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07A -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Google Patents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07A
KR20190058907A KR1020170156317A KR20170156317A KR20190058907A KR 20190058907 A KR20190058907 A KR 20190058907A KR 1020170156317 A KR1020170156317 A KR 1020170156317A KR 20170156317 A KR20170156317 A KR 20170156317A KR 20190058907 A KR20190058907 A KR 2019005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witching unit
unit
volta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5390B1 (en
Inventor
김태훈
장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90B1/en
Publication of KR2019005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02J7/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which comprises a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ing power between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The controlling method detects drive information of a vehicle, individually detects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cquires a power consumption amount of a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drive information whe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a voltage value detected from a first detection unit and a voltage value detected from a second detection unit is within a standard range, and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a bypass mode in order to maintain the voltage of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when the acquired power consumption amount is less than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mount.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ier, a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본 발명은 각종 장치에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able power to various devices,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위를 이동하는 기계이다.A vehicle is a machine that drives wheels to move on the road.

이러한 차량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시동을 제어하며, 시동이 완료되면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배터리의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Such a vehicle controls the start-up using a battery, and when the start-up is complete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general engine vehicle) that generates mechanical power by burning petroleum fuel such as gasoline and light oil, And eco-friendly vehicles that run on batteries powered by electricity to reduce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한다.Here, the eco-friendly vehicle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that includes a battery and a motor, which are a rechargeable power source, and that drives the electric wheel motor by rotating the electric motor accumulated in the battery and driving the wheel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 hybrid vehicle that controls power and electric power of the motor, and a hydrogen fuel cell vehicle.

이와 같이 차량은 시동을 위한 배터리, 또는 시동과 주행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에도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ncludes a battery for starting or a battery for supplying starting and driving power, and the battery also supplies power for driving to various device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일 측면은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이면 전력 변환부의 바이패스 모드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ypass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whe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batteries is within a reference range,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다른 측면은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면 전력 변환부의 바이패스 모드를 제어하는 전력 공급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pow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a bypass mode of a power conversion section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s less than a reference consumption, a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 측면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 제2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전류의 전압을 강압, 승압 또는 유지시키는 전력 변환부; 및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a first battery;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steps down, boosts, or holds the voltage of the current of either the first battery or the second batter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so that the voltage of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maintained 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As shown in Fig.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supply device check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f the determ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controlled in the bypass mode so that the voltage of the current of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한다.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Controls the part in buck mode.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한다.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Control in boost mode.

전력 공급 장치의 전력 변환부는, 제1배터리에 연결된 제1스위칭부와, 제1스위칭부에 연결된 인덕터와, 제1스위칭부와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칭부와, 인덕터와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와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4스위칭부를 포함한다.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n inductor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nd the ground, A thir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battery a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nd the ground.

전력 공급 장치의 전력 변환부는, 바이패스 모드 시 제1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와 제4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킨다.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turns o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ypass mode, and turns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부는,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제3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제2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전력 공급 장치의 제어부는, 제2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제1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제4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 제2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주행 정보 검출부;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전류의 전압을 강압, 승압 또는 유지시키는 전력 변환부; 및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first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first load; A second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load; A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raveling information;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steps down, boosts, or holds the voltage of the current of either the first battery or the second battery;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controlled in the bypass mode so that the voltage of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maintained when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 제2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고,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wherein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at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the voltag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section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ng section If th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controlled to the bypass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한다.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battery for charging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And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the buck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And controlling the converting unit to the boost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력 변환부는, 제1배터리에 연결된 제1스위칭부와, 제1스위칭부에 연결된 인덕터와, 제1스위칭부와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칭부와, 인덕터와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와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4스위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conversion unit of a vehicle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a first battery, an inductor connected to a first switching unit,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 thir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second battery, a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nd the ground.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력 변환부는, 바이패스 모드 시 제1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와 제4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ypass mode, and turning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제3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제2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ontrol por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includes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third switching portion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portion in the boost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제3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의 펄스 폭 변 조 제어 시, 듀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 제어한다.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controls the duty to be increased by a constant dut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any one of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제2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제1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제4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includes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제1스위칭부 및 제4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의 펄스 폭 변 조 제어 시, 듀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controlling the duty to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any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정보 검출부는,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와,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por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ed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a steering angle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pressure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 pedal.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사이의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고, 제1, 2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고,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검출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including a pow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power between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unit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ng un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is acquired based on the detected running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be in the bypass mode so that the voltage of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maintained if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고,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wherein a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wo batteries is out of a reference range, and a voltage value of on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ess than a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controlled to be in the buck mode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controlled to be in the boost mode if the voltage value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서 전력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인덕터의 양단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부의 턴 온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력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인덕터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력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인덕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the bypass mod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controlling the turn-on of the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to both ends of the inductor,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the buck mode includes connecting the inductor in series And perform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the boost mode includes perform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ground.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확인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확인하고, 차량의 제동력이 기준 제동력 이상인지 확인하고, 차량의 흔들림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Obtain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is performed by confirming whether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confirming wheth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checking whether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braking force , And checking whether the shake level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본 발명은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거나, 두 배터리의 간의 전압의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일 때 전력 변환부의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두 배터리 중 전압이 더 높은 쪽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or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s of the two batteries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bypass mode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is performed to stabilize the battery have.

