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653A -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 Google Patents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653A
KR20190065653A KR1020170165044A KR20170165044A KR20190065653A KR 20190065653 A KR20190065653 A KR 20190065653A KR 1020170165044 A KR1020170165044 A KR 1020170165044A KR 20170165044 A KR20170165044 A KR 20170165044A KR 20190065653 A KR20190065653 A KR 2019006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structure
unit
output
image
transpar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17016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653A/en
Publication of KR2019006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printing process and related informati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part; a transparent display panel pa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part; a three-dimensional printing part for three-dimensionally prin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part and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part, wherein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part so as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printing to on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part where the prin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project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device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최근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이른바 3D 프린터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기존의 3D 프린터는 출력 챔버에서 출력 중인 3차원 구조체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챔버의 하우징을 투명 소재로 구현하는 방법이 전부였다.Recently, the use of a 3D structure output device, a so-called 3D printer, has been spreading. In the conventional 3D printer, a method of confirm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from the output chamber is a method of realizing the chamber of the chamber as a transparent material.

투명 소재로 하우징을 구성할 경우에 챔버 내부에서 출력물의 출력 과정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단순히 출력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경우에는 전체 공정 중 어느 정도 진척되었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았다. When the housing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output from the inside of the chamber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It was not easy to objectively check the progress of the entire process when simply observing the printout with the naked eye.

3D 프린터에서 공정의 진척 정도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이나 아니면 전체 공정 중 몇 %를 진행했다고 수치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이 전부였다. 이러한 방식도 수치적인 정보만 전달해줄 뿐이고, 전체 공정에 대한 진행률에 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In 3D printers, the progress of the process was either a representation of the remaining time or a numerical indication of how many percent of the entire process had progressed. This approach also only delivers numerical information and has limitations in providing intuitive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the entire process.

3D프린터에서 출력물의 진행 상황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려주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람해주는 새로운 기능을 갖춘 3D프린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 is a need for a 3D printer device having a new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progress of the output in a more intuitive manner in a 3D printer and informing the user in various ways.

선행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15-0116584호(2015.10.16.)Prior Art 1: Open Patent No. 10-2015-0116584 (October 16, 2015) 선행문헌 2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2-500966(2002.01.15.)Prior Art 2: Japanese Published Patent Specification Specification 2002-500966 (January 15, 2002) 선행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77338호(1997.10.28.)Prior Ar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9-277338 (October 28, 1997) 선행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10899호(2010.05.20.)Prior Art 4: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110899 (May 20, 2010)

상기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3D프린터의 케이스부의 일 영역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육안으로 내부 프린팅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체물의 제작 과정, 최종 형태, 프린팅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여 직관적으로 3D프린터를 조작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 scribed above, a transparent display panel is applied to one area of a case part of a 3D printer, so that a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nternal printing situ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shape, a printing time, and the like, and can operate a 3D printer intuitively by touching a display pane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 면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3차원 구조체를 3차원 프린팅하는 3차원 출력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3차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외부로 투사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일 영역에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including a case, a transparent display pane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be output to the on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이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는,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케이싱부의 외부 상황을 촬상하여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촬상 수단과, 상기 획득된 피사체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모델링하는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과, 상기 획득된 사용자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수정하는 3차원 이미지 모델링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와 완성된 3차원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된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투사되는 패널부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한다.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having the transparent display window may include: first imaging means for imaging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obtain subject image information; Dimensional image of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second image-capturing means for modifying the image of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obtained user image information; Dimensional structur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3D image modeling correc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modified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in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mpare the thre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is superimposed on a part of the region of the panel to be projected .

이 경우에, 상기 제1 촬상 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내부 이미지와 상기 제2 촬상 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외부 이미지를 원격 서버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nternal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e capturing unit and an external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pturing unit to a remote server by wire or wireless.

한편, 상기 3차원 출력부는,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 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무게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and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weight information of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한편,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3차원 프린팅 동작 중 또는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such as images, sounds, and moving pictures received from the remote server by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Thereby controlling the display panel unit.

