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318A -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318A
KR20190073318A KR1020190068742A KR20190068742A KR20190073318A KR 20190073318 A KR20190073318 A KR 20190073318A KR 1020190068742 A KR1020190068742 A KR 1020190068742A KR 20190068742 A KR20190068742 A KR 20190068742A KR 20190073318 A KR20190073318 A KR 2019007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ply
flow rate
target
suppl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재
노진환
문현석
정희도
최환석
가진성
이수윤
정웅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3318A/en
Publication of KR2019007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3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3Control of flow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nd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comprises: a fluid supply step of enabling a filter to filtrate induced raw water to generate a fluid and opening a supply valve to discharge the fluid; a supply flow rate measurement step of enabling a flow rate sensor to measure the flow quantity of a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to calculate the supply flow quantity of the fluid; a supply time measurement step of counting the supply time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to discharge the fluid; and a supply stop step of closing the supply valve to stop discharging the fluid when the supply flow quantity arrives at a preset target flow quantity or the supply time arrives at preset target supply time in a state where the supply valve is not clos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rein the target supply time is set to be enough time to discharge the fluid by the target flow quantity, and the target supply time is determined considering the pressure and flow speed of the raw water influencing the flow speed and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fluid even though a failure occurs in the flow rate sensor.

Description

정량추출장치 및 정량추출방법{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nd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은 정량추출장치 및 정량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정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량추출장치 및 정량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extracting apparatus and a quantitative extrac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antitative extracting apparatus and a quantitative extract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to a user ev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a flow rate sensor.

도 1은 일반적인 물탱크형 정수기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50)를 통하여 저장탱크(110)로 물을 공급받고, 저장탱크(110)에 공급된 물은 온수탱크(120)와 냉수탱크(130)로 공급되어 각각 가열과 냉각이 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10), 온수탱크(120) 및 냉수탱크(130)에 공급된 물은 각각의 경로를 통하여 밸브(140)를 통하여 추출된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1,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filter 150 and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10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20 and the cold water tank 130, Heating and cool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10, the hot water tank 120, and the cold water tank 130 is extracted through the valve 140 through the respective paths.

상기 일반적인 물탱크형 정수기의 경우에는 저장탱크(110), 온수탱크(120) 및 냉수탱크(130)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물탱크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내부에 물때가 생김은 물론 곰팡이나 각종 세균 등이 번식하여 물을 오염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한다. The conventional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use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ch as the storage tank 110, the hot water tank 120 and the cold water tank 130,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needs to be cleaned periodically There is. In addition, if the water tank is not cleaned frequently, water scarcity may occur inside, and fungi and various bacteria may propagate to pollute the water and cause food poisoning in some cases.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물탱크형 정수기대신에 직수식 정수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즉, 별도의 물탱크없이 유입되는 물을 즉시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direct water purifier has been widely used instead of the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mmediately without the separate water tank is immediately purified and provided to the user.

다만,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량의 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기존의 물탱크형 정수기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압이 항상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므로, 일정시간동안 물을 추출하면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extract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pressure is alway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water is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amount of water can be provided.

이에 반하여 직수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각 설치 장소마다 원수의 수압이 다를 수 있으며, 수압에 따라 단위시간당 추출되는 물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정량추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정량추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rect water-purifying device,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may be different at each installation site, and the amount of water extracted per unit time differs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tract a fixed amount. Particularly, when a failure or the like occurs in the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extracted,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xtract it.

본 발명은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정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량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to a user ev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a flow sensor.

또한, 본 발명은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정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량추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fixed amount of fluid ev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방법은,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부가 바로 여과하여 유체를 생성하고,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공급단계, 유량센서가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계산하는 공급유량측정단계,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토출되면, 공급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공급시간측정단계, 및 상기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해당하거나,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의 토출을 중단하는 공급중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며,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원수의 수압 및 유속을 고려하여 결정된다.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id supply step of filtering raw water immediately to filter the fluid to generate a fluid, A supply time measuring step of counting a supply time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and a supply time measuring step of counting a supply time of the fluid, Stopping the discharge of the fluid by closing the supply valve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valve is not closed by the flow sensor, Wherein the target supply time is set to a time sufficient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by the target flow rate,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raw water that affect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여기서,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유체생성장치는 직수식 정수기일 수 있다.Here, the flui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fluid may be a direct water purifier.

