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239A -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239A
KR20190057239A KR1020190058014A KR20190058014A KR20190057239A KR 20190057239 A KR20190057239 A KR 20190057239A KR 1020190058014 A KR1020190058014 A KR 1020190058014A KR 20190058014 A KR20190058014 A KR 20190058014A KR 20190057239 A KR20190057239 A KR 2019005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 terminal
ic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철욱
Original Assignee
서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철욱 filed Critical 서철욱
Priority to KR102019005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7239A/en
Publication of KR2019005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which is connected through a user terminal, converts public content into an iconic shape, moves an icon linked with the content into a personal webpage to easily share the content, and can form a community between users sharing the content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the same.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comprises a user terminal and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아이콘화 콘텐츠 공유를 통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고,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여 네트워크상의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by converting a content into an icon form and building a community on the network by sharing contents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such a system.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과거 오프-라인에서 수행되었던 다양한 업무와 생활 관계가 온-라인을 통해서 수행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카페, 클럽, 커뮤니티 등의 이름으로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면 특정 주제에 대하여 콘텐츠를 작성한다거나 포스팅을 통하여 그 내용을 게시하면 다른 사람이 해당 콘텐츠나 포스팅을 확인할 수 있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특정 주제에 대한 카페, 클럽, 커뮤니티 등에 가입하여야 해당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등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입 초기에는 카페, 클럽, 커뮤니티 등을 통해서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has been developed rapidly, the phenomenon that the various tasks and the living relationships performed in the past off-line are performed through the on-line are remarkable. For example, if a large number of people join a topic on a name such as a cafe, a club, or a community, you can create content for a specific topic or post it through posting so that someone can check the content or posting It is common. However, in this case, it has a closed structure such that it can confirm the contents by joining a cafe, a club, a community, and the like on a specific topic. Therefore, user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social relations through cafes, clubs, and commun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membership.

이에, 최근에는 cyworldTM, facebookTM, twitterTM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간에 관계를 확장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1촌', 'following', 'friend' 등의 명칭을 사용하여 승인 또는 비승인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른바 개방형 시스템이어서 누구나 손쉽게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Recently, a social networking service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for exp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users by constructing a community using networks such as cyworld TM , facebook TM , twitter TM , and the like. In the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for example, the names of '1 village', 'following', 'friend', etc. are us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users through approval or disapproval procedures. It is an open system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social networking And the service can be enjoyed.

하지만 이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통상 오프-라인을 통하여 이미 구축된 사용자라든가 특정한 단체들끼리의 친목 모임 정도에 불과한 경우가 많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공통의 관심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고 가공하여 게시하여야 한다. 이처럼 종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단순한 친목 모임에 불과하거나 공통적인 관심사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공유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간의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기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The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however, are often just friendships between established users and specific groups through off-line.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common area of interest in conventional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ers must search for, process, and publish the contents. As such, conventional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merely social gatherings, and it is not easy to shar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sers by using the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hare contents corresponding to common interest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 관심사에 근거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들끼리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보다 활발하게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more actively by establishing a community among users sharing contents based on common interests, And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손쉽게 콘텐츠를 공유하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that can more easily access contents to other users who share contents and easily share contents,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콘텐츠의 업로드를 가능하게 하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개인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개인 웹 페이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공개용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고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과;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는 커뮤니티 관리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관리하는 통합 메시지 서버와;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며,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을 상기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상기 개인 웹 페이지에서 공유된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상기 공유된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 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a network; And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accessing via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provides a personal web page capable of uploading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apable of storing contents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 personal web page server; A content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convert the content for disclosure into an icon form and share the content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community management module for presenting the user who shares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o the user terminal; An integrated message server for man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s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nd a database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and can share a content by moving an icon linked with the content to the personal web page, and can transmit a separate article related to the content shared in the personal web page And a social networking system capable of posting in association with the shared contents.

그리고, 상기 개인 웹 페이지 서버는, 사용자 등록과 사용자 정보 변경을 관리하며, 개인 웹 페이지에 업로드한 콘텐츠와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웹 페이지 관리 모듈과; 상기 업로드한 콘텐츠 정보와 업로드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ersonal web page server includes a web page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user registration and user information change, and managing contents uploaded to a personal web page and contents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nd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uploaded content information and uploaded us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은, 상기 공개용 콘텐츠를 주제어 또는 키워드 등의 태그정보에 맞추어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는 아이콘 관리부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n icon management unit for converting the content for public use into an icon form according to tag information such as a keyword or keyword;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at by category.

