 when a disaster occurs or confirms the image of the CCTV 103 or receives a report of the claimant 105 So that a disaster can be confirmed.

재난관리서버(100)에서는 재난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드론사용자DB(120)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에 기등록된 드론사용자(121, 123, 125)들의 단말기에 도 2 또는 3과 같은 드론맵을 전송할 수 있다. 재난관리서버(100)는 또한 재난이 발생된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드론사용자(121, 123, 125)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드론이륙리스트가 표시된 드론맵을 전송할 수 있다. 2 or 3 to the terminals of the drone users 121, 123, and 125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drone user DB 120, The same drones map can be transmitted.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can also transmit the dronemes showing the dron takeoff list to the user's terminal registered as the drones 121, 123, and 125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또는 드론사용자(121, 123, 125)가 재난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드론맵DB(114)에서 제공하는 드론이륙리스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드론사용자(121, 123, 125)들은 드론맵에 표시된 드론이륙리스트를 확인한 후 해당 드론이륙리스트 중 임의의 지역에서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다.Or the drone users 121, 123, and 125 may access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and check the drones take-lis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rone map DB 114. [ The drone users 121, 123, and 125 may confirm the drone take-off list displayed on the drone map and then fly the drone in any of the drone take-out lists.

드론사용자(121, 123, 125)들이 이용하는 드론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기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드론에 구비된 센서는 적외선 카메라, RGB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센서, 음파 등을 이용한 레이더(radar), 거리 감지 및 충돌 방지 센서, 고도 감지 및 조절 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rones used by the drone users 121, 123, and 125 are configured to acquire peripheral information using one or more sensors, and to detect a crisis situation using the acquir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or provided in the drone may be an infrared camera, an RGB camera, a voice recognition sensor including a microphone, a radar using a sound wave, a distance sensing and anti-collision sensor, an altitude sensing and adjusting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를 구비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재난관리서버(100)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차량에 설치된 센서, 소방차량에 설치된 센서, 산불 방지를 위해 산 지형에 기설치된 센서와 통신이 가능하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capturing device to capture an image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In addition, the drones can communicate with sensors installed on vehicles, sensors installed on fire trucks, and sensors installed on mountain terrain to prevent forest fire.

이 경우, 드론은 L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ones may be a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an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luetooth, Zigbee, VoIP, LTE Advanced, IEEE 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 3GPP Long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ultrasound-enabled communication.

재난관리서버(100)는 또한 재난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공공기관DB(130)를 이용하여 중앙재난센터(131), 소방서(133), 드론관리기관(135)에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드론사용자DB(120)로부터 드론사용자(121, 123, 125)들이 촬영한 영상을 취합한 정보를 획득하여 중앙재난센터(131), 소방서(133), 드론관리기관(135)에 제공함으로써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00 can also quickly contact the central disaster center 131, the fire department 133, and the drones management institution 135 using the public institution DB 130 when it is confirm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obtain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combining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s 121, 123 and 125 from the drones user DB 120 and provides them to the central disaster center 131, the fire department 133, and the drones authority 135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uation can be shared.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이륙리스트와 드론공역이 표시된 드론맵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 은 드론이륙리스트 각각에서 드론으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정도를 더 표시한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ron map in which a dragon takeoff list and a dragon space are displayed, and FIG. 3 illustrates an extent of receiving image data from a dragon in each of the dragon takeoff lis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DB는 소방도로DB나 지도DB로부터 임의의 영역에 대한 도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영역에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검출한다. 또한 날씨, 지형 DB로부터 상기 임의의 영역의 조도, 날씨 정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DB receives road information for an arbitrary area from a fire-fighting road DB or a map DB, and detects a road or a fire-fighting road in the arbitrary area. 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receive the weather, the degree of weather and the weather of the arbitrary area from the terrain DB.

