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543A -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543A
KR20190063543A KR1020170162418A KR20170162418A KR20190063543A KR 20190063543 A KR20190063543 A KR 20190063543A KR 1020170162418 A KR1020170162418 A KR 1020170162418A KR 20170162418 A KR20170162418 A KR 20170162418A KR 20190063543 A KR20190063543 A KR 2019006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ng
water supply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6012B1 (en
Inventor
홍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오
Priority to KR102017016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12B1/en
Priority to PCT/KR2017/013873 priority patent/WO2019107603A1/en
Publication of KR2019006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which can extract high-concentration Dutch coffee with low cost and a simple device by circulating the coffee extracted by a coffee extraction unit to be extracted for a plurality of times, and can supply a variety of low cost Dutch coffee by making a variety of coffee drinks by using high-concentration Dutch coffee.

Description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순환시켜 복수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which circulates coffee extracted by a coffee extracting unit so as to be extracted a plurality of times, thereby extracting a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with a l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a relatively low price of Dutch coffee 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coffee beverages using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로 우려낸 향이 진한 음료로서 전 세계적으로 음용되는 기호 식품의 하나이다.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최근 더치커피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Coffee is one of the favorite foods that is consumed globally as a dark beverage that is made from coffee beans and hot water. As coffee spreads into the home, consumers' demand for high quality fine coffee is increasing.

더치커피는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을 3시간 이상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공급하여 추출되는 것으로,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신맛이 적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갖고 있으며,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일반적인 커피와 달리 원액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Dutch coffee is extracted by supplying water of normal temperature or below at a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3 hours to coffee beans ground. Since it is extracted at a low temperature, it has a low acidity, a unique flavor and taste, It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because it is longer than coffee, and unlike ordinary coffee, it can be stored in undiluted state, which is advantageous as a product.

다만,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일반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추출되는 더치커피는 그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양이 많지 않아 그 원액의 가격이 다소 높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tch coffee extracted by a gener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takes a long time to extract and does not extract a large amount, and thus the cost of the stock solution is rather high.

또한, 일반적인 저온 추출방식에 의해 추출된 더치커피는 카페인의 함량이 낮아 진한 커피를 선호하거나 고카페인의 섭취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Dutch coffee extracted by the general low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content of caffeine is low and it is not suitable for people who prefer thick coffee or high caffein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1641879호(2016. 07. 18. 등록)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41879 (Registered on Jul. 18, 2016) "Clean box device for Dutch coffee extra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xtraction of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with low cost and simple apparatus and enables production of various coffee beverages by utilizing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thereby providing a circul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더치커피에 남아있는 커피가루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tion-typ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dissolving coffee powder remaining in Dutch coffee.

본 발명은 커피 가루의 고른 사용과 커피의 순환에 따른 농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tion-typ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uniformly using coffee grounds and enhancing concentration efficiency due to circulation of coffe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커피 분말을 수용하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와;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와; 상기 커피저장부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를 포함하여,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coffee from a coffee; A coffee extracting part for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for allow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ing part to flow therein to extract the coffee; A coffee storage part for storing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ing part; And a coffee circulation unit for supply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unit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through the coffee circulating tube so as to circulate the extracted Dutch coffee, thereby enabling the extraction of the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ffee storage unit and at the other end to the water supply uni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측으로 더치커피 추출용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 상에 형성되어 물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밸브는 상기 커피순환관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coffee to the upper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And a water supply valve formed on the supply pipe and regulating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water supply valve is formed as a three-way valve at a point where the coffee 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저장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와, 상기 커피저장용기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storage unit includes a coffee storage container storing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unit, And coffe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mach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회전수단은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rotating means includes a bottom support plate forming the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And a rotating plate that rotates and rot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ing up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피추출부의 측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irculation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irculation pip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ffee storag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idewal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순환시켜 복수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offee extracted by a coffee extracting unit to be circulated to be extracted a plurality of times, thereby extracting a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with a low cost and simple device, and using a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to produce various coffee beverages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a relatively low price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추출된 더치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더치커피에 남아있는 커피가루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extracted Dutch coffee to be rotated so that the remaining coffee powder in the Dutch coffee can be dissolved.