그리고, 상기 커뮤니티 관리 모듈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커뮤니티 관리부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는 공유사용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community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community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icon-converted content, and a shared-user display unit for presenting other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그리고, 상기 통합 메시지 서버는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친구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사용자의 메일로 전송하는 메일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친구 요청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친구 승낙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공유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may include a mail server for transmitting friend request data to a mail of another user sharing the converted content in the icon form,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mail of the user; Transmitting a friend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another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friend acceptance request from the other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a message server for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 1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c) 제 2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을 상기 제 2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계와; (d)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여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로 친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친구 승낙을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변경하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후,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는 개인 웹 페이지에서 공유된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상기 공유된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 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onnected from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a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uploading a content using a first user terminal by a first user; (b) converting the uploaded content into icon form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c) a second user searches for the content converted to the icon form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moves the icon linked with the content to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second user, Sharing; (d) establishing a community by presenting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tents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e) the first or second user sends a friend request to the second or first user terminal, respectively, using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second or first user, Transmitting a friend acceptance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respectively, using the second or first user terminal, respectively; (f) when the first or second user changes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using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respectivel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icon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C), the first or second user sends a separate pos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shared in the personal web page to the shared content We propos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delivery method that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공통 관심사에 근거하여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들끼리 네트워크에서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공통 관심사인 콘텐츠를 토대로 커뮤니티를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보다 활발한 커뮤니티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establishing a community in a network among users sharing contents based on common interests. By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this common content, a more active community on-line is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개인의 웹 페이지에 끌어 놓는 등의 방법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시된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공유라든가 친구 요청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구축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an be shar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icon-converted content to a personal web page, and a user sharing the same content is presented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construct social networking such as content sharing or friend request.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다양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이콘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온-라인 상에서 커뮤니티가 구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라,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modules constituting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onstitut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mmunity is established on-line while sharing content converted to icons in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presente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여, 아이콘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손쉽게 공유하도록 하고,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 중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들끼리 네트워크에서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경우에 보다 활발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eloped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rts, and have made it possible to easily share the contents converted into icons, and to allow users sharing common contents among ic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fact that a more active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possibl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전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100)은 크게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온-라인을 통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고 있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verall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 connectable to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s 20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via the on- And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서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를 통하여 네트워크에서의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용자는 각각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로서의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무선통신망과 같은 통신망(네트워크)을 통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임의의 단말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노트북,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단말(202)은 물론이고,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204)을 포함한다. A plurality of users who intend to extend the social relationship through the community in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i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are each a user terminal The user can access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nternet 200.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ny terminal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and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general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s well as a computer terminal 202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204).

한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속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는 크게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게 구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310)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콘텐츠의 작성 및 업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개인 웹 페이지 서버(320)와, 사용자가 공개하기로 선택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지시, 명령에 의하여 아이콘 형태로 변환,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330)과,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콘텐츠 공유자 사이에서의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도모하는 커뮤니티 관리 모듈(340)과, 다수의 사용자 단말(2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관리하는 통합 메시지 서버(350)와, 개인 웹 페이지 서버(320), 콘텐츠 관리 모듈(330) 및 커뮤니티 관리 모듈(340)과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6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310 that can be largely access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 personal web page server 320 for creating and uploading contents, a contents management module 320 for setting a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be converted and shared into an icon form by instruction and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200, (330), a community management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ty between content sharers and expanding social relations through a method of presenting user information and / or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vert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module 340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A database server 360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an integrated message server 350, a personal web page server 320, a content management module 330, and a community management module 340, .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구축을 관리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첨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다양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에서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온-라인 상에서 커뮤니티가 구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orming a community through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hat manage the community building through the network using the us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modules constituting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onstitut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mmunity on-line while sharing content converted from icons in a service system. FIG.

사용자가 단말(200)을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사회적 관계 구축을 지원, 관리한다. 사용자 관리를 위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는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개인 웹 페이지 서버(32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콘텐츠를 작성, 업로드, 게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개인 웹 페이지를 할당한다. When the user accesses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10 using the terminal 200 and inputs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 request To create and manage content, and to support and manage the building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users. For the purpose of user management,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can request information necessary for member registration. A personal web page server 320 can be used to create, upload, .

