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164A -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164A
KR20190028164A KR1020170115278A KR20170115278A KR20190028164A KR 20190028164 A KR20190028164 A KR 20190028164A KR 1020170115278 A KR1020170115278 A KR 1020170115278A KR 20170115278 A KR20170115278 A KR 20170115278A KR 20190028164 A KR20190028164 A KR 2019002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driving
setting
sta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7011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164A/en
Publication of KR2019002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2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applying the staples on the outside of the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stapler and a compression strength controlling method thereof. The circular stapler comprises: a stapling unit which staples a stapling part by discharging a staple to the stapling part; a handle unit which generates a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staple by the operation of an operator; a driving unit which generates driving force to move an anvil head arranged in the stapling unit in back and forth directions;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o control strength compressing the stapling part by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a head unit and the anvil head based on setup strength set by the oper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ontrol compression strength added to the stapling part stapled by discharging the staple after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the anvil head and the head unit according to setup strength set by the operator.

Description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staple,

본 발명은 원형 문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합 부위의 특성에 따라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는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a staple to be fir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anastomosis site,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knitting strength thereof.

문합(anastomosis)이란 식도, 위, 대장, 소장과 같은 인체의 장질환과 관련된 절단수술 후 장기의 절단된 부분을 접합하는 것으로, 문합수술은 인체에서 식도암에 의한 식도 부분제거수술 후의 식도재건, 위암에 의한 위 제거수술 후 식도와 십이지장의 접합, 대장암 등과 같은 대장질환에 의한 대장 부분제거수술 후 대장의 재건, 직장에 생기는 병변 제거수술 후 직장 재건수술 등의 경우에 수행되는 접합수술 등에 적용되고 있다. Anastomosis is an abdominal aortic anastomosis that is connected to a cut part of the body after cutting operation related to intestinal diseases such as esophagus, stomach,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astomosis is an esophageal reconstruction after esophageal partial removal surgery, Removal of the colon due to colon diseases such as esophageal and duodenal junctions after surgery, surgery for reconstruction of the colon after surgery, removal of lesions on the rectum, rectal reconstruction after surgery, etc. have.

최근까지는 고전적인 수봉합에 의한 단순문합술이 시행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시술방식 중 하나이다. Until recently, a simple anastomosis with a suture technique has been performed and i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methods to date.

그러나, 수봉합에 의할 경우 봉합수술 후 문합 부위의 누출발생으로 인한 합병증 및 이로 인한 2차변화의 진행으로 많은 경우에 문합 부위의 협착이 발생하며, 이것은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However, in the suture of the anastomotic site, the anastomosis resulting from leakage of the anastomotic site and the subsequent secondary changes lead to stenosis of the anastomotic sit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prognosis of the patient. .

최근 들어, 관형 장기의 외과수술에 사용되는 수술도구로서 원형 문합기가 상술한 문합수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circular surger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above-described anastomosis surgery as a surgical tool used for surgical operations of tubular organs.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헤드부, 연결부 및 핸들부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The circular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de up of three parts: a head part, a connecting part and a handle part.

상기 헤드부는 수술시 스테이플러에 의해 창자를 문합하고 불필요한 연조직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부는 수술시 창자의 형태나 수술부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분이며, 상기 핸들부는 문합시 창자 연조직의 인터페이스 압력을 조절해주고 문합을 위한 스테이플러를 발사하며 연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기계적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The head portion is a por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titching the intestines by a stapler during surgery and cutting unnecessary soft tissue,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bowel or a surgical site during surgery, It is the part that regulates the interface pressure of the soft tissue of the intestines and fires a stapler for anastomosis and generates mechanical power to cut the soft tissu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형 문합기는 핸들부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선단부에 다수의 'ㄷ' 형상 스테이플을 원주상에 배치한 베드 및 스테이플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드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되는 앤빌을 포함한다.The circular mounter configured in this way includes a bed on which a plurality of " C " shaped staples are circumferentially arranged at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andle portion, and an anvil standing at a position facing the bed to deform the staple .