여기서,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소정의 기준 높이보다 낮은 저지대에 설치될 때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높은 고지대에 설치될 때 상기 목표공급시간보다 짧게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determined to be shorter than the target supply time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higher than the reference height,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lower ground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여기서, 상기 유체는 온수, 냉수 및 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fluid includes at least one of hot water,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d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id.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상기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고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output step of closing the supply valve and outputting an alarm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the target supply time with the supply valve not closed by the flow sensor.

여기서, 상기 알람출력단계는,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alarm output step may output the alarm to detect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sensor by using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t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는, 유입되는 원수를 바로 여과하여 유체를 생성하는 필터부,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토출되면, 공급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도달하거나,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의 토출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원수의 수압 및 유속을 고려하여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결정한다.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for directly filtering incoming raw water to generate a fluid, a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a supply flow rate; a counter for counting the supply time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to discharge the flui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upply flow rate to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And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of the fluid has not reached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Sets the target supply time in terms of time, affects the fluid velocity and the water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raw water to determine the target supply time.

여기서,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유체생성장치는 직수식 정수기일 수 있다.Here, the flui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fluid may be a direct water purifie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소정의 기준 높이보다 낮은 저지대에 설치될 때의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높은 고지대에 설치될 때의 상기 목표공급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target supply time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lower ground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to a target supply time at which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higher altitude than the reference height It can be decided shortly.

여기서, 상기 공급시간이 상기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여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for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the target supply time and the supply valve is closed.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not all enume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 및 정량추출방법에 의하면, 유량센서 이외에 유체의 공급시간을 이용하여 목표유량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에 고장 등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유체의 공급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nd the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target flow amount of fluid using the supply time of the fluid other than the flow rate sensor. Therefore, ev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such as failure in the flow rate sensor, the fluid can be supplied.

도 1은 일반적인 물탱크형 정수기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는 공급밸브(10), 유량센서(20), 카운터(30), 제어부(40) 및 알람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ly valve 10, a flow rate sensor 20, a counter 30, a controller 40, and an alarm unit 50 .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quantitativ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정량추출장치(100)는, 공급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기 설정된 공급유량만큼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정량추출장치(100)는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수식 정수기에 활용될 수 있다.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to be supplied and supply the fluid at a predetermined supply flow rate.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to any apparatus that needs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fluid, and may be applied to a direct water purifier as shown in FIG.

상기 정량추출장치(100)가 직수식 정수기에 적용되면, 상기 정량추출장치(100)가 유량을 제어하는 유체는, 상기 직수식 정수기가 생성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정량추출장치는, 상기 직수식 정수기가 토출하는 정수, 온수 및 냉수에 대하여 각각 기 설정된 공급유량만큼씩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100 is applied to a direct water purifier, the fluid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100 may be at least one of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generated by the direct water purifier. That is, the quantitative extraction device can control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discharged by the water purifier by the preset supply flow rates,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식 정수기는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부(f)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정수를 히터부(h)에 공급하여 온수를 생성하거나 냉각부(c)에 공급하여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정수, 온수 및 냉수는 공급밸브(1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정량추출장치(100)는 상기 공급밸브(10)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rect water-purifying device can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the incoming raw water with the filter portion (f), and then supplies the purified water to the heater portion (h) to generate hot water or supply it to the cooling portion Thereby generating cold water. Here, the generated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ly valve 10, and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10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fluid Can be adjusted.

상기 공급밸브(10)는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밸브(10)를 개방하면 상기 유체가 토출되고 상기 공급밸브(10)를 폐쇄하면 상기 유체의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밸브(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upply valve 10 regulat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to be discharged. When the supply valve 10 is opened, the fluid is discharged, and when the supply valve 10 is closed, the supply of the fluid can be stopped.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fluid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10.