먼저, 개인 웹 페이지 서버(320, 도 1)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에서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가입 요청을 받아서 사용자를 등록하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을 관리한다. 아울러,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에서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가입 정보를 전달 받아 이를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메일 주소 등의 인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60)를 구성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2)에 저장, 관리된다. First,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configuring the personal web page server 320 (FIG. 1) receives the subscrip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0, registers the user, and manages the change of the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receives and manages the user subscri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age, address, telephone number, and e-mail address. Such user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a user information database 362 constituting the database server 360.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을 통해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게 개인 웹 페이지가 할당된다. 개인 웹 페이지는 블로그(blog) 또는 미니홈피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작성, 입력, 업로드하는 게시글,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과 같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아이콘 형태로 변형된 공유 콘텐츠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하여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은 각각의 사용자가 작성, 입력, 업로드한 콘텐츠와, 아이콘 형태로 변형된 공유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에서는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로서 공개 대상이 아닌 콘텐츠와;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 중에서 공개하기로 선정된 콘텐츠 및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공개 콘텐츠로서 자신의 개인 웹페이지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콘화 공유 콘텐츠를 각각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웹 페이지 관리 모듈(322)과 연동되어 있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324)에는 사용자가 개인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작성하여 업로드된 콘텐츠 정보와 함께, 콘텐츠를 작성한 개인 정보가 저장, 관리될 수 있다.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60)와도 연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ersonal web page is assigned to the user who joined the web page through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A personal web page stores contents such as a blog, a mini-homepage, a post, a photograph, a moving image, and a music file, which each user creates, inputs, and uploads through a terminal, It is a space to store shared contents. To this end,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stores and manages the contents created, input and uploaded by each user and the shared contents transformed into icons. For example, in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contents that are not subject to disclosure as contents created by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manage the contents selected to be released from the contents created by the user and the iconified shared contents stored in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user as the public contents created by other users. Mean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through the personal web page and uploaded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324 linked with the web page management module 322.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may also be linked to the database server 360.

한편, 종래 블로그나 미니홈피와 같은 개인용 웹 페이지는 폐쇄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관리 모듈(330)을 통하여 사용자가 공개하기를 원하는 콘텐츠나 또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모듈(330)을 구성하는 아이콘 관리부(332)는 공개 설정된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고, 콘텐츠 관리부(334)는 사용자가 공개하기로 선정한 콘텐츠를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management module 3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open a content or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The contents that are basically provided in the server 300 can be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nd shared. For example, the icon management unit 332 configuring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330 converts the open content into an icon format, an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334 divide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to categories and manages the content.

아이콘 관리부(332)는, 사용자 각각에게 할당되는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에서 작성하거나 사용자 단말(200, 도 1)로부터 업로드한 콘텐츠 중에서 공개 또는 공유하기로 한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여 작성, 업로드한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를 공개하기로 선택한 경우, 예를 들어 팝업창이 사용자 단말(200)로 제시되어, 해당 콘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메인카테고리 및 이어지는 서브카테고리), 해당 콘텐츠의 주제어, 키워드(keyword) 등의 태그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콘텐츠와 링크되는 적절한 아이콘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아이콘은 해당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 등의 태그 정보에 맞춰서 아이콘 관리부(332)에서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로부터 유료 또는 무료로 원하는 아이콘을 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는 카테고리에 적합한 다양한 아이콘을 사전에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구입 요청이 있을 경우에 해당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시할 수 있다. 아이콘으로 변형되는 콘텐츠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작성, 관리하는 콘텐츠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 업로드된 콘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에는 게시물 형태의 블로그는 물론이고, 사진,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한다.  The icon management unit 332 converts the content created in the personal web page allocated to each user or uploaded or shared from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Fig. 1) into an icon form. First, when a user selects to open any of contents created and uploaded using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a pop-up window is presen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ategory (main category and subsequent A sub-category), a keyword of the content, a keyword,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 appropriate icon linked with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generated icon may be generated in the icon managing unit 332 in accordance with the tag information such as the category or keyword. Alternatively, the user can purchase a desired icon from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for a fee or free of charge if the icon desired by the user is not present in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user. To this en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may generate various icons suitable for the category in advance, and may present the icon to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re is a purchas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ent that is transformed into the icon may be a content that is basically created and manag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or may be the content that is input or uploa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Such content includes blogs in the form of posts, as well as multimedia such as photos, videos, and voices.