본 발명은 순환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의 측벽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추출부에 수용된 커피 가루의 고른 사용과 커피의 순환에 따른 농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ed coffee is supplied to the side wal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so that the use of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and the concentration efficiency due to the circulation of the coffe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회전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커피저장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otating plate of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racting process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coffee storage portion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더치커피'란 분쇄한 원두를 물에 장시간 우려내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콜드브루(Cold Brew) 커피를 의미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Dutch coffee means Cold Brew coffee that allows the grinded beans to be tasted and tasted in water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와; 커피분말(31a)을 수용하며, 물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3)와; 상기 커피추출부(3)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5)와; 상기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71)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3)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7);를 포함한다. 1 to 3,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hot coffee; A coffee extracting unit 3 for receiving the coffee powder 31a and for extracting coffee by flow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ing unit 1; A coffee storage unit 5 for storing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And a coffee circulation unit 7 for supply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unit 5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3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so that the extracted hot coffee is circula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치커피는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을 분쇄된 커피에 공급하여 3시간 이상 추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유의 맛과 향, 우수한 저장성으로 그 선호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다만, 더치커피는 추출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양이 많지 않아 그 가격이 일반커피에 비해 고가일 수밖에 없다. 또한, 더치커피는 카페인의 함량이 낮아 고카페인의 섭취를 필요로 하거나 다양한 맛의 커피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Dutch coffee is supplied to pulverized coffee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and is extracted for 3 hours or more, and its preference is remarkably increased due to its unique taste, aroma, and excellent storability. However, Dutch coffee takes a long time to extract and does not have a lot of extracted amount, so the price of the coffee is inevitably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offee. In addition, Dutch coffee has a low caffeine content and is not suitable for people who need high caffeine intake or who want to enjoy various flavors of coffee.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번 추출된 커피를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켜 재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농축의 더치커피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추출된 더치커피는 고농축의 더치커피 원액으로 물을 첨가하거나 우유 등을 첨가하여 아메리카노, 라떼 등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더치커피 활용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커피분말을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더라도 동일한 비용으로 고농축의 더치커피 원액을 제조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커피 음료를 만들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더치커피의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xtracted coffee to be re-extracted by circulating it again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thereby allowing the extraction of the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with a simple device. The extracted Dutch coffee can be made into a form such as Americanino or latte by adding water as a stock solution of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or by adding milk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other uses of Dutch coffee. Therefore, even if the same amount of coffee powder is extracte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ncentrated solution of crude coffee at the same cost, thereby producing a large amount of coffee beverage, so that the price of the Dutch coffee is relatively lowered .

또한,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원하는 횟수만큼 재순환시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커피분말을 충분히 활용하여 더치커피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더치커피의 추출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맛을 갖는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더치커피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Dutch coffee by recirculating the desired number of times,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of the Dutch coffee by utilizing the coffee powder sufficiently and to extract the Dutch coffee having various flavo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traction times of the Dutch coffe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Dutch coffee products suitable for consumers' preferences.

상기 물공급부(1)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하며,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11), 물공급관(11)을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밸브(13), 물공급관(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에 물이 일정 속도로 떨어지도록 하는 물공급노즐(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1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so as to supply water and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11 A water supply valve 13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a water supply nozzle 13 form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to allow the water to flow down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at a constant speed 15).

상기 물공급관(11)은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존수를 공급받도록 하여 유통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11)은 상기 물공급노즐(15)에 연결되어 커피추출부(3)에 일정 속도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물공급관(11)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가 다시 커피추출부(3)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11)은 물공급관(11)상에 물공급밸브(13)를 형성하여 물공급관(11)을 통과 물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하여, 커피추출부(3)에 대한 물의 공급과 추출된 커피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관(11)에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세척시 물을 커피순환관(71)에 공급하여 커피순환관(71)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11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to receive water. Preferably, the water supply pipe 11 receives ozone water to improve the flowability. The water supply pipe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nozzle 15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at a constant speed and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So that the extracted coffee can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again. The water supply pipe 11 may form a water supply valve 13 on the water supply pipe 11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Preferably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Way valve at the connection point so that the supply of water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and the supply of the extracted coffe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since the water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So that it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물공급밸브(13)는 상기 물공급관(11) 상에 형성되어 물공급관(11)를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밸브(13)는 커피추출부(3)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경우에는 커피순환관(71)측 흐름을 막고, 커피추출부(3)에 추출된 커피가 공급되도록 할 경우에는 물저장탱크(미도시)측 흐름을 막도록 하여 커피추출부(3)에 대한 물 또는 추출커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water supply valve 13 is formed on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regulates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water supply valve 13 preferably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to the point where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Way valve can be formed. 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the water supply valve 13 prevents the flow of coffee on the side of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and when the extracted coffee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So that the flow of water or the extracted coffee to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is smoothly prevented by preventing the flow on the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상기 물공급노즐(15)은 상기 물공급관(11)의 커피추출부(3)측 끝단에 형성되어 물 또는 추출커피가 커피추출부(3)에 일정 속도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노즐(15) 없이 상기 물공급관(11)을 통과한 물이 커피추출부(3)에 직접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물공급노즐(15)을 별도로 형성하여 일정한 속도로 물 또는 추출커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노즐(15)에는 노즐조절밸브(151)가 형성되어 물공급노즐(15)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노즐(15)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에 저장된 커피분말 전체에 물 또는 추출커피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water supply nozzle 1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on the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so that water or extracted coffee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at a constant speed.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without the water supply nozzle 15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Alternatively, the water supply nozzle 15 may be separately formed, So that the supply of the fuel can be performed. The water supply nozzle 15 may be provided with a nozzle control valve 151 so as to control the speed of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nozzle 15. The water supply nozzle 15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ways so that water or extracted coffee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coffee powder stor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