본 발명은 바이패스 모드를 통해 전력 변환부를 100% 도통시켜 전력 변환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력 변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loss caused by power conversion by conduct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100% through the bypass mod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두 배터리의 전압 차에 의한 스위칭 소자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간의 전류 교환에 의해 배터리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tching element from being burned out due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and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from being reduced due to current exchange between the batteries.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복수개의 장치(즉,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복수 개의 장치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apparatuses (i.e., loads) provided in a vehicle, thereby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of a plurality of apparatus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 변환부와 이를 가지는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신뢰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mmerciality of a power conversion unit and a vehicle hav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further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to improve user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vehicle, .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공급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력 공급부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1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벅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1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바이패스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1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벅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1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1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도 11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2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벅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2배터리 충전 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body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uilt-in vehicle body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version unit provided in a power supply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buck mode and the bypass mode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when the first battery is charg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circuit control diagram of a bypass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when charging a first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ircuit control diagram of a buck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when charging a first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boost mode and the bypass mode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when charging the first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ost mode circuit control of a power conversion unit when charging a first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circuit control diagram of a buck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when charging a second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2 is a circuit control diagram of a boost mode of a power conversion section when charging a second battery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internal view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차량(100)은 외장(110)과 내장(12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 140)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chassis having an exterior 110 and an interior 120 and a chassis 140 on which a mechanical device necessary for traveling to the rest except for the vehicle body is installed.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및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6)를 포함한다. 1, the exterior 11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ront panel 111, a bonnet 112, a roof panel 113, a rear panel 114,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115, And a window glass 116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on the window glass 115.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랑(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117)를 포함한다.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iller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window glasses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a side mirror providing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a lamp 117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a signal and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차체의 외장은 다른 차량과의 통신(V2V) 및 인프라와의 통신(V2I) 등의 무선 차량 네트워크(V2X: Vehicle to everything)를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118)을 포함한다.The enclosure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n antenna 118 for performing a wireless vehicle network (V2X: Vehicle to everything) such as communication (V2V) with other vehicles and communication (V2I) with the infrastructure.

여기서 안테나(118)는 차량의 루프 패널(113)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안테나(118)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antenna 118 may be provided on the roof panel 113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ntenna 118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indow glass of the vehic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125)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시동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126)를 포함한다.2, the interior body 12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seat 121 on which an occupant sits, a dashboard 122, and a tachometer 120. The tachometer 120 includes a tachometer, a speedometer, a coolant thermometer, a fuel meter, (I.e., cluster 123) in which a door open warning lamp, an engine oil warning lamp, a fuel oil warning lamp, and a fuel shortage warning lamp are arranged, an air conditioner blower A head unit 125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124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audio equipment and the air conditioner and a head unit 125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124, And a start unit 126 that receives an OFF command.

차량(100)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25)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shift lever which is provided on the center pacea 124 and receives an operation position and a parking button which is located around the shift lever or the head unit 125 and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of an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EPB button).

차랑(10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27 for receiving operation commands of various functions.

입력부(127)는 헤드 유닛(125) 및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7 may be provided in the head unit 125 and the center pacea 124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hysical button such as an operation on-off button for various functions, a button for changing setting values of various functions can do.

입력부(1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nput unit 127 may further include a jog dial (not shown) or a touch pad (not shown) for inputting a cursor movement command and a selection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130.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jog dial or the touch pad may be provided in a center fascia or the like.

차랑(100)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되고,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28 provided in the head unit 125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functions performed in the vehicle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차량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130 for user's convenience.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30 may be embedded on the dashboard or embedded.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중 수행하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interface 130 may display audio functions, a video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 broadcast function (DMB function), information on functions performed in the radio function, and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차량의 차대(140)는 차체(110, 120)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141)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구동력을 조절하며 조절된 구동력을 전후좌우의 차륜(141)에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141)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vehicle chassis 140 is a frame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ies 110 and 120. The vehicle chassis 140 includes front and rear wheels 141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driving forces required for driving the vehicl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for applying a braking force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wheels 141, and a suspension device may be provided.

차량(100)은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14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4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steering wheel 142 of a steering devic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ravel, a brake pedal 143 that is press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braking will of the user, An accelerator pedal 144, and the like.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The vehicle further includes various safety devices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Examples of the stabilizing device of the vehicle include an airbag control device for the purpose of safety of a passenger such as a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various types of safety devices such as an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There are devices.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는 주행 속도,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제동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고, 요레이트 및 횡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와 주행 상황에 기초하여 차체 자세를 획득하며, 획득된 차체 자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차륜의 제동력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자세가 안정화되도록 한다.The vehicle posture stability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running cond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unning speed,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braking force, acquires the vehicle posture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and the running condition detected by the yaw rate and lateral acceleration sensor, The posture of the vehicle is stabilized by adjusting the braking forces of the plurality of wheels based on the posture of the vehicle.

차량은 사용자의 편의, 안전 및 기능 향상을 위한 능동 조향 장치(AFS: Active Front Steering),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후륜 조향 장치(RWS: Rear Wheel Streeing), 및 차량 선회 쏠림 방지 장치(ARS: Active Roll Stabiliz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includes an active front steering (AFS), a 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a rear wheel steering (RWS), and a vehicle turning steering And Active Roll Stabilization (AR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알터네이터(즉 발전기, 150), 시동모터(160), 주행 정보 검출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81) 및 전력 공급 장치(200)를 포함한다. 3, the vehicle includes an alternator (i.e., a generator 150), a starter motor 160, a travel information detector 170, a controller 180, a storage 181, and a power supply 200 do.

알터네이터(150)는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엔진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하고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된 전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The alternator 150 is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when the vehicle starts running, generates electric power using the driving force, and charges at least one battery by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시동 모터(16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며, 구동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엔진에 전달함으로써 엔진이 시동되도록 한다.The starter motor 160 is powered by at least one battery and is driven by supplied power,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to the engine, thereby starting the engine.

주행 정보 검출부(17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한다.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170 detects the travel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주행 정보 검출부(17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하기 위한 조향각 검출부와,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170 may include a speed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 steering angle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a pressure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 pedal.

속도 검출부는 차량의 복수개의 차륜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 개의 차륜의 휠 속도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휠 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peed detecting sec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 speed sensors respectively provided on a plurality of wheels of the vehicle to detect wheel speeds of a plurality of wheels, and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ccel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속도 검출부는 복수 개의 휠 속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peed detection unit may include both a plurality of wheel speed sensors and acceleration sensors.

조향각 검출부는 스티어링 휠의 각속도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angl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n angular velocity sensor for detect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teering wheel.

주행 정보 검출부는 차량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진동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haking of the vehicle.

제어부(180)는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조향각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를 인식하며,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동력을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onfirms th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ng unit, recogniz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detecting unit, and,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ng unit The braking force can be recognized.

제어부(180)는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80)는 노면의 정보로부터 차량의 흔들림 레벨을 예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also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posture stability control apparatus.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80 can predict the vehicle shake level from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 제동력 및 흔들림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내의 각종 전자 장치(즉 부하)에소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판단함으로써 차량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고전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btains a power consumption amount consum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e., loads) in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the braking force and the shake level,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power consumed in the vehicle is high power.