한편,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is advertisement contents.

한편,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 수단과, 입력된 음성을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수단과,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사운드를 상기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서 외부로 출력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including voice input means for inputting voice, voic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input voice into electronic information, and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ound, And outputs the sou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output means.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의해서 변환된 상기 전자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구조체의 출력을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electronic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voice processing unit.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3차원 구조체의 출력을 제어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to display a virtual user interface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When the user touches the virtual user interface and inputs a user command,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한편, 상기 3차원 구조체는 음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foo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육안으로 내부 프린팅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체물의 제작 과정, 최종 형태, 프린팅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3D프린터 출력 과정 및 관련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nternal printing situatio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3D object, the final shape, the printing time, The process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easily grasped.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여 3D프린터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3D printer by touching the display panel,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input the user's convenien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3차원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이미지 처리부의 제2 촬상 수단의 촬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통신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저장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음성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3차원 구조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3차원 구조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전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평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측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case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Fig. 6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2,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maging operation of the second imaging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8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communication unit shown in Fig. 2,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FIG. 10 is a view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voice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2,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n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n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ront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4, Fig.
FIG. 16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lane s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4;
1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ide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4, 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면의 축적이나 비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양, 형태, 치수 또는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urther, the accumulation or ratio of the drawings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exemplary, and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designed differently in shape, form, size, or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케이스부(110)의 일 영역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구비하고,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3차원 출력부(130)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n one area of the case unit 110, a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in the case unit 110, .

케이스부(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box)형태이고, 일면에는 투명 디스프레이 패널부(120)를 구비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이다.The case 110 is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is opened to have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on one side thereof.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기능을 갖는 투명 재질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a display panel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a transparent touch panel. A more specific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nother drawing.

3차원 출력부(130)는 3차원 구조체(Three Dimensional Structure)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3차원 출력부(130)는 3D 모델링 도면에 기초하여 3차원 구조체를 출력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3차원 출력부(130)는 서포트 수단(131),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 필라멘트 공급 수단(133), 온도 제어 수단(134), 무게 측정 수단(135) 및 모터 수단(136)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output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output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3D modeling draw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includes a support unit 131, a filament output unit 132, a filament supply unit 133, a temperature control unit 134, a weight measuring unit 135, and a motor unit 136 do.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separate draw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통해서 내부에서 출력 중인 구조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통해서 각종 입력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structure being output from the insid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and can input and control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케이스부(110),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 3차원 출력부(130), 제어부(140), 이미지 처리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0 및 음성 처리부(18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includes a case 110, a transparent display panel 120, a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a controller 140, an image processor 150, 160, a storage unit 1700, and a voice processing unit 180.

도 3을 참고하여 케이스부(11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부(110)는 케이싱(111)과 조명 수단(112)을 포함한다. 케이싱(111)은 내부에 인쇄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조명 수단(112)은 케이싱(111)의 일 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천장에 설치된다. 케이싱(111)에 조명 수단(112)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조명하여 외부에서 내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111)은 내부의 하측 공간에 격벽을 구비하고, 격벽을 매개로 인쇄챔버와 하부 공간을 분리하고, 하부 공간에는 각종의 전장품(Electronic Equipment)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각종의 전장품은 제어부(140), 이미지 처리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 및 음성 처리부(18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공간에 구비되지 않은 전장품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다른 영역에 구성되거나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 이외의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se 110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ase portion 110 includes a casing 111 and a lighting means 112. [ The casing 111 has a print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has a shape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lighting means 11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ing 111, preferably on the ceiling. By providing the illumination means 112 in the casing 111, the internal space can be illuminated to easily confirm the internal state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asing 111 has partition walls in the lower space inside, separates the printing chamber and the lower space through the partition, and accommodates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in the lower space. At this time, th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40,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storage unit 170,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180 in whole or in part. The electrical components not provided in the lower space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areas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apparatuses other tha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도 4를 참고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s)형으로 구현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21 내지 128)과 투명 터치 센서(129)로 구분된다. The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typ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divided into transparent display panels 121 to 128 and a transparent touch sensor 129.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투명 기판(121), 투명 트랜지스터층(122), 제1 투명 전극(123), 투명 유기 발광 층(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124), 제2 투명 전극(125) 및 연결 전극(126)을 포함한다.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21, a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2,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a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5, Electrode 126 as shown in FIG.