드론맵DB는 소방도로DB 또는 지도DB에서 제공하는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영역 내에서 검출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높이 기준으로 분류한 후, 기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도로 또는 소방도로가 있는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이는 드론을 차량이 운반할 수 있는 고도 중 최소 높이 이상의 고도에서 띄우기 위한 것이다. The dron map DB classifies roads or fire-fighting roads detected in an arbitrary area on the basis of height by using contour information provided by a fire-fighting road DB or a map DB, and then maps the roads or fire- Can be classified. This is for launching the dron at an altitude above the minimum height that the vehicle can carry.

드론맵DB는 날씨 및 지형 DB로부터 최소 높이 이상의 고도 내지 높이를 지닌 도로 소방도로가 있는 영역에 대한 조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지역(spot)들을 포함하는 지역리스트를 생성한다. 최소 높이 이상의 고도가 확보되어 드론에서 촬영 화각이 확보되더라도, 안개가 끼거나 빛이 부족한 경우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의 활용도가 높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최소한의 고도 내지 높이가 확보된 영역들 중 날씨와 조도 등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들을 나타내는 지역리스트를 생성한다. The drone map DB receives the illuminance information for the area having the roadway fire road with the altitude or height higher than the minimum height from the weather and topographic DB, and generates an area list including spots exceeding predetermined illuminance. Even if the height of the minimum height is secured and the angle of view is secured by the drones, if the fog or light is insufficient,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s may not be utilized as well.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rea list indicating areas where weather and illuminance satisfy preset conditions among the areas having the minimum altitude and height.

드론맵DB는 최소 높이 이상의 고도가 확보되고, 영상 촬영이 가능한 조도가 확보되는 지역리스트 중에서 추가로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륙리스트를 생성한다.The dron map DB is a list of drones taking into consideration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towers, electric wires, high-rise buildings and facilities, wires, obstacles, and density of houses among the list of areas where the elevation above the minimum height is secured, .

드론 비행시 장애물이 없거나 또는 돌발 상황시 드론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될 수 있는 지역들만을 드론이륙리스트로 생성한다. 드론이륙리스트는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낸 리스트를 지칭한다.Only the areas where there are no obstacles in the flight of the drone or in which the safety device can be activated due to the drone crash in an unexpected situation, are created as a dragon takeoff list. Dron take-off list refers to a list of areas where drones can take of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DB(114)에 표시되는 드론이륙리스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드론을 띄울 수 있는 고도, 소방도로와 차량도로의 도로 상황, 날씨 및 조도 정보, 주거밀집지역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변경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gon take list displayed on the drone map DB 114 is not fixed, but may be an altitude at which a drone can be launched, road conditions of fire roads and vehicle roads, weather and illuminan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change at least one of the regions.

예를 들어, 드론맵DB(114)에 표시되는 드론이륙리스트가 날씨로 인하여 소방도로나 차량도로의 도로 상황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조도가 부족하여 드론에서 촬영이 어려운 경우, 주거밀집지역으로 공법상 영역의 이용형태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정 주기별, 실시간별, 계절별 등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For example, when the dron take-off list displayed in the dron map DB 114 has a problem with the road conditions of the fire-fighting road or the vehicle road due to the weather, or the shooting is difficult in the dron because of the lack of illumi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an event such as a change occurs in the usage form of the image area, the change may be reflected by a certain period, real time, seas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DB는 또한 드론 공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드론 공역은 유인항공기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의 종류별로 비행할 수 있는 영역과 고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지칭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map DB may further include drone space inform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Airspa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nned aircraft operating altitude, a flight performance per drone, a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 a communication distance per drone, And the data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ltitude and the area that can fly by the type of the altitude.

도 2 내지 3 을 참고하면, 드론맵DB는 도 2 또는 도 3 과 같은 드론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드론맵은 등고선 정보(210)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높이를 초과하는 고도 지역을 선정하고, 도 2와 같이 임의의 영역(200) 내에 n 개의 드론이륙리스트(201,202, 203, 204, 205, 206)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드론이륙리스트(201,202, 203, 204, 205, 206)마다 드론 공역(S201, S202, S203, S204, S205, S206)을 더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3, the Dron map DB can provide the Dron map as shown in FIG. 2 or FIG. Referring to FIG. 2, the drone map selects an altitude area exceeding a minimum height by using the contour information 210, and selects n dron takeoff lists 201, 202, 203, 204, 205, and 206 can be displayed. S202, S203, S204, S205, and S206 may be further displayed for each of the dron take-off lists 201, 202, 203, 204, 205,