제어부(180)는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전력 변환부(250)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고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력 변환부(250)를 부스트 모드 또는 벅 모드로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to be in the bypass mode. If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amoun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Control in buck mode.

제어부(180)는 제1검출부(23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배터리의 전압값을 확인하고, 제2검출부(24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2배터리의 전압값을 확인하며, 확인된 제1배터리의 전압값과 제2배터리의 전압값의 차이값을 획득하며, 획득된 차이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면 전력 변환부(250)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고, 획득된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난 값이면 전력 변환부(250)를 부스트 모드 또는 벅 모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80 checks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detects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And acquire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If th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is controlled to the bypass mode, And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250 to the boost mode or the buck mode if the obtained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제어부(180)는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고, 제1, 2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면 전력 변환부(250)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250 to the bypass mode if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제어부(180)는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거나, 제1, 2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면 전력 변환부(250)를 부스트 모드 또는 벅 모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to be in the boost mode or the buck mode if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or if the difference value of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제어부(180)는 제1배터리에 연결된 제1부하(L1)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제1부하의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제1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고, 제2배터리에 연결된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제2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180 predic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load L1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loa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L2 is predicted and the second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제어부(180)는 제1배터리의 충전 제어 시, 제1배터리의 전압이 제2배터리 전압보다 낮으면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고, 제1배터리의 전압이 제2배터리 전압보다 높으면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한다.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is lower than the second battery volta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to operate in the buck mode.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is higher than the second battery volta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Control in boost mode.

제어부(180)는 제2배터리의 충전 제어 시, 제2배터리의 전압이 제1배터리 전압보다 낮으면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고, 제2배터리의 전압이 제1배터리 전압보다 높으면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한다.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first battery volta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to the buck mode.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first battery volta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converter Control in boost mode.

제어부(180)는 전력 변환부(250)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 시,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에 마련된 제1스위칭부와 제2스위칭부의 온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N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provided in the converting unit of the power converting unit when the power converting unit 250 is controlled in the bypass mode.

제어부(180)는 제1, 2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 변환부(250)를 부스트 모드 또는 벅 모드로 제어 시, 전력 변환부(250)의 변환부에 마련된 제1스위칭부, 제2스위칭부, 제3스위칭부 및 제4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의 펄스 폭 변조(PWM)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to be in a boost mode or a buck mode in order to charg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 The second switching unit,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시, 듀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소프트 스타트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초기 부스트 동작 시 스위칭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performs soft start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uty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of any one of the switching units. This prevents breakage of the switching part during the initial boost operation.

제어부(180)의 제어명령에 의한 전력 변환부의 제어 동작을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rol operation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by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80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80)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고,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값과 전압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며, 배터리의 전류값, 전압값, 온도값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80 can recognize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value of the battery and recognize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value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based on the value, the voltage value, and the temperature value.

즉 제어부(180)는 제1, 2 검출부에서 검출된 배터리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인식하고 제1, 2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알터네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ontrol unit 180 can recognize the charg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ased on the battery sen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ng units,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ternator based on the charg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Do.

제어부(180)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includes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data for a program reproducing an algorithm 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and a processor (not shown) for performing the above- Not shown). At this tim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on a single chip.

제어부(180)는 전력 공급 장치(200)에 마련된 제어부일 수도 있다. 이때 전력 공급 장치에 마련된 제어부는 주행 정보 검출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주행 정보 검출부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80 may be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apparatus 2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apparatus can communicate with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and receive the traveling information from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또한 전력 공급 장치에 마련된 제어부는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CU)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주행 정보 검출부(170)에서 검출된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vehicle and receives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170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저장부(181)는 기준 범위, 제1기준값, 제2기준값 및 기준 소모량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81 stores a reference range, a first reference value,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기준 범위는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erence range may include values betwe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여기서 제1설정값은 제1기준값보다 큰 값이고, 제2설정값은 제2기준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may be a value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제1기준값은 음의 값일 수 있고, 제2기준값은 양의 값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a negativ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a positive value.

저장부(181)는 배터리의 전류값, 전압값 및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81 may store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 voltage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of the battery as a table.

저장부(181)는 제어부(18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81 may be a memory implemented in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18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저장부(18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torage unit 181 may b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cache, a read 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OM (P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Random Access Memory),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and a CD-RO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력 공급 장치(200)는 차량(100)에 마련된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능동 조향 장치(AFS: Active Front Steering),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후륜 조향 장치(RWS: Rear Wheel Streeing), 및 차량 선회 쏠림 방지 장치(ARS: Active Roll Stabilization), 및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전자 장치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부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200 may include a terminal provided in the vehicle 100, an audio apparatus, an indoor unit, a starting motor, an active front steering (AFS), a 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RWS), and Active Roll Stabilization (A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o supply drive power to each electronic device. Such a power supply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공급부의 회로 구성도이다.4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장치(200)는 제1, 2 배터리(210, 220), 제1검출부(230), 제2검출부(240) 및 전력 변환부(250)를 포함한다.4, the power supply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batteries 210 and 220, a first detection unit 230, a second detection unit 240, and a power conversion unit 250.

제1, 2 배터리(210, 22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다.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210 and 220 are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batteries.

제1 배터리(210)는 시동 모터(160)에 전력을 공급하고, 알터네이터(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2배터리(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battery 210 may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starter motor 160 and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alternator 150 to charge the battery. It is also possible.

제1 배터리(210)는 알터네이터(150) 및 시동모터(160)에 연결될 수 있고, 그 외 차량에 마련된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과 같은 차량의 기본적인 부하(L1)에 연결되고 연결된 각 부하(L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battery 210 may be connected to the alternator 150 and the starter motor 160 and may be connected to a basic load L1 of the vehicle such as a terminal, ). ≪ / RTI >

제1배터리(210)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시동 온/오프와 관계없이 각종 전자 장치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battery 210 can supply current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gardless of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n or off so that basic operatio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are performed.

예를 들어, 각종 전자 장치들 중 블랙 박스 또는 후방 감시 카메라와 같은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주차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 제1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For example, amo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devices such as a black box or a rear surveillance camera are powered from the first battery to continuously photograph the surroundings even in a parked state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ff.