투명기판(12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판(121)의 재질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가 적용된 사용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폴리머 재료는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어 휴대형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21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lastic having transparency or glass.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2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o whic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is applied. For example, polymeric materia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and flexible and can be used in portabl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devices.

투명 트랜지스터층(122)이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투명 트랜지스터층(122) 내에는 소스(source), 게이트(Gate), 드레인(Drain) 및 각종 유전막(127, 128)이 마련되며, 드레인과 제1 투명 전극(1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126)도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투명 트랜지스터 층(122) 내에 소스, 게이트, 드레인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투명 트랜지스터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제어부(140)는 투명 트랜지스터층(122) 내의 각 트랜지스트들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투명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2 refers to a layer including a transistor formed by replacing opaque silicon of a conventional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zinc oxide, titanium oxide, or the like. A source electrode, a gat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various dielectric films 127 and 128 are formed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2, and a connectio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ain electrode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126) may also be provided. In FIG. 4, only one transparent transistor composed of a source, a gate, and a drain is shown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2, but actually, a plurality of transparent transistor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urface are provided. The control unit 140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gate of each transistor in the transparent transistor layer 122 to drive the corresponding transparent transistor to display information.

제1 투명 전극 (123) 및 제2 투명 전극(125)은 투명 유기 발광층(124)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1 투명 전극, 투명 유기 발광층 및 제2 투명 전극(123, 124, 125)은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s)를 형성한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5 ar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23, 124, and 125 for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형(Passive Matrix OLED)과 능동형 (Active Matrix OLED)으로 분류된다. PMOLED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123, 125)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화소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반면, AMOLED는 각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있는 구조이다. 도 4에서는 능동형을 나타내고 있다.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classified into Passive Matrix OLED and Active Matrix OLED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The PMOLED i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23 and 125 cross each other forms a pixel. On the other hand, AMOLED is a structure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driving each pixel. FIG. 4 shows an active type.

제1 투명 전극 (123) 및 제2 투명 전극(125)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1 투명 전극(123)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2 투명 전극(125)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전극(123) 및 제2 투명 전극(125)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5 each include a plurality of line electrodes, and the alignment directions of the line electrod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line electrode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ne electrodes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5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a plurality of intersecting regio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5. In each crossing region, a transparent transistor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제어부(140)는 투명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교차 영역 별로 전위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위차가 형성된 교차 영역 내에서 각 전극으로부터 전자와 정공이 투명 유기 발광층(124)으로 유입되어 결합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반면,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은 교차 영역은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후면 배경이 그대로 투명하게 비치게 된다.The control unit 140 uses a transparent transistor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for each crossing region. Electrons and holes from each electrode flow into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in the intersection region w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and light is emitted while being coupl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section area w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is not formed does not emit light, so that the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is transparently displayed.

제1 및 제2 투명 전극(123, 125)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144)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123 and 125, ITO (indium tin oxide) may be used. Alternatively, a new material such as graphene may be used. Graphene refers to a substance with a transparent nature that forms a honeycomb-like planar structure of carbon atoms. In addition,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4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type or a transparent TFEL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type.

투명 터치 센서(129)는 용량성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투명 터치 센서(129)는 투명 기판(129-1), 투명 기판(129-1) 상에 배치된 용량성 터치 장치(129-2), 용량성 터치 장치(129-2) 상에 배치된 계면 구조(129-3), 계면 구조(129-3)를 포함한다. 투명 기판(129-1)은 유리(glas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과 같은 투명 물질을 포함한다.The transparent touch sensor 129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transparent touch sensor 129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129-1, a capacitive touch device 129-2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29-1, an interface disposed on the capacitive touch device 129-2, Structure 129-3, and an interface structure 129-3. The transparent substrate 129-1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and methyl methacrylate.