상기 공급밸브(10)는 상기 직수식 정수기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량추출신호에 따라 개방될 수 있으며, 유량센서(20)가 측정한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10)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20)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단위시간당 상기 회전체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계산한 후, 상기 유속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20)가 측정한 유체의 공급유량은 제어부(4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supply valve 10 may be opened according to a user's quantitative extraction signal input to the direct water purifier and may be configured to close the supply valve 10 according to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0 . Here, the flow sensor 20 may include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body may be sensed by using the rotating speed of the rotating body.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ng body per unit time, and t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low rate.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20)이외에 카운터(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급밸브(10)가 유체의 공급을 지속하는 시간 즉, 공급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30)는 상기 공급밸브(10)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토출되기 시작할 때부터 상기 공급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공급밸브(10)가 폐쇄되어 유체 토출이 중단되면 상기 공급시간은 리셋(reset)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30)가 측정한 상기 공급시간은 제어부(40)로 전송될 수 있다. Here, a counter 30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flow rate sensor 20 to measure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upply valve 10 maintains the supply of the fluid, that is, the supply time. The counter 30 may count the supply time from when the supply valve 10 is opened and the fluid begins to be discharged and then when the supply valve 10 is closed and the fluid discharge is stopped, Can be reset. The supply time measured by the counter 3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상기 유량센서(20)가 측정한 유체의 공급유량 이외에, 상기 카운터(30)가 측정한 공급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해당하거나 상기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10)를 폐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adjust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fluid by using the supply time measured by the counter 30 in addition to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20. [ That is, the control unit 40 can close the supply valve 10 when the supply flow rat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일반적으로, 상기 유량센서(20)를 이용하면 상기 공급밸브(10)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별도의 카운터(30) 등의 구성없이도 기 설정된 공급유량만큼의 유체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량센서(20)가 고장나거나, 상기 공급밸브(10)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상기 유량센서(20)의 측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유량센서(20)의 측정값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센서(20)의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유체가 계속 토출되어 기 설정된 목표유량 이상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컵이 넘치는 등 사용자 불편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수의 경우 화상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20)의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공급밸브(10)를 폐쇄하여 상기 위험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Generally, by using the flow sensor 20, the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10 can be accurately measure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user with the fluid of the predetermined supply flow rate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er 30 or the like. However, when the flow sensor 20 fails or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10 deviates from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flow sensor 20, an error may occur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sensor 20 . That is, when the failure of the flow sensor 20 occurs, the fluid continues to be discharged to supply the fluid at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more. In this case, a user may inconvenience such as overflowing the cup, and further, in the case of hot water, a risk of burns or the like may occur.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the like of the flow sensor 20, the supply valve 10 may be closed to prevent the danger.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장치에 의하면, 상기 유량센서(20)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공급밸브(10)를 폐쇄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목표유량의 유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카운터(30)가 측정한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10)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공급밸브(10)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지만, 실제 상기 목표공급시간동안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목표유량과 비교할 때 다소 오차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failure or the like occurs in the flow sensor 20, the flow of the fluid at the predetermined flow rate to the user without closing the supply valve 10 . That is, when the supply time measured by the counter 30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the supply of the fluid can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ly valve 10 is closed. Here, the target supply time is a time required for the supply valve 10 to discharge by the target flow amount, but the actual flow amount of the fluid discharged during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target flow amount.

하지만,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이용하는 정량추출은, 상기 유량센서(20)에 대한 수리나 교체 등의 정비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임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센서(20)에 대한 수리나 교체시까지 상기 유체의 공급을 중단하지않고, 상기 목표유량에 근접한 양의 유량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However, the quantitative extraction using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performed temporarily until maintenance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flow sensor 20 is perform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 amount close to the target flow rate without interrupting the supply of the fluid until the flow sensor 20 is repaired or replac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생성장치 즉, 직수식정수기가 설치되는 설치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저지대에 상기 직수식정수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로 사용하는 수돗물의 수압이 높고 유속이 빠를 수 있으며, 반대로 고지대에 상기 직수식정수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로 사용하는 수돗물의 수압이 낮고 유속이 느릴 수 있다. 이외에도, 지하수를 원수로 활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직수식정수기의 설치지역에 따라 원수의 수압 및 유속 등 설치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Here, the target supply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in which the fluid generating device, i.e., direct water purifier, is installed. That is, when the direct-acting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a low-lying zone, the tap water used as the raw water may have a high water pressure and a high flow rate.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It may be low and flow rate slow. 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cases such as when ground water is used as raw water. Therefore, installation conditions such as hydraulic pressure and flow rate of raw water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원수의 수압 및 유속 등의 설치조건은 결국, 상기 직수식 정수기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상기 기 설정되는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설치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직수식 정수기의 설치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특히 원수의 유속 및 수압이 중요할 수 있다. Since the installation conditions such as the water pressure and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ultimately affect the flow velocity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irect water-purifying device, the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conditions. Among various factors determined depending on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water purifier, in particular, the flow rate and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may be important.

