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746A -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 Google Patents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746A
KR20190060746A KR1020190061790A KR20190061790A KR20190060746A KR 20190060746 A KR20190060746 A KR 20190060746A KR 1020190061790 A KR1020190061790 A KR 1020190061790A KR 20190061790 A KR20190061790 A KR 20190061790A KR 20190060746 A KR20190060746 A KR 2019006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track
background scree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06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0746A/en
Publication of KR2019006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unning, jogging or speed-wal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machine system. The walking machine system comprises: a main body part including a track on which a user walks and a frame on which the track is disposed;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a background image including a virtual course on which the user is walking,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track.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virtual course includes a golf course of a golf field, wherein the golf course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different hitting difficulty in golf, and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ck to vary walking difficulty on the track according to the hitting difficulty.

Description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본 발명은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킹이나 런닝을 하면서 운동 중인 사용자에게 운동의 배경이 되는 화면을 제공하고 나아가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지형의 특성에 따라 워킹머신의 운동 난이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배경화면에 나와있는 장소에서 실제로 운동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 지루하지 않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machine system for providing a background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machine system for providing a background to a user who is exercising while walking or running, To a walking machine system that provides a background image that induces a user to continue exercising without feeling bored while giving the impression that the user is actually exercising in a place appearing on the background screen.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운동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바쁜 현대인들은 부족한 운동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집안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 As human life span lengthens, people's interest in exercise is increasing to maintain their health. Busy modern people have preferred to exercise with exercise equipment in their home or health club to compensate for their lack of exercise.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워킹머신이 있다. 일반적으로 워킹머신에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트랙이 설치되어 있고, 사람들은 상기 트랙 위에서 일정시간 동안 걷거나 뛰면서 부족한 운동량을 보충하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워킹'이란 '워킹'뿐만 아니라 '런닝'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워킹머신'이란 '워킹' 뿐만아니라 '런닝'도 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 상용화되어 있는 운동기구도 '워킹머신'과 '런닝머신'을 구분하고 있지는 않으며, 동일한 운동기구에 대해 사용자가 '워킹'을 하면 그 운동기구는 '워킹머신'이 되는 것이고, '런닝'을 하면 그 운동기구는 '런닝머신'이 되는 것이다.As a typical exercise equipment, there is a walking machine. In general, walking machines are equipped with tracks that rotate in an infinite orbital manner, and people will supplement their lack of momentum while walking or running for a period of time on the track.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alking' may be used not only for 'walking' but also for 'running', and the 'running machine' may be a 'running machine' Can be used to mean " including " The exercise equipment that is actually commercialized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a 'walking machine' and a 'running machine'. When a user performs 'walking' on the same exercise equipment, the exercise equipment becomes a 'walking machine' The exercise machine will become a 'running machine'.

워킹머신에서 운동을 할 때의 운동시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어느 정도 운동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적게는 몇 십분 이상, 많으면 1, 2시간 정도 꾸준히 뛰거나 걸으면서 운동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순히 수 십분이나 수 시간을 걷거나 뛰는 것만으로는 너무 단조롭고 지루하여 꾸준히 운동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건강을 위하여 모처럼 운동을 하고자 결심하고도 금방 싫증이 나서 운동을 쉽게 포기해 버리는 사람들이 많다.Although the exercise time for a walking machine differs from one person to another, in order to achieve a certain degree of exercis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for a few minutes or more, for a long time, for 1 or 2 hours. However, simply walking or running for several hours or hours is too simple and tedious to exercise consistently. Therefore, many people decide to go to exercise for health, but soon get tired of giving up exercise easily.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워킹하면서 운동할 때, 워킹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코스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가상코스에서의 지형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워킹머신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에서 실제로 운동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 지루하지 않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ground screen including a virtual course in which a walking is performed when a user is walking while exercising, A walking machine system for providing a background screen for inducing a user to continue exercising without giving an impression of being actually exercising in a virtual course being displayed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purpose of that is to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Fur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은 본체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워킹하는 트랙 및 상기 트랙이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워킹하고 있는 가상코스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가상코스는 골프장의 골프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코스는 골프에 있어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따라 상기 트랙에서의 워킹 난이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king machine system including a body unit,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track to be walked by a user and a frame in which the track is arranged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nd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including a virtual course that the user is walking to, . Wherein the virtual course includes a golf course of a golf course, the golf course includes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difficulty levels for golf,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lking difficulty of the track And controls the operation.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 코스는 페어웨이 영역, 러프 영역, 벙커 영역 및 워터 해저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웨이 영역, 러프 영역, 벙커 영역 및 워터 해저드 영역의 순서로 상기 워킹 난이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golf course includes a fairway area, a rough area, a bunker area and a water hazard area, and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walking difficulty in the order of the fairway area, the rough area, the bunker area and the water hazard are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ck.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상기 워킹 난이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트랙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상기 워킹 난이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트랙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slope of the track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corresponds to the batting difficulty or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corresponds to the walking difficulty.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배경화면과 함께 상기 가상코스 전체를 축소하여 나타낸 미니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 mini-map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screen, in which the entire virtual course is reduced.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트랙에서 워킹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코스를 워킹하는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경화면에는, 사용자와 경쟁하면서 워킹하는 가상의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화면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워킹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 user's own character for walking the virtual course corresponding to the user walking on the track may b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Here, in the background screen, a virtual character that works while competing with the user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 of the user himself / herself. Also, the walking machine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haracter of another user walking in another walking machine system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together with the user's own character .