상기 커피추출부(3)는 분쇄된 커피 원두(이하, '커피분말'이라 함)를 수용하며, 상기 물공급부(1)로부터 물 또는 추출커피를 공급받아 커피분말(31a)로부터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31a)이 저장되는 분말저장용기(31), 커피분말(31a)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33), 추출된 커피를 커피저장부(5)로 배출시키는 커피추출관(35)을 포함한다.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receives the ground coffee be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ffee powder') and receives water or extracted coffee from the water supplying part 1 and extracts it from the coffee powder 31a A filter 33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coffee powder 31a; a coffee extract 31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o the coffee storage part 5; a powder storage container 31 for storing the coffee powder 31a; And a pipe (35).

상기 분말저장용기(31)는 커피분말(31a)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공급부(1)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커피가 유입되어 커피분말(31a)로부터 커피가 추출되며, 하측에는 상기 커피저장부(5)가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가 커피저장부(5)로 배출되도록 한다.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31a and is formed below the water supply part 1 so that water or coffe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1 flows into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from the coffee powder 31a And the coffee storage part 5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extracted coffee is discharged to the coffee storage part 5.

상기 필터(33)는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커피분말(31a)이 분말저장용기(31)로부터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31a)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 33 is formed inside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so as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31a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The filter 33 contains only the coffee raw material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31a So that it can pass.

상기 커피추출관(35)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피저장부(5)로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추출노즐(351)과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는 추출조절밸브(3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extracting pipe 3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and discharges the coffee extracted in the coffee storage part 5. The coffee extracting nozzle 351 discharges the coffee, And an extraction control valve 35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ffee.

상기 커피저장부(5)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추출부(3)의 하측에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로부터 배출되는 커피를 저장하도록 하며,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는 상기 커피순환부(7)를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저장부(5)는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커피에 남아있는 커피분말(31a)을 용해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깨끗한 커피 원액만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피저장부(5)는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51),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53),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배출하는 커피배출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storage unit 5 stores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on unit 3 and stores coffee discharged from the coffee extraction unit 3 formed below the coffee extraction unit 3 And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unit 5 can be circulated back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through the coffee circulating unit 7. [ In addition, the coffee storage unit 5 rotates the stored coffee so that the coffee powder 31a remaining in the coffee can be dissolved, thereby allowing only the clean coffee raw material to be extracted. The coffee storage unit 5 includes a coffee storage vessel 51 for storing the extracted coffee, a coffee rotation unit 53 for rotat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vessel 51, And a coffee discharge pipe 55 for discharging the stored coffee.