따라서, 베드와 앤빌을 관형의 장기의 내부에 삽입하고, 베드와 앤빌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 후 스테이플을 타출하여, 대향하는 앤빌면에 설치된 홈에 의해 스테이플을 변형시킴과 동시에, 스테이플 열의 내측에 남은 여분의 조직을 스테이플 열의 내측에 배치된 원형 나이프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문합을 완성한다.Therefore, the staple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bed and the anvil into the tubular organs, the distance between the bed and the anvil is reduced, the staples are struck, the staple is deformed by the grooves provided on the opposing annular surfaces, And the remaining extra tissue is cut by a circular knife disposed inside the staple row to complete the anastomosis.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5392979호U.S. Patent No. 5392979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5205459호U.S. Patent No. 5205459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상기의 세부분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시술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수동식 기구로서, 해부학적 위치, 예를 들어 장 사이즈나 두께 등의 문합 부위의 특성, 개체 및 성별, 나이 등 수술 대상자의 미세하고 다양한 차이에 따른 문합 인터페이스의 압력이 고려되지 않고 설계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a circular anchor is integrated with the above-mentioned details and is a hand-operated mechanism that depends on the operator's senses. It is an anatomical position, for example, characteristics of an anastomotic site such as a long size or thicknes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of the anastomotic interface was designed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inute and various differences of the operation subjects.

즉,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앤빌헤드와 헤드부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함에 따라, 장의 사이즈나 두께에 따라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since the anvil head and the head portion always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the circular anch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ength for squeezing the anastomotic site can not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ntestine.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시술자의 감각이나 경험에 따라 시술함에 따라, 문합 부위의 수술 후에 누출 또는 협착과 같은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As a result, the circular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vides a cause for causing diseases such as leakage or stenosis after the operation of the anastomosis site as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e or experience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합 부위의 특성에 따라 스테이플을 발사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ircular stapler which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titching an anastomotic site by emitting stap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astomosis site,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compression strength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자의 설정에 따라 스테이플을 발사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r stapler which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tapling by firing staple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a practitioner,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crimping strength thereof.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문합기는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헤드부와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circular se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astomosing portion for emitting staples to an anastomosing portion to join an anastomotic portion; a handle portion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emitting staples by operation of a practitioner; A driving par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anvil head provided in the anastomotic par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nd a driving part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anastomotic par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navel head based on the set intensity set by the practitio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은 (a) 설정부를 이용해서 시술자로부터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 강도를 설정받는 단계, (b) 제어부에서 상기 (a)에서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압착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엔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부와 상기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및 (d) 핸들부의 레버를 회전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해서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상기 헤드부와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djust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a circular anchor, comprising the steps of: (a) setting a compressive strength applied to an anastomotic site from an operator using a setting unit; (b)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pression strength based on the set intensity set in (a) at the control unit, (c) moving the envelope hea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n the driving unit, (D) transmitting an operation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of the handle portion to the head portion and firing the staple to join the anastomotic portion, wherein the step (a) And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anastomosis sit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oscope and the endosco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에 의하면,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앤빌헤드와 헤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anvil head and the head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 strength set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staple is fired and the compression strength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 부위의 특성과 상이한 압착강도로 수술 한 경우에 발생하는 누출이나 협착과 같은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llness such as leakage or stenosis, which is caus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t a compression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anastomosis sit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문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앤빌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각각 스테이플의 기본 형상 및 문합 부위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문합 부위의 특성에 따라 압착강도가 조절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ircular sea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lar mantle shown in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vil head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basic shape of the staple and a process of fastening the staple to an anastomosing reg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ompression str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stomosis site,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steps of adjusting the crimp strength of a circular sea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원형 문합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테이플 수용구와 앤빌이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합기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ircular stapler using stapl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taplers having staple receptacles and anvil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문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앤빌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lar insulato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vil head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right', 'forward', 'rearward', 'upward' and 'downward' are defined as indicating respective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s shown in the respective drawings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20),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30), 문합부(20)에 마련된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40) 및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헤드부(21)와 엔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ircular sealer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stomosis portion 20 for emitting staples at an anastomosis site and mating an anastomotic site, and a stapler 20 for emitting staples A driving unit 4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anvil head 22 provided in the anastomosing unit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driving unit 40 for driving the head unit 21 An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so as to adjust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anastomosis sit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nvil head 22 and the anvil head 22. [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10)는 시술자로부터 상기 설정강도를 설정받는 설정부(60),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 그리고 설정된 설정강도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ircular insulator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unit 60 for setting the setting intensity from a practitioner, a power unit 7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device, And a display unit 80 for displaying the image.