본 발명의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워킹하면서 운동할 때, 워킹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코스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가상코스에서의 지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워킹머신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에서 실제로 운동하고 있는 듯한 강한 인상을 주어 사용자가 지루하지 않게 꾸준히 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at provide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exercises while walking, a background screen including a virtual course in which a walking is performed is displayed on a screen to be provided to a us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user is given a strong impression that he / she is actually exercising in the virtual course being displayed,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exercise constantly without being bo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트랙의 경사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트랙의 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among main components of a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of FIG.
4A to 4D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track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of FIG.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speed of a track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components of a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트랙의 경사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트랙의 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a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4A to 4D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track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of Fig. 1, and Fig. 5A And Fig. 5B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speed of a track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워킹머신 시스템은 본체부(100), 입력부(200), 표시부(300), 제어부(C)를 포함한다. 1 and 2, the walking machine system includes a main body 100, an input unit 200, a display unit 300, and a control unit C. [

본체부(100)는 워킹머신 시스템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 2, 3, 4)과 워킹이나 런닝과 같은 실질적인 사용자의 운동이 이루어지는 트랙(5)을 포함한다. 프레임(1, 2, 3, 4)은 수평프레임(1, 2)과 수직프레임(3, 4)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1, 2)은 트랙(5)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 트랙(5)의 좌측과 우측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좌측 수평프레임(1)과 우측 수평프레임(2)으로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3, 4)은 각각 좌측 수평프레임(1)과 우측 수평프레임(2)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좌측 수직프레임(3)과 우측 수직프레임(4)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프레임(1, 2, 3, 4)의 구성 및 프레임(1, 2, 3, 4)과 트랙(5)의 배치 등은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외형적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워킹머신 시스템의 외형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조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100 includes a frame 1, 2, 3, 4 constituting a whole skeleton and a track 5 in which a substantial user's movement such as walking or running is made, . The frames 1, 2, 3, 4 include horizontal frames 1, 2 and vertical frames 3, 4. The horizontal frames 1 and 2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rack 5 and are constituted by a left horizontal frame 1 and a right horizontal frame 2 arranged to extend horizont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ck 5, do. The vertical frames 3 and 4 are constituted by a left vertical frame 3 and a right vertical frame 4 arranged so as to extend vertically at the ends of the left horizontal frame 1 and the right horizontal frame 2, respectively.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s 1, 2, 3 and 4 and the arrangement of the frames 1, 2, 3 and 4 and the track 5 are merely examples of an external structure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walking machine system may be designed variously, and any other structure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applied.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버튼,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00)는 별도의 물리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후술할 표시부(300)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운동조건을 설정하거나 또는 자신의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워킹이나 런닝을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원하는 운동시간이나 운동의 난이도 등과 같은 운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의 난이도는 트랙(5)의 이동속도나 경사도 등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자신의 체중, 성별, 나이와 같은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신체정보는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자신에게 알맞은 적정 운동량을 설정해 줄 수 있다.The input unit 200 is for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from a user, and may be an input button,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200 may 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hysical device and may be implemented on a display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touch screen manner. Through the input unit 200, the user can set a desired exercise condition or input his or her bod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exercise condition such as the desired exercise time or difficulty of the exercise before starting the walking or running through the input unit 200. Her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movement can be adjusted by the moving speed, the inclination, or the like of the track 5. Also, the user can input body information such as his body weight, sex, and age through the input unit 200, and such body informa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walking machine system can refer to the body information and set a proper exercise amount suitable for the user himself / herself.

표시부(300)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워킹을 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부(300)는 사용자에게 워킹의 진행경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플레이타임(워킹 시작 후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 워킹속력에 관한 정보로서 현재속력(현재의 워킹속력), 평균속력(플레이타임 동안의 워킹속력의 평균), 최대속력(플레이타임 동안에 기록한 속력 중 최대값), 이동거리(플레임타임 동안에 워킹을 통하여 이동한 총 거리), 소모 칼로리(워킹을 통하여 소모된 칼로리), 경사도(본체부(100) 트랙(5)이 경사져 있는 각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0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walking, the display unit 300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walking.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unit 300 displays the current speed (the current working speed), the average speed (the play time) (The maximum value of the speed recorded during the playtime), the movement distance (the total distance traveled through the flame time), the consumed calories (calories consumed through walking), the inclination The angle at which the track 100 is tilted), and the like.

한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부(300)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300)에는 워킹을 하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스스로 트랙(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용 박스(도 3a의 우측하단에 상하로 배치된 ▲과 ▼의 표시 참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0)에는 워킹을 하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스스로 트랙(5)의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일지정지 버튼용 박스(도 3a의 우측상단 참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 일시정지 버튼용 박스를 클릭한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사를 재차 확인하기 위한 확인버튼용 박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some or all of the input unit 200 may be implemented on the display unit 300 in a touch screen mann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button box (see the arrows marked with the up and down arrows at the lower right of FIG. 3A)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in real time while walking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pause button box (see the top right of FIG. 3A)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track 5 in real time while walking, In the case of clicking, an OK button box for confirming the user's intention as shown in FIG. 3B may be displayed.

위와 같이, 표시부(300)는 운동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표시부(300)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부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표시부(300)는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경화면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가 심어져 있고 나무가 자라고 있는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의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워킹머신에서 운동을 할 때의 적정 운동시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어느 정도의 운동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몇 십분 이상에서 가능한 1, 2시간 정도의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고, 상기 시간동안 단순히 운동만 하기에는 너무 지루하여 운동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배경화면을 통하여 단조로운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고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바쁜 일상 속에서 도시를 벗어나기 어려운 현대인들이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하는 이미지를 보면서 정신적으로 힐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300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tion, and the display unit 300 can be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type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0 displays a background scree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background image may be displayed with an image of natural background in which grass is planted and trees grow. Such an i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can give a positive effect to the user. For example, although a suitable exercise time when exercising in a walking machin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n order to exert a certain degree of exercise effect, a steady movement of about 1 or 2 hours is required for at least several tens of minute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boredom of the monotonous exercise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through the background screen,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through the background screen, and the modern people who are hard to escape from the city in the busy daily life, The image can be healed by looking at the image.

