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132A -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 Google Patents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132A
KR20190058132A KR1020170155813A KR20170155813A KR20190058132A KR 20190058132 A KR20190058132 A KR 20190058132A KR 1020170155813 A KR1020170155813 A KR 1020170155813A KR 20170155813 A KR20170155813 A KR 20170155813A KR 20190058132 A KR20190058132 A KR 2019005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time
response delay
erro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철
김정훈
이승완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132A/ko
Priority to EP18880954.5A priority patent/EP3692707A4/en
Priority to CN201880065464.7A priority patent/CN111183628B/zh
Priority to US16/761,982 priority patent/US11317002B2/en
Priority to PCT/KR2018/008000 priority patent/WO2019103269A1/en
Publication of KR2019005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05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 H04N1/32032Polling of transmit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41Fault detection of transmission or transmitted data, e.g. interruption or wrong number of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73Adjusting or controlling an operating mode, e.g. from paper reception to memory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2Detecting the status of a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본 개시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응답으로부터 에러를 검출하고,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RESPONSE DELAY TIME DETERMINATION TO MAINTAIN LONG POLLING CONNECTION}
폴링은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인 시간마다 서버로 송신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요청하고,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으면 서버에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기술이다. 즉, 폴링은 클라이언트의 요청 방식 및 서버의 응답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롱폴링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응답을 계속하여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간이 지나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요청 및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응답의 트랜잭션을 완료하고, 다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외부 장치로 롱폴링을 위한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검출된 에러의 종류에 따라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닌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닌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통신부(130)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주기적인 시간마다 외부 서버로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롱폴링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서버(25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서버(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통신부(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메모리(14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로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독자적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와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제어부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의 제어 시스템에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주기적인 시간마다 서버(250)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작업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서버(25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롱폴링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주기적인 시간마다 서버(250)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작업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서버(25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롱폴링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통신 장치(310),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화상 형성 장치(3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31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부(130)와 대응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2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와 대응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메모리(33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4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3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통신 장치(310)는 외부 장치(3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35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350)는 서버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32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외부 장치(350)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응답 지연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외부 장치(350)로부터의 응답을 지연하여 수신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응답 지연 시간은 타임아웃 값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응답 지연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300) 또는 외부 장치(350)에서 결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외부 장치(350)로부터 정책적으로 결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350)는 응답 지연 시간 동안 화상 형성 장치(300)로부터 요청된 롱폴링에 대한 응답으로 전달할 데이터가 없으면, 응답 지연 시간이 완료되는 시점에 응답할 데이터가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수신된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는 외부 장치(350)에 의한 에러,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에러는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 중에서도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러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러의 재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보다 소정의 시간보다 앞선 시간을 응답 지연 시간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보다 소정의 시간보다 늦은 시간을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재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가 응답 지연 시간을 하향으로 조정하여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은 도 7 내지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가 응답 지연 시간을 상향으로 조정하여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은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300)가 외부 장치(350)로 지속적인 롱폴링을 실행하기에 앞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에 대한 최소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응답 지연 시간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소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320)는, 롱폴링에 대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통신 장치(310)를 통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수신된 응답의 응답 값에 기초하여, 에러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응답 값에 기초하여, 에러가 외부 장치(350)에 의한 에러인지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350)가 서버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값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응답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시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 값이 200이면,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은 정상적인 응답일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 값이 4xx, 5xx 이면,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은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이상이 있거나,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잘못된 요청 데이터를 보낸 경우로, 서버에 의한 에러를 포함한 비정상적인 응답일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 값이 없으면, 프로세서(320)는 서버로 응답을 요청하는데 사용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부터 리턴되는 에러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확인된 에러 값이 네트워크와 관련된 에러 값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이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이면, 프로세서(32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면,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하향 조정하여 롱폴링을 반복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하향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면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300)가 외부 장치(350)에 대한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적의 응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니면, 프로세서(32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에러가 발생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만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향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면서 에러가 재검출된 시점의 바로 이전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설정된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 유지 시간이 변경되면, 프로세서(32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설정된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 유지 시간이 4분으로 설정되고,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이 3분 50초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유지 시간이 3분으로 변경되면, 기존에 설정된 최종 응답 지연 시간 3분 50초로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기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프로세서(320)는 응답 지연 시간을 하향 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다시 결정(예를 들면,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2분 50초로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3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3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외부 장치(350)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명령어들, 요청에 따라 수신된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에러를 검출하는 명령어들, 에러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명령어들,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30)는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32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통신 장치(310), 메모리(33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각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외부 장치로 롱폴링을 위한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1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소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응답 지연 시간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간일 수 있다. 블록 402에서, 외부 장치(35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결정할 수 있다. 403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외부 장치(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블록 404에서, 롱폴링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소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405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대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시도할 수 있다. 블록 406에서, 외부 장치(35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결정할 수 있다. 407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외부 장치(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블록 408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수신된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350)에서 응답할 데이터가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고, 기존에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블록 409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검출된 에러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검출된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에러가 외부 장치(350)로 인한 에러이거나,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네트워크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4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시도할 수 있다. 블록 411에서, 외부 장치(35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결정할 수 있다. 412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에 대한 응답을 외부 장치(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블록 413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종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롱폴링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최종 응답 지연 시간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414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5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에 대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롱폴링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롱폴링을 시도할 수 있다.