상기 커피저장용기(51)는 상기 커피추출부(3)의 하측에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추출노즐(351)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커피저장용기(51)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에는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의 후술할 회전판(533)이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일측에는 상기 커피배출관(55)이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The coffee storage vessel 51 is formed below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to store the extracted coffee and accommodates the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coffee extracting nozzle 351.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may be formed of a container of various material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rotating plate 533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coffee rotating means 53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o rotate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So that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is discharged.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커피의 고른 회전과 커피분말(31a)의 효율적인 용해를 위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판(533)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은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531),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533), 상기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535), 상기 회전판(533)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53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rotating means 53 rotates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so that the rotating plate 533 formed on the floor rotates for the even rotation of the coffee and the efficient dissolution of the coffee powder 31a do. The coffee rotating means 53 includes a bottom support plate 531 forming the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a rotation plate 533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a rotatable plate 533, And a rotating shaft 537 serving as a rotating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533. The rotating shaft 533 is rotatable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533,

상기 바닥지지판(531)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는 회전판(533)이 형성되어 회전하며, 회전판(53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지지판(531)의 내부에는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5)와 이와 연결되는 회전축(537)이 형성되도록 한다.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is configured to form the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vessel 51,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rotation motor 535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to rotate the rotation plate 533 and a rotation motor 53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to rotate So that the rotating shaft 537 to be connected is formed.

상기 회전판(533)은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 내의 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추출된 커피 내에 남아있는 커피분말(31a)을 용해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533)은 그 중심에 회전축(537)이 결합되어 회전축(537)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537)은 회전모터(535)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533)은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는 일정 간격의 돌기(533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otating plate 533 is formed on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to rotate the coffee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o dissolve the coffee powder 31a remaining in the extracted coffee. The rotation plate 533 is coupled to a rotation shaft 537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533 so that the rotation plate 533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537. The rotation axis 537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535 to rotate. For example, the rotary plate 533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2, and protrusions 533a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상기 돌기(533a)는 상기 회전판(533)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의 효율적인 회전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결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기(533a)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protrusions 533a protrude upward from the rotation plate 533 to efficiently rotate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otrusion 533a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protruding upward.

상기 회전모터(535)는 상기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537)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The rotation motor 535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bottom support plate 53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537. The rotation support member 53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상기 회전축(537)은 상기 회전모터(535)와 회전판(533)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판(533)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모터(535)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The rotation shaft 537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533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535.

상기 커피배출관(55)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저장용기(51)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커피저장용기(51)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배출관(55)은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배출관(55)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커피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커피배출관(55)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커피추출부(3)로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an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ffee storage tank (not shown) to store the extracted coffee.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to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may be circulat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 A discharge control valve 551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and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are connected to allow the coffee discharged from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to be discharged to the coffee storage tank,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can be circulated.

상기 배출조절밸브(551)는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3방향 밸브로 형성되어 커피순환관(71) 또는 커피저장탱크로의 배출을 선택하여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and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are connect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So as to select and control the discharge 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or the coffee storage tank.