한편, 콘텐츠 관리 모듈(330)에서는 사용자가 공개하기로 결정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카테고리의 구분을 위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주제어, 식별자, 관심 키워드 등의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된 콘텐츠에 대한 관심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4)에서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또는 커뮤니티 관리 모듈(330)을 통하여 카테고리 또는 관심 키워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제시되는 아이콘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검색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Meanwhile, in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330, information such as a main word, an identifier, a keyword of interest, etc. for the content may be created in order to divide the information and / or the category related to the content decid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of retrieving a content information table in the content database 364 using a keyword of interest or category information on the published content, Accordingly, there may be a method of retrieving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presented to the user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to such a search metho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르면, 공개 콘텐츠와 링크되며 태그 정보가 저장된 아이콘에 대하여, 콘텐츠 관리부(334)는 카테고리, 주제어, 키워드 등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별로 구분, 관리한다. 이때, 콘텐츠 관리부(334)에서는 각각의 공개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각각의 아이콘에 대해서 별도의 식별자를 생성하여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가 운영하는 별도의 공간에서 카테고리별로 저장,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공개 콘텐츠와 이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 정보(식별자 정보를 포함)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360)를 구성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4)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334 divides and manages the icons according to categories based on tag information such as keywords, keywords,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icons that are linked with the public content and tag information is stored. At this time, 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334, a separate identifier is generated for each icon linked with each public content, and the identifier is divided into categories and stored in a separate space manag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Lt; / RTI > The generated public content and the i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linked to the content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ontent database 364 constituting the database server 360, for example.

일예로, 공개 설정된 콘텐츠 및 각각의 콘텐츠에 대응되도록 링크되어 있는 각각의 아이콘은 주제어, 키워드 등에 근거하여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카테고리는 가장 큰 범주의 메인 카테고리와 메인 카테고리에 속하는 서브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카테고리로서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 '연애', '게임','라이프스타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스포츠 메인 카테고리에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테니스' 등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서브 카테고리를 더욱 세분화하여 예를 들어 '축구' 서브카테고리를 다시 '유럽축구', '국내축구', '아시아축구', '월드컵' 등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each of the icons that are linked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and each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based on keywords, keywords, and the like, which are divided into a main category of the largest category and a sub category . For example, the main category can be classified into 'politics', 'economy', 'culture', 'sports', 'love', 'game', 'lifestyle' Can be classified into sub categories such as 'baseball', 'basketball', 'volleyball', and 'tennis'. Of course, sub-categories can be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such as 'European Soccer', 'Domestic Soccer', 'Asian Soccer', 'World Cup' and so on.

이와 같이 콘텐츠 관리 모듈(330)을 통하여 공개 콘텐츠는 아이콘 형태로 변환되어,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가 운영하는 별도의 공간에 저장,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200, 도 1)을 통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개인 웹 페이지에서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 외에도,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공개용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에 대한 공유와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관리는 커뮤니티 관리 모듈(340)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public contents are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hrough the contents management module 330 and stored and managed in a separate space manag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the community contents are mana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Fig. 1) The user who accesses the server 300 can access the public contents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and confirm the contents thereof in addition to creating a post or uploading a photograph on the personal web page allocated to the user. Sharing of the icon-shaped content and management of other users sharing the conten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ty management module 340. [

먼저, 제 1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A)을 사용하여 자신이 공유하기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 클릭하여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한 뒤에 해당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PC와 같은 컴퓨터 단말(202, 도 1)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라면, 커뮤니티 관리부(342)에서의 작동에 따라 해당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드래그(drag)하는 것만으로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게 된다. 만약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한 경우에는 커뮤니티 관리부(342)에서의 지시, 명령에 의하여 해당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을 손가락이나 펜 등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드래그(drag)하는 것만으로 해당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First, a first user may select and click an icon he / she wants to share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and then share the content after confirming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user is connected via the computer terminal 202 (Fig. 1) such as a PC, the icon link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management unit 342 The content is shared only by dragging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In a case where the user accesses from the mobile environment, only an icon linked to the content by an instruction or instruction from the community management unit 342 is dragged to his personal web page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or a pen The content can be shared.

한편, 커뮤니티 관리 모듈(340)을 구성하는 공유사용자 표시부(344)는 아이콘 형태로 변환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제 2 사용자)를 제 1 사용자 단말(200A)로 제시한다. 해당 아이콘 형태로 변환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유사용자 표시부(344)는 특정 아이콘, 즉 그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아직 그 콘텐츠를 공유하지 않은 제 1 사용자 단말(200A)로 제시할 수는 있다. 하지만 자신이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지 않았다면 다른 사용자에게 친구 요청이나 메일 전송, 다른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의 이동 및/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댓글 달기나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해당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행은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hared user display unit 344 constituting the community management module 340 presents another user (second user) sharing the contents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The shared user display unit 344 displays information on another user sharing a specific icon, that is, a content linked to the ico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that has been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is not shared, And can be presen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However, if you do not share that content, you may ask another person to send you a friend request, send a mail, go to someone else's personal web page, and / or comment on that content, The execution of at least one of posting can be disabled.