또한,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은 정지화면이 아니고, 사용자가 운동하면서 워킹하거나 런닝함에 따라 변동된다. 즉, 배경화면은 사용자가 워킹(또는 런닝 등)하고 있는 가상의 코스를 나타내는 가상코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트랙(5) 위에서 워킹하는 것은 상기 가상코스에서 워킹하는 것에 대응되어, 가령 사용자가 트랙(5)에서 100m를 워킹했다면 상기 배경화면에서는 가상코스에서 100m 이동했을 때의 가상코스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운동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가상코스를 워킹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보다 확실하게 주기 위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화면에는 상기 가상코스를 워킹하는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릭터는 사용자가 트랙(5) 위에서 워킹함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에서 가상코스를 따라 워킹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ackgrou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s not a still image but is changed as the user walks or runs while exercising. That is, the background screen includes a virtual course representing a virtual course that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etc.), and a user walking on the track 5 corresponds to walking in the virtual course, If the user has walked 100 meters on the screen 5, the virtual course can be displayed in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user moves 100 meters from the virtual course. In order to more reliably impression that the user is walking a virtual course, a user's own character walking on the virtual course may b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as shown in FIG. 3A. In this case, as the user walks on the track 5, the character walks along the virtual course on the background screen.

상기 가상코스나 배경화면 등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이미지나 영상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가상코스로 하여 보여주는 배경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골프코스는 골프 경기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대부분의 지역에 잔디가 깔려 있어서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프코스는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데, 여기에는 잔디만 깔려 있는 것이 아니라 골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숲이나 벙커, 언덕, 연못 같은 다양한 지형의 장애물이 배치되어 있어서 지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숲 속을 걸으면서 숲 속의 다양한 지형을 체험할 수 있는 듯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육지에 만들어지는 코스뿐만 아니라 시 사이드(sea side) 코스와 같이 해안가에 만들어지는 골프코스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골프코스 중에서 자신이 보고 싶은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There are a wide variety of images and image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virtual course, background screen, and the like. For example, a background screen showing a golf course of a golf course as a virtual course may be displayed. The golf course is designed to be a golf game, but most of the area is lawned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mage. In addition, the golf course occupies a very large area, which is not only lawned but also has a variety of terrain obstacles such as a forest, a bunker, a hill, and a pond in order to enhance the fun of golf. You can give a feeling of being able to experience various terrain in the forest while walking. In addition, not only are the courses made on land but also golf courses made on the coast, such as sea side courses, the user can choose from courses of various types of golf courses that he or she would like to see .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C)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워킹머신 시스템 내에 내장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D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본체부(100), 입력부(200) 및 표시부(300)에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C)는 본체부(100)와 관련하여 트랙(5)의 경사도나 이동속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C)는 입력부(200)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령 사용자가 입력부(200)를 통하여 트랙(5)의 경사도가 5°가 되도록 세팅하였다면, 제어부(C)는 해당 각도대로 본체부(100)의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and FIG. 2, the control unit C is embedded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database DB. The control unit C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he input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m, or controls their operat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inclina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The control unit C receive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perates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put unit 200. For example, if the user tilts the track 5 through the input unit 200 by 5 degrees The control unit C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angle.

데이터베이스(DB)에는 제어부(C)의 동작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로서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여러가지 가상코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200)를 통하여 특정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선택하였다면, 제어부(C)는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골프코스가 표시부(3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작동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워킹머신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워킹머신 시스템에 외부 저장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접속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USB와 같은 외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database DB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 and may store data on various virtual course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as one of them. Accordingly, if the user selects the golf course of a specific golf course through the input unit 200, the control unit C extracts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database DB and operates the corresponding golf cours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Here,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B) is built in the working machine syst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orking machine system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ans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like.

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C)는 표시부(3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 가상코스의 어떠한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하여, 해당하는 영역에서 워킹하거나 런닝 등을 할 때의 난이도에 대응하도록 트랙(5)에서의 난이도를 제어할 수 있다. 요컨대, 표시부(300)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에서의 난이도를 "가상 난이도"라고 하고, 트랙(5) 위에서 워킹하거나 런닝하고 있는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난이도를 "실제 난이도"라고 한다면, 제어부(C)는 가상 난이도가 증가하면 실제 난이도도 증가키고, 가상 난이도가 감소하면 실제 난이도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300)의 배경화면이 자신의 워킹동작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배경화면과 워킹동작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배경화면에 나와있는 가상코스를 실제로 걷고 있다는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게된다.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 checks which area of the virtual cours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corresponds to the difficulty in walking or running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track 5 can be controlled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difficulty. In other words, if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virtual cours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s referred to as " virtual difficulty ",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actually experienced by the user walking or running on the track 5 is " ) Increases the actual difficulty when the virtual difficulty increases, and decreases the actual difficulty when the virtual difficulty decreases. Accordingly, rather than thinking that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0 is independent of the walking motion of the user, the user thinks that the background screen and the walking motion are directly related to each other, More strongly.