계면 구조(129-3)는 용량성 터치 장치(129-2) 상에 배치된 절연 폴리머층과 절연 폴리머층 상에 배치된 실리콘 산화층을 포함한다. 절연 폴리머층은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염화비닐 및 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투명 물질을 포함한다.The interface structure 129-3 includes an insulating polymer layer disposed on the capacitive touch device 129-2 and a silicon oxide layer disposed on the insulating polymer layer. The insulating polymer layer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epoxy resin, polyimide, polyvinyl chloride, and methyl methacrylate.

도 5를 참고하여 3차원 출력부(13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차원 출력부(130)는 출력 배드(131),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 필라멘트 공급 수단(133), 온도 제어 수단(134), 무게 측정 수단(135) 및 모터 수단(136)을 포함한다. 도 5에서 설명하는 3D 프린터 방식은 FDM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FDM 방식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SLA, SLS 등의 다양한 3D 프린터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output section 130 includes an output bed 131, a filament output means 132, a filament supply means 133, a temperature control means 134, a weight measuring means 135 and a motor means 136 . The 3D printer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FDM method.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DM method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3D printer methods such as SLA and SLS.

출력 배드(131)는 3차원 구조체를 출력하는 출력 공간이다. 출력 배드(131)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고, 필라멘트가 적층되면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The output bed 131 is an output space for outputt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output bed 131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and filaments are stack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은 3차원 구조체의 원료인 필라멘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수단이다.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은 필라멘트 공급 수단(133)에 의해서 공급되는 필라멘트를 녹여서 출력 배드(131)에 토출함으로써, 3차원 구조체를 프린팅한다.The filament output means 132 is means for discharging the filament,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the outside. The filament output means 132 melts the filament fed by the filament supply means 133 and discharges the filament to the output bed 131, thereby print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필라멘트 공급 수단(133)은 필라멘트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필라멘트 공급 수단(133)은 필라멘트의 종류에 따라 세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영향이 적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ilament supply means 133 is a means for supplying filament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ament supplying means 133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ila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because it has little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도 제어 수단(134)은 인쇄 챔버의 내부 온도 및 출력 배드(131)의 온도를 측정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온도 제어 수단(134)은 온도계, 가열기 및 가열기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134 is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so as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inting chamb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put bed 131 and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134 includes a thermometer, a heater, and a heater control module.

무게 측정 수단(135)은 출력 배드(131)에 출력되는 3차원 구조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무게 측정 수단(135)은 출력 배드(131)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로드셀(load cell)에서 센싱된 변위값을 이용하여 3차원 구조체의 무게를 측정한 뒤, 측정값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The weight measuring means 135 is a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to the output bed 131. The weight measuring means 135 measures the w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a displacement value sensed by a load cell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output bed 131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140 do.

모터(136)는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의 위치(X, Y, Z 좌표값)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모터(136)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3D 모델링 정보와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의 위치 정보와 출력 배드(131)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필라멘트 출력 수단(132)의 위치를 제어한다. The motor 136 is a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changing the position (X, Y, Z coordinate value) of the filament output means 132. The motor 136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ilament output means 132 by using the 3D modeling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lament output means 132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output bed 13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도 6을 참고하여 이미지 처리부(15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미지 처리부(150)는 제1 촬상 수단(151), 제2 촬상 수단(152),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153) 및 3차원 이미지 보정 수단(15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imaging unit 151, a second imaging unit 152, a three-dimensional image modeling unit 153,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on unit 154.

제1 촬상 수단(151)은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출력 배드(131)에 놓인 3차원 구조체를 촬상하거나 케이스부(110)의 내부를 촬상하여 내부 이미지를 획득한다.The first imaging device 151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10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placed on the output bed 131 or the inside of the case 110 to acquire an internal image.