사용자는 산불이 발생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경우 각각의 드론이륙리스트(201,202, 203, 204, 205, 206) 중 임의의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을 띄울 수 있으며, 드론맵을 이용하여 자신이 드론을 띄운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을 비행할 고도 정보, 드론을 비행할 영역 정보 등을 드론 공역(S201, S202, S203, S204, S205, S206)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launch a dron from any one of the dron take-off lists 201, 202, 203, 204, 205, and 206 when a forest fire occurs or a disaster occurs. By using the dron map, The altitude information for flying the drones on the take-off list and the area information for flying the dron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dragon airspace (S201, S202, S203, S204, S205, S206).

이 경우, 드론 사용자는 자신이 드론을 이륙시킨 드론이륙리스트를 재난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재난관리서버로부터 해당 드론이륙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재난관리서버는 특정 드론이륙리스트에 드론비행자격소지자가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을 띄우고자 하는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재난관리서버는 또한 드론비행자격 소지자에게 드론이륙리스트들 중 드론이 띄워지지 않은 드론이륙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one user can send the drone take-off list, which he or she has taken off,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and return the information on the relevant drone take-off list from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who wants to launch the dron from each dron take-off list, to prevent the dron flight attendant from getting on the specific dron take-off list.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can also provide the dron flight attendant with information on dron takeoff lists that are not droned from the dron flight list.

도 3 을 참고하면, 재난관리서버(도 1, 100)은 사용자들이 띄운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량을 드론맵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FIGS. 1 and 100) can display the amount of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rones on which the users are located, on the drone map.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드론이륙리스트(301)에서 제 1 드론(301S)이 촬영중에 있으며, 제 1 드론(301S)에서 확보한 영상데이터량(311, 311b)이 드론맵 상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드론(302S), 제 3 드론(303S)이 각각 제 2 드론이륙리스트(302), 제 3 드론이륙리스트(303)에서 비행하고 있으며 확보한 영상데이터량(312, 313, 312b,313b)를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rones 301S are being photographed by the first dron takeoff list 301, and the image data amounts 311 and 311b acquired by the first drones 301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ron map . Similarly, the second drones 302S and the third drones 303S are flying in the second and third dragon take-away lists 302 and 303, respectively, and the amounts of image data 312, 313, 312b, and 313b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드론맵은 각각의 드론이륙리스트에서 확보한 영상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지표(311, 312, 313, 314, 315, 316)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 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표(311,312,313)가 오른쪽 방향을 향할수록(311b, 312b, 313b) 필요한 영상데이터량을 더 확보한 것을 나타내며, 오른쪽 방향을 모두 채우면 필요한 영상데이터량을 모두 확보한 것을 나타낸다. 반면, 지표가(314,315,316) 왼쪽 방향으로 치우칠수록(314a, 315a, 316a) 필요한 영상데이터량을 확보하지 못한 것을 표시한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may use indicators (311, 312, 313, 314, 315, 316) indicating the amount of image data obtained from each dron take-off list. In the embodiment of FIG. 3, it is shown that the necessary amount of image data is secured as the indicators 311, 312, and 313 are oriented toward the right direction (311b, 312b, and 313b) . On the other hand, as the index is shifted toward the left direction (314, 315, 316) (314a, 315a, 316a), it indicates that the necessary amount of image data can not be secu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드론맵은 각 드론이륙리스트에 표시될 수 있는 영상데이터량을 확보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를 재난관리서버(도 1, 100)를 통해 드론사용자DB(도 1,120), 공공기관DB(도 1, 130)에 제공할 수 있다. 드론사용자 또는 여러 공공기관은 영상데이터량을 확보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를 재난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어느 지역에 영상데이터가 더 확보되어야 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is provided with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securing the amount of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each dragon take-off list to the drone user DB (Fig. 1, , And a public institution DB (Figs. 1 and 130). A drone user or a plurality of public agencies can receive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gree of securing the amount of image data from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and can confirm in real time which area the image data should be secu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재난관리서버(도 1, 100)는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고(도 3, 304, 305, 306), 지도상에 표시된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과 인접한 드론이륙리스트(도 3, 304, 305, 306)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기설정된 거리 내에 드론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재차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Figs. 1 and 100) displays an area where a photographed image is further required on the map (Figs. 3, 304, 305 and 306) (3, 304, 305, and 306) adjacent to the area can be displayed on the map and transmitted again to the terminal of the user registered as the drone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은 각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띄워진 드론의 개수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각 드론이륙리스트에서는 드론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를 함께 띄울 수 있다.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may display the number of drones floating in each dron take-off list. On each dron take-off list, the dron can be launched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a plurality of drones.