상기 커피순환부(7)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의해 추출되어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를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순환관(71)을 통해 물공급관(11)으로 유입되어 커피추출부(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커피순환부(7)는 복수회에 걸쳐 커피를 순환시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농축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더치커피의 상대적 가격을 낮추고 활용도를 높이며, 순환되는 횟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맛을 가진 커피 원액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커피 음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맞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부(7)는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어 커피를 순환시키는 커피순환관(71), 커피가 순환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피순환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circulating unit 7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and stored in the coffee storing unit 5 back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The discharged coffee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11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and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Therefore, the coffee circulating unit 7 can circulate the coffee through a plurality of times, thereby extracting the highly concentrated hot coffee, thereby lowering the relative price of the hot coffee,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To extract various coffee flavors and flavors, so that various preferences of coffee users can be met. The coffee circulating part 7 may include a coffee circulating pipe 71 connected to the coffee discharging pipe 55 to circulate the coffee, and a coffee circulating pump 73 for providing the power for circulating the coffee.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상기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공급관(1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관(71)과 커피배출관(55)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커피의 배출 및 순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커피순환관(71)과 물공급관(11)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물공급밸브(13)가 형성되어 물공급관(11)을 통한 물과 커피의 공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순환관(71)상에는 커피순환펌프(73)가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가 물공급관(11)을 거쳐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세척시에는 물공급관(11)에 흐르는 물을 커피순환관(71)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순환관(71)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ssage for circulat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to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at one en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A discharge control valve 551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coffee circulating pipe 71 and the coffee discharging pipe 5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ischarge and circulation of the coffee, A water supply valve 13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supply pipe 11 is connected to allow selection of supply of water and coffe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A coffee circulation pump 73 is formed on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so that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can be circulat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via the water supply pipe 1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whe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s washed,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11 is introduced in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So that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커피순환펌프(73)는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가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순환관(71)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를 빨아들여 공급하는 일반적인 펌프가 적용될 수 있다. The coffee circulating pump 73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to be circulated to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via the coffee circulating pipe 71, And a general pump for sucking coffe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공급밸브(13)를 거쳐 분말저장용기(31)로 유입되며, 커피분말(31a)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다. 그리고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추출커피(ⓑ)는 순환을 위해 커피배출관(55),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커피순환관(71)에 유입되며, 다시 물공급밸브(13)를 거쳐 분말저장용기(31)로 공급되어 커피분말(31a)을 통한 커피의 재추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의 조절을 통해 재순환과 배출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을 선택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되어 최종 저장된다. 3, the water (a) supplied through a separate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flows through a water supply valve 13 The coffee powder 31a flows into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31a and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The extracted coffee (b)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vessel 51 flows in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through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for circulation and then flows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13 And then supplied to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to re-extract the coffee through the coffee powder 31a.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may be recircul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The coffee selected for discharging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And discharged into a coffee storage tank (not shown) and finally sto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공급부(1'), 커피추출부(3'), 커피저장부(5'), 커피순환부(7')의 구성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순환부(7')의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의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4,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water supplying unit 1 ', a coffee extracting unit 3', and a coffee extracting unit 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ffee storage unit 5 ', and a coffee circulation unit 7'.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of the coffee circulation unit 7' is no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but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Therefore, only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일 실시예와 같이 커피배출관(55')에 일단이 연결되고, 배출조절밸브(551')에 의해 배출과 순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그 타단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상측 측벽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순환되는 커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처음 물공급관(1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분말저장용기(31')의 중앙에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분말저장용기(31')의 둘레측 측면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은 중앙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에 비해 물과의 접촉이 덜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11')을 통해 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는 분말저장용기(31')의 측면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은 계속적으로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순환되는 커피가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을 통해 유입되어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커피분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커피의 농축효율을 높여 더욱 고농축의 커피가 빠른 시간에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to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selects the discharge and circulation. The other end of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ontainer 31 '. Therefore, the coffee circulated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can flow along the side wall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as shown in FIG. Sinc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1 'is generally supplied from the center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the coffee powder located on the peripheral side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The contact with water is inferior to that of the coffee powder. Therefore, when the coffee is circula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as in the embodiment, the coffee powder located on the side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may not be continuously extracted. Thus, in this embodiment, the coffee circulated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flows through the sidewalls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and flows along the side walls,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of the coffee powd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efficiency of the coffee and to extract the coffee with higher concentration in a shorter time.

또한,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커피저장용기(51') 및 분말저장용기(31')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말저장용기(31')에 수용된 커피분말(31a')의 더욱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커피순환관(7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피배출관(55') 및 배출조절밸브(551')도 동일하게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and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to allow more efficient extraction of the coffee powder 31a' contained in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numbers can be formed. When a plurality of coffee circulation pipes 71 'are formed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coffee discharge pipes 55' and discharge control valves 551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부(1"), 커피추출부(3"), 커피저장부(5"), 커피순환부(7")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분말저장용기(31") 및 커피저장용기(51")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하여 각 영역별로 커피의 추출, 저장 및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물공급노즐(15") 및 커피추출노즐(351")도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 영역별로 물의 공급 및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to 7,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 ", a coffee extracting unit " (3 "), a coffee storage part (5"), and a coffee circulation part (7 "). However, i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and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o that coffee is extracted, stored, and circulated in each area. Also, a plurality of water supply nozzles 15 "and coffee extracting nozzles 351" are formed so that water supply and coffe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for each area.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분말저장용기(31")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물 또는 커피가 각 영역별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커피분말의 더욱 효율적인 사용과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커피저장용기(51")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추출된 횟수에 따라 커피를 나누어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더치커피의 추출과 순환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supply water or coffee to each region,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use of the coffee powder and extraction of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By dividing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dividing the coff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extraction, the extraction and circulation of the hot coffe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 물공급노즐(15")은 물공급관(11")의 끝단에 복수개로 나누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물공급노즐(15")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각 영역별로 물 또는 커피를 공급하도록 하며, 각 물공급노즐(15")에는 노즐조절밸브(151")가 형성되어 각 영역으로 물 또는 커피의 공급여부와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nozzle 15 ''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end portions of the water supply pipe 11 '', for example, three water supply nozzles 15 ''. Therefore, each water supply nozzle 15 "supplies water or coffee for each region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and each water supply nozzle 15 " is formed with a nozzle control valve 151" You can control the supply and speed of water or coffee in each area.