예를 들면, 제어부(C)는 가상코스에서의 경사도에 대응되게 트랙(5)의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경사도가 커지면 소위 '오르막길'이 되기 때문에, 그만큼 워킹이나 런닝에 있어서 난이도가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코스에서의 경사도에 맞추어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상코스에서의 가상 난이도에 대응되게 트랙(5)에서의 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메커니즘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례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section C can be operat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in the virtual course.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ncreases, the so-called " uphill road " results in a degree of difficulty in walking or running. In this embodiment, the actual degree of difficulty in the track 5 is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irtual difficulty in the virtual cours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in the virtual course. Various mechanisms can be appli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one example of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도 4a를 참조하면, 경사도 조절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구동모터(10)의 일측은 제어부(C)에 연결되어 제어부(C)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모터(10)의 반대측은 외부면이 나선구조로 되어 있는 나선봉(11)에 연결되어 있다. 나선봉(11)은 나선봉(1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크랭크축(12)에 결합되어 있다. 크랭크축(12)의 양단에는 가이드 레일(13)이 배치되는데, 크랭크축(12)의 양단에 바퀴(14)가 장착되어 있어 이 바퀴(14)가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크랭크축(12)의 양단에는 또한 크랭크(15)가 결합되는데, 크랭크(15)는 핀과 같은 결합부재(16)를 통하여 지지틀(20)에 결합된다. 지지틀(20)에는 플레이트(21) 및 종동롤러(22)가 장착되어 있고, 지지틀(20)의 중간 부분에는 양 측면에 브라켓(30)이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트랙(5)이 배치되어 있어서 플레이트(21)는 트랙(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종동롤러(22)는 별도 구비되는 다른 롤러와 연동하여 트랙(5)이 회전하면서 무한궤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Referring to FIG. 4A, a drive motor 10 is provided to provide power for tilt adjustment. One side of the driving motor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so as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 motor 10 is connected to a spiral bar 11 having a spiral outer surface. The sprocket 11 is coupled to a crankshaft 12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procket 11. A guide rail 1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rankshaft 12 so that the wheels 14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crankshaft 12 so that the wheels 14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s 13 do. Both ends of the crankshaft 12 are also coupled with a crank 15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via a coupling member 16 such as a pin. A plate 21 and a driven roller 22 ar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and brackets 3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 track 5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1 so that the plate 21 serves to support the track 5 and the driven roller 22 interlocks with another roller provided separately, It can be moved to an infinite orbit while rotating.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동작시에는 구동모터(10)가 구동하여 나선봉(11)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10)는 나선봉(11)이 정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역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4c는 나선봉(11)이 정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나선봉(11)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바퀴(14)가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크랭크(15)가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틀(20)이 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트랙(5)의 경사도가 증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4B and 4C, in operation, the drive motor 10 is driven to rotate the spindle 11. The drive motor 10 can cause the spindle 11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whereas Fig. 4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pindle 11 is operated to rotate forward. Thus, as the length of the spindle 11 is increased, the wheel 14 moves rightward along the guide rail 13, and the crank 15 is raised. As a result, the support frame 20 is inclined upward and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increased.

도 4d를 참조하면, 구동모터(10)는 나선봉(11)이 역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선봉(11)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바퀴(14)가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크랭크(15)가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틀(20)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트랙(5)의 경사도가 감소하게 된다. 도 4b 및 도 4d를 비교하여 참조하면, 경사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트랙(5)이 수평면보다 아래로 경사지는 "하방향 경사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방향 경사상태"는 가상코스가 소위 내리막길로 되어 있는 경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the drive motor 10 is operable to rotate the spindle 11 in the reverse direction. Thus, as the length of the spindle 11 is reduced, the wheel 14 moves to the left along the guide rail 13, and the crank 15 descends. As a result, the support frame 20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reduced. 4B and 4D, a "downward inclined state" in which the track 5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ne can be formed when the inclination is reduced. Such a " downward inclination state "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virtual course is a so-called downhill route.

위와 같이, 제어부(C)는 구동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하여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C)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경사도에 맞추어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의 경사도에 맞추어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트랙(5)의 경사도는 안전상의 문제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상방향의 경사도는 0 ~ 12°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 ~ 6°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의 경사도에 맞추어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우,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트랙(5)에서 허용가능한 경사도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가령 가상코스에서 현재 사용자고 지나고 있는 영역에서의 경사도가 20°이고, 안전상의 문제로 트랙(5)의 상방향 경사도를 0 ~ 12°의 범위에서만 조절되게 한 경우, 트랙(5)의 경사도를 가상코스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맞출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가상코스의 경사도와 트랙(5)의 경사도를 동일하게 대응(가상코스의 경사도 = 트랙의 경사도)시키기보다는, 일정범위에서 서로 매칭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0 ~ 2°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0°로 매칭시키고,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2 ~ 4°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1°로 매칭시키며,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4 ~ 6°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2°로 매칭시키고,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6 ~ 8°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3°로 매칭시키며,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8 ~ 10°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4°로 매칭시키고,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10 ~ 12°일 때는 트랙(5)의 경사도를 5°로 매칭시키며, 가상코스의 경사도가 12°를 넘어가면 트랙(5)의 경사도를 6°로 매칭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0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 The control unit C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0 or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virtual cours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 Can be adjusted. However,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needs to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or safety reasons. For example, the upward slope is preferably adjusted in the range of 0 to 12 degrees,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6 degrees.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virtual cours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the inclination of the virtual course may deviate from the allowable inclination range of the track 5. [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0 to 12 degrees due to a safety problem, and the inclination of the current user in the virtual course is 20 degrees, The inclination of the virtual course can not be equalized. In order to cope with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matching the inclination of the virtual course and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n the same range, rather than matching them equally (inclination of virtual course = inclination of track). 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0 to 2 degrees,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track 5 is matched to 0 degree, and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2 to 4 degrees,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track 5 is matched to 2 DEG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4 to 6 DEG and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track 5 is equal to 3 DEG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6 to 8 DEG,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track 5 is matched to 4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8 to 1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track 5 is equal to 5 when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virtual course is 10 to 12 degrees,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may be matched to 6 degrees.