제2 촬상 수단(152)은 케이스부(110)의 외부 전면에 구비되고,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상하거나 케이스부(110)의 외부 상황을 촬상하여 외부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2 촬상 수단(152)은 동작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지향하고, 감지된 사용자를 촬상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2 촬상 수단(152)은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해서 제1 각도(θ1), 제2 각도(θ2) 및 거리(d)값에 정보를 얻는다(도 7 참조). The second imaging unit 15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captures an image of a user located outsid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or captures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case unit 110, . The second image sensing unit 152 further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The second sensing unit 152 senses the motion of the user located outsid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directs the direction of the user, captures a sensed user, . The second image pickup means 152 obtains information on the first angle? 1, the second angle? 2 and the distance d value in order to pick up the user image and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user (refer to FIG. 7).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153)은 획득된 내부 이미지 정보와, 출력중인 3차원 모델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3차원 이미지를 모델링한다. 예컨대,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컵(cup)이고 완성도가 50% 라고 가정하면, 제1 촬상 수단(151)에 의해서 촬상된 이미지 정보(제1 이미지 정보)는 50% 출력된 컵의 이미지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153)은 제1 이미지 정보와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를 모델링한다. 즉,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153)은 3차원 구조체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되지 않은 50%에 대한 가상 이미지를 추론하고, 제1 이미지 정보에 추론된 가상 이미지를 병합하여 전체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The three-dimensional image modeling means 153 models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image based on the obtained internal image information and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output 3D structure is a cup and the completeness is 50%, the image information (first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image capturing means 151 is related to the image of the cup output 50% will be. The three-dimensional image modeling unit 153 models the virtual image using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image modeling unit 153 uses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deduce a virtual image for 50% that has not been output, merges the virtual image inferred into the first image information, .

3차원 이미지 보정 수단(154)은 획득된 외부 이미지 정보와, 생성된 전체 가상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할 가상 이미지를 보정한다. 예컨대, 3차원 이미지 보정 수단(154)은 외부 이미지 중 사용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연산하고,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응시하는 각도(θ1, θ2) 및 거리(d) 등을 연산한 뒤, 연산된 각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표시할 가상 이미지의 스케일, 표시 위치 등을 보정한다. The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ng unit 154 corrects the virtual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using the obtained external image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whole virtual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ng unit 154 may calculate the angle of the user viewing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distance d, and then corrects the scale, display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virtual image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calculated angle and distance.

도 8을 참고하여 통신부(16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160)는 유선 통신 수단(161)과 무선 통신 수단(162)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 수단(161)은 Local Access Network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인터넷 프로토콜에 기반한 유선 네트워크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수단(162)은 무선 인터넷(Wireless Fidelity : WiFi)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 밖에도 무선 통신 수단(162)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브로 등의 다양한 무선 프로코콜에 기반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mmunication unit 16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unit 16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16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2. The wired communication means 161 includes a network access interface through a Local Access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means based on Internet protoc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162 includes a wireless fidelity (WiFi) interfac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2 may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based on various wireless protocols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WiBro.

도 9를 참고하여 저장부(17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장부(170)는 RAM(171), ROM(172), SSD(173) 및 HDD(174)를 포함한다. 저장부(170)는 자기적, 광학적 방식의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반적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운영 체제, 각 장치의 드라이버, 펌웨어 등을 저장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7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torage unit 170 includes a RAM 171, a ROM 172, an SSD 173, and an HDD 174. The storag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magnetic or optical storage medium. The storage unit 170 stores an overall management application for operat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 operating system, a driver of each device, firmware, and the like, and stores content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저장부(170)는 새로운 저장 매체의 추가 및 확장이 가능하며, 외부 저장 매체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for example, a USB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storage medium, which can add and expand a new storage medium.

