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45A -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45A
KR20190062145A KR1020180095767A KR20180095767A KR20190062145A KR 20190062145 A KR20190062145 A KR 20190062145A KR 1020180095767 A KR1020180095767 A KR 1020180095767A KR 20180095767 A KR20180095767 A KR 20180095767A KR 20190062145 A KR20190062145 A KR 2019006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versation message
user terminal
messeng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민
강희석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브렉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렉스랩 filed Critical (주)브렉스랩
Publication of KR2019006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a user terminal to identify a first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first criterion; displaying a pre-stored messenger image visually above the identified first image region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 image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a voic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and a messenger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hile the real image and the messenger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휴대가 가능한 단말이 광범위하게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서 종래보다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는 데에 대한 부담이 적어지는 한편, 사용자 단말에 다양한 입력 및 출력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As mobile terminals that can be portable to most users are widely used, a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user terminals in various ways has been proposed.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the burden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message is less than in the conventional art. Meanwhile, since various input and output means ar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It is now possible to create.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촬상 소자 또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nteractive message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n imaging device or a microphone provided in a portable user terminal and an output means such as a display or a speaker and a method of providing such a messaging service And provides a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toring a program to be used.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고, 현실 이미지와 함께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달자로 여겨지는 가상의 객체(예를 들어 캐릭터)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ssaging service for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by outputting a virtual object (for example, a character) considered as a messenger for delivering a message together with a real imag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현실 이미지와 가상의 객체가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음성과 함께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가상의 객체와 함께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nversation message together with a voice acquired from a user terminal while display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object to the user terminal, or generates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contents that can be purchased online together with a virtual object A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실 이미지 중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이미지가 식별되는 경우에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for outputting a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and outputting a conversation message when an image matching the pre-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1 기준에 부합하는 제1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으로 상부에 미리 저장된 메신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실 이미지와 메신저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획득된 음성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메신저 이미지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a user terminal to identify a first image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Displaying the pre-stored messenger image visually at the top of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 image, and displaying the pre-stored messenger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while the real image and the messenger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a voice and a messenger image displayed via the displa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음성이 획득되는 시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es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whic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uring the time the voice is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can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3차원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ing of the messenger image may include rendering the messenger image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메신저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may include adjusting the size of the pre-stored messeng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and displaying the adjusted size of the messenger im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include modulating the obtained speec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신저 이미지가 출력될 현실 이미지 기준을 포함하는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nerating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include setting a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ncluding a reality image reference to which the messenger imag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is to be output.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2 기준에 부합하는 제2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식별된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 상부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음성을 상기 메신저 이미지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to identify a second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second criterion;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on the visual upper part of the second image area on the basis of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t message in the identified second image area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ity image through the display And outputting the voic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together with the messenger image.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제2 기준은 기 설정된 형상과의 정합률이 기준값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second criterion may include a match rate with a predetermined shap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한 컨텐츠를 더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nerating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includ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further including content purchased by connecting to the content ser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 또는 송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es generating the purchase content identifier based on recipient or sender info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providing the purchase content identifier to the user terminal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통해 구매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 기초하여 그에 연관된 결제 정보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authenticating a purchaser through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requesting settlement of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paym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urchaser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수신한 대화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는 현실 이미지 기준을 포함하는 메시지 출력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출력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in which when a message output condition including a reality image reference in which the messenger image is displayed is set for the received chat mess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1 기준에 부합하는 제1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으로 상부에 메신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와 음성을 포함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할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에 대한 특성 정보, 상기 획득한 음성, 및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a first user terminal to identify a first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Displaying a messenger image visually above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together with displaying the obtained real image through a display, acquiring a voic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while the messenger image is being displayed Setting a chat message output condition for outputting a chat message including the messenger image and voice, setting the chat message output conditio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essenger image, the obtained voice, and the chat message output condition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receiving a conversation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user terminal meets the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and a step of outputting the message dialo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 중에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우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by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first in the conversation message.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through the display by the second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대화 메시지 전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by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include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entire conversation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s satisfi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in a computer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휴대가 용이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촬상 소자 또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 input means such as an image pickup element or a microphone provided in a portable user terminal,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 conversation message by using an output means such as the Internet.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고, 현실 이미지와 함께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달자로 여겨지는 캐릭터와 같은 가상의 객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 analyzing a real image acquired from a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gether with a real imag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by outputting a virtual object such as a character to be conside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현실 이미지와 가상의 객체가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음성과 함께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가상의 객체와 함께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The user can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together with content that can be purchased online together with the virtual object.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는,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실 이미지 중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이미지가 식별되는 경우에 대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 the steps of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in outputting a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versation message when an image matching the preset criteria is ident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포함된 대화 메시지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대화 메시지 생성 과정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구현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제공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은 대화 메시지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대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nd a server.
FIG. 3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process included in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re views showing exemplary screens.
FIGS. 4A to 4D are views illustrating screens provided when a virtual realit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5A and 5B are sequ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purchasing contents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FIGS. 6A to 6C show an exemplary screen output through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in a process of purchasing contents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Respectively.
FIG.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nversation message, and FIGS.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conversation message is output through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are described together when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10) 및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ssag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 and a server 2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30.

사용자 단말(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은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20)에 전달된 대화 메시지는 그 대화 메시지의 지정된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10)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 can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and deliver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server 20. [ The conversation message delivered to the server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designated recipien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user terminal 10 of the recipient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execute the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output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에 대화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화 메시지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정보가 전달되고,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may be recorded in a separate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0 as the conversation message is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10. [ In another embodiment, the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application to run with the conversation message is delivered, and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nformation being se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at received the conversation message.

사용자 단말(10)에는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촬상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화 메시지는 이러한 촬상 수단을 통하여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에는 현실 이미지 상에 현실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가상의 메신저 이미지와, 사용자의 음성 또는 구매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에 대해서 그 대화 메시지가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10)에 출력되기 위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조건은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으로 대화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imaging means capable of obtaining a real image. The convers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re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ing means through the display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10 as well.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t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include a virtual messenger image displayed together with a real image on a real image, a user's voice or purchased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ondition for the conversation message to be output to the recipient's user terminal 10 may be set for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ch a condi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as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에서 대화 메시지가 출력되는 과정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가 생성될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촬상 수단을 통해 획득된 현실 이미지와 대화 메시지, 정확하게는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가상의 메신저 이미지와 음성 또는 컨텐츠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는 증강현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가 가상현실로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은 가상현실 제공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at the user terminal 10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real image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obtained through the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 exactly as in the case where the conversation message is generated, The virtual IM imag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the voice or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together. Therefore, the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ser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irtual reality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The user terminal 10 may correspond to the virtual reality providing apparatus since the conversation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provided as a virtual reality.