상기 유량센서(20)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유량센서(20)에 의하여 상기 공급밸브(10)의 폐쇄여부가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20)에 의하여 공급밸브(10)의 폐쇄여부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목표유량이 토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20)에 의하여 상기 공급밸브(10)의 폐쇄여부가 결정되지 않거나, 상기 공급밸브(10)에 의한 폐쇄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목표공급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유량센서(20)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flow rate sensor 20, the flow rate sensor 20 determines whether the supply valve 10 is closed. He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valve 10 is closed by the flow rate sensor 20,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set to a time sufficient for the target flow rate to be discharged. Therefore, when the flow rate sensor 20 determines that the supply valve 10 is not closed, or when the target supply time elapses before the closing signal is input by the supply valve 1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nsor 20 has a problem.

이와 같이 상기 유량센서(20)에 문제가 있는 경우, 알람부(5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유량센서(20)에 문제가 있음을 사용자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측정한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해당하여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면, 상기 유량센서(2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알람부(50)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flow rate sensor 20, the user can notify the user of the presence of a problem with the flow rate sensor 2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unit 50. [ That is, when the measured supply time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and the supply valve is closed, it can be regard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rate sensor 20. Therefore, Can be shown.

구체적으로, 상기 알람부(50)는, 사용자가 시각 및 청각 등 사람의 감각을 통하여 상기 유량센서(20)에 이상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직수식 정수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유량센서(20)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2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한 사용자는, 고객센터 등을 통하여 상기 유량센서(20)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20)의 고장 등 이상을 고칠 때까지는, 상기 카운터(30)에 의한 공급시간 측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량의 유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larm unit 50 may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flow sensor 20 has an abnormality through human senses such as sight and hearing. For example, you can output a warning sound or flash a warning light. Or the display unit such as the water purifier or the like may indicate that the flow sensor 20 has an abnormality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flow sensor 20. The user who sense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sensor 20 can take measures against the abnormality of the flow sensor 20 through a customer center or the like.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supply time by the counter 30 until the abnormality of the flow sensor 20 is correc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유체공급단계(S10), 공급유량측정단계(S20), 공급시간측정단계(S30), 공급중단단계(S40) 및 알람출력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fluid supply step S10, a supply flow measuring step S20, a supply time measuring step S30, a supply stop step S40, and an alarm output step S50 may be includ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량추출방법은,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기 설정된 공급유량만큼의 유량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정량추출방법은 일정한 양의 유체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언제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직수식 정수기에 대하여 상기 정량추출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직수식 정수기는 별도의 물탱크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출수요청이 입력되면 필터부로 원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가 공급밸브를 통하여 곧바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직수식 정수기는 히터부 및 냉각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 및 냉각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를 각각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뿐만아니라, 온수 또는 냉수에 대하여도 상기 정량추출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supplied fluid to provide a flow rate by a predetermined supply flow rate. Therefore, the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can be applied at any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fluid, and in particular, the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a direct water purifier. The direct water purifier does not include a separate water tank. When the user's request for watering is input, the supply of raw water to the filter unit is started, and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ing uni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supply valve .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unit and a cooling unit. The heater unit and the cooling unit may be used to heat or cool the purified water, respectively, to generate hot water or cold water.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above constants but also to hot water or cold water.

먼저 유체공급단계(S10)는, 공급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밸브를 통하여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직수식 정수기 등에 대하여 유체에 대한 출수요청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First, the fluid supply step (S10) can open the supply valve and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supply valve. An outflow request for the fluid may be inputted to the direct water purifier or the like for generating the fluid, and the supply valve may be opened correspondingly.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면 공급유량측정단계(S20)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량측정단계(S20)는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로부터 상기 유체의 유속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속을 이용하여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공급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the process may proceed to the supply flow measuring step (S20). The supply flow rate measuring step (S20) can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by using the flow rate sensor, and calculate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Here, the flow rate sensor may include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channel,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determined from the rotating speed of the rotating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by using the flow r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공급유량측정단계(S20)와 함께 상기 공급시간측정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시간측정단계(S30)는,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된 때부터 공급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여, 상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해당하는지 또는 상기 카운트한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the supply time measurement step S30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upply flow rate measurement step S20. That is, the supply time measuring step S30 may start counting the supply time from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and measure the supply time at which the fluid is supplie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flow rate measured using the flow senso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whether the counted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상기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해당하거나, 상기 카운트한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공급중단단계(S40)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When the supply flow rate measured using the flow senso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when the counted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the supply valve is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stop step (S40) Can be stopped.