도 3 을 참고하면, 제 1 드론이륙리스트(301)에 2개의 드론이 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 1개의 드론(301S)은 영상촬영을 수행하고, 다른 1개의 드론은 재난관리서버(도 1, 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예를 들어 '산불 발생'(310), 알림판에 안내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드론은 스피커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310)을 사이렌으로 알릴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통해 인접한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에 '산불 발생'(310)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3, it can be seen that two drones are floating in the first dron takeoff list 301. One of the drones 301S performs image shooting, and the other one of the drones is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1, 100), for example, 'fire forest occurrence' (310), can be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board. The drones can notify the user of 'fire fighting' 310 by using a speaker, and can transmit a 'fire fighting' 310 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terminal in an adjacent area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유사하게, 제 3 드론이륙리스트(303)에 2개의 드론이 띄워진 것을 표시하고, 각 드론이 수행하고 있는 작업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 3 드론이륙리스트(303)에 띄워진 2개의 드론 중 1개의 드론은 영상촬영을 수행하고(303S), 다른 1개의 드론은 '피신방향 ->"(320)을 알리고 있다. 재난 지역에 위치한 주민들은 드론의 알림메시지(320)를 확인하고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할 수 있다. Likewise,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two drones are floating in the third dron takeoff list 303, and to display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by each dron together. One of the two drones placed on the third dron takeoff list 303 performs image capturing (303S), and the other one of the drones notifies the " escape direction-> " Residents can check the drones' alerts (320) and quickly prepare countermeasures.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생성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4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맵은 소방도로데이터베이스 및 지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임의의 영역에 대한 도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영역에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검출한다(S410). 그리고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높이 기준으로 분류하고(S420), 기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도로 또는 소방도로가 있는 영역에 대한 조도 정보를 수신한다(S430).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map receives road information for an arbitrary area from the fire-fighting road database and the map database, respectively, and detects the road or fire road in the arbitrary area (S410). In operation S420, the controller 110 classifies the detected road or fire-fighting road based on height using the contour information (S420), and receives illuminance information on a road or fire-blocking road that exceeds the preset height (S430).

드론맵은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지역(spot)들을 포함하는 지역리스트를 생성한 후(S430), 이 중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내는 드론이륙리스트를 생성한다(S440). The dron map generates an area list including spots exceeding a preset illuminance at step S430 and considers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towers, electric wires, high-rise buildings and facilities, electric wires, obstacles, The drones create a dron take-off list indicating the areas that can be taken off (S440).

