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988A -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988A
KR20190049988A KR1020170144571A KR20170144571A KR20190049988A KR 20190049988 A KR20190049988 A KR 20190049988A KR 1020170144571 A KR1020170144571 A KR 1020170144571A KR 20170144571 A KR20170144571 A KR 20170144571A KR 20190049988 A KR20190049988 A KR 2019004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derwater motor
buoyant
body portion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택
Original Assignee
성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택 filed Critical 성기택
Priority to KR102017014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9988A/en
Priority to PCT/KR2018/012630 priority patent/WO2019088554A1/en
Publication of KR2019004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a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cy body formed to be possible to be worn; a body unit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a propellant unit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unit, having an underwater motor into which a propeller is shaft-inserted, and providing thrust for moving the body unit; a batte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underwater motor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underwater motor;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body uni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battery unit and controlling on-off opera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wherein the bod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Description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suit having underwater propul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노쿨링을 위한 수상 레저장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영이 익숙하지 못한 해양레저 비전문가들도 쉽고 안전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suit equipped with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t suit for snorkeling, and also to provide marine leisure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swimming easily and safely. And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부력재를 사용한 조끼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구명 조끼의 내부에는 물에 뜨는 부력재가 구성되어 있는 바, 사람이 물에 빠졌을 경우 물에 빠진 사람이 물에 쉽게 뜨도록 함으로써, 수영을 하지 못하더라도 물에 의한 질식사를 방지하고 있다.Generally, a life jacket is made of a vest using a buoyant material, and the inside of the life jacket is made up of buoyant material that floats in the water. When a person falls into the water, Even if you do not, you are preventing suffocation by water.

이러한 구명조끼는, 해상의 선박이나 또는 보트를 타는 경우 착용하는 필수 요소로서, 수영을 하지 못하는 사람도 물에 빠지게 되는 긴급상황 시에 구명조끼의 부력에 의해 사람이 물에 가라앉지 않고 뜨도록 하여 물에 의한 질식사를 방지토록 하고 있다.These lifesaving vests are essential elements to be worn when riding a ship or boat, and in case of an emergency where a person who can not swim falls into the water, the buoyancy of the life vest causes the person to float without sinking To prevent suffocation by water.

특히, 구명조끼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래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 중의 하나로서, 수상 활동에 있어서 수면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갖고 있다.Particularly, a life vest is one of the water safety articles to be wor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when playing water and leisure sports such as watering in a river or sea, windsurfing, rafting, It has a basic function that raises the body and an additional function that prevents the body temperature from being lowered by water and shock from the outside.

통상 사용되는 종래의 구명조끼는,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튜브를 제공하고, 이곳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공기주입식은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고,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구명조끼의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발포수지의 부력재가 제공된 방식의 구명조끼가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life jackets conventionally used are largely divided into a system in which a tube is provided in a space portion between an inner skin and an outer skin, air is injected into the space, and a buoyancy material made of a foam resi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skin. The air injection type is inconvenient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and in case of damaging the tube, the life vest loses its function. Therefore, in most cases, a life jacket of the type provided with a buoyant material of a foaming resin is used.

그러나, 종래의 구명조끼의 경우 단순하게 조난자 즉 물에 빠진 사람을 물에 뜨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물에 빠진 조난자가 장시간 물에 떠 있는 상태로 있으면 체온저하나 체력소모에 의해 신체리듬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어 인명사고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ife jacket, only the victim, that is, a person who falls into the water, is only functioned to float the water, so that if the victim falls into the water for a long time, The rhythm is suddenly dropped and problems such as human accidents occur.

또한, 사람이 빠진 장소가 파도가 한 곳으로 모이는 소용돌이 지점이거나, 또는 조류가 심한 지역, 또는 급물살이 일어나는 지역일 경우에는 오히려 부력에 의해 떠 있는 구명조끼에 의해 조난자가 심하게 요동하거나, 조류에 의해 떠내려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case where the place where the person is missing is a whirlpool spot where the waves are gathered in one place, or in the area where the bird is severe, or in the area where the storm occurs, the survivor vigorously fluctuates by the life vest floating by buoyancy, There is a problem that drifts away.