일반적으로는, 상기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목표유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확한 목표유량의 유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나거나,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상기 유량센서의 측정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등에는, 상기 유량센서를 이용하면 목표유량의 유량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센서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유체가 계속하여 토출되어 기 설정된 목표유량 이상의 유체가 공급되어 사용자 불편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화상 발생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의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위험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flow sensor can be used to provide a fluid at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and in this case, a fluid with an accurate target flow rat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However, when the flow sensor fails or the flow rate of the flowing fluid exceeds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flow rate sensor, the flow rate sensor may fail to provide the flow rate of the target flow rate. That is, when a failure or the like occurs in the flow sensor, the fluid continues to be discharged to supply the fluid at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which may cause user inconvenience, and there is a risk of image generation. Therefore, when the failure of the flow sensor occurs, the supply valve can be closed to prevent the risk.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량센서에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목표유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카운트한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공급시간동안 토출한 유체의 유량과 상기 목표유량은 다소 오차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량센서의 고장에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목표유량에 근접한 양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failure or the like occurs in the flow rate sensor,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fluid having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That is, when the counted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the supply of the fluid can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close the supply valve.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during the target supply time and the target flow rate may have some errors. Howe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fluid amount close to the target flow rate in spite of the failure of the flow sensor,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유체생성장치 설치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직수식 정수기의 설치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간을 상기 목표공급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치조건 중에서, 상기 직수식 정수기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속 및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목표공급시간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target supply tim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luid generator installation condition for generating the fluid.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by the target flow rate using the installing condi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set the calculated time as the target supply tim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by the target flow rate using the flow rate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direct water-purifying device from among the installation conditions, and can set the target supply time.

상기 공급중단단계(40)에서, 상기 목표공급시간 도달에 의하여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공급밸브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목표공급시간 도달에 의한 공급밸브의 폐쇄는 예비적인 것으로서, 상기 유량센서가 고장나는 등 이상이 있는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량센서에 의하여 공급밸브의 폐쇄여부가 결정되지 않고, 상기 목표공급시간 도달에 의하여 공급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유량센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e supply interruption step 40, if the supply valve is closed by the arrival of the target supply tim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pply valve. The closing of the supply valve due to the arrival of the target supply time is a preliminary one, and it is prepared in case of abnormality such as failure of the flow sensor.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flow sensor when the supply valve is closed by the flow sensor, and the supply valve is closed by the arrival of the target supply time.

따라서, 알람출력단계(S5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람출력단계(S50)는, 사용자가 시각 및 청각 등 사람의 감각을 통하여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멸할 수 있다. 또는 직수식 정수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한 사용자는 고객센터 등을 통하여 상기 유량센서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의 고장 등 이상이 고쳐질 때까지는, 상기 목표공급시간도달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량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alarm output step S50, the user can be inform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rate sensor. Specifically, the alarm output step (S50) may output an alarm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flow sensor has an abnormality through human senses such as sight and hearing. For example, you can output a warning sound or flash a warning light. Or a water purifier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abnormality of the flow sensor. A user who has detected an abnormality in the flow sensor can take measures against the abnormality of the flow sensor through a customer center or the like.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user by using the arrival time of the target supply time until the failure or the like of the flow sensor is correct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공급밸브 20: 유량센서
30: 카운터 40: 제어부
f: 필터부 h: 히터부
c: 냉각부
S10: 유체공급단계 S20: 공급유량측정단계
S30: 공급시간측정단계 S40: 공급중단단계
S50: 알람출력단계
10: Supply valve 20: Flow sensor
30: counter 40:
f: filter portion h: heater portion
c: cooling section
S10: fluid supply step S20: supply flow measurement step
S30: Supply time measurement step S40: Supply interruption step
S50: Alarm output phase