대화 메시지의 생성과 출력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generation and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는 단일 서버 장치로 구현되거나 복수 개의 서버 장치들이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er 20 can construct a server-client system with the user terminal 10. The serv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erver device or a plurality of server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은 컨텐츠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40)는 유무형의 컨텐츠를 판매하는 서버일 수 있다. 컨텐츠 서버(40)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된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컨텐츠 서버(40)에 대하여 컨텐츠의 구매 요청을 전송하면,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의 인증에 기초하여 그 인증 정보에 연계된 결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40)에서 판매하는 컨텐츠는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 서버(40)에서 판매하는 컨텐츠는 무형의 상품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유형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디지털 교환권 등을 포함하며,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컨텐츠 서버(40)에서 판매하는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The system 1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server 40. [ The content server 40 may be a server that sells content-type content. The content server 40 stores content information and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 When the user confirm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ransmits a content purchase request to the content server 40, the content server 40 can request the user terminal 10 f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ent server 40 can perform settlement of the content fee according to the settlement information linked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content sold by the content server 40 may include various digital content. The content sold by the content server 40 includes not only intangible products but also digital exchange coupons that can be exchanged into tangible goods. If the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30 And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sold by the content server 40.

서버(20)와 컨텐츠 서버(40)의 운영 주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서버(20)와 물리적으로 함께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operating entity of the server 20 and the content server 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content server 40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or separately implemented with the serv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와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이 서버(20)에 접속한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서버(20)에 사용자 식별자가 전달된 경우에는, 서버(20)에 제공된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정보가 컨텐츠 서버(4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별도로 컨텐츠 서버(40)에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자)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20 and the content server 40 may share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 or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identifier is delivered to the server 20 as the user information is share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40. [ Therefore, when purchasing content or checking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user information (e.g., a user identifier) to the content server 4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도 2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nd a server.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입력부(110), 이미지 처리부(120), 제어부(130), 출력부(140),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 저장부(160), 통신부(170), 및 인터페이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a storage unit 160, 170, and an interfacing unit 180.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수단 및 적외선(infrared) 센서와 같은 시각적 정보를 수신하는 시각정보 수신부와 마이크와 같이 청각적 정보를 수신하는 청각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는 GPS와 같이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input mean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visu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sensing unit such as a camera and an infrared sensor and an audi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uditory information such as a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GPS.

입력부(110)에 포함된 시각정보 수신부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현실의 시각정보를 스캔하여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부(140)를 통하여 현실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시각정보 수신부는 이미지 처리부(120)에 대하여 현실 이미지를 제공하여 현실 이미지의 특징을 분석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이미지 영역이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20)는 시각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획득된 현실 이미지의 특정 이미지 영역이나 객체를 식별함에 따라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을 판단할 수도 있다.The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10 scans real time information in two or three dimensions to display a real image through an output unit 140 such as a displa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 . At the same time, the visu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provides the real image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image and identify the image region or the object meeting the predetermined criteria.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determine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by identifying the specific image region or object of the re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입력부(110)에 포함된 청각정보 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음성 정보를 대화 메시지에 포함시키거나,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진정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dible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includes the voice information in the conversation message or authenticates the tru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voice.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특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각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을 통해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may be set to output a conversation message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satisfied through a user's voice. Therefore,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voice collected through the audi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이미지 처리부(120)는 입력부(110)의 시각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집된 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3차원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을 일정한 프레임 동안 분석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 영역이 맞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현실 이미지 중 일부를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고 해당 관심영역만을 분석하여 이미지 영역을 식별함에 따라 이미지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analyze real images collected through the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the input unit 110 in real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extract three-dimensional feature points on a frame-by-frame basi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analyze feature points during a predetermined frame to identify whether the image regions conform to predetermine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sets a region of interest (ROI) of a part of the real images obtain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analyzes the ROI to analyze the imag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이미지 처리부(120)는 대화 메시지 생성 단계에 있어서 현실 이미지 상에 캐릭터 이미지, 즉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메신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기 위해서는 현실 이미지에 캐릭터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균일한 색상을 갖는 일정 영역 이상의 공간이 확보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실시간으로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바닥이나 평면 공간이 일정 영역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메시지 생성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하는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identify a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suitable for displaying a character image, that is, a messenger image, on the real image in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step. In order for the messenger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t may be required that a space of a certain area or more having a uniform color is secured so that the character image overlaps with the real image to stably display the messenger image.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analyze the real image in real time and identify the image as a message generation area suitable for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oor or the planar spa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rea. Of course, the condition for identifying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area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미지 처리부(120)는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의 식별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가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하는 기준은 현실 이미지의 3차원 특징점을 추출하여 안정적인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평면을 탐지함에 따라, 그 탐지된 평면이 기 설정된 영역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alog message generation area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reference for identifying the dialog message generation region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detected pla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gion as the three-dimensional feature points of the real image are extracted and the plane is detected based on the stable feature points .

대화 메시지 출력 단계, 즉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기 위한 출력 단계에 있어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기에 적합한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현실 이미지 상에 있는지를 식별한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과 동일한 기준으로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할 수도 있고, 현실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특징점을 파악하여 손, 손바닥, 얼굴과 같은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의 일부, 또는 접시, 컵과 같은 특정한 사물 등과 같이 특정한 객체의 형상을 인식하여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In the outputting step of outputting the dialog message, that is, in the step of receiving and confirming the received dialog mess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dentifies whether the dialog message output area suitabl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dialog message is on the real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identify the dialogue message output area on the same basis as the dialogue message creation area, or may identify the feature point on a frame-by-frame basis and use a part of the body of a person or animal such as a hand, palm, A specific object such as a plate, a cup, and the like can be recognized to identify a dialog message output area.

이 때에 이미지 처리부(120)는 그 식별하여야 하는 객체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보관하고 있고, 현실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 저장된 객체의 형상 정보와 현실 이미지 사이의 정합률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손바닥의 형상이 이루는 특징점 분포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으며 입력부(110)를 통해 획득한 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의 특징점 분석을 통해 특징점 분포 정합률이 85% 이상인 경우에, 이미지 처리부(120)는 해당 영역이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stores shap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identified. When the matching ratio between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object and the real im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stores information on a feature point distribution formed by the shape of the palm, and analyzes real images obtain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 real time. When the minutia distribution matching rate is 85% or more through the minutiae analysis of the obtained real ima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area as a dialog message output area.