이와 같이, 사람이 빠진 장소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구조작업이 어렵고, 구조하는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조난자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가 장시간에 걸쳐 물속에 입수된 상태로 놓이게 되면, 저체온증이나 탈진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자칫 조난자의 생명까지 위태로울 수 있는 큰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Thus, if the person is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person is missing, the rescu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rescue time is delayed. Therefore, if the body other than the victim's face is kept in the water for a long time, hypothermia or exhaustion It is exposed to the great danger that the life of the victim can be jeopardized.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체를 몸체부에 일체로 설치하고, 이러한 몸체부를 구명조끼로 이루어진 부력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본래 구명조끼 기능 및 추진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스노쿨링을 위한 수상 레저장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영이 익숙하지 못한 해양레저 비전문가들도 쉽고 안전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pump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 life jacket function and a propellant function by integrally installing a propellant on a body part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body part to a buoyant body made of a life jacke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oyant suit equipped with a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for allowing marine leisure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swimming to easily and safely enjoy water and leisure.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은 착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영역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고, 프로펠러가 축설된 수중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부, 상기 수중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몸체부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모터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영역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t bumper having th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t body to be worn, a body coupled to a mounting region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uoyant body, a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 submergible motor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part, the submerged motor being connected to the submergible moto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ubmergible moto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controlling the on / off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wherein the bod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region.

이러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와의 결합을 위해 테두리를 따르며 마련되는 복수개의 체결 홀을 구비한다.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reg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provided along the rim for engagement with the buoyant body.

여기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장착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며 상기 체결 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결합 홀을 구비한다.Here, the buoyant body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along the rim of the mounting region, and has a fastening hole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그리고, 상기 추진체부는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프로펠러를 내부에 수용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장착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보호체를 구비한다.The propellant unit includes a body accommodated in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propeller, the body being coupled to the mounting region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And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추진체부와 이격되도록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촬영수단이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결합 마운트를 구비한다.The body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ushing body portion, and includes a coupling mount for guiding the imaging means to be engaged.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부력체의 후면에 마련된 수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battery uni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uoyancy member and fixed in position.

또한,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된 조끼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 및 후면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uoyant body is in the form of a vest having a buoyancy member inserted therein, and has an adjustment member coupled to both sides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중모터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witch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on / off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본 발명은, 추진체를 몸체부에 일체로 설치하고, 이러한 몸체부를 구명조끼로 이루어진 부력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본래 구명조끼 기능 및 추진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스노쿨링을 위한 수상 레저장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영이 익숙하지 못한 해양레저 비전문가들도 쉽고 안전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ulsion body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the body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uoyancy body made of the life vest, whereby the life vest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propulsion body can be selectively used, Not only can it be used as a leisure equipment, but also marine leisure non-experts who are not accustomed to swimming can easily and safely enjoy water leisure.

또한, 본 발명은 추진체의 속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속이 빠른 강이나,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지점과 같은 조난장소를 빠르게 벗어나게 할 수 있게 하여 조난자가 떠내려 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speed of the propellant can be adjus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lease a distress place such as a river having a high flow rate or a point where a whirlpool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a risk of a victim being washed away .

아울러, 본 발명은 부력체에서 몸체부를 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력체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 편의성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part can be detached from the buoyant body,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uoyant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ease of use and cost reduc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대한 부력체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대한 부력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uoyant bicycle having a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buoyant body for a buoyant bicycle having a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of a buoyant body for a buoyant bucket having a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view of a coupled state of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a coupled state of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대한 부력체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buoyant bicycle having a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buoyant body with a buoyant body provided with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에 대한 부력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에 대한 결합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rear view of a buoyant body with a buoyancy device including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view of a buoyan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은 부력체(100), 몸체부(200), 추진체부(300), 배터리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uoyant buoy having th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uoyant body 100, a body portion 200, a pushing body portion 300, a battery portion 400, (500).