Claims (10)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부가 바로 여과하여 유체를 생성하고, 공급밸브를 개방하여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공급단계;
유량센서가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계산하는 공급유량측정단계;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토출되면, 공급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공급시간측정단계; 및
상기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해당하거나,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의 토출을 중단하는 공급중단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며,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원수의 수압 및 유속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정량추출방법.
A fluid supplying step of directly filtering the incoming raw water to produce a fluid by filtering the filter section directly, and opening the supply valve to discharge the fluid;
A supply flow rat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by the flow sensor and calculating a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A supply time measuring step of counting a supply time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And
When the supply flow rat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in a state where the supply valve is not closed by the flow rate sensor, the supply valve is closed to discharge the fluid Aborting step to interrupt; Lt; / RTI >
The target supply time is set to a time sufficient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by the target flow rate, and the target supply time takes into account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affecting the fluid velocity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is determ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유체생성장치는 직수식 정수기인 정량추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fluid is a linear water purif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소정의 기준 높이보다 낮은 저지대에 설치될 때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높은 고지대에 설치될 때 상기 목표공급시간보다 짧게 결정되는 정량추출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arget supply time is determined to be shorter than the target supply time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higher than the reference height,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a lower zone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온수, 냉수 및 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공급시간은 상기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정량추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includes at least one of hot water,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d the target supply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상기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고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량추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larm output step of closing the supply valve and outputting an alarm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the target supply time with the supply valve not closed by the flow sensor;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출력단계는,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정량추출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larm output step may include a quantitative extraction method of outputting the alarm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flow sensor by using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유입되는 원수를 바로 여과하여 유체를 생성하는 필터부;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토출되면, 공급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공급유량이 기 설정된 목표유량에 도달하거나, 상기 유량센서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시간이 기 설정된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공급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의 토출을 중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목표유량만큼 토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공급밸브에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원수의 수압 및 유속을 고려하여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결정하는 정량추출장치.
A filter unit for directly filtering the incoming raw water to generate a fluid;
A supply valve for regulating a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a supply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A counter for counting the supply time when the supply valve is open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And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supply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flow rate reaches a predetermined target flow rate or the supply valve is not closed by the flow rate sensor, the supply valve is closed to discharge the fluid A control unit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Lt; / RTI >
The control unit sets the target supply time to a time sufficient for the fluid to be discharged by the target flow rate and takes into account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affecting the fluid velocity an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upply valve And determines the target supply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생성하는 유체생성장치는 직수식 정수기인 정량추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ui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fluid is a linear water purif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소정의 기준 높이보다 낮은 저지대에 설치될 때의 상기 목표공급시간을, 상기 유체생성장치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높은 고지대에 설치될 때의 상기 목표공급시간보다 짧게 결정하는 정량추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arget supply time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lower ground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to be shorter than the target supply time when the fluid gener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higher elevation higher than the reference height Lt;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시간이 상기 목표공급시간에 도달하여 상기 공급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유량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정량추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 alarm unit for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supply time reaches the target supply time and the supply valve is closed; Further comprising:
KR1020190068742A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900733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42A KR20190073318A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42A KR20190073318A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891A Division KR20140053670A (en) 2012-10-26 2012-10-26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318A true KR20190073318A (en) 2019-06-26

Family

ID=6710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742A KR20190073318A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33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9369C2 (en) Method of operating cooling sections with determination of valv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related therewith
US11473784B2 (en) Refilling device for a hydronic hea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U20093170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flow of a liquid
KR20150001015A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8386084B2 (en) Gas shutoff device
WO2018234241A1 (en) Coffee machine with sensors
US20120016527A1 (en) Gas shutoff device
JP2010038458A (en) Steam quality monitoring apparatus
KR20190073318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606809B1 (en) Display method of residual mineral quantity of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KR20140053670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ixed quantity of fluid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20038142A (en) Water purifier having control function of water supplying
CN106618205B (en) A kind of coffee machine cup amount precision control algorithm
JP6340548B2 (en) Gas shut-off device
JP6655400B2 (en) Gas meter
JPH0670575B2 (en) Gas pressur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20110057052A (en) Gas leak predicting system and method
US20210222408A1 (en) Safety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afety valve
JPH10185813A (en) Turbidity/chromaticity meter
JP5972003B2 (en) How to use the gas meter
KR20170126132A (en) Monitoring system of cooling water using cooling and heating device
JP2595373B2 (en) Gas meter with gas pressure abnormality diagnosis function
JP2001281089A (en) Gas meter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leakage
JP2008064549A (en) Microcomputer gas meter
JP2016014501A (en)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