이미지 처리부(12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과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영역 정보를 제어부(1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120)는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하는 경우에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identify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area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nd can provide the identified area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identify different types of objects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when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is identified.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프로세서에 상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U는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칩은, 예를 들어, 제어부(130) 외에도 통신부(17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ser terminal 10. [ The controller 130 may correspond to a processor and may includ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GPU (Graphical Processing Unit). The GPU can control the output screen through the display of the output unit 140. [ Also,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hip (IC) such as a system on chip (SoC) integrated with various computing devices. The integrated chip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170,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control unit 130. [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 또는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식별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의 해당 식별 영역 상에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메신저 이미지는,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다양한 리소스(resource)를 도출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에 대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특징점들의 벡터 정보, 메신저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움직임 등의 다양한 특성 정보만을 제공하면, 이미지 처리부(120)가 저장부(160)로부터 해당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도출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메신저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된 리소스들은 서버(20)로부터 제공되거나 컨텐츠 서버(40)로부터 구매된 것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region or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region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then displays the messenger image on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area of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via the output unit 140, Can be displayed. The messenger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rendered in two or three dimensions by deriving various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ccording to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xample, if only a variety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vector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constituting a messenger image, size, color, effect, motion and the like of the messenger image are provid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 resource can be derived based on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60 and a messenger image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can be implemented. The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20 or purchased from the content server 40.

이에 따라 출력부(140)에서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현실 이미지와 함께 그 현실 이미지에서 식별된 영역 상에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한다.Accordingly, the output unit 140 displays the messenger image on the region identified in the real image together with the real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현실 이미지의 특정 영역이 식별되는 것과 더불어 추가 외부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대화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 외부 조건은 기본적으로 설정되거나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인터페이싱부(18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을 판단하여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출력부(140)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대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외부 조건을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 conversation message may be output only if a particular region of the real image is identified and additional external conditions are satisfied. These additional external conditions may be set as default or as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by determining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based on the exter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10 or the interfacing unit 180, Information indicating a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may be displayed to the unit 140 to guide the user to form an external condition for confirming the conversation message.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정보 출력부와 스피커와 같은 청각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정보 출력부는 입력부(110)로부터 획득한 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각정보 출력부는 현실 이미지와 메신저 이미지 또는 대화 이미지, 그리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visual information output unit such as a display and an audible information output unit such as a speaker.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unit may output a real image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110 in re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unit includes an output unit for visually expressing a real image, a messenger image or a conversation image,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n OLED (Organic LED), an AMOLED (Active Matrix OLED), and a PDP (Plasma Display Pane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의 시각정보 출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스타일러스와 같은 전자 펜에 의한 입력,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센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ime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output unit 140 includes sensing means for recognizing various inputs occurring in a region for displaying an image, an input by a user's touch input, an electronic pen such as a stylus It is possible.

출력부(140)는 시각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현실 이미지와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는 한편, 청각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의 청각정보 출력부는 사용자가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입력하는 음성을 다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으로 제공하거나,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display the real image and the messenger image through the time information output unit, and may output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The auditory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output unit 140 may reproduce the voice input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by the user and provide it to the user as feedback or output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user who received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do.

본 발명에 있어서 출력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된 음성을 출력함에 따라 대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는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 또는 출력부(1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modulated voice rather tha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user in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operation of modulating the voice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in the control unit 130,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or the output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메신저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 또는 메신저 이미지 자체와 음성 정보를 결합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로 컨텐츠 서버(40)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한 경우,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함께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대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는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the conversation message by combining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the messenger image or the messenger image itself and the voice information. When the user further purchases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server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or 150 ma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s purchased by the us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a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for setting various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be output.

저장부(16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때에 표시되는 메신저 이미지의 리소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생성한 대화 메시지,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60)는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출력할 때에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특징점 템플릿과 같은 식별 참조 정보, 및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음성 변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0 or may store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resource of a messenger image displayed when the conversation message is generated, and may store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ed by the user and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identification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 minutia template for identifying an image area when generating or outputting a conversation message, and a voice modulation program for modulating voice.

통신부(170)는 네트워크(30, 도 1 참조)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대화 메시지를 서버(20)에 전달하거나, 서버(20)로부터 대화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서버(20)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메신저 이미지 구축을 위한 리소스,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다양한 음성 변조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대화 메시지를 서버(20)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an transmit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0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30 (see FIG. 1) or receive various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from the server 20 hav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resources,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various kinds of instant messenger images from the server 20, and receive various voice modulation programs for modulating voice. Also,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the convers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another user through the server 20.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서는 현실 이미지의 획득만이 수행되고, 현실 이미지의 분석, 처리 및 음성 정보의 변조 등은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획득된 현실 이미지 및 음성이 실시간으로 서버(2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대화 이미지는 음성 및 움직이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 용량이 클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10)의 해상도와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의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미지를 h.264 혹은 vp8/9, 음성은 Opus, iSAC, iLBC와 같은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10)의 네트워크 정보와 이미지 및/또는 음성의 헤더 데이터 등을 포함한 메타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이나 서버(20)로 보내어 네트워크 통신을 준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the acquisition of the real image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analysis and processing of the real image and the modula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server 20. In this case, the real image and voice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to the server 20 in real time. In addition, since the conversation imag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voice and moving image information, the capacity may be larg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compress the image and the voice including the image to the server 20 in consideration of the resolution and the network state of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f the user terminal 10 can compress an image using h.264 or vp8 / 9, and voice using a codec such as Opus, iSAC, or iLBC. The user terminal 10 can send meta information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header and image data of the user terminal 10 to another user's terminal or server 20 for network communication to prepare for network communication have.

한번 통신이 확립된 이후에는 통신부(170)가 확립된 통신이 지속되도록 네트워크 세션 및 패킷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70)는 미리 구현되어 있는 WebRTC와 같은 실시간 비디오/오디오 통신에 특화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After th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once, the communication unit 170 can manage the network session and the packet so that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is continued. For this,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use a module specialized in real time video / audio communication such as WebRTC, which is implemented in advance.

통신부(170)는 서버(20)의 통신부(210)와 2G/3G,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7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RF(Radio Frequency) 칩(chip)이나 회로(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70)는 서버(20)를 통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근거리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server 20 through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2G / 3G, LTE (Long Term Evolution), and LTE-A (LTE-Advance) Lt; / RTI >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include an RF (Radio Frequency) chip or a circuit that support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another user terminal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20. In this cas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인터페이싱부(18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객체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는 시각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객체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대화 메시지의 생성이 개시되고 완료될 수 있으며, 대화 메시지의 전송, 대화 메시지의 출력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e interfacing unit 180 may provide various interface objects to the user terminal 10 and obtain information received therefrom. The interfacing unit 180 may receive the user's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10 by providing the interface object through the time information output unit. The gener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be started and completed based on the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180 and the operations such as transmiss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be performed.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은 인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90)는 사용자 단말(10)의 진정한 소유자인 사용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었을 경우에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입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190)는 사용자의 홍채, 지문, 손모양, 성문(聲紋), 비밀번호, 결제정보, 서명정보와 같은 다양한 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unit 190 sto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 user who is a true owner of the user terminal 10 and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input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us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The authentication unit 190 may store various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iris, fingerprint, hand shape, voiceprint, password, payment information, and signature information of the user.