도 10을 참고하여 음성 처리부(18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성 처리부(180)는 음성 입력 수단(181), 음성 변환 수단(182) 및 음성 출력 수단(183)을 포함한다. 음성 입력 수단(181)은 사용자의 음성 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음성 입력 수단(181)은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변환 수단(182)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경우, 입력된 음성 제어 명령을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기계 명령어로 변환한다. 음성을 명령어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 사상을 이해하는데 큰 지장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음성 출력 수단(183)은 저장부(170)에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음성 출력 수단(183)은 스피커(Speaker)로 구현될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voice process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voice processing unit 180 includes voice input means 181, voice conversion means 182, and voice output means 183. The voice input means 181 is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such as a voice of a user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the voice input means 181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The voice converting means 182 is an apparatus for analyzing the voic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data.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by voice, the input voice control command is converted into a machine command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achine. The algorithm for converting the voice to the command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essential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udio output means 183 is a device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sound wave)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including the sound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For example, the audio output means 183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도 11을 참고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케이스부(110)의 전면부의 소정 영역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로 구성한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의 크기는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용도, 규격, 가격, 중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The appearanc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of FIG. 11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front portion of the case unit 110.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usage, standard, price, weight, etc.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는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내부 인쇄 챔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설계되었으므로, 인쇄 챔버에서 출력 중인 출력물(output)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통해서 3차원 출력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하는 전장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동작 또는 고장 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1,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designed to be able to see the internal print chamber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he output in the print chamber can be visually checked have. Also, since the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4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t is advantageous that the operation or the failure can be visually recognized easily.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의 출력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to be described below,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output stat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3차원 구조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는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Real)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에 동일한 크기의 가상 이미지(Virtual)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어느 정도로 완성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3차원 구조체와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외형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외형에 오류가 있거나 문제가 발생된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구조체 출력물과 관련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의 일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 출력물에 대한 수치적인 정보 등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n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can visually confi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Real being output. By superimposing a virtual image (Virtual) of the same size on an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 is intuitively understandable to what degre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completed. In addition, since the outline of the complet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ituation where the outline of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in error or a problem occurs. In addition, by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n on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the user can confirm mor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numerical information on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3차원 구조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현재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와 가상 이미지를 중첩시켜 표시하여, 어느 정도의 출력이 진행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라멘트 등 관련 재료가 부족할 경우에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함으로써, 필라멘트 교체가 필요함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n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onfirm how much output has progressed by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the virtual image currently being output, and when a material such as a filament is insuffici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at filament replacement is necessary.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케이스부(110)의 형태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기본 형태에 각 모서리가 라운드진 유연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통해서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설계된다.FIG. 1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can be realized in a flexible form in which the case 110 is formed into a basic shape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each corner is rounde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observe the insid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전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전면 구조를 살펴보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하부에는 제어부(140) 등의 전장품을 배치하고, 중앙 부분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배치하고, 상부에는 3차원 출력부(130)를 배치함으로써 3차원 출력부(130)가 움직일 경우에 전장품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15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ront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5, the front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includes an electric device such as the control unit 140 dispos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Dimensional output unit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hits an electrical component.