상기 커피추출부(3")의 분말저장용기(31")는 분할판(311")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세 개의 영역 중 가운데는 물이 통과하는 원수통과영역(311a")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양측의 영역은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물저장탱크(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가운데의 물공급노즐(15a")을 통해 원수통과영역(311a")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순환되는 커피는 양측의 물공급노즐(15b")을 통해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순환되는 커피도 물과 접촉되지 않은 커피분말과 접촉되어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 분말의 고른 사용과 고농축 커피의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통과영역(311a")과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나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추출 횟수에 따라 각 영역을 나누어 통과되도록 할 수 있고, 영역의 개수도 조절하여 효율적인 고농축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of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partition plate 311 ", for exampl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middle portion may be set as the raw water passage region 311a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and the both regions may be set as the coffee passage region 311b ". Therefore, And the coffee circulated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flows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s 15b" on both sides, Region 311b ". Thus, the circulated coffe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ffee powder not in contact with the water to allow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thereby enabling the uniform use of the coffee powder and efficient extraction of the highly concentrated coffe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divide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extraction, and to pass the region of the region 311a "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extract highly concentrated coffee by adjusting the number of coffee beans.

상기 커피추출노즐(351")도 커피추출관(35")상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로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에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에 맞게 1차추출커피, 2차추출커피 등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커피추출노즐(351")에는 추출조절밸브(353")가 형성되어 각 커피추출노즐(351")을 통과하는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ing nozzles 351 "may be formed on the coffee extracting tube 35" in a plurality of ways. For example, three coffee extracting nozzles 351 " So that the first extraction coffee, the second extraction coffee, and the like can be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regions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and the extraction control valve 353" is connected to each coffee extraction nozzle 351 "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coffee through each coffee extraction nozzle 351 ".

상기 커피저장부(5")의 커피저장용기(51")는 구획판(511")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저장용기(51")의 양측 영역을 1차커피추출영역(511a"), 1차커피추출영역(511a")의 가운데 영역을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말저장용기(31")의 원수통과영역(311a")을 통과한 커피는 양측의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 유입되어 다시 커피추출부(3")로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말저장용기(31")의 커피통과영역(311b")을 통과한 커피는 가운데의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유입되어 재순환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을 커피의 순환 횟수에 따라 저장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의 배출 및 순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차커피추출영역(511a")에서는 배출조절밸브(551")를 커피순환관(71")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커피추출영역(511b")에서는 배출조절밸브(551")를 커피저장탱크(미도시)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커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출장치의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저장용기(51")를 분할하여 커피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저장용기(51")에 순환횟수가 다른 커피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다음 작업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of the coffee storage part 5"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partition plate 511 ", 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or example. The middle region of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region 511a " and the middle region of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region 511a "may be formed as the secondary coffee extracting region 511b" , The coffe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w water passage area 311a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flows into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a "on both sides and then circulated to the coffee extracting part 3" The coffe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ffee passage area 311b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b " in the middle and recycled or discharged. Therefore, each area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can be set as a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rculation times of the coffee, so that the discharge and circulation of the coffe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In the coffee extracting area 511a ",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 is opened 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to allow circulation of coffee. In the second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b " ) Is opened to the side of the coffee storage tank (not shown) so that the coffee is continuously discharged, so that the control of the extraction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So that even if coffee having different circulation times is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the next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커피회전수단(53")은 커피저장용기(51")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됨에 따라 회전판(533")이 각 영역마다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회전하게 되며, 각 회전판(533")마다 회전모터(535")가 연결되어 수용된 커피를 회전시키게 된다. The coffee rotating means 53 "can be formed in each of the regions as the coffee storage vessel 5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ly, the rotating plate 533 "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ffee mak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area and rotated, and a rotary motor 535 "is connected to each rotary plate 533"

커피배출관(55")은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각 커피배출관(55")상에는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의 순환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이 상황에 따라 다른 커피를 수용하는 영역으로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배출관(55")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 coffee discharge pipe 55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each area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 and a discharge control valve 551" is formed on each coffee discharge pipe 55 " And to selectively control emissions. Therefore, each area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can be set and used as an area for accommodating different coffees according to circumstances. Further, on the coffee discharge pipe 55 ",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So that the coffee contained in each area can be circulated to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