문합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테이플을 수용하고 구동부(4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헤드부(21)와 헤드부(21) 선단에 결합되는 앤빌헤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anchor portion 20 includes a head portion 21 for receiving staples therein and for emitting staples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portion 40, And an anvil head 22 coupled thereto.

헤드부(21)에는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스테이플 수용구(23)가 마련되고, 앤빌헤드(22)에는 발사된 스테이플이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앤빌(24)이 마련될 수 있다. The head part 21 is provided with a staple receiving port 23 for receiving staples and the anvil head 22 may be provided with an anvil 24 for guiding the staple to be deflected.

이와 함께, 헤드부(21)에는 문합 부위에서 스테이플로 고정될 부분의 내측에 있는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커터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21 may be provided with a cutter for cutting unnecessary portions inside the portion to be stapled at the staple portion.

그리고 헤드부(21)의 선단에는 투관침(27)이 마련되고, 앤빌헤드(22)의 후단에는 투관침(27)에 결합되는 앤빌샤프트(28)가 마련될 수 있다. A trocar 27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head 21 and an anvil shaft 28 coupled to the trocar 27 at the end of the anvil head 22.

그래서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는 서로 문합하고자 하는 문합 부위의 제1 조직 측에 헤드부(21)를 배치하고, 제2 조직 측에 앤빌헤드(22)를 배치한 상태에서 투관침(27)과 앤빌샤프트(28)를 결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21 and the anvil head 22 are arranged such that the head portion 21 is disposed on the first tissue side of the anastomotic site to be anastomosed to each other and the anvil head 22 is disposed on the second tissue side. (27) and the anvil shaft (28).

한편, 도 4는 각각 스테이플의 기본 형상 및 문합 부위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asic shape of the staple and the process of being fastened to the anastomosis site.

스테이플(11)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사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바(12)와 베이스바(11)의 양단에 발사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바(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A, the staple 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includes a base bar 12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firing direction, And a pair of protruding bars 13 protruding from one another.

이러한 스테이플(11)은 도 4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수용구(23)에서 발사되면, 한 쌍의 돌출바(13)가 앤빌(24)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25)에 접촉되면 오목부(25)의 형상에 따라 휘어진다. 4 (b) to 4 (d), when the staple 11 is fired at the staple receiving port 23, a pair of the protruding bars 13 are pulled out of the pair of staples 11 And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5)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25).

즉, 헤드부(21)와 접하는 앤빌헤드(22)의 후단에는 앤빌(24)이 형성되고, 앤빌(24)의 후면에는 헤드부(21)에 형성된 스테이플 수용구(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쌍의 오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nvil 2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nvil head 22 in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21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ple receiving opening 23 formed in the head portion 21 on the rear face of the anvil 24 A plurality of pairs of concave grooves 24 can be formed.

여기서, 각 쌍의 오목부(25)는 단면이 반원 형상이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오목부(25) 사이에는 돌출부(26)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cave portions 25 of each pair are concave so as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and protrusions 26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25 of each pair.

돌출부(26)의 양면은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25)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돌출부(26)의 최상단은 중앙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26 are forme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pair of recesses 25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6 can be formed wider than the center.

그래서 한 쌍의 돌출바(13)는 각각 한 쌍의 오목부(25) 형상을 따라 먼저 한 쌍의 오목부(25) 사이의 돌출부(26)를 향해 휘어지고, 돌출부(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곡면을 형성한 후, 다시 한 쌍의 오목부(25) 형상을 따라 돌출부(26)를 향해 휘어진다. The pair of protruding bars 13 are respectively bent along the shape of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25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26 between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25 a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protruding portion 26 And curved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26 along the shape of the pair of recesses 25 again.

따라서 한 쌍의 돌출바(13) 선단부는 각각 최종적으로 대략 링 형상으로 말아진다. Accordingly, the tip portions of the pair of projecting bars 13 are finally rolled into a substantially ring shape.

이에 따라, 수술 과정에서 문합하고자 하는 문합 부위의 제1 조직(14)과 제2 조직(15)이 스테이플(11)에 의해 문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tissue 14 and the second tissue 15 at the anastomotic site to be anastomosed in the surgical procedure can be stapled by the staple 11.