반면에, 특정 콘텐츠에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함으로써, 해당 콘텐츠를 공유한 이후에는 해당 콘텐츠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사이에서 일종의 커뮤니티가 구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사용자 단말(200A)을 사용하여 제 1 특정 아이콘을 선택 또는 클릭하면 그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제 2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제 1 사용자 단말, 200A)로 제시되며, 제 1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A)을 이용하여 화면에 제시된 다른 사용자(제 2 사용자)에게 친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 메일로 메일을 전송하거나, 해당 콘텐츠에 대한 댓글 달기나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해당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제 1 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요청된 친구 요청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단말(200B)을 사용하여 친구 요청을 승낙한 경우에는, 제 1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는 서로 상대방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타인이 공유하는 아이콘이나 또는 타인이 공개하기로 설정한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해당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콘텐츠나 공개 설정된 콘텐츠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con linked to the specific content is moved to the user's own personal web page, a kind of community has been established among the users sharing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Accordingly, when a first specific icon is selected or clicked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another user (second user) linked to the icon is presented to the user terminal (first user terminal 200A) The first user can send a friend request message to another user (second user) presented on the screen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send a mail to another user's e-mail, Or posting a separate pos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 On the other hand, when another user agrees to the friend request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200B with respect to the friend request reques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the first user and the other user use the personal web Page to access the icon shared by the other person or the content set to be disclosed by the other person so as to be able to know the contents linked to the icon or the contents of the publicly set contents.

이와 같이, 아이콘으로 변형된 콘텐츠를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에 끌어 놓는 등의 방법으로 공유하게 되면, 해당 콘텐츠가 블로그인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읽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콘텐츠에 접근하여 댓글을 달거나, 또는 그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 예를 들어 게시물을 포스팅 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포스팅 한 게시물을 읽을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contents transformed by the icon are shar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contents onto their own personal web pages, etc., if the contents are blogs, not only the contents can be read but also the contents can be accessed You can comment on it, or post other content related to it, such as a post, and read posts posted by other users.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켜 해당 아이콘을 공유(즉, 그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특정 콘텐츠를 공유)한 경우에는, 만약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댓글이나 답글이 작성되거나, 해당 콘텐츠에 연계하여 별도의 게시글이 작성되어 포스팅되거나 또는 그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업데이트되는 경우와 같이 해당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와 링크되어 있는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그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con linked to a specific content is moved to a personal web page of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icon is shared (that is, the specific content linked to the icon is shared) Such as when a content item is changed or when a comment is created or a separate article is created and linked to the content or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 is update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notify the user terminal sharing the content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changed by moving the web page.

공유 콘텐츠의 변경 여부는 커뮤니티 관리부(342)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으며, 통합 메시지 서버(350), 구체적으로 메시지 서버(354)를 통하여 콘텐츠의 변경 여부가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유된 콘텐츠와 연계하여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정보라든가, 변경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60)를 구성하는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366)에 저장, 관리된다. Whether or not the shared content is changed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community management unit 342.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changed through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350 and specifically the message server 354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who shares the content .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shared content or information on the changed content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community database 366 constituting the database server 36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 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200A)로 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알고 있거나 또는 지인이 되고 싶은 다른 사용자에게 친구 요청 등을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ther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is presen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A, the user can make a friend request or the like to another user who he / she knows or wants to become an acquaintance Thereby expanding the social relation through the networ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통합 메시지 서버(350)는 일예로 메일 서버(352)와 메시지 서버(354)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서버(352)에서는 동일한 아이콘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친구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전송하거나, 또는 공유된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의 변환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354)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친구 요청을 단문 형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친구 승낙 여부를 단문 형태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전송하거나, 상기 공유된 아이콘 형태의 콘텐츠의 변환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egrated message server 350 can be divided into a mail server 352 and a message server 354, for example. For example, the mail server 352 transmits and / or transmits friend request data to another user's mail sharing the same icon, or transmits data about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a shared icon form are converted, Mail. In addition, the message server 354 transmits and / or transmits a friend request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another user terminal in a short form or transmits / transmits the friend acceptance from another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in a short form , And transmits data on whether the content of the shared icon form is converted to the user terminal.