부력체(100)는 사용자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구명조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몸체부(2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The buoyant body 100 is formed to be wearable by the user,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lifejacket, and is formed so that the body 2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즉, 부력체(100)는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장착영역(A)이 형성되어 장착영역(A)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200)가 결합되도록 한다.That is, the buoyant body 100 has a shape in which a buoyan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uoyant body 100 so that the buoyant body 100 can float in the water, and a mounting region 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oyant body 100 to form a body portion 200 are coupled.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영역(A)에는 부력체(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몸체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체결 홀(H)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결합 홀(100a)이 구비되며, 그에 따라 체결 홀(H)을 관통한 볼트, 핀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600)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장착영역(A)에 몸체부(2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in the mounting area A,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H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body part 200 for coupling with the buoyant body 100, And a fastening member 600 including a bolt and a pi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H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H so that the body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 So that it can be fixedly installed.

상기와 같은 볼트, 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600)의 체결 방식은 하나의 예에 해당할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부력체(100)에 몸체부(200)를 확실하게 결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600 such as the bolt and the pin may be fastened to the buoyant body 100 in a variety of ways to securely couple and fix the body 200 to the buoyant body 100 May be possible.

또한, 부력체(100)는 전면 및 후면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지퍼의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부재(11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전면 및 후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측면은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체형이 큰 경우 전면 및 후면의 간격이 초기 간격 보다 늘어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uoyant body 100 may include a control member 11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n the form of a zipper so as to control the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when the user's body shape is large, the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larger than the initial gap.

몸체부(200)는 장착영역(A)에 결합되며, 수중 추진 장치의 골격을 형성한다.The body part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area A and forms the skeleton of th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몸체부(2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형태가 고정되게 이루어진 재질로 형성되며, 장착영역(A)이 형성된, 즉 몸체부(2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부력체(100)의 장착영역(A)에 결합된다.The body portion 20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that is fixed in the shape of a plastic and is formed in a mounting region A of the buoyant body 100 in which the mounting region A is formed, ).

이러한 몸체부(200)는 체결부재(600)의 분리를 통해 장착영역(A)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부력체(100)에 대한 단독적인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해양리조트, 청소년 해양체험교육 등의 수상레저기구 체험사업을 위한 판매나 대여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장 발생 시 몸체부(200)만 교체하여도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에 따른 비용 절감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region A through sepa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600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buoyant body 100 is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use in the case of use for sale or rent for a water leisure facility experience business such as a youth marine experience training and the like, and only the body part 200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a trouble, , As well as cost savings due to replacement and repair.

추진체부(300)는 몸체부(200)의 전면에 결합되고, 프로펠러(302)가 축설된 수중모터(304)를 구비하여 몸체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한다.The propeller body 3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200 and includes a propeller 302 with an underwater motor 304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for moving the body part 200.

이러한 추진체부(300)는 서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몸체부(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 모듈화 되어 수중모터(304)의 구동에 따라 몸체부(200)로 추진력을 제공한다.These propelling body part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art 200 and are modulariz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body part 2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underwater motor 304.

추진체부(300)는 몸체(310) 및 보호체(320)를 구비한다.The propelling body portion 300 includes a body 310 and a protector 320.

먼저, 몸체(310)는 수중모터(304) 및 수중모터(30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302)를 내부에 수용하며, 장착 마운트(312)에 의해 몸체부(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First, the body 310 houses a propeller 302 which rotates by the driving of an underwater motor 304 and an underwater motor 304 and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200 by a mounting mount 312 .

이는, 몸체(310)에 의해 프로펠러(302) 및 수중모터(304)가 몸체부(200)에 장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302) 및 수중모터(304)에 대한 고정 및 설치를 용이하게 가이드 하고, 수중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allows the propeller 302 and the underwater motor 304 to b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200 by the body 310 and prevent the propeller 302 and the underwater motor 30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and installed, and can be protected from water.