한편, 문합하고자 하는 문합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와 특성, 개체 및 성별, 나이 등 수술 대상자의 미세하고 다양한 차이에 따라 제1 및 제2 조직(14,15)의 두께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tissues 14 and 15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ne and various differences of the operation subject such as the anatomical location, characteristics, individual, sex, and age of the anastomotic site to be anastomosed.

따라서 본 발명은 시술자로부터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설정받고,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헤드부(21)와 엔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서 문합 부위에 발사된 스테이플(11)에 의해 압착되는 강도를 조절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for squeezing the anastomotic region from the practitioner is se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21 for emitting staples and the navel head 22, ). ≪ / RTI >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정부(60)는 시술자로부터 압착하고자 하는 설정강도를 복수의 단으로 설정받는 선택버튼이나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In detail, the setting unit 60 may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or a switch for setting the setting intensity to be squeezed from the practitioner to a plurality of level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정강도는 제1단 내지 제3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tting intensity may be set to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예를 들어, 도 5는 문합 부위의 특성에 따라 압착강도가 조절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For example,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str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stomosis site.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부위의 두께나 크기가 가장 작은 경우를 제1단으로 설정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부위의 두께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를 제3단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anastomosis site are the smallest is set as the first stage, and as shown in Fig. 5 (c) Can be set to the third stage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설정강도를 설정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hanged to set the setting intensity to two or more stages.

그래서 제1단으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은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의 거리를 최소값으로 설정된 제1 거리(d1)가 되도록 조절해서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증가시킨다. Thus, in the first stage,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21 and the anvil head 22 to be the first distance d1 set to the minimum value, thereby increa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applied to the anastomosis site.

반면, 제3단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의 거리를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3 거리(d3)가 되도록 조절해서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감소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set to the third stag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art 21 and the anvil head 22 is adjusted to be the third distance d3 set at the maximum value, thereby reducing the pressing strength applied to the anastomosing site.

그래서 표시부(80)는 설정부(60)의 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설정된 설정강도, 즉 제1단, 제2단, 제3단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제3단에서 다시 선택버튼이 조작되면 다시 제1단부터 순차적으로 설정강도를 변경해서 표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splay unit 80 sequentially displays the setting intensities se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of the setting unit 60,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s, and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operated again in the third stage, The setting intensity can be sequentially changed from the first stage and displayed.

다시 도 1 및 도 2에서, 문합부(20)의 헤드부(21)와 핸들부(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32)로 연결되고, 연결부재(32)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40)의 앤빌헤드 구동축(42)과 핸들부(30)의 스테이플 구동축(34)이 설치될 수 있다. 1 and 2, the head portion 21 of the mating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32 formed in a pipe shape.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32, The anvil head driving shaft 42 of the driving unit 40 and the staple driving shaft 34 of the handle unit 30 can be installed.

핸들부(30)는 시술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압력을 발생하는 레버(31) 및 레버(31)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스테이플 수용구(23)에 수용된 스테이플(11)을 앤빌(24) 측으로 가압해서 발사하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스테이플 구동축(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0 receives a pressing force from a lever 31 and a lever 31 that generate a pressing force by rotating the operator and presses the staple 11 received in the staple receiving portion 23 toward the anvil 24 And a staple driving shaft 34 that transmits a pressing force to start shooting.

그리고 핸들부(30) 내부에는 구동부(40)와 제어부(50) 및 전원부(70)가 마련되고, 핸들부(30)의 외면에는 설정부(60)와 표시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A controller 50 and a power source 70 are provided in the handle 30 and a setting unit 60 and a display unit 8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30.

레버(31)에는 레버(31)의 회전을 차단 또는 해제하는 안전클립(33)이 설치되고, 레버(31)와 스테이플 구동축 사이에는 레버(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 동력변환유닛(35)이 마련될 수 있다. The lever 31 is provided with a safety clip 33 for interrupting or releas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31. A first power 33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ever 31 to linear motion is provided between the lever 31 and the staple drive shaft, A conversion unit 35 may be provided.

제1 동력변환유닛(35)은 샤프트와 기어 등을 조합해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converting unit 35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shaft and a gear.