위와 같이, 제어부(C)는 가상코스의 워킹 난이도(가상 난이도)에 실제 난이도가 대응하도록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가상코스의 워킹 난이도에 대응되게 트랙(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는 경사도만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경사도뿐만 아니라 가상코스에서의 지형에 따라 해당 지형의 속성에 대응되게 트랙(5)의 이동속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트랙(5)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메커니즘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례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so that the actual difficulty corresponds to the walking difficulty (virtual difficulty) of the virtual course. However, the control unit C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ck 5 in correspondence with the walking difficulty of the virtual course It is not possible to use only the grade.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attribute of the terrain according to the terrain in the virtual course as well as the gradient. Various mechanisms can be applied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one example of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를 참조하면, 트랙(5)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런닝모터(4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런닝모터(40)의 일측은 제어부(C)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런닝모터(40)는 제어부(C)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런닝모터(40)는 지지틀(20)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그 단부에 제1 풀리(4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풀리(41)는 벨트(42)를 통하여 제2 풀리(4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풀리(43)는 주동롤러(5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런닝모터(40)가 동작하는 경우에 런닝모터(40)로부터의 동력이 제1 풀리(41), 벨트(42), 제2 풀리(43)를 거쳐서 주동롤러(50)에 전달되어, 주동롤러(50)가 회전하게 된다. 주동롤러(50)는 별도 구비되는 다른 롤러와 연동하여 트랙(5)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작동한다. 이와 같이 트랙(5)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은 런닝모터(40)이기 때문에, 트랙(5)이 이동하는 속도는 런닝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부(C)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a running motor 40 is provided to provide power for moving the track 5. One side of the running motor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so that the running motor 4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running motor 40 is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20 and a first pulley 41 is coupled to the end thereof. The first pulley 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43 via a belt 42 and the second pulley 4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roller 50. [ Therefore, when the running motor 40 is operated, the power from the running motor 40 is transmitted to the main roller 50 via the first pulley 41, the belt 42 and the second pulley 43, The roller 50 is rotated. The main roller 50 operates so as to be able to move while the track 5 rotates in cooperation with another roller provided separately. Since the driving source for moving the track 5 is the running motor 40 in this way, the speed at which the track 5 moves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 section C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unning motor 40. [

도 5b를 참조하면, 동작시 주동롤러(50)는 런닝모터(40)에 의하여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1) 상의 트랙(5)은 제1 속도(V1)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는 트랙(5)에서 제2 방향(D2)을 향하여 제2 속도(V2)로 워킹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제2 방향(D2)과 주동롤러(50)가 회전하는 제1 방향(D1)이 서로 반대이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워킹하는 제2 속도(V2)와 트랙(5)이 이동하는 제1 속도(V1)도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이 경우, 제2 속도(V2)가 제1 속도(V1)보다 작으면, 사용자는 트랙(5)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고 제1 방향(D1)으로 밀려서 트랙(5)에서 이탈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속도(V1)에 상응하도록 제2 속도(V2)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1 속도(V1)가 크면 클수록 사용자는 더 빠른 제2 속도(V2)를 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속도(V1)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의 워킹에 있어서 난이도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제1 속도(V1)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속도(V1)에 맞추기가 어려워 트랙(5)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속도(V1)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어쨌든 일정한 상한을 둔 상태에서 제1 속도(V1)를 조절하면 사용자의 워킹에 있어서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5B, in operation, the main roller 5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running motor 40, so that the track 5 on the plate 21 is rotated at the first speed V1 Move. The user also walks in the second direction D2 from the track 5 at the second speed V2. Here, the second direction (D2) in which the user moves and the first direction (D1) in which the main roller 50 rotat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speed (V2) The first speed V1 is also opposite to the first speed V1. In this case, if the second speed V2 is less than the first speed V1, the user can not follow the movement of the track 5 but can be push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depart from the track 5 .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e the motion, the user needs to maintain the second speed V2 to correspond to the first speed V1. The greater the first speed V1 is, the more the user needs to pay the second speed V2. Therefore, the greater the first speed V1, the more difficult the user is in walking. However, if the first speed V1 is excessively larg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speed V1 to the first speed V1, so that the balance may not be maintained in the track 5, There is a certain limit in increasing V1. In any case, if the first speed V1 is adjusted with a certain upper limit,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user's walking can be adjusted.

제어부(C)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난이도에 맞추어 트랙(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코스에 있어서의 워킹 난이도(가상 난이도)에 트랙(5)에서의 워킹 난이도(실제 난이도)가 대응할 수 있게 트랙(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코스에 있어서의 워킹 난이도는 여러가지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코스에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형의 속성에 따라 워킹 난이도(가상 난이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앞에서 가상코스 및 배경화면의 일례로서,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가상코스로 하여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골프장의 골프코스에는 다양한 속성의 지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골프의 타격 난이도를 기준으로 보면,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 등의 지형이 있다. 상기 골프코스에 있어서 여러가지 지형들의 타격 난이도는 대략적으로 워킹에 있어서의 워킹 난이도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골프코스에서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지역인데, 이와 같이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는 타격하기 어려워서 타격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잔디의 길이가 길다면 그만큼 걷거나 뛰는 데에도 잔디의 길이가 짧은 것에 비하여 불리하므로, 러프는 페어웨이보다 워킹 난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골프코스에서 벙커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을 나타내는데, 모래가 있는 지역을 걷거나 뛰는 것이 잔디보다는 힘들기 때문에, 벙커는 러프보다 워킹 난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못이나 호수 등과 같이 물이 모여있는 워터 해저드 지역을 걷거나 뛰는 것은 모래가 있는 지역보다 더 힘들기 때문에, 워터 해저드는 벙커보다 워킹 난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 can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according to the difficulty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0 or can adjust the walking difficulty (virtual difficulty) in the virtual cours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actual difficulty) in the track 5 can correspond to the walking difficulty. Here, the walking difficulty in the virtual cours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parameters. For example, the walking difficulty (virtual difficult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terrain in which the current user is located in the virtual course. As an example of a virtual course and a background screen, it is said that a background screen can be displayed by using a golf course of a golf course as a virtual course. However, various types of properties exist in a golf course of a golf course. For example, based on golf hardness, golf courses have terrains such as fairways, roughs, bunkers, and water hazards. It can be seen that the batting difficulty of various terrains in the golf course roughly corresponds to the walking difficulty in walking. In other words, the roughness of the golf course is longer than that of the fairway. In this case, the roughness of the grass is difficult to hit than the fairway having a short grass.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lawn is long, the roughness of the rough is higher than that of the fairway because the length of the lawn is disadvantageous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lawn even when walking or running. Also, in the golf course, bunkers represent areas of mainly sand. Walking or running in sand is harder than grass, so bunkers are more difficult to work than rough. Likewise, water hazards are more difficult to walk than bunkers, because walking or running water hazards, such as ponds and lakes, are more difficult than sandy areas.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골프코스를 가상코스로서 하여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가상코스의 영역이 페어웨이인지, 러프인지, 벙커인지 또는 워터 해저드인지를 체크하여, 페어웨이, 러프, 벙커 및 워터 해저드의 순서로 트랙(5)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하면, 가상코스의 워킹 난이도에 대응하도록 트랙(5)에 있어서의 실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above points, when displaying a background screen by using a golf course as a virtual course, it is checked whether the area of the virtual course is a fairway, a rough, a bunker or a water hazard, and a fairway, a rough, a bunker, If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is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hazards, the actual difficulty in the track 5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working difficulty of the virtual course.