또한, 보호체(320)는 몸체(3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며, 수중에서 프로펠러(302) 및 수중모터(30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ector 32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310 and protects the propeller 302 and the underwater motor 304 from each other.

즉, 보호체(320)는 복수개의 개방 홀이 형성된 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중에 떠있는 프로펠러(302)의 회전을 방해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 부유물이 몸체(3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중에서 프로펠러(302) 및 수중모터(304)를 보호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ector 320 is formed in a net shape having a plurality of open holes to prevent the suspended body having a size enough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302 floating in the water from being drawn into the body 310 The propeller 302 and the underwater motor 304 can be protected from the water.

배터리부(400)는 장착커버(410)에 장착되고, 수중모터(3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중모터(304)로 전력을 공급한다.The battery unit 4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cove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304, and supplies power to the underwater motor 304.

또한, 배터리부(400)는 몸체부(20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길이를 가지는 연결라인(420)에 의해 몸체부(200)와 이격되어 연결되며, 몸체부(200)에 구비된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수중모터(304)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battery unit 400 is not connected to the body unit 200 but is separated from the body unit 200 by a connection line 420 having a length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500 so that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underwater motor 304.

그에 따라, 배터리부(400)는 몸체부(200)와 이격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몸체부(200)의 무게를 줄여 추친제부(300)의 추진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 교체가 용이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since the battery uni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unit 200, the weight of the body unit 200 can be reduc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driving force of the supplementary unit 300, So that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이 몸체부(200)와 이격되어 연결된 배터리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100)의 후면에 마련된 수납부재(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4, the battery unit 40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ody unit 200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12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00, have.

이는, 추진체부(300)에 대한 추진력 향상 및 교체 용이성을 위한 것으로서, 부력체(100)의 후면에 마련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 부족 시 연결라인(420)의 제거만으로 배터리부(400)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중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관리자에 의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pushing body 300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pulsive force of the pushing body 300 and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unit 400 by the removal of the connecting line 420 So that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water, the replacement by the administrator is possible.

한편, 제어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 후면에 결합되어 수중모터(304) 및 배터리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중모터(304)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5, the control unit 5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304 and the battery unit 400, There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이러한 제어부(500)는 몸체부(200)의 전면으로 노출된 전면커버(210)에 의해 몸체부(200)의 후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스위치(510)와 연결되어 수중모터(30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5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by the front cover 210 exposed to the front of the body 200 and is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switch 510, As shown in FIG.

스위치(510)는 몸체부(200) 상에 모듈화 되어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수신부(512)에 의해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수중모터(304)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작한다.The switch 510 is modularized on the body 200 and exposed to the front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by the receiving unit 512 to selectively operate the on / off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304 do.

스위치(510)는 버튼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나, 레버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switch 5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or the like.

여기서, 스위치(510)는 수중모터(304)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510) 및 수중모터(304)의 회전 속도를 조작하는 스위치(510)로 두 개의 스위치(510)가 설치되어 있으나, 더 많은 개수의 스위치(510)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switch 510 is provided with two switches 510 as a switch 510 for turning on and off the underwater motor 304 and a switch 510 for oper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304, A greater number of switches 510 may be provided.

즉, 추진체부(300)의 경우에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몸체부(200)의 양측에 마련되므로, 스위치(510)는 이러한 추진체부(300)에 대한 개별적인 속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ushing body portion 300, the pair of pushing bodi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00, so that the switch 510 is provided in a pair so that the speed control of the pushing body portion 300 can be performed separately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그에 따라, 스위치(510)는 몸체부(200)의 방향 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전환 방향의 반대측에 결합된 추진체부(300)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몸체부(200)의 양측에 마련된 스위치(510) 중 하나의 스위치(510)를 조작하여 몸체부(200)의 용이한 방향 전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switches 5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00 so as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pushing body 300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witching direction when it is desi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dy 200. [ 510 may be operated to control the switching of the body part 200 in an easy direc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는 추진체부(300)와 이격되도록, 더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추진체부(300) 사이의 몸체부(200)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마운트(220)를 구비한다.6, the body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pushing body part 300, more specifically, is connected to the center part of the body part 200 between the pair of pushing body parts 300, (220).