구동부(40)는 전원부(7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41) 및 구동모터(4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투관침(27)으로 전달해서 투관침(27)에 결합된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앤빌헤드 구동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0 receive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41 and the driving motor 41 driven by the power supply unit 70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trocar 27 to be supplied to the anvil head 27 22 to linearly move the anvil head drive shaft 42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구동모터(31)의 출력축과 앤빌헤드 구동축(42) 사이에는 기어나 샤프트 등으로 구성되어 구동모터(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동력변환유닛(53)이 마련될 수 있다. A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53 composed of a gear, a shaft, or the lik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31 and the anvil head drive shaft 42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motor 31 into a linear motion .

제어부(50)는 설정부(6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서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5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according to the setting strength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60 to drive the driving unit 40 to adjust the compression strength .

이를 위해, 제어부(50)에 내장된 메모리(도면 미도시)에는 설정강도의 각 단별로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가 매칭되어 저장되고, 제어부(50)는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서 대응되는 거리가 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distances between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are matched and stored for each stage of the setting intensity in a memory (not shown) built in the control unit 50, The anvil head 22 may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tensity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so as to be a corresponding distanc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앤빌헤드와 헤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되는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anvil head and the hea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strength set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staple can be fired to control the compression strength applied to the anastomotic site.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referring to FIG. 6, a method for adjusting the crimp strength of a circular sea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djusting the crimp strength of a circular sea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S10단계에서 전원스위치(도면 미도시)가 온 조작되어 전원부(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50)는 각 장치를 초기화하고 문합 부위를 문합하기 위한 동작을 준비하도록 제어한다. 6, when the power switch (not shown)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70, the control unit 50 initializes each device and controls to prepare an operation for anastomosing the anastomotic site.

S12단계에서 설정부(60)는 시술자로부터 문합 부위에 가하고자 하는 압착강도를 설정받는다. In step S12, the setting unit 60 sets the compression strength to be applied to the anastomotic site from the practitioner.

이때, 시술자는 해부학적 위치, 문합 부위의 특성, 환자의 나이, 성별 등을 감안하여 설정부(60)에 마련된 선택스위치나 버튼을 조작해서 압착강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 예컨대 제1단 내지 제3단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actitioner operates the selection switch or button provided in the setting unit 60 in consideration of the anatomical 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stomosis site, the age and sex of the patient, And the third stage.

S14단계에서 제어부(50)는 설정부(6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강도가 제1단인지를 검사한다.In step S14,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setting intensity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60 is the first stage.

만약, S14단계의 검사결과 제1단이 설정된 상태이면, 제어부(5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단에 대응되는 제1 거리(d1)를 확인하고,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d1)가 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first stage has been set, the controller 50 confirms the first distance d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ge stored in the memory and controls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 To the first distance (d1)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

이때,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고, 앤빌헤드 구동축(42)은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d1)가 되도록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6). The drive motor 41 of the drive unit 40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anvil head drive shaft 42 drives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at a first distance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motor 41 is transmitted to the anvil head 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16).

반면, S14단계의 검사결과 설정강도가 제1단이 아닌 경우, 제어부(40)는 설정부(5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강도가 제2단인지를 검사한다(S18).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set strength is not the first stage,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set strength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50 is the second stage (S18).

만약, S18단계의 검사결과 제2단이 설정된 상태이면, 제어부(50)는 제2단에 대응되는 제2 거리(d2)를 확인하고,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d2)가 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8 that the second stage is set, the controller 50 confirms the second distance d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age,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is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to be the second distance d2.

이때,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고, 앤빌헤드 구동축(42)은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제2 거리(d2)가 되도록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 The drive motor 41 of the drive unit 40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anvil head drive shaft 42 drives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at a second distance (d2), and moves the anvil head 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20).

한편, S18단계의 검사결과 설정강도가 제2 단이 아닌 경우, 제어부(50)는 제3단에 대응되는 제3 거리(d3)를 확인하고,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3 거리(d3)가 되도록 구동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S18 that the set strength is not the second level, the controller 50 confirms the third distance d3 corresponding to the third stage, and confirms the third distance d3 between the head 21 and the anvil head 22 To the third distance (d3),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이때,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고, 앤빌헤드 구동축(42)은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를 제3 거리(d3)가 되도록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앤빌헤드(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2).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41 of the driving unit 40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anvil head driving shaft 42 drive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 21 and the anvil head 22 to the third distance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motor 41 is transmitted to the anvil head 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22).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헤드부(21)와 앤빌헤드(22) 사이의 거리 조절이 완료된 후, 시술자에 의해 레버(31)가 회전 조작되면(S24), 스테이플 구동축(34)은 레버(31)에 가해진 가압력을 헤드부(21)로 전달하고, 스테이플 수용구(23)에 수용된 스테이플(11)은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앤빌(24) 측으로 발사된다. After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art 21 and the anvil head 22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tensity set by the operator 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31 by the operator (S24), the staple driving shaft 34 transmi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lever 31 to the head portion 21 and the staple 11 accommodated in the staple receiving port 23 is fired toward the anvil 24 by the transmitted pressing force.