이상, 가상 난이도에 따라 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가상코스에서의 경사도(가상 난이도)에 따라 트랙(5)에서의 경사도(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실시예와, 도 5a 및 도 5b에서는 페어웨이, 러프 등과 같은 가상코스에서의 지형의 속성(가상 난이도)에 따라 트랙(5)에서의 이동속도(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여기서 설명한 것은 가상 난이도에 맞추어 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 설명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제 난이도를 반드시 트랙(5)의 경사도나 이동속도로 조절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예를 변형하거나 조합하여, 가상코스에서의 경사도에 따라 트랙(5)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거나, 잔디, 모래, 물 등과 같은 가상코스에서의 지형의 속성에 따라 트랙(5)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실제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트랙(5)의 경사도와 이동속도의 2가지를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of adjusting the actual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virtual difficulty level, there are shown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clination degree (actual difficulty level) in the track 5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degree (virtual difficulty level) in the virtual course in Figs. 4A to 4C, 5A and 5B,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moving speed (actual difficulty level) in the track 5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virtual difficulty) of the terrain in virtual courses such as fairways and roughs. However, the description herein is merely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the actual difficulty according to the virtual difficult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actual difficulty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djusted to the inclination or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and other methods can be applied.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or combine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in the virtual course or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track 5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terrain in the virtual course such as grass, In order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or to adjust the actual difficulty level,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and the moving speed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제어부(C)에서 가상코스의 지형을 체크하여 트랙(5)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은, 일례로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의 알고리즘이 응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공이 현재 놓여져 있는 곳이 어떠한 영역인지를 체크한 후, 사용자가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상태 파라미터(속도, 스핀 등)를 감안하여 스크린에서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의 다음 궤적을 산출하는데, 이때에 타격전 가상의 골프공이 스크린에서 어떠한 지역(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에 있었는지를 반영하여 상기 궤적을 산출한다.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공이 현재 놓여져 있는 곳이 어떠한 영역인지를 체크하는 것은, 표시부(300)에서 사용자가 가상코스 중 어떠한 영역을 지나고 있는가를 체크하는 것에 대응하고,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 영역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것은, 가상코스에서 현재 사용자가 지나고 있는 영역의 난이도를 반영하여 실제 트랙(5)에서의 실제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이 대응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C)에서의 제어동작 알고리즘은 일례로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의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rack 5 by checking the topography of the virtual course in the control unit C, an algorithm in the screen golf system can be applied. In the screen golf system, it is checked whether a virtual golf ball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 what area, and then, when the user hits the actual golf ball, state parameters (speed, spin, etc.) The trajectory of the imaginary golf ball moving on the screen is calculated. At this time, the trajectory is calculated by reflecting how the virtual golf ball is located on the screen (fairway, rough, bunker, etc.) before the impact. Checking which area the virtual golf ball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s currently located corresponds to checking which area of the virtual course the user is passing through on the display unit 300. In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placed, The calculation of the actual trajectory of the hit golf ball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adjusting the actual difficulty level in the actual track 5 by reflect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area where the current user is passing in the virtual course, The control operation algorithm in (C)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an algorithm in a screen golf system as an example.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는 감지부와 음성 처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는 사용자가 트랙(5) 위에서 워킹하거나 런닝하는 모습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 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가 운동하는 모습을 표시부(300)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음성 처리부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운동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코스에 대해서 음성으로 설명하거나, 가상코스에서 경사도가 바뀌게 되어 트랙(5)의 경사도도 바뀌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트랙(5)의 경사도가 변경되니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를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and a voice processing unit. The sensing unit is for sensing a user walking or running on the track 5, and a camera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th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display the same to the user. The voice processing unit can be used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by voice or to reproduce various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exercise. For example, if the virtual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s explained by voice, or if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changes due to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in the virtual course, the user should be advised "Please not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5 is changed. &Quot; can be give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워킹머신 시스템은 본체부(100), 입력부(200),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서는 표시부(300)가 본체부(100)에 부착되지 않고 워킹머신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 입력부(200), 표시부(300)는 서로 인접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본체부(100), 입력부(200), 표시부(300)를 어떻게 배치할지 또는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킬지 일부를 분리시킬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alking machine system includes a main body 100, an input unit 200, and a display unit 300.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display unit 300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place where the walking machine system is installe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 The main body 100, the input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are not necessarily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ain body 100, the input unit 200, Or whether or not to unite them or separate them.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골프코스를 가상코스로 하는 배경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배경화면에서 보여지는 가상코스는 골프코스뿐만 아니라 다른 코스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코스로서 등산코스가 적용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코스로서 마라톤 코스가 적용될 수 있다. 등산코스는 주로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워킹을 하기 위한 사용자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마라톤 코스는 주로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런닝을 하기 위한 사용자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in which a golf course is a virtual course. However, a virtual course shown in the background image may be applied to a golf course as well as other courses. For example, a climbing course may be applied as a virtual course as shown in Fig. 7A, and a marathon course may be applied as a virtual course as shown in Fig. 7B. The climbing course can be used mainly for a user to walk in a walking machine system, and a marathon course can be mainly used for a user to run in a walking machine system.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경화면에는 가상코스 전체를 축소하여 나타낸 미니맵(M)이 제공된다. 또한 미니맵(M)에는 전체 가상코스에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알려주는 '사용자 표시(도 7a 및 도 7b의 'user'라고 표시된 부분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표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전체 코스 중에서 현재까지 어느 정도의 워킹 또는 런닝을 하였는지, 앞으로 어느 정도의 추가 워킹 또는 런닝이 필요한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ini-map M in which the entire virtual course is reduced. Also, the mini-map M may be provided with a 'user display' (see 'user' portion in FIGS. 7A and 7B) for notifying the point where the current user is located in the entire virtual course. Through such 'user display',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how much walking or running has been performed in the entire course so far and how much additional walking or running is required in the futur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배경화면에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UC; User Character)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경쟁하면서 워킹하거나 런닝하는 가상의 캐릭터(VC; Virtual Character)가 디스플레이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사용자 캐릭터(UC)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가상코스를 이동하는 반면, 가상의 캐릭터(VC)는 제어부(C)에서 설정한 대로 가상코스를 이동한다. 예를 들면, 가상의 캐릭터(VC)는 일정한 속도로 가상코스를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경화면에서 사용자 캐릭터(UC)와 가상의 캐릭터(VC)의 위치를 비교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캐릭터(VC)가 앞서 있는 경우에는, 가상의 캐릭터(VC)를 추월하고 싶은 경쟁심이 생겨서 보다 빠른 속도로 워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가상의 캐릭터(VC)의 이동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최대속도, 중간속도, 최소속도가 어느 정도의 사이클을 갖고 반복되면서 속도가 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in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user's own character (UC) but also walking or runnin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virtual character (VC) is displayed. The user character UC moves the virtual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ovement while the virtual character VC moves the virtual course as set by the control unit C. [ For example, the virtual character VC can be set to move the virtual course at a constant speed. The user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user character UC with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haracter VC on the background screen and if the virtual character VC precedes the virtual character VC as shown in FIG. 8, There is a competition that you want to do, so you can work faster and you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your workout. The moving speed of the virtual character VC may be configured to be constantly maintained or the speed may fluctuate while the maximum speed, the intermediate speed, and the minimum speed are repeated with a certain cycle.