제2배터리(220)는 제1 배터리(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배터리(220)는 알터네이터(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battery 220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210 and performs charging. The second battery 22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alternator 150 to charge the battery.

제2배터리(220)는 능동 조향 장치(AFS: Active Front Steering),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후륜 조향 장치(RWS: Rear Wheel Streeing), 및 차량 선회 쏠림 방지 장치(ARS: Active Roll Stabilization)와 같이 고 전력을 요구하는 부하(L2)에 연결되고 연결된 각 부하(L2)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second battery 220 may include an active front steering (AFS), a 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a rear wheel steering (RWS), and a vehicle anti- Active Roll Stabilization) and supplies power to each load (L2) connected thereto.

이러한 제1 배터리와 제2배터리는 전력 변환부(250)에 의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by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아울러 전력 공급 장치(200)는 전력 분배 장치(PD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전력 분배 장치(PDU)는 스위치(SW)와 결합된 스위치 전력 분배 장치(switched PDU)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2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distribution unit (PDU). This power distribution unit (PDU) may be a switched power distribution unit (PDU) coupled with a switch SW.

스위치 전력 분배 장치는 일반적인 PDU 혹은 멀티 탭 서지오 등과 같은 전력을 공급하는 주요 역할 이외에 전력 품질 및 사용량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switch power distribution device can perform power quality and power control in addition to its main role in supplying power such as general PDU or multi-tap surge.

제1검출부(230)는 제1배터리(210)의 배터리 센서이고, 제2검출부(240)는 제2배터리(220)의 배터리 센서이다.The first detection unit 230 is a battery sensor of the first battery 2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is a battery sensor of the second battery 220.

배터리 센서는 배터리의 전압값, 전류값 및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The battery sensor detects at least one of a voltage value, a current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of the battery.

제1검출부(230)는 제1배터리의 전압값을 검출하는 제1전압 검출부를 포함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230 includes a first voltag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제1검출부(230)는 제1배터리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1전류 검출부 및 제1배터리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제1온도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first battery and a first temperat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battery.

제2검출부(240)는 제2배터리의 전압값을 검출하는 제2전압 검출부를 포함한다.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includes a second voltag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제2검출부(240)는 제2배터리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2전류 검출부 및 제2배터리의 온도값을 검출하는 제2온도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or 24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second battery and a second temperature detect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제1, 2 검출부(230, 240)는 검출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수신된 각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배터리의 전압값 및 제2배터리의 전압값을 인식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230 and 240 can transmit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80.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can recognize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based on the received electric signals.

전력 변환부(250)는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사이의 회로 상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제1, 2 필터(F1, F2)와, 저항(R )과, 적어도 하나의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ilters F1 and F2 for removing noise on a circui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 resistor R, and at least one conversion unit .

즉 전력 변환부는 하나의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power conversion unit may include one conversion unit.

또한 전력 변환부(250)는 전압의 승압 및 강압의 효율 향상을 위해 복수 개의 변환부(P1, P2, P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 개의 변환부(P1, P2, P3)의 내부 회로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하나의 변환부(P1)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Also, the power conversion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version units P1, P2, and P3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tep-up and step-down of voltage. Here,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rsion units P1, P2, and P3 are the same. Therefore, only one conversion unit P1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P1)는 제1스위칭부(T1), 제2스위칭부(T2), 제3스위칭부(T3), 제4스위칭부(T4)를 포함하고, 인덕터(L)를 포함한다.5, the converting unit P1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T1, a second switching unit T2, a third switching unit T3, and a fourth switching unit T4, (L).

제1스위칭부(T1), 제2스위칭부(T2), 제3스위칭부(T3), 제4스위칭부(T4)는 n채널의 모스펫(MOSFET)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모스펫을 예를 들었지만, 모스펫 이외의 모든 스위칭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T1,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he third switching unit T3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include n-channel MOSFETs. Although a MOSFET is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all the switching elements other than the MOSFET can be used.

이러한 제1스위칭부(T1), 제2스위칭부(T2), 제3스위칭부(T3), 제4스위칭부(T4)의 모스펫에는 각각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의 회로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Diodes are connected to the MOSFET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he third switching unit T3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These circuit connections will be described.

제1스위칭부(T1)인 제1모스펫은 드레인단이 제1필터(F1)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인덕터(L)의 제1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MOSFET, which is the first switching unit T1,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F1 and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inductor L.

제2스위칭부(T2)인 제2모스펫은 드레인단이 제1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고 동시에 인덕터(L)의 제1단에 연결되며, 소스단이 접지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The second MOSFET, which is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inductor L, and the source terminal is grounded.

제3스위칭부(T3)인 제3모스펫은 드레인단이 제2필터(F2)에 연결되고, 소스단이 인턱터의 제2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third MOSFET, which is the third switching unit T3,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F2 and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inductor.

제4스위칭부(T4)인 제4모스펫은 드레인단이 제3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고 동시에 인덕터(L)의 제2단에 연결되며, 소스단이 접지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fourth MOSFET, which is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MOSFET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inductor L, and the source terminal is grounded.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는 인덕터의 양단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may b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inductor.

제2스위칭부(T2)와 제4스위칭부(T4)는 인덕터의 양단에 연결되되 인덕터와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ductor, and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ground.

제1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이 제1모스펫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이 제1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The first diode D1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and the an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MOSFET.

제2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이 제2모스펫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이 제2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second diode D2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MOSFET and the an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second MOSFET.

제3다이오드(D3)는 캐소드 단이 제3모스펫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이 제3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The third diode D3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third MOSFET and the an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rd MOSFET.

제4다이오드(D4)는 캐소드 단이 제4모스펫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애노드 단이 제4모스펫의 소스단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fourth diode D4 ha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of the fourth MOSFET and the an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ourth MOSFET.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의 제어 순서도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boost mode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바이패스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벅 모드의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7 is a circuit control example of a bypass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ample of circuit control of a buck mode of a power conversion uni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2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를 충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An example of charging the first battery using the second battery will be described.

차량은 제1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제1부하의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제1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 The vehicle predic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load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load.