그러면, 스테이플(11)의 한 쌍의 돌출바(12)가 각각 앤빌(24)에 형성된 각 쌍의 오목홈(25)과 돌출부(26)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면서 문합 부위에 체결됨에 따라, 제1 조직(14)과 제2 조직(15)이 문합된다(S26). As the pair of protruding bars 12 of the staple 11 are warped along the shape of each pair of concave groove 25 and protrusion 26 formed in the anvil 24 and are fastened to the anastomosis site, 1 tissue 14 and the second tissue 15 are anastomosed (S26).

S28단계에서 제어부(50)는 전원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지를 검사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될 때까지 S12단계 내지 S26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n step S28, the controller 50 checks whether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and repeats steps S12 to S26 until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한편, S28단계의 검사결과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제어부(50)는 원형 문합기(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8 that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control unit 50 stops driving each device provided in the circular combiner 10 and terminates the 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앤빌헤드와 헤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되는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distance between the anvil head and the head p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strength set by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staple is fired to adjust the compression strength applied to the anastomotic sit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을 이용하는 원형 문합기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이플 수용구와 앤빌이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합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ircular stapler using the sta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may be modifi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staplers having the staple receptacle and the anvil .

본 발명은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앤빌헤드와 헤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되는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강도를 조절하는 원형 문합기 및 그의 압착강도 조절방법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ircular knitting machine that adjusts a pressing strength applied to an anastomotic site by firing a staple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n anvil head and a head according to a set strength set by a practitioner, .

10: 원형 문합기
11: 스테이플 12: 베이스바
13: 돌출바 14,15: 제1,제2 조직
20: 문합부 21: 헤드부
22: 앤빌헤드 23: 스테이플 수용구
24: 앤빌 25: 오목부
26: 돌출부 27: 투관침
28: 앤빌샤프트 30: 핸들부
31: 레버 32: 연결부재
33: 안전클립 34: 스테이플 구동축
35: 제1 동력변환유닛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앤빌헤드 구동축
43: 제2 동력변환유닛 50: 제어부
60: 설정부 70: 전원부
80: 표시부
10: Circular Archer
11: staple 12: base bar
13: protruding bars 14, 15: first and second organizations
20: an opening part 21: head part
22: anvil head 23: staple receiver
24: Anvil 25:
26: protrusion 27:
28: anvil shaft 30: handle portion
31: lever 32: connecting member
33: safety clip 34: staple drive shaft
35: first power converting unit 40:
41: drive motor 42: anvil head drive shaft
43: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50:
60: setting unit 70:
80:

Claims (8)