실시예에 따라, 인증부(190)는 내부적으로 인증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외부의 인증서버에 대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90)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획득된 인증정보를 외부 인증서버에 제공하고 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unit 190 may perform authentication of an external authentication server without internally sto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unit 190 may provid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e external authentication server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and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서버(20)는 통신부(210), 사용자 관리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단계들은 사용자 단말(10)과 서버(20) 사이에서 분산되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user management unit 220, and a storage unit 230. Various steps for performing 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dispersedly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rv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ly, the server 20 can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perform function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 [

통신부(210)는 대화 메시지를 생성한 송신자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자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완성된 대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와 음성의 각각의 정보, 그리고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the conversation message from the sender user terminal 10 that generated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may transmit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 user terminal 10. [ The server 20 may receive the completed conversation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10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20 receives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respective information of the voice from the user terminal 10, Output conditions, and the like, and may proces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finall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또한, 서버(20)는 컨텐츠 서버(40)와 사용자 단말(1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할 수도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컨텐츠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컨텐츠 서버(40)에 대하여 구매 요청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컨텐츠 서버(4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는 컨텐츠 서버(40)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컨텐츠 서버(40)와 사용자 단말(10)이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er 20 may also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ent server 40 and the user terminal 10. [ The server 20 transmits a purchase request to the content server 40 and provid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o the content server 40 when the content purchas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so as to be recommended. 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20 communicat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10 to the content server 40 and allows the content server 40 and the user terminal 10 to communicate directly.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 송수신 내역,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컨텐츠 구매 정보, 사용자 친구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메신저 이미지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230)로부터 특정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220 manage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the user management unit 220 may manage a conversation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content purchase information, user friend information, and messenger imag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user identifier. If necessary, the user management unit 220 can derive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230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저장부(230)는 대화 메시지, 메신저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리소스, 및 음성 변조 프로그램 자원 등을 관리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30 may manage a conversation message, a resource for generating a messenger image, and an audio modulation program resource.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출력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우선 설명한다.The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step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versation message. The steps of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C.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포함된 대화 메시지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대화 메시지 생성 과정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구현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FIG. 3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ed in a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illustrate an exemplary screen FIG.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여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단계 S110).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식별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를 등록한다. 서비스 등록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서버(20)는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user may subscribe to a messaging service by executing an application at the user terminal 10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ervice subscription to the server 20 (step S110). The server 20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registers the user.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fter the service registration and the connection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rver 20 can identify the user.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 메시지의 생성을 개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의 입력부(110)에 포함된 시각정보 수신부는 사용자의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현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20).An interface is provided through a visual information output unit such as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start the gener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via the provided interface. The time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10 can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user's start command to obtain a real image (step S120).

입력부(110)로부터 획득된 현실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부(120)에 제공되어 실시간으로 분석될 수 있다 (단계 S130). 이미지 처리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획득한 현실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 별로 분석하여 특징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al image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110 may be provid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analyzed in real time (step S13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the feature point analysis by analyzing the real image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110 on a frame-by-frame basis.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이미지 분석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에서 서버(20)에 대하여 현실 이미지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압축하여 전달함에 따라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에 전달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al-time image analysis may be performed at the server 20 as it is not performed at the user terminal 10, but rather conveys or compresses the real image to the server 20 at the user terminal 10 . The server 20 may analyz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0. [

도 4a는 특징점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 현실 이미지(410)가 표시되고, 그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일부 영역이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0)으로 식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출력부(140)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강조하여 표현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이동시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displayed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minutia analysis. Referring to FIG. 4A, a real image 410 is displayed on a display, and the real image is analyzed to confirm that a certain area is identified as a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4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can help the user to move the user terminal 10 to easily secure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by highlighting and expressing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with respect to the output unit 140 .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메신저 이미지 썸네일(43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신저 이미지 썸네일(43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메신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신저 이미지 썸네일(430)을 선택함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던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가 이미지 처리부(120)에 전달되고 이미지 처리부(120)는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60)로부터 리소스를 획득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출력부(140)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various messenger image thumbnails 43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IM image thumbnails 430 to select the IM image to generate the IM message.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s the user selects the IM image thumbnail 43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ransmits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160 and implements the messenger imag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이미지 처리부(120)가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하면(단계 S140, 예), 사용자 단말(10)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한편으로 메신저 이미지를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 상에 표시한다 (단계 S150). 사용자 단말(10)의 이미지 처리부(120)는 현실 이미지의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에 메신저 이미지를 오버레이, 즉 시각적으로 상부에 표시함에 따라 현실 이미지 중 특정 영역에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3,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dentifies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step S140, YES), the user terminal 10 displays the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while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in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Step S15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f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the messenger image in a specific one of the real images by overlaying the messenger image in the real image messaging area.

실시예에 따라 메신저 이미지의 구현에 필요한 리소스들과 메시지 이미지 특성 정보는 서버(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210). 다만, 서버(20)에서 메신저 이미지의 구현에 필요한 정보들(특성 정보, 리소스 등)이 제공되는 시기는 도 3에 나타낸 순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신저 이미지 썸네일(430)을 선택한 경우에 서버(20)에 대해 메신저 이미지 정보가 요청되어 서버(20)로부터 사용자 단말(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미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메신저 이미지가 한번 구현된 경우라면 메신저 이미지의 구현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 임의의 시점에 제공되거나, 사용자 단말(10)의 저장부(160)에 이미 메신저 이미지 구현에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화 메시지 생성 과정에서 서버(20)로부터 메신저 이미지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source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ssenger image and the message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20 (step S210). However, the timing with which the server 20 provides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sources, etc.)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messenger image is not limited to the order shown in FIG. 3. However, as shown in FIG. 4A, The messenger image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from the server 20 to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user terminal 430 is selected. If the messenger image is already implemen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information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messenger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or may be provided to the storage unit 160 of the user terminal 10 In the case where information necessary for implementing a messenger image is already stored, the messenger image may not be provided from the server 20 during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process.