차량은 제1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제1검출부(230)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검출하고, 제2검출부(240)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검출한다.The vehicle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using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using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 Of the second voltage value.

차량은 제1검출부(230)를 통해 검출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확인하고, 제2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확인(301)하며, 확인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에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차감하여 두 배터리 사이의 전압 차이값을 획득(302)한다.The vehicle check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detecte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301), subtracting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from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identified first battery (210) to obtai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302).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판단(303)하고,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304)한다. 이를 통해 제1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303), and performs the bypas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304). Thereby allowing the first battery to be charged.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는 것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a value betwe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T2)와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bypass mode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of the converting unit and turning on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3, (T4).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100% 도통시켜 전력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도통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변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n 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re 100% conducted to minimize the conduction loss caused by the power conversion,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좀 더 구체적으로,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가 큰 상태에서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를 바이패스(Bypass)시키게 되면, 전압이 높은 제1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체 전원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고, 두 배터리 간의 화학적 특성 차이에 의해 배터리 간 전류 교환이 발생하여 배터리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스위칭부를 장기간 턴 온하게 되면 전압 차에 의한 스위치 소자(즉, 모스펫)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f th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with a high voltage is lowered by bypassing 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with a larg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the overall power stability of the vehicle may be impaired 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switch element (i.e., MOSFET) due to the voltage difference may be damaged. Lt; / RTI >

따라서 본 실시 예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가 작은 상태, 즉 기준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를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bypass the converter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small, tha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지 판단(305)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305).

여기서 제1기준값은 제1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음수의 값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may be a negative value.

제1기준값이 음수라는 것은, 제1배터리의 전압값이 제2배터리의 전압값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first reference value is negative, which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차량 내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306)하고, 확인된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판단(307)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vehicle checks (306)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second load (L2) in the vehicle, and i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identified second load (L2) (307).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제1배터리의 전압값이 제2배터리의 전압값보다 작긴 하지만 일정 값 이상 작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determination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but not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차량 내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는 것은, 주행 정보 검출부의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조향각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를 인식하며,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동력을 인식하고,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흔들림 레벨을 인식하고, 주행 속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 제동력 및 흔들림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차량의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hecking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L2 in the vehicle is performed by confirming th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ng section of the running information detecting section and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detecting section Recognizes the braking forc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ng unit, recognizes the level of the vehicle shak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posture stability control apparatus, and determines the running spe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And check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hake levels.

차량은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식된 제동력이 기준 제동력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식된 흔들림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unning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otat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ecognized braking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braking force and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ecognized vibration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차량은 위 조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네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vehic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at least two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차량은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304)한다. 여기서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모드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When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the bypass mode is performed (304). Here, the bypass mode is the same as the bypass mod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차량은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벅 모드를 수행(308)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the vehicle performs the buck mode (308).

또한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벅 모드를 수행(308)한다.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vehicle performs the buck mode (308).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벅 모드(즉, 강압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를 턴 온시키고, 제3스위칭부(T3)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하고, 제2스위칭부(T2)를 턴 오프시키며,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8, performing the buck mode (i.e., the step-down mode)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of the converting unit and turning o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Turns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urns of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제3스위칭부(T3)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시, 점차적으로 듀티비를 증가시킴으로서 소프트 스타트를 수행한다.Whe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s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PWM), soft start is per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uty ratio.

즉 제3스위칭부(T3)의 듀티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시킨다.That is, the duty ratio of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regular time intervals.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3스위칭부(T3)의 온 타임 시 제2배터리(220)에서 제3스위칭부(T3), 제3스위칭부(T3)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1스위칭부(T1), 제1스위칭부(T1)에서 제1배터리(210)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third switching unit T3 from the second battery 220 to the inductor L and the inductor L from the third switching unit T3 at the ON time of the third switching unit T3, So that current flows from the first switching unit T 1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T 1 toward the first battery 210.

여기서 제1스위칭부(T1)의 n채널의 모스펫은 소스단이 +전압, 드레인단이 ?? 전압이면 게이트의 신호와 무관하게 소스단에서 드레인단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제1스위칭부(T1)는 턴 온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Here, the MOSFET of the n-channe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has a source terminal of + voltage, Current flows from the source terminal to the drain terminal regardless of the signal of the gate. Therefore, the first switching unit T1 can be turned on or off.

아울러, 제1스위칭부(T1)가 n채널의 모스펫과 다른 스위칭 소자일 경우, 인덕터(L1)에서 제1다이오드(D1)를 통해 제1배터리(21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is a switch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MOSFET of the n-channel, current may flow from the inductor L1 to the first battery 210 through the first diode D1.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3스위칭부(T3)의 오프 타임 시 제4다이오드 (D4)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1배터리(210)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auses the current to flow from the inductor L and the inductor L to the first battery 210 in the fourth diode D4 in the off time of the third switching unit T3.

여기서 제1스위칭부(T1)의 n채널의 모스펫은 소스단이+전압, 드레인단 ??전압이면 게이트의 신호와 무관하게 소스단에서 드레인단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제1스위칭부(T1)는 턴 온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Here, the MOSFET of the n-channe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flows a current from the source terminal to the drain terminal irrespective of the signal of the gate when the source terminal is the + voltage and the drain terminal voltage. Therefore, the first switching unit T1 can be turned on or off.

아울러, 제1스위칭부(T1)가 n채널의 모스펫과 다른 스위칭 소자일 경우, 인덕터(L1)에서 제1다이오드(D1)를 통해 제1배터리(21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is a switch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MOSFET of the n-channel, current may flow from the inductor L1 to the first battery 210 through the first diode D1.

이때 인덕터는 제3스위칭부의 온 타임과 오프 타임 사이에 전류의 흐름의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제3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에 대응하는 전류만을 제1배터리에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nductor does not change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of the third switching unit, only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third switching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battery.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를 도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9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boost mode of the power convert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10. Fig.

여기서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전력 변환부의 부스트 모드 회로 제어 예시도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boost mode circuit control of a power conversion uni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은 제2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제1검출부(230)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검출하고, 제2검출부(240)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검출한다.The vehicle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using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while charging the first battery using the second battery 230 and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10 using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220).