블록 5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수신된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350)가 서버인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응답 값이 4xx, 5xx 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서버에 의한 에러로 판단하고, 서버에 의한 에러 중에서도 응답 값에 대응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응답 값이 없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서버로 응답을 요청하는데 사용된 API로부터 리턴되는 에러 값을 확인하여, 네트워크와 관련된 에러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에러 중에서도 에러 값에 대응되는 에러(예를 들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블록 53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블록 54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 530 및 블록 540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검출된 에러의 종류에 따라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6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외부 장치(350)에 의한 에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외부 장치(350)에 의한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에러가 외부 장치(350)에 의한 에러가 아니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620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블록 6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630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가 아니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 중에서도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이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에러가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니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7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에러가 발생된 시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의 시작 시점부터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에서 소정의 시간을 감축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블록 7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면, 블록 7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지 않으면, 블록 750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블록 74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하향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하향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다시 하향 조정하여 롱폴링을 실행하고,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지 않으면, 블록 75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재검출되지 않는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가 외부 장치(350)로의 롱폴링에 대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300)가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외부 장치(350)로부터의 응답을 최대로 지연하여 수신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연결 유지 시간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로 인하여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생 시간은 3분 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연결 유지 시간은 3분 20초가 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발생되고 즉시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나, 에러 발생으로 인한 프로세스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을 늦게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에러 발생에 대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응답 수신 시간은 4분 40초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설정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1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없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을 요청하고 10분이 지난 후에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없다. 다만,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행을 알리는 응답을 4분 40초에 수신할 수 있다.
2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 없이,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해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 수신 시간 4분 40초보다 10초 앞선 4분 30초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두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2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없다. 다만,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행을 알리는 응답을 4분 40초에 수신할 수 있다.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재검출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하향 조정하여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고,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3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4분 30초보다 30초 앞선 4분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세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3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4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4분보다 30초 앞선 3분 30초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네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4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없다.
5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3분 30초보다 30초 앞선 3분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다섯 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5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다섯 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 3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설정하여 외부 장치(350)로 롱폴링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에 원활한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닌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9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블록 9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다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지 않으면, 블록 9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블록 94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상향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상향 조정된 응답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다시 상향 조정하여 롱폴링을 실행하고,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에러가 재검출되면, 블록 95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에러가 재검출된 시점의 바로 이전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닌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외부 장치(350)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롱폴링 주기의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롱폴링 주기의 최소값을 1분 30초로 설정하고,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생 시간은 3분 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가 연결 해제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실행하여 외부 장치(350)로 인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에러가 발생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만큼 상향 조정하여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고, 에러가 재검출된 시점의 바로 이전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2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1분 30초보다 30초 늦은 2분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두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2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가 연결 해제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3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2분보다 30초 늦은 2분 30초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세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3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 해제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4사 시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응답 지연 시간은 3분으로 설정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5차 시도에서, 응답 지연 시간은 3분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없고,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행을 알리는 응답을 4분 40초에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다섯 번째 이전인 네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 3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설정하여 외부 장치(350)로 롱폴링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면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가 외부 장치(350)로의 롱폴링에 대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생 시간은 3분 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에러 발생에 대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응답 수신 시간은 3분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1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가 설정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1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수행될 작업이 없는 경우에,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행을 알리는 응답을 3분 30초에 수신할 수 있다.