이러한 결합 마운트(220)는 몸체부(200)의 전면 중앙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촬영수단(7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 한다.The coupling mount 220 protrudes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200 and guides the imaging unit 700 to be coupled.

즉, 결합 마운트(220)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결합된 마운트로 이루어진 촬영수단(7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핀과 같은 부재의 관통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촬영수단(700)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달라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촬영 영역에 대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coupling mount 220 guides th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means 700 composed of a mount coupled to the camera to be coupled, and can be fixed by the penetration of a member such as a pin,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shooting area.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장치의 경우 스노쿨링을 위한 수상 레저장비로 사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마운트(220)에 결합된 촬영수단(700)을 통해 수면 아래 환경에 대한 촬영 및 녹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원하는 촬영 영역으로의 각도 조절 또한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촬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underwa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water and leisure equipment for snorkeling,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d record the environment under the water through the photographing means 700 coupled to the engaging mount 220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to a desired photographing area, effective photographing can be made possible.

본 발명은, 추진체를 몸체부에 일체로 설치하고, 이러한 몸체부를 구명조끼로 이루어진 부력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본래 구명조끼 기능 및 추진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스노쿨링을 위한 수상 레저장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영이 익숙하지 못한 해양레저 비전문가들도 쉽고 안전하게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ulsion body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the body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uoyancy body made of the life vest, whereby the life vest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propulsion body can be selectively used, Not only can it be used as a leisure equipment, but also marine leisure non-experts who are not accustomed to swimming can easily and safely enjoy water leisure.

또한, 본 발명은 추진체의 속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속이 빠른 강이나,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지점과 같은 조난장소를 빠르게 벗어나게 할 수 있게 하여 조난자가 떠내려 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speed of the propellant can be adjus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lease a distress place such as a river having a high flow rate or a point where a whirlpool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a risk of a victim being washed away .

아울러, 본 발명은 부력체에서 몸체부를 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력체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 편의성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part can be detached from the buoyant body,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uoyant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ease of use and cost reduction.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some of the elements (s) may be optionally construct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부력체 100a : 결합 홀
110 : 조절부재 120 : 수납부재
200 : 몸체부 210 : 전면커버
220 : 결합 마운트 300 : 추진체부
302 : 프로펠러 304 : 수중모터
310 : 몸체 312 : 장착 마운트
320 : 보호체 400 : 배터리부
410 : 장착커버 420 : 연결라인
500 : 제어부 510 : 스위치
512 : 수신부 600 : 체결부재
700 : 촬영수단 A : 장착영역
H : 체결 홀
100: Buoyant body 100a: Coupling hole
110: regulating member 120: storage member
200: body portion 210: front cover
220: coupling mount 300: propelling body
302: Propeller 304: Underwater motor
310: body 312: mounting mount
320: Protective body 400: Battery part
410: mounting cover 420: connecting line
500: control unit 510: switch
512: receiving part 600: fastening member
700: photographing means A: mounting area
H: fastening hole

Claims (8)

착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영역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고, 프로펠러가 축설된 수중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부;
상기 수중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몸체부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배터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모터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영역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A buoyant body formed to be wearable;
A body coupled to a mounting region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uoyant body;
A propelling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underwater motor in which a propeller is installed and providing a propulsion force for moving the body portion;
A batte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motor; And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battery unit and controlling on / off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Wherein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와의 결합을 위해 테두리를 따르며 마련되는 복수개의 체결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region and provided along a rim for coupling with the buoyant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장착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며 상기 체결 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결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oyant body,
And an engag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along the rim of the mounting region,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being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comple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부는,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프로펠러를 내부에 수용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장착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중모터 및 상기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보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pellant portion,
A body accommodating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propeller therein and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unting reg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protector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for protecting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prope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추진체부와 이격되도록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촬영수단이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결합 마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mount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pelling body and guiding the imaging means to be coupled to the buoyan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부력체의 후면에 마련된 수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unit includes:
Wherein the buoyancy member is inserted into a housing memb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buoyancy member and fixed in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된 조끼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 및 후면에 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t body,
And a control member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uoyancy memb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oyancy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중모터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switch which is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on / off and rotation speed of the underwater motor.
KR1020170144571A 2017-11-01 2017-11-01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KR20190049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71A KR20190049988A (en) 2017-11-01 2017-11-01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PCT/KR2018/012630 WO2019088554A1 (en) 2017-11-01 2018-10-24 Life jacket having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71A KR20190049988A (en) 2017-11-01 2017-11-01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988A true KR20190049988A (en) 2019-05-10