차량은 제1검출부(230)를 통해 검출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확인하고, 제2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확인(311)하며, 확인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에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차감하여 두 배터리 사이의 전압 차이값을 획득(312)한다.The vehicle check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detecte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312), and subtracts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from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to obtai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312).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판단(313)하고,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314)한다.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313), and performs the bypas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314).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는 것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a value betwe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T2)와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bypass mode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of the converting unit and turning on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3, (T4).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100% 도통시켜 전력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도통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변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n 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re 100% conducted, thereby minimizing the conduction loss caused by the power conversion,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The explanation of the above is omitted.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판단(315)한다. The vehicle determines (315)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여기서 제2기준값은 제2설정값보다 큰 값으로, 양수의 값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value larg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may be a positive value.

제2기준값이 양수라는 것은, 제1배터리의 전압값이 제2배터리의 전압값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A positive second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차량 내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316)하고, 확인된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판단(317)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vehicle checks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second load in the vehicle (316),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identified second load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317).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미만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제1배터리의 전압값이 제2배터리의 전압값보다 작긴 하지만 일정 값 이상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determination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but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차량 내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는 것은, 주행 정보 검출부의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조향각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를 인식하며,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동력을 인식하고,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흔들림 레벨을 인식하고, 주행 속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 제동력 및 흔들림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차량의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hecking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L2 in the vehicle is performed by confirming th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ng section of the running information detecting section and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detecting section Recognizes the braking forc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ng unit, recognizes the level of the vehicle shak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posture stability control apparatus, and determines the running spe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And check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hake levels.

차량은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식된 제동력이 기준 제동력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식된 흔들림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unning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otat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ecognized braking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braking force and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f the recognized vibration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차량은 위 조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네 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부하가 기준 전력 소모량 이상을 소비한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vehic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at least two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load consume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차량은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314)한다. 여기서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모드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If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L2)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the vehicle performs the bypass mode (314). Here, the bypass mode is the same as the bypass mod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차량은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부스트 모드를 수행(318)한다.The vehicle performs the boost mode (318) if it determines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L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또한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부스트 모드를 수행(318)한다.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vehicle performs the boost mode (31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부스트 모드(즉, 승압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를 턴 오프시키고, 제2스위칭부(T2)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하며,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10, performing the boost mode (i.e., the boosting mode)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using the second battery may include turning of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of the conversion unit, Controls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of the switching part T2, turns on the third switching part T3, and turns off the fourth switching part T4.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2스위칭부(T2)의 온 타임 시 제2배터리(220)에서 제3스위칭부(T3), 제3스위칭부(T3)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2스위칭부(T2), 제2스위칭부(T2)에서 접지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from the second battery 220 to the third switching unit T3, the third switching unit T3 to the inductor L, and the inductor L So that current flows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oward the ground.

제2스위칭부(T2)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시, 점차적으로 듀티비를 증가시킴으로서 소프트 스타트를 수행한다.Dur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he soft-start is per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uty ratio.

즉 2스위칭부(T2)의 듀티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시킨다.That is,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switching part T2 is increased by a constant duty at regular time intervals.

제2스위칭부(T2)의 온 타임 시, 제2배터리의 전류가 인덕터를 통해 흐르면서 인덕터에 에너지를 저장시킨다. 이때 인덕터는 자기장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During the on tim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he current of the second battery flows through the inductor and stores energy in the inductor. The inductor stores energy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2스위칭부(T2)의 오프 타임 시 턴 온된 제3스위칭부(T3)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1다이오드(D1)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ting unit of the power converting unit causes the current to flow from the inductor L and the inductor L to the first diode D1 i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turned on in the off tim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

즉 전력 변환부는 제2스위칭부(T2)의 오프 타임 시, 인덕터(L)에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방출된 에너지는 제2스위칭부의 온 타임 시 흐르던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는 기전력으로 나타난다. That is, the power converting unit releases the energy stored in the inductor L at the time of off tim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t this time, the emitted energy is represented by an electromotive forc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n tim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즉 기전력은 제2스위칭부의 온 타임 시에 흐르던 전류를 계속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때 생기는 전압을 역기전력이라고 하며, 이 역기전력에 의해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압된 전압은 제1다이오드(D1)에서 정류된 후 제1배터리(210)에 인가된다. 이를 통해 제2배터리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to keep the current flowing during the on-tim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The voltage generated at this time is called a back electromotive force, and the voltage can be boosted by this back electromotive force. The boosted voltage is rectified by the first diode D1 and then applied to the first battery 210. [ Thus, the first battery can be charged using the second battery.

전력 변환부의 벅 모스와 부스트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제1부하에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칭부의 스위칭 소자의 도통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constant voltage can be maintained in the first load by performing the buck mos and the boost mode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conduction loss of the switching unit of the switching unit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1배터리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를 충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11 and 12, an example of charging the second battery using the first battery will be described.

차량은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제2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 The vehicle predic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차량은 제2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제1검출부(230)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검출하고, 제2검출부(240)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검출한다.The vehicle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using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detects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using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 Of the second voltage value.

차량은 제1검출부(230)를 통해 검출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확인하고, 제2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확인하며,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에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에서 차감하여 두 배터리 사이의 전압 차이값을 획득한다.The vehicle check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detecte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And subtra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from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to obtai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제2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and performs the bypas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reby charging the second battery.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는 것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a value betwe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T2)와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bypass mode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of the converting unit and turning on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3, (T4).

즉 차량은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가 작은 상태, 즉 기준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를 바이패스(Bypass)시킨다.That is, the vehicle bypasses the converting unit of the power convert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small, tha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여기서 제1기준값은 제1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음수의 값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may be a negative value.

제1기준값이 음수라는 것은, 제2배터리의 전압값이 제1배터리의 전압값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If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negative, it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차량 내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2부하(L2)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판단한다.The vehicle check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L2) in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dentified second load (L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제2배터리의 전압값이 제1배터리의 전압값보다 작긴 하지만 일정 값 이상 작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determination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but not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차량은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모드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The vehicle performs the bypas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Here, the bypass mode is the same as the bypass mod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차량은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벅 모드를 수행한다.The vehicle performs the buck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또한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벅 모드를 수행한다.Also, the vehicle performs the buck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터리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벅 모드(즉, 강압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하고, 제2스위칭부(T2)를 턴 오프시키며,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11, performing the buck mode (i.e., the step-down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using the first battery is performed by perform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of the conversion unit, , Turning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turning o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and turning of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제1스위칭부(T1)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시, 점차적으로 듀티비를 증가시킴으로서 소프트 스타트를 수행한다.Dur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soft-start is per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uty ratio.