다만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이 식별되고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기 이전에 적어도 일부 시간 동안에는 메신저 이미지의 구현에 필요한 정보들이 사용자 단말(10)의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다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However, for at least some time before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area is identified and the messenger image is display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ssenger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f the user terminal 10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

도 4b를 참조하면, 현실 이미지(410)와 함께,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에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신저 이미지(440)는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서 획득하는 현실 이미지(410)가 변화할 수 있고 현실 이미지가 변함에 따라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의 위치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의 크기와 메신저 이미지(440)의 크기를 비교하여 메신저 이미지(44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messenger image 440 is display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creation area 421 together with the real image 410. [ The messenger image 440 may be displayed in at least a par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reation area 421. [ After the messenger image 440 is displayed, the real image 410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area 421 ) May vary in position and siz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continuously monitor the chat message generation area 421 by analyzing the reality image even after the messenger image 440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adjust the size of the messenger image 440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421 and the size of the messenger image 440. [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는 한정될 수 있다. 메신저 이미지(440)의 최대 크기는 사용자 단말(10)의 사양(specifications)과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 이하로 결정되거나, 사용자 단말(1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이미지(440)의 최대 크기는 가로와 세로 픽셀 크기로 지정되거나,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의 특정한 비용, 예를 들어 40% 이하로 지정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display size of the user terminal 10 is limited, the maximum size at which the IM image 440 can be displayed can be limited. The maximum size of the messenger image 440 may be determin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regardless of specific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 or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the maximum size of the instant messenger image 440 may be specified as a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 size, or may be specified as a specific cost of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40% or less.

한편, 이미지 처리부(120)는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되는 크기와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의 크기 비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메신저 이미지(440)의 크기를 조정하여 둘 사이의 해당 비율이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도록 메신저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messenger image 440 and the size of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area 421 are equal to or larger than predetermined value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djusts the size of the messenger image 440, The size of the IM imag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ratio is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미 식별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421)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줄어들면 메시지 생성 영역의 식별이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다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우선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한번 식별한 이후에 메시지 생성 영역의 식별이 취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단계 S140에서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한 기준보다는 엄격하지 않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already identified conversation message creation area 421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recognizes that the message creation area is not identified, and re-identifies the conversation message creation area can do. However,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message generation area is canceled 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message generation area by the priority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not be strict than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the message generation area in step S140.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메신저 이미지는 3차원 캐릭터 영상이며, 움직이는 형태일 수 있다. 메신저 이미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메신저 이미지(440)는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메신저 이미지(440)를 선택하여 메신저 이미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신저 이미지(440)를 선택하면, 효과음이 출력되거나 메신저 이미지의 움직임이 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messenger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s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image and may be in a moving form. The messenger imag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resource based on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ssenger image 440 shown in FIG. 4B can be mov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messenger image 440 via the interfacing unit 180 to interact with the messenger imag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messenger image 440, the effect sound may be output or the movement of the messenger image may be changed.

사용자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메신저 이미지(440)에 대하여 효과를 추가하거나 메신저 이미지(440)의 색상이나 움직임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신저 이미지(440)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메신저 이미지(44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가 상이해질 수 있고, 이렇게 변화된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가 대화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may add an effect to the messenger image 440 or modify the color or movement of the messenger image 440 via the interfacing unit 180. [ Accordingly, the user can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desired IM image 440.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messenger image 440, and the changed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메신저 이미지(440)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이후, 사용자는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 입력 버튼(450)을 선택하여 메신저 이미지(440)에 음성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입력 버튼(450)을 선택하여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10)의 입력부(110)에 포함된 청각정보 수신부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60). 수신된 음성 정보는 제어부(130)를 통하여 저장부(160)에 제공되거나 곧바로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에 제공될 수 있다.After the messenger image 4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user can select the voice input button 450 provided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180 to add voice information to the messenger image 440. [ When the user selects the voice input button 450 and provides a voice message, the audi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voice information (step S160). The received voi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torage unit 160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or may be provided to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immediately.

여기서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입력하는 동안에도 사용자 단말(10)에는 현실 이미지(410)가 표시되고 또한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동안에 표시된 메신저 이미지(440)를 대화 이미지로 추출하여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성 입력 버튼(450)의 선택과 같은 명령에 응답하여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에는 사용자가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미지 처리부(120)로 하여금 해당 시간 동안의 메신저 이미지만을 대화 이미지로 추출하여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대화 이미지는 캐릭터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al image 41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essenger image 440 may be displayed while the user is inputting the voice inform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extract the messenger image 440 displayed while the voice information is being input, as a dialogue image, and provide the extracted message image to the dialogue message generation unit 150. In response to a command such as selection of the voice input button 45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user generates a conversation message during the time when the voice information is input,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nly for the instant messenger image Extracts it as a dialog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dialog message generation unit 150. In this case, the conversation image can include all the information that the character moves in real time.

실시예에 따라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동안의 메신저 이미지는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따라 구현된 것일 수 있으므로,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따라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10)에서 구현되는 메신저 이미지의 구체적인 움직임이나 형상은 대화 메시지의 생성자가 실제로 확인한 메신저 이미지와는 완전히 구현 형태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화 이미지를 추출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과는 달리, 이 경우에는 대화 메시지에는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만이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으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새로이 구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messenger image during the input of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pecific movement or shape of the messenger image implemented in the receiver's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implementation type does not completely match the messenger image actually verified by the creato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n this case, only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i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es the messenger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You can also implement a new image.

실시예에 따라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동안 변조된 음성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음성 정보가 변조되어 수신자에게 어떻게 제공될지를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변조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The modulated voice may be output to the user while the voice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predict how the voic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will be modulated and provided to the recipi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ulated in various ways and the voice modulation sche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사용자 단말(10)은 현재 생성하는 대화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70).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the recipient information to receive the conversation message currently being generated (step S170). The recipi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entifier such as the recipient's telephone number.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 수신한 대화 이미지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80). 그리고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conversation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r may generate the messenger image including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tep S180).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10. [

음성 정보는 음성 데이터의 피치, 스펙트럼, 영교차율, 에너지를 HPS(Harmonic Product Spectrum) 알고리즘과, tempo detecto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피치 간격을 파악하고 패턴을 분석하며, bit 연산과 time delay를 변조하거나, 미리 샘플링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음성 정보의 변조는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 서버(20) 또는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될 수 있다.Spee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itch interval, pattern analysis, bit operation and time delay modulation, or the like using the HPS (harmonic product spectrum) algorithm and the tempo detector library of pitch, spectrum, zero crossing rate and energy of voice data. And can be modulated using sampled voice data. Modulation of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the server 20, or the user terminal 10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의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화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에서 특정한 객체가 식별되는 경우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대화 메시지 생성하는 과정에서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은 입력부(11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은 현실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객체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대화 메시지가 손바닥 또는 시계와 같이 특정 객체의 시각적으로 상부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be set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180 of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utput when a specific object is identified in the re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Accordingly, the user can set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The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may include various external conditions tha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For example,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may include the kind of object identified from the real image. The user can set a dialog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o be visually displayed at the top of a particular object, such as a palm or a clock.