상기 커피순환부(7")의 커피순환관(71")은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과 연결된 커피배출관(55")에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물공급관(11")과 연결되어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으로부터 순환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커피순환관(71")에는 커피순환펌프(73")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세 영역과 연결되는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과 원활하게 연결되고, 각 커피순환관(71")을 통과한 커피의 커피추출부(3")에 대한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는 각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커피순환조절밸브(75")가 형성되도록 한다.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of the coffee circulation unit 7"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coffee discharge pipe 55 "connected to each area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and the water supply pipe 11 " So that the coffee circulating from each region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can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portion 3" and the coffee circulating pump 73 "is formed in each coffee circulating pipe 71"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connected to the three areas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A coffee circulation control valve 75 "to which each coffee circulation pipe 71" is connec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는 상기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공급관(11") 및 각 커피순환관(7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일 예와 같이 상기 커피저장용기(51")가 3개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피배출관(55")은 각 영역에 하나씩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는 커피순환관(71")도 3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3개 중 하나의 커피순환관(71")은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1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에는 물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오는 물공급관(11"), 2개의 커피순환관(71"), 커피추출부(3")로 연결되는 물공급관(11")이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는 커피순환관(71") 또는 물공급관(11")으로부터 오는 물 또는 커피를 선택적으로 커피추출부(3")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와 각 관들의 연결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ffee circulation control valve 75 "may be formed above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3"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 and each coffee circulation pipe 71 " Valve. In the case where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is formed in three areas as described above, three coffee discharge pipes 55" may be formed in each area, and three coffee discharge pipes 55 " Three circulation tubes 71 "are also formed. And one of the three coffee circulation pipes 71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as in the embodiment, whereby the coffee circulation control valve 75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tank The water circulation pipe 71 "and the water supply pipe 11" connect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alve 75 "can selectively supply water or coffee from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or the water supply pipe 11 "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3 ". However, 75 ") and the respective pipe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and shap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물(①)은 물공급밸브(13"), 커피순환조절밸브(75")를 거쳐 물공급노즐(15")로 공급되며, 분말저장용기(31")의 원수통과영역(311a")을 향하는 물공급노즐(15a")만이 개방되어 원수통과영역(311a")에 물(①)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수통과영역(311a")을 통과한 물(①)은 커피저장용기(51")의 1차커피추출영역(511a")을 향하는 커피추출노즐(351a")을 통해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 추출된다. 그리고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②)는 각 커피배출관(55")을 통해 커피순환관(71")으로 유입되며, 커피순환조절밸브(75")를 거쳐 다시 분말저장용기(31")로 공급된다. 이때, 물공급노즐(15")은 커피통과영역(311b")을 향하는 양측의 물공급노즐(15")만이 개방되어 순환되는 커피(②)가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커피분말의 사용과 고농축 커피의 추출이 가능해진다. 커피통과영역(311b")을 통과한 커피(②)는 가운데의 커피추출노즐(351b")을 거쳐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상기 2차커피추출영역(511b")에 저장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되거나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재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말저장용기(31") 및 커피저장용기(51")의 분할되는 영역의 개수와 기능은 상황에 맞게 조절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에 맞는 효율적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7, the water (1) supplied from a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3 ' ), The coffee circulation control valve 75 "to the water supply nozzle 15 ", and only the water supply nozzle 15a" toward the raw water passage area 311a "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 The water (1) is supplied to the raw water passage area 311a ". The water (1)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raw water passage area 311a "is supplied to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a" Is extracted to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a "through the coffee extracting nozzle 351a " The coffee (2) discharged from the prim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a "flows into the coffee circulation pipe 71" through each coffee discharge pipe 55 " The water supply nozzle 15 "is opened by only opening the water supply nozzles 15" on both sides toward the coffee passage area 311b " The coffee (2)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offee passage region 311b " is introduced into the middle coffee extracting nozzle 351b " To the secondary coffee extracting area 511b "and stored. The coffee stored in the secondary coffee extraction area 511b "can be discharged to a separate coffee storage tank (not shown) via the discharge control valve 551" or recycled through the coffee circulation tube 71 "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and functions of the divided regions of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5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make efficient adjustment for the coffee to be extracted hav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물공급부 11: 물공급관 13: 물공급밸브
15: 물공급노즐 151: 노즐조절밸브
3: 커피추출부 31: 분말저장용기 33: 필터
35: 커피추출관 351: 커피추출노즐 353: 추출조절밸브
5: 커피저장부 51: 커피저장용기
53: 커피회전수단 531: 바닥지지판 533: 회전판
533a: 돌기 535: 회전모터 537: 회전축
55: 커피배출관 551: 배출조절밸브
7: 커피순환부
71: 커피순환관 73: 커피순환펌프 75: 커피순환조절밸브
1: water supply part 11: water supply pipe 13: water supply valve
15: water supply nozzle 151: nozzle adjustment valve
3: coffee extracting section 31: powder storage container 33: filter
35: coffee extraction tube 351: coffee extraction nozzle 353: extraction control valve
5: coffee storage part 51: coffee storage container
53: coffee rotating means 531: bottom support plate 533:
533a: projection 535: rotation motor 537:
55: Coffee outlet 551: Discharge control valve
7: Coffee circulation part
71: Coffee circulation pipe 73: Coffee circulation pump 75: Coffee circulation control valve