즉 제1스위칭부(T1)의 듀티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시킨다.That is, the duty ratio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regular time intervals.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1스위칭부(T1)의 온 타임 시 제1배터리(210)에서 제1스위칭부(T1), 제1스위칭부(T1)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3스위칭부(T3), 제3스위칭부(T3)에서 제2배터리(220)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T 1 in the first battery 210, an inductor L in the first switching unit T 1, an inductor L in the first battery 210, The third switching unit T3,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to flow the current toward the second battery 220. [

아울러, 제3스위칭부(T3)가 n채널의 모스펫과 다른 스위칭 소자일 경우, 인덕터(L1)에서 제3다이오드(D3)를 통해 제2배터리(22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Whe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s a switch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MOSFET of the n-channel, current may flow from the inductor L1 to the second battery 220 through the third diode D3.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1스위칭부(T1)의 오프 타임 시 제2다이오드 (D2)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2배터리(220)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auses the current to flow from the inductor L to the second battery 220 in the second diode D2 and the inductor L in the off tim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1.

아울러, 제3스위칭부(T3)가 n채널의 모스펫과 다른 스위칭 소자일 경우, 인덕터(L1)에서 제3다이오드(D3)를 통해 제2배터리(22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When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s a switch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MOSFET of the n-channel, current may flow from the inductor L1 to the second battery 220 through the third diode D3.

이때 인덕터는 제1스위칭부의 온 타임과 오프 타임 사이에 전류의 흐름의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제1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에 대응하는 전류만을 제2배터리에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nductor does not change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only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battery.

차량은 제2배터리 충전 중 제1검출부(230)를 이용하여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검출하고, 제2검출부(240)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검출한다.The vehicle dete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by using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during charging the second battery and detects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using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 Value.

차량은 제1검출부(230)를 통해 검출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의 확인하고, 제2검출부(240)를 통해 검출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을 확인하며, 확인된 제2배터리(220)의 제2전압값에서 제1배터리(210)의 제1전압값을 차감하여 두 배터리 사이의 전압 차이값을 획득한다.The vehicle check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230 and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220 detecte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unit 240 And subtracts the first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210 from the second voltage value of the verified second battery 220 to obtain a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한다.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and performs the bypas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여기서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는 것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a value betwe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T2)와 제4스위칭부(T4)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bypass mode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of the converting unit and turning on the second switching unit T2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3, (T4).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와 제3스위칭부(T3)를 100% 도통시켜 전력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도통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변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3 in 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re 100% conducted to minimize the conduction loss caused by the power conversion,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여기서 제2기준값은 제2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양수의 값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value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may be a positive value.

제2기준값이 양수라는 것은, 제1배터리의 전압값이 제2배터리의 전압값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A positive second reference value mean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attery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battery.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차량 내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인지 판단한다.The vehicle check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in the vehicle when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차량은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소모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부스트 모드를 수행한다.The vehicle performs the boos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sumption amount.

또한 차량은 획득된 전압 차이 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부스트 모드를 수행한다.The vehicle performs the boos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터리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부스트 모드(즉, 승압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변환부의 제1스위칭부(T1)를 턴 온시키고, 제2스위칭부(T2)를 턴 오프시키며, 제3스위칭부(T3)를 턴 오프시키고, 제4스위칭부(T4)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12, performing the boost mode (i.e., the boosting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using the first battery may include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of the conversion unit, Turning off the switching part T2, turning off the third switching part T3,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of the fourth switching part T4.

제4스위칭부(T4)를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시, 점차적으로 듀티비를 증가시킴으로서 소프트 스타트를 수행한다.Dur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soft start is per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uty ratio.

즉 제4스위칭부(T4)의 듀티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시킨다.That is, the duty ratio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regular time intervals.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4스위칭부(T4)의 온 타임 시 제1배터리(210)에서 제1스위칭부(T1), 제1스위칭부(T1)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4스위칭부(T4), 제4스위칭부(T4)에서 접지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first switching unit Tl in the first battery 210, the inductor L in the first switching unit Tl, and the inductor L in the first battery 210 during the on-time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so that current flows toward the ground.

전력 변환부의 변환부는, 제4스위칭부(T4)의 오프 타임 시 1배터리(210)에서 제1스위칭부(T1), 제1스위칭부(T1)에서 인덕터(L), 인덕터(L)에서 제3다이오드(D3)를 향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first switching unit T1 in the first battery 210, the inductor L in the first switching unit T1, and the inductor L in the inductor L during the off time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3 Let the current flow toward the diode D3.

제4스위칭부(T4)의 온 타임 시, 제1배터리의 전류가 인덕터를 통해 흐르면서 인덕터에 에너지를 저장시킨다. 이때 인덕터는 자기장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During the on-time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the current of the first battery flows through the inductor and stores energy in the inductor. The inductor stores energy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즉 전력 변환부는 제4스위칭부(T4)의 오프 타임 시, 인덕터(L)에 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방출된 에너지는 제4스위칭부의 온 타임 시 흐르던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는 기전력으로 나타난다. That is, the power conversion unit releases the energy stored in the inductor L at the time of the off-time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4. At this time, the emitted energy appears as an electromotive forc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switching unit on-time.

즉 기전력은 제4스위칭부의 온 타임 시에 흐르던 전류를 계속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때 생기는 전압을 역기전력이라고 하며, 이 역기전력에 의해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압된 전압은 제3다이오드(D3)에서 정류된 후 제2배터리(220)에 인가된다. 이를 통해 제1배터리를 이용하여 제2배터리의 충전 전압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that keeps the current flowing during the on-time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The voltage generated at this time is called a back electromotive force, and the voltage can be boosted by this back electromotive force. The boosted voltage is rectified by the third diode D3 and then applied to the second battery 220. [ Thus, the first battery can be charged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본 실시 예는 제2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클 때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여 제1부하의 전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the voltage drop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load is large, thereby securing the power stability of the first load.