한편,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 아이콘 및 해당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특정 콘텐츠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에는 별도의 검색 엔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검색 엔진부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검색 엔진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earch engine unit (not shown) so that an icon tha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and a specific content linked with the icon can be easily searched. The search engine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or may be a separate search engine server.

계속해서, 첨부하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사이에서의 인맥 확장과 같은 사회적 관계의 구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라,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시되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를 벗어나서, 커뮤니티 관리 서버(300)가 관리, 운영하는 공개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다양한 카테고리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200, 도 1)의 화면으로 제시된다. 도 4에서는 예시적으로 메인 카테고리(500)로 정치, 경제, 연예, 스포츠, 게임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스포츠 메인 카테고리를 선택한 상태에서 서브 카테고리로 테니스(510), 야구(520), 축구(530), 농구(540), 배구(550), 사이클(560)과 관련한 콘텐츠가 적절한 아이콘 형태로 변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만약, 사용자가 테니스 아이콘을 선택/클릭하면, 일예로 사용자 단말의 우측 화면에 해당 아이콘을 공유하고 있는, 즉 해당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 화면(600)이 제시된다. Next,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relationship such as a network extension between users who share content converted into an icon for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ttached hereto.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presente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leaves the personal web page of his or her own web page and selects the public content managed and operat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00, contents of various categories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4, the main category 500 is divided into politics, economy, entertainment, sports, game, and the like. The tennis 510, baseball 520, football 530 ), The basketball 540, the volleyball 550, and the cycle 560 are converted into an appropriate icon form. If the user selects / clicks the tennis icon, for example, another user screen 600 sharing the corresponding icon on the right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sharing the specific content linked to the icon, do.

만약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콘텐츠의 내용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만약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자신의 웹-페이지로 이동함으로써, 해당 아이콘을 공유(즉, 해당 아이콘과 링크된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였다면, 해당 아이콘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친구 요청과 같은 '쪽지 보내기'나 '메일 보내기' 등이 가능하다. If the user does not move the icon to his / her personal web page, he / she can only check the content of the linked content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icon. However, if the user moves the icon to his web-page and shares the icon (i.e., shares the specific content linked to the icon), he / Send "or" send mail ".

아울러, 특정 아이콘을 자신의 개인 웹페이지로 이동하여 그 아이콘과 링크된 콘텐츠를 공유한 경우라면, 해당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댓글이나 답글이 작성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와 관련하여 별도의 게시글이 해당 콘텐츠와 연계되어 포스팅되는 경우와 같이 해당 콘텐츠와 변경될 때, 아이콘을 공유한 사용자 단말이나 공유 사용자의 메일로 콘텐츠 변경 여부가 통지되어 실시간으로 콘텐츠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you move a specific icon to your personal web page and share the linked content with the icon, if you update or delete the content, or if a comment or reply is created, When the content is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uch as when the content is link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changed is notified to the user terminal sharing the icon or the mail of the shared user.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친구 요청에 대하여 승낙을 한 상태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다른 사용자가 공유하는 아이콘이나 공개용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친구맺기가 완료된 다른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 댓글이나 답글은 물론이고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블로그와 관련한 게시글을 포스팅 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another user accepts the friend request, the user can go to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user and access the icon or the content for sharing by another user to check the content of the content. If necessary, you can post posts related to blogs created by other users, as well as comments or replies, to other users' personal web pages that have completed their friendship.

이와 같이, 사용자는 공유 콘텐츠에 대해서 더 이상 해당 콘텐츠를 검색한다거나 다른 사람의 페이지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자신의 웹 페이지에서 실제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콘텐츠에 접근하여, 댓글을 달거나 관련 게시글을 포스팅하여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활발한 커뮤니티 구축이 가능하다. 아울러, 동일한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의 친구 요청을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user can access the content by clicking on the icon linked to the actual content on his / her web page without having to search for the content or move to the page of another person for the shared content, You can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by posting related posts or posting 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social relationships can be greatly expanded through friend requests with other users who share the same interests.

계속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첨부하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나 앱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이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메일 주소 등과 같은 인적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닉네임을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커뮤니티 관리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개인 웹페이지를 할당하기 때문에, 제 1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게시글을 작성한다거나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업로드하는 등의 방법으로 콘텐츠를 작성, 저장한다(s510). Next,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mong users us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membership is performed by accessing a web site or an app operat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name, an age, an address, a telephone number, and an e-mail address using the terminal, and may set a nickname if necessary. When the membership is complete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ssigns a personal web page to each user. Therefore,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an create a content using a first user terminal, upload a photograph, a video, or the like, (S510).