2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 없이,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해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응답 지연 시간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 수신 시간 3분 30초보다 30초 앞선 3분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두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2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두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가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정확한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3차 시도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3분 보다 15초 늦은 3분 15초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세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3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작업이 없음을 알리는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세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가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4차 시도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이전 응답 지연 시간 3분 15 보다 7초 늦은 3분 22초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네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350)로 4차 롱폴링의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와 외부 장치(35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3분 20초에 해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외부 장치(35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할 수 없고,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생을 알리는 응답을 3분 30초에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 발생을 알리는 응답을 3분 30초에 수신함으로써, 네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 3분 22초와 에러 발생에 대한 응답 수신 시간 3분 30초 사이에 방화벽(360) 또는 프록시(370)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세번째로 설정된 응답 지연 시간 3분 15초를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설정하여 외부 장치(350)로 롱폴링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응답 지연 시간을 반복적으로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하면서 에러 발생 시간 3분 20초를 예측하고, 좀더 최적의 응답 지연 시간을 설정(예를 들면,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3분 19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에러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상기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의 재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재조정하고,
    상기 재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롱폴링에 대한 최소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롱폴링에 대한 최대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응답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러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한 에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상기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이면, 상기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인지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이면,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상기 롱폴링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 이내로 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재검출되면, 상기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소정의 시간만큼 하향 조정하여 상기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니면,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상기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상기 에러가 발생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만큼 상향 조정하여 상기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고, 상기 에러가 재검출된 시점의 바로 이전 시점에 대응되는 응답 지연 시간을 최종 응답 지연 시간으로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설정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 유지 시간이 변경되면,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상기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에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상기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재검출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러의 재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재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반복 실행하여 상기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이면,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상기 롱폴링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에러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 이내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러가 방화벽 또는 프록시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해제로 인한 에러가 아니면,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상기 롱폴링의 주기의 최소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5. 화상 형성 장치에서 외부 장치로의 롱폴링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될 작업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명령어들;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응답의 응답 값에 대응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에러를 검출하는 명령어들;
    상기 에러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지연 시간을 조정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으로 상기 롱폴링을 실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응답 지연 시간을 재조정하여 상기 롱폴링의 연결 유지를 위한 최종 응답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70155813A 2017-11-21 2017-11-21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KR20190058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13A KR20190058132A (ko) 2017-11-21 2017-11-21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EP18880954.5A EP3692707A4 (en) 2017-11-21 2018-07-16 REACTION DELAY TIME DETERMINATION TO MAINTAIN A LONG POLLING CONNECTION
CN201880065464.7A CN111183628B (zh) 2017-11-21 2018-07-16 成像设备及其操作方法、可读记录介质
US16/761,982 US11317002B2 (en) 2017-11-21 2018-07-16 Response delay time determination to maintain long polling connection
PCT/KR2018/008000 WO2019103269A1 (en) 2017-11-21 2018-07-16 Response delay time determination to maintain long polling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13A KR20190058132A (ko) 2017-11-21 2017-11-21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32A true KR20190058132A (ko) 2019-05-29

Family

ID=6663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13A KR20190058132A (ko) 2017-11-21 2017-11-21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17002B2 (ko)
EP (1) EP3692707A4 (ko)
KR (1) KR20190058132A (ko)
CN (1) CN111183628B (ko)
WO (1) WO2019103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838B (zh) * 2020-05-27 2022-07-29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星地wi-fi网络的pcf接入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5443B2 (ja) 1999-03-30 2005-05-11 株式会社リコー 遠隔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と監視端末装置と制御方法
JP3944133B2 (ja) * 2003-07-25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6319707A (ja) 2005-05-13 2006-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及びポーリ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44587B2 (en) 2006-08-22 2012-03-27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network resources using a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engine
JP4984903B2 (ja) 2007-01-17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65349A (ja) 2007-09-05 2009-03-26 Yamatake Corp 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993606B1 (ko) * 2008-02-04 2010-11-10 (주)지엔에스티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620576B (zh) * 2010-11-01 2016-11-09 七网络公司 适用于移动应用程序行为和网络条件的缓存
GB2499747B (en) 2010-11-22 2014-04-09 Seven Networks Inc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9294564B2 (en) 2011-06-30 2016-03-22 Amazon Technologies, Inc. Shadowing storage gateway
JP5825034B2 (ja) 2011-10-17 2015-12-02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
WO2015047033A1 (en) * 2013-09-30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JP6324134B2 (ja) * 2014-03-19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0777B1 (ko) 2014-08-28 2017-03-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단말
JP6319152B2 (ja) 2015-03-25 2018-05-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指示サーバー、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491594A (zh) 2015-11-24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连接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3628B (zh) 2022-08-09
EP3692707A4 (en) 2021-08-25
US20210409568A1 (en) 2021-12-30
EP3692707A1 (en) 2020-08-12
US11317002B2 (en) 2022-04-26
CN111183628A (zh) 2020-05-19
WO2019103269A1 (en)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1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communication settings to be made with eas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542138B2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performing printing in a direct wireless manner
US10694057B2 (e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program
US10607123B2 (en) Remotely-operated apparatus remotely operated by external terminal using a browser use mode or a transmitted image use mode, remote op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20140153017A1 (en) Image processing systems, data processing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media storing instructions for data processing apparatuses
EP3288319B1 (en) Control method
US9069512B2 (en)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of a printing device on a clien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type of client device
US10776494B2 (en) Method for verify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executable fi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103061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9179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812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cquiring and transmitting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90058132A (ko)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US20230251807A1 (en) Server apparatus that controls print job,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2018005920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US10440206B2 (en) Fax function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63852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US20170279987A1 (en) Screen Display System, Screen Display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2208578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4603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01509339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
US11474754B2 (en) Mobile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s a notific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US114227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hanging printing orders according to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KR20180080519A (ko) 애플리케이션을 백업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06530B2 (en) Printing apparatus that prevent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printing apparatus from becoming impossibl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503695B2 (ja) 記録システム、画像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