부가적으로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은 특정 시간대, 특정 위치, 특정 음성 명령과 같이 사용자 단말(10)에서 외부 조건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다양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출력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에서 대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가 출력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이 사용자 단말(10)의 출력부(14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include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specific time zone, a specific location, and a specific voice command, by which the user terminal 10 can sense the external condition. Various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s can be se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When the various output conditions are s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who receives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check the conversation message in various environmen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ondition necessary for the conversation message to be output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40 of the user terminal 10 to guide the user to satisfy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제어부(130)는 생성된 대화 메시지를 통신부(170)를 통하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90). 대화 메시지의 전송은 도 4b에 표시된 전송 버튼(460)을 선택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통신부(170)를 통해 서버(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다른 사용자 단말(10)에 대해 대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versation message to the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step S190). The transmiss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the transmit button 460 shown in FIG. 4B.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the conversation message directly to another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20. [

서버(20)는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사용자 관리부(220)에 대화 메시지의 수신 내역을 기록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수신한 대화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20). 수신자 정보는 대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거나 사용자 단말(10)에서 별도로 서버(2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rver 20 stores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in the storage unit 230 and records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in the user management unit 220. [ In addition, the server 20 may transmit a convers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s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ipien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step S220). The recipi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or delivered to the server 20 separately from the user terminal 10.

서버(20)는 대화 메시지를 제공받은 즉시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 대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 중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만을 전달하고,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정보들, 예를 들어 음성 정보와 메신저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server 20 can transmit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s user terminal as soon as the conversation message is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server 20 conveys only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recipient user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s satisfied from the recipient's user terminal O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for example, voi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 messenger image, may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도 3의 “A”로 표시한 대화 메시지의 생성 이전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에 구매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컨텐츠의 구매는 도 3에 표시한 “A”순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대화 메시지에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면 어느 시점이라도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y be purcha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before the gener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ndicated by " A " . However, the purchase of the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 A " shown in FIG. 3, but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as long as the content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컨텐츠를 구매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The process of purchasing contents to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C. 5A and 5B are sequ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purchasing contents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FIGS. 6A to 6C show an exemplary screen output through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in a process of purchasing contents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추가 입력이 수신된다 (단계 S171). 추가 입력은 도 6a에 나타낸 컨텐츠 구매 버튼(470)의 선택에 상응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an additional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step S171). The additional input may correspond to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purchase button 470 shown in FIG. 6A. 6A to 6C,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S. 4A and 4B. The compon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S17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서 컨텐츠 서버(40)에 사용자 식별자를 제공하여 직접 접속하거나 사용자 단말(10)에서 서버(20)를 경유하여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컨텐츠 서버(40)에 접속할 수도 있다.In response to the user's further input, the user terminal 10 may connect to the content server 40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step S172).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a user identifier to the content server 40 to directly access the content server 40 or may access the content server 40 from the user terminal 10 via the server 20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ss have.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211).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40)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특성 인자에 기초하여 협력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알고리즘과 같은 추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해당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content server 40 provide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step S211). The content server 4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suitable for a user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obtainable from the user terminal 10. [ For example, the content server 4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suitable for a user by applying a recommendation algorithm such as a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based on the content and a characteristic parameter of the user. In addition, as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ategory, the content server 4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lassified into the category to the user terminal 10.

컨텐츠 서버(40)에서 판매하는 컨텐츠는 앞서 말한 다양한 무형상품, 유형상품으로 교환 가능한 무형상품, 나아가 대화 메시지 생성에 활용할 수 있는 메신저 이미지, 메신저 이미지에 적용되는 효과, 음성 변조 필터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Contents to be sold by the content server 40 include various intangible goods, intangible goods that can be exchanged with the type merchandise, messenger images that can be used to generate conversation messages, effects applied to messenger images, and voice modulation filters can do.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실 이미지(410) 또는 메신저 이미지(440)가 표시되는 화면 상에 컨텐츠 전시 영역(471)이 마련되어 다양한 컨텐츠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와 메신저 이미지(440)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함께 표시되는 경우, 구매할 컨텐츠가 대화 메시지에 활용되는 컨텐츠인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양한 구매 가능한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에 대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컨텐츠가 메신저 이미지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직접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B, a content exhibition area 471 is provided on the screen where the real image 410 or the messenger image 440 is displayed, and various contents can be displayed together.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that can be purchased and the IM image 440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display, it may be useful when the content to be purchased is content used for a conversation message.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contents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of various available instant messenger images, and directly display the selected contents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instant messenger imag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컨텐츠 전시 영역(471)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전체에 요청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6a의 컨텐츠 구매 버튼(470)을 선택하는 것과 같이 추가 입력을 하는 경우에 현실 이미지(410)와 메신저 이미지(440)가 모두 사라지고 컨텐츠 구매 화면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컨텐츠 구매 화면은 별도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거나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selecting specific content in the content display area 471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request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ed in the entir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 Can be displayed. Also, when the user makes additional input such as selecting the content purchase button 470 in FIG. 6A, both the real image 410 and the messenger image 440 may disappear and move to the content purchase screen. The content purchase screen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web page or in a separate application.

사용자가 특정한 컨텐츠에 대하여 구매를 요청하면 (단계 S173),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를 위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12).When the user requests purchase of specific contents (step S173), the contents server 40 can request authentication for payment to the user terminal 10 (step S212).

사용자 단말(10)은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단계 S174). 사용자의 인증은 도 2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10)의 인증부(190)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step S174).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can be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190 of the user terminal 10 shown in Fig.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정보가 전달되고 (단계 S175), 사용자의 인증에 응답하여 컨텐츠 서버(40)는 구매자를 인증하고 구매 요청을 처리한다 (단계 S215). 사용자 단말(10)은 인증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컨텐츠 서버(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그에 연관된 결제 정보에 따라 PG 서버와 같은 결제 대행 서버에 대하여 컨텐츠의 가격에 상응하는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step S175). In response to the user's authentication, the content server 40 authenticates the buyer and processes the purchase request (step S215). The user terminal 10 can transmit the payment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content server 40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ent server 40 can request a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content to the payment agent server such as the PG server accor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ay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구매 요청의 처리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매 컨텐츠를 전달한다 (단계 S214).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 또는 송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매 컨텐츠 식별자는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 또는 송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생성된 웹페이지 접속 경로일 수 있다. 또한 구매 컨텐츠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적용가능한 컨텐츠인 경우에는 메시지의 수신자의 계정에 대하여 컨텐츠가 적용되는 것을 지시하는 식별자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purchase request, the content server 40 delivers the purchas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 (step S214). The content server 40 may generate a purchase content identifier based on the recipient or sender info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and provide the purchase content identifier to the user terminal 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urchased content identifier may be a newly created web page access path based on recipient or sender info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lso, if the purchased content is content applicable in the application, it may be delivered in the form of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content is applied to the account of the recipient of the message.