100: 차량 200: 전력 공급부
210: 제1배터리220: 제2배터리
230: 제1검출부240: 제2검출부
250: 전력 변환부
100: vehicle 200: power supply
210: first battery 220: second battery
230: first detection unit 240: second detection unit
250: power conversion section

Claims (23)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
제2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전류의 전압을 강압, 승압 또는 유지시키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상기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steps down, maintains or maintains a voltage of a current of either the first battery or the second battery; And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unit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ng un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voltage of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maintain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in the bypass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a power consumption amount of a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if the determined power consumption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the bypass mode so that the voltage is maintain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Wherein the power supply comprises a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제1배터리에 연결된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칭부에 연결된 인덕터와, 상기 제1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와 상기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칭부와, 상기 제3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4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n inductor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a contact betwee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nd a ground, and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seco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witch and the inductor, a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모드 시 상기 제1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2스위칭부와 제4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And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ypass mode, and turning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상기 제3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상기 제2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상기 제1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상기 제4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제1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
제2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주행 정보 검출부;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전류의 전압을 강압, 승압 또는 유지시키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A first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first load;
A second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load;
A traveling inform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raveling information;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steps down, maintains or maintains a voltage of a current of either the first battery or the second battery;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acquires a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second load based on the travel information, and when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mount,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 a bypass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제2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고, 상기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상기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the power conversion mode when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nd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Pass mo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And controlling the vehic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 / RTI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제1배터리에 연결된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칭부에 연결된 인덕터와, 상기 제1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와 상기 제2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칭부와, 상기 제3스위칭부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4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차량.
10.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n inductor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a contact betwee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and a ground, and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seco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witch and the inductor, and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induct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모드 시 상기 제1스위칭부와 제3스위칭부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2스위칭부와 제4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And turning on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ypass mode, and turning of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상기 제3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상기 제2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third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스위칭부 및 상기 제2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의 펄스 폭 변 조 제어 시, 듀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The apparatus of claim 15,
And controlling the duty to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any one of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perform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벅 모드 시 상기 제1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고, 부스트 모드 시 상기 제4스위칭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n the buck mode for charging the second battery an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fourth switching unit in the boost mo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제4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의 펄스 폭 변 조 제어 시, 듀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정 듀티씩 증가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8. The apparatus of claim 17,
And controlling the duty to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uty cycl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either the first switching unit or the fourth switch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 검출부는,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와, 브레이크 페달에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0.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9,
A steering angle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pressure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brake pedal.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 사이의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2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과 상기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검출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 소모량 미만이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의 사이의 전류의 전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including a power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power between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Detecting trav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cting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respectively,
If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ng unit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ng un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is acquired based on the detected running information ,
And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be in a bypass mode so that the voltage of the current betwe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maintained when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제 20 항에 있어서,
두 배터리의 전압 차이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낮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 중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이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n the voltage difference value of the two batteries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Control,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ter to the boost mode if the voltage value of any one of the batteries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other battery.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를 바이패스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인덕터의 양단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부의 턴 온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를 벅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상기 인덕터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를 부스트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상기 인덕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의 펄스폭 변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the bypass mode includes controlling the turn-on of the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to both ends of the inductor,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in a buck mode includes performing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a switching unit seri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the boost mode includes performing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of a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 and the groun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제동력이 기준 제동력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흔들림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obtaining power consumption of a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spe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braking force,
And confirming whether the shake level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KR1020170156317A 2017-11-22 2017-11-22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485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17A KR102485390B1 (en) 2017-11-22 2017-11-22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17A KR102485390B1 (en) 2017-11-22 2017-11-22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07A true KR20190058907A (en) 2019-05-30
KR102485390B1 KR102485390B1 (en) 2023-01-05

Family

ID=6667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17A KR102485390B1 (en) 2017-11-22 2017-11-22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39B1 (en) 2019-10-10 2021-04-14 주식회사 에스제이솔루션 Efficient Voltage Control System For USB Related Multiport Terminal
GB2619797A (en) * 2022-04-27 2023-12-20 Rolls Royce Corp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CN117394520A (en) * 2023-12-11 2024-01-12 深圳市创诺新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multifunctional energy storage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656A (en) * 2014-01-06 2015-07-15 정현호 Solar cell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8841A (en) * 2015-06-17 201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converter of eco-friendly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656A (en) * 2014-01-06 2015-07-15 정현호 Solar cell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8841A (en) * 2015-06-17 201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converter of eco-friendly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39B1 (en) 2019-10-10 2021-04-14 주식회사 에스제이솔루션 Efficient Voltage Control System For USB Related Multiport Terminal
GB2619797A (en) * 2022-04-27 2023-12-20 Rolls Royce Corp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US11851198B2 (en) 2022-04-27 2023-12-26 Rolls-Royce Singapore Pte. Ltd. Electrically propelled aircraft with partially rated converter
CN117394520A (en) * 2023-12-11 2024-01-12 深圳市创诺新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multifunctional energy storage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7394520B (en) * 2023-12-11 2024-04-05 深圳市创诺新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multifunctional energy storage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390B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359B2 (en) Engine starter
US9254799B2 (en)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5577967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11594907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2664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ing stop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6060946A (en) On-vehicle power system
KR102485390B1 (en) Power supplier, Vehicle having the power suppl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5142960A (en) Onboard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11954B2 (en) Vehicle power supply
CN111092481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86856A1 (en) Hybrid vehicle with a body builder equipment circuit and battery set
JP4844479B2 (en) Power supply
JP5119699B2 (en) Vehicle power supply
KR20190083395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0023766A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2010120515A (en) Vehicle power supply unit
JP2008061311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 power generation status of solar power generator
KR101656809B1 (en) User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53149A (en) Vehicular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2006123807A (en) Vehicle control device
JP5173297B2 (en) Vehicle power supply
US20130144504A1 (en) Management of operation of a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featuring a renewable electrical power source
JP2009284596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s
JP2000253504A (en) Vehicle fitted with solar battery
KR101661147B1 (en) Battery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ctrical vehic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