만약 사용자가 작성 또는 업로드된 콘텐츠 중에서 공개하기로 결정한 콘텐츠가 있다면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카테고리 정보, 주제어, 키워드 등의 태그 정보 등을 연동하여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여 공개용 콘텐츠와 링크시킨다(s520). 공개용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 중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작성, 업로드된 것 외에도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기본적으로 작성한 것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는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If there is content that the user has decided to publish from the created or uploaded content, the tag information such as category information, main language, keyword, etc. are linked and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nd linked with the content for public use (s520). Among the icons linked to the contents for public use, there may be items that are basically created b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in addition to being input, created and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y.

이어서,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커뮤니티 관리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한 다른 사용자가 커뮤니티 서버에 접속하여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공개용 콘텐츠를 검색한다(s530). 제 2 사용자 단말은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아이콘을 클릭/선택하여 해당 아이콘의 내용이나 해당 아이콘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커뮤니티에 가입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자신의 웹 페이지 공간으로 이동시켜, 해당 아이콘(즉, 그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콘텐츠)을 공유한다(s540). Subsequently, another user who is a member of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s a user who uses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unity server and searches for the content for conversion converted into an icon form (S53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retrieve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y. If the icon is clicked / selected to confirm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icon or the list of other users sharing the corresponding icon, and decided to join the community that shares the content,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web page space of the user, and shares the icon (i.e., the content linked to the icon) with the web page space (S540).

특정 아이콘을 공유한 상태에서 동일한 아이콘을 공유하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아이콘으로 변환된 콘텐츠에 대한 댓글/답글 달기나 콘텐츠와 연계하여 별도의 게시글을 포스팅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다(s550). 뿐만 아니라, 해당 아이콘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메일 형태로 친구 요청 및 친구 요청 승낙이 가능하고(s560). 만약 친구요청이 승낙된 경우라면 다른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다른 사용자 정보라든가 다른 사용자의 개인 웹-페이지에 저장되는 공개용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접근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가 공개 설정한 원래의 콘텐츠에도 액세스할 수 있다. You can see who is sharing the same icon while sharing a certain icon, and you can post a separate post in conjunction with comment / reply or content related to the icon-converted content. (S55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ept a friend request and a friend request in the form of a message or a mail to another user sharing the icon (S560). If the friend request is accepted, the user can go to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other user and access the public contents stored in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other user or the other user information in the icon form or the original contents Access.

필요에 따라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공유된 아이콘과 링크되어 있는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그 콘텐츠와 연계된 형태의 게시글을 포스팅하거나 또는 그와 관련된 별도의 콘텐츠를 작성, 업로드하는 것과 같이 해당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s570).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콘텐츠에 연계하여 추가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아이콘을 공유하여 공유 사용자 사이에서 커뮤니티가 구축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변경한 경우에는 다른 공유자의 단말로 콘텐츠의 변경 여부, 일예로 추가 콘텐츠 작성 여부를 통지하여(s580), 실시간으로 해당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f necessary, a second user terminal may be used to access the content linked to the shared icon, to post the form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r to create and upload separat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S570). In the drawing, for example, an additional content is created in association with a content. When a certain user changes the content in the state where the community is established among the shared users by sharing the icon, the content of the content is changed to the terminal of another sharer,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additional content is created (S58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ontent is changed or not.

상기에서는 예시적인 실시 양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실시 양태를 참고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ll readil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200 : 사용자 단말
300 : 커뮤니티 관리 서버 310 : 통신 인터페이스
320 : 개인 웹 페이지 서버 330 : 콘텐츠 관리 모듈
332 : 아이콘 관리부 334 : 콘텐츠 관리부
340 : 커뮤니티 관리 모듈 342 : 커뮤니티 관리부
344 : 공유사용자 표시부 350 : 통합 메시지 서버
352 : 메일 서버 354 : 메시지 서버
360 : 데이터베이스 서버
100: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200: User terminal
300: Community Management Server 310: Communication Interface
320: Personal web page server 330: Content management module
332: Icon management unit 334: Content management unit
340: Community Management Module 342: Community Management Section
344: Shared user display unit 350: Integrated message server
352: mail server 354: message server
360: Database server