사용자 단말(10)의 대화 메시지 생성부(150)는 구매 컨텐츠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81). 도 6c를 참조하면, 구매 컨텐츠(480)가 메신저 이미지(440)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150 of the user terminal 10 may generate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purchased content (step S181). Referring to FIG. 6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rchased content 480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essenger image 440.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이 아니라 서버(20)에 구매 컨텐츠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때에 컨텐츠 서버(40)에서 전달되는 구매 컨텐츠에는 해당 구매 컨텐츠가 어떠한 대화 메시지에 포함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에 전달된 구매 컨텐츠 정보는, 구매 컨텐츠가 포함될 대화 메시지의 생성자 그리고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거나, 현재 구매된 컨텐츠가 연계된 대화 메시지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server 40 may deliver the purchased content to the server 20 rather than the user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purchase content delivered from the content server 40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ich dialog message the purchase content is to be included in. The purchase content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server 20 may include the creato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o be included in the purchased content and the recipient info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or may include an identifi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o which the currently purchased content is linked.

서버(20)는 컨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한 구매 컨텐츠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연계시켜 수신자에게 전송될 대화 메시지를 재가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link the purchased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40 with the received chat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re-process the chat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그 대화 메시지에 연계된 컨텐츠를 요청하면, 서버(20)가 저장되어 있던 구매 컨텐츠를 대화 메시지와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에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에서는 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화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에 연계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 recipient who has received the conversation message requests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server 20 may separately provide the stored purchase content with the conversation messag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having received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request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수신된 대화 메시지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대화 메시지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대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received conversation mess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B. FIG.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nversation message, and FIGS.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conversation message is output through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는 대화 메시지에 대하여 지정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대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810).Referring to FIG. 7, the server 20 transmits a convers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based on the recipient information specified for the conversation message (step S810).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대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인터페이싱부(180)를 통해 수신함(490)에 새로운 대화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적색 강조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when a conversation message is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10, a red highlight indicating that a new conversation message has arrived at the inbox 490 via the interfacing unit 180 may be displayed.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수신함(49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은 단말에 구비된 입력부(110)를 통하여 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단계 S710). 도 8a에서와 같이 현실 이미지(415)가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10)의 이미지 처리부(120)는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415)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단계 S720), 분석을 통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식별되는지 판단한다 (단계 S730).If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input image 49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user terminal 10 obtains the real image in real time through the input unit 110 (step S7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f the user terminal 10 analyzes the acquired real image 415 in real time while the actual image 415 is being displayed as shown in FIG. 8A (step S720) It is determined whether a matching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is identified (step S730).

본 발명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하는 기 설정된 조건과 대화 메시지 생성 영역을 식별하는 기 설정된 조건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식별하는 기 설정된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대화 메시지에 출력 조건이 부가될 수 있는바,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for identify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for identifying the conversation message generating area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for identify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se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as described above. That is, an output condition may be added to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도 8a 및 도 8b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은 사람의 손 모양 영역에 상응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표현하였다.8A and 8B, the dialog message output area is exemplarily represented as corresponding to a human hand area.

이미지 처리부(120)는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입력부(110)로부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 중에서 사람의 손모양을 식별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실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특징점 분석을 통해 기 저장된 손모양의 특징점 분포와 정합률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손모양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식별 정보를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dentifies a hand shape of a human being among real images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110 through real-time image analysis.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alyzes a real image frame by frame, If the feature point distribution and the matching ratio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 point shape is presen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ly.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은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을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은 도 8a의 ‘427’과 같이 출력부(140)를 통해 표시되어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가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be variously set in addition to design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s '427' in FIG. 8A to guide the recipien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o satisfy the output condi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예를 들어,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강남역이라는 위지 조건과 손바닥 객체를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으로 지정한 것이라면, 도 8a에서와 같이 ‘강남역’이라는 위치 조건과 ‘손바닥’이라는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 조건이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이 강남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현실 이미지에서 손바닥이 식별되어야만 대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사용자 단말(10)의 입력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is a Gangnam station and a palm object is designated as a dialog message output area, a condition of 'Gangnam Station' and a condition of a message output area of 'palm' may be presented as shown in FIG. 8A have.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be output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located in the Gangnam station and the palm is identified in the real image. These conditions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via the input 110 of the user terminal 10. [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는 대화 메시지 중에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만이 전달되고, 그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10)이 서버(20)에 대하여 해당 대화 메시지에 연계된 다른 대화 메시지들을 요청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s satisfied,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the conversation message to the server 20 And may request other associated chat messages.

이하에서는 현실 이미지에서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식별되는 경우만이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is set only when the dialog message output area is identified in the real image.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이 식별되면 (단계 S730, 예), 사용자 단말(10)은 대화 메시지에 기초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에 표시한다. 메신저 이미지는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이미지 또는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구현된 이미지로서, 이미지 처리부(120)를 통하여 현실 이미지 상의 메시지 출력 영역 상에 오버레이되며, 본 발명에서는 3차원 캐릭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If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is identified (step S730, YES), the user terminal 10 displays the messenger image in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based on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messenger image is an image implemented based on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or the conversation imag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is overlaid on the message output area on the real image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Dimensional character image can be displayed.

다시 도 8a를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부(120)는, 식별된 손 모양의 대화 메시지 출력 영역(425) 위에 3차원의 메신저 이미지(445)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신저 이미지(445)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동시에 출력부(140)를 통하여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750).Referring again to FIG. 8A,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messenger image 445 on the identified hand-shaped conversation message output area 425. FIG.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be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140 while the messenger image 445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tep S75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대화 메시지를 확인하는 동안, 대화 메시지의 송신자가 그 대화 메시지의 출력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에 송신자 영상(495)이 사용자 단말(10)의 일부에 표시되며 대화 메시지 수신자는 송신자 영상(495)과 대화 메시지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simultaneously check the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while the recipient receiv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nfirms the conversation message, as shown in FIG. 8B. At this time, the sender image 495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recipien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check the sender image 495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together.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10)에서 대화 메시지의 출력이 결정되면, 수신자 사용자 단말(10)의 제어부(130)가 대화 메시지의 송신자에게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대화 메시지의 출력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시에 대화 메시지의 송신자에게 통신부(170)를 통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대화 메시지 송신자에게 연결을 요청한 경우, 대화 메시지 송신자가 연결을 승인할 때까지 대화 메시지의 출력이 보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of the recipient user terminal 10 may request a connection to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f the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s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0 of the recipient have. That is, when all of the output conditions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re satisfied,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conversation message and requests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If a request is made to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he outpu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be held until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pproves the connection.