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평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평면 구조를 살펴보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전방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배치하고, 중간에는 제어부(140) 등의 전장품을 배치하며, 후방에 3차원 출력부(130)를 배치하여 3차원 출력부(130)의 움직임 공간을 최대로 확보함으로써, 케이스부(110)의 크기를 최소로 설계하더라도 인쇄 챔버의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Fig. 16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lane s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4;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lectrical parts such as the control unit 140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three- Dimensional output unit 130 is disposed at the rear and the maximum movement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is maximized to maximize the space of the printing chamber even if the size of the case unit 110 is minimized. .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의 측면부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측면 구조를 살펴보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전방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배치하고, 중간에는 제어부(140) 등의 전장품을 배치하며, 후방에서 전방까지 3차원 출력부(130)를 배치하여 3차원 출력부(13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인쇄 챔버의 크기에 대비하여 출력물의 크기를 최대한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ide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shown in Fig. 17, a sid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d an electrical component such as a control unit 140, Dimensional output unit 130 can be arrang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30 can be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r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refore, the size of the outpu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output as much as possible.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원격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원격 서버(300)로부터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can access the remot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may receive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image data, voice data, and moving image data from the remote server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음성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에 필라멘트의 구입을 명령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부족한 필라멘트 정보를 분석한 뒤, 관련 필라멘트의 구입을 위하여 3D 프린터 제작사에서 관리하는 원격 서버(300)로 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에 장비의 상태 체크를 요청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장비에 대한 자가 진단을 실행한 뒤, 문제가 예상되면 예상 문제점을 원격 서버(300)로 전송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제조사의 A/S를 받을 수 있게 한다.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voice and executes a corresponding operation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by voice.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truct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o purchase the filamen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analyzes the insufficient fila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request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o check the state of the equipmen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performs a self-diagnosis on the equipment, and if a problem is expected, ) To receive the A / S of the manufacturer of the 3D structure output device.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복수의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1 내지 100-n)는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원격 서버(300)에 의해서 관리된다. 원격 서버(300)에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400-1 내지 400-n)는 출력을 원하는 3차원 모델링 파일을 원격 서버(300)에 등록하고, 해당 3차원 모델링 파일을 출력해줄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를 직접 선택하거나 서버(300)로부터 추천받는다. 선택 또는 추천된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해당 3차원 모델링 파일을 수신한 뒤, 해당 3차원 모델링 파일에 기초하여 3차원 출력을 진행한다. 3차원 출력이 완료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알림을 전달한다. 사용자는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가 위치한 장소에 방문하여 3차원 구조체 출력물을 수령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서 전자적인 방식으로 출력물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9,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es 100-1 to 100-n are managed by a remote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FIG. A plurality of users 400-1 to 400-n connected to the remote server 300 registers the desired three-dimensional modeling file in the remote server 300 and output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The device 100 is directly selected or recommended from the server 300. [ The selected or recommend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receives the correspond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file, and then proceeds to three-dimensional output based on the correspond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file. When the three-dimensional output is completed,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delivers the notification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user visits the place wher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is located and receive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tle the cost for th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in an electronic manner.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에 출력 요청이 들어오면, 3차원 모델링 파일과 재료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비용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하고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도 가격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는 해당 3차원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3차원 출력을 진행한다. When an output request is input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he estimated cost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file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and the price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completes the settlement based on the settlem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using the user terminal,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outputs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file Proceed with output.