Claims (7)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커피 분말을 수용하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와;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와;
상기 커피저장부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를 포함하여,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hot coffee;
A coffee extracting part for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for allow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ing part to flow therein to extract the coffee;
A coffee storage part for storing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ing part;
And a coffee circulation unit for feed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unit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through the coffee circulating tube so as to circulate the extracted Dutch coffee, thereby enabling the extraction of the highly concentrated Dutch coffee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ffee circulation tube
Where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ffee storage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측으로 더치커피 추출용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 상에 형성되어 물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밸브는 상기 커피순환관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coffee to the upper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portion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regulating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formed on the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water supply valve is formed as a three-way valve at a point where the coffee 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저장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와, 상기 커피저장용기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2.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A coffe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and coffe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coffee stored in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회전수단은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ffee rotating means
A bottom support plate forming a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container; and a rotating plate formed on the bottom support plate and rotat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truding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피추출부의 측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coffee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ffee storage pa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coffee extracting part.
KR1020170162418A 2017-11-30 2017-11-30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1996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en) 2017-11-30 2017-11-30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PCT/KR2017/013873 WO2019107603A1 (en) 2017-11-30 2017-11-30 Circulation-type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en) 2017-11-30 2017-11-30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43A true KR20190063543A (en) 2019-06-10
KR101996012B1 KR101996012B1 (en) 2019-07-03

Family

ID=6666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en) 2017-11-30 2017-11-30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012B1 (en)
WO (1) WO20191076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12B1 (en) * 2019-09-06 2021-08-20 추영민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CN112932266B (en) * 2021-04-01 2022-08-3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Cold extrac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22A (en) * 1996-01-19 1997-07-29 Enomoto Koichi Coffee percolator
US20020029694A1 (en) * 2001-05-22 2002-03-14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Coffee making machine
KR101053231B1 (en) * 2010-07-15 2011-08-0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Apparatus of making slus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9911B2 (en) * 2005-12-01 2008-07-16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Beverage extractor
JP2009082562A (en) * 2007-10-01 2009-04-23 Hoshizaki Electric Co Ltd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22A (en) * 1996-01-19 1997-07-29 Enomoto Koichi Coffee percolator
US20020029694A1 (en) * 2001-05-22 2002-03-14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Coffee making machine
KR101053231B1 (en) * 2010-07-15 2011-08-0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Apparatus of making sl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603A1 (en) 2019-06-06
KR101996012B1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760B2 (en) Automatic coffee drip equipment
CA27806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RU2414161C2 (en) Method and device to prepare drinks from soluble products
CN100405960C (en)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US6564697B2 (en)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US6968775B2 (en) Coffee brewer
US20080017042A1 (en) Automated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101996012B1 (en) 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A2405463A1 (en) Liqui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20180344071A1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ffee machine
KR20090075650A (en) Automatic maker for drip coffee and tea
KR20090075322A (en) Automatic maker for drip coffee and tea
JP2008113972A (en) Coffee brewer
US3520247A (en) Automatic bypass hot water feed for coffee urn
GB2475290A (en) Nozzle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EP3491977A1 (en)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US1762208A (en) Coffee-brewing apparatus
KR20140109287A (en) Drink vending machine using sphere
JP2006198213A (en)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beverage
KR102292112B1 (en) A Detachab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unctional Dutch Coffee
KR101852000B1 (en) Include Multi Distributor That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KR20190051282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tch coffee having a rotating plate
CN112391245A (en) Domestic beer brewing machine
JPS5833946Y2 (en) coffee maker
JPH08315244A (en) Hot water tank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