대화 메시지에 구매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단계 S760, 예), 도 8a와 같이 메신저 이미지(445)와 인접한 영역에 구매 컨텐츠(485)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 컨텐츠(485)를 선택하거나,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 정보가 모두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은 서버(20) 또는 컨텐츠 서버(40)에 대해 구매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770).If the purchase message i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step S760, YES), the purchase content 485 may be display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messenger image 445 as shown in FIG. 8A. The user terminal 10 can request the information of the purchase content to the server 20 or the content server 40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the purchase content 485 or in response to the outputting of all the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Step S770).

실시예에 따라 대화 메시지에는 구매 컨텐츠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어 서버(20)가 컨텐츠 서버(40)와 같은 외부 서버에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제공하여 구매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이 수신하는 구매 컨텐츠 정보는 구매 컨텐츠 자체이거나 구매 컨텐츠를 교환할 수 있는 바코드나 QR 코드, 구매 컨텐츠의 교환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접속 경로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versation message may store the identifier of the purchase content, and the server 20 may receive the purchase content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purchase content identifier to an external server such as the content server 40. [ The purchas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urchase content itself, a bar code or QR code capable of exchanging purchased content, or a web page access path through which purchase content can be exchanged.

실시예에 따라, 수신자가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모든 정보들(메신저 이미지, 음성 정보, 및 구매 컨텐츠 정보)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80), 사용자 단말(10)의 제어부(130)는 서버(20)에 대하여 대화 메시지 확인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90)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r has confirmed all the information (messenger image, audio information, and purchas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step S780), the control unit 130 of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20) (step S790)

실시예에 따라 서버(20)는 대화 메시지 확인이 완료된 경우에 대화 메시지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대화 메시지 송신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서버(20)는 푸시 알림(push alert) 등을 통하여 대화 메시지 송신자에게 대화 메시지의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거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대화 메시지의 확인이 완료된 이후에 서버(20)를 통해 송신자에게 연결 요청을 하여 대화 메시지의 송신자와 수신자가 도 8b와 같이 메신저 이미지를 함께 보면서 영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rver 20 can inform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s completed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is completed. The server 20 notifies the sender of the conversation message through the push alert or the like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has been comple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confirmation message to the server 20 ) So that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of the conversation message can perform the video conversation while watching the IM image together as shown in FIG. 8B.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저장매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ess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instructions may be a hard disk, a floppy disk,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media (e.g., CD-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magneto-optical media (e.g., a floptical disk), a hardware device (e.g., ROM, RAM, or flash memory, etc.). Also,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software modules,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Eac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necessarily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but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selectively, or individuall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quivalents include all components that are invented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Claims (17)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1 기준에 부합하는 제1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으로 상부에 미리 저장된 메신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실 이미지와 메신저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획득된 음성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메신저 이미지를 포함하여,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a user terminal to identify a first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first criterion;
Displaying a pre-stored messenger image visually above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 imag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generating a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a voic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and a messenger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hile the real image and the messenger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음성이 획득되는 시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mprises:
And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messenge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uring a time when the voice is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메신저 이미지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3차원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comprises:
And rendering and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메신저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playing the messenger image comprises:
And adjusting and displaying the size of the pre-stored messeng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음성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mprises:
And modulating the acquired vo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신저 이미지가 출력될 현실 이미지 기준을 포함하는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mprises:
And setting a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ncluding a reality image reference to which a messenger imag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is to be outpu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2 기준에 부합하는 제2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식별된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메신저 이미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 상부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음성을 상기 메신저 이미지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nversation message is received, and identifying a second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second criterion;
And displaying, via the display, the messenger image on the visual upper part of the second image area based on the messenger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in the identified second image area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ity image Displaying; And
And outputting the voic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message together with the messenger imag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2 기준은 기 설정된 형상과의 정합률이 기준값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determined second criterion includes a match rate with a predetermined shape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한 컨텐츠를 더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mprises:
And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further including content purchased by connecting to the content serv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의 수신자 또는 송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comprises:
Generating the purchase content identifier based on recipient or sender information of the conversation message; And
And providing the purchased content identifier to the user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통해 구매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 기초하여 그에 연관된 결제 정보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uthenticating the purchaser through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requesting settlement of the content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in accordance with the paym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ettlement informatio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화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는 현실 이미지 기준을 포함하는 메시지 출력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출력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 message output condition including a reality image reference in which the messenger image is displayed is set for the conversation message received and received,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message output condition through a user terminal.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제1 기준에 부합하는 제1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식별된 제1 이미지 영역의 시각적으로 상부에 메신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와 음성을 포함한 대화 메시지를 출력할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이미지에 대한 특성 정보, 상기 획득한 음성, 및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포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대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Analyzing a re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by a first user terminal to identify a first image region matching a predetermined first criterion;
Displaying a messenger image together visually above the identified first image area while displaying the obtained reality image through a display of the first user terminal;
Acquiring voic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while the messenger image is displayed;
Setting a chat message output condition for outputting a chat message including the messenger image and voice;
Gener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essenger image, the acquired voice, and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Receiving a conversation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user terminal satisfies the dialog message output condition, and output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 중에서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우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conversation message by the second user terminal comprises:
And receiving a chat message output condition from the chat message firs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cond user terminal outpu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through a display.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메시지 출력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대화 메시지 전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conversation message by the second user terminal comprises:
And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entire conversation messa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versation message output condition is satisfied.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저장매체.
17.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KR1020180095767A 2017-11-28 2018-08-16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KR201900621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11 2017-11-28
KR20170161111 201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45A true KR20190062145A (en) 2019-06-05

Family

ID=6684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67A KR20190062145A (en) 2017-11-28 2018-08-16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1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499A (en) * 2021-09-24 2023-03-31 (주)이머시브캐스트 Apparatus and method for 3d text messaging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499A (en) * 2021-09-24 2023-03-31 (주)이머시브캐스트 Apparatus and method for 3d text messaging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655B2 (en) Offline shopping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10719817B2 (en) Wearable transaction devices
US10860701B2 (en) Motion-based credentials using magnified motion
US201700532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ing, calling, digital multimedia capture and payment transactions
US10929849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3D-based identity verification of individuals with mobile devices
CN108140083A (en) Use the transaction in personal device mandate sharing means
JP2019510291A (en) A method of supporting transactions using a humanoid robot
US20130042261A1 (en) Electronic video media e-wallet application
CN107122642A (en) Identity identify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reality environment
US11087140B2 (en)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terminal device
CN111126980B (en) Virtual article sending method,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US11068968B2 (en)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 purchase facilitation
CN110800314B (en) Computer system, remote oper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1275745B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track image in customer banking website
CN1078865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icture
KR20190062145A (en)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CN117196596A (en) Digital currency-based pay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5222406A (en)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business service account and related equipment
CN114519576A (en) Resourc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010526A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in video communication
US113867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018871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AU2017101311A4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mobile device payments via unique location-defining codes
KR20240033352A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gistration, payment and ordering using face information
CN1152394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