Family

ID=6633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571A KR20190049988A (en) 2017-11-01 2017-11-01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49988A (en)
WO (1) WO201908855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234A (en) * 2020-04-21 2020-06-26 诸暨市勇远箱包有限公司 Diving power backpack for preventing diver from diving into deep water
WO2021137617A1 (en) * 2020-01-02 2021-07-08 정현수 Underwater activity assistanc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349A1 (en) * 2019-05-15 2020-11-19 Inroon Apipu Water jet scooter backpack suit
CN111516829A (en) * 2020-05-14 2020-08-11 张羽 Floating armor and power control system
CN111994227B (en) * 2020-09-02 2022-07-12 东台市海鸥航海设备有限公司 Safety life jacket with rear-mounted folding mechanism
CN114180007A (en) * 2021-12-29 2022-03-15 哈尔滨工程大学 Wearable underwater rescu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750B2 (en) * 2008-04-12 2010-07-13 Hector Gutierrez Electrically powered balanced buoyancy and velocity of movement controllable life-preserving vest and transport system
KR100967491B1 (en) * 2009-10-19 2010-07-07 안재주 Life jacket with screw
KR100986412B1 (en) * 2010-07-01 2010-10-08 안재주 Jet principle using underwater propulsive equipment
US8834222B2 (en) * 2010-12-29 2014-09-16 Taylor Walker Ewing Flotation device with waterproof speakers and pocket
KR20140005564U (en) * 2013-04-18 2014-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fe jacket with a function of adjusting size and buoyanc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617A1 (en) * 2020-01-02 2021-07-08 정현수 Underwater activity assistance apparatus
KR20210087255A (en) * 2020-01-02 2021-07-12 정현수 Assistance apparatus for underwater activity
CN111330234A (en) * 2020-04-21 2020-06-26 诸暨市勇远箱包有限公司 Diving power backpack for preventing diver from diving into deep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554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9988A (en)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ES2826753T3 (en) Aquatic device with hydrofoil and propulsion system with electric motor
KR101482486B1 (en) Remote controlled motorized rescue buoy
US20110201238A1 (en) Electric Powered Surfboard Propulsion and Control Systems
US5105753A (en) Multi-purpos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US3042945A (en) Swimmer's sled
US9878211B1 (en) Propulsion system
US20050124234A1 (en) Remote marine craf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86412B1 (en) Jet principle using underwater propulsive equipment
US10668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ized sit down hydrofoil
US20150209622A1 (en) Personal Aquatic Propulsion Device
KR102178020B1 (en) Propulsive power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water drone and remote control water drone comprising the same
CN108583814A (en) A kind of waters rescue aid
RU2718826C1 (en) Control system of floating life-saving device with small impellers on compressed airflow at remote control
KR100967491B1 (en) Life jacket with screw
WO2000040459A1 (en) Propulsion device for snorkel board
US3259926A (en) Life sphere
US3791327A (en) Marine diver vessel
US20160251065A1 (en) Diving equipment
US6976445B1 (en) Submarine
KR102468980B1 (en) Surfing board with battery for drone
KR20220138882A (en) Improved thrust, underwater buoyant vest
KR20170111555A (en) A surf board with propulsive apparatus
US20040072480A1 (en) Propeller protector slipper
CN212951062U (en) Motor-driven life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