문합 부위에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문합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스테이플을 발사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핸들부,
상기 문합부에 마련된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헤드부와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An anastomotic site that fires staples at an anastomotic site and anastomoses the anastomotic site,
A handle portion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emitting a staple by an operation of a practitioner,
A driving par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anvil head provided in the striking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o adjust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anastomosing par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navel head based on the set intensity set by the operator.
제1항에 있어서,
시술자로부터 상기 설정강도를 설정받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시술자로부터 압착하고자 하는 설정강도를 복수의 단으로 설정받는 선택버튼이나 스위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setting intensity from the operator,
Wherein the set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or a switch for setting the setting intensity to be squeezed from the practitioner to a plurality of st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시술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압력을 발생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에 마련된 스테이플 수용구에 수용되는 스테이플을 상기 앤빌헤드에 형성된 앤빌 측으로 가압해서 발사하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스테이플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handle portion
A lever which generates a pressing force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And a staple driving shaft that receives a pressing force from the lever and receives a staple received in a staple receiving hole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and transmits a pressing force to press the staple toward an anvil formed in the anvil he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헤드부에 마련된 투관침으로 전달해서 상기 투관침에 결합된 상기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앤빌헤드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driving unit
A drive motor driven by power supply and
And an anvil head driving shaft which receives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a trocar cap provided on the head unit and linearly moves the anvil head coupled to the trocar cap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강도의 각 단별로 상기 헤드부와 앤빌헤드 사이의 거리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상기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설정강도에 대응되는 거리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anvil head i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stage of the set intensity,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anvil hea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 intensity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o be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t intensit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에 있어서,
(a) 설정부를 이용해서 시술자로부터 문합 부위에 가해지는 압착 강도를 설정받는 단계,
(b) 제어부에서 상기 (a)에서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압착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엔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부와 상기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및
(d) 핸들부의 레버를 회전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해서 스테이플을 발사해서 문합 부위를 문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술자로부터 설정된 설정강도에 기초해서 상기 헤드부와 엔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문합 부위를 압착하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
A method for adjusting the compression strength of a circular knit machine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setting a compression strength to be applied to an anastomotic site from an operator using a setting unit,
(b)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compression strength based on the setting intensity set in (a)
(c)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envelope head by moving the envelope hea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t the driving portion, and
(d) transferring operation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of the handle portion to the head portion to fire staples to join the anastomotic site
And adjusting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anastomosing reg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avel head on the basis of the setting strength set by the practitio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설정부는 선택버튼이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시술자로부터 복수의 단으로 설정된 설정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을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the step (a), the setting unit sets any one of setting strengths set to a plurality of stages from a practitioner by a selection button or a switch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강도의 각 단별로 상기 헤드부와 앤빌헤드 사이의 거리를 매칭해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설정된 설정강도에 따라 상기 앤빌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설정강도에 대응되는 거리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문합기의 압착강도 조절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anvil head for each stage of the set intensity and stores the distance in a memory and moves the anvil hea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 intensity to obtain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t intensity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is generated.
KR1020170115278A 2017-09-08 2017-09-08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KR201900281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8A KR20190028164A (en) 2017-09-08 2017-09-08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8A KR20190028164A (en) 2017-09-08 2017-09-08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4A true KR20190028164A (en) 2019-03-18

Family

ID=6594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78A KR20190028164A (en) 2017-09-08 2017-09-08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1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45B1 (en) 2018-10-12 2020-03-02 박형준 C-shaped hemorrhoidal stap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5459A (en) 1991-08-23 1993-04-27 Ethicon, Inc. Surgical anastomosis stapling instrument
US5392979A (en) 1987-05-26 1995-02-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979A (en) 1987-05-26 1995-02-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apparatus
US5205459A (en) 1991-08-23 1993-04-27 Ethicon, Inc. Surgical anastomosis stapling instru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45B1 (en) 2018-10-12 2020-03-02 박형준 C-shaped hemorrhoidal sta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6526B1 (en) Tissue stapler
US5782397A (en) Stapling device
EP2283784B1 (en) Surgical system for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
JP2021501648A (en) Anvil assembly for use with surgical staple fasteners
US4505272A (en)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for performing anastomoses between structures of the digestive tract
US20180289372A1 (en) Surgical instrument having bendable actuator
JP2019533547A (en) Circular surgical stapler with angularly asymmetric deck mechanism
US20060201993A1 (en) Circular stapler
JPH0511982B2 (en)
CN1080248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straight staple line
CA2483735A1 (en) Single lumen anastomosis applier for self-deploying fastener
US20220000476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pivotable effector
CN108135617A (en) For radially doing up the device of body lumen
KR100769681B1 (en) Circular anastomosis stapling instrument
KR20190028164A (en)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and compression strength contol method thereof
KR102072045B1 (en) C-shaped hemorrhoidal stapler
CN210170102U (en) Surgical instrument with bendable actuator
US11020119B2 (en) Anvil assembly and delivery system
US20140364881A1 (en) Compression anastomosis ring and sensor system
CN217853123U (en) Outward turning type stitching instrument
KR102021430B1 (en) Circular anastomosis stampling instrument
CN115120293A (en) Actuating mechanism for outward turning type stitching instrument, stitching instrument and quality inspection method of stitching instrument
CN214966105U (en) Surgical stapler
JP2021506440A (en) Handle assembly and stapler containing it
CN213098265U (en) Nail bin seat assembly of endoscope nailing device for implementing stomach fundus folding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