가상의 캐릭터(VC)가 이동하는 속도는 사용자 스스로 입력부(200)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km/h 정도의 속도로 워킹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면, 상기 목표속도와 동일(1km/h)하거나 유사한 속도(예컨대, 0.9km/h 또는 1.1km/h)의 가상의 캐릭터(VC)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의 캐릭터(VC)와 경쟁하면서 목표속도를 달성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The speed at which the virtual character (VC) moves can be set by the user himself / herself through the input unit (200). For example, if the user has a goal of walking at a speed of about 1 km / h, it is possible to set a virtual speed of the same (1 km / h) or similar speed (for example, 0.9 km / h or 1.1 km / It is possible to attempt to achieve the target speed while competing with the virtual character VC after generating the character VC.

한편, 가상의 캐릭터(VC)가 이동하는 속도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대신에, 제어부(C)가 사용자의 건강상태 등을 감안하여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자신의 체중, 성별, 나이 등과 같은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C)는 이러한 정보를 감안하여 적정한 속도의 가상의 캐릭터(VC)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분석했을 때, 사용자가 특정 성별과 나이에 있어서의 평균보다 체중이 많아서 움직임이 신속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평균적이 사람의 평균속도에 비해서 다소 낮게 가상의 캐릭터(VC)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user's inputting the speed at which the virtual character VC moves, the control unit C can appropriately set the moving speed of the virtual character VC in consideration of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The user can input body information such as his / her body weight, sex, and age through the input unit 200, and the controller C can generate a virtual character VC having an appropriate speed in consideration of such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nalyzing the current user's body information, i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not moving quickly due to the weight being higher than the average in a certain sex and age, the average is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speed of the person You can set the speed of the character (VC).