또는, 사용자가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100)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를 통해서 시간당 출력 비용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예상 비용을 연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누적 사용 시간 및 금액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the output cost per hour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estimated cost and displays it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d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identifies the user and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to display the cumulative use time and amount of the identified user.

또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원격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3차원 구조체를 출력 중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20)에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or whe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being output under the control of the remote server 300, the advertisement conten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Although illustrative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etailed description, but is capable of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3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110 : 케이스부
120 :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130 : 3차원 출력부
140 : 제어부 150 : 이미지 처리부
160 : 통신부 170 : 저장부
180 : 음성 처리부
100: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device 110: Case part
120: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30: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140: control unit 150: image processing unit
160: communication unit 170:
180:

Claims (10)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 면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3차원 구조체를 3차원 프린팅하는 3차원 출력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3차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외부로 투사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일 영역에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utput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window,
A case portion;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part;
A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for three-dimensionally print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so as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in on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in which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projected to the outside A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utpu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 상황을 촬상하여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촬상 수단과, 상기 획득된 피사체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모델링하는 3차원 이미지 모델링 수단과, 상기 획득된 사용자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수정하는 3차원 이미지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와 완성된 3차원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된 가상 3차원 구조체 이미지를 상기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가 투사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the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to obtain subject image information, second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n external situation of the case portion and obtaining user imag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n image processing unit including three-dimensional image modeling means for model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and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on means for modifying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based on the obtained user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modified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image on a part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where the output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project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mpare the three- And displays the superimposed image on the transparent display window.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내부 이미지와 상기 제2 촬상 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외부 이미지를 원격 서버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nternal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e capturing unit and an external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pturing unit to a remote server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출력부는,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 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출력중인 3차원 구조체의 무게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output un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ing outpu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to display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output 3D structure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독출한 뒤, 3차원 출력 상태 또는 대기 상태일 때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s such as images, sounds, and moving pictures received from the remote server by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to display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is in a three dimensional output state or in a standby state.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is advertisement content.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5 항에 있어서,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 수단과, 입력된 음성을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수단과,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사운드를 상기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voice processing unit including voice input means for inputting voice, voic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input voice into electronic information, and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voice,
Wherein the controller outputs the sound contained in the content to the outside via the audio output mean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처리부에 의해서 변환된 상기 전자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구조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electronic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3차원 구조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to display a virtual user interface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Wherein when the user touches the virtual user interface and inputs a user command, the outpu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user comm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조체는, 음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삼차원 구조체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a food.
KR1020170165044A 2017-12-04 2017-12-04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KR201900656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44A KR20190065653A (en) 2017-12-04 2017-12-04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44A KR20190065653A (en) 2017-12-04 2017-12-04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53A true KR20190065653A (en) 2019-06-12

Family

ID=6684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44A KR20190065653A (en) 2017-12-04 2017-12-04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65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42B1 (en) * 2019-09-04 2020-09-23 이주엽 3d rinter including function for preventing cut of filam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cut of filament
WO2023158278A1 (en)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탑테이블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printing quality of 3d printer for printing foodstuff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338A (en) 1996-04-16 1997-10-28 Toshiba Mach Co Ltd Operation panel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2500966A (en) 1998-01-26 2002-01-15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apid prototype system with filament supply spool monitoring
JP2010110899A (en) 2008-11-04 2010-05-20 J Quality Kk Inspecting device
JP2015116584A (en) 2013-12-18 2015-06-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Descaling facility in hot rolling, descaling method in hot rolling,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hot-rolled ste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338A (en) 1996-04-16 1997-10-28 Toshiba Mach Co Ltd Operation panel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2500966A (en) 1998-01-26 2002-01-15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apid prototype system with filament supply spool monitoring
JP2010110899A (en) 2008-11-04 2010-05-20 J Quality Kk Inspecting device
JP2015116584A (en) 2013-12-18 2015-06-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Descaling facility in hot rolling, descaling method in hot rolling,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hot-rolled ste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42B1 (en) * 2019-09-04 2020-09-23 이주엽 3d rinter including function for preventing cut of filam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cut of filament
WO2023158278A1 (en)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탑테이블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printing quality of 3d printer for printing foodstuff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34B2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same
KR102413113B1 (e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ensor for generating image data using incident light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display
US9398359B2 (en) Display device
KR102653262B1 (en) apparatus having a touch layer with openings
US7663604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nput device
US20140082490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feedback and method thereof
KR102212993B1 (en) Drawing device
CN109388278A (en) Electronic equipment
CN103999030A (en) Head-mounted display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2600224A1 (en) Tactile feedback device, and tactile feedback device control method
KR102511297B1 (e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mounted below a display panel
KR102550504B1 (en) Display including a plurality of wiring layers in bending region
KR102394081B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bending information using the sensing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08002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 sensing func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106843580B (en) Display device
US20120092332A1 (en) Input device, input control system,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CN109669530A (en) Vibrating tactile drive circuit for haptic apparatus
KR20190065653A (en)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CN107209611B (en) Touch screen panel, electronic notebook and mobile terminal
US201301137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touch point, and display apparatus
KR20200017788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utton and method for oper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494101B1 (en)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the same
CN111052055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ing signal and storage medium
JP5366137B2 (en) Video 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method
WO2019112070A1 (en) Three-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display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