그 후 유인항공기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별 드론공역을 설정한다(S450).After that, considering the at least one of manned aircraft operating altitude, flight performance per drones,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s, telecommunication visibility per drones, and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in case of an accident, (S4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소방도로데이터베이스 및 지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임의의 영역에 대한 도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영역에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검출하는 단계;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도로 또는 소방도로를 높이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기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도로 또는 소방도로가 있는 영역에 대한 조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지역(spot)들을 포함하는 지역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Receiving road information for an arbitrary area from a fire-fighting road database and a map database, respectively, and detecting roads or fire-fighting roads in the arbitrary area;
Classifying the detected road or fire road by a height reference using contour information;
Receiving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for a road having a road height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or an area having a road for a fire and generating an area list including spots exceeding predetermined illumination levels, Genera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리스트 내에서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내는드론이륙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reating a dron take-off list indicating areas in which the drones can take off consider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ransmission tower, the wires, the high-rise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wires, the obstacles and the density of the houses in the area list How to create a dronemap.
제 2 항에 있어서,
유인항공기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륙리스트에서 드론별 드론공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step of setting a droned space by a dron in the dron take-off list considering at least one of manned aircraft operating altitude, flight performance per drones,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 communication visibility per drones, ≪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재난관리서버에서 지도상에 상기 드론이륙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displaying the dragon takeoff list on a map at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영역 내에 재난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이 발생된 영역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드론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드론이륙리스트가 표시된 지도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arbitrary area,
And transmitting the map on which the dragon takeoff list is displayed to a terminal of a user registered as a dragon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하는 사용자 각각은 드론을 이륙시킨 드론이륙리스트 정보와 상기 드론을 이륙시킨 지역에서 촬영한 촬영 영상을 함께 상기 재난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난관리서버에서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지도상에 표시된 촬영영상이 더 필요한 지역과 인접한 드론이륙리스트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기설정된 거리 내에 드론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재차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users using the drone transmits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ogether with the dragon take-list information on the take-off of the dron and the taken image taken in the area where the dron is taken of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displays a region on the map where a more photographed image is required and displays a dron takeoff list adjacent to an area where a photographed image displayed on the map is further required on a map to display a map of a user registered as a drone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륙시킨 지역에서 촬영한 재난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한 재난 촬영 영상을 분석하며, 드론을 이용하여 재난 발생 지역의 거주민에게 재난 알림을 전송하고, 거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방향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맵생성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Collects the disaster photographs taken in the area where the drones are taken off, analyzes the collected disaster photographs, transmits a disaster notification to the residents in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using the drones, and informs the direc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dron map.
KR1020170184802A 2017-12-29 2017-12-29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KR102076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02A KR102076221B1 (en) 2017-12-29 2017-12-29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02A KR102076221B1 (en) 2017-12-29 2017-12-29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31A true KR20190081931A (en) 2019-07-09
KR102076221B1 KR102076221B1 (en) 2020-02-11

Family

ID=6726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802A KR102076221B1 (en) 2017-12-29 2017-12-29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22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921A (en) * 2016-03-30 2017-10-12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KR20170118334A (en) 2016-04-15 2017-10-25 (주)코어센스 Monitoring and Extingushing System for Forest Fire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921A (en) * 2016-03-30 2017-10-12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KR20170118334A (en) 2016-04-15 2017-10-25 (주)코어센스 Monitoring and Extingushing System for Forest Fire Using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221B1 (en)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024B2 (en) Mobile emergency response network
CN108140298B (en) Emergency alert system and method
US20070131822A1 (en) Aerial and ground robotic system
US10450064B2 (en) Situational command and control of drones
CN106054928A (en) All-region fire generation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unmanned plane network
KR101463964B1 (en) Forest fire managing system
KR102208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JP2020502659A (en) Methods and entities for alerting unmanned aerial vehicle failure
JP2019032661A (en) Air traffic control apparatus
CA301656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athering information
USRE47637E1 (en) Smart laser device
US11483693B2 (en) Providing responders with relevant real-time information
KR20150146040A (en)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body-guard service
CN101888538A (en) Unmanned helicopter video monitoring device for police
Lemayian et al. First responder drones for critical situation management
US20160078748A1 (en) Emergency detection device, emergency detection syste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CN109035108A (en) One kind is for the identification early warning of scenic spot density of personnel and evacuation indication system
KR20190081931A (en) Method for creating a drone map
JP6697702B2 (en) Automatic stop device and automatic stop method
Green et al. The Potential of Drone Technology in Pandemics
CN113450531A (en) Forest fire prevention detection system
KR102118345B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tiime Trenches Security Guard Service by using Drone in Field
CN201774628U (en) Video monitoring device for police unmanned helicopter
JP6978642B2 (en) Autonomous flight robot system that automatically starts at the disaster site
Krakowiak Unmanned Aerial Vehicles in the Security Service and as a New Tool in the Hands of Cri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