도 8에는 가상의 캐릭터(VC)가 단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가상의 캐릭터(VC)는 복수이더라도 좋다. 가상의 캐릭터(VC)가 복수인 경우, 이들의 이동속도를 각각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복수의 가상의 캐릭터(VC)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배경화면에 미니맵이 제공되고 미니맵에서 사용자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의 캐릭터(VC)의 위치까지 표시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virtual character VC is shown as a single figure in Fig. 8, a plurality of virtual characters VC may be us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irtual characters (VCs), their moving speeds can b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mini map is provided on the background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aracters (VC) It is preferable to display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map but als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aracters (VC).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킹머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components of a walk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머신 시스템이 복수라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1 워킹머신 시스템(S1)과 제2 워킹머신 시스템(S2)이 구비되고 이들이 서로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워킹머신 시스템(S1, S2)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워킹머신 시스템(S1, S2)이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양 워킹머신 시스템(S1, S2)의 표시부(300)에서는 동일한 배경화면 및 동일한 가상코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코스에는 사용자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제1 워킹머신 시스템(S1)의 사용자와 제2 워킹머신 시스템(S2)의 사용자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 워킹머신 시스템(S1, S2)의 사용자는 상대방과 자신의 위치를 표시부(300)를 통하여 확인하고 서로 앞서가기 위해서 경쟁하게 된다. 사용자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실제로 표시부(300)에서 각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은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워킹머신 시스템(S1)의 사용자(제1 사용자)가 제2 워킹머신 시스템(S2)의 사용자(제2 사용자)보다 가상코스에서 앞서가고 있는 경우, 제1 워킹머신 시스템(S1)의 표시부(300)에서는 제1 사용자의 캐릭터만 디스플레이 되고, 제2 워킹머신 시스템(S2)의 표시부(300)에서는 제2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앞에 있는 제1 사용자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보다 크게 앞서고 있는 경우, 제1 워킹머신 시스템(S1)의 표시부(300)에서는 제1 사용자의 캐릭터만 디스플레이되고, 제2 워킹머신 시스템(S2)의 표시부(300)에서는 제2 사용자의 캐릭터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working machine systems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at is, the first working machine system S1 and the second working machine system S2 are provided and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machine systems S1 and S2 is not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in Fig. In this way, when the first and second walking machine systems S1 and S2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ame background screen and the same virtual cours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of both walking machine systems S1 and S2 . Also, in the virtual course, a user character may be displayed so that a user of the first working machine system S1 and a user of the second working machine system S2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is case, the user of both walking machine systems S1 and S2 competes with each other to confirm their position with the display unit 300 and to advance to each other. In displaying the user character, the screen displayed to each user in the display unit 300 may differ from user to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first user) of the first walking machine system S1 is ahead of the user (second user) of the second walking machine system S2 on a virtual course, the first walking machine system The character of the first user in front of the second user and the second user can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300 of the second walking machine system S2 have. Only the character of the first user is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300 of the first walking machine system S1 and the display unit 300 of the second walking machine system S2 is displayed only when the first user is significantly ahead of the second user. Only the character of the second user can be displayed.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미니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니맵에 제1 및 제2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면, 제1 및 제2 사용자는 미니맵을 통하여 자신과 상대방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mini-map can also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are displayed in the mini-map, the first and second users can easily confirm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through the mini-map.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2, 3, 4: 프레임
5: 트랙
100: 본체부
200: 입력부
300: 표시부
C: 제어부
DB: 데이터베이스
1, 2, 3, 4: frame
5: Track
100:
200: Input unit
300:
C:
DB: Database

Claims (8)

사용자가 워킹하는 트랙 및 상기 트랙이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부;
사용자가 워킹하고 있는 가상코스를 포함하는 배경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코스는 골프장의 골프 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코스는 골프에 있어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따라 상기 트랙에서의 워킹 난이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track on which the user works and a frame on which the track is arrange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d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including a virtual course that the user is walking to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track;
≪ / RTI &
Wherein the virtual course includes a golf course of a golf course, the golf course includes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difficulty levels for golf,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lking difficulty of the track To control the motion
Walking machine system that provides wall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코스는 페어웨이 영역, 러프 영역, 벙커 영역 및 워터 해저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웨이 영역, 러프 영역, 벙커 영역 및 워터 해저드 영역의 순서로 상기 워킹 난이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트랙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olf course includes a fairway area, a rough area, a bunker area, and a water hazard area,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ck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fairway area, the rough area, the bunker area, and the water hazar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상기 워킹 난이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트랙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corresponds to the walking difficul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난이도에 상기 워킹 난이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트랙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for adjusting a moving speed of the track so that the walking difficulty corresponds to the batting difficult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배경화면과 함께 상기 가상코스 전체를 축소하여 나타낸 미니맵이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 background screen on which a mini-map is displayed in which the entire virtual course is reduced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scree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트랙에서 워킹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코스를 워킹하는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ackground screen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in which a user's own character walking in the virtual course corresponding to the user walking on the track is display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에는, 사용자와 경쟁하면서 워킹하는 가상의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ackground screen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in which a virtual character walking while competing with a user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 of the user himself / hersel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머신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화면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워킹머신 시스템에서 워킹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워킹머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orking machin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background screen provides a background screen in which a character of another user who is walking in another walking machine system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 of the user himself / herself.
KR1020190061790A 2019-05-27 2019-05-27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KR201900607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790A KR20190060746A (en) 2019-05-27 2019-05-27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790A KR20190060746A (en) 2019-05-27 2019-05-27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323A Division KR20190034828A (en) 2017-09-25 2017-09-25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746A true KR20190060746A (en) 2019-06-03

Family

ID=6684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790A KR20190060746A (en) 2019-05-27 2019-05-27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07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57A (en)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에스지엠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real images of green ar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57A (en)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에스지엠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real images of green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48593B (en) For analyzing the system of golf data
CN103596625B (en) Store and analyze the system and method for golf data
US902836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8251874B2 (en) Exercise system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US5462503A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Pelz Dave Pelz's putting bible: the complete guide to mastering the green
US6902513B1 (en) Interactive fitness equipment
EP223318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9039576B2 (en)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KR101780743B1 (en) System For Supporting Cycling in Virtual Simulation Environment
US11465031B2 (en) Ambulation simulation systems, terrain simulation systems, treadmill syste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ods How I play golf
KR20190060746A (en)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KR20190034828A (en) Walking machine system providing backgroud image
WO2009112817A2 (en) Interactive exercising system
US20210106867A1 (en) Stationary recumbent bike that articulates
KR20160114299A (en) Golf training aid with laser diode
Uschan Golf
KR102301954B1 (en) Indoor Rock Climbing Simulator With Variable Climbing Angle and Climbing Speed
KR102086985B1 (en) Walking machine system showing user's motion
KR20090116371A (en) Regular golfcourse by screen curtain
Bradley The Golf Book: The Players• The Gear• The Strokes• The Courses• The Championships
Utley et al. The art of the short game: tour-tested secrets for getting up and down
Higdon Hal Higdon's Smart Running: Expert Advice On Training, Motivation, Injury Prevention, Nutrition And Good Health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LPGA's Guide to Every Sh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