Claims (6)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콘텐츠의 업로드를 가능하게 하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개인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개인 웹 페이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공개용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고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 모듈과;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는 커뮤니티 관리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관리하는 통합 메시지 서버와;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며,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을 상기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상기 개인 웹 페이지에서 공유된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상기 공유된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 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a network;
And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ccessible via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omprises:
A personal web page server for providing a personal web page capable of uploading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content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 content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convert the content for disclosure into an icon form and share the content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community management module for presenting the user who shares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o the user terminal;
An integrated message server for man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s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And a database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user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capable of sharing a content by moving an icon linked to a content to the personal web page and posting a separate article related to the content shared in the personal web page in association with the shared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웹 페이지 서버는,
사용자 등록과 사용자 정보 변경을 관리하며, 개인 웹 페이지에 업로드한 콘텐츠와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웹 페이지 관리 모듈과;
상기 업로드한 콘텐츠 정보와 업로드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 web page server comprises:
A web page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user registration and user information change and manages contents uploaded to a personal web page and contents converted into an icon form;
And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uploaded content information and uploaded user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은,
상기 공개용 콘텐츠를 주제어 또는 키워드 등의 태그정보에 맞추어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는 아이콘 관리부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n icon management unit for converting the content for public use into an icon form according to tag information such as a keyword or keyword;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contents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by categ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모듈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커뮤니티 관리부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는 공유사용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ty management module comprises:
A community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is changed,
And a shared user display unit for presenting, to the user terminal, other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verted contents in the icon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서버는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친구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사용자의 메일로 전송하는 메일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친구 요청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친구 승낙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공유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l server for transmitting friend request data to a mail of another user sharing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content to the mail of the user;
Transmitting a friend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another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friend acceptance request from the other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a message server for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terminal.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 1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c) 제 2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콘텐츠와 링크된 아이콘을 상기 제 2 사용자의 개인 웹 페이지로 이동시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계와;
(d)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제시하여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로 친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2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친구 승낙을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를 변경하면, 상기 커뮤니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콘 형태로 변환된 콘텐츠의 변경 여부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후, 상기 제 1 또는 제 2 사용자는 개인 웹 페이지에서 공유된 콘텐츠와 관련된 별도의 게시글을 상기 공유된 콘텐츠에 연계하여 포스팅 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a community management server connected from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a network,
(a) a first user uploading content using a first user terminal;
(b) converting the uploaded content into icon form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c) a second user searches for the content converted to the icon form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moves the icon linked with the content to the personal web page of the second user, Sharing;
(d) establishing a community by presenting user information sharing the contents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e) the first or second user sends a friend request to the second or first user terminal, respectively, using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or first user sending friend acknowledgment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respectively, using the second or first user terminal, respectively;
(f) when the first or second user changes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using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respectively, the communit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icon to the first or second user terminal And notifying whether the content converted into the icon form is changed or not,
Wherein, after step (c), the first or second user can post a separate article related to the contents shared on the personal web page in association with the shared contents.
KR1020190058014A 2019-05-17 2019-05-17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KR201900572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14A KR20190057239A (en) 2019-05-17 2019-05-17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14A KR20190057239A (en) 2019-05-17 2019-05-17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336A Division KR20140058898A (en) 2012-11-07 2012-11-07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39A true KR20190057239A (en) 2019-05-28

Family

ID=6665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014A KR20190057239A (en) 2019-05-17 2019-05-17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72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191B2 (en) Creation of real-time conversations based on social location information
US1031853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an interface to view and explore socially relevant concepts of an entity graph
JP5905017B2 (en) Content sharing interface for sharing content within social networks
CA2948922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commerce transactions in messaging via search, discussion and agent prediction
US20080250332A1 (en) Social networking website interface
CN105830065A (en) Generating recommended search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2340228B1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ing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121991B2 (en) User terminal and search server providing a search service using emotico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20001175A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mobile microblogging service using contextual social network
CN103678624A (en) Searching method, searching server, and searching request executing method and terminal
KR100707969B1 (en) Method for providing the sympathy of the classified objects having the proper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KR102053980B1 (en)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Providing Contents For The Same
US20150350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with People and Business based on Proximity, Interest, availability, and a 16 view proximity based chat
KR20060111813A (en) Shadow community producing system matched to a variable area of an internet bas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90057239A (en)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KR20120044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enabling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KR20140058898A (en) System and process of provid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using iconized contents sharing
KR101166987B1 (en) Identity constructing and applying system and method
KR2007003241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on Board in Private Webpage
KR20030071276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hoto contents, information and a home community based on Internet
KR2011000641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event 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